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076A -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076A
KR20210146076A KR1020200063106A KR20200063106A KR20210146076A KR 20210146076 A KR20210146076 A KR 20210146076A KR 1020200063106 A KR1020200063106 A KR 1020200063106A KR 20200063106 A KR20200063106 A KR 20200063106A KR 20210146076 A KR20210146076 A KR 2021014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haring
parking lot
vehicl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20006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076A/ko
Publication of KR2021014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카쉐어링 차량을 편도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목적지 인근의 주차장의 정보를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 모델명,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주차장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부, 각 주차장마다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각 주차장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별로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가부 판단부, 주차가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주차장 제안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CAR SHARING SER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쉐어링 차량을 편도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주차하여 차량을 배분하기 위한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소유 중심의 경제에서 공유 경제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유 경제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시스템이 교통 분야의 '카쉐어링(car sharing)'이라고 할 수 있다.
카쉐어링이란 차량을 시간 단위로 여러 사람이 나눠 쓸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비교적 고가의 차량을 구입 및 운영, 유지하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자신의 패턴에 맞게 필요할 경우에만 차량을 사용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하여, 비용을 여러 사용자들과 공동으로 분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카쉐어링은 일반적으로 회원제로 운영되며, 렌터카와는 달리 주택가 근처에 주차장소가 있다.
도 1a의 왕복서비스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내 카쉐어링 서비스는 대부분 양방향(two-way)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빌린 장소에 다시 반납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차량 사용자는 이동으로만 모든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 대부분은 차량으로 목적지까지 이동 후, 장시간 차량을 이용하지 않다가 되돌아올 때 다시 차량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모든 시간의 대여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보통 양방향 예약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예약된 반납시간에 반납하여야 한다. 상황에 따라 목적지에서 시간이 지체되어 늦게 반납장소로 출발할 수도 있다. 제시간에 반납해야 한다는 부담으로 주행에 속도를 내어 안전 운행에 지장이 있다. 반대로, 예상한 시간보다 빨리 반납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 차량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사전에 예약된 시간만큼의 사용료를 모두 부담해야 한다.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업체는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편도(one-way) 서비스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도 1a의 편도서비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도 서비스가 종료된 차량을 원래의 주차장소에 복귀시켜야 하고, 이러한 차량 복귀를 위한 인력을 추가로 채용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복귀 주행료, 대행자 인건비, 대행자 교통비 등 복귀 주행 거리에 따른 비용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도 1b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동구에서 인천공항을 편도로 이용한 경우, 대여한 비용의 몇 배나 되는 고가의 차량 복귀료를 지불해야 한다. 이렇듯 비합리적인 비용으로 인해 사용자가 한정적으로 성장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90602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카 쉐어링 시스템, 공고일자: 2016.12.22.)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카쉐어링 서비스에 있어서 편도로 이용하는 경우에 카쉐어링 차량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분산 및 배치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 모델명,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주차장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부, 각 주차장마다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각 주차장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별로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가부 판단부, 주차가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주차장 제안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출발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하여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주차장 선택부,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을 기초로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행 예약을 확정하는 주행 예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차량 조건 비교부, 조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 예약과 해당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하는 차량 확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조건 비교부는 출발지에 도착 예정인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과 차량 조건을 비교하고, 차량 확정부는 주행 예약과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는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각 주차장에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현재 대수 산출부, 각 주차장에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예약 대수 산출부, 또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예약되어,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부터 주행 예약의 출발시간 사이에) 출차 예정인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출차 대수 산출부, 현재 대수, 예약 대수 및 출차 대수를 기초하여 계산하는 잔여가용대수 산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서버는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주차요금 산출부,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요금 청구부, 를 포함하고, 주차요금 청구부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및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는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서버는 차량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식별정보 비교부, 및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또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3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주차장 제안부가 제안한 주차장의 선택을 거부하거나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의 여유가 있는 주차장이 없는 경우, 주차장 제안부는 설정된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의 목록을 제공하고, 각 주차장에서 납부하게 될 주차요금 정보 및 해당 주차장으로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추가 주행요금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 차이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제안부는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 각각의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제안하고, 주차장 선택부는 사용자가 제안된 주차장 중 하나를 타겟 주차장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로 설정부는 설정된 목적지를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갱신할 수 있고, 주차장 제안부는 갱신된 목적지를 기초로 새로운 주차장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목적지가 설정된 후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경로 설정부는 목적지의 갱신을 거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제안부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기의 도로 혼잡도에 관한 통계 정보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행사 존부에 관한 정보에 더 기초하여 주차할 주차장을 제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예약된 사용자의 예약 시간 및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재배치 수행시 혜택을 지급하는 취지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재배치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도달 예정 시간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결과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하는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 및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 및 다른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장의 특정 시각의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을 갱신할 수 있고,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는 갱신된 도달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차장의 잔여가용대수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경로 설정부에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로 제공하는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에서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차량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경로 설정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목적지 갱신을 허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목적지 변경을 거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소정의 지역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지역 내의 모든 주차장을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할당하는 구역 분류부,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적정차량대수를 설정하는 적정차량대수 설정부, 각 구역에 속하는 모든 주차장의 현재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의 총합과 적정차량대수를 비교하는 차량대수 비교부, 및 차량대수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각 주차장별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재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 모델명,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주차장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각 주차장마다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각 주차장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별로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가능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출발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를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하여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을 기초로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행 예약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조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 예약과 해당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출발지에 도착 예정인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과 차량 조건을 비교하고, 매칭하는 단계에서는 주행 예약과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각 주차장에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각 주차장에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또 