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239A -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239A
KR20210142239A KR1020200058816A KR20200058816A KR20210142239A KR 20210142239 A KR20210142239 A KR 20210142239A KR 1020200058816 A KR1020200058816 A KR 1020200058816A KR 20200058816 A KR20200058816 A KR 20200058816A KR 20210142239 A KR20210142239 A KR 2021014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ctuator
belt
control uni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306B1 (ko
Inventor
황규홍
Original Assignee
황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홍 filed Critical 황규홍
Priority to KR102020005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3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3)와;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7)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9)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장치는 무한궤도의 이송벨트를 순환시켜서 물건을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구조에 따라 각종 제조설비의 이송장치 또는 화물 승하차 작업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장치의 한 종류로 신축적으로 이송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가 있다.
종래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2084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길이조절을 위한 보조이송대가 다단으로 구성되는데, 구조가 복잡하여 내구성 문제가 수반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보조이송대 하부에 버팀목과 같은 지지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운반작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화물의 승하차 작업을 하는 경우 화물차 적재함의 높이에 맞추어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이는 운반작업의 준비시간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04월 11일자 출원번호 제10-2011-0033316호(발명의 명칭 :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 베이스프레임(100); 길이방향 후단부와 선단부에 구동풀리(220)와 제1 종동풀리(2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된 가이드프레임(200); 길이방향 선단부와 후단부에 제2 종동풀리(320)와 제3 종동풀리(330)가 각각 구비되며, 양 측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지지 및 안내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동프레임(300); 상기 가동프레임(300)을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으로부터 출입시키는 가동수단(400); 상기 구동풀리(220)로부터 상기 제2 종동풀리(320), 상기 제3 종동풀리(330) 및 상기 제1 종동풀리(230)를 차례로 거쳐 다시 상기 구동풀리(220)로 귀환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벨트(500); 및 상기 구동풀리(220)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600); 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수단(4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선단부에 구비된 제2 모터(410)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선단부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모터(41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 축(420)과, 상기 가동프레임(30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 축(420)과 치합되는 랙(4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 못하여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각종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고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3)와;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7)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9)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와;
상기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벨트(17)와;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과;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과;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벨트회전부(23)와;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3엑츄에이터(25)와;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는 아이들롤러(27)와;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기술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은,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3)와;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7)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9)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와;
상기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벨트(17)와;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과;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과;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벨트회전부(23)와;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3엑츄에이터(25)와;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는 아이들롤러(27)와;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엑츄에이터와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의 장력을 조절해 주는 벨트장력조절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설치과정을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부재(3)를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제어부(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제1엑츄에이터(7)를 설치한 후, 제어부(5)에 제1엑츄에이터(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제2엑츄에이터(9)를 설치한 후, 제어부(5)에 제2엑츄에이터(9)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상면에 레일(11)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제2컨베이어(1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제1컨베이어(13)를 설치한 후,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하고 제1컨베이어(13)의 저면 일측에 제2엑츄에이터(9)를 연결한다.
그리고, 벨트(17)를 위치시킨 후,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에 벨트(17)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17)는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를 위치시킨 후,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은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
그리고,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를 위치시킨 후,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은 컨베이어 상면으로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벨트회전부(23)를 설치한 후, 제어부(5)에 벨트회전부(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회전부(23)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제3엑츄에이터(25)를 설치한 후,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아이들롤러(27)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에 제3엑츄에이터(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설치가 완료된 컨베이어 시스템(1)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5)는 제1엑츄에이터(7) 및 제2엑츄에이터(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엑츄에이터(7)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있는 제1컨베이어(1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상기 제2엑츄에이터(9)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있는 제1컨베이어(13)를 상하로 움직인다.
여기서,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및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제1컨베이어(13)가 움직이는 바, 제1컨베이어(13)의 움직임에 따라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컨베이어(15)가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는 벨트회전부(23) 및 제3엑츄에이터(25)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벨트회전부(23)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때, 벨트회전부(23)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
상기 제3엑츄에이터(25)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아이들롤러(27)를 벨트(17) 배면에 밀착시켜 준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
한편, 상기 제어부(5)는 벨트장력감지부(2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벨트장력감지부(29)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장력감지값을 제어부(5)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는 감지된 장력감지값과 기 설정된 장력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장력감지값이 기 설정된 장력값 보다 작으면, 벨트회전부(23) 및 제3엑츄에이터(25)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상기 벨트회전부(23)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때, 벨트회전부(23)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
상기 제3엑츄에이터(25)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아이들롤러(27)를 벨트(17) 배면에 밀착시켜 준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
다른 한편,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이 설치되어 있는 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운 컨베이어 상면 및 저면에서 회전하고 있는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이 설치되어 있는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은 컨베이어 상면 및 저면에서 회전하고 있는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컨베이어 시스템
3 : 지지부재
5 : 제어부
7 : 제1엑츄에이터
9 : 제2엑츄에이터
11 : 레일
15 : 제2컨베이어
13 : 제1컨베이어
17 : 벨트
19 :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
21 :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
23 : 벨트회전부
25 : 제3엑츄에이터
27 : 아이들롤러
29 : 벨트장력감지부

