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974A -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974A
KR20210138974A KR1020200057132A KR20200057132A KR20210138974A KR 20210138974 A KR20210138974 A KR 20210138974A KR 1020200057132 A KR1020200057132 A KR 1020200057132A KR 20200057132 A KR20200057132 A KR 20200057132A KR 20210138974 A KR20210138974 A KR 2021013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holesteric liquid
display layer
forgery
preven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996B1 (ko
Inventor
이인숙
조인석
Original Assignee
엔비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에스티(주) filed Critical 엔비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200057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996B1/ko
Priority to PCT/KR2021/005879 priority patent/WO2021230619A1/ko
Priority to CN202110524198.3A priority patent/CN113671732A/zh
Publication of KR2021013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91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4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6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optical, elec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nents, in gener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a change of the texture state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 상측에 위치하고 특정 모양이 인쇄된 디자인 인쇄층; 및 상기 디자인 인쇄층 상부에 위치하고 숨겨진 모양이 인쇄된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위변조 방지수단에 스마트폰 화면의 빛을 비추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경우 위변조가 매우 난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은 물론, 별도의 위변조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위변조 판별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Means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Compris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 Layer}
본 발명은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 상기 기재 상부의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의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산업발달과 함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일반 사용자의 인식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식품, 의료품 및 화장품 등 대량 유통이 불가피한 제품들이 가품으로부터 위협받는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금융과 연결되어있는 은행권에 국한하여 적용되어 온 위변조 방지기술에 대하여 전 세계, 전 산업 분야에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품인증용 기술 중 홀로그램, QR code는 기술난이도가 낮아서 복제가 쉽고 NFC, RFID, Dot-code와 같은 기술은 높은 단가로 인해 일반적인 식품 또는 화장품 분야에 적용되기는 어려운 가운데 기술난이도와 단가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기술의 난이도는 소재의 차별성과 연결되며, 이는 소재 자체의 새로움보다 중요한 것은 소재를 적용할 수 있는 응용성의 범위이다. 그 응용성은 적용하고자 하는 상품군의 특성에 따라 대량 양산의 여부가 핵심요소가 된다. 특히, 위변조 방지용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쇄성이다.
일반 종이나 필름에 쉽게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잉크여야 하며, 위변조 방지용으로 형광잉크(fluorescence ink), 인광잉크(phosphorescence ink), 온도변색잉크(thermochromic ink), 광변색잉크(photochromic ink), 광시변각잉크(optical variable ink), 자성잉크(magnetic ink), 액정(liquid crystal)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액정은 빛의 편광(polarized light)의 원리를 적용하는 대표적인 소재로서 선글라스나 액정디스플레이 화면 등과 같이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여러 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물질을 확인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액정 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키면 편광 면의 회전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아 편광판을 통과하는 빛 일부를 차단하게 되며, 이를 조절하면 편광판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하는 원리이다.
액정(Liquid crystal)이란 액체적인 성질과 고체적인 성질을 동시에 가진 물질로서 저온에서는 고체와 같은 결정체이지만, 온도를 상승시키면 액체와 같이 유동성을 나타내는 불투명한 액체 상태로 되고 더욱 온도를 올리면 투명한 액체로 변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에 주로 응용되고 있다.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은 층마다 분자들이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져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다. 휴대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LCD 패널은 2장의 유리 기관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시키고 각각의 편광축 방향으로 액정분자를 되어 편광축이 직교되어 있다. 액정이 편광축에 따라서 비틀어져 있다면(뒤에 그림 참고) 빛의 진동방향이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에 따라 회전하고 일정한 전압을 걸면 액정의 비틀림 구조가 파괴되어 빛을 회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소실되어 빛이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흑백화상이 나타난다. 즉, 배열된 액정의 배향조절을 통한 잠상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디텍터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일반 네마틱(Nematic) 액정에 주기적 나선구조를 유도하는 도판트(dopant)가 첨가된 액정으로 네마틱 액정의 디렉터가 나선 축을 따라 꼬이면서 층을 이루는 나선형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기판 표면에 대하여 콜레스테릭 나선 축들이 수직으로 배열된 경우 planar 구조로 나선의 꼬인 방향과 반복 구조의 피치(pitch)에 따라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에 입사하는 빛을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원편광 빛의 합으로 표시할 때 콜레스테릭 액정의 꼬인 구조와 같은 방향의 원편광 빛은 반사되고, 반사 방향의 원편광 빛은 투과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위조 방지 패턴을 개시하고 휴대폰의 고정된 액정구조로 편광효과를 부여하여 잠상을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편광물질을 위변조 방지수단에 적용한 종래의 특허 문헌을 살펴보면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10-2016-7009110호에서는 기록 매체의 일부에 편광자층을 적용하고 