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840A -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840A
KR20210141840A KR1020200057550A KR20200057550A KR20210141840A KR 20210141840 A KR20210141840 A KR 20210141840A KR 1020200057550 A KR1020200057550 A KR 1020200057550A KR 20200057550 A KR20200057550 A KR 20200057550A KR 20210141840 A KR20210141840 A KR 2021014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avocado oil
cosmetic composition
avoca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컨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컨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컨디자인
Priority to KR102020005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840A/ko
Publication of KR2021014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피부건조 상태를 완화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에 수분을 제공하면서 수분증발을 막아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and moisturizing skin comprising avocado oi1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피부건조 상태를 완화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주요 기능은 신체 내부와 외부환경 사이에서의 보호층으로서 기계적 손상, 미생물의 침입, 방사선 및 자외선 등 외적 요인들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내 수분 손실의 최소화하여 체온을 조절함으로써 체내 항상성을 유지한다(Esther et al. , 2001; Sandiland et al., 2009). 사람의 피부는 외적 요인과 연령의 증가, 정신적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식습관 및 수면 부족 등의 내적 요인들로부터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되는 것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피부의 정상적인 기능이 저하된다(심정기 등, 2009). 증가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피부의 수분량 감소 및 지질산화 등을 촉진하여 피부노화, 피부 건조증, 가려움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유도한다(김정기 등, 2009; 황완균 등, 2010). 따라서 이러한 피부손상 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피부 표피의 각질층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수분증발을 억제하는 장벽기능을 한다. 각질층의 주성분은 케라틴, 단백질, 지질과 천연보습인자 등이고, 각질층 세포 간에는 지질성분이 있어 이들이 각질세포 사이를 메워 외부물질로부터의 보호와 수분증발 억제작용을 하여 피부건조를 막아주고 있다(김한식과 범희주, 2007). 정상 피부는 10-20%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때 탄력과 부드러움이 느껴지며, 수분이 10% 이하가 되면 탄력저하와 함께 피부가 건조하고 각질화되거나 주름이 생길 수 있고(장영혜와 송애량, 2012; 주여진, 2012), 특히 팔과 다리는 신체 피부 중 가장 건조한 부위로 나타났다(원종순 등, 2009).
여성들은 사회진출이 활발해짐과 동시에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삶의 행복과 만족도를 높이는 것의 일부로 아름다움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가장 크게 신체 외적으로 보여 지는 피부를 지속적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구입 시 고려 요인으로 기능성을 가장 높게 생각하며 기초 화장품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황완균 등, 2010).
특히, 우리나라의 20대 초반 여대생의 경우 학업 및 취업과 관련된 스트레스, 심각한 환경오염, 과도한 체중감량 시도, 불규칙한 식습관, 수면 부족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 습관에 노출되어 있다(조현주와 최미자, 2010). 또한 건성 피부 상태인 20대 우리 나라 여성의 경우 복합 및 지성 피부 상태의 20대 여성에 비해 인스턴트 음식 섭취 빈도가 높고 권장량 이상의 에너지와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으며 수분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최성임 등, 2011). 이러한 건성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적으로 화장품에 의존하는 경향이 보편적이었다(조현주와 최미자, 2010).
손상된 피부회복을 위해서 여러 가지 중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수분공급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보습제를 주로 사용한다. 보습제는 크게 두 가지로, 공기 중이나 진피에서 표피로 수분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는 습윤제(humectants)와 수분이 표피로부터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밀폐제(occlusive agents)로 나눌 수 있다. 습윤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glycerin, lactic acid 등이 있고, 밀폐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petrolatum, jojoba oil, cocoa butter 등과 같은 지방혼합제이다(Spencer, 1988). 미스트는 휴대가 간편하다는 사용의 편이성 때문에 피부 관리에 많이 사용되며(강윤주, 2007), 화학적인 성분보다는 천연식물이나 아로마테라피 등을 통한 피부 관리가 주목을 받고 있다(김보람과 윤천성, 2008).