다른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예약되어,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부터 주행 예약의 출발시간 사이에) 출차 예정인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현재 대수, 예약 대수 및 출차 대수를 기초하여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서버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A단계, 및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선택 B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택 B단계에서는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 A단계 또는 선택 B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선택하는 선택 C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관리 서버가 제안한 주차장의 선택을 거부하거나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의 여유가 있는 주차장이 없는 경우,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의 목록을 제공하고, 각 주차장에서 납부하게 될 주차요금 정보 및 해당 주차장으로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추가 주행요금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 차이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 각각의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제안하고,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제안된 주차장 중 하나를 타겟 주차장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를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갱신할 수 있고,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갱신된 목적지를 기초로 새로운 주차장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목적지가 설정된 후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목적지의 갱신을 거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기의 도로 혼잡도에 관한 통계 정보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행사 존부에 관한 정보에 더 기초하여 주차할 주차장을 제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예약된 사용자의 예약 시간 및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재배치 수행시 혜택을 지급하는 취지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도달 예정 시간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결과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도달 예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 및 다른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장의 특정 시각의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달 예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을 갱신할 수 있고,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갱신된 도달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차장의 잔여가용대수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로 제공하는 대체 차량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에서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목적지 갱신을 허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목적지 변경을 거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는 소정의 지역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지역 내의 모든 주차장을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적정차량대수를 설정하는 단계, 각 구역에 속하는 모든 주차장의 현재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의 총합과 적정차량대수를 비교하는 차량대수 비교 단계, 및 차량대수 비교 단계를 거친 결과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각 주차장별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서버를 포함하고, 주차장 서버는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가부 판단부,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주차요금 산출부,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요금 청구부, 를 포함하되, 주차요금 청구부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및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는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식별정보 비교부, 및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또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3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차 예약을 확정하는 주차 예약부,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차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확정되는 카쉐어링 차량을 확정된 주차 예약과 매칭하는 주차 확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은 주차장 서버는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A단계, 및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선택 B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 B단계에서는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 A단계 또는 선택 B단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C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차 예약을 확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차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확정되는 카쉐어링 차량을 확정된 주차 예약과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주차장에 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카쉐어링 차량의 적절한 분배 및 효율적인 주차가 가능하게 한다.
도 1a 및 도 1b는 기존의 카쉐어링 서비스에서 왕복 및 편도로 운영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잔여가용대수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경로 설정부 및 주행 예약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잔여가용대수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10)와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 서버(15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80)로 구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카쉐어링 차량을 주차하는 주차장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할하는 구성으로서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및 주차장 제안부(122)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110)와 후술하는 주차장 서버(150)는 공간적인 개념을 필수적으로 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주차장 서버는 각 주차장에 위치하게 될 것이고 관리 서버(110)는 관리자 책임자가 관리하기 편리한 곳에 위치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80)은 스마트폰처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활용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 모델명,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는 각각의 주차장에 대한 시간별 예약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차량의 식별정보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록번호가 될 것이고,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는 현재 주차되어 있는 주차장의 정보이겠지만 다른 사용자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사용중임을 나타내도록 할 것이다.
차량 정보 제공부(114)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주차장 서버(150) 또는 사용자 단말(180)로 제공한다. 차량 정보 제공부(114)는 후술할 잔여가용대수를 분석 결과 및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예약된 차량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차장 서버(150)는 카쉐어링 차량을 식별하고 입출차 승인 및 주차 요금 결제에 사용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80)은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카쉐어링 차량을 선택하는데 활용할 것이다.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는 각 주차장마다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각 주차장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쉐어링카는 특정 주차장과 소정의 주차요금을 별도로 지급하고 정해진 수만큼의 카쉐어링 차량을 자유롭게 주차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주차가용대수는 시스템 관리자(또는 운영자)와 주차장 관리자(또는 운영자)와의 계약에 의하여 결정되는 주차대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주차가용대수는 시스템 관리자 또는 주차장 관리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잔여가용대수는 각 주차장의 주차가용대수 및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 차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게 잔여가용대수를 알려주는 것은 중요할 수 있다.
주차가부 판단부(118)는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별로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은 주차불가 주차장으로 판단하겠지만, 카쉐어링 차량의 효율적인 분산을 위해서 잔여가용대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 예를 들어 잔여가용대수가 0 또는 1인 주차장에 대해서는 주차불가로 판단하고 잔여가용대수가 2 이상인 주차장에 대해서만 주차가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주차장 제안부(122)는 각 주차장의 주차 가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초하여 주차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180)로 제안한다.
예를 들어,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 중에서 잔여가용대수가 각각 0대, 1대 및 3대인 주차장 A, B, C가 있는 경우 관리 시스템(10)은 원칙적으로는 A, B 및 C 중 임의의 주차장을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 A 보다는 주차장 C와 B를 순차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카쉐어링 차량의 효율적인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는 현재 대수, 예약 대수, 출차 대수를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후술)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타겟 주차장(후술)을 설정하면, 차량 정보 제공부(114)는 해당 예약 정보를 주차장 서버(150)에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주차장 서버(150)는 관리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180)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요금을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차량 데이터베이스(152), 주차요금 산출부(154) 및 주차요금 청구부(156)를 포함한다.
차량 데이터베이스(152)는 차량 정보 제공부(114)로부터 수신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예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차요금 산출부(154)는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예약 여부 및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한다.
주차요금 청구부(156)는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한다. 출차하는 차량에 따라, 청구 여부를 다르게 청구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주차장 제안부(12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및 경로 설정부(124), 주차장 선택부(126), 주행 예약부(130) 를 포함한다.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는 관리 서버(110)와 물리적 거리를 둘 수도 있으며, 주차장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및 주차장 제안부(12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을 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을 이용하여 경로 설정부(124), 주차장 선택부(126), 주행 예약부(1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경로 설정부(124)는 차량 정보 제공부(114)에 기초하여 출발 시간, 도착 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를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설정한다.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주차장 목록 제공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출발지는 특정 카쉐어링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장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목적지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장소이지만, 특정의 주차장일 수도 있다.