편광자층,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사박을 접착해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위조 방지 매체로서 레이저 인그레이빙이나 써멀 헤드를 사용한 가열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정품 인증용 라벨 생산을 위한 대량 인쇄성의 한계를 가진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변조가 매우 난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은 물론, 별도의 위변조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위변조 판별이 가능한 위변조 방지수단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기재, 상기 기재 상부의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의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에 스마트폰 화면의 빛을 비추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경우 위변조가 매우 난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은 물론, 별도의 위변조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위변조 판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 목적은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 수단을 이용하여 위변조 식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변조 방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변조가 매우 난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은 물론, 별도의 위변조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위변조 판별이 가능한 위변조 방지수단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기재, 상기 기재 상부의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부의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에 스마트폰 화면의 빛을 비추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경우 위변조가 매우 난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은 물론, 별도의 위변조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위변조 판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 상측에 위치하고 특정 모양이 인쇄된 디자인 인쇄층; 및 상기 디자인 인쇄층 상부에 위치하고 숨겨진 모양이 인쇄된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편광물질’은 물질에 편광된 빛을 조사할 경우 편광된 빛을 조사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특정 색상, 모양 또는 색상 및 모양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일체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콜레스테릭 액정’은 평면상으로 배열한 분자의 각층이 나선상으로 회전하고 있는 액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컴퓨터’는 컴퓨터는 전자회로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큐알코드’는 다양한 형태의 원형 또는 사각의 Dot로 이루어진 인쇄된 무늬의 다양한 조합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위변조’는 권한 없는 자가 사용할 목적으로 현존하지 아니하는 물건을 새로 만들어 내는 행위 또는, 기존에 존재하는 물건에 권한 없이 변경을 가하는 행위 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표시층 및 제2 표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 중 하나 이상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은 각각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각각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은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은 액상 또는 액상을 물리적으로 마이크로캡슐화한 분말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는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잉크 중량기준 5-50%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는 바람직하게는 유성용매 및 유기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유성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엔-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메틸에틸 케톤(Methylethyl ketone), 톨루엔(tolue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유성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유기고분자는 열 경화성 또는 광 경화성 접착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 경화성 고분자로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계 고분자, 폴리아크릴(polyacryl)계 고분자, 에폭시(epoxy)계 고분자, 멜라민(melamine)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고분자,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광 경화성 접착제로서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에폭시(epoxy)계, 비닐(vinyl)계 단량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15 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에는 바람직하게는 보색성 형광염료,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에 보색성 형광염료,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 폴리머가 혼합된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콜레스테릭 액정에 보색성 형광염료를 첨가할 경우 눈으로 보여지는 색과 인증 후 색을 다르게 할 수 있고, 콜레스테릭 액정에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 폴리머를 혼합하여 편광 배향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인증 후 색이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표시층의 상부에는 접착층 및 연신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편광물질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 매체, 상기 위변조 방지 매체에는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특정 모양이 인쇄되고, 상기 위변조 여부는 편광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변조 확인수단을 상기 위변조 방지 매체에 조사하거나, 또는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위변조 방지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라벨, 스티커, 포장재 또는 도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특정 모양은 바람직하게는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큐알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특정 모양이 큐알코드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특정 모양이 큐알코드일 경우 스마트폰 등의 화면을 위변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전용 화면으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큐알코드 인식 자체로 1차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특정 모양에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화면에서 생성된 편광된 빛으로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식별모양이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모양에 