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671A -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671A
KR20210142671A KR1020217033076A KR20217033076A KR20210142671A KR 20210142671 A KR20210142671 A KR 20210142671A KR 1020217033076 A KR1020217033076 A KR 1020217033076A KR 20217033076 A KR20217033076 A KR 20217033076A KR 20210142671 A KR20210142671 A KR 2021014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ard coat
smoked
coat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토시 다치바나
쇼 스즈키
다츠야 가토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에어리어와 그 주위의 디자인성의 통일감을 높인, 새로운 설계사상의 하드 코트 필름 및 표시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광형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는 표시장치(200)에 있어서, 경화 수지와 이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21), 및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FA)와 이 프레임 에어리어(FA)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를 구획 형성하는 인쇄층(41)을 적어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을 사용한다.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프레임 에어리어(FA)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를 5%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본 발명은 특히 디자인성이 우수한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OLED 또는 IELD) 등의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가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이것들은 표시장치의 화상 표시부(디스플레이)에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등이 설치된 입력장치로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찰상성이나 내마모성 등의 목적을 위해, 하드 코트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용도에 있어서 사용되는 하드 코트 필름에는, 충분한 경도를 가질 뿐 아니라, 그 사용 태양으로부터 투명성이 충분히 높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즉, 내찰상성이나 내마모성 외에 전광선 투과율(또는 가시광 투과율)이 90% 이상인 투명성(광학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예를 들면 항균성, 내약품성, 방오성 등 외에, 형광등이나 태양광 하에서 사용하였을 때의 외광의 글레어나 번쩍임을 억제하기 위해 반사 방지성이나 방현성 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5 참조).
한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외관을 좋게 하는 기술로서, 투명 도전막 등의 도전성 패턴층의 패턴을 불가시화하는 동시에 번쩍임의 발생을 억제한 하드 코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6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3-20393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5-01724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7-15950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7-17909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8-05505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5-184638호 공보
전술한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가 평면시에서 프레임 내에 배치된 표시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이나 동영상에 대한 몰입감이 높아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피아노 블랙조의 흑색 프레임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흑색계의 내장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차량 탑재 용도나 영사실 용도 등에 있어서는, 발광형 디스플레이 주변의 흑색계의 내장재나 외장재와의 디자인성의 통일감의 관점에서도, 이 경향이 현저해지고 있다. 실제로, 이들 용도에 있어서, 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수납부 주위의 인테리어 패널이나 대시보드 등에는, 피아노 블랙조나 흑색 메탈조 등의 흑색계의 내장재나 외장재가 다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상기 종래의 하드 코트 필름을 발광형 디스플레이에 장착한 경우, 특히 디스플레이 소등 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에어리어와 그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 등의 색조 및 질감이 크게 상이하여, 디자인성이 충분히 높아져 있지 않은 것이 판명되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소등 시에 통일감이 있는 디자인성을 실현하지 못하여, 이러한 관점에서, 예를 들면 고급 지향의 차량 탑재 용도나 영사실 용도 등에 있어서, 새로운 설계사상의 하드 코트 필름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소등 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에어리어와 그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 등의 디자인성의 통일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설계사상의 하드 코트 필름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표시 에어리어와 그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 등의 광학특성 등을 예의 검토한 결과, 경화 수지와 이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 및 평면시(平面視)에서 프레임 에어리어와 이 프레임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를 구획 형성하는 인쇄층을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Tt(JIS K7361-1 준거)가 0.5% 이상 75% 미만인 소정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을 새롭게 설계하고,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에 나타내는 각종의 구체적 태양을 제공한다.
〔1〕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측에 설치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은 경화 수지와 상기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 및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와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를 구획 형성하는 인쇄층을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이고,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부착의 표시장치.
〔2〕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이 6% 이내인〔1〕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부착의 표시장치.
