KR20210146156A - 클러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클러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156A
KR20210146156A KR1020200063251A KR20200063251A KR20210146156A KR 20210146156 A KR20210146156 A KR 20210146156A KR 1020200063251 A KR1020200063251 A KR 1020200063251A KR 20200063251 A KR20200063251 A KR 20200063251A KR 20210146156 A KR20210146156 A KR 20210146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ntact surface
diaphragm spring
pulling cover
rea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897B1 (ko
Inventor
노현우
김현수
김상인
권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20006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8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2013/586Details the cover housing is formed by diaphragm springs
    • F16D2013/588Details the cover housing is formed by diaphragm springs the diaphragm springs are arranged outside the cover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의 풀링 커버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 구비되어 클러치의 동작시 중심 축선방향으로의 반력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편심을 방지하고 차량의 지오메터리 저더를 개선할 수 있는 클러치 조립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클러치 조립체는 풀링 커버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 구비되어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으로 반력이 발생하게 하는 반력방향 조절부로서, 풀링 커버의 내주면에서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면, 및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외주면에서 제1접촉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클러치 조립체{Clutch assembly}
본 발명은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링 커버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서 클러치의 동작시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으로의 반력 생성을 유도하여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편심을 방지하여 차량의 지오메터리 저더를 개선할 수 있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입력축을 가지는 더블 클러치 트랜스미션(Double Clutch T/M)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클러치 디스크가 두 개인 더블 클러치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는 클러치가 두 개가 필요하고, 기어방식도 듀얼(Dual)로 작동되며 한 개 단씩 변속될 때마다 이중으로 되어 있는 샤프트가 바뀌기 때문에 변속 속도가 빠르며 실제 연비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건식 더블 클러치(Dry Double Clutch)는 종래의 습식 더블 클러치(Wet Double Clutch)와는 다르게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클러치 디스크와 압력판의 마찰에 의해서 엔진의 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더블 클러치는 등록특허 제10-11805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더블 클러치(1)는 댐퍼 플라이휠(3)과 셋 더블 클러치(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셋 더블 클러치(5)의 환형 케이싱(13)에 의해 외주연이 묻히고 외주연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환형 케이싱(13) 밖으로 노출되도록 동축 상으로 고정된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 안쪽에 동축 상으로 인접 배치되어 외주연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동축 상의 엠보싱부(15)에 의해 상기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커버판(9), 커버판(9)의 안쪽에 동축 상으로 인접 배치되어 셋 더블 클러치(5)의 제1 압력판(21)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 및 커버판(9)의 외주연과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의 외주연 사이에 동축 상으로 개재되어 커버판(9)에 의해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이 지지되도록 하는 환형의 지지부재(1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더블 클러치는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수축과 복원시 클러치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축 중심이 틀어지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동심도의 불일치는 압력판과 디스크 사이의 편심 접촉을 초래하여 디스크의 편마모를 수반하는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지오메터리 저더의 발생에 따른 차체에 떨림이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18059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러치의 풀링 커버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 구비되어 클러치의 동작시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으로의 반력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편심을 방지하고 차량의 지오메터리 저더를 개선할 수 있는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풀링 커버, 상기 풀링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풀링 커버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 플레이트, 상기 풀링 커버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크 조립체, 및 상기 풀링 커버와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서 클러치의 작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반력이 발생되게 하는 반력방향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반력방향 조절부는 상기 풀링 커버의 내주면에서 클러치의 중심축선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면, 및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접촉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접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접촉면은 내주면에 상기 제2접촉면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에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가이드 돌기부는 상기 제1접촉면의 내주면에서 전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접촉면은 내주면에 상기 제2접촉면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측에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가이드 돌기부는 상기 제1접촉면의 내주면에서 전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는 클러치의 풀링 커버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서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으로 반력을 생성하기 위해 풀링 커버의 내주면에서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면, 및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외주면에서 제1접촉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접촉하는 제2접촉면으로 구성되는 반력방향 조절부는, 클러치의 동작시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으로 반력 생성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내구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지오메터리 저더를 개선하여 차체의 떨림 방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클러치 중에서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적용되는 사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블 클러치 조립체의 배면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더블 클러치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더블 클러치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에 해당하는 반력방향 조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클러치의 풀링 커버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서 클러치의 동작시 클러치의 중심 축선방향으로의 반력 생성을 유도하여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편심을 방지하고 차량의 지오메터리 저더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편의상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풀링 커버와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갖춘 통상적인 클러치 조립체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는 접속 케이싱(100), 풀링 커버(120), 보조 풀링 커버(130), 센터 플레이트(140), 압력판(160), 보조 압력판(170), 디스크 조립체(180),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 다이아프램 스프링(200), 및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 케이싱(100)은 엔진의 출력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접속 케이싱(100)은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되고, 중앙부위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엔진과의 동력 전달을 위한 이음부위로서 세레이션부(102)를 동심원상으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접속 케이싱(100)은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04)를 형성한다.