설정된 목적지에 기초하여 주차장 제안부(122)가 사용자 단말(180)로 주차장 목록을 제공하게 되는데, 주차장 선택부(126)는 주차장 제안부(122)가 제공한 주차장 목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목적지 인근의 타겟 주차장을 설정한다. 타겟 주차장은 사용자가 주차하고자 하는 특정 주차장을 의미한다.
주차장 목록은 텍스트의 리스트로 제공할 수도 있고, 지도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주행 예약부(130)은 해당 출발 시간, 도착 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초하여 주행 예약을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80)에 차량을 확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조건만을 입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은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될 수 있다. 주행 예약부(130)는 이렇게 차량이 특정되지 않은 미확정 상태에서 주행 예약을 완료한다. 차량 조건은 대여 가격, 연료 종류, 배기량, 연식, 크기(대형, 준대형, 중형, 준중형, 소형, 경형), 외형(세단, SUV, RV, 밴, 트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약이란, 출발지에서 해당 시간에 출발할 수 있도록 미리하는 출발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약속, 해당 목적지 인근의 주차장에 약정된 금액으로 주차하며 반납할 수 있도록 미리하는 도착 시간과 장소 및 주차료에 대한 약속, 해당 출발지부터 해당 주차장까지 해당 조건의 카쉐어링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하는 차량에 대한 약속을 포함한다.
주행 예약부(130)는 차량에 대한 약속을 제외한, 출발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약속, 도착 시간과 장소 및 주차료에 대한 예약을 확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카쉐어링 차량은 주차 가능한 장소가 바뀔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출발시간을 앞두고 예약하는 시점이 각각 다를 수 있다. 출발지에 현재 위치하는 카쉐어링 차량이 특정 사용자의 예약에 매칭되어 확정되는 경우, 해당 출발시간에 해당 카쉐어링 차량이 출발지에 사용 가능한 상태로 있으려면, 예약 시점부터 해당 출발시간까지 다른 사용자와 매칭하지 않고 유지하거나, 출발시간에 맞추어 대행자에 의해 차량이 해당 출발지로 옮겨져야 한다. 주행 예약부(130)에 의하여, 카쉐어링 차량이 유휴상태로 방치되거나 출발지로 불필요하게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에 대한 약속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외의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주차장 제안부(12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경로 설정부(124), 주차장 선택부(126), 주행 예약부(130), 및 차량 조건 비교부(132), 차량 확정부(134), 제1 주차예약 확정부(222), 제2 주차예약 확정부(224)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량 조건 비교부(132), 차량 확정부(134), 제1 주차예약 확정부(222), 제2 주차예약 확정부(224)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차량조건 비교부(132)는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차량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미리 저장된 차량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차량 확정부(134)는 조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 예약과 해당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할 수 있다. 카쉐어링 차량을 해당 주행 예약과 매칭하고, 사용자 단말에 차량 확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주차예약 확정부(222)는 주행 예약 정보를 주차장 서버로 제공하고 주차 예약을 확정한다. 제1 주차예약 확정부(222)는 차량에 대한 약속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외의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기초하여, 주차장 서버에서 해당 주차 예약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제2 주차예약 확정부(224)는 매칭된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주차장 서버로 제공하고 주차 예약 차량을 확정한다. 차량 확정부(134)가 매칭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한 정보를 주차상 서버로 제공하여 주차장에서 해당 차량의 주차를 확정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 조건 비교부(132)는 출발지에 도착 예정인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과 차량 조건을 비교하고, 차량 확정부(134)는 주행 예약과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출발지가 다른 사용자의 목적지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거리 내 인근인 경우를 전제로 하여, 사용자의 주행 예약과 다른 선사용자의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할 수 있다. 주행 예약에 매칭할만한 카쉐어링 차량이 현재 출발지에 없더라도, 사용자의 출발 시간 전에 매칭할 수 있다. 매칭할만한 카쉐어링 차량은 다른 선사용자에 의해 주행 중일 수 있고, 주행 예약 상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는 현재 대수 산출부(136), 예약 대수 산출부(138), 출차 대수 산출부(142), 잔여가용대수 산출부(144)를 포함한다.
현재 대수 산출부(136)는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각 주차장에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한다.
예약 대수 산출부(138)는 각 주차장에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한다.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되는 출발지에, 도착(주차)이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각 주차장에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는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주차장의 해당 시간에 주차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의미한다.
출차 대수 산출부(142)는 또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예약되어,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부터 주행 예약의 출발시간 사이에) 출차 예정인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또 다른 사용자의 입력이란,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보다 이전의 또 다른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되는 해당 주행 예약의 출발시간 이전에 출발지에서 출차 예정인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한다.
잔여가용대수 산출부(144)는 현재 대수, 예약 대수 및 출차 대수를 기초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어, 해당 주차장에 대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가 6대이고, 현재 대수가 4대, 예약 대수가 2대, 출차 대수가 1대인 경우, 잔여가용대수는 6-(4+2-1)로서, 1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는 차량 데이터베이스(152), 식별정보 비교부(158), 주차요금 산출부(154), 주차요금 청구부(156)를 포함하고, 주차요금 청구부(156)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를 포함한다. 도 6에서는 도 2b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식별정보 비교부(158),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미리 지불된 정액료는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약정된 정액료 뿐 아니라, 일반 차량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별 지불하는 정액료를 의미한다. 정액료를 지불하지 않은 경우 입출차 시간을 기초로 산출되는 금액을 청구할 수 있다.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는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한다. 전술하였던 예로, 카쉐어링 차량이 해당 주차장에 진입할 당시에 이미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가 잔여가용대수가 0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의 사용자는 추가 주차 요금을 납부할 수 있지만, 이미 예약을 할 당시에는 잔여가용대수가 0보다 컸던 경우라면 추가 주차 요금을 납부하지 않는다.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는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카쉐어링 차량이 해당 주차장에 진입할 당시에 잔여가용대수가 0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차량의 사용자는 추가 주차 요금을 납부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미 예약을 할 당시에는 잔여가용대수가 0이었던 경우라면 추가 주차 요금을 납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행이 완료되어 해당 주차장에 도착하고 카쉐어링 차량을 반납한 상태라면, 해당 카쉐어링 차량이 출차할 때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따라서, 예약을 할 당시에 잔여가용대수가 0인 경우,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게 미리 해당 주차료를 청구할 수 있다. 해당 카쉐어링 차량이 출차할 때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이제 막 주행을 시작한 상태일 수 있다. 출차 시,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는 요금 청구를 생략하고, 관리 서버에 의해 미리 수령한 주차 요금으로 차후 지불할 수 있다.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은 일반 차량과 동일한 주차 요금일 수도 있고, 약정에 따른 주차 요금일 수도 있다.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는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또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한다.