아보카도(Persea americana Mill.)는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 일대에서 유래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소비되고 있는 과일이다. 일반적으로 아보카도는 75%가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67%는 oleic acid와 같은 단일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방 함량은 높으나 신체에서 고밀도 지단백은 높이고, 저밀도 지단백을 낮추어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ogaraj et al., 2008). 또한 아보카도는 최대 75%의 불용성 식이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며(Naveh et al., 2002) 엽산, vitamin B, vitamin C, vitamin K, vitaminE, terpenoids, sitosterol, persenone A, persenone B, carotenoids 등과 같은 다양한 phytochemical을 함유하고 있다(Oliveira et al. , 2013).
최근 들어, 아보카도가 지닌 다양한 생리 활성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보고되었다. 아보카도 추출물은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흰쥐의 뇌조직에서 60% 이상의 지질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김석주와 한대석, 2005), 아보카도 과피는 조골세포의 증식과 파골세포의 억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미진 등, 2011). 아보카도의 부산물인 씨와 껍질 추출물에서도 항암활성과 항산화 활성이 보고 된 바 있다(이성규 등, 2008).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생소한 과일로 인식되고 있으며 피부 미용과 관련하여 아보카도의 생리 활성과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아보카도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건조한피부에 효율적으로 수분을 제공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아보카도 오일을 사용하여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건조한 피부에 효율적으로 수분을 제공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바탕으로 피부의 노화방지 및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7중량%, 알로에 젤 60 내지 64중량%, 타마누 오일 19 내지 23중량%,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 0.5 내지 2중량%, 나프리 0.5 내지 2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는 수분크림으로 제형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아보카도 오일 0.5 내지 2중량%, 나프리 0.5 내지 2중량%, 에탄올 16 내지 2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3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는 미스트로 제형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에 수분을 제공하면서 수분증발을 막아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이 함유된 수분크림과 비교실험을 위한 대조군의 크림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보카도 오일은 아보카도 과육을 압착 및 정제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주로 요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어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연한 연두색에서 노란색을 띄며 약간의 특이취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방산으로 팔미틴산 4 ~ 16%(w/w), 팔미트레인산 0.5 ~ 7%(w/w), 올레인산 64 ~ 90%(w/w), 리놀산 2 ~ 12%(w/w)가 함유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9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화장료 조성물의 혼화성 및 사용자의 선호도를 위해 0.5 내지 7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르면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또는 부형제와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혼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피부 노화 방지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류, 로션류, 크림류, 에센스류, 화장수류, 유액류, 팩류, 백분류, 화운데이션류, 립스틱류, 연지류, 눈화장재료류, 비누류, 햇빛을 막는 화장료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제형일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아보카도 오일의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수분크림 또는 미스트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크림 제형인 경우 제형의 안정성 및 피부에 대한 효과를 위해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7중량%, 알로에 젤 60 내지 64중량%, 타마누 오일 19 내지 23중량%,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 0.5 내지 2중량%, 나프리 0.5 내지 2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보카도 오일 4 내지 6중량%, 알로에 젤 61 내지 63중량%, 타마누 오일 20 내지 22중량%,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 0.8 내지 1.2중량%, 나프리 0.8 내지 1.2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도록 제조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알로에 젤은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피부 컨디셔닝제로 첨가되는 것으로, 'arboresscens' 잎의 즙은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성, 지성 피부를 중화시켜 주고 피부 보습제의 기능을 한다. 이 원료는 Aloe Barbadensiss Miller 또는 Aloe arborescens Miller 및 그 변종(Liliaceae)의 잎을 압착하여 얻은 점액이며, 성상은 무색의 약간 점성이 있는 맑은 액으로 냄새는 없다.
