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409A - 옷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옷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409A
KR20210143409A KR1020200060110A KR20200060110A KR20210143409A KR 20210143409 A KR20210143409 A KR 20210143409A KR 1020200060110 A KR1020200060110 A KR 1020200060110A KR 20200060110 A KR20200060110 A KR 20200060110A KR 20210143409 A KR20210143409 A KR 2021014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il
block
groove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721B1 (ko
Inventor
고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금속
Priority to KR102020006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7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02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of pins of the kind used in the tailoring trade or the house- hold
    • B21G3/04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of pins of the kind used in the tailoring trade or the house- hold with locking or shielding device for the pin point, e.g. safety-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18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 B21G3/28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by forg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32Feeding material to be worked to nail or pin ma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핀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코일(1) 연결부(11)를 턴테이블(32) 내측에 위치고정하고 코일(1) 양측 고정봉(12)과 침봉(13)은 턴테이블(32) 외측에 나란히 돌출 고정한 상태에서 정방향 회전하여 상기의 코일을 캡결합장치(4)로 연속해서 이송하는 이송장치(3)와;, 여러 개의 캡(2)을 수직선상 일렬 저장한 저장레일(41)로부터 하나의 캡(2)을 수직방향에서 공급받은 다음 그 캡(2)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전환하여 이송장치(3)에 의해 이송된 코일(1)의 고정봉(12)과 침봉(13) 끝단으로 상기한 캡(2)을 끼워 결합하는 캡결합장치(4)와;, 이송장치(3)에 의해 캡결합장치(4)로부터 코일(1)과 캡(2)이 이송되면, 상기 캡(2)의 고정부(21)를 가압하여 코일(1)의 고정봉(11) 끝단과 압착고정으로 옷핀(a)을 완성하는 가압장치(5)와;, 이송장치(3)에 의해 가압장치(5)로부터 완성된 옷핀(a)이 이송되면, 이송장치(3) 상부에서 회전작용하면서 옷핀(a)을 이송장치(3)로부터 밀어 이탈시키는 배출장치(6)로;, 구성하여 옷핀의 제조가 무인 자동으로 구현되게 하면서 그 제조효율성과 정확성 그리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옷핀 제조장치{Clothpin Manufacturing Unit}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제조효율성과 정확성 그리고 대량생산을 가능토록 한 옷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을 여미거나 할 때 사용하는 옷핀(a)은 크게 코일(1)과, 캡(2)으로 구분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코일(1)은 중앙부를 나선형으로 감아 연결부(11)를 형성하면서 연결부(11) 양측단으로 탄성을 가지는 일정길의 고정봉(12)과 끝부분이 뾰족한 침봉(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캡(2)은 일단부로 고정부(2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날개를 가진 지지부(2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21)와 지지부(22)사이에 일측이 개방된 투입홈(23)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의 고정부와 지지부 내에 코일의 고정봉과 침봉 끝단을 각각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부를 압착하여 옷핀을 완성한다.
이상 설명한 옷핀은 종래 작업자가 상기 구성으로 제작된 코일과 캡을 상호 결합한 다음 펀칭장치 등으로 하나씩 제조완성토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작업은 작업효율성이 현저하게 낮았을 뿐 아니라 정밀성이 크게 떨어져 불량률이 높았고 더욱이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단 근래에 들어 옷핀 제조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캡 자동공급 및 결합장치가 한정적으로 안출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작업자가 위 구성의 코일을 수작업으로 상기 장치에 하나씩 공급하여 운영되는 것으로 캡의 자동 공급 및 코일과의 결합 과정은 일부 편리하였으나, 코일 공급의 신속성 및 정확성이 떨어져 옷핀의 불량률이 높았고 또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2-01247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과 캡의 조립으로 완성되는 옷핀의 제조공정을 모두 자동화장치로 구현하여 단시간 내에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하면서 그 제조 및 정확성 그리고 효율성의 극대화를 꾀하고 또 제조원가를 현저히 낮추어 경쟁력을 갖춘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제시하는 본 발명의 옷핀 제조장치는 코일(1) 연결부(11)를 내주연에 위치고정하고 코일(1) 양측 고정봉(12)과 침봉(13)의 끝단은 외주연으로 동일 방향 나란히 돌출 고정한 상태에서 정방향 회전하여 캡결합장치(4)로 코일(1)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와;,
여러 개의 캡(2)을 수직선상 일렬 저장한 저장레일(41)로부터 하나의 캡(2)을 수직방향에서 공급받은 다음 그 캡(2)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전환하여 이송장치(3)에 의해 이송된 코일(1)의 고정봉(12)과 침봉(13) 끝단으로 상기한 캡(2)을 끼워 결합시키는 캡결합장치(4)와;,
