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176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176A
KR20210143176A KR1020217028004A KR20217028004A KR20210143176A KR 20210143176 A KR20210143176 A KR 20210143176A KR 1020217028004 A KR1020217028004 A KR 1020217028004A KR 20217028004 A KR20217028004 A KR 20217028004A KR 20210143176 A KR20210143176 A KR 20210143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top sheet
nonwoven fabric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히로 카토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4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being a tissue-wrapp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being a surge management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흡수성 물품이 체액(예를 들면,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살갗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한다.
[해결 수단] 액 유지성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의 피부 대향면 측에 액 투과성 탑 시트(30)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탑 시트(56)를 투과한 체액을 상기 흡수체(56)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40)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흡수제(Q)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 특히,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 특히,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가 거칠어지는, 특히, 피부염이 자주 문제가 된다.
이 요인으로서, 기저귀 장착 시 피부와의 마찰, 장시간 장착에 따른 체액, 배설물(오줌·무른 변)로부터 피부가 받는 자극을 들 수 있다.
특히, 피부가 장시간, 무른 변과 접촉함에 따른 자극에 의한 요인은 크다.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는 것이다.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할 수 있으면, 피부 자극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다리쪽이나 등쪽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탑 시트를 통해 무른 변의 흡수를 저해하는 요인의 첫번째는, 변 성분이 탑 시트를 투과할 때에, 투과하지 못한 성분이 탑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부에 잔류하여, 탑 시트가 막히는 것이다. 두번째로, 대변 속도가 기저귀의 흡수 속도를 웃돌아, 흡수하지 못하고 탑 시트 상에 잔류하는 것이다.
탑 시트 상에의 무른 변 성분의 잔류는, 무른 변 성분이 탑 시트 위를 미끄러져서, 변이 새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도록 하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
특허문헌 1에는, 기저귀의 폭 방향 양측의 이른바 개더 커프스간에 스킨 케어제를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스킨 케어제는 탑 시트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예시는 디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8-102836호
그러나, 본 발명자는 스킨 케어제에 의해 살갗이 거칠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보다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흡수성 물품이 체액(예를 들면,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살갗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흡수성 물품의 주요 양태는 다음과 같다.
<제1 양태>
액 유지성 흡수체와, 이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 측에 액 투과성 탑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탑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있어서, 탑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흡수체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으면, 체액(예를 들면,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게 되는 것을 깨달았다.
<제2 양태>
상기 중간 시트가 상기 탑 시트 측의 세컨드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싸는 포장 시트를 갖고,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상기 포장 시트에 상기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는 양태이다.
세컨드 시트 뿐만 아니라, 흡수체를 싸는 포장 시트에도 흡수제를 마련할 수 있다.
<제3 양태>
상기 탑 시트의 비피부 측면에도 상기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는 양태이다.
체액이 탑 시트를 투과하려고 하는 단계에서, 탑 시트의 비피부 측면에 마련된 흡수제가 중간 시트 측에 건네주게 됨으로써, 흡수 속도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제4 양태>
상기 탑 시트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양태이다.
탑 시트가 다수의 개공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체액이 흡수되기 쉬워져, 그 결과, 본 발명과 관련된 흡수제에 의한 흡수 속도의 향상 효과가 높아진다.
<제5 양태>
상기 흡수제는 성분 조성으로서 글리세린을 70질량% 이상 포함하고, 첨가제로서 유화제, 인산 에스테르, 파라핀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종 또는 복수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양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이 체액(예를 들면,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살갗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후 방향 중앙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후 방향 단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예 1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예 2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예 3의 요부 설명도이다.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예>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예를 도 1∼도 5에 나타냈다.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중 부호 X는 연결 테이프를 제외한 기저귀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L은 기저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단면도에서의 점 모양 부분은 그 표측 및 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핫멜트 접착제를 나타내고 있다.
