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835A - 피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835A
KR20210144835A KR1020217034883A KR20217034883A KR20210144835A KR 20210144835 A KR20210144835 A KR 20210144835A KR 1020217034883 A KR1020217034883 A KR 1020217034883A KR 20217034883 A KR20217034883 A KR 20217034883A KR 20210144835 A KR20210144835 A KR 2021014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17a1
substance
cell
cell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미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1014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05Enzym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4, e.g. isoniazid, iproniaz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68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a nitrogen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e.g. clebopride, fentan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3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 A61K31/635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having a heterocyclic ring, e.g.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61K31/6615Compounds having two or more esterified phosphorus acid groups, e.g. inositol triphosphate, phy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0Nerves; Brain; Eyes; Corneal cells; Cerebrospinal fluid; Neuronal stem cells; Neuronal precursor cells; Glial cells; Oligodendrocytes; Schwann cells; Astroglia; Astrocytes; Choroid plexus; Spinal cor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6Skin; Hair; Nails; Sebaceous glands; Cerumen; Epidermis; Epithelial cells; Keratinocytes; Langerhans cells; Ectoder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4Apocynaceae (Dogbane family), e.g. plumeria or periwi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61K38/13Cyclospo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08Epidermal growth factor [EGF] urogast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or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 G01N33/502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on expression patter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8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from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궤양·욕창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방법, 또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또,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또한,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 및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항암제로부터의 보호, 피부 노화의 억제를 실시하고,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용 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하여 유익한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효과, 피부 노화의 억제 효과, 및/또는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의약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및 미용 서플리먼트의 영역에 관한 것이다.
동물의 기관/장기의 노화는, 그 구조적 및 기능적인 저하를 가져오는 다단계의 프로세스이다. 소모/스트레스를 받은 세포의 정확한 운명에 대해서는, 세포의 노화 및/또는 줄기 세포의 소모가 세포의 동태로서 관계되어 있지만, 상세하게는 판명되어 있지 않다. 대체로, 노화 중의 조직/기관을 구성하는 세포의 in vivo 동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포유류의 모낭 (피부의 미니 오르간) 에 관한 이전의 연구에 있어서, 모낭의 노화의 진행에 있어서의 줄기 세포 노화의 중심적인 역할과, 가령에 관련된 털의 박화 및 백모화로 이어지는 노화에 관련된 모포 (毛包) 의 미니어처화를 야기하는「줄기 세포 중심성의 기관 노화 프로그램」의 존재가 실증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이것은, 피부 등의 큰 고형 장기 (기관) 에, 장기 노화의 세포 동태를 지배하는 독특한 노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라는, 새로운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였다.
세포 경합 현상은, 배아의 발생이나 암의 발생 등의 때에, 상피 조직에 있어서 생성되는 부적당한 변이 세포를 배제하고 있는 것이 주로 초파리에게서 보고되어 있다. 줄기 세포는, 몇 개의 상피 조직에 있어서, 확률론적인 줄기 세포의 상실과 치환을 특징으로 하는「중립적 줄기 세포 경합」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완전히 랜덤하게 일어나는 세포 운명의 선택인지, 혹은 그것이 세포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야기되는 세포 경합이 랜덤하게 일어난 것인지, 지금까지 그 실체는 분명하지는 않았다. 또, 표피에 있어서는 표피 줄기 세포 (케라티노사이트 (각화 세포) 의 줄기 세포, 표피 기저 세포) 의 대칭 세포 분열 (SCD) 과 비대칭 세포 분열 (ACD) 이 밸런스를 취하면서 표피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포유 동물의 기관의 생리적인 항상성 유지나 노화, 및 중층 상피의 세포 동태에 있어서, 세포 경합의 특이적인 관여나 역할은, 지금까지 불분명하였다.
인간의 피부는, 연령과 함께, 피부 위축 (비박화), 취약화, 건조, 색소 침착 이상 및 피부 창상 치유의 지연, 이 (易) 자극성을 나타낸다. 그 과정에서, 피부는 그 표피 및 진피의 두께, 표피 돌기, 표피 케라티노사이트, 및 기능적인 피부 선유아 세포의 비축물을 잃는다. 인간의 노화된 피부의 취약화는 부분적으로, 진피-표피 접합부, 특히 헤미데스모솜 (HD) 성분 (상피 세포를 기저막의 세포 외 매트릭스에 연결하는 구조) 의 리모델링으로 귀착된다. 실제, 인간의 노화된 피부에 있어서의 XVII 형 콜라겐 (COL17A1/BP180/BPAG2/17 형 콜라겐) 등의 HD 성분의 불안정화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COL17A1 유전자의 결손은, 비교적 경도의 피부의 취약화, 위축, 피부 색소 침착 이상 (다형 피부 위축증) 및 탈모증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부 표피 수포증 (JEB) 의 드문 형태인, 양성 범발성 위축형 표피 수포증 (GABEB) 을 야기한다. 그 표현형과 일치하여, 이전의 연구는, 마우스에 있어서의 Col17a1 유전자 결손이, 모포 세포의 소실을 수반하는 모포 노화를 야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그러나, 피부의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량과 일반적인 정상인 피부에 보이는 노화 형질의 발현 (피부 위축, 취약성, 배리어 기능 저하, 색소 이상, 탈모 등) 의 관련은 불분명하고, 표피 줄기 세포 내의 COL17A1 발현에 의한 피부의 젊음의 유지나 노화, 재생 (창상 치유) 에 대한 관여나 그 역할, COL17A1 발현량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의 상관, 또한 COL17A1 에 의한 줄기 세포 경합이 줄기 세포의 품질 (젊음) 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밝혀져 있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1509호 국제공개 팸플릿 WO2017122668
Matsumura, H. et al. Hair follicle aging is driven by transepidermal elimination of stem cells via COL17A1 proteolysis. Science 351, aad4395 (2016). Tanimura et al., Cell Stem Cell Vol.8, February 2011, pp.177-187
본 발명은, 피부 궤양의 예방·개선, 요컨대 피부 창상 치유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그리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암 치료에 수반되는 피부 장해를 경감 또는 예방하는 방법 그리고 조성물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피부의 부속기인 모포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 표피 줄기 세포 (모포 줄기 세포도 포함할 수 있다) 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조성물, 및 줄기 세포 경합을 제어하기 위한 조성물 그리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암 치료에 수반되는 피부 장해의 경감 또는 예방,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피부 노화의 억제, 세포 경합의 제어, 및/또는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의 개선에 유효한 물질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유전적 및 환경적 배경이 동일한 마우스를 사용하여 포유류의 기관의 노화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노화된 인간의 피부에 보이는, 가령에 수반되는 피부의 위축, 취약화, 색소 침착 이상, 및 장해된 창상 치유를 나타내는 C57BL6 근교계 마우스의 꼬리부 피부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자는, COL17A1 매개성의 표피 줄기 세포의 증식과 링크된 표피 세포 경합 동태에 의해 피부의 호메오스타시스가 유지되고, 그것에 의해 피부 기관의 노화가 제어되는 것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자는, 노화 중의 마우스의 표피 줄기 세포의 in vivo 세포 운명 추적 분석을 실시하여, 표피 중의 COL17A1high 및 COL17A1low 클론의 불균일한 출현이, COL17A1 매개성의 SCD 를 통하여, 그것들의 상호의 세포 경합을 촉진시키고, COL17A1low 클론의 배제와 결부된 COL17A1high 표피 줄기 세포 클론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자는, 표피 줄기 세포 경합 다이내믹스가, 피부 재생 능력의 저하 및 표피 멜라노사이트 그리고 진피 간엽 세포의 감소를 수반하는 표피 노화 프로세스를 매개하고, 그것에 의해 피부 기관 자체의 노화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냈다. 또,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강제적으로 유지하고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유지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예방과 창상 치유의 개선에 성공하고, COL17A1 이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 및 이종 세포의 유지를 통하여 피부 기관의 노화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냈다.
세포 경합은, 부적절한 세포의 배제에 관계되어 있는데, 포유류의 기관의 노화에 있어서의 그 역할은, 지금까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피부의 호메오스타시스와 노화를 위한 세포 경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표피의 줄기 세포가, HD 성분인 XVII 형 콜라겐 (COL17A1) 의 안정성을 통하여, 그것들의 세포 적합성/스트레스를 감지하는 것을 밝혔다. in vivo 세포 운명 추적, 클론 분석, 및 in vitro 삼차원 모델링에 의해, COL17A1high 표피 줄기 세포가, COL17A1 의존성의 대칭 세포 분열을 통하여 클론성으로 증식되고, 그것에 의해, 호메오스타시스를 유지하기 위해 피부로부터 COL17A1low/- 의 소모된 세포를 배제하는 것이 밝혀졌다. 경합에 의한 그것들의 우성의 확대는, 그것들 자체의 COL17A1 레벨을 최종적으로는 최소화하여, 자기 재생 능력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표피 멜라노사이트 및 진피 선유아 세포의 재생 능력도 저하시켜, 피부의 위축, 색소 침착 이상 및 창상 치유 불량을 야기한다. 또한, 표피에 있어서의 COL17A1 발현의 강제적인 유지는, 피부 노화의 표현형을 레스큐한다. 이들 지견은, 치료 개입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여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을 기초로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사항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2]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3]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4]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5]
주름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6]
주름 방지가, 피부 탄력성의 개선, 각층 (角層) 기능의 개선, 피부 보습능의 개선, 및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의한 것인 양태 5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7]
기미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8]
피부 거?s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9]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추가로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것인, 양태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0]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COX 저해제, iNOS 저해제, ROCK 저해제 및 에스트로겐형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1]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가, 아포시닌, 엡셀렌, 디페닐렌아이오도늄 (Diphenyleneiodonium, DPI), GKT137831, AEBSF, GK-136901, ML171, Coenzyme Q10 (CoQ10), VAS2870 및 VAS3947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0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2]
COX 저해제가, 셀레콕시브, 데라콕시브, 톨페나믹산, 니플룸산, FR122047, LM-1685, SC-791, BTB02472, 니메술리드, SPB04674, 커큐민, 디클로페낙, 4'-하이드록시디클로페낙, DuP-697, 엡셀렌, ETYA,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멜록시캄, NPPB, NS-398, 프테로스틸벤, 레스베라트롤, SC-560, SKF-86002, TXA (트라넥삼산), TXC (트라넥삼산세틸염산염), 인삼 엑기스, 및 황화술린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0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3]
iNOS 저해제가, 1400W, L-NIL, 아미노구아니딘, BYK190123, S-에틸이소티오우레아, S-메틸이소티오우레아, S-아미노에틸이소티오우레아, 2-이미노피페리딘, 부틸아민, ONO-1714 ((1S,5S,6R,7R)-7-클로로-3-이미노-5-메틸-2-아자비시클로[4.1.0]헵탄하이드로클로라이드), AMT 염산염 (2-아미노-5,6-디하이드로-6-메틸-4H-1,3-티아진염산), AR-C102222, L-NG-니트로아르기닌, L-NG-모노메틸아르기닌, L-니트로아르기닌메틸에스테르, L-NIO, 덱사메타손, 에스트로겐, 아스타잔틴, 및 아피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0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4]
ROCK 저해제가, Y-27632, 리파수딜 (K-115), 티아조비빈 (Thiazovivin), 파수딜 (HA-1077), GSK429286A, RKI-1447, GSK269962, 네타르수딜 (AR-13324), Y-39983, ZINC00881524, KD025, 하이드록시파수딜 (HA-1100), GSK180736A 및 AT13148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0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5]
에스트로겐형 물질이, 에스트로겐,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대두 엑기스, 이소플라본, 범부채 엑기스, 푸에라리아 미리피카 뿌리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0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6]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7]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이, 호중구 엘라스타아제 (ELANE) 저해제 및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MMP) 저해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8]
ELANE 저해제가, 시벨레스타트 나트륨 수화물 (모노소듐 N-{2-[4-(2,2-디메틸프로파노일옥시)-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Monosodium N-{2-[4-(2,2-dimethylpropanoyloxy)-phenylsulfonylamino]benzoyl}aminoacetate tetrahydrate)), ONO-6818 (2-(5-아미노-6-옥소-2-페닐하이드로피리미디닐)-N-[2-(5-tert-부틸-1,3,4-옥사디아졸-2-일)-1-(메틸에틸)-2-옥소에틸]아세트아미드) ((2-(5-Amino-6-oxo-2-phenylhydropyrimidinyl)-N-[2-(5-tert-butyl-1,3,4-oxadiazol-2-yl)-1-(methylethyl)-2-oxoethyl]acetamide)), α1 안티트립신 (α1-AT), 데펠레스타트 (Depelestat), 닐원 (삼불화이소프로필옥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피롤리딘카르보닐메틸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벤조일아미노아세트산 Na), 차조기 잎 발효물, 파슬리 발효물, 피망 발효물, ELANE 에 대한 항체, ELANE 를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siRNA, 및 ELANE 를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7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19]
MMP 저해제가, 마리마스타트 (Marimastat), 바티마스타트 (Batimastat), PD166793, Ro32-3555, WAY170523, UK370106, TIMP1, TIMP2, TIMP3, 및 TIMP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17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20]
게놈 스트레스가, 자외선, 방사선 혹은 항암제에 의한 DNA 손상 스트레스, 또는 세포 분열에 수반되는 복제 스트레스 중 어느 것인, 양태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21]
피부 노화가, 이하의 (a) ∼ (f)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태 2 에 기재된 조성물.
(a) 표피, 진피 및/또는 지방직의 비박화, 취약화, 위축 또는 탄력의 저하
(b) 표피 배리어 기능 저하 또는 피부의 건조
(c) 기저막부의 헤미데스모솜의 감소 또는 미숙화
(d) 진피 상층의 섬유아 세포의 소실, 또는 피부의 건조에 의한 잔주름 혹은 소 (小) 주름
(e) 진피의 콜라겐 감소에 의한 주름의 생성
(f) 기미, 노인성 색소반, 또는 탈색소반
[양태 22]
주름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양태 2 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23]
의약 조성물인, 양태 1 ∼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24]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양태 1 ∼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25]
도포제인, 양태 1 ∼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26]
화장품 조성물인, 양태 1 ∼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양태 27]
유효 성분을 0.01 ∼ 15 중량% 로 함유하는, 양태 26 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
[양태 28]
스킨 케어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인, 양태 26 또는 27 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
[양태 29]
피부 항노화제, 피부 색조제, 항염증제 및 자외선 차단제 중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태 26 ∼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
[양태 30]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혹은 피부 궤양의 예방 혹은 개선, 피부 노화의 억제, 세포 경합의 제어,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의 개선,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혹은 개선, 주름 방지, 및/또는 피부 거?s의 개선에 유효한 물질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ⅰ) in vitro 에서 세포와 시험 물질을 접촉시키는 공정,
ⅱ)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측정하는 공정, 및
ⅲ) 그 시험 물질이 COL17A1 의 발현을 상승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양태 31]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
[양태 32]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양태 33]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
[양태 34]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양태 35]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
[양태 36]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양태 37]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COL17A1 의 발현량을 측정하고,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를 선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
[양태 38]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양태 39]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양태 40]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COX 저해제, iNOS 저해제, ROCK 저해제 및 에스트로겐형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39 에 기재된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양태 41]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39 또는 40 에 기재된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양태 42]
경구 섭취하기 위한 것인, 양태 39 ∼ 4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양태 43]
정제, 분말, 반고체, 젤리 또는 액체의 형태인, 양태 39 ∼ 4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양태 44]
피부 항노화제, 비타민제, 콜라겐 및 미네랄 중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태 39 ∼ 4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양태 45]
COL17A1 을 발현하는 단리된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조성물.
[양태 46]
세포가 표피 각화 세포 또는 점막 상피 각화 세포인, 양태 45 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47]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양태 45 또는 46 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48]
피부의 질환 또는 상해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양태 45 ∼ 4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49]
적어도 1 × 103 개의 세포를 포함하는, 양태 45 ∼ 4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0]
적어도 50 % 의 세포가 COL17A1 을 발현하는, 양태 45 ∼ 4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1]
세포가 줄기 세포 유래의 세포인, 양태 45 ∼ 5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2]
세포가 동결되어 있는, 양태 45 ∼ 5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3]
세포가 1 개의 용기에 담겨져 있는, 양태 45 ∼ 5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4]
세포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처리된 세포인, 양태 45 ∼ 5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5]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COX 저해제, iNOS 저해제, ROCK 저해제 및 에스트로겐형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53 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6]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양태 54 또는 55 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
[양태 57]
양태 45 ∼ 5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시트.
[양태 58]
세포 경합의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양태 59]
케라티노사이트를 3 차원 배양함으로써,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을 평가하는 방법.
[양태 60]
케라티노사이트 및 3 차원 배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도 1 은, 약령 (若齡) (7 ∼ 8 주령, n = 50) 및 노령 (22 ∼ 25 개월령, n = 50) 의 마우스의 꼬리부에 있어서의 HD 및 기저막 성분, COL17A1, ITGA6, PLECTIN, ITGB4, COL7A1 및 ITGB1 의 형광 강도를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COL17A1 과 PLECTIN 의 발현은, 노화된 피부에 있어서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다.
도 2 는, 약령 (8 주령, n = 3) 및 노령 (22 개월령, n = 3) 의 마우스로부터의 꼬리부 기저 세포에 있어서의 기저막의 HD 수를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생리적인 가령에 의해, 꼬리부 기저 세포에 있어서의 HD 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다.