캡결합장치(4)에 의해 결합된 코일(1)과 캡(2)을 이송장치(3)가 이송하면 캡(2)의 고정부(21)를 가압하여 코일(1)의 고정봉(11) 끝단과 캡(2)의 고정부(21)가 압착고정되어 옷핀(a)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장치(5)와;,
가압장치(5)에 의해 완성된 옷핀(a)을 이송장치(3)가 이송하면 이송장치(3) 상부에서 회전작용하면서 옷핀(a)을 이송장치(3)로부터 밀어 이탈시키는 배출장치(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옷핀용 코일과 캡을 모두 자동 이송/공급토록 하면서 상호 결합하여 옷핀을 완성 및 배출토록 하는 장치로서, 옷핀 제조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극대화하여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을 가능토록 하고 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양질의 제품 생산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옷핀 제조과정을 간략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전체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을 전체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송장치 입체도,
도 5는 가 - 가' 선 부분 단면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송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에 표기된 "가" 부분 확대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캡결합장치의 입체도,
도 9는 나 - 나' 선 부분 단면확대도,
도 10은 도 9에 표기된 "a" 부분 평단면확대도,
도 11은 도 9에 표기된 "a" 부분 측단면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캡결합장치의 부분 확대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캡결합장치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압장치와 배출장치의 입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압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배출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위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도 2에 표시된 '방향표시'를 기준으로 설명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옷핀 제조장치는 첨부된 도면 3에서와 같이 설치다이(101)로 코일(1)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와;, 상기 이송장치(3)의 원주로 코일(1)과 캡(2)을 결합시키는 캡결합장치(4)와;, 코일(1)과 캡(2)을 가압고정하여 옷핀(a)을 완성하는 가압장치(5)와;, 완성된 옷핀(a)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6)를;,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이송장치(3)는;,
설치다이(101)에 설치하는 지지체(31)와, 상기 지지체(31)에 설치하는 원판형의 턴테이블(32)과, 구동캠(33)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턴테이블(32)을 회전시키는 종동절(34)과, 상기 턴테이블(32) 상부에 위치하는 원판형의 고정상판(35)으로 구성하되,
상기 턴테이블(32)은 상부면 둘레로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 돌출형성하여 그 사이 사이에 코일끼움홈(36')을 마련하는 코일고정블럭(36)과, 하부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 개 돌출형성하는 걸림대(37)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종동절(34)은 일단으로 구동캠(33)과 연결하는 캠팔로어(34')와, 타측단으로 로드설치홈(34a)을 형성하여 상기 로드설치홈(34a) 내에 일단을 축설하면서 타단은 로드설치홈(34a) 일측과 스프링(34b)으로 탄발하여 턴테이블(32)의 걸림대(37)를 푸싱토록 하는 푸싱로드(34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31)는 원기둥형상이면서 여러 개의 단턱을 가지게 구성하여 턴테이블(32)과 고정상판(35)이 상기 단턱에 안치 구성되도록 하고 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턴테이블(32)을 지지체(31)와 베이링으로 접속하여 지지체(31)에서 턴테이블(3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고정상판(35)은 턴테이블(32)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하여 코일고정블럭(36)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 외경이 위치되도록 설치구성한다. 또 상기 종동절(34)은 설치다이(101)에 고정하는 가이드블럭(38) 내부에 경유 설치하여 왕복 직선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 구성의 이송장치(3)는 옷핀 제조에 요구되는 코일(1)을 후술할 캡결합장치(4)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도 4,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캠(33)에 의해 종동절(34)이 왕복 직선운동하면, 타측단의 푸싱로드(34c)가 스프링(34b)에 의해 그 일단이 종동절(34)의 로드설치홈(34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32) 하부 둘레의 걸림대(37)를 일정거리 밀어 정방향으로 턴테이블(32)을 회전시킨다. 반대로 상기 푸싱로드(34c)는 종동절(34)의 원위치 복귀시 걸림대(37)에 의해 로드설치홈(34a)으로 밀림 인입되어 위 작용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32)은 상부 코일고정블럭(36) 사이에 형성된 코일끼움홈(36')으로 옷핀제조에 요구되는 코일(1)이 작업자 내지는 코일이송장치(103)에 의해 끼움 고정되어 상기에 의한 회전작용으로 코일(1)을 캡결합장치(4)에 회전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코일(1)은 그 양측 고정봉(12)과 침봉(13)을 도 7과 같이 나란히 코일고정블럭(36) 사이의 코일끼움홈(36')에 끼움 고정하면서 고정봉(12)과 침봉(13) 끝단을 코일고정블럭(36) 외측에 위치시키고 연결부(11)는 코일고정블럭(36)과 고정상판(35) 사이에 위치되도록 공급 고정한다.
