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569A -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569A
KR20240003569A KR1020220081306A KR20220081306A KR20240003569A KR 20240003569 A KR20240003569 A KR 20240003569A KR 1020220081306 A KR1020220081306 A KR 1020220081306A KR 20220081306 A KR20220081306 A KR 20220081306A KR 20240003569 A KR20240003569 A KR 2024000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gery
authentication method
layers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900B1 (ko
Inventor
이인숙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엔비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에스티(주) filed Critical 엔비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22008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900B1/ko
Publication of KR2024000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6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 B42D25/47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chemicals or adhesive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4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91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QR인증뿐만 아니라 굽힘 인증 및 편광 인증이 가능한 위변조 방지수단과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장치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Forgery prevention means applied with three-step authentication method and forgery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Forgery prevention means applied with three-step authentication method and forgery preven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QR인증뿐만 아니라 굽힘 인증 및 편광 인증이 가능한 위변조 방지수단과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기술의 발전에 따른 다양한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된 제품들의 거래는 온라인을 통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복제기술 또한 큰 발전을 이루어 진품과 복제품의 구분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고가 제품의 경우 다양한 위조방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대량유통이 불가피한 다소 저가의 제품의 경우, 이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식품, 의료품, 화장품과 같은 품목의 경우 사람의 건강 나아가 생명과 직결되어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위변조 방지 기술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포토닉 크리스탈 기반 패턴을 적용한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경우 빛의 존재 하에서 항상 시인이 되며, 이는 정보의 숨김에는 적합하지 않아 위변조 방지 시스템으로서의 활용도는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구조색이 발현되도록 하는 반사형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자극(인장, 압축, 굽힘, 비틀림 등)에서 빠른 응답성을 가지는 새로운 방식의 위변조 방지 장치에 대해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외부자극에 대한 응답성을 가지는 위변조 방지 장치의 경우, 플렉서블한 소재에 소정의 강성을 가진 필름이 적층 형성된 레이어가 디바이스에 내장되어 이를 인장, 압축, 비틀림 등의 굽힘인증 방식으로 하중을 가해 나타나는 구조색에 의한 이미지를 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굽힘인증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편광 인증이 가능한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라 편광(polarized light) 액정에 편광을 조사하여 내재된 히든마크가 발현되도록 하는 인증방법이 점차 많이 이용되고 고도화되어 가고 있다.
위변조 인증이 가능한 편광 액정 중 하나로 층마다 분자들이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져 나선 구조를 이루는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이 있으며, 이는 휴대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LCD 패널에 적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위변조 라벨에도 범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다양한 위변조 인증방식이 발전함과 동시에 위변조 기술또한 점차 진화하고 있어 단일 위변조 방지장치가 적용되어서는 진화한 위변조기술에 대비하지 못할 수 있어, 다양한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QR인증뿐만 아니라 상부면에서는 굽힘 인증이 가능하고 하부면에서는 편광 인증이 가능한 위변조 방지수단과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고주름영역과 저주름영역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 상기 고주름영역의 상부에 패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어보다 큰 영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이어에 접착되는 제2레이어; 상기 저주름영역과 상기 제2레이어를 덮도록 접착되고, 상기 제1레이어 보다는 크고 상기 제2레이어보다는 작은 영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제3레이어; 상기 제1레이어 하부에 접착되는 복수의 제4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의 하부에 접착되고,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로 인쇄되어 히든마크가 내재된 제5레이어;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레이어는, 한 쌍의 디자인 인쇄층이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레이어 중 하나의 디자인 인쇄층은 일반 잉크로 인쇄된 특정 문양이 형성된 인쇄층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디자인 인쇄층은 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 잉크로 인쇄된 특정 문양이 형성된 인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의 하부에 접착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레이어 내지 제5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된 제6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제2레이어, 제4레이어 및 제6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는 