스마트폰 등의 화면에서 생성된 편광된 빛으로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식별모양이 인쇄된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특정 모양에 스마트폰 등의 화면에서 생성된 편광된 빛으로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식별모양을 인쇄할 경우 큐알코드와 별개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위변조 확인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모니터 및 액정티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피씨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위변조 확인수단이 스마트폰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을 이용할 경우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를 손쉽게 촬영할 수 있고, 액정 화면에서 편광된 빛을 충분히 생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크기가 작아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용 화면을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위변조 확인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모니터 및 액정티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위변조 확인수단의 화면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위변조 방지 매체에 상기 화면 부분에서 발생한 빛을 조사하여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변조 확인수단인 스마트폰의 화면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위변조 방지 매체에 상기 화면 부분에서 발생한 편광된 빛을 조사하여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의 화면 부분에서 발생한 편광된 빛이 상기 위변조 방지매체에 포함된 편광물질을 통과하거나 반사하는 과정에서 상기 식별모양의 색채 및/또는 모양을 변경하여 상기 식별모양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화면 부분에는 단색의 배경이 상기 화면 부분 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색은 바람직하게는 흰색, 회색, 아이보리색, 노란색, 하늘색 및 연두색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흰색 또는 아이보리색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흰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단색이 흰색인 것은 매우 중요한다. 왜냐하면, 흰색의 화면을 이용하여 편광된 빛을 상기 식별모양에 조사할 경우 다른 색의 화면을 이용하여 편광된 빛을 조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식별모양의 선명도가 유의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편광물질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색상이 동일 또는 일견하여 동일하게 보이는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되, 어느 한 잉크는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를 이용하고, 다른 잉크는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잉크와 다른 방향의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특정 모양은 바람직하게는 큐알코드 모양이고, 상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피씨를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피씨의 화면 부분을 상기 편광물질을 이용하여 인쇄한 인쇄층을 확인할 수 있는 전용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 상측에 위치하고 특정 모양이 인쇄된 디자인 인쇄층; 및 상기 디자인 인쇄층 상부에 위치하고 숨겨진 모양이 인쇄된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인 위변조 방지수단에 스마트폰 화면의 빛을 비추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경우 위변조가 매우 난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것은 물론, 별도의 위변조 확인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위변조 판별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콜레스테릭 액정잉크 및 액정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휴대폰 화면을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큐알코드에 편광물질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제작한 식별모양이 인쇄된 위변조 방지용 큐알코드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큐알코드 중간 부분에 편광물질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제작한 식별모양(NBST)이 인쇄된 위변조 방지용 큐알코드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큐알코드 모양을 인식하는 모습 및 상기 큐알코드 모양의 인식에 의해 스마트폰 화면을 전용 위변조 확인용 화면으로 전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스마트폰의 전용 위변조 확인용 화면을 이용하여 큐알코드 중간 부분에 인쇄된 식별모양(NBST)을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을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다양한 형태의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 스마트폰 및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기재(110)은 기재(110), 디자인 인쇄층(120), 제1 표시층(131) 및 제2 표시층(132)을 포함하는 표시층(130), 접착층(140) 및 연신필름층(15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110)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의 최하층에 위치하고, 합성수지, 종이, 금속 등 당업계에서 라벨 등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인쇄층(120)은 기재(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표시층(130)과 구별되는 모양이 인쇄된다.
상기 표시층(130)은 두께가 15 μm 이하이고, 상기 디자인 인쇄층(120)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표시층(131) 및 제2 표시층(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층(131) 및 제2 표시층(132)은 둘 중 어느 하나의 표시층에만 콜레스테릭 액정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고, 나머지 표시층은 일반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한 실시예와 제1 표시층(131) 및 제2 표시층(132) 모두를 콜레스테릭 액정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여기서, 제1 표시층(131) 및 제2 표시층(132) 모두 콜레스테릭 액정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표시층에 사용된 콜레스테릭 액정의 배향이 상이해야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히든마크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층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지 않은 잉크 모두 같은 색상 또는 일견하여 동일한 색상으로 보이는 잉크를 사용해야 한다.
상기 표시층(130)의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연신필름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신필름층(150)과 표시층(130)의 중간에는 접착층(140)이 위치한다.
표시층(130) 상부에 연신필름층(150)이 위치할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잉크에 의해 굴절된 빛을 더욱 굴절시켜 히든마크의 식별력이 증가된다.