참고로, 코일(1)의 공급과정은 통상 작업자 내지는 코일이송장치(103)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20-0059773호 '옷핀용 코일 제조장치'를 통해 자동 공급되도록 한다.
또 상기 종동절(34)을 구동하는 구동캠(33)은 설치다이(101)에 설치된 구동축(102)으로 구동하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력으로 구동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턴테이블(32) 하부 일측에 위치고정수단(7)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고정수단(7)은 일측으로 스프링(71)이 탄발된 고정대(72)와, 중심부를 상기 스프링(71)과 연결하면서 일단을 하부 설치판(72')에 축설하는 스톱퍼회동대(75)와, 상기 스톱퍼회동대(75) 타측단에 상방향 돌출시켜 턴테이블(32) 하부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걸림홈(73)으로 걸림되게 하는 스톱퍼(74)로 구성한다.
상기에 의한 위치고정수단(7)은 턴테이블(32)이 시차를 두고 일정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그 회전위치를 스프링(71)에 의해 회동하는 스톱퍼회동대(75)가 스톱퍼(74)를 턴테이블(32)의 걸림홈(37)에 걸어 턴테이블(32)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한다.
이는 코일공급과정, 캡결합장치(4)에서의 코일과 캡의 결합과정, 가압장치(5)에서 코일과 캡을 가압고정하여 옷핀을 완성하는 과정, 배출장치(6)에서 완성된 옷핀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턴테이블의 유동을 방지하여 해당 작업의 안전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코일고정블럭(36) 상부 양측으로 단턱(36")을 더 포함하여 코일끼움홈(36') 상부로 코일(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도모한다.
다음으로, 캡결합장치(4)는;,
캡(2)을 수직선상으로 낙하 공급하는 저장레일(41)과, 상부에 캡안치홈(4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피니언(42")을 설치하여 견인블럭(43) 상부 양측 설치대(43')(43")에서 회전되게 하는 캡결합블럭(42)과, 상기 견인블럭(43) 일측 선상에 형성된 레크이송홈(44)에 안치하여 일측은 상기 피니언(42")과 물림하고, 타측은 캠팔로어(45')를 통해 레크구동캠(46)과 연결하는 레크(45)와, 일측을 레크(45)와 연결하고 타측은 스프링설치대(47)에 연결하여 상기 레크(45)를 레크구동캠(46) 방향으로 당김하는 당김스프링(47')과, 일측은 상기 견인블럭(43)과 연결하고 타측은 캠팔로어(48')를 통해 견인구동캠(48")과 연결하는 견인작동대(48)와, 일측을 견인작동대(48)와 연결하고 타측은 스프링설치대(49)에 연결하여 상기 견인작동대(48)를 견인구동캠(48") 방향으로 당김되도록 하는 당김스프링(49')과, 상기 견인블럭(43)을 안치하여 이송 안내하는 가이드블럭(4a)으로 구성한다.
상기 레크구동캠(46)과 견인구동캠(48")은 설치다이(101)의 구동축(102)에 설치하여 시차를 두고 작동되게 하거나 또는 각각 개별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이상 구성의 캡결합장치(4)는 상기 이송장치(3)에 의해 코일(1)이 캡결합장치(4)로 이송되면 상기 코일(1) 일측으로 캡(2)을 결합시키는 장치이다.
도 12,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립 된 캡결합블럭(42)의 상부 캠안치홈(42')으로 상부 저장레일(41)에서 하나의 캡(2)이 낙하 공급되면, 레크구동캠(46)과 캠팔로어(45')로 연결된 레크(45)가 견인블럭(43)의 레크이송홈(44)을 따라 일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캡결합블럭(42)의 피니언(4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캡결합블럭(42)과 그 캠안치홈(42')에 안치된 캡(2)을 수평상태로 위치 전환한다. (도13의 (a)참조)
그리고 견인구동캠(48")과 캠팔로어(48')로 연결된 견인작동대(48)가 일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견인블럭(43)과 그 상부 캡결합블럭(42)을 가이드블럭(4a)을 따라 일방향(코일 위치방향)으로 이송시켜 캡안치홈(42') 내의 캡(2)을 코일(1)의 일측과 끼움/결합시킨다.(도 13의 (b)참조)
다시 말해, 이송장치(3)에 의해 코일(1)의 고정봉(12)과 침봉(13)이 일방향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캡결합장치(4)에 이송되면 상기 실시에 의해 캡(2)이 공급 및 이송되어 일측 투입홈(23)을 통해 코일(1)의 고정봉(12) 끝단은 캡(2)의 고정부(21) 내에, 침봉(13) 끝단은 캡(2)의 지지부(22)내에 인입하여 상호 결합한다.
