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817A -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817A
KR20210144817A KR1020217034577A KR20217034577A KR20210144817A KR 20210144817 A KR20210144817 A KR 20210144817A KR 1020217034577 A KR1020217034577 A KR 1020217034577A KR 20217034577 A KR20217034577 A KR 20217034577A KR 20210144817 A KR20210144817 A KR 2021014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eriodicity
layer
blood pressure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야 이이나가
Original Assignee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8Signal modulation applied to the input signal sent to patient or subject; demodulation to recover the physiological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8Artificial waveform generation or derivation, e.g. synthesising signals from measured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61B2562/0238Optical sens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transmission measurements o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61B5/7257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using Fourier trans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과제] 비침습 지질계측에 의해,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부로부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에 배치되어,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와,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혈압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을 이용한 생체 계측에서는, 흡수와 산란의 2가지 현상을 이용하기 위하여, 분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연구가 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한번의 계측으로 산란 계수와 흡수 계수를 도출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WO 2014087825 A
그러나, 이 수법에 있어서는, 피검체가 균일층인 것이 전제이므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생체계측에 있어서, 새로운 정밀도 향상이 필요했다. 게다가, 생체계측의 정밀도가 향상되면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비침습 지질계측에 의해, 혈압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혈압계측장치는,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부로부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에 배치되어,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와,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혈압계측장치는,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부로부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에 배치되어,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사용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측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압계측방법은,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고, 조사 위치로부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위치에서의,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고,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광의 주기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광의 주기성의 교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2층계(two-layer system)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파고(wave height)와 혈압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광강도 검출부가 대면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광강도 검출부가 대면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혈압계측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의 측정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등과 같이 주기를 가진 광은 주기성을 가지고 발광하고, 수광강도변화도 그에 따른다.
주기성을 가진 광이 산란 흡수체에 입사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주기성은 소실된다. 여기서, 입사한 광의 소정 시간 내의 수광강도의 최대값(도면 중의 A)과 최소값(도면 중의 B)의 차이(도면 중의 C)를 파고라 한다. 이 주기성은 일견 난잡하게 보이지만, 주기성이 소실된 것처럼 보이고 있어도, 흡수 산란체에 의해서 가장 흡수의 영향이 적은 광자가 최대값, 최소값을 나타내고, 흡수에 의해 손실된 광자가 난잡한 상태로서 나타난다.
이 현상은,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산란체 박막층(제1층)과 그 하부의 흡수 산란체(제2층)로 이루어진 2층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굴절률이 다른 2층의 경우, 입사광(X)은 제1층으로 확산되어, 제2층에 입사하는 광량은 감소된다.
즉, 수광부(A)에 있어서는, 산란만으로 흡수를 받고 있지 않은 광과, 산란 흡수의 2종의 영향을 받은 2개의 광을 수광하고 있게 된다.
실제의 계측에서는, 제1층을 표피, 제2층을 진피층 등으로 한, 모세혈관층 등에 의한 혈액을 포함하는 층과 포함하지 않는 층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광부(A)와 같이, 입사부와 수광부 사이가 비교적 짧을 경우에는, 파형의 난잡함이나, 파고나 측정값의 감소로부터, 흡수 산란체에 의한 광의 흡수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이 거리에 있어서의 파고 해석은, 후방에 예각으로 반사되고, 그리고 흡수를 포함하므로, 파장보다도 대형의 흡수 산란체인 혈구의 영향이 크다고 상정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도 3의 수광부(A)와 같이, 입사부와 수광부 사이가 비교적 짧을 경우의 파고(도 2의 수광강도의 측정값의 차이(C))와 혈압의 상관을 검증하였다. 혈압은, 최대혈압을 상정하고, 간접적으로 모세혈관이 확장되는 등 되어, 광로의 혈액비율이 증대되고 있다고 여기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입사부와 수광부의 짧은 거리란, 입사광의 주기가 소실되어서 검출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입사부와 수광부의 거리는, 수광강도로 말하면 입사광강도에 대해서 1/20 이상의 강도가 얻어지는지, 혹은 FFT 해석에 의해 광의 주기가 소실되어 확인할 수 없는 거리이다. 예를 들면, FFT 해석에 의해 확인되는 광의 주기성의 판단은 FFT 해석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주파수의 전후 10㎐의 강도값의 1.1배보다 클 경우에 주기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계측 가능 FFT 강도비>(목적 주파수의 FFT에서의 강도)/{[(목적 주파수+10㎐의 FFT에서의 강도)+(목적주파수-10㎐의 FFT에서의 강도)]/2}=1.1)). 반대로 말하면, FFT 해석에 의해 확인되는 광의 주기성의 판단은, FFT 해석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주파수의 전후 10㎐의 강도값보다 1.1배 이하인 경우에 주기성이 소실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파고와 혈압의 상관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험자 6명에 대해서, 1일 6회, 광계측과 혈압계측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상관은 0.7 이상으로 되어, 혈압을 계측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파고는, 1점만의 파고의 경우, 계측 가능하지만, 흡수와 산란이 포함되기 때문에, 계측 오차를 일으키기 쉽다. 그래서, 동일 거리에서 복수점에서 수광하거나, 거리를 변화시켰을 때의 파고강도의 변화율 등 때문에, 계측 시의 오차를 평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고는 진폭의 크기를 알고 있으면 되고, 계측 시간 내에 있어서의 파고의 측정값의 중간값이나 평균값과, 최대값이나 최소값의 폭이어도 된다. 또, 파고의 측정값의 평균값과 피크 탑(peak top)의 차이, 혹은 파고의 측정값의 평균값과 피크 바텀(peak bottom)의 차이, 즉, 반값으로 분석해도 된다.
