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284A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284A
KR20210144284A KR1020200061417A KR20200061417A KR20210144284A KR 20210144284 A KR20210144284 A KR 20210144284A KR 1020200061417 A KR1020200061417 A KR 1020200061417A KR 20200061417 A KR20200061417 A KR 20200061417A KR 20210144284 A KR20210144284 A KR 20210144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holder
pole terminal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056B1 (ko
Inventor
강민정
Original Assignee
강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정 filed Critical 강민정
Priority to KR102020006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56B1/ko
Priority to PCT/KR2020/015662 priority patent/WO2021235624A1/ko
Publication of KR2021014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3Bolt, screw or threaded ferrule parallel to the battery po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9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po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폴(pole) 단자는 단자 몸체부 및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폴 단자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폴 단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는, 배터리 폴 단자; 및 배터리 폴 단자가 삽입되는 홀더와, 홀더에서 연장된 조임부재와, 조임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 구성된 배터리 터미널;을 포함하되, 배터리 폴 단자는 배터리 폴 단자에 결합된 배터리 터미널의 축 방향 이탈 또는 회전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력과 배터리의 폴 단자와 배터리 터미널의 이탈 방향으로의 물리적 걸림을 부가하여 배터리의 폴 단자에서 배터리 터미널이 이탈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BATTERY TERMINAL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배터리의 폴 단자에 배터리 터미널을 조립 시 배터리 터미널의 회전을 방지하고 자동차 충돌사고시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폴 단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축전 및 방전을 위한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것을 폴(pole) 단자(또는 포스트 단자)라고 한다. 이러한 폴 단자에는 축전 및 방전을 위한 접속 단자인 배터리 터미널이 결합된다.
즉, 배터리 터미널은 배터리의 폴 단자에 체결되고 전선과 연결되어 정션박스 및 각종 전장품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터리 터미널은 차량 전원 공급의 출발점이기 때문에 그 접촉이 좋지 못하면 시동조차 잘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
현재 배터리의 폴 단자와 배터리 터미널을 연결할 때, 폴 단자를 배터리 터미널로 감싼 상태에서 체결 볼트와 너트를 조여 체결한다.
이때, 배터리 터미널의 체결 볼트와 너트를 일정 수준의 토크로 조임으로써 폴 단자에 강하게 체결할 수 있으나,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체결 볼트와 너트의 풀림 및 헐거움이 발생하면 폴 단자와 배터리 터미널의 체결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폴 단자와 배터리 터미널 사이의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와 같은 형상이 더 진행되면 최종적으로 배터리 터미널이 폴 단자에 이탈하는 심각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적정 조임 토크를 상회하는 힘으로 체결 볼트와 너트를 조일 경우, 배터리 터미널이 변형되거나 끊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체결 볼트와 너트를 적정 조임 토크 이하의 힘으로 조일 경우, 배터리 터미널과 폴 단자 간 접촉저항 증가 및 단자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더욱이, 배터리 터미널은 회전을 방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된 바 없으므로 차량의 진동으로 배터리 터미널이 미세 회전하며 원뿔대 형태인 폴 단자를 타고 오르며 최종적으로 이탈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충돌사고시 충격에 의한 이탈 또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폴 단자에서 배터리 터미널의 이탈과 회전을 억제하도록 개선된 형태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821591 B1 KR 10-1188637 B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력과 배터리의 폴 단자와 배터리 터미널의 이탈 방향으로의 물리적 걸림을 부가하여 배터리의 폴 단자에서 배터리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터미널의 체결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회전을 방지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터미널이 접속되는 배터리 폴(pole) 단자는, 단자 몸체부; 및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단자 몸체부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 몸체부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걸림턱은 링 또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단자 몸체부의 상측 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는, 배터리 폴 단자; 및 상기 배터리 폴 단자가 삽입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서 연장된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 구성된 배터리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폴 단자는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결합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의 축 방향 이탈 또는 회전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폴 단자의 단부에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체결된 상태에서만 상기 홀더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너트로 조여진 상태에서의 상기 홀더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의 내주면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 단자 또는 홀더 중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폴 단자 또는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는, 배터리 몸체; 및 상기 배터리 몸체 상에 구비되어 배터리 터미널이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폴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폴 단자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에 따르면,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력과 배터리의 폴 단자와 배터리 터미널의 이탈 방향으로의 물리적 걸림을 부가하여 배터리의 폴 단자에서 배터리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 단자의 회전방지돌기와 배터리 터미널의 회전방지홈의 결합에 의해 배터리 터미널의 체결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배터리 터미널의 회전을 방지한다. 즉, 배터리 터미널의 체결위치를 안내하여 부품 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홀더 내측면에 조임 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홀더의 폴 단자에 대한 홀딩력과 고착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는 이와 같이 폴 단자 및 배터리 터미널의 결합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 사고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한 배터리 단자 이탈 또는 파손 및 그에 따른 차량 전력 차단을 방지하며, 궁극적으로는 전력차단 등에 의해 차량 문이 안열리는 등 안전상, 인명(생명)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과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배터리 조립체(A)가 차량용 배터리에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배터리 조립체(A)의 활용이 차량용 배터리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과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조립체(A)는, 배터리(B)의 폴 단자(100, 또는 포스트 단자) 및 배터리 터미널(200)로 구성된다.