또 상기 캡결합장치(4)는 상술한 일련의 과정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위 과정을 반복하되, 레크(45)와 견인작동대(48)가 각각의 당김스프링(47)(49')에 의해 원위치 복귀되어 반복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캡결합장치(4)로 캡정량공급장치(8)를 더 포함구성하되,
상기 캡정량공급장치(8)는 저장레일(41) 하부선상 일측으로 스프링(81')이 탄발된 설치대(81")로 결합하는 분리작동판(81)과, 상기 분리작동판(81) 중심부에 설치하면서 그 일단을 수직레일(41)의 캡공급홈(41') 내에 위치시키는 분리핀(82)과, 일측에 구동캠(83)과 연결시키는 캠팔로어(84')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분리작동판(81)을 유동시키는 공급작동블럭(84")을 설치하는 종동절(84)과, 상기 공급작동블럭(84") 중심부에 설치하면서 그 일단을 상기 분리핀(8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레일(41)의 캡공급홈(41') 내에 위치시키는 공급핀(85)으로 구성한다.
상기 구동캠(83)은 설치다이(101)의 구동축(102)에 설치하여 작동되게 하거나 또는 개별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이상 구성의 캡정량공급장치(8)는 저장레일(41)로 다량의 캡(2)을 저장하고 동시에 하부 캡결합블럭(42)의 캡안치홈(42')으로 하나의 캡(2)이 정량으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도모하여 주는 장치로서,
도 11의 (a)와 같이 구동캠(83)과 캠팔로어(84')로 연결된 종동절(84)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타측의 공급작동블럭(84")을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면, 공급작동블럭(84") 중심부의 공급핀(85)이 저장레일(41)의 캡공급홈(41') 내에 인입 위치하면서 저장레일(41) 수직 길이방향으로 다량의 캡(2)이 저장 위치될 수 있도록 받침 한다. 이때, 상기 공급작동블럭(84")은 저장레일(41) 일측으로 설치대(81")에 의해 구성된 분리작동판(81)을 일 방향으로 밀어 그 중심부의 분리핀(82)이 저장레일(41)의 캡공급홈(41')에서 이탈된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저장레일(41)에 저장되는 캡(2)은 통상의 진동피더에 의해 공급되면서 캡(2)의 투입홈(23)이 모두 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저장된다.
다음으로, 도 11의 (b)와 같은 상기 실시 상태에서 종동절(84)에 의해 공급작동블럭(84")이 위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면 공급핀(85)을 저장레일(41)의 캡공급홈(41')으로부터 이탈시키고 동시에 분리작동판(81)의 밀림상태를 해제하여 분리작동판(81)의 분리핀(82)이 설치대(81")의 스프링(81')에 의해 저장레일(41)의 캡공급홈(41')내로 진입되게 한다. 그러면 캡공급홈(41')으로 진입하는 상기의 분리핀(82)은 공급핀(85)상부에 위치한 하나의 캡(2)을 상부의 다른 캡으로부터 분리하고, 캡공급홈(41')에서 이탈하는 공급핀(85)은 상기 분리핀(82)에 의해 분리된 하나의 캡(2) 받침상태를 해제하여 전술한 캡결합블럭(42)의 캡안치홈(42')으로 캡(2)이 정확하면서도 안전하게 공급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캡결합장치(4)로 캡이탈방지장치(9)를 포함구성하되,
상기 캡이탈방지장치(9)는, 레일설치대(41) 측면으로 중심부를 축설하여 상,하방향 회동되도록 한 종동절(94)과, 상기 종동절(94)일측에 설치하여 구동캠(92)과 접속시키는 캠팔로어(93)와, 상기 종동절(94) 타측에 설치하여 하 방향 일정길이 절곡 형성하는 이탈방지핀(91)과, 상기 캡결합블럭(42)의 캡안치홈(42') 일측으로 상기 이탈방지핀(91)의 끝단이 진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탈방지핀삽입홈(95)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캠(2)은 설치다이(101)의 구동축(102)에 설치하여 작동되게 하거나 또는 개별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이상 구성의 캡이탈방지장치(9)는 상술한 캡결합장치(4)의 캡결합블럭(42)이 상술한 작용을 통해 코일(1)방향으로 유동하여 캡안치홈(42') 내의 캡(2)을 코일(1)의 고정봉(12)과 침봉(13) 끝단에 끼움 결합할 때, 도 13의 (a),(b)와 같이 구동캠(92)에 의해 상,하방향 회전 왕복 운동하는 종동절(94)이 그 일측 이탈방지핀(91)의 끝단을 캡안치홈(42') 일측에 형성한 이탈방지핀삽입홈(95)으로 진입하여 캡(2)의 일측(코일이 끼움결합되는 반대 위치)을 받침한다.
그러면, 상기 캡결합블럭(42)이 원위치로 복귀 유동할 때, 캡안치홈(42')에서 캡(2)이 코일(1)과 결합된 상태 그대로 분리되고 동시에 이탈방지핀(91)이 코일과 캡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침 하여준다.