핫멜트 접착제는 슬롯 도포, 연속선상 또는 점선형의 비드 도포, 스파이럴형, Z형 등의 스프레이 도포, 또는 패턴 코팅(볼록판 방식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의 전사) 등, 공지의 수법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이것 대신 또는 이것과 함께, 탄성 부재의 고정 부분에서는, 핫멜트 접착제를 탄성 부재의 외주면에 도포하여, 탄성 부재를 인접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EVA계,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 가능하다.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는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후 방향(LD)의 중앙을 포함하는 고간부와, 전후 방향(LD)의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F)과, 전후 방향(LD)의 중앙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B)을 갖고 있다.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고간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내장된 흡수체(56)와, 흡수체(56)의 표측을 덮는 액 투과성 탑 시트(30)와, 흡수체(56)의 이측을 덮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액 불투과성 시트의 이측을 덮어서, 제품 외면을 구성하는 외장 부직포(12)를 갖는 것이다.
한편, 배측 부분(F)으로부터 등측 부분(B)에 걸친 폭 방향 양측에는,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사이드 플랩부(SF)가 형성되어 있고, 배측 부분(F)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테이프(13)를 갖고 있다. 장착 상태에서는, 연결 테이프(13)가 배측 부분(F)의 외면에 연결된다. 또한, 도시한 예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체(56)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한 쌍의 엔드 플랩부(EF)를 갖고 있다.
이하, 각 부의 소재 및 특징 부분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흡수체)
흡수체(56)는 배설액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부분이며,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면상 펄프나 합성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 합성 섬유의 토우(섬유 다발)를 필요에 따라 개섬하여 얻을 수 있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 가능하다. 섬유 평량으로서는, 면상 펄프나 단섬유를 적섬할 경우, 예를 들면 100∼300g/㎡ 정도로 할 수 있고,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예를 들면 30∼120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필라멘트는 비권축 섬유일 수 있지만,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2.54㎝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흡수체(56)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50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 및 이 체질로 체 아래로 낙하하는 입자에 대하여 18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을 실시하였을 때에, 500㎛의 표준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180㎛의 표준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형인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소위 역행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라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량은 해당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량이 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과잉에 의해 사각거리는 위화감을 주게 된다.
(포장 시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혹은 흡수체(56)의 형상 유지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체(56)는 포장 시트(58)로 싸서 이루어지는 흡수 요소(50)로서 내장시킬 수 있다. 포장 시트(58)로서는, 티슈,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 SM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 가능하다. 섬유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장 시트(5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로 흡수체(56) 전체를 싸는 구조로 하는 것 외에, 상하 2매 등 복수 매의 시트로 흡수체(56) 전체를 싸도록 할 수 있는 포장 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 투과성을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공 또는 무공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것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더욱이,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좋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한다면 스펀 레이스법이, 고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한다면 써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
탑 시트(30)는 전후 방향으로는 제품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고, 폭 방향(WD)으로는 흡수체(56)보다 옆쪽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후술하는 기립 개더(60)의 기점이 흡수체(56)의 측연보다 폭 방향 중앙 측에 위치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탑 시트(30)의 폭을 흡수체(56)의 전체 폭보다 짧게 하는 등,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중간 시트)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라고도 부르고 있음)(4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이고,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역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탑 시트(30)와 동일한 소재나, 스펀 레이스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부직포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 가능하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가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로는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심으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지만, 강성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17∼80g/㎡가 바람직하고, 25∼60g/㎡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0∼1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부피가 크게 하기 위해,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서, 심이 중앙에 없는 편심 섬유나 중공 섬유, 편심이면서 중공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시트(40)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와 같이 배설 위치를 포함하는 중간 부분에만 마련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시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는, 부직포를 기재로 하여 방수성을 높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 있어서 흡수체(56)와 같거나 또는 보다 광범위하게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차수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 있어서 흡수체(56)의 단부를 덮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외장 부직포)
외장 부직포(12)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측 전체를 덮어, 제품 외면을 옷감과 같은 외관으로 하는 것이다. 외장 부직포(12)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공법으로서는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써멀 본드법, 에어스루법, 니들 펀치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촉감 및 강도를 양립 가능한 점에서 스펀 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SMMS 부직포 등의 장섬유 부직포가 적합하다. 부직포는 1매로 사용하는 것 외에,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부직포 상호를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그 섬유 평량은 10∼50g/㎡, 특히 15∼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립 개더)
탑 시트(30) 위를 지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설물을 저지하여, 이른바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의 폭 방향(WD) 양측에는, 장착자의 피부 측으로 기립하는 기립 개더(60)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물론, 기립 개더(60)는 생략할 수도 있다.