제1레이어에 내장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이어는, 제1레이어, 제3레이어 및 제5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는 제3레이어에 내장 배치되고, 상기 제3레이어는, 제1레이어, 제2레이어 및 제5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제3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레이어는 제2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되고, 상기 제4레이어 및 제5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의 하부가 아닌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위변조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장치를 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위변조 방지수단을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진 상기 제1레이어 내지 제3레이어로부터 굽힘인증 방식으로 하중을 가해 나타나는 구조색으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쇄층을 가진 제4레이어로부터 위변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제5레이어를 통해 편광인증 방식으로 위변조를 확인하는 단계; 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QR인증뿐만 아니라, 편광인증 및 굽힘인증 방식까지 다양한 인증방식을 통해 위변조 방지효과가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고주름영역과 저주름영역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111), 상기 고주름영역의 상부에 패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어(111)보다 큰 영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이어(111)에 접착되는 제2레이어(112), 상기 저주름영역과 상기 제2레이어(112)를 덮도록 접착되고, 상기 제1레이어(111) 보다는 크고 상기 제2레이어(112)보다는 작은 영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제3레이어(113), 상기 제1레이어(111) 하부에 접착되는 복수의 제4레이어(114), 및 상기 제4레이어(114)의 하부에 접착되고,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로 인쇄되어 히든마크가 내재된 제5레이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어(11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재질의 기판(RB)의 상면에 에폭시(Epoxy, EPU)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프로필렌이나 유연성이 우수한 천연소재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소제가 함유되어 유연성이 더욱 향상된 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에 형성되는 제2레이어(112)와의 계면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경화된 제1레이어(111)를 플라즈마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형성된, 제1레이어(111)의 영률은 10 내지 20 Mpa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레이어(111)는 200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력에 의해 그 형태의 변형이 쉬워야 하는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질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되며, 두께가 두꺼워져 필름으로써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나아가 외부자극, 예컨대 굽힘에 의한 자극이 있을 때 잘 구부러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상기 범위 미만의 두께를 가질 경우 내구성이 약해져 외부자극에 의해 파괴될 수 있고, 기재 자체의 안정성(stability)이 떨어져 굽힘에 의한 주름 형성 시, 균일한 사이즈의 주름이 아닌 random 사이즈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어, 필름 표면에서 패턴 발현 시 패턴의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레이어(112)는 상기 제1레이어(111)의 상면 중 고주름영역에 프린팅하여 패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레이어(112)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어 제1레이어(111)의 형태가 변형될 때 그 물성의 차이에 의해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주름들이 형성되어, 그 주름들의 배열에 의한 그레이팅 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2레이어(112)는 제1레이어(111)보다 큰 영률 값, 예컨대 60 Gpa 내지 80Gpa 범위의 영률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여기서 상기 제1레이어(111)와 제2레이어(112)의 영률 값에 대한 수치범위는 바람직한 수치범위를 제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수치범위를 포함한 다양한 영률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레이어(111)가 갖는 바람직한 영률 값인 10 내지 20 Mpa 범위와, 상기 제2레이어(112)가 갖는 바람직한 영률 값인 60 내지 80 Gpa 범위에 따라, [1/8000 ≤제1레이어(111) 영률 / 제2레이어(112) 영률] ≤1/3000]을 만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레이어(113)는 제2레이어(112)보다 영률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어 제1레이어(111)의 형태가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 그 물성의 차이에 의해 표면에 나노 크기의 주름들이 형성되어, 그 주름들의 배열에 의한 그레이팅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체에서 그레이팅 구조를 형성하는 주름 형성 원리를 살펴보면, 플렉서블한 제1레이어(111)에 외력이 가해져 제3레이어(113) 및 제2레이어(112) 방향으로 굽힘 하중이 가해지면, 얇고 강성인 제3레이어(113) 및 제2레이어(112)와 제3레이어(113) 및 제2레이어(112)보다 두껍고 연성인 제1레이어(111)의 기계적인 물성의 부조화로 인한 제3레이어(113) 및 제2레이어(112)에서 버클링(Buckling) 타입의 불안정성(instability)에 의해 주기적인 폭을 갖는 주름 배열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제1레이어(111)의 하부에 접착 형성되며, 한 쌍의 디자인 인쇄층이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제4레이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레이어(114)는 한 쌍의 디자인 인쇄층으로 이루어지고, 각 인쇄층은 백색과 검은색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증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4레이어(114) 중 하나의 디자인 인쇄층은 일반 잉크로 인쇄된 특정 문양이 형성된 인쇄층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디자인 인쇄층은 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 잉크로 인쇄되거나 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보색성 염료의 