보충하자면, 상기 설명과 같이 코일(1)로 캡(2)을 결합한 다음 캡결합블럭(42)이 원위치로 유동하면 상기 캡(2)이 캡안치홈(42')과의 마찰부하 등으로 인해 캡결합블럭(42)의 유동방향으로 함께 끌려와 코일(1)에서 이탈 등의 결합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캡이탈방지장치(9)가 이탈방지핀(91)으로 캡(2)을 일측을 받침하여 위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압장치(5)는;,
가압수단(51)과, 받침수단(51')으로 구성하되, 상기 가압수단(51)은 가압설치대(52) 일측에서 승,하강 되도록 설치하는 승강블럭(53)과, 상기 승강블럭(53) 하단에 일체 구성하는 가압펀치(53')와, 중심부를 상기 가압설치대(52)에 축설한 다음 일측은 상기 승강블럭(53)의 일측면 중심부와 연결하고 타측은 캡팔로어(54')를 통해 가압구동캠(54")과 연결되게 한 종동절(54)로 구성하고,
상기 받침수단(51')은 상부 일측으로 캡고정홈(55')을 가지는 가압받침블럭(55)과, 상기 가압받침블럭(55)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럭(56)과, 가이드블럭(56)의 가이드홈(56')을 통해 상기 가압받침블럭(56)의 하부면과 수직방향 연결하는 회동축(57)과, 일측으로 상기 회동축(57)의 일단을 연결하면서 타측으로 원통캠(58)과 접속되는 캠팔로어를 연결하는 종동절(59)로 구성한다.
참고로 상기 받침수단(51')의 종동절(59)은 그 중심부를 설치다이(101)에 축설하여 원통캠(58)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왕복 운동하면서 일측에 연결된 회동축(57)으로 상기 가압받침블럭(55)을 가이드블럭(56)을 따라 유동시킨다.
또 상기 가압수단(51)의 종동절(54)은 그 일측으로 가압설치대(52) 하단과 연결된 스프링(52')을 연결하여 가압구동캠(45")에 의해 상기 종동절(54)이 수직방향 회전 왕복 운동할 때, 스프링(52')의 탄발력으로 그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한다.
또 상기 가압구동캠(54")과 원통캠(58)은 상술한 설치다이(101)의 구동축(102)에 설치하여 작동되게 하거나 또는 개별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이상 구성의 가압장치(5)는 이송장치(3)에 의해 캡결합장치(4)로부터 코일(1)과 캡(2)이 결합 된 상태로 이송되면, 캡(2)의 고정부(21)를 가압(압착)하여 옷핀(a)을 완성하는 장치이다.
도 14,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장치(3)에 의해 코일(1)과 캡이(2) 결합된 상태로 이송되면 먼저, 받침수단(51')의 종동절(59)이 원통캠(58)에 의해 수평방향 회전 왕복 운동하면서 일측 회동축(57)과 연결된 가압받침블럭(55)을 가이드블럭(56)에서 일 방향(이송된 캡의 직하부)으로 유동시켜 가압받침블럭(55)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캡고정홈(55')이 상기 캡(2)의 하부를 받침 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가압설치대(52)에 설치되면서 가압구동캠(54")에 의해 상,하 방향 왕복운동하는 종동절(54)이 일측 승강블럭(53)을 가압설치대(52)에서 하강시켜 승강블럭(53)하단의 가압펀치(53')로 캡(2)의 고정부(21)와 코일(1)의 고정봉(12)을 압착하여 고정 및 옷핀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배출장치(6)는;,
이송장치(3)의 고정상판(35) 둘레 일측에서 그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형성하는 인출공(61)과, 상기 인출공(61)내에 위치시키면서 상부로 코아이송대(62')를 돌출시킨 배출코어(62)와, 일측으로 배출회전축(63)을 가지고 타측에는 상기 코아이송대(62')가 관통 위치되게 한 일정길이의 이송공(64)을 가지는 배출회전대(65)와, 일단을 상기 배출회전축(63) 외주면에 설치하고 타단은 가압장치(5)의 가압받침블럭(55) 일측에 돌출시킨 가동핀(66)과 접촉되도록 일정길이로 구성하는 가동대(67)와, 일단을 상기 가동대(67)에 연결하고 타단은 가압장치(5)의 가이드블럭(56) 일측에 연결하는 스프링(68)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회전축(63)은 설치다이(101) 상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하고, 상기 배출회전대(65)는 배출회전축(63) 상단에 설치하면서 고정상판(35) 상부 선상에 위치토록 한다.