식별정보 비교부(158)는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차량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한다. 식별정보 비교부(158)는 출차 차량이 카쉐어링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주차장 서버(150)는 카쉐어링 차량 뿐 아니라, 일반 차량이나 약정되지 않은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도 주차 요금을 관리하는데,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는 출차 차량이 카쉐어링 차량인지의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청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는 시간 순서와 관계 없이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차장 제안부(122)가 제안한 주차장의 선택을 사용자가 거부하거나,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의 여유가 있는 주차장이 없는 경우, 주차장 제안부(122)는 설정된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의 목록을 제공하고, 각 주차장에서 납부하게 될 주차요금 정보 및 해당 주차장으로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추가 주행요금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 차이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주행요금이란 주차장 제안부(122)가 처음 제안한 주차장까지 이동하는데 예상되는 쉐어링카 이용 요금과 사용자가 거부 후 주차장 제안부(122)가 다시 제안한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까지 이동하는데 예상되는 쉐어링카 이용 요금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용 요금은 대여 시간에 따르는 대여료, 주행 거리에 따라 부과되는 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차장 제안부(122)는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 각각의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제안하고, 사용자는 제안된 주차장 중 하나를 타겟 주차장으로 선택하는 경우에 주차장 제안부(122)는 소정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카쉐어링 차량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하여 시스템이 요청하는대로 사용자가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혜택을 제공하는 실시예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경로 설정부(124)는 설정된 목적지를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갱신할 수 있고, 주차장 제안부(122)는 갱신된 목적지를 기초로 새로운 주차장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목적지를 설정한 후 사용자는 목적지를 변경할 수도 있는데, 목적지를 변경하게 되면 변경된 목적지를 기준으로 새로운 주차장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목적지가 설정된 후 새로운 목적지를 설정함으로써 목적지를 갱신하는 사용자 입력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또 다른 설정입력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경로 설정부(124)에 의하여 목적지가 설정된 후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경로 설정부(124)는 목적지의 갱신을 거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주차장을 타겟 주차장으로 설정한 이후에 타겟 주차장에서 해당 카쉐어링 차량을 사용할 것을 예약한 후순위 예약자가 있는 경우에 목적지 변경을 허용하게 되면 후순위 예약자는 부당하게 예약을 취소하거나 변경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순위 예약자가 있는 경우 목적지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차장 제안부(122)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기의 도로 혼잡도에 관한 통계 정보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행사 존부에 관한 정보에 더 기초하여 주차할 주차장을 제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주차장 제안부(122)는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복수의 주차장 중에서 거리가 가까운 주차장에 주차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다음 사용자를 고려하여 거리가 좀 더 멀더라도 교통상황이 더 좋은 다른 주차장에 주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주차장을 추천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주차장 제안부(122)에 의하여 제안된 주차장을 타겟 주차장으로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주차장 제안부(12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경로 설정부(124), 주차장 선택부(126), 주행 예약부(130), 차량 조건 비교부(132), 차량 확정부(134), 및 재배치 정보 제공부(128)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재배치 정보 제공부(128)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재배치 정보 제공부(128)는 경로 설정부(124)에 의하여 예약된 사용자의 예약 시간 및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재배치 수행시 혜택을 지급하는 취지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한다.
이미 어느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는 카쉐어링 차량은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 예약을 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동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어느 사용자가 원거리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는 특정 차량을 자신의 인근에 있는 주차장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군가가 자신의 인근 주차장으로 차량을 이동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당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런 경우와 같이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재배치를 수행하는 실시예이다.
재배치 정보 제공부(128)는 경로 설정부(124)에 의하여 예약된 사용자의 예약 시간 및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재배치 수행시 혜택을 지급하는 취지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시간에 특정 주차장에서 출발하고자 하는 차량이 그 특정시간에 다른 주차장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재배치를 담당하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해당 차량을 특정 시간까지 특정 주차장으로 옮겨서 재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라 함은 현재 위치뿐만 아니라 타사용자의 예약에 의하면 특정 시간에 예측되는 위치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특정 차량을 주차장 a에서 3시에 출발하여 주차장 b에 4시에 도달하는 것으로 예약을 하였고 사용자 B가 5시에 주차장 c에서 출발할 것을 예약하는 경우, 재배치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4시에 주차장 b에가서 주차장 c로 특정 차량을 이동할 것을 수행할 것인지 물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A 또는 사용자 B는 추가 요금을 지불할 수 있고, 재배치를 수행하는 자가 일반 사용자인 경우 특별한 혜택을 지급할 수도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주차장 제안부(12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경로 설정부(124), 주차장 선택부(126), 주행 예약부(130), 차량 조건 비교부(132), 차량 확정부(134), 및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146),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148)를 포함한다. 도 8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146) 및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148)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146)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도달 예정 시간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결과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148)는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146)에 의하여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 및 다른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장의 특정 시각의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148)가 산출하는 잔여가용대수는 현재를 포함한 장래의 임의의 시각의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146)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을 갱신할 수 있고,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148)는 갱신된 도달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차장의 잔여가용대수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란 사용자가 도달 예정 시간을 설정한 후, 도달 예정 시간을 변경하기 위하여 도달 예정 시간을 다시 입력하는 사용자의 또 다른 설정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교통 정보는 교통 상황에 관한 정보로서 경찰청 서버 등 외부 서버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할 때 마다 도달 예정 시간을 새로이 산출하여 갱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주차장 제안부(12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경로 설정부(124), 주차장 선택부(126), 주행 예약부(130), 차량 조건 비교부(132), 차량 확정부(134), 및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120)를 포함한다. 도 9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1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120)는 경로 설정부에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에서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차량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경로 설정부(124)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목적지 갱신을 허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목적지 변경을 거부할 수 있다.
