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542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542A
KR20210143542A KR1020200060463A KR20200060463A KR20210143542A KR 20210143542 A KR20210143542 A KR 20210143542A KR 1020200060463 A KR1020200060463 A KR 1020200060463A KR 20200060463 A KR20200060463 A KR 20200060463A KR 20210143542 A KR20210143542 A KR 2021014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ower line
case
cor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3542A/ko
Publication of KR2021014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공간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컨트롤러;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장치;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전원선;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제거하는 코어; 및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코어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상기 코어가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사출되는 코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선홀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전원선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전선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러에서 연장되는 전원선에 코어가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전자기기의 경우, 컨트롤러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원선이 연결되어, 전자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전자기기의 경우,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나 팬등에 구비되는 모터 등을 구동하여, 전기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를 구동하는 전자부품에서는,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전원선은, 상기의 모터 주위에 배치되므로, 모터에서 발생하는 방사노이즈(Radiated noise)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전원선을 통하여 얼마만큼의 노이즈가 외부로 나오는지는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자 제품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컨트롤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는, 내부에 배치되는 코어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압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노이즈를 제거하기 별도의 코어가 필요할 수 있다.
국내 특허출원KR10-1995-0700894호에서는, 전원선 둘레로 배치되는 코어와 코어를 커버하는 코어홀더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의 구조는, 코어를 전원선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동장치에서 발생되는 방사노이즈가 전원선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코어의 배치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공간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제거하는 코어와,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코어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상기 코어가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사출되는 코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선홀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전원선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전선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케이스 내측에서 전선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에서 전원선에 코어를 배치할 수 있어, 케이스 내측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전원선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전선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구동장치보다 상기 전선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을 상기 전선홀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홀더에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전원선의 외둘레로 인서트사출된다.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는, 원기둥형상의 코어가 상하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한 쌍의 하프컷팅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한 쌍의 하프컷팅코어가 상기 전원선 둘레에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상기 전선홀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 사이에 압축기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 내부를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제2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전선홀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냉매와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냉매와 실외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제1팬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제2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에서는, 일측에서부터, 상기 압축기, 상기 제2열교환기, 상기 제2팬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팬 사이로 배치된다.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전원선은, 상기 구획판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전원선과, 상기 제1전원선의 하단부에서 밴딩되며, 상기 전원선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홀더에 연결되는 제2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와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제1전원선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코어와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제2전원선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관통하는 상기 전원선이 배치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홀더가 배치된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압축기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전원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구획판의 둘레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고정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전방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전방케이스와, 성가 전방케이스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구동장치가 배치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와,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전방케이스와 후방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제1토출구를 형성하는 탑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케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전선홀이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전자적으로 구동하는 전자장치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전원선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할 수 있다.
둘째, 코어를 전원선의 둘레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고정하여, 전원선의 둘레로 배치되는 코어의 위치가 고정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케이스에 고정되는 홀더에 인접한 위치나, 홀더에 접촉하여 코어가 인서트 사출되어, 케이스로부터 일정거리 내에 배치되는 코어의 배치가 고정되므로, 케이스 내측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케이스의 내측공간의 최외곽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선을 통해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내부의 구성과, 전원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가 배치되는 전원선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코어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전원선, 도 3b는, 도 3a에 코어의 일부가 장착된 상태의 전원선, 도 3c는, 도 3b에 나머지 코어가 장착된 상태의 전원선, 도 3d는 도 3c에 인서트 사출로 코어커버가 형성된 전원선, 도 3e는, 도 3d에 전선홀더가 추가로 인서트사출된 전원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어커버와 전선홀더가 인서트 사출된 전원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어커버와 전선홀더가 인서트 사출된 전원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전자기기의 일실시예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전원선의 내부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5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선과 코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 및 일부구성이 제거된 상태의 일부영역에 대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의 전원선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와 도 12b는, 코어가 배치 유무에 따른 노이즈의 발생정도를 나타낸 데이터로, 도 12a는, 코어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의 노이즈 발생정도를 나타낸 데이터이고, 도 12b는 코어가 배치된 상태의 노이즈 발생정도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전자기기(1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공간(11a)을 형성하는 케이스(11), 케이스(11) 내측에 배치되고, 전자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컨트롤러(13), 케이스(11) 내측에 배치되고, 컨트롤러(1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장치(12)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10)는, 컨트롤러(13)와 연결되고, 케이스(11)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전원선(14), 전원선(14)의 둘레에 배치되어,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12)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코어(15), 코어(15)를 전원선에 고정하는 코어커버(16)를 포함한다.