*이상 구성의 배출장치(6)는 이송장치(3)에 의해 가압장치(5)로부터 완성된 옷핀(a)이 이송되면, 이송장치(3)의 턴테이블(32)에서 옷핀(a)을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가압장치(5)에서 완성된 옷핀(a)이 이송장치(3)에 의해 배출장치(6)로 이송되면, 상술한 가압장치(5)의 반복 작용으로 유동하는 가압받침블럭(55)이 그 일측에 구성된 가동핀(66)으로 가동대(67)를 밀어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에 의한 가동대(67)는 배출회전축(63)과 배출회전대(65)를 동일 각으로 회전시켜 배출회전대(65)의 이송공(64)에 관통 위치된 코일이송대(62')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고 동시에 고정상판(35)의 인출공(61)내에 배치된 배출코어(62)를 상기 코일이송대(62')가 턴테이블(32)의 코일끼움홈(36')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인출하여 코일끼움홈(36')에 고정된 옷핀(a)을 외부로 밀어 배출시킨다.
한편, 위 작용의 반복을 위한 원위치 복귀는 상기 가압받침블럭(55)이 원위치로 유동하여 가동대(67)의 밀림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동대(67)와 가압장치(5)의 가이드블럭(56)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68이 그 탄성으로 상기 가동대(67)를 원위치 복귀시켜 위 작용의 반복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설명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과정이 동시에 연속 실시되어 단시간 내에 양질의 옷핀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또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축(102)으로 상기 이송장치, 캡공급장치, 가압장치의 각 구동캠 들을 연결하면서 각각 작동 시차를 가지게 설계제작하여 전체 장치의 부피 및 비용절감 그리고 운영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설명적으로, 이 본 발명은 이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이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이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이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이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이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권리범위가 넓은 순서대로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이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1 : 설치다이 102 : 구동축
103 : 코일제조장치 a : 옷핀
1 : 코일 11 : 연결부
12 : 고정봉 13 : 침봉
2 : 캡 21 : 고정부
22 : 지지부 23 : 투입홈
3 : 이송장치 31 : 지지체
32 : 턴테이블 33 : 구동캠
34 : 종동절 34' : 캠팔로어
34a : 로드설치홈 34b : 스프링
34c : 푸싱로드 35 : 고정상판
36 : 코일고정블럭 36' : 코일끼움홈
36" : 단턱 37 : 걸림대
38 : 가이드블럭 4 : 캡결합장치
4a : 가이드블럭 41 : 저장레일
41' : 캡공급홈 42 : 캡결합블럭
42' : 캡안치홈 42" : 피니언
43 : 견인블럭 43',43" : 설치대
44 : 레크이송홈 45 : 레크
45' : 캠팔로어 46 : 레크구동캠
47 : 스프링설치대 47' : 당김스프링
48 : 견인작동대 48' : 캠팔로어
48" : 견인구동캠 49 : 스프링설치대
49' : 당김스프링 5 : 가압장치
51 : 가압수단 51' : 받침수단
52 : 가압설치대 53 : 승강블럭
53' : 가압펀치 54 : 종동절
54' : 캠팔로어 54" : 가압구동캠
55 : 가압받침블럭 55' : 캠고정홈
56 : 가이드블럭 56' : 가이드홈
57 : 회동축 58 : 원통캠
59 : 종동절 6 : 배출장치
61 : 인출공 62 : 배출코어
62' : 코아이송대 63 : 배출회전축
64 : 이송공 65 : 배출회전대
66 : 가동핀 67 : 가동대
68 : 스프링 7 : 위치고정수단
71 : 스프링 72 : 고정대
72' : 설치판 73 : 걸림홈
74 : 스톱퍼 75 : 스톱퍼회동대
8 : 캡정량공급장치 81 : 분리작동판
81' : 스프링 81" : 설치대
82 : 분리핀 83 : 구동캠
84 : 종동절 84' : 캠팔로어
84" : 공급작동블럭 85 : 공급핀

Claims (8)

  1. 코일(1) 연결부(11)를 턴테이블(32) 내측에 위치고정하고 코일(1) 양측 고정봉(12)과 침봉(13)은 턴테이블(32) 외측에 나란히 돌출 고정한 상태에서 정방향 회전하여 상기의 코일을 캡결합장치(4)로 연속해서 이송하는 이송장치(3)와;,
    여러 개의 캡(2)을 수직선상 일렬 저장한 저장레일(41)로부터 하나의 캡(2)을 수직방향에서 공급받은 다음 그 캡(2)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전환하여 이송장치(3)에 의해 이송된 코일(1)의 고정봉(12)과 침봉(13) 끝단으로 상기한 캡(2)을 끼워 결합하는 캡결합장치(4)와;,
    이송장치(3)에 의해 캡결합장치(4)로부터 코일(1)과 캡(2)이 이송되면, 상기 캡(2)의 고정부(21)를 가압하여 코일(1)의 고정봉(11) 끝단과 압착고정으로 옷핀(a)을 완성하는 가압장치(5)와;,