도 6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의 모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된 스마트폰(50)의 모습,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된 스마트폰(50)을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을 이용한 위변조 판별방법의 순서도 및 다양한 형태의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은 큐알코드(10), 식별모양(2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30), 위변조 확인용 화면(40), 스마트폰(50) 및 화면에서 발생한 빛(60)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은 중간 부분에 편광물질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한 식별모양(20)이 인쇄된 큐알코드(10)는 스마트폰 및 후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30)을 이용한 큐알코드(10)를 확인하기 위한 큐알코드(10) 촬영 과정에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컴퓨터와 큐알코드(10)를 이용해 위변조 여부에 대한 1차 판단 및 큐알코드(10) 중간 부분에 인쇄된 편광물질을 이용해 인쇄한 식별모양(20)을 이용해 위변조 여부에 대한 2차 판단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위변조 여부에 대한 2차 판단은 편광필름(미도시) 내지는 후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30)에 의해 유도된 위변조 확인용 화면(40)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30)은 스마트폰 등에 설치되는 일종의 프로그램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1) 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큐알코드(10)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1차 위변조 여부 식별과정, 2) 상술한 큐알코드(10) 인식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환된 위변조 확인용 화면(40)을 통해 육안으로 편광물질을 이용해 인쇄한 식별모양(20)을 관찰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2차 위변조 여부 식별과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위변조 확인용 화면(40)을 통해 육안으로 식별모양(20)을 관찰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2차 위변조 여부 식별과정은 위변조 확인용 화면에서 발생한 빛(60)을 식별모양(20)에 비춰 식별모양(20)의 존재 유무 또는 모양의 동일여부로 판단으로 진행한다.
상기 위변조 확인용 화면(40)은 화면의 70% 이상의 영역이 흰색의 바탕화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탕화면으로 흰색 이외에 회색, 아이보리색, 노란색, 하늘색 또는 연두색을 사용할 수 있으나, 흰색 바탕화면을 이용할 경우 식별모양(20)을 가장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을 이용한 위변조 판별방법은 (a)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으로서 큐알코드(10)를 스마트폰(50)을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10)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큐알코드(10) 인식을 통해 위변조 여부를 1차로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큐알코드(10)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50)의 화면 부분을 큐알코드(10)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용 화면(40)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전용 화면(40)을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10)를 육안으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a) :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으로서 큐알코드(10)를 스마트폰(50)을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10)를 인식하는 단계
단계 (a)는 스마트폰(50)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큐알코드(10)를 인식하여 위변조 여부를 1차로 판단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큐알코드(10)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폰(50) 화면을 전용 화면(40)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30)을 다운받거나, 상술한 과정을 모두 진행할 수 있는 전용 사이트로 유도한다.
단계 (b) : 상기 큐알코드(10) 인식을 통해 위변조 여부를 1차로 확인하는 단계
상술한 다운받은 전용 어플리케이션(30) 또는 유도된 전용 사이트를 통해 위변조 여부에 대한 1차 판단을 진행한다. 위변조 여부에 대한 1차 판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50) 카메라가 인식한 큐알코드(10)가 위조되었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한다. 위변조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하는 과정에서는 해당 큐알코드(10)가 중복하여 인식되었는지 여부 및 큐알코드(10)를 구성하는 모양의 일치여부 판단을 통해 위변조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c) : 상기 큐알코드(10)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50)의 화면 부분을 상기 큐알코드(10)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용 화면(40)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위변조 여부에 대한 1차 판단을 진행하여 1차로 위변조 되지 않은 큐알코드(10)임이 확인될 경우 다음으로, 스마트폰(50)의 화면을 2차 판단을 위한 전용 화면(40)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단계 (d) : 상기 전용 화면(40)을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10)를 육안으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스마트폰(50)의 화면이 2차 판단을 위한 전용 화면(40)으로 전환될 경우 전환된 전용 화면(40)에서 발생한 빛(60)을 큐알코드(10)에 조사하여 식별모양(20)의 유무 또는 모양의 동일여부로 위변조 여부에 대한 2차 판단을 진행한다. 여기서, 스마트폰(50)에서 조사된 빛은 편광 특징을 나타내는 관계상, 전용 화면(40)을 90도 각도로 회전시켜가며 화면에서 발생한 빛(60)을 식별모양(20)에 조사하여 식별모양(20)의 유무 및 모양의 동일여부를 판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100)은 (a) 편광필름층 및 상기 편광필름층 일면에 액정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모양을 인쇄한 인쇄층을 포함하는 형태, (b) 편광필름층 및 상기 편광필름층 일면에 적층된 위상차 필름층을 포함하는 형태, (c) 편광필름층 및 상기 편광필름층 일면에 위상차 잉크를 이용하여 식별모양을 인쇄한 인쇄층을 포함하는 형태, (d) 색상이 동일 또는 일견하여 동일하게 보이는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되, 어느 한 잉크는 특정 구조의 액정잉크를 이용하고, 다른 잉크는 상기 특정 구조의 액정잉크와 다른 구조의 액정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 인쇄층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편광필름층 및 상기 편광필름층 일면에 액정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모양을 인쇄한 인쇄층을 포함하는 형태
상기 인쇄층은 바람직하게는 색상이 동일 또는 일견하여 동일하게 보이는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되, 어느 한 잉크는 액정잉크를 이용하고, 다른 잉크는 일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다.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는 연신필름 등을 이용하여 보호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b) 편광필름층 및 상기 편광필름층 일면에 적층된 위상차 필름층을 포함하는 형태
상기 위상차 필름층에는 음각 형상으로 식별모양(20)이 인쇄될 수 있다.