상기 타마누 오일은 서남아시아 지역에 주로 자라는 Calophylium inophyllum 나무의 씨앗을 압착하여 얻는 녹색의 오일 성분으로 올레익산, 리놀레익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등의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타마누 오일은 피부 보습제의 기능 및 지용성 성분의 안정적인 용해를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는 팔미트산(palmitic acid)에 올리고 펩타이드가 결합된 형태로,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palmitoyl tripeptide)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팔미트산이 Gly-His-Lys의 트리펩타이드에 결합된 Pal-GHK(Pal-Gly-His-Lys)인 것이 좋다. 주로 아미노산은 사탕수수에서 추출되어 화학반응을 통해 결합을 유도한다. 화상치료의 목적으로 처음 개발된 만큼 피부 재생의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피부의 탄력증진, 모공축소, 색소 침착 개선 등의 효과가 있으며 피부 표피세포의 분열 속도와 진피의 재생 증진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손상되거나 탄력이 감소된 피부의 회복과 탄력증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나프리는 산초, 백두홍, 이끼 복합 추출물로써 천연항균제로서 넓은 항 미생물 범위를 가지고 있어 천연기능성 화장품 및 식품용 천연보존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백두홍의 뿌리에 존재하는 아메노닌 성분과 탄닌질 등으로 인해 그람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작용이 우수하며 수용성이다. 본 발명에서 나프리는 천연보존제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스트 제형인 경우 제형의 안정성 및 피부에 대한 효과를 위해 아보카도 오일 0.5 내지 2중량%, 나프리 0.5 내지 2중량%, 에탄올 16 내지 2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3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보카도 오일 0.8 내지 1.2중량%, 나프리 0.8 내지 1.2중량%, 에탄올 17 내지 19중량%, 글리세린 1.5 내지 2.5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도록 제조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에탄올은 지용성 물질인 아보카도 오일을 용해하고 화장료의 발림성 및 수용성 성분과의 분리현상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글리세린은 천연 오일의 보습작용의 보완하고 자체적으로 보습의 역할을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험예 1. 아보카도 오일의 항산화 활성 및 페놀 함량 분석
본 실험예에서 사용한 아보카도 오일은 ㈜에코 팩토리(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1. 항산화 활성 분석
사람의 피부는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 수면 부족 등의 내적 요인과 자외선, 미생물의 침입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노화가 진행되고 또한 피부와 관련된 질병의 발생율도 높아지게 된다(김민주 등, 2013). 그러므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항산화 소재를 활용해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Brickers & Athar, 2000; Brickers & Athar, 2006). 이에 본 실험예에서는 아보카도 오일의 피부미용제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컬 소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보카도 오일의 피부미용제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컬 소거법으로 확인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법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 및 수소공여능을 측정하는 항산화 측정법으로 주로 phenolic 구조와 aromatic amine 화합물에 많이 이용된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Chen 등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Chen et al., 1998). Ethanol에 용해시킨 200μM의 DPPH 용액 1.95㎖에 농도별 아보카도 오일 50㎕를 넣어 잘 혼합한 뒤, 3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Tecan)를 사용하여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아보카도 오일 대신 50㎕의 dimethyl sulfoxide(DMSO)를 첨가하였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아래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 = (1-A/B)×100
A: 아보카도 오일 처리군의 흡광도
B: 대조군의 흡광도
이의 결과, 표 1에서와 같이 각각의 0.1%, 0.5%, 그리고 1% 아보카도 오일은 DPPH 라디컬에 대하여 12.11%, 58.61%, 그리고 89.24%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된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피부 보습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호호바 오일과 대두 오일 0.5%의 동일한 농도에서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아보카도 오일은 p<.05 수준에서 호호바 오일에 비해 유의적으로 23.14% 높은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대두 오일과는 p<.05 수준에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표 1]
Figure pat00001
RSA: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2. 총 페놀 함량 분석
아보카도 오일의 총 페놀 함량은 Reena 등의 방법의 일부를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아보카도 오일 6㎖를 증류수 10㎖에 희석하고, 시험관에 아보카도 오일 희석액 1㎖와 95% ethanol 1㎖, 증류수 5㎖, 그리고 50%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0.5㎖를 넣어준 뒤 잘 섞은 후 5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5% Na2CO3 용액 1㎖를 넣어 준뒤 어두운 곳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잘 섞어준 뒤 spectrophotometer(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725㎚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아보카도 오일 대신에 증류수를 넣어 주었으며 각각의 농도별 gallic acid를 증류수에 녹여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standard curve를 작성하였다. 아보카도 오일의 총 페놀 함량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standard curve 수식에 측정한 흡광도를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이의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아보카도 오일에 포함된 총 페놀 함량은 3.24% 수준이었다. 이는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이 비슷했던 대두 오일의 총 페놀 함량인 3.65%과 비슷한 것이다. 반면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낮은 호호바 오일이 DPPH 라디컬 소거능도 가장 낮았다. 이 결과는 이전의 다양한 연구에서 항산화 활성이 total phenolic 함량에 기인한다는 보고에 부합한다(Oh et al., 2010; Wada & Ou, 2002; Zheng & Wang, 2001).