도 3 은, 노화 중의 꼬리부 표피의 홀 마운트 화상에 있어서의 단색 클론의 면적 (㎛2) (좌측) 및 수 (우측) 를 정량화한 그래프 (4.5 개월령, n = 5 화상 ; 15 개월령, n = 4 화상 ; 24 개월령, n = 7 화상) 이다.
도 4 는, 약령 (11 주령) 및 노령 (28 개월령) 의 타목시펜 (TAM) 처리 Epi-Confetti 마우스 유래의 다색 표지 꼬리부 기저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면역 염색 이미지이다.
도 5 는, 도 4 의 복수의 영역 (11 주령, n = 13 클론 ; 28 개월령, n = 12 클론) 에 있어서의 COL17A1 의 강도와 각화 세포의 클론 사이즈 사이의 분포를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6 은, TAM 투여 후 2 일째 (D2) 및 28 일째 (D28) 에 있어서의 대조 (Cont) 마우스 (D2, n = 4 ; D28, n = 5) 및 Col17a1 cKO 마우스 (D2, n = 3 ; D28, n = 5) 에 있어서의 부유 클론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7 은, 약령 마우스 (7 주령, n = 3) 및 노령 (25 개월령, n = 3) 마우스의 꼬리부 표피 각화 세포의 콜로니 형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가령에 수반하여, 콜로니의 수 및 사이즈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다.
도 8 은, 야생형 (8 주령, n = 3) 및 hCOL17A1 tg (8 주령, n = 3) 마우스의 꼬리부 표피 각화 세포의 콜로니 형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hCOL17A1 tg 의 발현은, 초대 꼬리부 표피 각화 세포에 있어서의 콜로니의 수 및 사이즈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도 9 는, 가령에 수반되는 색소 세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령에 따른 표피 내의 색소 세포의 소실에 의해 피부의 색소 이상 (침착과 탈실이 혼재) 이 발생하지만 (좌측, 중앙), COL17A1 의 강제적 유지에 의해 색소 세포가 유지되기 때문에 색소 이상도 억제된다 (우측).
도 10 은, 야생형 및 hCOL17A1tg 에 있어서의 PDGFRa+ 세포의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령에 따른 기저막 (BM) 바로 아래의 PDGFRa+ 세포의 감소 (좌측) 와 COL17A1 의 강제적 유지에 의한 그 억제 (우측) 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은, 0 일째 (D0), 14 일째 (D14) 및 21 일째 (D21) 에 있어서의 수복되어 있지 않은 창상 영역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생리적 가령 (좌측) 또는 Col17a1 혹은 Itga6 의 결핍 (우측) 은 창상 수복을 유의하게 지연시킨다.
도 12 는, 0 일 (D0), 14 일째 (D14) 및 21 일째 (D21) 에 있어서의 수복되어 있지 않은 창상 영역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hCOL17A1 의 발현 (좌측), 아포시닌 혹은 Y-27632 의 투여 (우측) 는 창상 수복을 유의하게 촉진시켰다.
도 13 은, 콜로니 형성 어세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콜로니의 수 (n = 3 웰) 는 Y-27632 처리에 의해, 대조 (Cont) 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좌측). 또, 직경 2 ㎜ 초과의 콜로니의 수 (n = 3 웰) 는, Y-27632 또는 아포시닌의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우측).
도 14 는, 콜로니 형성 어세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위 5 콜로니의 평균 사이즈 (n = 3 웰) 는, Y-27632 또는 아포시닌의 처리에 의해, 대조 (Cont) 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도 15 는, COL17A1 발현의 HCS 해석 (COL17A1 이 개재하는 경합적 자기 복제 촉진제의 스크리닝의 Step1 에 상당) 의 그래프이다. HCS 에 있어서 아포시닌 또는 엡셀렌의 처리에 의해, 컨트롤에 비해 COL17A1 량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도 16 은, 콜로니 형성 어세이 (COL17A1 발현이 개재하는 경합적 자기 복제 촉진제의 스크리닝의 Step2 에 상당) 의 사진과 결과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아포시닌 또는 엡셀렌의 처리에 의해, 1 웰당의 콜로니의 수 및 면적이 컨트롤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도 17 은, 항암제 및 각종 스트레스에 의한 COL17A1 발현의 저하이다. 상측도 : C57BL/6 마우스에 하이드록시우레아 (HU) 를 연속 투여하여 3 개월 후의 피부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조사한 면역 염색 이미지이다. 중앙 좌측도 : HaCaT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24 시간 후의 COL17A1 량을 조사한 웨스턴 블로팅 이미지이다. 중앙도 : HaCaT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72 시간 후의 COL17A1 량을 조사한 웨스턴 블로팅 이미지이다. 중앙 우측도 : HaCaT 세포를 과산화수소 처리하여 24 시간 후의 COL17A1 량을 조사한 웨스턴 블로팅 이미지이다. 하측도 : HaCaT 세포를 EGF 수용체 저해약 (PD168393) 으로 처리하였을 때의 COL17A1 량을 조사한 웨스턴 블로팅 이미지이다.
도 18 은, 항암제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장해의 COL17A1 과잉 발현에 의한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 는,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에 의한, 항암제 투여에 의해 발생한 피부 장해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좌측도 : 7 주령의 C57BL/6 마우스에 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을 연속 투여하여 12 일째의 TEWL 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우측도 : 6 개월령의 C57BL6 마우스에 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을 연속 투여하여 7 일째의 TEWL 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 은, 고령 마우스의 경부-등측 상부 피부에 있어서 유발되는 피부 장해 (건조성 습진·탈모) 모델에 있어서의 아포시닌의 예방 그리고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한 자외선 조사에 대한 각층 수분량 유지 작용 (상측) 과 TEWL 증가의 억제 작용 (하측) 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2 는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에 의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TEWL 증가의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상측) 와 피부의 탄력 저하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하측) 이다.
도 23 은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와 비교제의 장기 계속 도포에 의한 피부 탄력의 향상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 (상측) 이다.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와 비교제의 장기 계속 도포하였을 때의 TEWL 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하측) 이다. 주름의 개선제로서 알려진 레티놀은 장기 도포에 의해 TEWL 이 현저하게 상승한다. 한편,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의 TEWL 값은 컨트롤과 큰 차이 없이,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24 는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와 비교제에 의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주름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고해상도 촬영 사진과 주름을 착색시킨 이미지 (상측) 또, 주름 총 체적 (㎣) 과 총 주름 평균 깊이 (㎛) 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5 는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를 장기 도포하였을 때의 TEWL 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주름의 개선제로서 알려진 레티놀은 장기 도포에 의해 TEWL 이 현저하게 상승한다. 한편,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의 TEWL 값은 컨트롤과 큰 차이 없이,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주름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26 은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과 비교제에 의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피부의 유연성 저하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7 은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 (아포시닌) 에 의한, SDS 에 의해 유발된 피부 거?s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고해상도 촬영 사진과 살결을 착색시킨 이미지이다. 그래프는 피부 표면의 조도의 지표인「Ra (산술 평균 조도)」와「Rz (10 점 평균 조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8 은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아포시닌) 에 의한, SDS 에 의해 유발된 TEWL 의 항진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9 는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 (엡셀렌) 에 의한, SDS 에 의해 유발된 피부 거?s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고해상도 촬영 사진과 살결을 착색시킨 이미지이다. 그래프는 피부 표면의 조도의 지표인「Ra (산술 평균 조도)」와「Rz (10 점 평균 조도)」를 나타낸다.
도 30 은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엡셀렌) 에 의한, SDS 에 의해 유발된 TEWL 의 항진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31 은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에 의한 SDS 에 의해 유발된 일차 자극성의 피부 장해 (피부 거?s) 와 색소 침착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SDS 처리에 의해 강도의 발적이나 건조를 발생시키지만,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의 도포에 의해 현저하게 경감되었다. SDS 처리 개시 후 16 일째에 있어서, 아포시닌 도포부는 치유된 것을 알 수 있지만, 컨트롤에서는 색소 침착이 발생하고 있다.
도 32 는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에 의한, SDS 에 의해 야기된 인간 피부 거?s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고해상도 촬영 사진과 살결을 착색시킨 이미지이다. 그래프는 피부 표면의 조도의 지표인「Ry (최대 높이)」와「Rz (10 점 평균 조도)」에 대해 측정일 컨트롤로부터 공제한 값을「ΔRz」「ΔRy」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33 은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에 의한, SDS 에 의해 야기된 인간 피부 거?s에 수반되는 TEWL 의 항진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에러 바는 S. D. (standard deviation) 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자는, 피부의 노화와 재생에 COL17A1 (XVII 형 콜라겐) 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알아내어,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피부 노화의 억제, 세포 경합의 제어, 및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의 향상을 위해 유용한 조성물을 동정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부 창상 치유
피부의 창상은, 외상, 베인 상처, 화상, 혈액 순환 불량, 욕창에 의한 궤양, 당뇨병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며, 정상적인 기능이나 피부의 구조가 일시적으로 손상된다. 신체가 이들 창상을 치유시킬 수 없으면 만성화되어, 결국은 화농되게 된다. 피부 창상은, 급성 피부 창상과 만성 피부 창상으로 분류된다. 급성 피부 창상은, 신선 외상이나 수술창 등, 창상 치유 기전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 상처를 말하며, 만성 피부 창상은, 정상적인 창상 치유 기전이 작용하지 않는 어떠한 원인을 갖는 상처를 말한다. 만성 피부 창상의 치유를 천연 (遷延) 시키는 원인으로는, 기초 질환 등 전신적인 요인과 국소적인 요인의 크게 2 개로 나뉘어진다. 환자의 1 % 가 만성 피부 창상을 발생시키는데, 이들 창상 중 절반수는 완치되지 않는다.
피부는 인체의 최대의 면적을 차지하는 기관이며, 외계에 대한 천연의 배리어가 되어, 내부에 있는 조직을 마모나 감염증으로부터 방어하고 있다. 피부는 일반적으로,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 층으로 분류된다. 표피가 가장 외측의 층이며, 케라티노사이트 (각화 세포) 외에, 멜라노사이트 (색소 세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케라티노사이트는 표피를 형성하고, 다층으로 나열되어, 신체의 외표면을 덮고 있다. 멜라노사이트는 표피 기저층에 분포하고, 주위의 각화 세포에 멜라닌 색소를 부여하여, 색소 세포의 분포 그리고 멜라닌 색소의 양이나 멜라닌의 타입에 의해 피부의 색조를 결정하고 있다.
표피는 또한, 심부에서부터, 기저층 (기저 세포층), 유극층 (유극 세포층), 과립층 (과립 세포층), 각층 (각질 세포층) 의 4 층으로 분류된다. 기저층은, 각화 세포의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1 층의 기저 세포로 이루어진다. 기저층은, 인접하는 세포나 기저 세포 아래에 있는 기저막과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데스모솜, 갭 정션 (열극 (裂隙) 접합), 헤미데스모솜을 갖고 있다. 유극층은, 5 ∼ 10 층으로 이루어진다. 이 층에서는, 세포가 서로 가시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유극 세포라고 불린다. 과립층은, 2 ∼ 3 층으로 이루어진다. 호염기성이고 프로필라그린이 풍부한 케라토히알린 과립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명칭으로 불린다. 각층은 각질층이라고도 불리며, 약 10 층으로 이루어진다. 탈핵되어, 죽은 각화 세포는 막상이 되고, 낙엽을 전면에 깔은 것처럼 중층화된다. 수장족저에서는 각층이 매우 두껍고, 그 바로 아래에 투명층 (stratum lucidum) 을 갖는다. 각질 세포의 세포질 내는, 응집된 케라틴 섬유로 채워져 있다. 또한 표피에 연속하여 모포나 땀샘이 존재하고, 피부의 부속기로서 털을 자라게 하거나 땀의 배출을 실시하고 있다.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표피 줄기 세포는 표피 재생의 원동력이 되어, 기저막에 대하여 수평하게 분열되는 균등 분열, 또는 세로의 분열에 의한 불균등 분열을 양호한 밸런스로 실시한다. 그리고, 자기 복제를 실시하면서 분화된 표피 케라티노사이트를 피부 표면을 향하여 공급함으로써, 표피의 구축을 유지하고 있다. 케라티노사이트는, 표피의 대부분의 세포를 구성하고 있다. 피부 표면의 각층에 보이는 세포는, 거의 전부가 죽은 세포이며, 이들 죽은 세포가 벗겨져 떨어지면, 하층으로부터 새로운 케라티노사이트가 올라와 치환된다. 이 아래로부터 솟아올라 오는 프로세스는 항상 반복되고 있으며, 피부 표면 전체가 15 ∼ 30 일에 새로운 것으로 갱신된다.
표피층의 아래에는 기저막이 있어, 그 아래의 진피층과 이격되어 있다. 진피층은, 선유아 세포나 혈관, 면역 세포, 피부 부속기 (모포, 땀샘) 와, 이들 세포를 지지하는 세포 외 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있다. 혈관은 피부에 영양을 부여하고, 면역 세포는 피부를 보호하고, 선유아 세포는 콜라겐 단백질을 산생하여 강도를 부여하고, 또 엘라스틴 단백질도 산생하여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다.
피부의 최심부에는 피하 조직이 있다. 피하 조직은 진피층의 아래의 지방의 층이며, 그 아래에 있는 근육이나 뼈에 대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감염으로부터 방어하는 또 하나의 배리어로서 기능하고 있다.
외상, 감염증, 항암제, 가령에 따른 피부 위축, 배리어 기능의 파탄, 그 밖의 피부 질환에 의해, 피부의 표피층이 파괴되면 창상이 형성되고, 피부의 하층에 장해가 발생하게 되면 창상의 중독도 (重篤度) 가 높아진다. 창상이 정상적으로 치유되려면, 염증, 증식, 리모델링의 3 개의 스텝이 필요하다. 염증은 대략 4 일간 지속된다. 이 기간에 일어나는 주된 것은, 피브린 매트릭스가 만들어지고, 혈병이 형성되어 상처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것이다. 증식기에는, 염증 시그널이, 많은 타입의 세포를 창상부로 불러들인다. 불러들여지는 세포로는, 선유아 세포나 혈관 내피 세포가 있다. 선유아 세포는 콜라겐을 산생하고, 또 근선유아 세포로 변신하여, 창상을 폐쇄할 수 있다. 혈관 내피 세포는 창상의 주위에 새로운 혈관을 만든다. 이들 세포 활동에 의해, 혈병의 바로 아래에「육아 조직」이라고 불리는 조직이 만들어진다. 육아 조직은, 조직 장해에 대한 수복·염증 반응으로서 만들어지는 신생 조직을 말하며, 신생 혈관, 결합 조직, 선유아 세포, 염증성 세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결손부 주위 표피나 피부 부속기로부터 표피의 재생이 일어나, 케라티노사이트가 창상 가장자리부로부터 창상부로 이동하고, 또 모포 기부로부터도 이동한다. 부속기가 잔존하지 않는 깊은 피부 결손에서는, 상처 표면이 육아 조직으로 치환된 후에 주위로부터 표피가 신장되어 온다. 육아 조직 상에서 케라티노사이트가 세포 분열하여, 표피를 1 개로 합친다. 리모델링 단계에서는 이 프로세스가 연속하여 일어나, 상처부의 주변 또는 잔존하는 부속기로부터 표피 각화 세포가 유주 (遊走) 해 오면 표피가 회복되고, 케라티노사이트와 선유아 세포가 새로 생긴 기저막의 매트릭스 단백질을 산생하여, 표피와 진피 사이의 경계면이 재생된다.
중증의 심부 열상이나 베인 상처의 경우 등, 진피의 심부에서 지방 조직에 이르기까지 손상을 받은 경우에는 모포와 땀샘도 파괴되는 경우가 있어, 표피의 수복에 사용할 수 있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가 적어진다. 그 결과, 전층 창상은 치유하는 데에 시간이 걸려, 피부 이식 (식피술), 표피 시트 등의 배양 피부를 사용한 치료나 표피 케라티노사이트의 스프레이에 의한 이식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 (표피 줄기 세포) 에 있어서의 DNA 손상 (DNA 손상 응답 또는 DNA 손상 그 자체) 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강제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예방과 창상 치유의 개선 혹은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성공하고, COL17A1 이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 및 이종 세포의 유지를 통하여 피부 기관의 노화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냈다. 본 발명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MMP) 저해제의 마리마스타트가, COL17A1 을 안정화시키고, 자외선이 유도하는 COL17A1 의 하방 억제를 블록하는 것도 밝히고 있다. 또, 본 발명자는, in vitro 에서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COL17A1 발현을 유지 또는 유도하고, 또한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자기 복제능을 유지 촉진시키는 화학 물질로서, ROCK 저해제 (Y27632) 와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아포시닌) 를 동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Y27632 (ROCK 저해제) 및 아포시닌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의 양 약제가, 인간 COL17A1 을 과잉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마우스와 동일하게, 창상 수복 프로세스를 유의하게 촉진시키는 것을 in vitro 와 in vivo 의 양방에서 나타냈다. 따라서, 당업자에게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 개선,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을 예방 혹은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 개선,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을 예방 혹은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COL17A1 (XVII 형 콜라겐/BP180/BPAG2) 은, 막 관통 단백질형의 세포 접착 분자이며, 상피 조직의 세포 결합 중 하나인 헤미데스모솜 (반접착반) 의 단백질이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및 COX 저해제를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DNA 또는 RNA 도 포함된다. COL17A1 을 코드하는 DNA 또는 RNA 는 적당한 벡터를 사용하여 세포 내에 도입되어도 된다.