풀링 커버(120)는 접속 케이싱(100)과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풀링 커버(120)는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2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풀링 커버(120)는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압력판(16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24)를 형성한다.
보조 풀링 커버(130)는 센터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보조 풀링 커버(130)는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3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 풀링 커버(130)는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34)를 형성한다. 또한, 보조 풀링 커버(130)는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에 대한 지지점의 설정을 위해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을 향해 돌출되는 배면돌기부(136)를 형성한다.
센터 플레이트(140)는 풀링 커버(12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센터 플레이트(140)는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4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140)는 가장자리 부위에 접속 케이싱(100)의 플랜지부(10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 케이싱(10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44)를 형성한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140)는 설치구멍(142)의 내주면에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한 공회전 가능한 지지를 위해 베어링(146)을 설치한다.
압력판(160)은 풀링 커버(12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압력판(16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6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압력판(160)은 가장자리 부위에 풀링 커버(120)의 플랜지부(124)와 대응하는 위치에 풀링 커버(12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64)를 형성한다.
보조 압력판(170)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보조 압력판(17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7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 압력판(170)은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74)를 형성한다.
디스크 조립체(180)는 센터 플레이트(140)와 압력판(16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위에 변속기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실의 입력축과의 결합을 위해 허브(182)를 구비한다. 또한, 디스크 조립체(180)는 허브(182)의 둘레부위에 급격한 구동력의 변화를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 스프링(184)을 구비하고, 센터 플레이트(140)와 압력판(160) 사이에서 이들과 접촉 가능한 페이싱(186)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수축시 풀링 커버(120)와 접속 케이싱(10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압력판(160)의 가압이 이루어지고, 압력판(160)의 가압에 의해 페이싱(186)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엔진 구동력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압력판(160) 사이에서 긴밀하게 접촉하는 페이싱(186)을 매개로 디스크 조립체(180)의 허브(182)로 전달되어 변속기의 입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는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위에 변속기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공의 입력축과의 결합을 위한 허브(192)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는 둘레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서 이들과 접촉 가능한 페이싱(194)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수축시 보조 풀링 커버(13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보조 압력판(170)의 가압이 이루어지고, 보조 압력판(170)의 가압에 의해 페이싱(194)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엔진 구동력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서 긴밀하게 접촉하는 페이싱(194)을 매개로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의 허브(192)로 전달되어 변속기의 입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은 풀링 커버(120)와 보조 풀링 커버(130) 사이에 설치되는 와셔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가장자리 부위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부위를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홈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탄성편 형태의 핑거부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중심부위는 변속기 입력축의 설치를 위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축 변형되어 풀링 커버(120)에 대한 축방향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140)와 디스크 조립체(180) 및 압력 플레이트(160) 사이의 접속에 따른 엔진 구동력의 전달을 도모하게 된다.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은 보조 풀링 커버(130)와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 설치되는 와셔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가장자리 부위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부위를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홈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탄성편 형태의 핑거부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중심부위는 변속기 입력축의 설치를 위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도 다이아프램 스프링(200)과 동일하게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축 변형되어 풀링 커버(120)에 대한 축방향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 및 보조 압력판(170) 사이의 접속에 따른 구동력의 전달을 도모하게 된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풀링 커버(120)와 다이아프램 스프링(200)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 구비되어 클러치의 작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선(C) 방향으로 반력(F)의 생성을 유도하는 반력방향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 반력방향 조절부는 풀링 커버(120)의 설치구멍(122)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에서 안쪽에 위치하는 내주면에서 클러치의 중심축선(C) 방향을 향해 적정의 각도를 설정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평면 형태의 제1접촉면(120a), 및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에서 핑거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 부위의 외주면에서 제1접촉면(120a)을 향해 볼록하게 곡률진 형태로 형성되어 국소부위에 걸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접촉면(200a)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의 반력방향 조절부는 풀링 커버(120)의 내주면에서 클러치의 중심축선(C)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면(120a), 및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외주면에서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을 향해 볼록하게 곡률진 형태로 형성되어 제1접촉면(120a)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접촉면(20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클러치의 동작시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과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제2접촉면(200a)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서 클러치의 중심축선(C) 방향을 향하는 반력(F)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클러치의 중심축선(C) 방향을 향한 반력(F)은 내구시에도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에 대한 편심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매개로 차량의 지오메터리 저더를 보다 적극적으로 개선하여 차체의 