[표 2]
Figure pat00002
실시예 1.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한 화장용 크림 제조
표 3의 함량에 따라 각 재료를 혼합하여 화장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알로에 젤, 아쿠아 타마누,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Pal-GHK), 나프리, 아보카도 오일은 ㈜에코 팩토리 (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한 크림은 화장품용 원형 케이스에 담아 이후의 실험예에서 피험자에게 제공하였다(도 1 참조).
[표 3]
Figure pat00003
단위 : 중량%
실험예 2. 아보카도 오일 함유 화장용 크림의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용 크림을 20대 여대생에게 제공하여 2주 동안 사용하게 한 뒤 피부 수분함량 및 개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2-1. 피험자 선정 및 기준
연구대상자는 20대 여대생으로, 실험은 2013년 10월 01일부터 2013년 11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피험자를 대상으로 본 실험의 목적, 실험 방법, 내용 등을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부위에 감염성 질환, 아토피 피부염, 최근 3개월 이내에 피부염으로 약물치료를 한 경우와 현재 피부 치료 중인 자는 제외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60명이었다.
2-2. 이상 반응평가
시험 제품 사용 중에 발생한 이상 피부증상에 대해서는 즉시 연구자에게 보고하도록 지도하고 연락처를 알려 주었으며, 매주 이상 반응 유무에 대해 체크하였다.
2-3. 크림의 사용방법
피험자들에게 양 팔꿈치 내측, 중앙, 외측에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 번씩 크림을 바르도록 하였다. 피부의 수분함량은 실시 전, 실시 1주일 후, 그리고 실시 2주일 후로 나누어 피부 수분측정기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건조 측정기는 moisture check, MY-808S SCALAR corp(Tokyo, Japan)의 기기를 사용하였다.
2-4. 자료 분석
통계적 분석방법은 SPSS Win 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측정하였고, 실험 전ㅇ후 구간의 유의성 검증은 paired t-test를, 신뢰수준을 p<.05에서 평균값들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관적 느낌은 5점 척도로 점수화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측정하였다.
2-5. 결과
2-5-1. 실험 대상자의 동질성 검정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아침식사는 실험군 19명(59.4%), 대조군 13명(46.4%)이 하지 않았으며 과일이나 비타민제 섭취는 실험군 25명(78.1%), 대조군 18명(64.3%)이 매일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섭취량은 실험군 15명(46.9%), 대조군 18명(64.3%)이 하루에 500 ~ 1000cc 사이의 수분을 섭취하고 있었다. 피부건조 시 화장품 도포에 대해 실험군 25명(78.1%), 대조군 22명(78.6%)이 피부가 건조해도 화장품을 바르지 않는다고 하였고, 일주일 당 인스턴트 섭취 횟수에 대해 실험군 27명(84.4%), 대조군 17명(60.7%)이 6회 이상 섭취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4 참조).
[표 4]
Figure pat00004
P-value < 0.05
대상자의 피부상태와 수면량에 대한 동질성을 검정한 결과 주관적
피부타입은 실험군 13명(48.6%), 대조군 10명(35.7%)이 복합성이었고, 피부건조 정도는 실험군 12명(37.5%), 대조군 14명(50%)가 약간 건조한 상태라고 하였다. 피부의 부드러움 정도는 실험군 13명(40.6%), 대조군 9명(32.1%)가 정상이라고 하였고, 각질 정도는 실험군 15명(46.9%), 대조군 11명(39.3%)이 보통정도라고 하였다. 신체 중 건조부위는 실험군 10명(31.3%), 대조군 10명(35.7%)이 얼굴이 가장 건조하다고 하였고, 수면시간은 실험군 18명(56.3%), 대조군 13명(46.4%)이 하루 5 ~ 6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대상자의 피부상태와 수면시간에 대한 동질성 검정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5 참조).