색상은 상기 일반 잉크에 포함된 염료의 색상과 보색 대비 관계를 이루는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색 대비 관계는, 먼셸(A. H, Munsell)의 색상환 또는 실용 표색 쳬계 색상환에서 서로 대칭점에 있는 색상 관계로, 주황색과 바다색, 노란색과 남색 등 나란히 두고 보았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인해 각각의 색이 보다 강렬하고 선명해 보이는 색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디자인 인쇄층으로 인하여 비편광이 조사된 상태에서도 육안으로 문양이 확인될 수 있는 일반잉크 또는 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잉크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레이어(114)를 이루는 디자인 인쇄층을 구성하는 문양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QR코드나 BAR코드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로 디지털 인증이 가능한 문양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4레이어(114)의 하부에 접착되고,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로 인쇄되어 히든마크가 내재된 제5레이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레이어(115)에 포함된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은 위변조 인증이 가능한 편광 액정 중 하나로 층마다 분자들이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져 나선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표면에 편광을 조사하면 분자의 배열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외부로 발현되며, 이러한 잠상 발현기술이 위변조 방지수단을 위한 상기 제5레이어(115)에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5레이어(115)는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로 인쇄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편광을 조사하여 히든마크를 식별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파우더는 콜레스테릭 액정 마이크로캡슐일 수 있으며,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마이크로캡슐은 인쇄가 가능한 평균 10μm내외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로 구비된 표시층(130)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 전체 중량 기준으로 함유된 콜레스테릭 액정 파우더의 중량이 1-30%를 차지할 수 있으며, 나머지 중량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일반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층 중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표시층은 콜레스테릭 액정 파우더와 열경화 바인더가 서로 혼재될 수 있으며,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파우더의 중량은 바인더와 혼합하였을 때 제4레이어(114)와 접착이 가능한 최대치인 30%이하가 될 수 있다.
이때, 접착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열경화 바인더는 아크릴산계 바인더(Acrylate-based binder)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파우더의 중량이 높아질수록 인증 시 시인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잉크의 전체 중량 중, 콜레스테릭 액정의 중량의 제외한 나머지 중량 중 적어도 일부분은 일반잉크가 아닌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 폴리머가 차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잉크의 전체 중량 중 일부는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 폴리머로 구성하고, 이에 전류를 흘려 네마틱 액정 또는 액정 폴리머의 배향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인증 시 편광을 비추면 전후색이 다르게 비춰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이어(111) 내지 제5레이어(115)가 적층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진 제1레이어(111) 내지 제3레이어(113)로부터 굽힘인증 방식으로 하중을 가해 나타나는 구조색으로 위변조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쇄층을 가진 제4레이어(114)로부터 위변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로 인쇄된 제5레이어(115)를 통해 편광인증 방식으로 위변조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레이어(115)의 하부에 접착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어(111)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레이어(111) 내지 제5레이어(115)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된 제6레이어(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레이어(1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레이어(115) 하부에 부착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레이어(111) 내지 제5레이어(115)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되어 있어, 상기 제6레이어(116)를 편광 렌즈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이어(113)는 상기 제1레이어(111), 제2레이어(112), 제4레이어(114) 및 제6레이어(116)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레이어(111) 하부에 제4레이어가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5레이어(115)가 제1레이어(111) 하부에 접착 형성된 상태로 그 하부에 상기 제1레이어(111)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6레이어(116)가 접착된 위변조 방지장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3레이어(113)는 편광 배향되도록 이루어져, 제3레이어(113)를 편광 렌즈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115)는 제1레이어(111)에 내장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이어(112)는, 제1레이어(111), 제3레이어(113) 및 제5레이어(115)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면에서 편광인증을 통해 위변조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면에서는 굽힘인증을 통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5레이어(115)가 제1레이어(111)에 내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레이어(111)의 고주름 영역 상부에 패턴 형성된 제2레이어(112)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제5레이어(115)가 제1레이어(111)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이어(112)가 편광 배향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2레이어(112)를 