〔3〕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측에 설치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으로, 경화 수지와 상기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 및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와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를 구획 형성하는 인쇄층을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를 5%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4〕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550 ㎚ 반사율(RDA)을 6% 이내로 하는〔3〕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5〕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XYZ 표색계의 반사율 XDA값, 동 YDA값, 동 ZDA값(JIS Z 8720:2012 준거,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를 사용.)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반사율 XFA값, YFA값, ZFA값의 차(|XDA값-XFA값|, |YDA값-YFA값|, |ZDA값-ZFA값|)를 모두 5 이내로 하는〔3〕 또는 〔4〕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6〕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XYZ 표색계의 반사율 XDA값, 동 YDA값, 동 ZDA값(JIS Z 8720:2012 준거,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를 사용.)을 모두 6 이하로 하는 〔3〕내지〔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7〕상기 착색제는 0.01∼2.0 ㎛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3〕내지〔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8〕상기 착색제의 함유비율이 전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1∼15 질량부인〔3〕내지〔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9〕상기 하드 코트층은 매트제를 추가로 함유하는〔3〕내지〔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0〕상기 매트제의 함유비율이 전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1∼15 질량부인〔9〕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1〕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어도 상기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인쇄층이 성형 가공된 성형 가공물인〔3〕내지〔10〕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2〕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인쇄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갖는 적층구조를 구비하는 적층 성형체인〔3〕내지〔11〕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3〕반사 방지층,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인쇄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갖는 적층구조를 구비하는 적층 성형체인〔3〕내지〔11〕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4〕하드 코트층, 기재 필름, 인쇄층 및 성형용 수지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갖는 적층구조를 구비하고,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측에 설치되는,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경화 수지와 상기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며, 상기 인쇄층은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와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를 구획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를 5%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소등 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에어리어와 그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 등의 디자인성의 통일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설계사상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등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고급 지향의 차량 탑재 용도나 영사실 용도 등에 있어서 요구되는, 높은 디자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측에 설치된 일실시형태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 및 화상 표시장치(300)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형태의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101)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 및 화상 표시장치(300)의 일례의 실험 데이터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하좌우 등의 위치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하는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아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면 「1∼100」이라는 수치범위의 표기는, 그 상한값 「100」 및 하한값 「1」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다른 수치범위의 표기도 동일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장치(3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은, 기재 필름(11)과, 이 기재 필름(11)의 한쪽 면(11a) 측에 설치된 하드 코트층(21)과, 기재 필름(11)의 다른쪽 면(11b) 측에 설치된 인쇄층(41)을 적어도 구비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은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200)의 디스플레이(D)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은 하드 코트층(21), 기재 필름(11) 및 인쇄층(41)이 적어도 이 순서로 배열된 적층구조(3층구조)를 갖는다. 이 적층구조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21)은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바깥쪽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어,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최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21)의 표면은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처리나 방오 처리나 향균 처리나 반사 방지 처리 등의 임의의 표면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또한, 하드 코트층(21)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층이나 보호층이나 방오층이나 항균층이나 반사 방지막이나 인쇄층 등의 임의의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드 코트층(21)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층(3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안쪽(기재 필름(11)의 다른쪽 면(11b) 측)에는, 가식층(加飾層)이 되는 인쇄층(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쇄층(41)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보호층이나 방오층이나 프라이머층 등의 임의의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으로서는, 하드 코트층(21), 기재 필름(11) 및 인쇄층(41)이 적어도 이 순서로 배열된 적층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 한쪽(다른쪽) 면 측에 설치되었다」는 것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재 필름(11)의 표면(예를 들면 면(11a)이나 면(11b))에 하드 코트층(21)이나 인쇄층(41)이 직접 올려놓아진 태양뿐 아니라, 기재 필름(11)의 면(11a)과 하드 코트층(21) 사이나, 기재 필름(11)의 면(11b)과 인쇄층(41) 사이에, 도시하지 않는 임의의 층(예를 들면 프라이머층, 접착층 등)이 개재되어 하드 코트층(21)이나 인쇄층(41)이 기재 필름(1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태양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하드 코트층(21) 및 인쇄층(41)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란, 하드 코트층(21) 및 인쇄층(41)만이 기재 필름(11) 상에 직접 적층된 구조뿐 아니라, 3층구조의 층간에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층을 추가로 설치한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기재 필름(11)은 하드 코트층(21) 및 인쇄층(41)을 지지하는 것이다. 