떨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반력방향 조절부에 있어,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은 내주면에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제2접촉면(200a)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에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 돌기부(12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돌기부(120b)는 제1접촉면(120a)의 내주면에서 전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반력방향 조절부에 있어,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은 내주면에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제2접촉면(200a)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측에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 돌기부(120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 돌기부(120c)는 제1접촉면(120a)의 내주면에서 전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성되는 반력방향 조절부에 있어,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은 내주면에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제2접촉면(200a)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 또는 반경방향 내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부(120b, 120c)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이드 돌기부(120b, 120c)는 풀링 커버(120)의 제1접촉면(120a)의 내주면에 걸쳐 전 둘레부위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정의 곡률을 가진 형태로서 동심원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이드 돌기부(120b, 120c)는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제2접촉면(200a)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과 반경방향 내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접속 케이싱 120-풀링 커버
120a-제1접촉면 120b-제1가이드 돌기부
120c-제2가이드 돌기부 122-설치구멍
130-보조 풀링 커버 140-센터 플레이트
160-압력판 170-보조 압력판
180-디스크 조립체 190-보조 디스크 조립체
200-다이아프램 스프링 200a-제2접촉면
210-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

Claims (6)

  1.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풀링 커버;
    상기 풀링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풀링 커버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 플레이트;
    상기 풀링 커버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크 조립체; 및
    상기 풀링 커버와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피봇 접촉부위에서 클러치의 작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반력이 발생되게 하는 반력방향 조절부를 구비하는 클러치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력방향 조절부는
    상기 풀링 커버의 내주면에서 클러치의 중심축선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면; 및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접촉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접촉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은 내주면에 상기 제2접촉면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에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돌기부는 상기 제1접촉면의 내주면에서 전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조립체.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은 내주면에 상기 제2접촉면의 곡률부위의 정점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측에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돌기부는 상기 제1접촉면의 내주면에서 전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조립체.
KR1020200063251A 2020-05-26 2020-05-26 클러치 조립체 KR10246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251A KR102467897B1 (ko) 2020-05-26 2020-05-26 클러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251A KR102467897B1 (ko) 2020-05-26 2020-05-26 클러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156A true KR20210146156A (ko) 2021-12-03
KR102467897B1 KR102467897B1 (ko) 2022-11-15

Family

ID=7886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251A KR102467897B1 (ko) 2020-05-26 2020-05-26 클러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8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051A (en) * 1992-07-01 1994-05-24 Valeo Friction clutch for a motor vehicle, and an elastic diaphragm for such a clutch
JP2010196784A (ja) *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クラッチ
KR101076832B1 (ko) * 2009-05-20 2011-10-2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트랜스미션
KR101180599B1 (ko) 2010-06-29 2012-09-0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KR101558768B1 (ko) * 2014-02-27 2015-10-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898785B1 (ko) * 2016-11-30 2018-09-1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051A (en) * 1992-07-01 1994-05-24 Valeo Friction clutch for a motor vehicle, and an elastic diaphragm for such a clutch
JP2010196784A (ja) *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クラッチ
KR101076832B1 (ko) * 2009-05-20 2011-10-2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트랜스미션
KR101180599B1 (ko) 2010-06-29 2012-09-0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KR101558768B1 (ko) * 2014-02-27 2015-10-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898785B1 (ko) * 2016-11-30 2018-09-1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897B1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6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JP5828030B1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US4696384A (en) Clutch cover assembly and clutch incorporating same
US5366054A (en) Friction clutch cover assemblies
KR20120001521A (ko)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US10208809B2 (en) Double clutch assembly
JP3578600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及び連結機構
KR102094607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20210146156A (ko) 클러치 조립체
KR101898785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96302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JPH0133861Y2 (ko)
US2234459A (en) Friction clutch
US6837347B2 (en) Lockup device for fluid-type torque transmission device
KR101202908B1 (ko) 건식 더블클러치
KR101903882B1 (ko) 더블클러치 어셈블리
KR101568587B1 (ko) 자기조심형 클러치와 이를 적용한 싱글 매스 플라이휠, 및 이를 적용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20040052205A (ko) 클러치구동판
JP2016090045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591507Y2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KR20190136614A (ko) 차량용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JP2001263371A (ja) クラッチ装置
JPH0648036B2 (ja) フライホイ−ルの支持構造
KR20020090868A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및 클러치 장치
KR20170132037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