즉, 목적지를 변경하려고 할 때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한 후순위 예약자가 있더라도, 후순위 예약자가 해당 카쉐어링 차량이 아닌 인근의 다른 차량을 이용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 후순위 예약자에게 다른 차량을 선택할 것을 유도하기 위하여 별도의 혜택을 지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 차량 정보 제공부(114), 주차장 제안부(122), 경로 설정부(124), 주차장 선택부(126), 주행 예약부(130), 차량 조건 비교부(132), 차량 확정부(134), 및 구역 분류부(212), 적정차량대수 설정부(214), 차량대수 비교부(216), 재배치부(218)를 포함한다. 도 10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역 분류부(212), 적정차량대수 설정부(214), 차량대수 비교부(216), 재배치부(218)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역 분류부(212)는 소정의 지역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지역 내의 모든 주차장을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할당한다.
적정차량대수 설정부(214)는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적정차량대수를 설정한다.
지역 또는 구역을 설정하는 기준은 관리 시스템(10)의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행정구역으로 나누는 경우 주차장을 주소에 따라서 할당하고 분류할 수 있다.
차량대수 비교부(216)는 각 구역에 속하는 모든 주차장의 현재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의 총합과 적정차량대수를 비교한다.
재배치부(218)는 차량대수 비교부(216)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각 주차장별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2b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은, 단계 610에서, 관리 서버(110)의 차량 정보 제공부(114)가,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 모델명,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주차장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20에서, 관리 서버(110)의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가, 각 주차장마다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각 주차장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30에서, 관리 서버(110)의 주차가부 판단부(118)가,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별로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40에서, 관리 서버(110)의 주차장 제안부(122)가, 주차가부 판단부(118)의 주차가부 판단 결과를 기초하여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 주차장이 설정되고, 해당 예약 정보는 주차장 서버에 더 저장될 수 있다.
단계 810에서, 주차장 서버(150)가 관리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2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주차요금 산출부(154)가,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예약 여부 및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3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주차요금 청구부(156)가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경로 설정부 및 주행 예약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650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의 경로 설정부(124)가, 출발 시간, 도착 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를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660에서, 관리 서버(110)의 주차장 선택부(126)가, 주차장 제안부(122)가 설정된 목적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80)로 제공하는 주차장 목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선택 입력에 의하여 목적지 인근의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670에서, 관리 서버(110)의 주행 예약부(130)가,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을 기초로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행 예약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흐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4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680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관리 서버(110)의 차량조건 비교부(132)가,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690에서, 관리 서버(110)의 차량 확정부(134)가,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행 예약과 해당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조건 비교부(132)가 출발지에 도착 예정인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과 차량 조건을 비교하고, 매칭하는 단계에서는 차량 확정부(134)가 주행 예약과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잔여가용대수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현재 대수 산출부(136)가,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각 주차장에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720에서, 예약 대수 산출부(138)가, 각 주차장에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730에서, 출차 대수 산출부(142)가, 또 다른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예약되어,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부터 주행 예약의 출발시간 사이에) 출차 예정인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740에서, 잔여가용대수 산출부(144)가, 현재 대수, 예약 대수 및 출차 대수를 기초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b 및 도 11에서 설명한 흐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6 및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 84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주차요금 청구부(156)의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가,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A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85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주차요금 청구부(156)의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가,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선택 B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85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주차요금 청구부(156)의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가,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86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식별정보 비교부(158)가,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차량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87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주차요금 청구부(156)의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가,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 A단계 또는 선택 B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선택하는 선택 C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A단계, 선택 B단계, 선택 C단계는 시간 순서에 관계 없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관리 서버(110)의 주차장 제안부(122)가 제안한 주차장의 선택을 거부하거나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의 여유가 있는 주차장이 없는 경우,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의 목록을 제공하고, 각 주차장에서 납부하게 될 주차요금 정보 및 해당 주차장으로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추가 주행요금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 차이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차장 제안부(122)가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 각각의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제안하고, 주차장 선택부(126)가 제공한 주차장 목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제안된 주차장 중 하나를 타겟 주차장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경로 설정부(124)가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를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갱신할 수 있고, 주차장 제안부(122)가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갱신된 목적지를 기초로 새로운 주차장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경로 설정부(124)에 의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목적지가 설정된 후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관리 서버(110)의 경로 설정부(124)는 목적지의 갱신을 거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차장 제안부(122)가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기의 도로 혼잡도에 관한 통계 정보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행사 존부에 관한 정보에 더 기초하여 주차할 주차장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흐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7 및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750의, 재배치 정보 제공부(128)가, 경로 설정부(124)에 의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예약된 사용자의 예약 시간 및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재배치 수행시 혜택을 지급하는 취지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흐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8 및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760의, 관리 서버(110)의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146)가,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도달 예정 시간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결과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단계 770의, 관리 서버(110)의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148)가,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 및 다른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장의 특정 시각의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146)가 도달 예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을 갱신할 수 있고,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148)가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갱신된 도달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차장의 