구동장치(12)는,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되고, 컨트롤러(13)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나, 팬일 수 있다. 구동장치(12)는, 전원선(14)의 주변에 배치된다. 컨트롤러(13)와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전선홀(11b) 사이에는, 구동장치(12)가 배치될 수 있다.
코어(15)는, 전원선(14)이 케이스(11)를 관통하는 전선홀(11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코어(15)는, 구동장치(12)에서 발생하는 방사노이즈가 전원선을 타고 케이스(11)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어(15)는, 케이스(11)에 전원선(14)을 고정하는 홀더(17)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홀더(17)와 코어(15)의 외측을 커버하는 코어커버(16) 사이의 간격(L1)은, 구동장치(12)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30mm 이상 10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7)와 코어(15)의 외측을 커버하는 코어커버(16) 사이의 간격(L1)은, 전원선(14)이 밴딩될 수 있도록 30mm 이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1) 내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10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7)와 코어(15)의 외측을 커버하는 코어커버(16) 사이의 간격(L1)은, 전원선(11)의 직경의 길이(L2)에 비해 7배 내지 14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선(14)은, 케이스(11)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전원선(14c)과, 케이스(11)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전원선(14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너 전원선(14c)은, 홀더(17)를 기준으로 내측단(14a)이 배치되는 좌측에 배치되고, 아우터 전원선(14d)은, 홀더(17)를 기준으로 외측단(14b)이 배치되는 우측에 배치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4a와, 도 4b와 같이, 코어(15)가 이너 전원선(14c)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코어(15)를 둘러싸는 코어커버(16)는, 도 4a와 같이, 홀더(17)와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도 4b에서와 같이, 홀더(17)와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어(15)는, 홀더(17)에 인접한 영역에서, 케이스(11)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15)가 케이스(11)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배치되는 경우,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된 구동장치(12)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케이스(11)에 고정되는 홀더(17)로부터 일정간격 이내의 범위에서 코어(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어(15)는, 아우터 전원선(14d)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선(14)은, 컨트롤러(13)에 연결되는 내측단(14a)과, 상용전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외측단(14b)을 연결할 수 있다. 전원선(14)은,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전선홀(11b)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케이스(11) 내부와 케이스(11) 외부에 각각 배치된다.
내측단(14a)은, 전원선(14)과 컨트롤러(13)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트롤러(13)에 결합되는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내측단(14a)은, 컨트롤러(1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14a1)과, 접지부를 형성하는 접지단(14a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단(14b)은, 상용전원과 전원선(14)을 연결하기 위해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단자를 의미할 수 있다. 전원선(14)에는 코어(15)를 고정하는 코어커버(16)가 전원선(14) 둘레로 인서트사출될 수 있다. 전원선(14)에는, 전원선(14)을 케이스(11)에 고정하는 홀더(17)가 전원선(14) 둘레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홀더(17)는, 전원선(14)을 케이스(11)에 고정하고, 코어(15)의 배치를 케이스(11)로부터 일정거리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코어커버(16)는, 전원선(14)의 둘레로 배치되는 코어(15)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코어커버(16)는, 전원선(14)의 둘레에 코어(15)가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사출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선(14)의 둘레로 코어(15)가 배치된 상태에서, 코어커버(16)를 인서트 사출하여, 코어(15)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코어(15)를 전원선(14) 둘레에 배치하고, 코어커버(16)를 인서트 사출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코어(15)는, 구동장치(12)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임피던스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크기나 특정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원선(14)은, 외측단(14b)에 코드가 형성된 파워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b와 도 3c를 참조하면, 전원선(14)의 둘레에 코어(15)를 배치시킨다. 즉, 전원선(14) 둘레로 코어커버(16)를 인서트 사출할 금형(미도시) 내측에서 코어(15)가 전원선(14)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배치되는 코어(15)는, 원기둥형상의 코어가 상하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하프컷팅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15)는, 케이스(11) 내측에서 케이스(11)에 형성된 전선홀(11b)에 인접한 부분에서, 전원선(14)의 둘레에 배치시킨다. 도 3b와 도 3c의 과정은, 전원선(14)을 코어커버(16)를 인서트 사출할 금형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을 통해, 도 3d와 같이, 전원선 둘레로 코어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케이스(11)에 전원선(14)을 고정하는 홀더(17)를 생성할 수 있다. 홀더(17)와, 코어커버(16)는, 도 3d와 도 3e와 같이, 순차적으로 인서트 몰딩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홀더(17)와, 코어커버(16)는 하나의 금형에서 동시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e를 참조하면, 홀더(17)와 코어커버(16)는,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4와 같이, 홀더(17)와 코어커버(1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코어(15)는, 케이스(11)에 형성된 전선홀(11b)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홀더(17)와 코어커버(1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코어(15)가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전선홀(1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물에 의해 홀더(17)와 코어커버(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없는 경우, 도 3e와 같이, 코어커버(16)를 홀더(17)에 이격배치시켜, 코어커버(16)와 홀더(17) 사이에 형성되는 전원선(14)을 밴딩시켜, 코어(150)의 배치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전자기기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에 배치되는 전원선(140)과 코어(150)를 설명한다.