기립 개더(60)를 채택할 경우,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모든 구조를 채택 가능하다. 도시한 예의 기립 개더(60)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 연속하는 개더 시트(62)와, 이 개더 시트(62)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 세장형 개더 탄성 부재(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개더 시트(62)로서는 발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개더 탄성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복수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1개 마련할 수 있다.
개더 시트(62)의 내면은 탑 시트(30)의 측부 상에 폭 방향(WD)의 접합 시단을 갖고, 이 접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 부분은 각 사이드 플랩부(SF)의 내면, 즉, 도시한 예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측부 및 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장 부직포(12)의 측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다리 둘레에 있어서는, 기립 개더(60)의 접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은 제품 전후 방향 양단부에서는 탑 시트(30) 상에 고정되어 있되, 그 사이 부분은 비고정 자유 부분이며, 이 자유 부분이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하여, 신체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평면 개더)
각 사이드 플랩부(SF)에는 실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사이드 플랩부(SF)의 다리 둘레 부분이 평면 개더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개더 시트(62)의 접합 부분 중 접합 시단 근방의 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개더 시트(6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 외에, 사이드 플랩부(SF)에서의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외장 부직포(12)의 사이에 마련할 수도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각 측에서 복수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측에 1개만 마련할 수도 있다.
(연결 테이프)
등측 부분(B)에는, 배측 부분(F)의 외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수단으로서의 연결 테이프(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기저귀 장착 시에는, 연결 테이프(13)를 허리의 양측으로부터 배측 부분(F)의 외면으로 돌려서, 연결 테이프(13)의 연결부(13A)를 배측 부분(F) 외면의 적당한 곳에 연결한다.
연결 테이프(1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테이프 부착부(13C)로부터 돌출되는 테이프 본체부와, 폭 방향 중간부에 마련된 연결부(13A)를 갖고, 이 연결부(13A)로부터 선단 측이 손잡이부로 되어 있다. 연결 테이프(13)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테이프 부착부(13C)는 전후 방향 치수가 가장 길고, 또한, 일정한 부분을 가지며, 테이프 본체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연결부(13A)로서는, 메커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훅재(웅재)를 마련하는 것 외에, 점착제층을 마련할 수 있다. 훅재는 그 연결면에 다수의 계합 돌기를 갖는 것으로, 계합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A) レ자형, (B) J자형, (C) 버섯형, (D) T자형, (E) 더블 J자형(J자형의 것을 맞대어 결합한 형상의 것)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착부(13C)부터 테이프 본체부까지를 형성하는 시트 기재로서는,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나 이들의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섬도 1.0∼3.5dtex, 평량 20∼100g/㎡, 두께 1㎜ 이하의 스펀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타겟부)
배측 부분(F)에서 연결 테이프(13)의 연결 개소에는 타겟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겟부는 도시한 예와 같이,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겟 시트(20)를 배측 부분(F)의 외면에 첩부함으로써 마련할 수 있다. 타겟 시트(20)는 연결부(13A)가 훅재인 경우, 훅재의 계합 돌기가 얽히는 루프실이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다수 마련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점착재층의 경우에는, 점착성이 풍부한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측 부분(F)에서 연결 테이프(13)의 연결 개소가 부직포로 이루어질 경우, 예를 들면, 도시한 예와 같이, 외장 부직포(12)를 가질 경우에는, 타겟 시트(20)를 생략하고, 훅재를 외장 부직포(12)의 섬유에 얽히게 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지로서의 타겟 시트(20)를 외장 부직포(1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 외에, 외장 부직포(12)나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외면에 표지를 인쇄할 수 있다.