잔여가용대수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도 1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흐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9 및 도 18를 참조하면, 단계 780의, 관리 서버(110)의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120)가,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에서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경로 설정부(124)에서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목적지 갱신을 허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목적지 변경을 거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흐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9을 참조하면, 단계 910의, 관리 서버(110)의 구역 분류부(212)는, 소정의 지역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지역 내의 모든 주차장을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단계 920의, 관리 서버(110)의 적정차량대수 설정부(214)는,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적정차량대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단계 930의, 관리 서버(110)의 차량대수 비교부(216)는 각 구역에 속하는 모든 주차장의 현재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의 총합과 적정차량대수를 비교하는 차량대수 비교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단계 940의, 관리 서버(110)의 재배치부(218)는 차량대수 비교 단계를 거친 결과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각 주차장별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주차요금 산출부(154), 주차요금 청구부(156)를 포함하고, 주차요금 청구부(156)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를 포함한다. 도20에서는 도2b 및 도6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및 주차가부 판단부(118)는 관리 서버(110) 및 주차장 서버(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2b에서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및 주차가부 판단부(118)가 관리 서버(110)와 연결되어 주차장 서버(150) 및 사용자 단말(180)에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예이다. 도 20에서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및 주차가부 판단부(118)가 주차장 서버(150)와 연결되어 분석 및 판단하여, 그 결과를 관리 서버(110)에 제공하는 실시예이다. 관리 서버(110)는 주차가부 결과를 판단하여 주차장 목록을 사용자 단말(18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을 포함하는 요금 청구부(156), 주차요금 산출부(154), 차량 데이터베이스(15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식별정보 비교부(158)를 포함한다. 도21에서는 도2b, 도6, 도 20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는 차량 데이터베이스(152),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 주차가부 판단부(118), 주차요금 산출부(154), 주차 예약부(172), 주차 확정부(174), 주차요금 청구부(156)를 포함하고, 주차요금 청구부(156)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를 포함한다. 도22에서는 도2b, 도6, 도 20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차 예약부(172) 및 주차 확정부(174)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주차 예약부(172)는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차 예약을 확정한다. 도 3의 주행 예약부(1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에 대한 약속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외의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기초하여 해당 도착시간에 카쉐어링 차량이 주차되는 것을 예약할 수 있다.
주차 확정부(174)는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차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확정되는 카쉐어링 차량을 확정된 주차 예약과 매칭한다. 주차 확정부(174)는 도 4에서 설명한 차량 확정부에서 확정하는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예약부(172)가 미리 확정한 주차 예약과 매칭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 및 도 23를 참조하면, 단계 1110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150)의 잔여가용대수 분석부(116)가,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20에서, 주차장 서버(150)의 주차가부 판단부(118)가,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40에서, 주차요금 산출부(154)가,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50에서, 주차요금 청구부(156)가,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계 1152에서, 요금 청구 제1선택부(162)가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A단계를 포함한다.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계 1154에서,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가,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선택 B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요금 청구 제2선택부(164)가,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4에서는 도 23에서 설명한 흐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4를 참조하면, 단계 1100에서, 차량 데이터베이스(152)가,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30에서, 식별정보 비교부(158)가,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56에서, 요금 청구 제3선택부(166)가,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 A단계 또는 선택 B단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C단계를 포함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서버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5에서는 도 23 및 도 24에서 설명한 흐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5를 참조하면, 단계 1132에서, 주차 예약부(172)가,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차 예약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에서 함께 보는 바와 같이, 제1 주차예약 확정부(222)가 제공하는 주행 예약 정보를 기초하여 주차 예약부(172)는 주차 예약을 확정할 수 있다.
단계 1134에서, 주차 확정부(174)가,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확정된 주차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확정되는 카쉐어링 차량을 상기 확정된 주차 예약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4에서 함께 보는 바와 같이, 제2 주차예약 확정부(224)가 제공하는 확정된 주차 예약 차량을 주차 확정부(174)는 매칭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일반적으로 주차장에 주차가용대수만큼은 자유로이 주차를 하도록 계약을 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특정 주차장의 특정 시간대의 예약현황을 확인하여 주차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예약을 한 경우에는 계약 범위 내의 주차이기에 해당 카쉐어링 차량 운전자에게 추가적인 주차 요금을 청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주차장에 실제로 주차된 차량의 수가 주차가용대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카쉐어링 차량을 주차를 하더라도 주차장 관리자에게 추가적인 주차요금을 부담하지 않지만, 만약 주차가용대수 이상의 카쉐어링 차량이 해당 주차장에 주차하게 되면 주차가용대수를 넘어서는 차량에 대해서는 일반 차량과 동일한 요금을 지급하거나 별도로 약정된 요금을 지급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카쉐어링 차량 사용자가 특정 주차장에 주차를 예약하고자 할 때 이미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이 몇 대인지에 따라 주차요금을 추가적으로 납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쉐어링 차량이 해당 주차장에 진입할 당시에 이미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가 잔여가용대수가 0인 경우에는 해당 차량의 사용자는 추가 주차 요금을 납부할 수 있지만, 이미 예약을 할 당시에는 잔여가용대수가 0보다 컸던 경우라면 추가 주차 요금을 납부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선예약된 다른 차량의 수 또는 잔여가용대수를 알려주는 것은 중요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에 의하여, 주차장 위치가 항상 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각 카쉐어링 차량별 약정 여부가 아닌, 각 주차장과 상황에 맞는 주차가용대수를 약정하고, 관리 서버는 잔여가용대수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반납할 후보 주차장을 제안한다. 각 카쉐어링 차량은 주차장이 지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 위치하는 주차장 정보를 관리 서버와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관리 서버는 적절한 배치를 지원한다. 주차장 서버는 차량별 약정에 따라 주차료 청구 여부를 결정함과 동시에, 주차가용한 모든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 및,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외의 주행 예약을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거나 청구할 수 있다. 이로써, 주차가용대수 범위 내에서는 주차장에서 과금하는 추가 주차료 없이 각 카쉐어링 차량은 주차 위치가 항상 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대여했던 출발지로 되돌아올 필요가 없어져, 종래 발생하던 편도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관리 서버 146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
112 관리 데이터베이스 148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
114 차량 정보 제공부 212 구역 분류부
116 잔여가용대수 분석부 214 적정차량대수 설정부
136 현재 대수 산출부 216 차량대수 비교부
138 예약 대수 산출부 218 재배치부
142 출차 대수 산출부 150 주차장 서버
144 잔여가용대수 산출부 152 차량 데이터베이스
118 주차가부 판단부 154 주차요금 산출부
122 주차장 제안부 156 주차요금 청구부
124 경로 설정부 158 식별정보 비교부
126 주차장 선택부 162 요금 청구 제1선택부
130 주행 예약부 164 요금 청구 제2선택부
132 차량 조건 비교부 166 요금 청구 제3선택부
134 차량 확정부 180 사용자 단말
128 재배치 정보 제공부 172 주차 예약부
120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 174 주차 확정부

Claims (44)

  1. 카쉐어링 차량을 편도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목적지 인근의 주차장의 정보를 제공하는 카쉐어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 모델명,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주차장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부;
    각 주차장마다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각 주차장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
    상기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별로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가부 판단부;