(c) 편광필름층 및 상기 편광필름층 일면에 위상차 잉크를 이용하여 식별모양을 인쇄한 인쇄층을 포함하는 형태
상기 위상차 잉크는 일반 인쇄용 잉크에 위상차 필름 파우더가 혼합된 잉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용 잉크와 위상차 필름 파우더는 중량기준 100 : 1-10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색상이 동일 또는 일견하여 동일하게 보이는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되, 어느 한 잉크는 상기 위상차 잉크를 이용하고, 다른 잉크는 일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d) 색상이 동일 또는 일견하여 동일하게 보이는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되, 어느 한 잉크는 특정 구조의 액정잉크를 이용하고, 다른 잉크는 상기 특정 구조의 액정잉크와 다른 구조의 액정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 인쇄층을 포함하는 형태
상기 특정 구조의 액정잉크는 액정이 나선형 방향으로 배향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잉크일 수 있고, 다른 구조의 액정잉크는 상기 나선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잉크,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폴리머이다.
큐알코드 10 식별모양 2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30 위변조 확인용 화면 40
스마트폰 50 화면에서 발생한 빛 60
위변조 방지수단 100 기재 110
디자인 인쇄층 120 표시층 130
제1 표시층 131 제2 표시층 132
접착층 140 연신필름층 150

Claims (11)

  1. 기재;
    상기 기재 상측에 위치하고 특정 모양이 인쇄된 디자인 인쇄층; 및
    상기 디자인 인쇄층 상부에 위치하고 숨겨진 모양이 인쇄된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은 제1 표시층 및 제2 표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 중 하나 이상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은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은 각각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각각의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은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은 액상 또는 액상을 물리적으로 마이크로캡슐화한 분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잉크 중량기준 5-5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는 유성용매 및 유기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용매는 엔-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메틸에틸 케톤(Methylethyl ketone), 톨루엔(tolue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유성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고분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계 고분자, 폴리아크릴(polyacryl)계 고분자, 에폭시(epoxy)계 고분자, 멜라민(melamine)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고분자,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의 두께는 1-15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에는 보색성 형광염료,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폴리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KR1020200057132A 2020-05-13 2020-05-13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KR10243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32A KR102432996B1 (ko) 2020-05-13 2020-05-13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PCT/KR2021/005879 WO2021230619A1 (ko) 2020-05-13 2021-05-11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CN202110524198.3A CN113671732A (zh) 2020-05-13 2021-05-13 包括胆甾相液晶显示层的防伪变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32A KR102432996B1 (ko) 2020-05-13 2020-05-13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74A true KR20210138974A (ko) 2021-11-22
KR102432996B1 KR102432996B1 (ko) 2022-08-17

Family

ID=7852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132A KR102432996B1 (ko) 2020-05-13 2020-05-13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32996B1 (ko)
CN (1) CN113671732A (ko)
WO (1) WO20212306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178B1 (ko) * 2022-06-07 2022-12-05 엔비에스티(주)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 및 산란층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수단
KR102528188B1 (ko) * 2022-06-07 2023-05-03 엔비에스티(주)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 및 간섭광 형성층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수단
KR20240003569A (ko) * 2022-07-01 2024-01-09 엔비에스티(주)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440A (ko) * 2003-07-03 2006-03-29 니폰 오일 코포레이션 대상물의 식별 구조 및 이 구조가 설치된 대상물
JP2010117381A (ja) * 2008-10-14 2010-05-27 Nhk Spring Co Ltd 識別媒体および物品