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0)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0)를 포함하고, 케이스(110) 내측공간(110a)에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20)와, 2개의 열교환기(180, 182)와, 2개의 팬(184, 186)이 배치된다. 공기조화기(100)는, 압축기(12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팬(184, 186)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유동시키는 압축기(120), 압축기(120)와 연결되고, 냉매와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180), 압축기(120)와 연결되고, 냉매와 실외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182), 제1열교환기(180)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제1팬(184), 제2열교환기(182)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제2팬(186)이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패널(115)과, 케이스(110) 상측으로 형성되는 제1토출구(114a)를 개폐하거나, 제1토출구(114a)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116), 케이스(110)의 내측공간(110a)을 구획하는 구획판(190)을 더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전방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전방케이스(111)와, 전방케이스(111) 후방으로 배치되고, 전방케이스(111)와 내측공간(110a)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2)와,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2)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113)와,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열교환기(18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1토출구(114a)를 형성하는 탑커버(114)를 포함한다.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2)의 결합으로 내측공간(110a)을 형성한다. 내측공간(110a)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다. 내측공간(110a)은, 구획판(19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2)에는, 제1열교환기(180)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1흡입구(112b)와, 제2열교환기(182)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2흡입구(112c)와, 제2열교환기(182)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2토출구(112a)가 형성된다. 제1흡입구(112b)와 제2흡입구(112c)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19)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3)는, 전방케이스(111) 또는 후방케이스(112)와 결합되도록,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외곽리브(113b)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2) 또는, 베이스(113)에는, 전원선(140)이 관통하는 전선홀(110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선홀(110b)은, 베이스(113)의 외곽리브(113b)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9와 달리, 전선홀(110b)은, 후방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거나, 후방케이스(112)와 베이스(113)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탑커버(114)에는, 제1열교환기(18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1토출구(114a)가 형성된다. 탑커버(114)에는 제1토출구(114a)를 개폐하거나, 제1토출구(114a)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116)이 배치된다.
베이스(113)는, 케이스(110)의 하측을 커버하고, 압축기(120)가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베이스(113)의 하측에는, 공기조화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홀(192)이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190)은, 케이스(110) 내측공간(110a)을 제1영역(117)과 제2영역(118)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영역(117)은, 제1열교환기(180)와 제1팬(184)이 배치되는 상측공간일 수 있다. 제2영역(118)은, 제2열교환기(182)와 제2팬(186)이 배치되는 하측공간일 수 있다.
제1영역(117)에는, 컨트롤러(130)가 배치되고, 제2영역(118)에는, 압축기(120)가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190)의 상측에는, 컨트롤러(130)가 안착될 수 있다. 구획판(190)에는, 제1영역(117)과 제2영역(118)을 관통하는 전원선(140) 또는 냉매배관(146)이 배치되는 홀(192)이 형성된다. 구획판(190)에는, 홀(19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원선(140)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홀더(19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30)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전원선(140)은, 구획판(190)에 형성된 홀(192)을 통과하여, 제2영역(118)으로 연장된다. 전원선(140)은, 압축기(120)의 상측과 측면에 이격배치된다. 전원선(140)은, 구획판(190)에 형성된 홀(192)에서 연장되어, 후방케이스(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선홀(110b)로 연장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구획판(190)에는, 압축기(120)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전원선(140)을 고정하는 제2고정홀더(196)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홀더(196)는, 구획판(19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영역에서는, 일측에서부터, 압축기(120), 제2열교환기(182), 제2팬(186)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영역(118)을 지나는 전원선(140)은, 제2열교환기(182)와 제2팬(186)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118)에 배치되는 전원선(140)은, 구획판(190)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코어(150)를 둘러싸는 코어커버(160)는, 케이스(110)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원선(140)에 배치된다. 코어커버(150)는, 홀더(17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코어커버(150)는, 홀더(17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케이스(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선(140)이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영역(118)에 배치되는 전원선(140)은, 구획판(190)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전원선(142)과, 제1전원선(142)의 하단부에서 밴딩되며, 홀더(170)에 연결되는 제2전원선(144)을 포함한다.