이하에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100)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압계측장치(100)는, 조사부(11), 광강도 검출부(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의 조사부(11)는, 광강도 검출부(12)로부터 소정의 거리(ρ)를 두고, 배치된다. 조사부(11)는, 주기성을 가진 광을,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C)에 조사한다. 조사부(11)는, 예를 들어, 형광등, LED, 레이저, 백열등, HID, 할로겐 램프 등이다. 또한, 조명부(11)는, 주기적으로 개폐되는 셔터 등의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차광 시간을 조정하고, 연속적으로 조사되는 조사광에 주기성을 갖게 해도 된다. 조사부(11)의 조도는, 제어부(13)에 의해 제어된다.
조사부(11)는 파장범위를 혈장의 무기물에 의해서 광이 흡수되는 파장범위 이외로 조정할 수 있다. 조사부(11)는 혈액의 세포성분에 의해서 광이 흡수되는 파장범위 이외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혈액의 세포성분이란, 혈중의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이다. 혈장의 무기물이란, 혈중의 물 및 전해질이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주기성을 가진 광원인 조사부(11)를 혈액계측장치(100)가 포함하는 것으로 했지만, 혈액계측장치(100)가 설치되는 실내의 형광등, LED 조명 등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혈액계측장치(100)에 조사부(11)를 설치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실시형태의 광강도 검출부(12)는, 피검체(C) 내로부터 피검체(C) 외로 방출되는 광을 수광한다. 광강도 검출부(12)는, 조사부(11)로부터, 주기성을 가진 광이 피검체(C)의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ρ)에 배치된다. 실시형태의 광강도 검출부(12)는 포토다이오드이다. 광강도 검출부(12)는, 포토다이오드로 한정되지 않고, CCD나 CMOS이어도 된다. 광강도 검출부(12)는,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한다. 광강도 검출부(12)는, 파장을 가시광 이외로 설정하고, 그 파장을 수광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광강도 검출부(12)는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된다. 광강도 검출부(12)는 검지한 광강도를 제어부(14)에 송신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강도 검출부(12)(도면 중의 수광부)는, 피검체를 사이에 끼운 조사부(11)의 대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귓불이나 손끝 등, 비교적 두께가 없고, 광이 관통하기 쉬운 장소를 측정할 경우에는, 이러한 배치도 가능하다. 조사부 및 광강도 검출부(도면 중의 수광부)는 피검체에 접촉해도 되고(도 6b),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도 6a).
다음에, 혈압계측장치(100)의 제어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시스템 버스(132)를 개재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31), ROM(Read Only Memory)(133), RAM(Random Access Memory)(134), HDD(Hard Disk Drive)(135), 외부 I/F(Interface)(136), 조사부(11) 및 광강도 검출부(12)가 접속된다. CPU(131)와 ROM(133)과 RAM(134)으로 제어부(13)를 구성한다.
ROM(133)은 CPU(13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역치를 미리 기억한다.
RAM(134)은, CPU(13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에어리어와,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작업 영역이 되는 워크 에어리어 등의 여러 가지 메모리 에어리어 등을 갖는다.
HDD(135)는 혈압과 파고의 상관을 복수의 사람에 대해서 작성하여 검량선으로 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외부 I/F(136)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PC)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I/F(136)는,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면 되고, 예를 들면, 외부장치에 로컬로 접속하는 기기(USB 메모리 등)이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혈압계측장치(100)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해서, 혈압계측장치(100)는 혈압계측 잡(job)을 실행한다.
제어부(13)는, 광강도 검출부(12)가 검지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파고를 산출한다.