ROCK 저해제로는, 예를 들어, Y27632, 티아조비빈 (Thiazovivin), 파수딜 (HA-1077), GSK429286A, RKI-1447, GSK269962, 네타르수딜 (AR-13324), Y-39983, ZINC00881524, KD025, 리파수딜 (K-115), 하이드록시파수딜 (HA-1100), GSK180736A, AT13148 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로는, 예를 들어, 아포시닌, 엡셀렌, Diphenyleneiodonium (DPI), GKT137831, AEBSF, GK-136901, ML171, Coenzyme Q10 (CoQ10), VAS2870, VAS3947 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아포시닌류를 포함하는 나포마 엑기스 등의 식물 엑기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엑기스 중, 나포마 추출물 (상품명 : 베네트론), 뽕나무 추출물 (상품명 : 뽕나무 잎 엑기스 분말), 김네마 추출물 (상품명 : 김네마 엑기스 분말), 차 추출물 (상품명 : 티아칼론 90), 비파나무 잎 추출물 (상품명 : 비파나무 잎 엑기스 분말), 밀크시슬 추출물 (상품명 : 밀크시슬 엑기스 분말), 흑울금 추출물 (상품명 : 서트맥스) 은, 주식회사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로서, 입수 가능하다.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상품명 : 앱소레이지), 커피 종자 엑기스 (상품명 : 카페노아쥬), 왕벚나무 잎 엑기스 (상품명 : 벚나무 엑기스 B),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상품명 : 님 리프 리퀴드 B),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상품명 : 만다린 클리어), 라벤더 꽃 엑기스 (상품명 : 에코팜 라벤더 B), 고삼 뿌리 엑기스 (상품명 : 파르콜렉스 고삼 B), 쌀겨 엑기스 (상품명 : 파르콜렉스 쌀겨 BK), 개장미 엑기스 (상품명 : 파르콜렉스 들장미 B),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상품명 : 파르콜렉스 하마멜리스 B), 유칼리 잎 엑기스 (상품명 : 파르콜렉스 유칼리 B), 산사나무 엑기스 (상품명 : 파르콜렉스 산사나무 B) 는, 이치마루 파르코스 주식회사 프로덕트 가이드에 수재되어 있고,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iNOS 저해제는, 선택적 iNOS 저해제, 비선택적 iNOS 저해제 중 어느 쪽도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부작용의 관점에서는 선택적 iNOS 저해제가 바람직하다.
iNOS 저해제로는, 예를 들어, 1400W, L-NIL, 아미노구아니딘, BYK190123, S-에틸이소티오우레아, S-메틸이소티오우레아, S-아미노에틸이소티오우레아, 2-이미노피페리딘, 부틸아민, ONO-1714 (융합 피페리딘 유도체 ; (1S,5S,6R,7R)-7-클로로-3-이미노-5-메틸-2-아자비시클로[4.1.0]헵탄하이드로클로라이드), AMT 염산염 (2-아미노-5,6-디하이드로-6-메틸-4H-1,3-티아진염산), AR-C102222, L-NG-니트로아르기닌, L-NG-모노메틸아르기닌, L-니트로아르기닌메틸에스테르, L-NIO, 덱사메타손, 에스트로겐, 아스타잔틴, 그리고 iNOS 발현 억제제의 아피게닌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COX 저해제로는, 예를 들어, 셀레콕시브, 데라콕시브, 톨페나믹산, FR122047, LM-1685, SC-791, BTB02472, 니메술리드, SPB04674, 커큐민, 디클로페낙, 4'-하이드록시디클로페낙, DuP-697, 엡셀렌, ETYA,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멜록시캄, 니플룸산, NPPB, NS-398, 프테로스틸벤, 레스베라트롤, SC-560, SKF-86002, TXA (트라넥삼산), TXC (트라넥삼산세틸염산염), 인삼 엑기스, 아스타잔틴, 황화술린닥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COX 저해제는 선택적 COX 저해제, 비선택적 COX 저해제 중 어느 쪽도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부작용의 관점에서는 선택적 COX-2 저해제가 바람직하다.
에스트로겐형 물질로는,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대두 엑기스, 이소플라본, 범부채 엑기스, 푸에라리아 미리피카 뿌리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호중구 엘라스타아제 (ELANE) 저해제 및 MMP 저해제를 들 수 있다.
ELANE 저해제로는 예를 들어, 시벨레스타트 나트륨 수화물 (Monosodium N-{2-[4-(2,2-dimethylpropanoyloxy)-phenylsulfonylamino]benzoyl}aminoacetate tetrahydrate ; 엘라스폴이라고도 불린다), ONO-6818 (2-(5-Amino-6-oxo-2-phenylhydropyrimidinyl)-N-[2-(5-tert-butyl-1,3,4-oxadiazol-2-yl)-1-(methylethyl)-2-oxoethyl]acetamide), α1 안티트립신 (α1-AT ; A1AT), 데펠레스타트 (Depelestat ; EPI-hNE4 또는 DX-890 이라고도 불린다), 닐원 (삼불화이소프로필옥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피롤리딘카르보닐메틸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벤조일아미노아세트산 Na), 차조기 잎의 발효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1091호), 파슬리의 발효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75085호), 피망의 발효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76926호) 을 함유하는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제를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ELANE 저해제는, ELANE 에 대한 항체, ELANE 를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siRNA, ELANE 를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이어도 된다. MMP 저해제로는 예를 들어, 마리마스타트 (Marimastat), 바티마스타트 (Batimastat), PD166793, Ro32-3555, WAY170523, UK370106, TIMP1, TIMP2, TIMP3, TIMP4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본 발명자는, 표피 줄기 세포의 유지는, COL17A1 의 발현 및 유지에 의해 가능해지고,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 능력에 기초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은,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및 COX 저해제 외에, 성장 인자나 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아스타잔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물질에 의해,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이 유지 또는 촉진된다. 생체 내, 또는 3 차원 배양 표피에 있어서는, 충분량의 COL17A1 을 발현하고 있는 표피 줄기 세포가, 주위의 COL17A1 을 저발현하는 표피 줄기 세포와의 사이에서 경쟁하면서, 경합적으로 표피 내를 점거하여 증폭해 간다. 따라서, COL17A1 의 발현에 기초한 자기 복제능을「경합적 자기 복제능」이라고 부른다.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은, 예를 들어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들 수 있고, 상기 물질을『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증폭제』라고 부를 수도 있다.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또, 본 발명자는, COL17A1 의 발현이 다양한 스트레스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억제의 대상이 되는 스트레스는, 게놈 스트레스 (유전 독성 스트레스) 및 산화 스트레스이며, 게놈 스트레스에는, 자외선, 방사선 스트레스, 또는 항암제에 의한 DNA 손상 스트레스 등의 유전 독성 스트레스, 혹은, 세포 분열에 수반되는 복제 스트레스가 있다. 세포의 기능은, 모두 DNA 에 손상을 주는 스트레스나 분자 표적약에 의한 자기 복제 시그널의 차단에 의해 저하된다. 따라서, 당업자에게는,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사르칸드라 글라브라 (Sarcandra glabra) 추출물, 사라카 디베스 (Saraca dives) 추출물, 쿠드라니아 푸베센스 (Cudrania pubescens) 추출물, 탁소듐 디스티츔 (Taxodium distichum) 추출물, 루비지아 옥토발리스 (Ludwigia octovalis) 추출물, 도이챤터스 톤키넨시스 (Deutzianthus tonkinensis) 추출물, 알코르네아 트레비오이데스 (Alchornea trewioides) 추출물, 베르케미아 폴리필라 (Berchemia polyphylla) 추출물, 글로치디온 푸베룸 (Glochidion puberum) 추출물, 사사프라스 튜무 (Sassafras tzumu) 추출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7854호를 참조), 기나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커피나무 추출물, 갈근 추출물, 우엉 추출물, 황련 추출물, 고삼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겹달맞이꽃 추출물, 장미 추출물, 돌외 추출물, 연명초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캐럿 추출물, 참피나무 추출물, 지유 추출물, 연꽃 추출물, 차 추출물, 또는 오크라 추출물 (WO2013/031003호를 참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DNA 손상 억제능은, 코메트 어세이 (COMET assay) 나 DNA 손상 응답으로 유도되는 DNA 데미지 포커스를 검출하는 어세이 등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DNA 손상 수복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사용해도 된다. DNA 손상 수복을 촉진시키는 제로는, 예를 들어, 돌가사리 (Gigartinatenella) 추출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73761호를 참조), 또는 기나 추출물 (WO2013/031003호를 참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NA 손상 수복을 촉진시키는 제의 DNA 손상 수복능은, 숙주 세포 회복법 (Host-cell reactivation assay) 등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방사선 방호제, DNA 손상 수복 촉진제를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특히, 표피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부는, 특히, 모포를 포함하는 피부의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부는, 특히, 모포를 제외한 피부의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의 항에 기재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며,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상기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피부는, 가령에 수반하여 개체를 외계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이나 재생 능력이 저하된다. 피부의 기능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표피 줄기 세포와 그 정상 분화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표피 줄기 세포의 자손 세포가 피부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착되어 배열되고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진 층을 형성하여 정상 각화됨으로써, 피부의 재생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외계에 대한 배리어로서 미란 (靡爛) 이나 궤양을 잘 발생시키지 않는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령에 의해, 또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의해 그것들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는 변화로서 공통의 특성을 나타내게 되고, 이것들을 총칭하여 피부의 노화라고 부른다.
노화에 수반하여, 외관적으로는, 피부의 살결의 고움이 없어지고, 불균일해지고, 잔주름이나 소주름을 발생시킨다. 표피의 배리어 기능이 저하되어 건조하기 쉬워지는 것 외에, 표피, 진피 및/또는 지방직이 비박화 또는 취약화되고, 이로써 발적, 습진, 진무름, 미란이나 궤양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 피부의 색소의 농담이 눈에 띄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진피의 콜라겐의 감소에 의한 주름의 생성, 표피나 진피, 지방직의 비박화 (위축), 탄력의 저하나 취약화를 관찰하는 것 외에, 기미, 노인성 색소반 또는 탈색소반이, 노화된 피부의 특징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마우스와 인간의 노화 피부에서의 공통항으로서, 조직학적으로 표피의 위축, 색소 세포의 감소, 기저막부의 헤미데스모솜 성분의 감소 또는 미숙화, 특히 COL17A1 의 저하나 헤미데스모솜의 감소, 그리고 진피 상층의 섬유아 세포의 소실, 또는 피부의 건조에 의한 잔주름, 소주름 등이 보이고, 진피 상층의 PDGFRα 간엽계 세포의 감소도 관찰하였다.
COL17A1 을 결손하면 피부가 취약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노인 피부에서 주름이나 미란이 일어나기 쉽고, 또 궤양이 일어나기 쉬운 것이 상기 지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에게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이하의 피부 노화에 대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이다.
(a) 표피, 진피 및/또는 지방직의 비박화, 취약화, 위축 또는 탄력의 저하
(b) 표피 배리어 기능 저하 또는 피부의 건조
(c) 기저막부의 헤미데스모솜의 감소 또는 미숙화
(d) 진피 상층의 섬유아 세포의 소실, 또는 피부의 건조에 의한 잔주름 혹은 소주름
(e) 진피의 콜라겐 감소에 의한 주름의 생성
(f) 기미, 노인성 색소반, 또는 탈색소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특히, 주름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 또는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문맥에 있어서, 피부 노화는, 표피의 비박화, 배리어 기능 저하, 건조, 기저막부의 취약화, 진피의 콜라겐 감소에 의한 주름의 생성, 표피, 진피 및/혹은 지방직의 비박화, 위축, 탄력의 저하, 취약화, 기미 혹은 노인성 색소반 중 1 또는 복수를 수반한다. 표피 줄기 세포는,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고, 새로운 표피 각화 세포를 공급하는 줄기 세포이며, 피부의 신진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피부 표면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가령이나 다양한 게놈 스트레스, 산화 스트레스, 분자 표적에 의한 급격한 자기 복제 시그널의 차단에 의해 표피 줄기 세포가 노화되면, 표피 줄기 세포의 본래의 자기 복제 능력이 저하되어, 최종 분화에 의해 소실되기 쉬워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자는, COL17A1 매개성의 표피 줄기 세포의 증식과 링크된 표피 세포 경합 동태에 의해 피부의 호메오스타시스가 유지되고, 그것에 의해 피부 기관의 노화가 제어되는 것을 밝혔다. COL17A1 의 발현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는, 재생 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에게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여, 새로운 표피 각화 세포의 공급을 유지 혹은 개선함으로써, 피부 노화가 억제되고, 피부 표면의 상태가 유지 혹은 개선된다.
주름 방지용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주름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주름 방지로는, 피부 탄력성의 개선, 각층 기능의 개선, 피부 보습능의 개선, 및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피부 탄력의 개선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탄력이란, 유연성 (부드러움) 과 탄력 (늘어난 피부가 일정 시간 내에 스프링과 같이 원래대로 되돌아가는 정도) 등의 역학적인 성질을 말한다. 피부 탄력은, 피부 연령의 하나의 지표가 되고 있으며, 촉촉함이 있고, 탄력이 있는 스프링과 같은 피부는,「부드럽고」또한「탄력이 있다」고 느껴진다. 피부 탄력성의 저하에는 자외선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안면을 비롯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노광부에서는 탄력의 저하가 현저하게 보인다. 피부 탄력은 점탄성이라고도 하며, 피부에 힘을 가하여 변형시킨 후, 피부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과정을 계측함으로써, CutometerMPA580 (독일 Courage + Khazaka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Cutometer 는 피부 과학이나 향장품 과학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기이며, 그 원리는, 직경 2 ㎜ 의 구멍이 뚫린 프로브를 사용해서 음압을 가하여 피부를 흡인한 후, 음압을 해제하고 피부의 복원 상태를 계측하여 점탄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해석에는 하기의 값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값이 클수록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가령에 수반하여 감소한다.
Ur/Uf 값 (R7) : 최대 신장값 (Uf 또는 R0) 및 완화시의 탄성 신장의 높이 (Ur) 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탄력성의 지표로서, 최대 신장에 대한 피부의 순간적인 복원율을 나타낸다.
Ur/Ue (R5) : 완화시의 탄성 신장의 높이 (Ur) 및 프로브에 흡입되었을 때의 탄성 신장의 높이 (Ue) 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탄력성의 지표로서, 최대 신장에 대한 피부의 순간적인 복원율을 나타내고, 정미 (正味) 의 탄성으로 생각된다.
Ua/Uf (R2) : 최대 신장값 (Uf) 및 Ua 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탄력성의 지표로서, 최대 신장에 대한 피부의 순간적인 복원율을 나타내고, 총 탄성이라고도 불린다. Ua 는 Uf 와 R1 (최초의 측정 사이클 후의 잔존 변형의 높이) 의 차이다.
각층 기능의 개선
각층 기능의 개선이란,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에 각질 수분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유지하는 보습능의 향상, 외계로부터의 이물질의 침입을 억제하는 배리어 기능의 향상이며, 각질 기능 개선제는, 이것들 중 어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피부 보습능의 개선
본 발명에 있어서「보습능」은 각질 수분량의 유지를 말하며, 각질 수분량이 많을수록 보습능이 우수하다. 피부 보습능의 개선제는, 이들 각질 수분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
또,「배리어 기능」은, 경피 수분 증산의 억제를 말하며, 경피 수분 증산량 (TEWL) 이 작을수록 배리어 기능이 우수하다.
피부 배리어 기능은, 체내로부터 수분이 증산되거나, 체외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그 기능은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각층 수분량이나 TEWL, 표피의 두께가 피부 배리어 기능의 지표가 되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제는, 수분 증산 방지 및 체외로부터의 이물질 침입 방지 중 어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피부 거?s의 개선
피부 거?s이란 일반적으로, 살결이 정돈되고 촉촉해져 있는 건강한 피부에 대하여, 피부 표면으로부터 매끄러움이 소실되고, 거칠어짐이나 트러블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피부가 거칠어진 느낌이나 붉은기, 요철이 생기거나 하는 표면적인 트러블을 비롯하여, 가려움을 수반하는 경우도 있다. 피부 거?s은 피부 배리어 기능의 저하와 밀접하게 관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피부 배리어 기능의 지표가 되는 TEWL 의 측정에 의해, 정량적으로 피부 거?s 증상을 해석 평가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피부 거?s에 수반하여 각질층 표면의 조도 (요철) 가 생기는 점에서, 피부의 ISO 표준 표면 조도 파라미터인 산술 평균 조도 (Ra), 최대 높이 (Ry), 10 점 평균 조도 (Rz) 등의 수치로부터 피부 거?s을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피부 표면의 촬영은 삼차원 고해상도 촬영 장치 PRIMOS-CR 을 사용하여 실시하고, 표면의 해석은 전용 소프트웨어 (Primos OMC3_22) 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인간에 있어서의 화학 물질에 의한 피부 장해의 스탠더드가 되는 피부 거?s 모델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유발된 피부 거?s에 수반되는 TEWL 의 상승의 억제, 피부 표면의 조도를 개선함으로써,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이 피부 거?s을 개선하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거?s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 거?s으로는, 피부의 매끄러움, 습도, 요철이 없는 외관이나 감촉이 소실된 상태로서, 종종 건조, 가려움, 발적, 미란 등을 수반하는 상태를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증상 또는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기미 방지용 조성물
기미란, 피부 내에서 만들어지는 멜라닌이라는 색소가 침착된 것을 의미한다. 자외선을 계속해서 받음으로써 생기는「일광 흑자」(노인성 색소반) 가 일반적이지만, 그 외에, 작란반 (주근깨), 염증 후 색소 침착, 간반 등, 색소의 균일성이 무너진 상태를 넓게 의미한다. 따라서,「기미 방지」란, 색소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미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개선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항암제 치료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피부 장해를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암제에 의한 치료의 부작용으로서 피부 장해 (피부 독성) 가 고빈도로 출현한다. 피부의 건조에 추가하여, 수족 증후군 (수장·족저 발적 지각 부전 증후군), 색소 침착, 손발톱의 변화, 노화형의 피부 장해 등이 알려져 있다.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대사 길항약, 알킬화제, 플라티나 제제에 의해, 피부의 건조, 위축, 취약성, 배리어 기능 저하, 색소 이상, 탈모 등이 보여진다. 최근, 암세포와 정상 세포의 차이에 주목하여,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분자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분자 표적약이 개발되어, 유방암이나 폐암 등 다양한 암에 있어서 사용되고, 종래의 항암제를 대신하고 있다.