<흡수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는 탑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흡수체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있어서, 탑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흡수체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으면, 체액(예를 들면,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게 된다.
대표예는, 요부만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시트(30)를 투과한 체액을 흡수체(56)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40)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흡수제(Q)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중간 시트로서는, 도 5∼도 7에 부호 40으로 나타난 탑 시트(30) 측에 위치하는 세컨드 시트(40) 외에, 흡수체(56)를 싸는 포장 시트(58)를 포함하는 양태가 있다.
또한, 세컨드 시트(40)에 흡수제(Q)를 마련하는 것 외에, 탑 시트(30)에 흡수제(Q)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탑 시트(30)에 피부 측면에 흡수제(Q)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시트(30)의 비피부 측면(도 6의 하면)에 흡수제(Q)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 시트(30)의 피부 측면(도 6의 상면)은 소수성인 것이 체액의 액 성분의 확산성을 높이기에 바람직한 바,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친수성 흡수제를 마련한다고 하면, 탑 시트(30)의 소수성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에, 이 형태는 그다지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한편, 탑 시트(30)의 비피부 측면(도 6의 하면)에 흡수제(Q)를 마련하면, 체액이 탑 시트(50)를 투과하려고 하는 단계에서, 탑 시트(50)의 비피부 측면에 마련된 흡수제(Q)가 중간 시트(40) 측에 건네주게 됨으로써, 흡수 속도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탑 시트(30)가 다수의 개공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체액이 흡수되기 쉬워져, 그 결과, 흡수제(Q)에 의한 흡수 속도의 향상 효과가 높아진다.
부직포의 개공으로서는, 원이나 타원 등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개공 지름(타원인 경우에는 해당 직경)은 0.1∼2.0㎜가 바람직하다. 또한, 개공의 배치로서는, 예를 들면, 지그재그형 또는 격자형이다. 개구율로서는, 2∼40%가 바람직하다. 개공 지름 및 개구율이 작으면 체액 투과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개공 지름 및 개구율이 과도하게 크면, 일단 흡수 요소가 흡수한 체액이 탑 시트 표면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역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중간 시트로서는, 탑 시트(30) 측에 위치하는 세컨드 시트(40) 외에, 흡수체(56)를 싸는 포장 시트(5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장 시트(58)의 피부 측면에 흡수제(Q)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양태 하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탑 시트(30)에, 바람직하게는 비피부 측면에 흡수제(Q)를 마련할 수 있다.
흡수제(Q)를 배치하는 시트가 복수층인 경우에 있어서, 흡수제(Q)의 도포량에,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가 바람직한 이유는 도포량의 구배가 흡수제(Q)에 의한 체액의 이행 속도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탑 시트≪중간 시트<포장 시트
도포량으로서는, 중간 시트(40)를 예로 들면, 0.02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그리고, 3.00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g/㎡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0.05g/㎡이상 1.20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흡수제로서는, 성분 조성으로서 글리세린을 7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 포함하고, 첨가제로서 유화제, 인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파라핀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종 또는 복수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EO/PO형을 포함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흡수제 배치에 있어서는, 탑 시트와 중간 시트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스트라이프형 또는 스파이럴형 등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형 도포가 바람직하다. 탑 시트와 중간 시트가 열 엠보싱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트라이프형 또는 스파이럴형 외에, 대상 영역 전체 면에 대한 스프레이 도포여도 좋다.