    이송장치(3)에 의해 가압장치(5)로부터 완성된 옷핀(a)이 이송되면, 이송장치(3) 상부에서 회전작용하면서 옷핀(a)을 이송장치(3)로부터 밀어 이탈시키는 배출장치(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핀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장치(3)는 설치다이(101)에 설치하는 지지체(31)와, 상기 지지체(31)에 회전설치하는 턴테이블(32)과, 구동캠(33)에 의해 작동하여 턴테이블(32)을 회전시키는 종동절(34)과, 지지체(31)상단에 고정하면서 턴테이블(32)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상판(35)으로 구성하되,
    상기 턴테이블(32)은 상부면 둘레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하여 그 사이 사이에 코일끼움홈(36')을 마련토록 하는 코일고정블럭(36)과, 하부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 개 돌출형성하는 걸림대(37)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종동절(34)은 일단으로 구동캠(33)과 연결하는 캠팔로어(34')와, 타측단으로 로드설치홈(34a)을 형성하여 상기 로드설치홈(34a) 내에 일단을 축설하면서 타단은 로드설치홈(34a) 일측과 스프링(34b) 탄발하여 턴테이블(32)의 걸림대(37)를 푸싱토록 하는 푸싱로드(34c)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핀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턴테이블(32) 하부로 위치고정수단(7)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고정수단(7)은 일측으로 스프링(71)이 탄발된 고정대(72)와, 중심부를 상기 스프링(71)과 연결하면서 일단을 하부 설치판(72')에 축설하는 스톱퍼회동대(75)와, 상기 스톱퍼회동대(75) 타측단에 상방향 돌출시켜 턴테이블(32) 하부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걸림홈(73)으로 걸림되게 하는 스톱퍼(7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핀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결합장치(4)는 캡(2)을 수직선상으로 낙하 공급하는 저장레일(41)과, 상부에 캡안치홈(4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피니언(42")을 설치하여 견인블럭(43) 상부 양측 설치대(43')(43")에서 회전되게 하는 캡결합블럭(42)과, 상기 견인블럭(43) 일측 선상에 형성된 레크이송홈(44)에 안치하여 일측은 상기 피니언(42")과 물림하고, 타측은 캠팔로어(45')를 통해 레크구동캠(46)과 연결하는 레크(45)와, 일측을 레크(45)와 연결하고 타측은 스프링설치대(47)에 연결하여 상기 레크(45)를 레크구동캠(46) 방향으로 당김하는 당김스프링(47')과, 일측은 상기 견인블럭(43)과 연결하고 타측은 캠팔로어(48')를 통해 견인구동캠(48")과 연결하는 견인작동대(48)와, 일측을 견인작동대(48)와 연결하고 타측은 스프링설치대(49)에 연결하여 상기 견인작동대(48)를 견인구동캠(48") 방향으로 당김되도록 하는 당김스프링(49')과, 상기 견인블럭(43)을 안치하여 이송 안내하는 가이드블럭(4a)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옷핀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캡결합장치(4)에 캡이탈방지장치(9)를 포함구성하되,
    상기 캡이탈방지장치(9)는, 레일설치대(41) 측면으로 중심부를 축설하여 상,하방향 회동되도록 한 종동절(94)과, 상기 종동절(94)일측에 설치하여 구동캠(92)과 접속시키는 캠팔로어(93)와, 상기 종동절(94) 타측에 설치하여 하 방향 일정길이 절곡 형성하는 이탈방지핀(91)과, 상기 캡결합블럭(42)의 캡안치홈(42') 일측으로 상기 이탈방지핀(91)의 끝단이 진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탈방지핀삽입홈(95)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핀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결합장치(4)로 캡정량공급장치(8)를 더 포함구성하되,
    캡정량공급장치(8)는 저장레일(41) 하부선상 일측으로 스프링(81')이 탄발된 설치대(81")로 결합하는 분리작동판(81)과, 상기 분리작동판(81) 중심부에 설치하면서 그 일단을 수직레일(41)의 캡공급홈(41') 내에 위치시키는 분리핀(82)과, 일측에 구동캠(83)과 연결시키는 캠팔로어(84')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분리작동판(81)을 유동시키는 공급작동블럭(84")을 설치하는 종동절(84)과, 상기 공급작동블럭(84") 중심부에 설치하면서 그 일단을 상기 분리핀(8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레일(41)의 캡공급홈(41') 내에 위치시키는 공급핀(85)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핀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가압장치(5)를 가압수단(51)과 받침수단(51')으로 구성하되,
    상기 가압수단(51)은 가압설치대(52) 일측에서 승,하강 되도록 설치하는 승강블럭(53)과, 상기 승강블럭(53) 하단에 일체 구성하는 가압펀치(53')와, 중심부를 상기 가압설치대(52)에 축설한 다음 일측은 상기 승강블럭(53)의 일측면 중심부와 연결하고 타측은 캡팔로어(54')를 통해 가압구동캠(54")과 연결되게 한 종동절(54)로 구성하고,