항암제에 있어서 공통하여 관찰되는 피부 장해 (피부의 건조, 위축, 수족 증후군, 색소 이상, 탈모 등) 에 추가하여, 분자 표적약 (다양한 멀티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EGF 수용체 저해제 등) 에 의한 피부 독성에 의해 홍반 구진, 여드름형 피진 (皮疹), 지루성 피부염, 털이나 손발톱의 색소 증강, 조갑 주위염, 피부 건조·균열, 건피증, 소양, 강한 화끈거림감 등이 고빈도로 보여진다. 또, 새로운 면역 요법약 (면역 체크 포인트 저해제) 에 있어서도 피부 장해의 출현이 관찰된다. 이들 분자 표적약에 의한 피부 장해는 안이하게 유해하다고 간주되지 않고, 암세포와 공통의 분자를 발현하는 피부 세포에 대한 약리 작용의 표현, 혹은 항암제의 효과의 지표로서도 평가되고 있으며, 보습제 등에 의한 대증 요법을 계속하면서 항암 치료가 계속된다. 그러나, 환자에게 있어서 큰 정신적 고통이나 부담을 가져와, 스스로 치료를 단념해 버리는 케이스도 적지 않다. 또 고도의 피부 장해에 의해 항암제 (화학 요법이나 분자 표적약) 투여 중지에 이르는 케이스도 많지만, 적절한 예방 방법이나 국소에서의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발현이 많은 다양한 항암제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나, 분자 표적약에 의한 발현 저하나 그 억제 방법, 항암제와의 관계는 지금까지 불분명하고, 피부에 보습제나 스테로이드제를 도포하거나 하는 대증 요법적인 시행 착오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암 치료에 수반되는 피부 장해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한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이드록시우레아 등의 항암제 뿐만 아니라 EGF 수용체 저해약 등의 분자 표적약에 의해서도, COL17A1 의 발현 저하를 초래하여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밝혔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 장해의 예방·개선제는,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과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 장해의 예방·개선제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로서,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및/또는 COX 저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 장해의 예방·개선제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 유지하고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로서,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아스타잔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종 식물 추출물을, 전술한 용도 (하기) 에 사용할 수 있다.
·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의 예방·혹은 개선
· 피부 노화의 억제
·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인다
·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
· 주름 방지 (피부 탄력성의 개선, 각층 기능의 개선, 피부 보습능의 개선, 및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
· 기미 방지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물 추출물은, COL17A1 촉진제, 탈모·백발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의 원료로는, 나포마 (Apocynum venetum), 뽕나무 (Morus alba), 김네마 (㏉mnema sylvestre), 차 (Camellia sinensis), 밀크시슬 (Silybum marianum), 비파나무 잎 (Eriobotrya japonica), 흑울금 (Kaempferia parviflora), 고려 인삼 (Panax ginseng), 아슈와간다 (Indian ginseng)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식물의 사용 부위는,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식물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주지의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물, 알코올계 용매, 및 아세톤, 에스테르류, 다가 알코올류, 에테르류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식물 원료의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1,3-부틸렌글리콜 추출물 등이 조제될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추출 용매의 양,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및 추출 방법은,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본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한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물은,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 그 자체, 여과액을 농축시킨 농축액, 농축액을 건조시켜 얻어지는 건조물, 이것들의 조 (粗) 정제물 또는 정제물이어도 된다. 농축 방법, 건조 방법은 임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덱스트린 등의 부형제를 넣어도 된다. 정제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합성 흡착 수지, 활성탄, 이온 교환 수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수단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의약품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서의 형태를 취하고, 특히 식품 조성물의 경우, 기능성 표시 식품, 건강 식품으로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의약 조성물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급성 피부 창상의 치료, 또는 만성 피부 창상의 예방 혹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피부 노화의 진행을 수반하는 질환의 피부 증상의 예방 혹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수반하는 질환의 피부 증상의 예방 혹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 (자기 복제능) 을 높이기 위한 의약, 또는 재생 의료 제품 (가공 세포, 가공 세포 시트 등) 의 제조에 있어서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 (자기 복제 그리고 유지) 을 저해하는 분자 표적약에 저항하는 물질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주름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주름 방지에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주름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거?s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피부 거?s의 개선에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 거?s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기미 방지에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기미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서 작용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 기재된 바와 같은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COX 저해제, 및 ELANE 저해제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Y27632, 아포시닌, 및 시벨레스타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정제, 분말, 액체, 반고체 등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피부를 통하여, 혹은 피부 병소 (病巢) 에 직접 가하는 국소 치료에 사용하는 도포제와 같은 외용약이어도 되고, 기제에 각종 주제를 배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에 추가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첨가제, 완충제, 등장 조절을 위한 염류, 항산화제, 보존제, 약제 안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물, 정제수, 알코올, 글리세린, 젖당, 전분, 덱스트린, 백당, 침강 실리카, 봉밀, 쌀 전분, 트래거캔스를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에는, 다른 활성 성분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각 성분의 배합량은,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 투여하는 대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성분은, 0.01 ∼ 15 중량%, 예를 들어, 0.1 ∼ 5 중량% 로 할 수도 있다.
투여 경로에 대해서도,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 투여하는 대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드레싱재와 같은 창상 피복재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드레싱재는, 습윤 환경을 유지하여 창상 치유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의료 재료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포유 동물에 있어서의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을 예방 혹은 개선하기 위한 방법,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를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법, 주름 방지 방법, 기미 방지 방법, 및/또는 피부 거?s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공정,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및/또는 COX 저해제 등을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포유 동물로는,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마우스, 래트, 토끼, 개, 고양이, 양, 염소, 알파카, 말, 소, 돼지, 밍크, 여우, 담비, 너구리, 친칠라, 해달, 수달, 비버, 바다표범 등이 포함된다. 투여량은,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 투여하는 대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동일). 투여 경로에 대해서도,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 투여하는 대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어, 액제, 로션제, 크림제의 피부에 대한 도포 또는 분무, 혹은, 액제의 피하 주사, 고형제, 액제의 경구 투여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첩부제를 조제하여 피부에 적용해도 된다.
색소 이상 예방 개선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노화된 피부에 있어서의 색소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혹은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공정,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조성물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혹은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피부의 가령 변화에 의한 잔주름나 소주름, 건조나 진무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혹은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공정,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조성물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혹은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줄기 세포 경합 제어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의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COL17A1 이 세포 경합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인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방법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공정,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혹은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공정,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조성물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혹은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당업자에게는, COL17A1 을 저해함으로써, 세포 경합을 부 (負) 로 제어할 수 있는 것도 이해된다.
미용 서플리먼트 또는 기능성 식품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과 그것에 기초한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미용 서플리먼트 또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서플리먼트 또는 기능성 식품은,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서플리먼트 또는 기능성 식품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로서,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및/또는 COX 저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서플리먼트 또는 기능성 식품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지하고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로서,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서플리먼트 또는 기능성 식품은, 정제, 분말, 반고체, 젤리 또는 액체 등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서플리먼트는, 피부 항노화제, 비타민제, 콜라겐 및 미네랄 중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미용 서플리먼트 또는 기능성 식품은, 예를 들어, 1 일 1 ∼ 3 회, 식전, 식중, 식후에 경구 섭취하는 것으로서 조제될 수 있다.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화장품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과 그것에 기초한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또는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로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및 COX 저해제 등이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아스타잔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스킨 케어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이다.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 대한 적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한정은 되지 않지만, 용액, 현탁액, 로션, 크림, 겔, 화장수, 스틱, 펜슬, 스프레이, 에어졸, 연고, 클렌징 세제액 및 클렌징 봉상 고형물, 샴푸 및 헤어 컨디셔너, 파스타, 폼, 파우더, 무스, 면도 크림, 와이프, 스트립, 패치, 전동 패치, 창상 피복재 및 점착성 붕대, 하이드로겔, 필름 형성 제품, 얼굴 및 피부 마스크 (불용성 시트를 갖는다 및 갖지 않는다),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및 아이섀도 등의 메이크업 용품 등의 다양한 제품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0.01 ∼ 15 중량%, 예를 들어, 0.1 ∼ 5 중량% 의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Y27632, 아포시닌 등) 을 함유해도 된다.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항노화제, 피부 색조제, 항염증제, 자외선 차단제 중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피부 항노화제로는, 예를 들어, 항노화 작용을 갖는 펩티드 (WO2014157485A1) 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피부 색조제로는, 당아민, 알부틴, 데옥시알부틴, 헥실레조르시놀, 코지산, 헥사미딘 화합물, 살리실산, 그리고 프로피온산레티놀 및 프로피온산레티닐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를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항염증제로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의 NSAIDS), 글리시리직산 (글리시레틴산글리코시드로서도 이미 알려져 있다), 및 글리시리직산디칼륨 등의 염, 글리시레텐산 (glycyrrhetenic acid), 감초 추출물, 비사보롤 (예를 들어, 알파 비사보롤), 만지시타 (꼭두서니속의 식물, 특히 인도 꼭두서니 (Rubia cordifolia) 로부터 추출된다), 및 구갈 (guggal) (콤미포라속의 식물, 특히 구굴 (Commiphora mukul) 로부터 추출된다), 콜라나무 추출물, 카밀레, 붉은토끼풀 추출물, 및 채찍산호 추출물 (해양목의 식물로부터의 추출물), 상기 어느 것의 유도체,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자외선 차단제는,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4,4'-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옥틸디메틸-p-아미노벤조산, 디갈로일트리올레에이트,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에틸-4-(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글리세릴-p-아미노벤조에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살리실레이트, 안트라닐산메틸,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또는 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페닐벤조이미다졸-5-술폰산, 2-(p-디메틸아미노페닐)-5-술폰벤조옥사졸린산, 옥토크릴렌, 산화아연, 벤질리덴 캠퍼 및 그 유도체, 이산화티탄, 그리고 이것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본 개시에 관련된 조성물의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어도 1 종의 첨가제, 예를 들어, 증점제, 향료, 진주 광택제, 보존료, 자외선 차단제, 음이온 혹은 비이온 혹은 양이온 혹은 양쪽성 폴리머, 단백질, 단백질 가수 분해물, 예를 들어 18-메틸에이코산산, 비타민, 판테놀, 실리콘, 식물유, 동물유, 광물유 또는 합성유 등의 지방산, 겔화제, 산화 방지제, 용매, 필터, 스크리닝제, 악취 흡수제, 착색료, 연마제, 흡수제, 방향제 등의 미용 성분, 색소, 안료/착색제, 정유, 안티케이킹제, 소포제, 항균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충전제, 킬레이트화제, 화학 첨가제, 미용 수렴제, 미용 살생물제, 변성제, 약물 수렴제, 피부 연화제, 외용 진통제, 필름 형성제 또는 재료, 유백제, pH 조정제, 보존제, 분무제, 환원제, 포착제, 피부 냉각제, 피부 보호제, 증점제, 점도 조절제, 비타민, 및 이것들의 조합도 포함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관하여,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또는 유리하게는 0 내지 50 중량%, 5 내지 40 중량% 또는 30 내지 50 중량% 의 범위에 들어가는 비율로, 본 개시에 관련된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국소 적용을 위해, 특히, 수성 또는 유성 용액, 로션 또는 세럼형의 분산물, 수상 중에 대한 지방상의 분산 (O/W) 또는 그 반대 (W/O) 에 의해 얻어지는, 밀크형의 액체 또는 반액체의 조도 (稠度) 를 갖는 유액, 수성 혹은 무수 겔 또는 크림형의 연조도 (軟稠度) 를 갖는 현탁액 또는 유액, 그 밖에는 마이크로 캡슐 혹은 미립자, 이온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포 (小胞) 분산물, 혹은 거품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조제된다. 조성물은, 5 내지 99.5 % 의 사이의 수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의 pH 는,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2 내지 12 의 사이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 의 사이이다. pH 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혹은 1,3-프로판디아민 등의 제 1 급, 제 2 급 혹은 제 3 급 (폴리)아민의 염기 (유기 또는 무기) 를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또는 리신 혹은 아르기닌과 같은 염기성 아미노산 혹은 폴리아미노산을 수반하여, 혹은, 무기산 혹은 유기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등의 카르복실산을 첨가함으로써, 목표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특히, 얼굴, 손, 발, 주요한 신체 구조 상의 주름 혹은 몸을, 씻거나, 보호하거나, 처리하거나 혹은 케어하기 위한 크림 (예를 들어, 데이 크림, 나이트 크림, 안티에이징 크림, 보습 크림, 메이크업 제거용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또는 선 크림),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제거용 밀크, 보호용 혹은 케어용 보디 밀크, 선 밀크, 로션, 피부를 케어하기 위한 겔 또는 폼, 예를 들어 클렌징 로션, 선 로션, 인공 선탠 로션, 입욕용 조성물, 살균제를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애프터셰이브 겔 또는 로션, 탈모 크림, 벌레 물림에 대응하기 위한 조성물을 구성한다.
본 개시에 관련된 화장품 조성물은, 처치 기간 중, 적어도 1 일 1 회, 1 일 2 회, 또는 1 일에 보다 빈번히 적용될 수 있다. 1 일 2 회 적용하는 경우, 1 회째와 2 회째의 적용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1 ∼ 12 시간의 간격을 둔다. 전형적으로는, 조성물은, 아침 및/또는 취침 전의 밤에 적용될 수 있다.