기재 필름(11)의 구성소재로서는, 하드 코트층(21) 및 인쇄층(41)을 지지 가능한 것인 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치수 안정성, 기계적 강도 및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합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합성 수지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나일론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설폰계, 폴리페닐렌설피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을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한 적층 필름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메타크릴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 필름(11)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메타)아크릴계 필름, 및 이들을 임의로 조합한 적층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기재 필름(11)의 외관은 투명, 반투명, 무색, 착색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투광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JIS K 7361-1:199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투명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5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며, 상한 측은 2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이다. 또한, 하드 코트층(21)이나 인쇄층(41)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11) 표면에 앵커 처리나 코로나 처리 등의 각종 공지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드 코트층(21)은 기재 필름(11)의 표면 경도를 높이고, 내찰상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기재 필름(11)의 표면 평활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설치되는 막이다. 본 실시형태의 하드 코트층(21)은 전술한 디자인성을 구비시키기 위해, 경화 수지와, 이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하드 코트 도막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11)의 한쪽 면(11a) 상에만 하드 코트층(21)을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기재 필름(11)의 한쪽 면(11a) 측 및 다른쪽 면(11b) 측 양쪽에 하드 코트층을 설치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21)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의 공지의 수지와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거나 한 경화물로부터 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리방사선(자외선 또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는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가교 경화성의 향상이나, 경화 수축의 조정 등, 각종 성능을 부여하거나 또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광중합성 모노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촉진제, 증감제(예를 들면, 자외선 증감제) 등의 보조제를 사용해도 된다.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양이온 중합형과 라디칼 중합형으로 크게 구별된다. 양이온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나 비닐에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프리폴리머(경질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고, 가교 경화함으로써 3차원 망목 구조가 되는 아크릴계 프리폴리머(경질 프리폴리머)가 하드 코트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멜라민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크릴계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과의 반응으로 에스테르화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옥실란 고리와,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에스테르화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 2관능 아크릴 모노머(예를 들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 3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예를 들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광중합성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나 광중합성 모노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미힐러케톤,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폴리닐)-1-프로판, α-아실옥심에스테르,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양이온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에 대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설포늄 이온, 방향족 옥소설포늄 이온, 방향족 요오도늄 이온 등의 오늄과,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등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촉진제로서는,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증감제로서는,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전술한 광중합성 프리폴리머 및 광중합성 모노머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0.2∼10 질량부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또는, 하드 코트층(21)으로서, 전리방사선 경화성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트제(이하, 간단하게 「하이브리드 하드 코트제」라고도 칭한다.)의 경화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하드 코트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적어도 표면에 광중합 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가 도입된 반응성 실리카 입자(이하, 간단하게 「반응성 실리카 입자」라고도 칭한다.)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광중합 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로 대표되는 중합성 불포화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하드 코트제로서, 이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도입된 광중합 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와 광중합 반응 가능한 화합물, 예를 들면,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 하이브리드 하드 코트제는 전술한 반응성 실리카 입자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 화합물을 공지의 용제와 혼합 또는 용해시킨 액상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001∼0.1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01 ㎛이다. 이러한 반응성 실리카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모체가 되는 분체상 실리카 또는 콜로이달 실리카에 대해, 분자 중에 가수분해성 실릴기, 중합성 불포화기,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이하, 「중합성 불포화기 수식 가수분해성 실란」이라고도 칭한다.)이, 실릴옥시기를 매개로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중합성 불포화기 수식 가수분해성 실란이 가수분해성 실릴기의 가수분해반응에 의해, 실리카 입자와의 사이에 실릴옥시기를 생성하여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반응성 실리카 입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성 실릴기로서는, 알콕시실릴기, 아세톡시실릴기 등의 카르복실레이트실릴기, 클로로실릴기 등의 할로겐화 실릴기, 아미노실릴기, 옥심실릴기, 하이드라이드실릴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합성 불포화기로서는,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타디에닐기, 스티릴기, 에티닐기, 신나모일기, 말레이트기, 아크릴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식중, X는 -NH-,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Y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며, 단, X가 산소원자일 때 Y는 황원자이다.)