Claims (1)

  1.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3)와;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7)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9)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와;
    상기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벨트(17)와;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과;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과;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벨트회전부(23)와;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3엑츄에이터(25)와;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는 아이들롤러(27)와;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엑츄에이터와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의 장력을 조절해 주는 벨트장력조절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200058816A 2020-05-18 2020-05-18 컨베이어 시스템 KR10243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16A KR102436306B1 (ko) 2020-05-18 2020-05-18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16A KR102436306B1 (ko) 2020-05-18 2020-05-18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39A true KR20210142239A (ko) 2021-11-25
KR102436306B1 KR102436306B1 (ko) 2022-08-25

Family

ID=7874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16A KR102436306B1 (ko) 2020-05-18 2020-05-18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3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796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KR101293176B1 (ko) * 2012-02-20 2013-08-06 (주)케이산업 이중 위치제어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설비설치 공간을 최소화한 판넬의 반전 장치
KR101930066B1 (ko) * 2018-07-09 2018-12-17 안광일 폐골재 운반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1935168B1 (ko) * 2017-09-26 2019-04-11 주식회사 영신코아 성형코어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796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KR101293176B1 (ko) * 2012-02-20 2013-08-06 (주)케이산업 이중 위치제어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설비설치 공간을 최소화한 판넬의 반전 장치
KR101935168B1 (ko) * 2017-09-26 2019-04-11 주식회사 영신코아 성형코어 배출장치
KR101930066B1 (ko) * 2018-07-09 2018-12-17 안광일 폐골재 운반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 및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306B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38238A (en) Powered diverter
JP2009298223A (ja) 無人搬送車
CN107963470B (zh) 一种货物自动码放装置
US5511487A (en) Transport system with electric movers
CN109205326B (zh) 码垛机器人及其工作方法
TW202225068A (zh) 上料控制方法、控制裝置、上料裝置及倉儲系統
KR102436306B1 (ko) 컨베이어 시스템
JP3323957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の移載位置制御装置
WO2000020251A1 (en) Transfer car for a conveyor system
CN110606347A (zh) 传输机及运货小车
US4277217A (en) Load transfer apparatus
JP2008063033A (ja) 物品搬送装置
US8727100B2 (en) Self-aligning pallets and a system for automated conveying of components through an assembly line
JP4941713B2 (ja) 物品搬送装置
WO2015187497A1 (en) Extendable conveyors having a platform
JP5267856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物品収納設備
JP2864350B2 (ja) 荷の間欠送り装置
JPH0223441B2 (ko)
KR102622127B1 (ko) 화물 이송장치
JP3455883B2 (ja) パレット式アキュームレートストックコンベヤ
JPH08337303A (ja) 搬送台車システム
JP3339261B2 (ja) 物品搬送システム
CN219155596U (zh) 部品箱分离装置
JPH0789608A (ja) 搬送装置
JPH03532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