스크리닝 방법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혹은 피부 궤양의 예방 혹은 개선에 유효한 물질, 피부 노화의 억제에 유효한 물질, 세포 경합의 제어,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의 개선 (향상, 증강),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혹은 개선, 주름 방지, 기미 방지 및/또는 피부 거?s의 개선에 유효한 물질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피부 노화의 억제는, 피부의 부속기인 모포의 노화의 억제여도 된다. 이와 같은 스크리닝 방법은, 이하의 공정 i ∼ ⅲ 을 포함할 수 있다 :
ⅰ) in vitro 에서 세포와 시험 물질을 접촉시키는 공정,
ⅱ)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측정하는 공정, 및
ⅲ) 그 시험 물질이 COL17A1 의 발현을 상승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
여기서, COL17A1 의 발현의 측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동정된 물질은,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에 사용하기 위한 성분,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성분, 세포 경합의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 성분,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성분,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를 예방 혹은 개선하기 위한 성분, 주름 방지 성분, 기미 방지 성분, 및/또는 피부 거?s의 개선을 위한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포유 동물에 있어서의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를 예방 혹은 개선하기 위한 방법, 주름 방지 방법, 기미 방지 방법, 및/또는 피부 거?s의 개선의 방법에 있어서, 그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물질로서도 유용하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시험 물질이 콜로니 형성을 촉진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COL17A1 의 발현 평가와 콜로니 형성 어세이를 조합함으로써, COL17A1- 의 계속적 발현을 유지하는 것에 의한 자기 복제능 유지제를 평가함으로써, "줄기 세포 경합을 통한 줄기 세포 증폭" 을 촉진시키는 제가 스크리닝될 수 있다. 즉,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스크리닝 방법은, 이하의 공정 i ∼ ⅳ 를 포함할 수 있다 :
ⅰ) in vitro 에서 세포와 시험 물질을 접촉시키는 공정,
ⅱ)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측정하는 공정,
ⅲ) 그 시험 물질이 COL17A1 의 발현을 상승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 및
ⅳ) 그 시험 물질이 콜로니 형성을 촉진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 및 평가 키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노화된 표피 세포에 있어서 COL17A1 의 발현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COL17A1 을 피부 노화의 평가용 마커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피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노화를 평가할 수 있다. 표피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의 측정은, COL17A1 에 대한 항체 (항 COL17A1 항체) 를 사용한 웨스턴 블로팅이나 항체 염색,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RT-PCR 에 의한 mRNA 의 측정 등,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측정 결과를, 대조와 비교함으로써, 혹은 시간 경과적으로 비교함으로써, 피부의 노화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의 결과, COL17A1 의 발현량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부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키트는, 예를 들어, COL17A1 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항체는 직접 표지된 것이어도 되고, 혹은 표지된 2 차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것이어도 된다. 표지는 예를 들어, 효소 활성에 의한 발색이나 화학 발광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또, 본 키트는, 예를 들어, COL17A1 의 전사 산물을 검출하기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프라이머)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전사 산물과의 하이브리디제이션에 의한 검출이나, PCR 등의 증폭 반응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COL17A1 을 검출하기 위한 항체 (항 COL17A1 항체),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키트에는, p16Ink4a 등의 다른 마커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성분 (항체, 프로브, 프라이머 등)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 및 평가 키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표피 줄기 세포의 증식능과 COL17A1 의 발현량에 상관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COL17A1 을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용 마커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표피 줄기 세포를 평가할 수 있다. COL17A1 을 고레벨로 발현하고 있는 표피 줄기 세포는, 증식능이 높기 때문에, 배양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세포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의 측정은, 항 COL17A1 항체를 사용한 웨스턴 블로팅, 항체 염색, ELISA, FACS 등,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자는, 노화된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 COL17A1 의 발현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표피 줄기 세포의 노화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표피 줄기 세포의 노화란, 가령 그리고, 다양한 게놈 스트레스,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표피 줄기 세포의 본래의 자기 복제 능력이 저하되어, 최종 분화에 의해 소실되기 쉬워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표준으로서 설정된 값과의 비교 결과,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는, 배양이나 재생 의료 제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세포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키트는, 예를 들어, COL17A1 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COL17A1 을 검출하기 위한 항체,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 및 선별 키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표피 줄기 세포의 증식능과 COL17A1 의 발현량에 상관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는, 증식능이 높기 때문에, 배양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세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COL17A1 을 표피 줄기 세포의 증식능의 평가용 마커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피 줄기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측정하여,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를 선별하는 것은, 그 후, 배양이나 이식을 실시할 때에 유익해질 수 있다. COL17A1 을 고발현하는 세포의 선별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FACS 를 사용한 수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키트는, 예를 들어, 상기와 동일하게, COL17A1 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COL17A1 을 검출하기 위한 항체,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 및 평가 키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를 선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는, 증식능이 높기 때문에, 그러한 세포를 선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를 증폭시킬 수 있다.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는, 발현량이 노화가 진행된 세포에 있어서의 발현과 비교하여 양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FACS 를 사용한 수법이나, 비드를 사용한 수법에 의해 단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폭 방법을 사용하여, ex vivo 로 세포 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를 선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키트는, 예를 들어, 상기와 동일하게 COL17A1 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COL17A1 을 검출하기 위한 항체,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세포 경합의 평가 방법 및 평가 키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등의 세포 경합에 관련된 분자의 발현을 수식하는 분자의 발현량을 일부의 세포에 있어서 변화시켜, 세포 경합에 관련된 분자나, 그 세포 경합을 촉진시키거나 감약시키거나 하는 변화를 초래하는 물질, 경합의 효율이나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에 COL17A1 의 발현량이 상관하는 것을 알아냈다.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는, 세포 경합 상, 유리해진다. 또, 세포 경합의 평가는, 케라티노사이트 (배양 각화 세포, 각화 세포주의 HaCat 세포나 Pam212 세포를 포함한다) 등의 중층 편평 상피를 형성하는 상피 세포의 3 차원 배양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세포는, 당해 세포와 비교하여 COL17A1 의 발현량이 낮은 세포보다 우위로 세포 증식되기 때문에, 세포 경합능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화 세포의 3 차원 배양으로 세포 경합을 평가하고, 이것을 제어하는 화합물이나 추출물, 핵산 등의 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의 평가 방법에 관하여, 특히, 각화 세포 (주) 의 3 차원 배양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을 지표로 하는, 세포 경합을 제어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각화 세포 (케라티노사이트) 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키트는, 예를 들어, COL17A1 등의 세포 경합 관련 분자나 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변화시키는 핵산, 예를 들어 RNA 간섭에 사용하기 위한 핵산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siRNA, shRNA 등) 외에, 유전자 도입 시약, 렌티바이러스나 레트로바이러스, COL17A1 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등 면역 염색에 사용하는 항체, 3 차원 배양용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각화 세포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의 평가에 관련된 세포주, 바이러스, 항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세포 경합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 본 키트는, 3 차원 배양을 실시하기 위한 각화 세포주 (예를 들어, HaCaT 세포)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세포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단리된, COL17A1 을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조성물 (세포 집단) 에 관한 것이다. COL17A1 을 발현하는 세포의 단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FACS 나 비드를 사용한 수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세포 조성물에는, 상피 시트나 오르가노이드 등 3 차원 구조를 갖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세포 조성물 중의 세포는, COL17A1 을 고레벨로 발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 조성물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처리된 것을 포함한다. COL17A1 을 고레벨로 발현하고 있는 세포 (COL17A1high 의 세포) 는 예를 들어, FACS 를 사용하여 단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발현 레벨을 나타내는「high」또는「hi」라는 용어는 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주지이며,「COL17A1high」는, 분석 대상이 되는 세포 집단 중에서의 비교에 의해,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레벨인 것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문맥에서는,「high」또는「hi」는 대상이 되는 세포 집단 중에서, 발현량이 상위 50 % 이내, 예를 들어, 3 %, 5 %, 10 %, 15 %, 20 %, 30 %, 또는 40 % 이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세포 조성물 중의 세포는, 예를 들어, 표피 각화 세포 또는 점막 상피 각화 세포일 수 있지만, 다른 세포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세포 조성물 중의 세포는, 예를 들어, 적어도 50 %, 60 %, 70 %, 80 %, 90 %, 95 %, 98 %, 또는 99 % 의 세포가 COL17A1 을 발현하는 세포일 수 있다. 본 세포 조성물에는, 적어도 1 × 103 개, 1 × 104 개, 1 × 105 개, 1 × 106 개, 1 × 107 개, 또는 1 × 108 개의 세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세포 조성물은,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세포 조성물은, 피부의 질환 또는 상해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세포 조성물 중의 세포는, 줄기 세포 유래의 세포일 수 있다. 본 세포 조성물 중의 세포는,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COL17A1 의 발현이 유도 또는 유지된 세포여도 된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은, ROCK 저해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iNOS 저해제, 및 COX 저해제 중 적어도 1 개일 수 있다.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은, Y27632 또는 아포시닌이어도 된다.
본 세포 조성물 중의 세포는, 동결되어 있어도 된다. 본 세포 조성물은 1 개의 용기에 담겨져 있어도 된다.
세포 시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는, COL17A1 을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세포 시트는, COL17A1 을 발현하는 세포를 단리하고, 배양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포 시트는, 환자의 질환 또는 상해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환자에게 이식할 수 있다. 세포 시트는, 자가 이식용 또는 타가 이식용일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것들에 의해 본 발명은 조금도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가령에 수반되는 피부에서의 COL17A1 단백질 발현의 저하
마우스의 꼬리부의 피부는, 등부의 피부와는 달리, 층상화된 표피 세포층, 표피 멜라노사이트의 인간 표피의 조직학적 분석에 있어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노화된 마우스의 꼬리부 피부도, 인상 (鱗狀) 의 표피에 있어서의 유극 세포층의 수의 감소를 수반하는 위축을 특징으로 한다. 어린 마우스의 기저층 세포는, 기저막에 대하여 장방형으로서 세로로 긴 형상을 갖는데, 노화된 기저층 세포는, 보다 둥그스름한 형태 또는, 보다 평탄한 형태를 갖는다. 노화된 피부에서는, 기저층 세포의 총수 그리고 MCM2 비휴지기 기저 세포의 유의한 감소가 보이고, 표피 중의 줄기 세포 및 그것들의 세포 분열이 가령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 을 사용한 표피 기저층 세포와 표피-진피 접합부의 초미세 구조 해석에 의해, 기저 세포층을 기저판에 고정시키고 있는 전자 밀도가 높은 영역 (hemidesmosome ; HD) 의 수가 가령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이 밝혀졌다. 또, 노화된 꼬리부 피부의 투명대 (lamina lucida ; LL) 에서는 기저층 세포로부터의 세포 박리가 빈번히 보이고, 기저 세포층으로부터의 노화에 의한 HD 의 감소와 관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HD 성분이 피부 노화 프로세스에 직접 관여하고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 약년 (若年) 마우스 및 고 (주) 령 마우스의 꼬리부 표피에 있어서, 다양한 HD 성분 및 주요한 세포 접착 분자인 인테그린 β1 (ITGB1) 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COL17A1 의 면역 염색 레벨은 노화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이 밝혀졌다 (도 1). 이것에 일치하여, 고령 피부의 진피-표피 접합부의 LL 에 있어서의 COL17A1 의 시그널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는 것이 면역 전자 현미경 분석으로부터도 밝혀졌다. 또, 전신의 면역 염색에 의해, 고령 피부에 있어서의 COL17A1 및 ITGA6 의 불균질한 분포가 밝혀졌다. 특히, ITGA6 을 발현하는 COL17A1 음성 세포 영역을, 고령의 꼬리부 표피의 이중 음성 세포 영역에 추가하여 알아냈다. 이것은, COL17A1 단백질의 발현이 가장 불안정하고, 결과적으로, COL17A1 이 불충분하면, 가령에 수반하여 다른 HD 성분도 최종적으로 불안정화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HD 성분의 안정성에 있어서의 COL17A1 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약령과 고령의 마우스 피부에서의 HD 의 수를 분석하였다 (도 2). 또한, COL17A1 의 단백질 분해는, 마우스에 있어서의 X 선 조사나, TTD 조로증 마우스에 있어서의 게놈 불안정성 등의 지속적 DNA 손상 응답에 의해서도 유도된다. 동일하게, 자외광 (UV) 조사에 의해, in vitro 및 in vivo 에서 몇 개의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COL17A1 발현의 다운 레귤레이션도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피부의 UV 조사는 HD 의 불안정화를 야기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아울러, COL17A1 이「줄기 세포 체크 포인트 분자」로서 DNA 손상 응답을 모니터하는 스트레스/적합성 센서로서 기능하고, 줄기 세포가 자기 복제 또는 분화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 스트레스 감지 메커니즘은, 노화된 표피 기저층 중에 존재하는 COL17A1 발현 레벨이 상이한 표피 줄기 세포 클론의 자기 복제 능력에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 피부 노화 과정에 있어서의 COL17A1 표피 줄기 세포의 클론성의 증식
가령에 수반하여 나타나는 표피 줄기 세포 클론의 동태를 가시화하고, COL17A1 결손 클론의 운명을 추적하기 위해, K14-CreERT2 ; R26R Brainbow 2.1 마우스를 사용한 약제 유도성 멀티 컬러 표지에 의한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 계보 트레이스계를 생성하였다. 이 계는, Cre-LoxP 매개 재조합에 의한 기저 줄기/전구 세포의 확률론적인 멀티 컬러 표지를 가능하게 한다. 타목시펜 (TAM) 투여 후, GFP, RFP, YFP 또는 CFP 발현 세포를, 약년 (4.5 개월) 의 꼬리부 피부에 있어서 확률론적으로 알아냈다. 대조적으로, 단일색의 케라티노사이트 클론 영역이, 클론의 총수의 감소를 수반하여, 가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고 (도 3), 이것은, 일부의 줄기 세포가 생리학적 노화의 동안에 다른 많은 세포를 희생시켜 클론 증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COL17A1 의 발현 레벨이 상이한 기저 세포의 불균일성이, 가령 중의 기저층에 있어서의 줄기 세포의 경합을 유도할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약년 (11 개월령) 및 노령 (28 개월령) 마우스의 꼬리부 모포 간 표피 (IFE) 에 있어서, 멀티 컬러 표지 줄기 세포 클론에 의한 COL17A1 의 발현 레벨을 관찰하였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화된 피부에서는, 줄기 세포 클론을 나타내는 단색의 기저층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발현이 일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어린 마우스의 기저층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은, 각 클론에 있어서 COL17A1 발현 레벨이 상이하고, 일반적으로 노화에 수반하여 감소하고 있었다.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의 클론 사이즈와 COL17A1 발현 레벨의 상세한 비교로부터, 기저층 세포의 클론 사이즈는, 고령 마우스 피부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 레벨과 정 (正) 의 상관이 있는 것이 밝혀졌다 (도 5). 이것은, 보다 고레벨의 COL17A1 발현을 유지하는 줄기 세포 클론이, 보다 높은 클론 원성을 나타내고, 생리학적인 노화 프로세스의 동안에 표피 기저층에 있어서 지배적으로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고령 피부의 기저층 세포에 있어서, 아포토시스 세포사 또는 이른바 "세포 노화" 된 세포의 유의한 유도는 보이지 않았다. 이들 데이터는, COL17A1high 표피 줄기 세포가, COL17A1low 세포와 경합하여, 표피 노화에 견디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3 :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을 야기하는 COL17A1 의 차차적 (差次的) 발현
COL17A1low/- 클론의 출현이, in vivo 에 있어서 인접하는 주위의 COL17A1high 클론과의 세포 경합을 직접적으로 야기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에 특이적인 멀티 컬러 표지계와 조합한 약물 유도성 Col17a1 유전자 녹아웃 (cKO) 마우스를 제조하였다. 저용량의 TAM 투여를 사용한 COL17A1 결손이 드문 유도에 의해, 녹아웃 유도 후의 2 일째에 꼬리부의 표피에 단색 표지 Col17a1 결손 케라티노사이트 클론이 보였다. 대조 마우스에서는, 이들 클론은 14 일째에 사이즈가 증가하고, 그 후, 28 일째에 단색의 칼럼 (기저 클론) 을 형성하고 있었다. 대조적으로, 대부분의 Col17a1 결손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 클론은, 고레벨의 COL17A1 발현을 갖는 비표지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 클론에 둘러싸이고, 14 일째쯤에 박리되고, 28 일째까지 패자 (loser) 세포 클론 (부유 클론) 이 되었다 (도 6). 이것에 일치하여, 마우스 꼬리부의 홀 마운트 해석은, Col17a1 결손 세포 클론의 피부로부터의 현저한 배제를 밝혔다. 이들 데이터는, COL17A1 을 발현하는 표피 줄기 세포가 니치 내의 COL17A1 결손 표피 줄기 세포와 경합하고, COL17A1 이 표피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 메커니즘을 통하여 피부의 호메오스타시스와 노화 과정을 매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COL17A1 의 발현차가 표피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을 직접 매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추가로 조사하기 위해, 3D 배양한 HaCaT 인간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단사슬 헤어핀 (sh) RNA 를 발현시킴으로써, 신규한 in vitro 세포 경합 어세이계를 확립하였다. shCOL17A1 을 발현하는 EmGFPCOL17A1- 안정 HaCaT 세포 그리고, shScramble 를 발현하는 대조의 EmGFPCOL17A1 의 HaCaT 세포를 제조하고, 3D 배양계에서 배양하였다. shScramble 와 shCOL17A1 발현 HaCaT 세포는 모두, 3 차원 배양 표피에 있어서의 구조, 층별화, 증식수 또는 아포토시스 세포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COL17A1-EmGFP 세포와 야생형 (COL17A1) 세포의 1 : 10 의 비로의 공배양은, shCOL17A1 발현 세포를 유의하게 배제하였다. 그러나, COL17A1 발현 세포의 유의한 배제는, 1 : 3 의 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데이터는, Col17a1 결손 기저층 세포가, 충분한 수의 주위의 야생형 세포에 의해, 패자 세포로서 기저층으로부터 배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정리하면, 이들 데이터는, 인간 표피의 생리학적인 가령 프로세스에 있어서 COL17A1 매개성의 세포 경합이 일어나고 있는, 표피 줄기 세포가 발현하는 COL17A1 이 근린의 표피 줄기 세포 집단과의 사이에 있어서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부여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4 : COL17A1 매개 SCD 에 의한 표피 호메오스타시스의 유지
COL17A1 매개성의 세포 경합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COL17A1 이 COL17A1 표피 줄기 세포의 클론 증식을 이론적으로 유지하는 SCD 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in vivo 에서 기저층 세포의 분열축을 분석하였다. 정상적인 기저층 세포는, 대부분이 기저막에 대하여 평행한 세포 분열을 나타냈지만, Col17a1 결손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는, 수직의 세포 분열을 비정상적으로 유도하여, 기저층 세포와 기저층 상에 위치하는 자손층을 생성하였다. 이것은, COL17A1 이 SCD 를 매개하는 것을 나타내고, COL17A1 매개 SCD 가, HD 가 상실 또는 감소된 Col17a1 결손 기저층 세포를 밀어내어, 기저막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제, Col17a1 결손 케라티노사이트는 최종적으로, 기저층 IFE 로부터 박리된다.
따라서, 이들 데이터는, COL17A1 승자 (winner) 세포의 클론 증식을 촉진시키는 COL17A1 의존적 SCD 가, 가령 과정에 있어서 세포 경합을 야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중요하게, 노화된 표피의 기저층 세포는, 수직의 세포 분열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COL17A1 의 발현 레벨이 종종 저하되어 있었다. 이것은, 최종적으로 고령의 피부 영역에 있어서 COL17A1 발현의 상실을 수반하는 세포 분열 장해에 의한 표피 위축 (비박화) 을 야기한다. 눈에 띄게 대조적으로, 기저층 세포가 COL17A1 발현을 유지하고 있는 COL17A1 트랜스제닉 (tg) 마우스의 표피 기저층 세포는, 기저막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세포 분열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들 데이터는, COL17A1 매개성의 SCD 가, 세포 경합의 기계적인 구동력을 생성하여, 성인의 표피에 있어서의 세포의 수평 방향으로의 확산과 기저막 영역의 점유에 의한 결과로서, 경합적 자기 복제 현상을 통하여 표피의 노화에 견디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혈 줄기 세포에 있어서 특정한 줄기 세포 클론의 증폭이 우위로 일어나 다른 줄기 세포 클론이 사라져 가는 현상이 알려져 있고,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가 경합적으로 일어나는 현상 (경합적 자기 복제) 이 알려져 있다. 이것에 관련된 분자도 밝혀져 있다. 그러나, 표피에 있어서 생리적인 조건하에 있어서의『경합적 자기 복제』의 실태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고, 이것을 담당하는 분자에 대해서도 밝혀져 있지 않았다.