    상기 주차가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주차장 제안부;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출발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하여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주차장 선택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을 기초로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행 예약을 확정하는 주행 예약부;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상기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상기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차량 조건 비교부;
    상기 조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예약과 해당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하는 차량 확정부; 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조건 비교부는
    상기 출발지에 도착 예정인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과 상기 차량 조건을 비교하고,
    상기 차량 확정부는
    상기 주행 예약과 상기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가용대수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각 주차장에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현재 대수 산출부;
    각 주차장에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예약 대수 산출부;
    또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예약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부터 상기 주행 예약의 출발시간 사이에) 출차 예정인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출차 대수 산출부;
    상기 현재 대수, 상기 예약 대수 및 상기 출차 대수를 기초하여 계산하는 잔여가용대수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서버는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주차요금 산출부;
    상기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요금 청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요금 청구부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및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청구 제2선택부는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서버는
    상기 차량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식별정보 비교부; 및 상기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또는 상기 요금 청구 제2선택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3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주차장 제안부가 제안한 주차장의 선택을 거부하거나 상기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의 여유가 있는 주차장이 없는 경우, 상기 주차장 제안부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의 목록을 제공하고, 각 주차장에서 납부하게 될 주차요금 정보 및 해당 주차장으로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추가 주행요금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 차이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제안부는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 각각의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제안하고,
    상기 주차장 선택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안된 주차장 중 하나를 타겟 주차장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혜택을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설정부는 설정된 목적지를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갱신할 수 있고, 상기 주차장 제안부는 갱신된 목적지를 기초로 새로운 주차장 목록을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목적지가 설정된 후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상기 경로 설정부는 목적지의 갱신을 거부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제안부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기의 도로 혼잡도에 관한 통계 정보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행사 존부에 관한 정보에 더 기초하여 주차할 주차장을 제안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예약된 사용자의 예약 시간 및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재배치 수행시 혜택을 지급하는 취지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재배치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도달 예정 시간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결과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하는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 및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 및 다른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장의 특정 시각의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 예정 시간 설정부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을 갱신할 수 있고,
    상기 잔여가용대수정보 제공부는 상기 갱신된 도달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차장의 잔여가용대수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경로 설정부에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로 제공하는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에서 상기 대체 차량 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차량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로 설정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목적지 갱신을 허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목적지 변경을 거부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소정의 지역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지역 내의 모든 주차장을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할당하는 구역 분류부;
    상기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적정차량대수를 설정하는 적정차량대수 설정부;
    상기 각 구역에 속하는 모든 주차장의 현재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의 총합과 상기 적정차량대수를 비교하는 차량대수 비교부; 및
    상기 차량대수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각 주차장별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재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19. 카쉐어링 차량을 편도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목적지 인근의 주차장의 정보를 제공하는 카쉐어링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 모델명,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주차장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각 주차장마다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각 주차장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장별로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차가능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출발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를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하여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차량 조건을 기초로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행 예약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확정된 주행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상기 출발지에 위치한 카쉐어링 차량과 상기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조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예약과 해당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출발지에 도착 예정인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과 상기 차량 조건을 비교하고,
    상기 매칭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주행 예약과 상기 도착 예정 카쉐어링 차량을 매칭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각 주차장에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각 주차장에 예약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또 다른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예약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부터 상기 주행 예약의 출발시간 사이에) 출차 예정인 카쉐어링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대수, 상기 예약 대수 및 상기 출차 대수를 기초하여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서버는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A단계; 및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선택 B단계;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B단계에서는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주행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A단계 또는 상기 선택 B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선택하는 선택 C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관리 서버가 제안한 주차장의 선택을 거부하거나 상기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의 여유가 있는 주차장이 없는 경우, 상기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잔여가용대수가 0인 주차장의 목록을 제공하고, 각 주차장에서 납부하게 될 주차요금 정보 및 해당 주차장으로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추가 주행요금 정보를 제공하거나 그 차이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주차장 각각의 잔여가용대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제안하고,
    상기 타겟 주차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안된 주차장 중 하나를 타겟 주차장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혜택을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목적지를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에 의하여 갱신할 수 있고,