Figure pct00002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불포화 유기 화합물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다가 불포화 유기 화합물, 또는 분자 중에 1개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가 불포화 유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다가 불포화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모노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가 불포화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브리드 하드 코트제의 경화막은 반응성 실리카 입자나 광중합 반응 가능한 화합물 외에, 전술한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촉진제, 증감제(예를 들면, 자외선 증감제) 등의 보조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바람직한 소재나 배합량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하드 코트층(21)의 경화 수지 중에는 착색제가 분산되어 있다. 이 착색제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전광선 투과율 Tt(JIS K7361-1 준거)를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착색제로서는, 목적하는 성능에 따라 공지의 착색제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착색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착색제로서는, 전광선 투과율이나 550 ㎚ 반사율의 조정 용이성, 하드 코트층(21)이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색을 안정된 고급감이 있는 암색계(흑색계)로 조정할 수 있는 등의 관점에서, 흑색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흑색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네타이트계 블랙, 구리·철·망간계 블랙,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흑색 수지 입자,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다. 카본 블랙으로서는, 오일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채널 블랙, 가스 퍼니스 블랙,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케첸 블랙 등, 각종 공지의 제법으로 제작된 것이 알려져 있는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전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도전성 카본 블랙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본 블랙의 역사는 길어, 예를 들면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아사히 카본 주식회사, 미쿠니 색소 주식회사, 레지노 컬러 공업주식회사, Cabot사, DEGUSSA사 등으로부터, 각종 그레이드의 카본 블랙 단체 및 카본 블랙 분산액이 시판되고 있어, 요구 성능이나 용도에 따라 이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착색제의 입자 사이즈는 전광선 투과율이나 550 ㎚ 반사율, 분산성, 제막성,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요구 성능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평균 입자경(D50)이 0.01∼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0.5 ㎛이다. 예를 들면, 0.01∼2.0 ㎛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카본 블랙 착색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입자 사이즈가 큰 착색제를 사용하면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고, 또한, 입자 사이즈가 작은 착색제를 사용하면 전광선 투과율이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D50)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장치(예를 들면, 시마즈 제작소사:SALD-7000 등)로 측정되는, 부피 기준의 메디안 직경(D50)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착색제의 함유량(총량)도 전광선 투과율이나 550 ㎚ 반사율, 분산성, 제막성,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요구 성능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술한 다른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과의 배합 균형의 관점에서, 하드 코트층(21)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1∼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4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질량부이다. 착색제의 사용량이 많으면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방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층(21)은 전술한 경화 수지 및 착색제 이외에, 다공질 실리카 등의 실리카류, 알루미나, 탈크, 클레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등의 매트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매트제를 배합함으로써 550 ㎚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하드 코트층(21)이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색조(질감)를 암색계에서 투명계(클리어계)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트제의 입자 사이즈는, 전광선 투과율이나 550 ㎚ 반사율, 분산성, 제막성,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요구 성능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평균 입자경(D50)이 1∼2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이다. 또한, 매트제로서 평균 입자경(D50)이 나노 오더 사이즈의 작은 입경의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매트제의 배합량은 필요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하드 코트층(21)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1∼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13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 코트층(21)은 본 발명의 효과를 과도하게 저해하지 않는 정도라면,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표면 조정제, 윤활제, 형광 증백제, 난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레벨링제, 유동 조정제, 소포제, 분산제, 저장 안정제,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윤활제로서는, 폴리에틸렌, 파라핀,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윤활제;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계 윤활제;스테아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윤활제;스테아르산부틸,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리드 등의 에스테르계 윤활제;알코올계 윤활제;금속비누, 활석,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고체 윤활제;실리콘 수지 입자;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 왁스,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기계 윤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나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의 증감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의 함유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하드 코트층(21) 중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일반적으로는 각각 0.0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21)의 두께는 목적하는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1∼2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12 ㎛이다. 또한, 하드 코트층(21) 그 자체의 투광성은, 전술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전광선 투과율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그 두께방향으로부터의 수직 입사, 즉 입사각 0°에서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전광선 투과율 Tt(JIS K7361-1 준거)가 0.5% 이상 75% 미만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 코트층(21)의 표면 경도도 목적하는 성능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HB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F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H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21)의 표면 경도의 값은 JIS-K5600(1999)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연필 긁기값(연필경도)으로 나타내어지는 값으로 한다.