[표 5]
Figure pat00005
2-5-2. 크림 사용이 피부 수분함량에 미치는 효과
아보카도 오일이 함유된 크림은 피험자의 팔꿈치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고 사용 전/후에 따라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아보카도 오일 함유 크림을 사용하기 전, 사용 후 1주, 사용 후 2주의 오른쪽과 왼쪽 팔꿈치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의 변화는 표 6과 같다. 먼저 실험군의 왼쪽 팔꿈치 수분 함량의 변화는 실험전 27.88, 실험 후 1주째 29.15, 실험 2주 후 29.82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오른쪽 팔꿈치 수분 함량 함량의 변화는 실험 전 28.83, 실험 후 1주 27.81, 실험 후 2주 29.9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조군의 왼쪽 팔꿈치 수분 함량의 변화는 실험 전 27.32, 실험 후 1주27.67, 실험 후 2주 29.19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오른쪽 팔꿈치 수분 함량의 변화는 실험 전 28.46, 실험후 1주 27.92, 실험 후 2주 29.63로 나타났다. 2주 후 팔꿈치의 수분함량은 실험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균 왼쪽은 0.63, 오른쪽은 0.32 피부수분 함량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표 6]
Figure pat00006
P-value < 0.05
2-5-3. 크림 사용에 대한 주관적 평가
대조군과 실험군의 아보카도 크림 사용 후 주관적 평가는 15개의 문항으로 한 5점 척도법으로 평가되었다(표 7 참조). 대조군 대비 아보카도 오일이 함유된 아보카도 크림은 촉촉함(+0.04), 발림성(+0.19), 끈적임(+0.08), 구매의향(+0.33), 취향만족(+0.17) 항목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특히 구매의향 및 취향만족은 전체적인 만족도를 대표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아보카도 오일이 함유된 크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표 7]
Figure pat00007
P-value < 0.05
실시예 2.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한 미스트형 보습제 제조
표 8의 함량에 따라 각 재료를 혼합하여 미스트형 보습제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에탄올과 글리세린은 (주)삼전에서는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아보카도 오일과 나프리(Nafri)는 ㈜에코 팩토리 숍 스쿨(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나프리를 증류수에 녹인 후 글리세린과 아보카도 오일을 에탄올에섞고 두 용매를 homogenizer로 잘 용해되도록 섞어 제조하였다. 대조군은 같은 함량에서 아보카도 오일만 제외하였다.
제조된 미스트는 일반 스프레이 용기에 담아 이후의 실험예에서 피험자에게 제공하였다.
[표 8]
Figure pat00008
단위 : 중량%
실험예 3. 아보카도 오일 함유 미스트의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미스트를 20대 여대생에게 제공하여 사용하게 한 뒤 만족도 및 피부 수분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3-1. 실험 설계
아보카도 오일이 피부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를 하였다. 실험 전 평소 피부 관리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정유경, 2007)를 참조하여 피부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분석을 하여 사전·사후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사전 설문지를 작성한 후 연구자와 훈련받은 연구 보조자가 대상자의 피부 건조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실험군에게는 아보카도 오일이 포함된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를 주고, 대조군에게는 아보카도 오일만 제외한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를 제공하였다. 1주일 후 사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실험부위의 피부 건조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3-2. 피험자 선정 및 기준
본 실험의 목적, 실험 방법, 내용 등을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부위에 감염성 질환, 아토피 피부염, 최근 3개월 이내에 피부염으로 약물치료를 한 경우와 현재 피부 치료 중인 자는 제외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0명이었으나 중도 탈락자를 제외하고 본 실험에 적용된 대상자는 총 34명이었다.
3-3. 이상 반응평가
시험 제품 사용 중에 발생한 이상 피부증상에 대해서는 즉시 연구자 에게 보고하도록 지도하고 연락처를 알려 주었다.
3-4. 미스트의 사용방법
피험자들에게 양 팔꿈치 내측, 중앙, 외측과 양 발뒤꿈치 내측, 중앙, 외측에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 번씩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를 분무하여 바르도록 하였다. 피부의 수분함량은 실시 전, 실시 1주일 후로 나누어 피부 수분측정기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5. 자료 분석
통계적 분석방법은 SPSS Win 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측정하였고, 실험 전·후 구간의 유의성 검증은 paired t-test를, 신뢰수준은 p<.05에서 평균값들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관적 느낌은 5점 척도로 점수화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측정하였다.