    상기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갱신된 목적지를 기초로 새로운 주차장 목록을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목적지가 설정된 후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단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목적지의 갱신을 거부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차장을 사용자 단말로 제안하는 단계에서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기의 도로 혼잡도에 관한 통계 정보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행사 존부에 관한 정보에 더 기초하여 주차할 주차장을 제안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예약된 사용자의 예약 시간 및 특정 카쉐어링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재배치 수행시 혜택을 지급하는 취지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도달 예정 시간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결과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도달 예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 및 다른 사용자의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 목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장의 특정 시각의 잔여가용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 예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 설정된 도달 예정 시간을 갱신할 수 있고,
    상기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도달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차장의 잔여가용대수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목적지를 갱신하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을 당시, 해당 카쉐어링 차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을 출발지로 하는 또 다른 사용자의 후순위 사용 예약이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를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로 제공하는 대체 차량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순위 사용 예약 단말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타겟 주차장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의 사용 가능한 카쉐어링 차량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목적지 갱신을 허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목적지 변경을 거부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소정의 지역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지역 내의 모든 주차장을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적정차량대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구역에 속하는 모든 주차장의 현재 주차된 카쉐어링 차량의 수의 총합과 상기 적정차량대수를 비교하는 차량대수 비교 단계; 및
    상기 차량대수 비교 단계를 거친 결과에 기초하여 재배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 이동할 카쉐어링 차량을 옮길 주차장의 정보 및 각 주차장별 잔여가용대수 정보를 재배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37. 카쉐어링 차량을 편도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목적지 인근의 주차장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서버는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잔여가용대수 분석부;
    상기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가부 판단부;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주차요금 산출부;
    상기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요금 청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요금 청구부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및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요금 청구 제2선택부;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청구 제2선택부는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카쉐어링 차량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식별정보 비교부; 및 상기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요금 청구 제1선택부 또는 상기 요금 청구 제2선택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요금 청구 제3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40. 제37항에 있어서,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차 예약을 확정하는 주차 예약부;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확정된 주차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확정되는 카쉐어링 차량을 상기 확정된 주차 예약과 매칭하는 주차 확정부; 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41. 카쉐어링 차량을 편도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목적지 인근의 주차장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서버는
    계약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주차가용대수, 카쉐어링 차량 실제 주차수에 기초하여 잔여가용대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잔여가용대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카쉐어링 차량의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주차요금의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청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지불된 정액료에 기초하여 주차 요금 청구의 생략, 또는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의 청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A단계; 및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 내에서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주차 요금 청구를 생략하는 선택 B단계;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B단계에서는
    상기 잔여가용대수 범위를 초과하여 예약을 하였던 카쉐어링 차량에 대해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한 주차 요금을 청구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서버는
    카쉐어링 차량 각각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출차 차량의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A단계 또는 상기 선택 B단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C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차량 미확정 상태에서 주차 예약을 확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확정된 주차 예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 확정되는 카쉐어링 차량을 상기 확정된 주차 예약과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방법.
KR1020200063106A 2020-05-26 2020-05-26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6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06A KR20210146076A (ko) 2020-05-26 2020-05-26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06A KR20210146076A (ko) 2020-05-26 2020-05-26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76A true KR20210146076A (ko) 2021-12-03

Family

ID=7886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106A KR20210146076A (ko) 2020-05-26 2020-05-26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0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7192A (zh) * 2023-08-08 2023-10-13 国能智慧科技发展(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共享载具的车载无线定位器管理系统、方法
CN117217336A (zh) * 2022-11-18 2023-12-12 北京宸言恒毅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管理系统及方法
CN117392874A (zh) * 2023-12-13 2024-01-12 湖北省长投智慧停车有限公司 多车场共享车位动态预约与分配方法及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7336A (zh) * 2022-11-18 2023-12-12 北京宸言恒毅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管理系统及方法
CN116887192A (zh) * 2023-08-08 2023-10-13 国能智慧科技发展(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共享载具的车载无线定位器管理系统、方法
CN116887192B (zh) * 2023-08-08 2024-02-13 国能智慧科技发展(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共享载具的车载无线定位器管理系统、方法
CN117392874A (zh) * 2023-12-13 2024-01-12 湖北省长投智慧停车有限公司 多车场共享车位动态预约与分配方法及系统
CN117392874B (zh) * 2023-12-13 2024-03-12 湖北省长投智慧停车有限公司 多车场共享车位动态预约与分配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2649B2 (ja) ライドシェアリング(相乗り)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CN109559553B (zh) 一种智慧停车系统及其停车管理方法
Repoux et al. Dynamic prediction-based relocation policies in one-way station-based carsharing systems with complete journey reservations
US10482766B2 (en) Automated parking lot space assignment
KR20210146076A (ko) 카쉐어링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816879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changeable parking spaces
Geng et al. New “smart parking” system based on resource allocation and reservations
CN110383007B (zh) 智能车辆停泊设备和相关方法
US6697730B2 (en) Communications and computing based urban transit system
US9213957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just-in-time loading zone parking
US20160371607A1 (en) Citywide parking system and method
JP5777373B2 (ja) カーステーション負荷分散システム
WO2013006549A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parking allocation in urban settings
KR101957641B1 (ko)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과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주차 예약 및 이동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N111967627A (zh) 一种共享停车位预定和分配系统及方法
US20230186275A1 (en) Method for managing curbside use by vehicles
EP2767963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utomatic scheduling
CN108960465A (zh) 一种考虑预期服务水平的停车场选择预约系统及方法
He et al. A real-time reservation service for smart parking system
WO2017033066A1 (en) A citywide parking system and method
KR102144669B1 (ko) 카쉐어링을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90117839A (ko) 사물인터넷 기반 주차공간 공유 시스템
JP2003036499A (ja) 駐車レーン予約サービスシステム
US20210082078A1 (en) Th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elf-steering electric taxi and smart underground parking lots
WO2021192827A1 (ja) 車両予約管理システム、車両予約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