COL17A1 이 매개하는 SCD 가, 표피 줄기 세포 클론의 클론 증식을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꼬리부 표피에 있어서의 세포를 포함하는 상피 줄기 세포의 자기 재생능을 평가하기 위한 골드 스탠더드라고 할 수 있는 in vitro 어세이인, 콜로니 형성 어세이를 사용하였다. 저레벨의 COL17A1 을 발현하는 노화된 표피 케라티노사이트는, 콜로니 형성능이 저하되어, 보다 약년의 꼬리의 케라티노사이트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콜로니를 생성하였다 (도 7). 대조적으로, 마우스의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hCOL17A1 의 강제 발현은, 대조 마우스보다 유의하게 큰 콜로니 사이즈와 수로, 표피 줄기 세포의 클론 형성능을 촉진시켰다 (도 8).
이들 데이터는, COL17A1 이 표피 줄기 세포의 증식 능력을 통하여 클론 증식을 매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과 일치하여, tg 마우스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은, 가령에 관련된 표피의 비박화와 가령에 관련된 박리를 유의하게 레스큐하였다. 정리하면, 콜로니 어세이에 있어서의 대칭성 세포 분열 (SCD) 을 계속적으로 실시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COL17A1 의존성의 증식 능력은, 표피의 호메오스타시스 및 가령 중의 세포 경합에 있어서의 COL17A1high 줄기 세포 클론의 보다 높은 적합성을 설명하고,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5 : COL17A1 발현 표피 줄기 세포에 의한 헤테로 타입의 세포 계보의 유지
피부 노화는, 표피의 노화 뿐만 아니라, 멜라닌 세포 관련의 색소 침착 이상 및 진피의 변화에 의해서도 특징 지어진다. 피부 노화에 있어서의 표피 줄기 세포 노화의 기능적 의의를 연구하기 위해, 생리적 노화가, 꼬리의 표피에 있어서의 표피 색소 침착 이상을 유도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생리적 노화는 서서히 피부 색소 침착 이상 (낮은 색소 침착과 높은 색소 침착의 영역을 수반하는 불균일한 피부 색소 침착) 을 유발하고, 최종적으로, 꼬리부 피부에 저색소 침착을 유도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꼬리의 홀 마운트의 상세한 현미경 관찰에 의해, 색소 침착 패턴이 가령에 수반하여 불균일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피에 있어서의 멜라노사이트계 세포의 분포를 시각화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Dopachrome tautomerase (Dct) 프로모터 제어 히스톤-H2B GFP (Dct-H2B GFP) tg 마우스의 꼬리부 피부를 분석하였다. 절편 및 홀 마운트 해석에서는, 약년 마우스의 꼬리부에 있어서 H2B GFP 표피 멜라노블라스트/멜라노사이트가 관찰되었지만, 이들 세포는 노화된 꼬리의 표피에서는 연령 의존적으로 소실되는 것이 나타났다. 이것에 일치하여, 약년 및 노화된 전체 표피 세포의 마이크로 어레이 분석은, 멜라노사이트 유전자를 노화 중의 상위의 주요 변화로서 랭크를 매겼다. 중요하게, 12 개월령의 꼬리의 기저층 영역에는, 고도로 색소 침착된 멜라노사이트가 관찰되고, 이들 세포는 때때로, 기저층 상부 영역에 존재하고 있고, 그것들이 기저층으로부터 박리되어 피부로부터 배제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표피 각화 세포의 줄기 세포 노화에 의해 표피 멜라노사이트의 변화가 유도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표피 기저층 세포의 Col17a1 및/또는 Itga6 결손에 의한 HD 성분의 소실이, 조기에 피부 색소 침착 이상을 유도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시간 경과적 분석은, Col17a1 결손이 HD 불안정성을 유발함으로써, 비교적 경도의 색소 침착 이상을 유도하고, Col17a1 및 Itga6 유전자가 상승적으로 현저한 색소 침착 이상을 유발하는 것을 밝혔다. 실제, Dct-H2B GFP 로 태깅한 표피 멜라노사이트는, Col17a1 또는 Itga6 유전자를 결손시키면, 피부로부터 고갈되었다.
만성적인 UVB 조사는, 마우스 및 인간의 표피에 있어서의 피부 색소 침착 이상 그리고 HD 손상을 유발한다. 본 발명자는 다음으로, 만성적인 UVB 노출이, 피부 색소 침착 이상 및 HD 손상, 그리고 꼬리부 표피에 있어서의 그 관련 표현형을 유도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도 9). UVB 조사의 반복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의 색소 침착 과잉에 계속해서, 표피 색소 침착 이상이, Col17a1 또는 ITGA6 cKO 마우스와 동일하게, 최종의 UVB 조사 후 1 개월 이내에 유도되었다. TEM 및 면역 TEM 을 사용한 초미세 구조 해석에 의해, UVB 조사는, 성숙 HD 의 형성을 저해하고, Col17a1 cKO 와 동일하게, COL17A1 의 시그널을 감소시키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 데이터는 아울러, 만성적 UVB 매개성의 HD 손상이, COL17A1 발현성 표피 케라티노사이트의 장해에 의해, 표피성 색소 침착 이상을 유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우스의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COL17A1 의 과잉 발현은, 거시적 및 미시적인 색소 침착 이상 표현형, 그리고 KIT 표피 멜라노사이트의 연령에 관련된 감소를 유의하게 구제하였다 (도 9). 정리하면, 이들 데이터는, 시간 경과적 노화 및 광 노화시에, 표피 내의 멜라노사이트가, 표피 내의 인접하는 COL17A1 발현성의 표피 줄기 세포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피부의 재생 능력은 가령에 따라 저하된다. 본 발명자는, 가령에 따른 표피 줄기 세포의 변화가, 표피 줄기 세포의 클론화를 거쳐서 진행되는 피부 창상 치유에 어떻게 관련되는지, 진피의 선유아 세포에 영향을 주는지의 여부를 시험하였다 (도 10). PDGFRα 양성의 간엽계 세포의 분석은, 노화에 의해 표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집단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 또, hCOL17A1 의 강제 발현이 PDGFRα 양성 세포의 연령에 관련된 소실을 구제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들 데이터는, COL17A1 매개성의 표피 줄기 세포의 유지가, 표피 진피 접합부의 안정성을 강화시켜, 그 파탄이 야기하는 피부의 위축이나 잔주름, 피부 노화를 포함하는 피부 기관의 노화에 저항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6 : HD 가 피부 기관 재생의 열쇠이다
상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노령 야생형 마우스의 꼬리부 피부를 사용하여, 전층 창상 치유 실험을 실시하였다. 창상 영역의 측정은, 생리학적 노화가 창상 치유 과정을 유의하게 지연시키는 것을 나타냈다. 본 발명자는 다음으로, Col17a1 또는 ITGA6 결손 피부를 분석하여, 어느 쪽도 유의하게 지연된 창상 수복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냈지만 (도 11), 이것은, HD 의 불안정성이 생리적인 노화에 있어서의 창상 치유 불량으로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마우스의 기저층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한 hCOL17A1 의 강제 발현은, 창상 치유를 촉진시켰다 (도 12). 이들 데이터는, 표피 줄기 세포의 COL17A1 매개성의 클론 증식이, 피부 호메오스타시스의 줄기 세포 경합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전층 피부 창상 치유의 재생을 위해서도 불가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COL17A1 의 과잉 발현은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시키는 점에서, 본 발명자는, in vitro 에서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COL17A1 발현을 유도하는 신규 화합물을 탐색하였다. 표 1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COL17A1 의 발현을 유도하는 2 개의 화학 물질, Y27632 및 아포시닌 (Apocynin) 을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효과가 SCD 를 나타내는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의 증가에 의해 매개되는 것을 in vitro 에서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인간 표피 케라티노사이트를 사용한 콜로니 형성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이것에 일치하여, 콜로니 수는 Y-27632 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고, 콜로니 사이즈는 양방의 약제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표 1, 도 13 및 도 14).
in vivo 에서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들 약물을 쥐의 꼬리의 피부의 전층 창상에 투여하였다. 양방의 약제가, 인간 COL17A1 을 과잉 발현하는 tg 마우스와 동일하게, 창상 수복 프로세스를 유의하게 촉진시켰다 (도 12). 이상의 결과로부터 COL17A1 유도성의 약제가, 표피 줄기 세포의 증식에 의한 창상 가장자리부의 재상피화의 촉진을 통하여 피부 창상 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들 지견은,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신약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길을 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 7 :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유지 촉진시키는 물질의 탐색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의 추가적인 탐색을 실시하였다. 인간 표피 각화 세포를 384 웰 플레이트에 파종한 후에 시약을 첨가하여 48 시간 배양하고, 항 COL17A1 항체 그리고 형광 표지한 2 차 항체로 형광 면역 염색을 실시한 후, 하이 콘텐츠 이미징 시스템으로 세포당의 형광 강도를 검출하였다 (HCS : 하이 콘텐츠 스크리닝). 또, 일부의 물질에 대해서는 웨스턴 블로팅 (WB) 에 의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DAPI 에 의한 세포수의 계측에 추가하여, COL17A1 의 발현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COL17A1 의 발현을 통하여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 능력을 유지하는 물질군을 동정하였지만, 스테로이드 외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 등 일과성으로 COL17A1 의 발현을 상승시키지만, 장기적으로는 자기 복제능을 감약시키는 물질과의 구별이 불충분하여, 그것들을 COL17A1 의 발현 계측에서는 제외할 수 없다. 그래서, 콜로니 형성 어세이와 조합함으로써, COL17A1 을 통한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장기 촉진시키는 물질의 선출에 성공하였다. 결과를 도 15 와 표 1,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있어서, COL17A1 발현량 (컨트롤비) 에 있어서의 이중 동그라미 2 개 (◎◎) 는, 발현량이 2.0 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내고, 이중 동그라미 1 개 (◎) 는, 1.2 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내고, 동그라미 (○) 는, 1.0 ∼ 1.2 배의 유지를 나타낸다. 콜로니 수 또는 콜로니 면적의 컨트롤비에 있어서 이중 동그라미 2 개 (◎◎) 는, 1.2 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내고, 이중 동그라미 1 개 (◎) 는, 1.0 ∼ 1.2 배의 유지, × 는 1.0 이하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 ND (Not done) 는, 미해석을 나타낸다.
표피 줄기 세포가 발현하고 있는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중에, 콜로니 형성 능력, 요컨대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 능력을 높이는 것을 많이 관찰하였다 (도 16, 표 1, 표 2). 한편으로, 스트레스 반응성의 COL17A1 발현 변동과의 구별이 어려운 물질이나, 안정적으로 콜로니 형성 능력을 저하시키는 물질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COL17A1 의 발현 해석과 콜로니 형성 능력의 양방을 조합함으로써, 생체 내에서『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갖는 물질을 선택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COL17A1 의 발현량의 저하를 관찰하는 항암제 및 분자 표적약을 표 3 에 정리하였다. 대사 길항약이나 알킬화제 등 종래부터의 화학 요법제에 의해 COL17A1 의 발현이 변동한다. 특히 암세포를 표적으로 한 분자 표적약에 의해 COL17A1 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표 3).
실시예 8 : 항암제 및 각종 스트레스에 의한 COL17A1 의 저하
7 주령의 C57BL6 마우스에 항암제 하이드록시우레아를 월 3 회 투여하고, 3 개월 후에 조직을 회수하여, COL17A1 의 항체를 사용해서 면역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록시우레아를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기저층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도 17). 또, 인간 표피 각화 세포인 HaCaT 세포에 방사선 (20 ㏉, 30 ㏉), 자외선 (20 mJ, 30 mJ) 을 조사하고 각각 24 시간 후, 72 시간 후에 세포를 회수하여, COL17A1 에 대한 항체를 사용해서 웨스턴 블로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 자외선 조사 어느 것에 있어서도 현저한 COL17A1 단백량의 저하가 보였다. 또한 HaCaT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과산화수소를 투여하여, 동일하게 COL17A1 의 발현을 해석한 결과, 현저한 저하가 보였다 (도 17).
이상의 점에서, 항암제, 자외선, 방사선, 산화 스트레스 등 각종 스트레스에 의해 COL17A1 의 발현이 저하되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9 : 항암제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장해의 COL17A1 과잉 발현에 의한 개선 시험
인간 COL17A1 을 과잉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마우스 (COL17A1-Tg) 와 컨트롤 마우스 (Control) (약 18 개월령) 를 실험 환경에 대한 순화를 실시한 후, 마취하에서 등부의 털을 발모하여, 하기 6 군으로 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 Control 마우스 EGF 수용체 저해약 비투여군 (n = 3)
· COL17A1-Tg 마우스 EGF 수용체 저해약 비투여군 (n = 3)
· Control 마우스 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투여군 (n = 4)
· COL17A1-Tg 마우스 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투여군 (n = 4)
· Control 마우스 EGF 수용체 저해약 (게피티닙) 투여군 (n = 3)
· COL17A1-Tg 마우스 EGF 수용체 저해약 (게피티닙) 투여군 (n = 3)
항암제의 1 종이고 EGF 수용체 분자 표적약인 엘로티닙 또는 게피티닙은 5 ㎎/㎖ 의 농도로 0.5 %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용해시키고, 시험 개시부터 매일 50 ㎎/㎏/day 가 되도록 복강 내 주사에 의해 투여하였다. 컨트롤의 비투여군에는, 용매인 0.5 %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을 동일하게 투여하였다. 엘로티닙 또는 게피티닙 투여를 개시하여 7 일째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경표피 수분 증산량 (TEWL) 을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측정하였다. 측정은, Tewameter TN30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마우스 등부의 특정한 부위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에 대해 실시하였다.
도 18 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 의 결과로부터, 엘로티닙 또는 게피티닙을 투여한 Control 마우스에서는 유의하게 TEWL 이 증가하고 있었지만, 그것과 비교하여 COL17A1 을 과잉으로 발현하는 Tg 마우스에서는 엘로티닙 또는 게피티닙을 투여하에 있어서도, 유의하게 낮은 TEWL 값을 나타내어, 피부 장해가 경감되어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항암제 투여에 의해 야기된 피부 장해는, COL17A1 의 과잉 발현에 의해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이 촉진됨으로써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 항암제 투여에 의한 피부 장해의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한 개선 시험
C57BL6N 마우스 자성 (7 주령 또는 6 개월령) 을 실험 환경에 대한 순화를 실시한 후, 마취하에서 등부의 털을 발모하여, 체중값이 대략 균일해지도록, 하기 6 군 (n = 4) 으로 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 7 주령/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비투여군
· 7 주령/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투여 + 컨트롤 용매 도포군
· 7 주령/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투여 +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
· 6 개월령/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비투여군
· 6 개월령/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투여 + 컨트롤 용매 도포군
· 6 개월령/EGF 수용체 저해약 (엘로티닙) 투여 +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
엘로티닙은 5 ㎎/㎖ 의 농도로 0.5 %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용해시키고, 시험 개시부터 매일 50 ㎎/㎏/day 가 되도록 복강 내 주사에 의해 투여하였다. 컨트롤의 비투여군에는, 용매인 0.5 %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을 동일하게 투여하였다. 컨트롤 용매 도포군과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에는 각 조제물의 수용액을 1 일 1 회, 등부에 주 5 회 도포하였다. 컨트롤 용매 도포군에는, 아포시닌의 용매 (50 % 에탄올/PBS) 를 동일하게 도포하였다. 7 주령 마우스에 대해서는 엘로티닙 투여를 개시하여 7 일째, 6 개월령 마우스에 대해서는 12 일째의 TEWL 을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측정하였다. 측정은, Tewameter TN30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마우스 등부의 특정한 부위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에 대해 실시하였다.
도 19 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9 의 결과로부터, 엘로티닙을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현저하게 TEWL 이 증가하고 있었지만, 엘로티닙을 투여하에 있어서도 아포시닌을 도포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TEWL 이 저하되어, 피부 장해가 경감되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분자 표적약 투여에 의해 야기된 피부 장해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 고령 마우스의 피부 장해의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한 개선 시험
고령 마우스의 경부-등측 상부 피부에 있어서 고농도 에탄올 (100 %) 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성 피부 장해 (건조성 습진·탈모) 모델에 대해,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아포시닌) 을 계속적으로 도포하였다. 그 결과,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장해가 현저하게 경감되어, 현저하게 예방 그리고 치료 효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2 : 배리어 기능 개선 시험
피부 배리어 기능은, 피부가 하는 주요 기능으로서, 체내로부터 수분이 증산되거나, 체외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만,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반응성의 표피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배리어 기능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각층 수분량이나 TEWL 이 피부 배리어 기능의 평가에 사용되며, 반응성의 표피의 두께와 함께, 자외선이나 항암제 등에 의한 피부 장해의 정도를 반영하는 지표가 되고 있다.