상기 폴 단자(100)는 차량용 배터리(B)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로서 원뿔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 단자(100)는, 폴 단자(100)에 결합된 배터리 터미널(200)이 축 방향으로의 이탈 및/또는 배터리 터미널(200)이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폴 단자(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걸림턱(110) 및 회전방지돌기(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폴 단자(1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10) 및 회전방지돌기(120)의 개수 및 형상은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후술할 바과 같이 폴 단자(100)와 배터리 터미널(200)의 홀딩력 향상 기능을 가지도록 다양한 개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 단자(100)의 상측 단부에는 배터리 터미널(200)의 홀더(210)의 상측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걸림턱(110)의 직경은 배터리 터미널(200)의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230, 240)로 조여진 배터리 터미널(200)의 홀더(2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반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터미널(200)의 홀더(210)의 상측 단부가 걸림턱(110)에 의해 물리적으로 걸림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터미널(200)이 폴 단자(100)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 단자(100)에 걸림턱(110)이 구비될 경우, 설령 배터리 터미널(200)의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230, 240)가 일부 풀어진 상태에서도 걸림턱(110)에 의해 홀더(210)가 지지되어 배터리 터미널(200)이 폴 단자(100)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폴 단자(100)에는 회전방지돌기(1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 단자(100)에는 회전방지돌기(120)가 형성되며, 배터리 터미널(200)의 홀더(210)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120)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 단자(100)의 회전방지돌기(120)와 홀더(210)의 회전방지홈(250)의 결합에 의해 배터리 터미널(200)의 외부 충격 및/또는 차량주행에 따른 관성력에 의한 회전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와 같이 폴 단자(100)에 회전방지돌기(120)가 형성될 경우, 배터리 터미널(200)의 폴 단자(100)로의 체결위치를 안내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터미널(200)의 체결위치를 안내하여, 차량 내부의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술한 것과 달리 회전방지돌기가 배터리 터미널(200)의 홀터(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폴 단자(100) 또는 홀더(210) 중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회전방지돌기(120)가 형성되지 않은 폴 단자(100) 또는 홀더(210) 중 다른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120)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터미널(200)은 폴 단자(100)로부터 전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폴 단자(100)에 접속될 수 있다.
배터리 터미널(200)은 상기 폴 단자(100)가 삽입되는 홀더(210)와, 홀더에서 연장된 조임부재(220)와, 조임부재(22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230,240)로 구성된 배터리 터미널(20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 중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홀더(210)가 원뿔대 형태의 폴 단자(100)를 감싸며 접속된다.
조임부재(220)는 홀더(210)의 절개 부위에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230,240)의 조임 정도에 따라 조임부재(220)의 간격이 변화한다. 이때 홀더(210)의 직경(내주면) 또한 조절되어 홀더(210)를 폴 단자(10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킨다.
이러한 홀더(210)와 조임부재(220)는 하나의 소재(판재)를 성형(가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부재(220)는 홀더(210)의 일측 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230)의 헤드 부분을 지지하는 하부판(221)과, 하부판(221)과 이격되도록 홀더(210)의 타측 단부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하부판(221)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체결너트(240)가 안착되는 상부판(222)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판(221)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어 체결볼트(230)의 헤드를 고정하는 볼트 고정편(221a)이 하부판(221)에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부판(222)의 폭 방향 상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부판(222)과 하부판(221)의 조임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편(222a)이 상부판(222)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볼트(230)는 하부판(221)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판(201) 및 상부판(222)을 관통함과 아울러 홀더(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고, 체결너트(240)는 홀더(210)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에서 체결볼트(230)와 체결된다.