    상기 받침수단(51')은 상부 일측으로 캡고정홈(55')을 가지는 가압받침블럭(55)과, 상기 가압받침블럭(55)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럭(56)과, 가이드블럭(56)의 가이드홈(56')을 통해 상기 가압받침블럭(56)의 하부면과 수직방향 연결하는 회동축(57)과, 일측으로 상기 회동축(57)의 일단을 연결하면서 타측으로 원통캠(58)과 접속되는 캠팔로어를 연결하는 종동절(59)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핀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배출장치(6)는 이송장치(3)의 고정상판(35) 둘레 일측에서 그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형성하는 인출공(61)과, 상기 인출공(61)내에 위치시키면서 상부로 코아이송대(62')를 돌출시킨 배출코어(62)와, 일측으로 배출회전축(63)을 가지고 타측에는 상기 코아이송대(62')가 관통 위치되게 한 일정길이의 이송공(64)을 가지는 배출회전대(65)와, 일단을 상기 배출회전축(63) 외주연에 설치하고 타단은 가압장치(5)에 의해 회동되게 한 가동대(67)와, 일단을 상기 가동대(67)에 연결하고 타단은 가압장치(5) 일측에 연결하는 스프링(68)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핀제조장치.
KR1020200060110A 2020-05-20 2020-05-20 옷핀 제조장치 KR10235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110A KR102353721B1 (ko) 2020-05-20 2020-05-20 옷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110A KR102353721B1 (ko) 2020-05-20 2020-05-20 옷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409A true KR20210143409A (ko) 2021-11-29
KR102353721B1 KR102353721B1 (ko) 2022-01-20

Family

ID=7869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110A KR102353721B1 (ko) 2020-05-20 2020-05-20 옷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7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773Y1 (ko) * 1980-12-31 1981-10-27 김홍우 옷핀 자동 성형장치
JPH06298201A (ja) * 1993-04-12 1994-10-25 Nippon Eranko Kk カプセル充填物の秤量方法及びカプセル充填装置
KR20120124773A (ko) 2011-05-04 201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212409B1 (ko) * 2012-11-06 2012-12-13 고영준 옷핀 제조 장치용 캡 공급 장치
KR101649508B1 (ko) * 2016-05-13 2016-08-19 송준석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773Y1 (ko) * 1980-12-31 1981-10-27 김홍우 옷핀 자동 성형장치
JPH06298201A (ja) * 1993-04-12 1994-10-25 Nippon Eranko Kk カプセル充填物の秤量方法及びカプセル充填装置
KR20120124773A (ko) 2011-05-04 201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212409B1 (ko) * 2012-11-06 2012-12-13 고영준 옷핀 제조 장치용 캡 공급 장치
KR101649508B1 (ko) * 2016-05-13 2016-08-19 송준석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721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65196A (zh) 平面轴承自动装钢球机
CN103737318B (zh) 配件自动组装设备
CN104482060B (zh) 一种平面推力保持架自动装配装置及其装配方法
EP2132122B1 (de)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fadens
CN105422650B (zh) 平面轴承保持架自动装球机
EP2292402A2 (de) Magazin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Aufbewahrung von Blasformen
EP2658800B1 (en) Feeding apparatus for unoriented objects
US4875572A (en) Tray transfer device
KR102353721B1 (ko) 옷핀 제조장치
DE4024284A1 (de) Einrichtung zur versorgung von verpackungsmaschinen mit verpackungsmaterial
CN103817931A (zh) 铜排插入塑壳流水线
KR101725726B1 (ko)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CN109130593B (zh) 一种自动铅笔的笔芯组合机
CN111993039A (zh) 车门把手的自动装配装置
CN107618690B (zh) 自动水果分箱流水线
KR101472418B1 (ko) 센터링 기능을 갖는 인서트 자동 공급 장치
KR102353722B1 (ko) 옷핀용 코일 제조장치
CN209026032U (zh) 一种用于平面推力轴承的装配机
CN219905832U (zh) 一种导轮上料机构
CN211112610U (zh) 一种选珠装置
JP6689397B2 (ja) ドライブプーリ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と、ローラ組付装置、ピース取付装置及びボス挿通装置
US3774282A (en) Apparatus for assemblying idler rolls and the like
CN209468301U (zh) 一种玻璃液滴多工位下料装置
CN115945881B (zh) 穿刺针组件组装装置
CN212884818U (zh) 一种座椅托盘传送机构及座椅托盘销钉铆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