헤어리스 마우스 HOS : HR-1 자성 (7 주령) 을 실험 환경에 대한 순화를 실시한 후, 체중값이 대략 균일해지도록, 하기 6 군으로 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 자외선 비조사군 (n = 2)
· 자외선 (UVB) 조사 + 용매 도포군 (n = 4)
· 자외선 (UVB) 조사 + 아포시닌 200 nM 도포군 (n = 4)
· 자외선 (UVB) 조사 +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 (n = 4)
· 자외선 (UVB) 조사 + Y-27632 2 μM 도포군 (n = 4)
· 자외선 (UVB) 조사 + Y-27632 20 μM 도포군 (n = 4)
이 때, 상기 용액 도포군에는, 헤어리스 마우스에 각 조제물의 수용액을 자외선 조사 전날부터 1 일 1 회, 매일 등부에 5 일간 도포하였다. 또,「자외선 + 용매 도포군」에서는, 상기 실시예 1 의 조제물의 용매 (50 % 에탄올/PBS) 를 동일하게 도포하였다. UVB 조사는 야요이사 제조의 자외선 조사 장치 (Y-UV-Lab-K-D5 등형) 를 사용하여, 하루 1 회 150 mJ/㎠ 의 강도로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개시하여 4 일째의 조사 부위의 각층 수분량 및 TEWL 을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측정하였다. 측정은, Corneometer CM825 및 Tewameter TN30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마우스 등부의 특정한 부위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에 대해 실시하였다.
도 21 은,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한 자외선 조사에 대한 각층 수분량 유지 작용을 나타낸다. 자외선 조사 후의 각층 수분량은, 자외선 조사 없음의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지만, 아포시닌 200 μM 투여군, Y-27632 2 μM, 20 μM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각층 수분량을 나타냈다. 이로써,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은, 자외선 조사에 대하여, 각층 수분량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한 자외선 조사에 대한 TEWL 억제 작용을 해석하였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 후의 TEWL 은, 자외선 조사 없음의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지만, 아포시닌 200 μM 투여군, Y-27632 20 μM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TEWL 을 나타냈다. 이로써,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TEWL 의 증대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13 : 피부 탄력성 (피부의 탄력) 개선 평가
자외선이나 가령에 따라 진피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피부는 탄력 (= 팽팽함) 을 잃어, 주름이나 늘어짐이 발생한다. 피부의 탄력을 확인하는 지표에는, 피부를 잡아당겼을 때의 늘어남이나 놓았을 때의 복원 등이 있으며, 가령에 따라 복수의 탄력성 지표가 저하되는 것이 밝혀져 있다. 피부의 탄력성의 증가는, 피부의 주름, 늘어짐 또는 탄력의 개선 효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헤어리스 마우스 HOS : HR-1 자성 (7 주령) 을 실험 환경에 대한 순화를 실시한 후, 체중값이 대략 균일해지도록, 하기 3 군 (n = 4) 으로 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 자외선 비조사군
· 자외선 (UVA + UVB) 조사 + 용매 도포군
· 자외선 (UVA + UVB) 조사 +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
이 때, 상기 용액 도포군에는, 각 조제물의 수용액을 UV 조사 전날부터 1 일 1 회, 등부에 주 3 회 5 주간 도포하였다. 또,「자외선 + 용매 도포군」에서는, 아포시닌의 용매 (50 % 에탄올/PBS) 를 동일하게 도포하였다. UVB 조사는 야요이사 제조의 자외선 조사 장치 (Y-UV-Lab-K-D5 등형) 를 사용하여, 주 3 회 UVA 를 2 J/㎠, UVB를 150 mJ/㎠ 의 강도로 5 주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개시하여 5 주일째의 각 군의 등부 (등뼈 중앙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2 개 지점) 의 피부 탄력 측정을 실시하였다. 피부의 탄력성은, Cutometer MPA58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파라미터 설정 : 300 mba, 온 시간 2 초, 오프 시간 2 초), 3 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해석에 사용하였다. 마우스 등부의 피부를 2 초간 흡인하고 나서, 2 초 후에 흡인을 해제함으로써, 흡인 직후와 흡인 해제 직전과 흡인 해제 직후의 각각의 시점에서 피부가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고, 흡인 초기의 급속한 신전 성 (Ue : 단위 ㎜), 흡인 해제 직전의 최대 피부 신전도 (Uf : 단위 ㎜), 흡인 해제 직후의 급속 회복량 (Ur : 단위 ㎜) 으로 하였다. 정미의 탄력의 지표로서, R5 = Ur/Ue 를, 탄력성의 지표로서, R7 = Ur/Uf 를 사용하였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의 탄력의 값은 유의하게 저하되지만,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도포한 시험군에서는, 비교군에 비해, 유의하게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였다. 피부의 탄력의 증가는, 피부의 주름, 늘어짐 또는 탄력의 개선 효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피부의 주름, 늘어짐 또는 탄력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4 : 장기 도포에 의한 피부 탄력성 (피부의 탄력) 향상성 평가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한 피부의 탄력의 개선 효과에 대해, 헤어리스 마우스 HOS : HR-1 자성 (7 주령) 을 실험 환경에 대한 순화를 실시한 후, 체중값이 대략 균일해지도록, 하기 3 군 (n = 2) 으로 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 컨트롤 (용매) 도포군
·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
· 레티놀 0.1 % 도포군
이 때, 상기 용액 도포군에는, 각 조제물의 수용액을 1 일 1 회, 등부에 주 3 회 7 주간 도포하였다. 도포를 개시하여 7 주일 후 (53 일째) 의 각 군의 등부 (등뼈 중앙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2 개 지점) 에 있어서, TEWL 측정과 피부 탄력 측정을 실시하였다. TEWL 측정은, Tewameter TN30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마우스 등부의 특정한 부위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에 대해 실시하였다. 피부의 탄력성은, Cutometer MPA58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파라미터 설정 : 300 mba, 온 시간 2 초, 오프 시간 2 초), 3 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해석에 사용하였다. 마우스 등부의 피부를 2 초간 흡인하고 나서, 2 초 후에 흡인을 해제함으로써, 흡인 직후와 흡인 해제 직전과 흡인 해제 직후의 각각의 시점에서, 피부가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고, 흡인 해방시의 피부의 복원 (Ua : 단위 ㎜), 흡인 초기의 급속한 신전성 (Ue : 단위 ㎜), 흡인 해제 직전의 최대 피부 신전도 (Uf : 단위 ㎜), 흡인 해제 직후의 급속 회복량 (Ur : 단위 ㎜) 으로 하였다. 정미의 탄력의 지표로서, R5 = Ur/Ue 를, 탄력성의 지표로서, R7 = Ur/Uf 를 설정하였다. 총 탄성의 지표로서, R2 = Ua/Uf 를 설정하였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장기에 계속적으로 도포한 시험군에서는, 비교한 레티놀에 비해, 3 개의 지표 전부에 있어서, 유의하게 피부의 탄력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레티놀은 계속 도포에 의해 피부의 TEWL 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배리어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있어서는, 정상적인 배리어 기능이 유지되고 있어,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의 계속 도포는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탄력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 늘어짐 또는 탄력의 예방,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5 : 주름 개선 시험
자외선 (UVA) 장기 조사에 의해 주름의 형성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에 있어서,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한 주름의 개선 효과를 보았다.
헤어리스 마우스 HOS : HR-1 자성 (7 주령) 을 실험 환경에 대한 순화를 실시한 후, 체중값이 대략 균일해지도록, 하기 4 군으로 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 자외선 비조사군 (n = 2)
· 자외선 (UVA + UVB) 조사 + 용매 도포군 (n = 4)
· 자외선 (UVA + UVB) 조사 +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 (n = 4)
· 자외선 (UVA + UVB) 조사 + 레티놀 0.1 % 도포군 (n = 2)
이 때, 상기 용액 도포군에는, 헤어리스 마우스에 각 조제물의 수용액을 UV조사 전날부터 1 일 1 회, 등부에 주 3 회 5 주간 도포하였다. 또,「자외선 + 용매 도포군」에서는, 아포시닌의 용매 (50 % 에탄올/PBS) 를 동일하게 도포하였다. 주름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는 레티놀을 비교 대조군으로서 0.1 % 의 농도로 동일하게 도포하였다. UVB 조사는 야요이사 제조의 자외선 조사 장치 (Y-UV-Lab-K-D5 등형) 를 사용하여, 주 3 회 UVA 를 20 J/㎠, UVB 를 100 mJ/㎠ 의 강도로 4 주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개시하여 1 주째부터 4 주째까지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등부을 고해상도 삼차원 화상 해석 장치 PRIMOS-CR (미국 Canfield Scientific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로 촬영하였다. 얻어진 이미지를 기초로, Primos OMC3_22 소프트웨어로 주름 총 체적 (㎣) 과 총 주름 평균 깊이 (㎛) 를 측정하였다. 피부의 유연성은, Cutometer MPA58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해서 측정하고, R0 의 값을 피부 유연성으로 하였다. R0 의 값은, 각질의 상태를 반영하고, 피부의 유연성의 지표가 된다. TEWL 은 각 군의 등부 (등뼈 중앙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2 개 지점) 에 대해 Tewameter TN300 (독일 Courage + Khazaka 사, 주식회사 인티그럴) 을 사용하여 계측하였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의 주름은 유의하게 증가하지만,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도포한 시험군에서는, 컨트롤군에 비해, 주름의 형성이 억제되어 있고, 그 정도는 레티놀보다 현저하였다. 이 때의 주름 총 체적 (㎣) 과 총 주름 평균 깊이 (㎛) 를 계측한 결과,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의 주름은 유의하게 증가하지만,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도포한 시험군에서는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 경표피 수분 증산량 (TEWL) 을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측정한 결과, 레티놀을 도포한 군에서는, 다른 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TEWL 의 증가가 보였다 (도 25). 한편으로,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도포한 군에서는 TEWL 값은 컨트롤과 차가 없고, 정상적인 배리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주름을 경감시키는 것이 시사되었다.
레티놀에 있어서의 TEWL 의 현저한 항진이 보인 점에서, 각층의 상태를 반영한다고 여겨지는 피부 유연성 (R0) 을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UV 조사에 의해 피부의 유연성의 값은 유의하게 저하되지만,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도포한 시험군에서는, 비교 대상의 레티놀에 비해, 유의하게 피부의 유연성을 개선하였다 (도 26). 이러한 점에서, 표피 줄기 세포의 세포 경합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은 레티놀과 비교하여, 각층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주름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16 : 피부 거?s 개선 시험 (아포시닌)
10 % 라우릴황산나트륨 (SDS) 용액으로 유발시킨 피부 거?s 모델 (화학 물질에 의한 피부 장해의 스탠더드가 되는 시험) 을 사용하고,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아포시닌) 을 투여하여, 피부 거?s 예방 또는 개선제의 피부 거?s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헤어리스 마우스 HOS : HR-1 자성 (7 주령) 을 실험 환경에 대한 순화를 실시한 후, 체중값이 대략 균일해지도록, 하기 3 군으로 군 분류를 실시하였다.
· SDS 비처리군 (n = 2)
· SDS 처리 + 용매 도포군 (n = 4)
· SDS 처리 + 아포시닌 200 μM 도포군 (n = 4)
헤어리스 마우스 등부에, 10 % SDS 용액 (70 % 에탄올에 용해) 500 ㎕ 를 스며들게 한 면화를 1 일째, 2 일째, 3 일째, 4 일째에 30 분간씩 첩부하였다. 아포시닌은, 시험 전날부터 4 일째까지 매일 등부에 도포하였다. 시험 개시를 개시하여 3 일째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상기와 동일하게 등부의 특정한 부위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에 대해 TEWL 을 측정하였다. 또 8 일째에 고해상도 삼차원 화상 해석 장치 PRIMOS-CR (미국 Canfield Scientific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로 촬영하고, 얻어진 이미지를 기초로, TEWL 을 측정한 부위와 동일한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각 10 ㎜ × 10 ㎜) 에 대해, Primos OMC3_22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Ra (산술 평균 조도)」,「Rz (10 점 평균 조도)」라고 불리는 피부의 표면 조도를 나타내는 높이 방향의 파라미터로 피부 거?s의 정도를 계측하였다.
도 27, 28 에 나타내는 시험 결과로부터, SDS 처리한 컨트롤에서는, 유의하게 TEWL 이 상승하고, 피부 거?s의 지표가 되는 Ra 및 Rz 의 값이 증가하고 있어, 현저하게 피부 거?s이 유발되어 있었다. 한편,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아포시닌) 을 도포한 마우스에서는, 용매를 도포한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등부의 TEWL 이 저하되고, 등부의 표면의 Ra 값 및 Rz 값도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아포시닌) 에는, 현저한 피부 거?s 예방 또는 피부 거?s 개선 작용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7 : 피부 거?s 개선 시험 (엡셀렌)
10 % 라우릴황산나트륨 (SDS) 용액으로 유발시킨 피부 거?s 모델을 사용하고,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엡셀렌) 을 투여하여, 피부 거?s 예방 또는 개선제의 피부 거?s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헤어리스 마우스 등부에, 10 % SDS 용액 (70 % 에탄올에 용해) 500 ㎕ 를 침투시킨 면화를 1 일째, 2 일째, 3 일째, 4 일째에 30 분간 첩부하였다. 엡셀렌은, 시험 전날부터 4 일째까지 매일 등부에 도포하였다. 시험 개시를 개시하여 8 일째의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해, 상기와 동일하게 등부의 특정한 부위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에 대해 TEWL 을 측정하였다. 동시에, 고해상도 삼차원 화상 해석 장치 PRIMOS-CR (미국 Canfield Scientific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로 촬영하고, 얻어진 이미지를 기초로, TEWL 을 측정한 부위와 동일한 등뼈 중앙부로부터 대칭으로 좌우 2 개 지점 (각 10 ㎜ × 10 ㎜) 에 대해, Primos OMC3_22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Ra (산술 평균 조도)」와「Rz (10 점 평균 조도)」라고 불리는 표면 조도를 나타내는 높이 방향의 파라미터로 피부 거?s의 정도를 계측하였다.
도 29, 30 에 나타내는 시험 결과로부터, SDS 처리한 컨트롤에서는, 유의하게 TEWL 이 상승하고, 피부 거?s의 지표가 되는 Ra 및 Rz 의 값이 증가하고 있어, 현저하게 피부 거?s이 유발되어 있었다. 한편,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엡셀렌) 을 도포한 마우스에서는, 용매를 도포한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등부의 TEWL 이 저하되고, 등부의 표면의 Ra 값 및 Rz 값도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엡셀렌) 에는, 현저한 피부 거?s 예방 또는 피부 거?s 개선 작용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8 : 인간 피부 거?s 개선 시험
피험자 2 명에 대해, 10 % 라우릴황산나트륨 (SDS) 용액으로 유발시킨 피부 거?s 시험 (인간에 있어서의 화학 물질에 의한 피부 장해의 스탠더드가 되는 시험) 을 사용하고,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을 투여하여, 피부 거?s 예방 또는 개선제의 피부 거?s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전완 내측부에 1.5 ㎝ 사방의 사각형의 부위를 6 개 지점 형성하고, 각각에 하기의 처리를 실시하였다.
· SDS 비처리 (70 % 에탄올 처리) 군
· SDS 처리 + 용매 (50 % 에탄올/PBS) 도포군
· SDS 처리 + 아포시닌 (200 μM) 용액 도포군
· SDS 처리 + 엡셀렌 (0.25 %) 용액 도포군
· SDS 처리 + 셀레콕시브 (2 %) 용액 도포군
피험부에 10 % SDS 용액 (70 % 에탄올에 용해) 500 ㎕ 를 침투시킨 면화를 0 일째, 1 일째에 30 분간씩 첩부하였다. 아포시닌은, 0 일째의 SDS 처리 전, 처리 후에 도포 후, 9 일째까지 매일 1 회 피험부에 도포하였다. 각 피험부에 대해 SDS 처리 전, 처리 후, 1 일째부터 7 일째까지 매일 TEWL 을 측정하였다. 각 부위에 대해, 측정일의 TEWL 값으로부터 SDS 처리 전의 TEWL 값을 공제한 값을「ΔTEWL」로 하고, 이 값을 평가의 대상으로 하였다. 또, 디지털 카메라로 및 고해상도 삼차원 화상 해석 장치 PRIMOS-CR (미국 Canfield Scientific 사 제조, 주식회사 인티그럴) 로 피험부를 촬영하였다. PRIMOS 촬영 화상에 대해서는 Primos OMC3_22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Ry (최대 높이)」와「Rz (10 점 평균 조도)」라고 불리는 표면 조도를 나타내는 높이 방향의 파라미터로 피부 거?s의 정도를 계측하였다. 각 부위에 대해, 측정일 Rz 또는 Ry 값으로부터 SDS 비처리의 컨트롤의 Rz 또는 Ry 값을 공제한 값을「ΔRz」「ΔRy」로 하고, 이 값을 평가의 대상으로 하였다.
도 31 ∼ 33 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DS 처리 후 컨트롤 및 각 용액을 도포한 환부에서 발적과 피부 거?s이 명확하게 보이는데, 7 일째에는 컨트롤 용액을 도포한 환부에서는 발적과 피부 거?s이 계속되고 있지만,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의 도포부에서는 현저하게 그것들의 경감이 보였다. 또한 16 일째에 있어서, 컨트롤에서는 환부에 색소의 침착이 보였지만, 아포시닌을 도포한 환부에서는 색소의 침착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DS 에 의해 야기된 피부 거?s에 의해 ΔTEWL 의 값이 현저하게 증가하지만,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의 도포에 의해 ΔTEWL 의 값은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도 33 의 결과에 보이는 바와 같이, 피부 표면의 고해상도 사진을 기초로 피부의 살결을 해석하면, SDS 처리의 컨트롤에서는 피부 거?s이 현저하게 유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의 도포에 의해 그것들이 현저하게 경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피부 표면의 조도를 나타내고, 피부 거?s의 지표가 되는 ΔRz 값 및 ΔRy 값이 SDS 처리의 컨트롤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지만,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를 도포한 환부에서는 이것들의 ΔRz 값 및 ΔRy 값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SDS 용액에 의해 현저하게 유발된 피부 거?s 그리고 색소 침착은,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의해 현저한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1 ∼ 33 의 결과로부터, 표피 줄기 세포의 경합적 자기 복제능을 촉진시키는 물질에는, 인간에 있어서도 현저한 피부 거?s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이 확인되고, 화학 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과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조예 1
(1) 나포마 (Apocynum venetum) 추출물의 제조
나포마 추출물은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나포마 (Apocynum venetum) 의 건조잎을 분쇄하고, 그 분쇄물에 60 % 에탄올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 잔류물을 다시 60 % 에탄올로 가열 환류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1 회째의 추출액과 2 회째의 추출액을 합쳐 감압 농축 후, pH 를 3 으로 조정하고, 하룻밤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합성 흡착 수지에 통액시키고, 수세한 후에 70 % 에탄올로 탈리한 획분을 모아, 감압 농축, 스프레이 건조를 실시하여, 나포마 추출물을 얻었다.