체결볼트(230)와 체결너트(240)는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결너트(240)는 내측면에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된 실리콘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너트를 사용하게 되면 체결너트(240)가 체결볼트(230)에 체결된 후 진동 등에 의한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너트(240)가 풀리지 않도록 체결볼트(23)의 나사산을 임의로 훼손할 필요가 없어짐은 물론 볼트(230)가 부식되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홀더(210)의 내주면으로는 가압돌기(21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가압돌기(211)는 홀더(210)의 내주면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211)가 폴 단자(100)를 가압하여 홀더(210)의 회전 홀딩력과 고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홀더(210)의 재질이 폴 단자(100)의 재질보다 경질의 소재로 사용되며 이에 따라 폴 단자(100)의 외주면을 가압돌기(211)가 가압하며 소성변형을 발생시켜 홀더(210)의 홀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더(210)의 재질은 철, 초경 등의 철금속이 적용되며 폴 단자(100)는 납, 안티몬이 함유된 납, 구리,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단자(100)에는 탄성부재(121')에 의해 탄성 지지된 회전방지돌기(1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121')는 예를 들면 판스프링, 압축스프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홀더(21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120')가 타고 넘어가도록 회전방지홈(250')이 반복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회전방지돌기(120')는 'V'자 쐐기형태로서 탄성부재(121')에 의해 압축신장이 이루어지며, 회전방지돌기(250')는 산형과 골형이 반복된 내접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단자 및 폴의 체결 각도를 맞출 필요 없이 보다 자유롭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회전방지돌기(120')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방지돌기(120')는 예를 들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이에 따라 회전방지홈(250')의 골(trough)의 형상 또한 변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홀더(210)의 위치가 정해지면 회전방지돌기(120')는 회전방지홈(250')의 골형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 터미널(200)의 체결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일정 수준 이하의 외력(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단자를 회전시키기 위해 외력을 가하는 것이 아닌 자동차 주행 또는 사고 등의 경우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서 단자 및 배터리 폴 체결상태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홀더(210)를 회전함에 따라 회전방지돌기(120')는 회전방지홈(250')의 산형, 골형을 반복 이동하며 클릭(click)감을 가지며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B: 배터리 A: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100: 폴 단자
110: 걸림턱 120: 회전방지돌기
200: 배터리 터미널 210: 홀더
220: 조임부재 230: 체결볼트
240: 너트 250: 회전방지홈

Claims (9)

  1. 배터리 터미널이 접속되는 배터리 폴(pole) 단자로서,
    단자 몸체부; 및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폴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단자 몸체부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폴 단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몸체부는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걸림턱은 링 또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단자 몸체부의 상측 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폴 단자.
  4. 배터리 폴 단자; 및
    상기 배터리 폴 단자가 삽입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서 연장된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 구성된 배터리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폴 단자는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결합된 상기 배터리 터미널의 축 방향 이탈 또는 회전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폴 단자의 단부에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체결된 상태에서만 상기 홀더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직경은 상기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너트로 조여진 상태에서의 상기 홀더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주면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조립체.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단자 또는 홀더 중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폴 단자 또는 홀더 중 다른 하나에는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조립체.
  9. 차량용 배터리로서,
    배터리 몸체; 및
    상기 배터리 몸체 상에 구비되어 배터리 터미널이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폴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폴 단자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 폴 단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몸체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KR1020200061417A 2020-05-22 2020-05-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KR10244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17A KR102448056B1 (ko) 2020-05-22 2020-05-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PCT/KR2020/015662 WO2021235624A1 (ko) 2020-05-22 2020-11-10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17A KR102448056B1 (ko) 2020-05-22 2020-05-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84A true KR20210144284A (ko) 2021-11-30
KR102448056B1 KR102448056B1 (ko) 2022-09-26

Family

ID=7870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417A KR102448056B1 (ko) 2020-05-22 2020-05-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8056B1 (ko)
WO (1) WO20212356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295U (ko) * 1995-12-27 1997-07-3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케이블 결합구조
KR20010103329A (ko) * 2000-05-09 2001-11-23 류정열 차량의 배터리 접속구조
KR100821591B1 (ko) 2007-05-10 2008-04-14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101188637B1 (ko) 2012-03-21 2012-10-09 태성전장주식회사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KR101792045B1 (ko) * 2016-06-29 2017-11-01 주식회사 유니크 배터리 포스트 단자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7640B2 (ja) * 2013-12-12 2017-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端子
KR20150076761A (ko) * 2013-12-2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295U (ko) * 1995-12-27 1997-07-3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케이블 결합구조
KR20010103329A (ko) * 2000-05-09 2001-11-23 류정열 차량의 배터리 접속구조
KR100821591B1 (ko) 2007-05-10 2008-04-14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101188637B1 (ko) 2012-03-21 2012-10-09 태성전장주식회사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KR101792045B1 (ko) * 2016-06-29 2017-11-01 주식회사 유니크 배터리 포스트 단자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056B1 (ko) 2022-09-26
WO2021235624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708B1 (en) Vehicle junction box having power distribution center with terminal for jump-starting vehicle
US5672442A (en) Battery terminal and post with rotation inhibiting means
JP5733573B2 (ja) 機器用コネクタ
JP2001059514A (ja)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構造
KR20150076761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US4859894A (en)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for use in a vehicle
JP2000240635A (ja) 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KR102448056B1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조립체
US4729934A (en) Battery side terminal
US4372636A (en) Battery connector
JP2010040440A (ja) ナットおよびハウジング
US4598971A (en) Battery cable/connector assembly
US5562484A (en) Electrical terminal washer
JPH10144289A (ja) 鉛蓄電池の端子アダプター
CN113464523B (zh) 紧固元件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JPH1037938A (ja) ボルト脱落防止ホルダー
US20030230294A1 (en) Ignition coil assembly for engine
US11239534B2 (en) Compression clamp battery connection system
JP3574916B2 (ja) バッテリアダプター
KR101413083B1 (ko) 단조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1061647A (ja) 締め具
KR102465877B1 (ko) 고압전류 전원 취득장치
KR102283353B1 (ko) 풀림방지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