KR20110138262A (ko) * 2009-04-02 2011-12-26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고분자 액정 물질 마킹을 사용하는 식별 및 확인
KR20140085481A (ko) * 2011-10-04 2014-07-07 휘크 폴리엔 게젤샤프트 엠.베.하 변색효과를 갖는 보안요소, 그 제조방법 및 용도
JP2015128833A (ja) * 2014-01-06 2015-07-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および真偽判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67B1 (ko) * 2003-07-14 2012-02-24 플렉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노출 및/또는 은폐 패턴층을 갖는 보안 물품과 그 제조 방법
US7990515B2 (en) * 2004-12-10 2011-08-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istable display
US20080138543A1 (en) * 2004-12-24 2008-06-12 Nhk Spring Co., Ltd. Identification Medium, Article Equipped With Identification Medium, Identifying Method And Device
WO2007089041A1 (ja) * 2006-02-02 2007-08-09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記録方法
CN101319108B (zh) * 2007-06-07 2011-01-05 中国印钞造币总公司 一种圆偏振新型油墨及其制造方法
CN101590784B (zh) * 2008-05-26 2012-09-26 中国印钞造币总公司 复合防伪元件
CN109564322B (zh) * 2016-08-19 2022-08-02 日本瑞翁株式会社 识别用显示介质及其制造方法
CN207115851U (zh) * 2017-06-09 2018-03-16 上海先幻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元件
KR20190135754A (ko) * 2018-05-29 2019-12-09 엔비에스티(주)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큐알 코드 및 이의 활용방법
CN109317064B (zh) * 2018-09-30 2020-07-07 江南大学 一种炭黑掺杂的液晶微胶囊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440A (ko) * 2003-07-03 2006-03-29 니폰 오일 코포레이션 대상물의 식별 구조 및 이 구조가 설치된 대상물
JP2010117381A (ja) * 2008-10-14 2010-05-27 Nhk Spring Co Ltd 識別媒体および物品
KR20110138262A (ko) * 2009-04-02 2011-12-26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고분자 액정 물질 마킹을 사용하는 식별 및 확인
KR20140085481A (ko) * 2011-10-04 2014-07-07 휘크 폴리엔 게젤샤프트 엠.베.하 변색효과를 갖는 보안요소, 그 제조방법 및 용도
JP2015128833A (ja) * 2014-01-06 2015-07-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および真偽判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178B1 (ko) * 2022-06-07 2022-12-05 엔비에스티(주)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 및 산란층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수단
KR102528188B1 (ko) * 2022-06-07 2023-05-03 엔비에스티(주)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 및 간섭광 형성층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수단
KR20240003569A (ko) * 2022-07-01 2024-01-09 엔비에스티(주)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619A1 (ko) 2021-11-18
KR102432996B1 (ko) 2022-08-17
CN113671732A (zh)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996B1 (ko)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EP065041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gh value documents
RU2381907C2 (ru) Элемент защиты, имеющий основу
US7943392B2 (en) Discrimination medium, discrimination method, article to be discriminated, and discrimination apparatus
KR102378182B1 (ko) 압변색 형광층 및 편광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JPWO2006068180A1 (ja) 識別媒体、識別媒体を備えた物品、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CN103676261B (zh) 光变防伪元件及其制作方法、防伪产品
KR102543844B1 (ko) 위변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활용방법
JP2005022292A (ja) 対象物の識別構造およびその構造が設けられた対象物
JP5181567B2 (ja) 標識素子、標識化物品及び判別方法
KR102441227B1 (ko)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연포장재
CN113665269B (zh) 包括偏光物质的防伪变造装置及其应用方法
KR102460572B1 (ko) 채도 대비관계를 이용해 시인성을 개선한 위변조 방지 수단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KR102474178B1 (ko)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 및 산란층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수단
KR102528188B1 (ko)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 및 간섭광 형성층이 포함된 위변조 방지수단
KR102430790B1 (ko) 명도 대비관계를 이용해 시인성을 개선한 위변조 방지 수단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CN116047805A (zh) 一种防伪变造装置及验证方法
JP2003207635A (ja) 対象物の識別媒体及び識別方法
CN115993737A (zh) 一种防伪变造装置及制造方法以及验证方法
AU2015100393A4 (en) Modulated Surface Relie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