한편, 탑 시트(30)의 비피부면에 흡수제를 마련할 경우, 예를 들면, 중간 시트(40)에 대한 흡수제로의 적용만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포장 시 또는 보관 시에 받는 압축력, 혹은 착용자의 사용 시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흡수제의 일부를 탑 시트(30)의 비피부면에 전사함으로써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험예 1)
도 1∼도 4에 나타내는 구조로서,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제(Q)의 배치 형태를 바꾼 3종류의 일회용 기저귀 구성 하에서, 유사 무른 변을, 개공을 갖는 탑 시트의 위쪽으로부터 흘러내리게 하여 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흡수제를 배치하지 않은 일회용 기저귀도 준비하여, 비교예로 하였다.
합계 4종류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각각 5샘플을 준비하여, 흡수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흡수 시험은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 상태로 하여 그 등측에 직경 7 ㎝의 통을 두고, 20ml의 유사 무른 변을 유입시킴과 동시에 흡수 속도의 측정 개시 시로 하였다. 유사 무른 변은 통으로부터 평판의 개구를 지나, 탑 시트를 투과하기 시작한다. 흡수 속도의 측정 개시 시부터 30초 후에 통을 없애고, 탑 시트 표면의 수분이 없어진 것을 확인한 시점을 흡수 속도의 측정 종료로 한다.
유사 무른 변을 유입하고 3분 후에 일회용 기저귀의 등측에 여과지 10㎝×10㎝를 10매 겹쳐서, 그 위로부터 1kg의 추 10㎝×10㎝를 두고, 60초 후에 여과지 측으로 이행하는 액의 흡수에 따른 중량 증가분을 역행량으로 한다.
그 후에, 일회용 기저귀를 해체하고, 등측 흡수체가 존재하는 폭 8㎝×전후 방향 15㎝의 측정 영역을 잘라내어, 흡수체, 포장 시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 탑 시트의 각각에 대하여 액의 흡수에 따른 중량 증가분을 산출하였다. 이 경우, 측정 영역의 중량은 이미 알기 때문에, 중량 증가분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유사 무른 변으로서는, 공지의 요구르트계 유사 무른 변을 사용하였다. 여기서는, 시판 요구르트(2), 이온 교환수(3)의 질량 비율로, 점도: 300mPa·s로 점도 조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4종류의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이 결과로부터, 중간 시트에 본 발명과 관련된 흡수제를 적용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무른 변을 재빠르게 흡수체에 흡수하여, 표면에 무른 변을 잔류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에 유효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흡수제의 종류를 바꾼 흡수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에는 예 1의 결과를 재게하였다. 글리세린과는 다른 흡수제(Q)의 비교로서, 비교예 2는 도 5의 형태에 있어서, 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것이다. 비교예 3은 도 5의 형태에 있어서, EO/PO형을 포함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것이다.
[표 2]
Figure pct00002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관련된 흡수제는 이 기술 분야에서 친수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것과 비교하여, 흡수 속도가 높고, 표면에 무른 변을 잔류시키기 어려운 것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명세서 내 용어 설명)
명세서 내 이하의 용어는 명세서 내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부호 「LD」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을, WD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은 직교하는 것이다.
·「전개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한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여,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온도 100℃의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하여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시료 채취용 형판(100㎜×100㎜)을 사용하여, 100㎜×100㎜인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여, 100배하여 1평방미터당의 무게를 산출하여, 평량으로 한다.
·시험이나 측정에서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예와 같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팬티 타입, 패드 타입 등 각종 일회용 기저귀 외에, 생리용 냅킨, 수영이나 물장난용 일회용 착용 물품 등, 일회용 착용 물품 전반에 이용 가능한 것이다.