하드 코트층(21)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도포액)을, 기재 필름(11)의 한쪽 면(11a) 측에 닥터 코트, 딥 코트, 롤 코트, 바 코트, 다이 코트, 블레이드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키스 코트, 스프레이 코트, 스핀 코트 등의 종래 공지의 도포방법으로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한 후, 경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기재 필름(11) 상에 하드 코트층(21)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도포액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각종 용매를 배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물;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계 용제;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된 도막에, 필요에 따라 전리방사선 처리, 열처리 및/또는 가압 처리하거나 하여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층(21)을 제막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및 전리방사선 경화성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트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11) 상에 성형 가공함으로써, 기재 필름(11) 상에 하드 코트층(21)이 설치된 성형 가공물로서의 적층체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성형 가공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레스 성형, 드로잉 성형, 압공 성형, 진공 성형, 인서트 성형, 필름 인서트 성형 등의 공지의 성형방법을 적용하여, 기재 필름(11) 상에 경화성 조성물을 공급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성형 가공물로서의 상기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반사 방지층(31)이나 인쇄층(41) 등도 동일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고, 또는, 기재 필름(11)과 하드 코트층(21)의 성형 가공물의 성형 가공 후에 반사 방지층(31)이나 인쇄층(41)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를 들면, 기재 필름(11)의 한쪽 면(11a) 상에 하드 코트층(21)을 성막하고,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층(21) 상에 반사 방지층(31)을 추가로 성막하고, 이어서 기재 필름(11)의 다른쪽 면(11b) 상에 인쇄층(41)을 성막하고, 얻어진 적층체(반사 방지층(31), 하드 코트층(21), 기재 필름(11) 및 인쇄층(41)을 이 순서로 갖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적층체)를 인서트 성형하거나 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성형 가공물(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101))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 공지의 성형 가공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재 필름(11) 상에 적어도 하드 코트층(21) 및 인쇄층(41)이 성형 가공된 성형 가공물(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이나, 기재 필름(11) 상에 적어도 하드 코트층(21), 반사 방지층(31) 및 인쇄층(41)이 성형 가공된 성형 가공물(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름 인서트 성형 등의 성형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인쇄층(41) 대신에 기재 필름(11)의 다른쪽 면(11b) 상에, 또는 인쇄층(41) 상에 성형용 수지(성형용 수지층(51))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리방사선 조사에 있어서 사용하는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전자선 가속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조사량도 사용하는 광원의 종류나 출력 성능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자외선의 조사량은 일반적으로는 적산광량 100∼6,000 mJ/㎠ 정도가 기준이 된다.
또한, 열처리에 있어서 사용하는 열원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식 및 비접촉식 중 어느 것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 히터, 단파장 적외선 히터, 중파장 적외선 히터, 카본 히터, 오븐, 히트 롤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80∼2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150℃이다.
반사 방지층(31)은 가시광역에 있어서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층 계면에 의한 빛의 간섭작용을 이용하여 반사광을 서로 없애는 성능(이하, 반사 방지성이라 한다)을 갖는 층이다. 이와 같이 반사 방지층(31)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외광이나 외부 영상의 글레어를 방지 내지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사 방지성을 갖는 반사 방지층(31)으로서는, 투명성이 높은 저굴절률층을 특정 파장(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주파장)에 대해 광학 막두께로서 특정 파장의 1/4과 같아지는 막두께로 설치하는 단층 반사 방지층 외에, 이 저굴절률층에 특정 파장에 기인한 광학 막두께의 고굴절률층이나 중굴절률층을 적당히 한층 이상 적층한 다층 반사 방지층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광학 막두께란, 막의 굴절률 n과 기계적인 막두께 d의 곱 nd로 구해지는 막두께를 말한다.
반사 방지층(31)을 구성하는 소재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저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Si의 산화물이나 Li, Na, Mg, Al, Ca 등의 불화물이 알려져 있다. 또한, 고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Ti, Cr, Zr, Ni, Mb 등의 단체나 Ti, Zn, Y, Zr, In, Sn, Sb, Hf, Ta, Ce, Pr, Nd 등의 산화물이 알려져 있다. 또한, 중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La, Nd, Pb 등의 불화물이 알려져 있다.
반사 방지층(3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저, 고 또는 중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재료 등을,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진공 성막법에 의해 설치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규소알콕시드를 가수분해하여 조제한 산화규소 졸이나, 지르코니아프로폭시드, 알루미늄이소프로폭시드, 티탄부톡시드, 티탄이소프로폭시드 등의 규소 이외의 금속 알콕시드를 가수분해하여 조제한 금속 산화물 졸 등을 적당히 선택하여, 블레이드 코터법, 로드 코터법, 그라비아 코터법 등의 도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불소 함유 수지, 불소계 고분자, 알콕시실란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알콕시실란계 수지 등의 반사 방지 도료를 도포하는 액체 도포법에 의해 설치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31)의 두께는 가시광역의 반사 방지를 적합하게 행할 때, 그 구성 중의 저·고·중굴절률층의 광학 막두께가 0.01∼0.8 ㎛, 바람직하게는 0.01∼0.4 ㎛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한 저·고·중굴절률층을 필요에 따라 적층한 두께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를 방지하고자 하는 빛의 중심 파장은 가시광역이 되기 때문에, λ를 일반적으로 가시광역이라 불리는 파장의 중심 파장인 550 ㎚로 하고, 무기 박막으로서 산화규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굴절률 n은 1.40 정도가 되기 때문에, 반사 방지층의 두께 d는 약 0.1 ㎛가 된다.