(2) 뽕나무 (Morus alba)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은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뽕나무 (Morus alba) 의 잎에 50 % 에탄올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액을 감압 농축시킨 후, 부형제를 넣고, 건조를 실시하여, 뽕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3) 김네마 (㏉mnema sylvestre) 추출물의 제조
김네마 추출물은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김네마 (㏉mnema sylvestre) 잎의 분쇄물을 70 % 에탄올로 가열 환류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농축시킨 후, 감압 건조시켜, 김네마 추출물을 얻었다.
(4) 차 (Camellia sinensis) 추출물
차 추출물은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차 (Camellia sinensis) 잎을 열수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액을 흡착 수지로 정제를 실시한 후, 감압 농축시키고, 건조를 거쳐, 차 추출물을 얻었다.
(5) 밀크시슬 (Silybum marianum)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은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밀크시슬 (Silybum marianum) 수과 (瘦果) (탈지 찌꺼기) 를 90 ∼ 95 % 에탄올로 가열 환류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액을 감압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정제한 후, 감압 농축, 온풍 건조를 거쳐, 밀크시슬 추출물을 얻었다.
(6)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잎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은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잎의 분쇄물을 80 % 에탄올로 가열 환류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액에 활성탄을 넣어, 탈색 공정을 실시한 후, 탈색액을 감압 농축, 감압 건조시켜, 비파나무 잎 추출물을 얻었다.
(7) 흑울금 (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의 제조
흑울금 추출물은 (주) 토키와 식물 화학 연구소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흑울금 (Kaempferia parviflora) 근경 (根莖) 의 건조 칩을 믹서에 의해 분쇄하고, 그 분쇄물에 80 % 에탄올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 잔류물을 다시 80 % 에탄올로 가열 환류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1 회째의 추출액과 2 회째의 추출액을 합쳐 감압 농축시킨 후, 부형제를 넣고, 감압 건조를 실시하여, 흑울금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표 4 에 나타내는 식물 엑기스를, 각종 식물의 각각의 부위로부터 소정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Figure pct00004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러한 실시양태가 단순히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변경, 치환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다양한 대체적 실시형태가,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참조하고 있는 특허 및 특허 출원 서류를 포함하는, 모든 간행물에 기재된 내용은, 그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 중에 명기된 내용과 동일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원은, 일본 특허출원 2019-59616호 (출원일 : 2019년 3월 27일) 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출원이며, 이것은 인용함으로써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기와 같이, 본 발명자는, 피부의 노화와 재생, 또한 항암제나 방사선에 의한 피부 장해에 COL17A1 (XVII 형 콜라겐) 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알아내어,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피부 노화의 억제, 세포 경합의 제어, 및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의 향상을 위해 유용한 조성물을 동정하였다.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에 의한 치료 계속이 큰 과제가 되고 있으며, 예후에 관련된 문제가 되고 있다. 암 치료를 계속하면서 일을 계속하는 암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어피어런스 케어의 요구는 매우 높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세포 및 방법은, 항암제 치료의 계속, 외과 의료, 재생 의료, 미용 등의 분야에 있어서,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0)

  1.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또는 피부 궤양 혹은 욕창의 예방 혹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피부 노화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을 높이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주름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주름 방지가, 피부 탄력성의 개선, 각층 기능의 개선, 피부 보습능의 개선, 및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의한 것인 조성물.
  7. 기미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피부 거?s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추가로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COX 저해제, iNOS 저해제, ROCK 저해제 및 에스트로겐형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가, 아포시닌, 엡셀렌, 디페닐렌아이오도늄 (Diphenyleneiodonium, DPI), GKT137831, AEBSF, GK-136901, ML171, Coenzyme Q10 (CoQ10), VAS2870 및 VAS3947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COX 저해제가, 셀레콕시브, 데라콕시브, 톨페나믹산, 니플룸산, FR122047, LM-1685, SC-791, BTB02472, 니메술리드, SPB04674, 커큐민, 디클로페낙, 4'-하이드록시디클로페낙, DuP-697, 엡셀렌, ETYA,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멜록시캄, NPPB, NS-398, 프테로스틸벤, 레스베라트롤, SC-560, SKF-86002, TXA (트라넥삼산), TXC (트라넥삼산세틸염산염), 아스타잔틴, 및 황화술린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iNOS 저해제가, 1400W, L-NIL, 아미노구아니딘, BYK190123, S-에틸이소티오우레아, S-메틸이소티오우레아, S-아미노에틸이소티오우레아, 2-이미노피페리딘, 부틸아민, ONO-1714 ((1S,5S,6R,7R)-7-클로로-3-이미노-5-메틸-2-아자비시클로[4.1.0]헵탄하이드로클로라이드), AMT 염산염 (2-아미노-5,6-디하이드로-6-메틸-4H-1,3-티아진염산), AR-C102222, L-NG-니트로아르기닌, L-NG-모노메틸아르기닌, L-니트로아르기닌메틸에스테르, L-NIO, 덱사메타손, 에스트로겐, 아스타잔틴, 및 아피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ROCK 저해제가, Y-27632, 리파수딜 (K-115), 티아조비빈 (Thiazovivin), 파수딜 (HA-1077), GSK429286A, RKI-1447, GSK269962, 네타르수딜 (AR-13324), Y-39983, ZINC00881524, KD025, 하이드록시파수딜 (HA-1100), GSK180736A 및 AT13148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5. 제 10 항에 있어서,
    에스트로겐형 물질이, 에스트로겐,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대두 엑기스, 이소플라본, 범부채 엑기스, 푸에라리아 미리피카 뿌리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이, 호중구 엘라스타아제 (ELANE) 저해제 및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MMP) 저해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ELANE 저해제가, 시벨레스타트 나트륨 수화물 (모노소듐 N-{2-[4-(2,2-디메틸프로파노일옥시)-페닐설포닐아미노]벤조일}아미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ONO-6818 (2-(5-아미노-6-옥소-2-페닐하이드로피리미디닐)-N-[2-(5-tert-부틸-1,3,4-옥사디아졸-2-일)-1-(메틸에틸)-2-옥소에틸]아세트아미드), α1 안티트립신 (α1-AT), 데펠레스타트 (Depelestat), 닐원 (삼불화이소프로필옥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피롤리딘카르보닐메틸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벤조일아미노아세트산 Na), 차조기 잎 발효물, 파슬리 발효물, 피망 발효물, ELANE 에 대한 항체, ELANE 를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siRNA, 및 ELANE 를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9. 제 17 항에 있어서,
    MMP 저해제가, 마리마스타트 (Marimastat), 바티마스타트 (Batimastat), PD166793, Ro32-3555, WAY170523, UK370106, TIMP1, TIMP2, TIMP3, 및 TIMP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2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게놈 스트레스가, 자외선, 방사선 혹은 항암제에 의한 DNA 손상 스트레스, 또는 세포 분열에 수반되는 복제 스트레스 중 어느 것인, 조성물.
  21.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 노화가, 이하의 (a) ∼ (f)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조성물.
    (a) 표피, 진피 및/또는 지방직의 비박화, 취약화, 위축 또는 탄력의 저하
    (b) 표피 배리어 기능 저하 또는 피부의 건조
    (c) 기저막부의 헤미데스모솜의 감소 또는 미숙화
    (d) 진피 상층의 섬유아 세포의 소실, 또는 피부의 건조에 의한 잔주름 혹은 소주름
    (e) 진피의 콜라겐 감소에 의한 주름의 생성
    (f) 기미, 노인성 색소반, 또는 탈색소반
  22. 제 2 항에 있어서,
    주름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인, 조성물.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제인, 조성물.
  26.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인, 조성물.
  27. 유효 성분을 0.01 ∼ 15 중량% 로 함유하는, 제 26 항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
  28. 스킨 케어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인,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
  29. 피부 항노화제, 피부 색조제, 항염증제 및 자외선 차단제 중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
  30. 피부 창상 치유의 촉진 혹은 피부 궤양의 예방 혹은 개선, 피부 노화의 억제, 세포 경합의 제어, 표피 줄기 세포의 재생 능력의 개선, 항암제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혹은 개선, 주름 방지, 및/또는 피부 거?s의 개선에 유효한 물질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ⅰ) in vitro 에서 세포와 시험 물질을 접촉시키는 공정,
    ⅱ)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측정하는 공정, 및
    ⅲ) 그 시험 물질이 COL17A1 의 발현을 상승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31.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
  32.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33.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
  34.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35.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지표로 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
  36.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의 선별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37.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COL17A1 의 발현량을 측정하고, COL17A1 의 발현량이 높은 표피 줄기 세포를 선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
  38. COL17A1 에 대한 항체, 또는 COL17A1 을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한 프로브 혹은 당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표피 줄기 세포 및/또는 표피 세포의 증폭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39.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40. 제 39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COX 저해제, iNOS 저해제, ROCK 저해제 및 에스트로겐형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아스타잔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42.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섭취하기 위한 것인,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43. 제 39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제, 분말, 반고체, 젤리 또는 액체의 형태인,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44. 제 39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항노화제, 비타민제, 콜라겐 및 미네랄 중 적어도 1 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미용 서플리먼트.
  45. COL17A1 을 발현하는 단리된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조성물.
  46. 제 45 항에 있어서,
    세포가 표피 각화 세포, 또는 점막 상피 각화 세포인, 세포 조성물.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 조성물.
  48. 제 45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질환 또는 상해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 조성물.
  49. 제 45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 103 개의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조성물.
  50. 제 45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50 % 의 세포가 COL17A1 을 발현하는, 세포 조성물.
  51. 제 45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가 줄기 세포 유래의 세포인, 세포 조성물.
  52. 제 45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가 동결되어 있는, 세포 조성물.
  53. 제 45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가 1 개의 용기에 담겨져 있는, 세포 조성물.
  54. 제 45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가,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처리된 세포인, 세포 조성물.
  55. 제 53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NADPH 옥시다아제 저해제, COX 저해제, iNOS 저해제, ROCK 저해제 및 에스트로겐형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세포 조성물.
  56. 제 54 항 또는 제 55 항에 있어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이, 아포시닌, 엡셀렌, 셀레콕시브, 아피게닌, Y-27632, 리파수딜, 1400W, 아스타잔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오카닌 A, 네크로스타틴 1, 나포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김네마 추출물, 차 추출물, 비파나무 잎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흑울금 추출물, 왕질경이 종자 엑기스, 커피 종자 엑기스, 왕벚나무 잎 엑기스, 인도멀구슬나무 잎 엑기스, 만다린 오렌지 과피 엑기스, 라벤더 꽃 엑기스, 고삼 뿌리 엑기스, 쌀겨 엑기스, 개장미 과실 엑기스, 하마멜리스 잎 엑기스, 유칼리 잎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인삼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세포 조성물.
  57. 제 45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포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시트.
  58. 세포 경합의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발현을 유도 또는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COL17A1 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 표피 줄기 세포의 자기 복제능을 유지하는 물질, 세포에 있어서의 게놈 스트레스 또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 및 세포에 있어서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9. 케라티노사이트를 3 차원 배양함으로써,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을 평가하는 방법.
  60. 케라티노사이트 및 3 차원 배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의 세포 경합의 평가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KR1020217034883A 2019-03-27 2020-03-26 피부용 조성물 KR202101448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9616 2019-03-27
JPJP-P-2019-059616 2019-03-27
PCT/JP2020/013856 WO2020196801A1 (ja) 2019-03-27 2020-03-26 皮膚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835A true KR20210144835A (ko) 2021-11-30

Family

ID=7260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883A KR20210144835A (ko) 2019-03-27 2020-03-26 피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31389A1 (ko)
EP (1) EP3978020A4 (ko)
JP (2) JP7214268B2 (ko)
KR (1) KR20210144835A (ko)
CN (1) CN113874044B (ko)
WO (1) WO2020196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3276942A1 (ko) * 2021-06-28 2023-01-05
CN115040430B (zh) * 2022-06-15 2024-03-12 和讯科技(吉林省)集团有限公司 一种含ebselen的防晒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7815149A (zh) * 2024-03-04 2024-04-05 广州汇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螨作用的组合物及其在制备除螨乳液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509A (ja) 2008-05-21 2009-07-23 Kanazawa Univ Xvii型コラーゲンに関する脱毛抑制剤、毛髪の脱色素化抑制剤
WO2017122668A1 (ja) 2016-01-12 2017-07-20 国立大学法人 東京医科歯科大学 脱毛および白毛化を抑制もしく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ならびに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4742B2 (ja) 2004-08-27 2011-02-02 株式会社東洋新薬 シソの葉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075085A (ja) 2004-09-09 2006-03-23 Toyo Shinyaku:Kk パセリ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076926A (ja) 2004-09-09 2006-03-23 Toyo Shinyaku:Kk ピーマン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273761A (ja) 2005-03-29 2006-10-12 Kanebo Cosmetics Inc Dna修復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ES2326917T3 (es) * 2005-05-04 2009-10-21 Coty Prestige Lancaster Group Gmbh Uso de captadores de radicales libres para proteger y tratar la piel y el pelo de los daños causado por la quimioterapia.
JP2008247854A (ja) 2007-03-30 2008-10-16 Shiseido Co Ltd 抗酸化剤、dna損傷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1886342B1 (ko) * 2010-11-30 2018-08-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노화와 관련된 유전자 및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WO2013031003A1 (ja) 2011-09-01 2013-03-07 株式会社マンダム Dna修復促進剤およびdna損傷抑制剤
JP6545926B2 (ja) * 2012-11-30 2019-07-17 株式会社ナノエッグ 手足症候群治療用組成物
US9872825B2 (en) 2013-03-29 2018-01-23 Osaka University Peptide with anti-aging effect and use thereof
JP2018108973A (ja) * 2017-01-05 2018-07-12 丸善製薬株式会社 Xv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9059616A (ja) 2017-09-28 2019-04-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記録装置
CN109045001A (zh) * 2018-09-13 2018-12-21 潘治忠 p300活化剂CTPB及其衍生物在提高胶原蛋白Col17A1表达的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509A (ja) 2008-05-21 2009-07-23 Kanazawa Univ Xvii型コラーゲンに関する脱毛抑制剤、毛髪の脱色素化抑制剤
WO2017122668A1 (ja) 2016-01-12 2017-07-20 国立大学法人 東京医科歯科大学 脱毛および白毛化を抑制もしく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ならびにその使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tsumura, H. et al. Hair follicle aging is driven by transepidermal elimination of stem cells via COL17A1 proteolysis. Science 351, aad4395 (2016).
Tanimura et al., Cell Stem Cell Vol.8, February 2011, pp.177-18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6801A1 (ja) 2020-10-01
JP2023052310A (ja) 2023-04-11
EP3978020A1 (en) 2022-04-06
CN113874044B (zh) 2024-03-29
US20220331389A1 (en) 2022-10-20
JP7214268B2 (ja) 2023-01-30
JPWO2020196801A1 (ko) 2020-10-01
CN113874044A (zh) 2021-12-31
EP3978020A4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5364B2 (ja) MC−1R、MC−2R、およびμオピオイド受容体調節
CA2799223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magp-1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skin
JP5184094B2 (ja) 化粧品組成物における植物抽出物の使用
TWI515019B (zh) Tiliacora triandra於化妝品之用途及其組合物
JP7214268B2 (ja) 皮膚用組成物
US764206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appearance of skin
CA2793423C (en) Use of eclipta prostrata and other ppar-gamma inhibitors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JP2008525447A (ja) 肌の状態と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7182444A (ja) ハッカの抽出物の化粧的使用
CN112752566A (zh) 显示出类视黄醇活性的植物提取物和细菌提取物
US9084744B1 (en) Use of Tiliacora triandra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JP2015503577A (ja) クニフォフィア・ウバリア種子の抽出物、それを含有する化粧用又は皮膚用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使用
JP2014122183A (ja) Dna損傷抑制剤
JP2014129267A (ja) Dna損傷抑制剤
JP2012516858A (ja) 美容的皮膚トリートメントに使用するためのドリコスビフロルス抽出物
TW201622695A (zh) 抗老化用皮膚外用劑
JP2014125429A (ja) Dna損傷抑制剤
KR102511527B1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8079006A (zh) 皮肤组合物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135960A (ja) 組成物
BR112017013282B1 (pt) Uso cosmético, e, processo de cuidado cosmético
JP2024055620A (ja) 美白外用剤、これを含む化粧品、医薬品、及び医薬部外品、並びに皮膚美白方法
KR101297361B1 (ko) 작설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02502A (ko)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및 지방세포 분화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