10 다리 둘레 테두리 11 액 불투과성 시트
12 외장 부직포 13 연결 테이프
20 타겟 시트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50 흡수 요소
56 흡수체 58 포장 시트
60 기립 개더 62 개더 시트
B 등측 부분 F 배측 부분
WD 폭 방향 LD 전후 방향
SF 사이드 플랩부 Q 흡수제

Claims (5)

  1. 액 유지성 흡수체와 이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 측에 액 투과성 탑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적어도 상기 탑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는 중간 시트에, 글리세린을 주체로 하는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트가, 상기 탑 시트 측의 세컨드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싸는 포장 시트를 가지며,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상기 포장 시트에 상기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의 비피부 측면에도 상기 흡수제가 마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시트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는, 성분 조성으로서 글리세린을 70질량% 이상 포함하고, 첨가제로서 유화제, 인산 에스테르, 파라핀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217028004A 2019-03-27 2020-01-27 흡수성 물품 KR20210143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0524 2019-03-27
JP2019060524A JP7370151B2 (ja) 2019-03-27 2019-03-27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20/002693 WO2020195097A1 (ja) 2019-03-27 2020-01-2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176A true KR20210143176A (ko) 2021-11-26

Family

ID=7261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004A KR20210143176A (ko) 2019-03-27 2020-01-2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60927A1 (ko)
EP (1) EP3925586A4 (ko)
JP (1) JP7370151B2 (ko)
KR (1) KR20210143176A (ko)
CN (1) CN113518603B (ko)
BR (1) BR112021017463A2 (ko)
WO (1) WO20201950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836A (ja) 2016-12-28 2018-07-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27426C (en) * 2008-06-13 2014-04-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polymer material, wetness indicator, and reduced migration of surfactant
JP5913881B2 (ja) * 2011-09-22 2016-04-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020980B2 (ja) * 2011-09-14 2016-11-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63359B2 (ja) * 2011-09-22 2016-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84670B2 (ja) * 2012-08-31 2017-08-23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6253241B2 (ja) * 2013-04-11 2017-12-2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6172809B2 (ja) * 2013-12-03 2017-08-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920938B (zh) * 2015-08-26 2021-07-30 宝洁公司 具有三维基底和标记的吸收制品
JP6203907B1 (ja) * 2016-06-14 2017-09-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869653B2 (ja) * 2016-07-01 2021-05-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12018000618T5 (de) * 2017-01-31 2019-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formtes Vlies
EP3603591B1 (en) * 2017-03-28 2023-12-06 Daio Paper Corporation Tape-type disposable diaper
JP7289689B2 (ja) * 2019-03-27 2023-06-12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836A (ja) 2016-12-28 2018-07-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60927A1 (en) 2022-05-26
CN113518603B (zh) 2022-08-23
EP3925586A1 (en) 2021-12-22
JP7370151B2 (ja) 2023-10-27
CN113518603A (zh) 2021-10-19
JP2020156836A (ja) 2020-10-01
WO2020195097A1 (ja) 2020-10-01
BR112021017463A2 (pt) 2021-11-16
EP3925586A4 (en)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3268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3980043B2 (ja) 吸収性物品
JP2011234896A5 (ko)
KR20170013246A (ko) 신축 탄성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 신축 탄성 부재를 사용한 일회용 기저귀
JP2009000327A (ja) 吸収性物品
US20140296821A1 (en) Absorbent Article
CN114615962B (zh) 一次性穿着物品
KR20170026378A (ko)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2007061252A (ja) 吸収性物品
US10660804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longitudinal direction folded side regions
JP2007222673A (ja) 吸収性物品
JP728968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20028409A (ja) 吸収性物品
KR20220101614A (ko) 일회용 기저귀
JP6331190B2 (ja) 吸収性物品
KR20210143176A (ko) 흡수성 물품
JP569820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9254662A (ja) 吸収性物品
CN113518716A (zh) 吸湿片、一次性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US10531992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one-piece chassis and integral side portions
JP2021078872A5 (ko)
JP2020049178A (ja) 吸収性物品
JP663372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731269B2 (ja) 繊維シ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製品
KR20220159356A (ko) 흡수성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