기재 필름(11)의 면(11b) 측에 설치된 인쇄층(41)은 미려한 외관 이미지나 식별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선, 프레임, 문자, 기호, 모양, 도안, 상품명, 설명 등을 표시하는 가식층이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층(41)으로서는, 평면시에서 외주를 둘러싸듯이, 흑색 프레임 형상의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FA)와 이 프레임 에어리어(FA)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구획 형성이 이루어져 있다. 인쇄층(41)은 수성 잉크, 유성 잉크, 승화성 잉크 등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 롤 인쇄, 스프레이 인쇄,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공지의 인쇄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쇄층(41)은 단색 인쇄여도 다색 인쇄여도 되고, 또한, 스크린 인쇄여도 민인쇄(solid printing)여도 된다. 인쇄층(41)의 두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0.01∼20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0 ㎛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재 필름(11) 및 하드 코트층(21)이 적어도 이 순서로 배열된 적층구조를 갖는 본 실시형태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은 그 두께방향으로부터의 수직 입사, 즉 입사각 0°에서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으로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광선 투과율이 조정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을 발광형 디스플레이에 장착함으로써, 특히 디스플레이 소등 시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와 그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FA) 등의 색조 및 질감을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전광선 투과율은 0.5% 이상 7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피착체가 되는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종류나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또한 목적하는 성능에 따라 적당히 조정하면 된다.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사용하는 착색제의 종류 및 사용량, 사용하는 매트제의 종류 및 사용량 등을 변경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전광선 투과율은 헤이즈 미터(예를 들면, NDH4000(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로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피착체가 되는 표시장치(20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형 디스플레이인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도 1의 평면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설치되었을 때, 프레임 에어리어(FA) 내에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도광판, 확산판, 액정층, 배향막, 투명전극, 컬러 필터, 및 편광판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층(A)을 매개로 디스플레이(D) 상에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설치된 태양을 나타내었으나, 점착층(A)은 필수 구성이 아니라, 디스플레이(D) 상에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을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A)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이면 측 및 디스플레이(D)의 표면 측 전면에 점착층(A)을 설치해도 되고,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의 이면 측 및 디스플레이(D)의 표면 측 일부에만 점착층(A)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장치(300)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디스플레이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FA)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가 5% 이하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550 ㎚ 반사율의 차(|RDA-RFA|)를 5% 이하로 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장치(300)는 바깥쪽에서 봤을 때, 특히 디스플레이 소등 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와 그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FA)의 색조 및 질감이 거의 같은, 일체감(통일감)이 있는 디자인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것은 즉,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미설치의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이 일반적으로는 7∼20% 정도 이상으로, 프레임 에어리어(FA)의 동 550 ㎚ 반사율(RFA)과 크게 상위하였기 때문에, 디자인성이 손상되어 있었던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은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미설치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이 적어도 5% 초과인 발광형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때에 특히 유효한 것이 된다. 상기 550 ㎚ 반사율의 차(|RDA-RFA|)는 5% 이하면 높은 디자인성이 얻어지는데, 보다 높은 디자인성을 얻는 관점에서, 4%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550 ㎚ 반사율(RDA) 및 550 ㎚ 반사율(RFA)은 분광 측색계(예를 들면 CM-700d(코니카 미놀타사 제조))로 SCI 방식으로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보다 높은 디자인성을 얻는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장치(300)에 있어서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이 6%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바람직하며,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프레임 에어리어(FA)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FA)은 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바람직하며,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피아노 블랙조나 흑색 메탈조 등의 흑색계의 내장재나 외장재와 조화시켜서 고급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XYZ 표색계의 반사율 XDA값, 동 YDA값, 동 ZDA값과, 디스플레이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FA)의 동 반사율 XFA값, YFA값, ZFA값의 차(|XDA값-XFA값|, |YDA값-YFA값|, |ZDA값-ZFA값|)가 모두 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모크조로 구성함으로써, 피아노 블랙조나 흑색 메탈조 등의 흑색계의 내장재나 외장재가 다용되고 있는 고급 지향의 차량 탑재 용도나 영사실 용도 등에, 특히 디자인성이 높아진 것이 된다. 상기 반사율의 차(|XDA값-XFA값|, |YDA값-YFA값|, |ZDA값-ZFA값|)는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Z 표색계의 반사율은 JIS Z 8720:2012에 준거하고,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를 사용하여 분광 측색계(예를 들면 CM-700d(코니카 미놀타사 제조))로 SCI 방식으로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보다 높은 디자인성을 얻는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장치(300)에 있어서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XYZ 표색계의 반사율 XDA값, 동 YDA값, 동 ZDA값(JIS Z 8720:2012 준거,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를 사용.)