파고는 하기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파고=수광강도(tp)(mV)-수광강도(tb)(mV)
여기서, 수광강도(tp)(mV)는,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조명광의 주기적인 변화에 의해 생기는 수광강도변화의, 피크 탑의 수광강도를 나타낸다. 100㎳의 수광강도변화에 있어서는 도 2의 (A)가 피크 탑의 수광강도에 상당한다. 수광강도(tb)(mV)는,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주기적인 수광강도변화의 바텀의 수광강도를 나타낸다. 100㎳의 수광강도변화에 있어서는 도 2의 (B)가 바텀의 수광강도에 상당한다. 따라서, 100㎳의 수광강도변화에 있어서의 파고는 도 2 중의 (C)가 된다. 또한, (tp)는 수광강도변화가 피크 탑이 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tb)는 수광강도변화의 바텀이 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기간을 100㎳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약 100㎳ 부근 혹은 다른 기간으로 해도 된다.
실내광을 이용할 경우 등에서, 복수 광원이 존재할 경우, 광원의 발광 강도차 등으로부터, 숄더(shoulder)를 가진 파형이 될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기재와 같이, 계측 시에 있어서의 피크 탑과 피크 바텀을 채용하면 된다.
또, 주기적인 변화량의 산출 시에, 파고를, 평균값과 피크 탑의 차이, 혹은 평균값과 피크 바텀의 차이, 즉, 반값으로서 분석해도 된다.
제어부(13)는, 파고(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수광강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에 의거해서, 혈압을 산출한다. 이 산출법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고와 혈압의 상관을 복수의 사람에 대해서 작성하고, 그것을 검량선으로 한 데이터를 HDD(135)에 보유하고, 제어부(13)는, 해당 데이터로부터 파고에 대응하는 혈압을 산출한다. 파고를,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수광강도의 평균값과 피크 탑의 차이, 혹은 평균값과 피크 바텀의 차이, 즉, 반값으로서 혈압과의 상관을 취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사부와 수광강도 검출부와 제어부를 일체의 장치로서 구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사부와 광강도 검출부로서 휴대 단말(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장치에 구비되는 조명(LED 등) 등이나 센서(CMOS 등) 등을 이용해서, 제어부를,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접속한 서버 장치 등에 설치해도 된다.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는,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부에서 조사된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에 배치되어, 피검체로부터 방출되는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혈압계측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파고를 구하고, 파고로부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시스템은, 광강도를 측정하는 사용자 장치(300)와, 해당 광강도로부터 혈압을 산출하는 혈압계측장치(200)로 구성된다. 사용자 장치(300)와 혈압계측장치(200)는, 무선 또는 유선통신망(N)을 개재해서 네트워크 접속된다.
혈압계측장치(200)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송신된 광강도에 의거해서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혈압을 산출하기 위한 장치이며,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나, 장치의 대수나 송수신하는 데이터량에 따라서는 서버 장치가 적당히 이용된다.
사용자 장치(3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이며, 단독의 장치일 경우도 있고, 휴대전화, 손목 시계 등에 탑재될 경우도 있다.
사용자 장치(300)는,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31)와,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32)와 통신부(33)를 포함한다. 통신부(33)는, 광강도 검출부(32)로 검출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송신한다. 조사부(31)와 광강도 검출부(32)의 동작·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혈압계측장치(200)는 통신부(24)와 제어부(23)를 포함한다. 통신부(24)는,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N)를 개재해서 수신하고, 제어부(23)에 송신한다. 제어부(23)의 동작·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어부(13)와 마찬가지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혈압계측장치(200)에, 네트워크(N)를 개재해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송신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장치(300)와 혈압계측장치(200)가, 네트워크(N)를 개재해지 않고 직접 접속되고,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 등의 수단에 의해 광강도를 송신해도 된다.
다음에, 실시형태의 혈압계측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의 혈압계측방법의 순서도이다.
실시형태의 혈압계측방법은, 조사부가, 소정의 조사 위치에,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고(단계 101), 광강도 검출부가, 조사 위치로부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위치에서, 피검체로부터 방출되는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고(단계 102), 제어부가,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파고를 구하고(단계 103), 파고로부터 혈압을 구한다(단계 104). 한편,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혈압계측장치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실시형태의 혈압계측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는, 표면에 제1층과 제1층의 하부에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부로부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제1층 및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피검체로부터 방출되는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실시형태의 혈압계측 프로그램은, 장치 컴퓨터에, 사용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파고를 구하고, 파고로부터 혈압을 구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한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0: 혈압계측장치
11: 조사부
12: 수광강도 검출부
13: 제어부

Claims (7)

  1. 혈압계측장치로서,
    표면에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하부에 상기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로부터, 상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 및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상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는, 상기 조사부로부터의 입사광 강도에 대해서 1/20 이상의 수광강도가 얻어지는 거리인, 혈압계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는, FFT 해석에 의해 상기 조사부로부터의 광의 주기가 확인될 수 없는 거리인, 혈압계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로부터 상기 피검체의 혈압을 산출하는, 혈압계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대략 100㎳인, 혈압계측장치.