제2영역(118)에 배치되는 전원선(140)의 하단부에는, 코어(150)와 코어커버(160)가 배치된다. 코어(150)와 코어커버(160)는, 제1전원선(142)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즉, 코어(150)와 코어커버(160)는, 제2전원선(144)이 밴딩이 끝나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12a와 도 12b는, 전원선(140)에 배치되는 코어(150)의 유무에 따른 노이즈 발생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1라인(A)과 제2라인(B)은, 주파수 영역에 따른 전자파 적합성에 따른 기준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라인(A) 노이즈의 피크값에 따른 전자파 적합성의 기준값이고, 제2라인(B)은, 노이즈 평균값에 따른 전자파 적합성의 기준값이다.
본 발명과 같은, 코어(150)가 배치되지 않은 전원선(140)의 경우, 도 12a에서와 같이, 전원선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저주파영역에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도 12a를 참조하면, 30Hz 영역에서, 전원선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피크라인(C)이 제1라인(A)을 초과해서 발생하고, 전원선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평균라인(D)이 제2라인(B)을 초과해서 발생됨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코어(150)를 전원선(140)에 배치한 경우, 도 12b에서와 같이, 30Hz 영역에서도, 전원선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피크라인(C)이 제1라인(A)과 근접하거나 이하로 발생하고, 전원선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평균라인(D)도 제2라인(B) 이하로 발생됨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전자기기 11, 110 : 케이스
12 : 구동장치 13, 130 : 컨트롤러
14, 140 : 전원선 15, 150 : 코어
16, 160 : 코어커버 17, 170 : 홀더
100 : 공기조화기 111 : 전방케이스
112 : 후방케이스 113 : 베이스
114 : 탑커버 115 : 입력패널
120 : 압축기 142 : 제1전원선
144 : 제2전원선 146 : 냉매배관
180 : 제1열교환기 182 : 제2열교환기
184 : 제1팬 186 : 제2팬
190 : 구획판 194 : 제1고정홀더
196 : 제2고정홀더

Claims (16)

  1.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공간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컨트롤러;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장치;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전원선;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제거하는 코어;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코어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상기 코어가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사출되는 코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선홀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전원선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전선홀에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전선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는, 상기 구동장치보다 상기 전선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을 상기 전선홀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홀더에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전원선의 외둘레로 인서트사출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전원선과, 상기 케이스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아우터 전원선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원기둥형상의 코어가 상하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한 쌍의 하프컷팅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한 쌍의 하프컷팅코어가 상기 전원선 둘레에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되는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상기 전선홀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 사이에 압축기가 배치되는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를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제2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홀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냉매와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냉매와 실외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제1팬;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제2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에서는, 일측에서부터, 상기 압축기, 상기 제2열교환기, 상기 제2팬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팬 사이로 배치되는 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선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전원선은, 상기 구획판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전원선과, 상기 제1전원선의 하단부에서 밴딩되며, 상기 전원선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홀더에 연결되는 제2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와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제1전원선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코어커버는, 상기 제2전원선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관통하는 상기 전원선이 배치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선의 배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홀더가 배치되는 전자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압축기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전원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구획판의 둘레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고정홀더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200060463A 2020-05-20 2020-05-20 전자기기 KR20210143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63A KR20210143542A (ko) 2020-05-20 2020-05-20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63A KR20210143542A (ko) 2020-05-20 2020-05-20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42A true KR20210143542A (ko) 2021-11-29

Family

ID=7869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63A KR20210143542A (ko) 2020-05-20 2020-05-20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35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6392A (ko) 공기조화기
WO2007126072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29955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499499B1 (ko) 상업용 전자 레인지
KR20210143542A (ko) 전자기기
US7135663B2 (en) Wall 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042397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323516B1 (ko) 표시창과 콘트롤 박스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4001587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2002004870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123200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019905B2 (ja) 熱交換形換気扇
JPH08296868A (ja) 空気調和機
JP6150754B2 (ja) 空気調和機
KR102168581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실내기
CN100455903C (zh) 微波炉电线连接结构
KR10148559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5817694B2 (ja) 室外機
JP2004190900A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本体およびヒータユニット
JP201815949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755199A (ja) 分離型空気調和機及びその配管セット
KR20030092181A (ko) 공기조화기의 배선구조
KR100339007B1 (ko) 공기 조화기의 콘트롤 박스
KR1023344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4607Y1 (ko) 공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