이 6%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프레임 에어리어(FA)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동 반사율 XFA값, YFA값, ZFA값 550 ㎚는 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바람직하며,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200)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전술한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은 브라운관(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OLED 또는 IELD) 등의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또한,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도 5에, 도 3과 동등 구조를 갖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100), 이것을 사용하여 필름 인서트 성형한 도 4와 동등 구조를 갖는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101), 및 이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101)을 사용한 화상 표시장치(300)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의 전광선 투과율,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 및 프레임 에어리어(FA)의 550 ㎚ 반사율, 및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DA) 및 프레임 에어리어(FA)의 XYZ 표색계의 반사율 등의 실측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착색제로서 250 ㎚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카본 블랙을, 매트제로서 5 ㎛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실리카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 「phr」은 하드 코트층(22) 중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의 질량부를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에어리어와 그 주위의 프레임 에어리어 등의 디자인성의 통일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설계사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브라운관(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OLED 또는 IELD) 등의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폭넓게 또한 유호하게 이용 가능하며, 특히 피아노 블랙조나 흑색 메탈조 등의 흑색계의 내장재나 외장재가 다용되고 있는 고급 지향의 차량 탑재 용도나 영사실 용도 등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11 ···기재 필름
 11a ···면
 11b ···면
 21 ···하드 코트층
 31 ···반사 방지층
 41 ···인쇄층
 51 ···성형용 수지층
100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01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
200  ···표시장치
300  ···화상 표시장치
 A  ···점착층
 D  ···디스플레이
 DA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
 F  ···프레임
 FA ···프레임 에어리어

Claims (14)

  1.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측에 설치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은 경화 수지와 상기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 및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와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를 구획 형성하는 인쇄층을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이고,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부착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이 6% 이내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부착의 표시장치.
  3.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측에 설치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으로,
    경화 수지와 상기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 및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와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를 구획 형성하는 인쇄층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를 5% 이하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550 ㎚ 반사율(RDA)을 6% 이내로 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XYZ 표색계의 반사율 XDA값, 동 YDA값, 동 ZDA값(JIS Z 8720:2012 준거,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를 사용.)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반사율 XFA값, YFA값, ZFA값의 차(|XDA값-XFA값|, |YDA값-YFA값|, |ZDA값-ZFA값|)를 모두 5 이내로 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XYZ 표색계의 반사율 XDA값, 동 YDA값, 동 ZDA값(JIS Z 8720:2012 준거,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를 사용.)을 모두 6 이하로 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0.01∼2.0 ㎛의 평균 입자경(D50)을 갖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의 함유비율이 전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1∼15 질량부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매트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제의 함유비율이 전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1∼15 질량부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어도 상기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인쇄층이 성형 가공된 성형 가공물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인쇄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갖는 적층구조를 구비하는 적층 성형체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3.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방지층, 상기 하드 코트층,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인쇄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갖는 적층구조를 구비하는 적층 성형체인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14. 하드 코트층, 기재 필름, 인쇄층 및 성형용 수지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갖는 적층구조를 구비하고, 발광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측에 설치되는,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경화 수지와 상기 경화 수지 중에 분산된 착색제를 적어도 함유하며,
    상기 인쇄층은 평면시에서 프레임 에어리어와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를 구획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상기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의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 준거)이 0.5% 이상 75% 미만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 측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등 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에어리어의 SCI 방식에 있어서의 550 ㎚ 반사율(RDA)과 상기 디스플레이 주위의 상기 프레임 에어리어의 동 550 ㎚ 반사율(RFA)의 차(|RDA-RFA|)를 5% 이하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성형 가공물.