  6. 혈압계측장치로서,
    표면에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하부에 상기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상기 조사부로부터, 상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거리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강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혈압계측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상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측장치.
  7. 혈압계측방법으로서,
    표면에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하부에 상기 제1층보다도 광을 흡수하는 제2층을 가진 피검체에 주기성을 가진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 위치로부터의 상기 주기성을 가진 광이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을 통과하여 주기성을 소실한 광이 되어서 검출되는 위치에서의, 상기 피검체로부터 방출된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기성을 소실한 광의 강도로부터 상기 피검체 내의 혈압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측방법.
KR1020217034577A 2019-03-26 2020-03-24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44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8770A JP6723572B1 (ja) 2019-03-26 2019-03-26 血圧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JPJP-P-2019-058770 2019-03-26
PCT/JP2020/012926 WO2020196488A1 (ja) 2019-03-26 2020-03-24 血圧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817A true KR20210144817A (ko) 2021-11-30

Family

ID=7152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577A KR20210144817A (ko) 2019-03-26 2020-03-24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51501A1 (ko)
EP (1) EP3949839A4 (ko)
JP (1) JP6723572B1 (ko)
KR (1) KR20210144817A (ko)
CN (1) CN113631086A (ko)
WO (1) WO20201964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7825A1 (ja) 2012-12-06 2014-06-12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非侵襲型生体脂質濃度計測器、非侵襲型生体脂質代謝機能計測器、非侵襲による生体脂質濃度計測方法および非侵襲による生体脂質代謝機能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191A (ja) * 2004-10-06 2006-04-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血圧測定装置
JP4574314B2 (ja) * 2004-10-06 2010-11-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電式血圧計
JP2006102166A (ja) * 2004-10-06 2006-04-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血圧計
JP4744174B2 (ja) * 2005-03-31 2011-08-10 テルモ株式会社 血圧管理システム
JP2008079688A (ja) * 2006-09-26 2008-04-10 Citizen Holdings Co Ltd 血圧測定装置
JP4706733B2 (ja) * 2008-08-07 2011-06-2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WO2013148753A1 (en) * 2012-03-28 2013-10-03 Wayne State University Sensor and method for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JP2015039542A (ja) * 2013-08-22 201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脈波測定装置
JP6683367B2 (ja) * 2015-03-30 2020-04-2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及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KR102655669B1 (ko) * 2016-07-20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의 특징 추출 장치 및 방법과, 생체정보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7825A1 (ja) 2012-12-06 2014-06-12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非侵襲型生体脂質濃度計測器、非侵襲型生体脂質代謝機能計測器、非侵襲による生体脂質濃度計測方法および非侵襲による生体脂質代謝機能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9839A4 (en) 2022-11-30
WO2020196488A1 (ja) 2020-10-01
EP3949839A1 (en) 2022-02-09
US20220151501A1 (en) 2022-05-19
JP6723572B1 (ja) 2020-07-15
JP2020156714A (ja) 2020-10-01
CN113631086A (zh)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1468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US8417307B2 (en) Blood oximeter
US20080200781A1 (en) Glucose Sensor
KR102247499B1 (ko) 시료 접촉면적 측정장치를 구비한 감쇠 전반사 분광분석 장치 및 방법
JP6739550B2 (ja) 生体物質測定装置および生体物質測定方法
JP2017518792A5 (ko)
KR20190133107A (ko) 혈관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8048987A (ja) 脈波測定装置
KR20210144817A (ko) 혈압계측장치 및 그 방법
JP6894089B2 (ja) 脂質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477678B1 (ko) 액체 중의 ndir 글루코스 검출
JP6991634B1 (ja) 脂質濃度計測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210076015A (ko) 입자농도 계측장치, 입자농도 계측 프로그램 및 입자농도 계측방법
CN109199401A (zh) 检测装置及生物体信息测量装置
US20210196158A1 (en) Self-reference point setting type blood component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JP7411349B2 (ja) グルコース測定装置およびグルコース測定方法
WO2021153490A1 (ja) 血管検知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4251766A (ja) 温度測定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測定装置
JP2017109058A (ja) 生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生体情報取得方法
JP6946707B2 (ja) 検出装置および生体情報測定装置
JP6705593B2 (ja) 測定装置
JP2005095193A (ja) 生体情報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WO202402846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ubstance concentration and detecto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