3-6. 결과
3-6-1. 실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연령, 자가 피부 관리 횟수, 자외선 차단제 사용여부, 일일 수분섭취량, 피부 관리실 이용여부, 월평균 화장품 구입 금액 등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9).
구체적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연령은 실험군은 22.56±0.51세였고, 대조군은 22.44±0.49세였다. 마사지나 팩 등의 자가 피부 관리는 월 3 ~ 4회가 19명(55.8%), 월 1 ~ 2회가 15명(44.1%)이었고,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하는 경우가 30명(88.2%)으로 나타났다. 일간 수분 섭취량은 31명(91.2%)이 1500 ~ 2500cc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부 관리실은 23명(67.3%)이 이용경험이 없다고 답하였고, 화장품 구입에 사용하는 금액은 25명(73.5%)이 매월 1 ~ 4만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Figure pat00009
1)평균±표준편차
3-6-2. 피부 수분량의 변화
대상자의 실험 전·후 피부 수분량의 변화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표 10과 같다. 아보카도 오일이 포함된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와 아보카도 오일이 포함되지 않은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를 1주일 동안 적용한 후 양 팔꿈치와 양 발 뒤꿈치의 수분량 측정에서 실험군의 팔꿈치에서는 수분량이 개선되었으나(왼쪽 t=3.02, p=.00, 오른쪽 t=2.85, p=.00) 발뒤꿈치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왼쪽 t=0.89, p=.38, 오른쪽 t=1.23, p=.21).
[표 10]
Figure pat00010
* P-value < 0.05
3-6-3. 실험 후 주관적 평가
건성 피부로 선정된 여대생에게 아보카도 오일이 포함된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와 아보카도 오일이 포함되지 않은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를 적용한 후의 주관적 평가를 확인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아보카도 오일이 포함된 미스트 형태의 보습제는 피부건조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t=-2.11, p<.04), 피부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t=-2.11, p<.03)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아보카도에 대한 여대생의 인식 자체가 긍정적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이는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아보카도에 대한 정보와 인식의 증가, 광고 등으로 아보카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 11]
Figure pat00011
* P-value < 0.05
3-6-4. 실험 전·후 만족도
실험 대상자의 피부 실험 참여 후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표 12 참조). 피부주름 개선, 피부 탄력성 개선, 피부톤 개선의 세 항목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한 뒤 각 군별 응답 평균을 비교해 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2]
Figure pat00012

Claims (4)

  1.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아보카도 오일 3 내지 7중량%,
    알로에 젤 60 내지 64중량%,
    타마누 오일 19 내지 23중량%,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 0.5 내지 2중량%,
    나프리 0.5 내지 2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는 수분크림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아보카도 오일 0.5 내지 2중량%,
    나프리 0.5 내지 2중량%,
    에탄올 16 내지 2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3중량% 및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지는 미스트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57550A 2020-05-14 2020-05-14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1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550A KR20210141840A (ko) 2020-05-14 2020-05-14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550A KR20210141840A (ko) 2020-05-14 2020-05-14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840A true KR20210141840A (ko) 2021-11-23

Family

ID=7869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550A KR20210141840A (ko) 2020-05-14 2020-05-14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18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55A1 (ko) 2020-10-30 2022-05-05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55A1 (ko) 2020-10-30 2022-05-05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Mohiuddin Skin care creams: formulation and use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5878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il et al. A review on: standerdization of herb in new era of cosmaceuticals: herbal cosmetics
Saraf Formulating moisturizers using natural raw materials
KR20210141840A (ko) 아보카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EP3976205A1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 and preservation system
CN111821228A (zh) 一种祛黄抗皮肤光老化的组合物及其应用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AU2020100737A4 (en) Composition for removing striae atrophicae
KR20190070081A (ko) 강황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RU2161950C1 (ru) Лосьон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рук
Chatur et al. Formulation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herbal face gel toner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2553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488933B2 (ja) シワ改善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CN104784312B (zh) 具有刺激抑制功效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22108B1 (ko) 요를 이용한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anuwidjaja Development of Anti-Aging Cream Preparations with Active Substances from Plant Extracts: Physicochemical Review and Potenti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