KR1020217033076A 2019-03-18 2020-03-09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KR20210142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0295A JP7328774B2 (ja) 2019-03-18 2019-03-18 スモーク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JP-P-2019-050295 2019-03-18
PCT/JP2020/009899 WO2020189355A1 (ja) 2019-03-18 2020-03-09 スモーク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671A true KR20210142671A (ko) 2021-11-25

Family

ID=7252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076A KR20210142671A (ko) 2019-03-18 2020-03-09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63696A1 (ko)
EP (1) EP3943296A4 (ko)
JP (1) JP7328774B2 (ko)
KR (1) KR20210142671A (ko)
CN (1) CN113557452B (ko)
MX (1) MX2021011327A (ko)
TW (1) TW202043024A (ko)
WO (1) WO202018935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3935A (ja) 2012-03-29 2013-10-07 Fujicopian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5017243A (ja) 2013-06-14 2015-01-29 Dic株式会社 防汚コーティング剤及び物品
JP2015184638A (ja) 2014-03-26 2015-10-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7159506A (ja) 2016-03-08 2017-09-14 グンゼ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7179099A (ja) 2016-03-30 2017-10-05 Jnc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8055056A (ja) 2016-09-30 2018-04-05 Jnc株式会社 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681B2 (ja) * 1986-05-06 1995-1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光学フイルタ−
JP4155651B2 (ja) * 1998-02-18 2008-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097102B2 (ja) * 1998-09-25 2008-06-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帯電防止性着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2004163482A (ja) * 2002-11-11 2004-06-10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示窓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2315A (ja) * 2004-01-30 2005-08-11 Nippon Seiki Co Ltd ハードコート付き樹脂部材
JP2007121608A (ja) * 2005-10-27 2007-05-17 Toppa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用表面部材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WO2010055564A1 (ja) * 2008-11-13 2012-04-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WO2010055565A1 (ja) * 2008-11-13 2010-05-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JP2014215589A (ja) * 2013-04-30 2014-11-17 凸版印刷株式会社 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333521B2 (ja) * 2013-06-10 2018-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941990B2 (ja) * 2017-07-06 2021-09-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3935A (ja) 2012-03-29 2013-10-07 Fujicopian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5017243A (ja) 2013-06-14 2015-01-29 Dic株式会社 防汚コーティング剤及び物品
JP2015184638A (ja) 2014-03-26 2015-10-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7159506A (ja) 2016-03-08 2017-09-14 グンゼ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7179099A (ja) 2016-03-30 2017-10-05 Jnc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8055056A (ja) 2016-09-30 2018-04-05 Jnc株式会社 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57452A (zh) 2021-10-26
WO2020189355A1 (ja) 2020-09-24
MX2021011327A (es) 2021-12-10
EP3943296A1 (en) 2022-01-26
TW202043024A (zh) 2020-12-01
CN113557452B (zh) 2023-07-21
US20220163696A1 (en) 2022-05-26
EP3943296A4 (en) 2022-12-21
JP7328774B2 (ja) 2023-08-17
JP2020154043A (ja)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338B1 (ko) 코팅 조성물, 그 도막, 반사 방지막, 반사 방지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중간 제품
KR101356903B1 (ko) 광학 필름
KR100775727B1 (ko)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TWI531810B (zh) An antistatic hard coat film,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20060221451A1 (en) Anti-glare film
JP5066535B2 (ja) 光学積層フィルム
WO1995031737A1 (fr) Film anti-reflechissant
KR20110037881A (ko) 투명 도전성 필름
KR20030011625A (ko) 투명도전성 필름
JP4712236B2 (ja) 反射防止膜、反射防止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000933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5150055B2 (ja) 反射防止材料
JP2008127413A (ja) ハードコート剤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7011323A (ja) 反射防止膜、該反射防止膜を有する反射防止性光透過窓材、及び該反射防止性光透過窓材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JP4285059B2 (ja) 透明導電性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
JP5123507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4134159B2 (ja) 防眩性フィルム
JP2005047283A (ja) 防眩性フィルム
KR20210142671A (ko) 스모크 하드 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장치
JP2006178276A (ja) 反射防止積層フィルム
JP2006154838A (ja) 防眩性フィルム
JP2004341553A (ja) 防眩性フィルム
WO2022230386A1 (ja) 成型拡散積層フィルム
JP5659601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06264221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