편광 렌즈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부면에서 편광인증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하부면에서 굽힘인증을 통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115)는 제3레이어(113)에 내장 배치되고, 상기 제3레이어(113)는, 제1레이어(111), 제2레이어(112) 및 제5레이어(115)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제5레이어(115)는 상기 제3레이어(1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레이어(112)와 폭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내장 배치되어 제2레이어(112)와의 간섭은 피하면서, 상기 제3레이어(113)가 편광 배향되어 상기 제5레이어(115)와의 편광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상부 굽힘인증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111) 또는 제3레이어(113) 중 어느 하나의 레이어는 제2레이어(112)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되고, 상기 제4레이어(114) 및 제5레이어(115)는 상기 제1레이어(111)의 하부가 아닌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어(111) 내지 제3레이어(113)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굽힘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레이어(111) 또는 제3레이어(113) 중 어느 하나의 레이어가 편광 배향되어 있어, 이를 편광 렌즈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4레이어(114)는 상기 제1레이어(111) 내지 제3레이어(113)의 측면 중앙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제5레이어(115)가 접착 형성되고, 하부에는 기재층(117)이 접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이어(111) 내지 제3레이어(113)까지의 높이와 제4레이어(114)로부터 기재층(117)까지의 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중간 굽힘부를 통해 벤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레이어(111) 또는 제3레이어(113)의 높이방향으로 굽힘인증이 가능함과 동시에, 양측을 접어 편광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변조 방지수단을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에 있어서, 굽힘인증과 편광인증 등 다양한 인증단계를 동시에 진행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진 상기 제1레이어(111) 내지 제3레이어(113)로부터 굽힘인증 방식으로 하중을 가해 나타나는 구조색으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쇄층을 가진 제4레이어(114)로부터 위변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제5레이어(115)를 통해 편광인증 방식으로 위변조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다양한 인증방법으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위변조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위변조 방지수단
111 : 제1레이어
112 : 제2레이어
113 : 제3레이어
114 : 제4레이어
115 : 제5레이어
116 : 제6레이어
117 : 기재층

Claims (9)

  1.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고주름영역과 저주름영역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
    상기 고주름영역의 상부에 패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어보다 큰 영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이어에 접착되는 제2레이어;
    상기 저주름영역과 상기 제2레이어를 덮도록 접착되고, 상기 제1레이어 보다는 크고 상기 제2레이어보다는 작은 영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제3레이어;
    상기 제1레이어 하부에 접착되는 복수의 제4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의 하부에 접착되고, 콜레스테릭 액정잉크로 인쇄되어 히든마크가 내재된 제5레이어;
    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레이어는,
    한 쌍의 디자인 인쇄층이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레이어 중 하나의 디자인 인쇄층은 일반 잉크로 인쇄된 특정 문양이 형성된 인쇄층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디자인 인쇄층은 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 잉크로 인쇄된 특정 문양이 형성된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의 하부에 접착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레이어 내지 제5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된 제6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제2레이어, 제4레이어 및 제6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는 제1레이어에 내장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이어는, 제1레이어, 제3레이어 및 제5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레이어는 제3레이어에 내장 배치되고,
    상기 제3레이어는, 제1레이어, 제2레이어 및 제5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제3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레이어는 제2레이어와 서로 다른 배향 각도를 가지도록 편광 배향되고,
    상기 제4레이어 및 제5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의 하부가 아닌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변조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장치.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변조 방지수단을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진 상기 제1레이어 내지 제3레이어로부터 굽힘인증 방식으로 하중을 가해 나타나는 구조색으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쇄층을 가진 제4레이어로부터 위변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제5레이어를 통해 편광인증 방식으로 위변조를 확인하는 단계; 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위변조 인증방법.
KR1020220081306A 2022-07-01 2022-07-01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KR10263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306A KR102632900B1 (ko) 2022-07-01 2022-07-01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306A KR102632900B1 (ko) 2022-07-01 2022-07-01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569A true KR20240003569A (ko) 2024-01-09
KR102632900B1 KR102632900B1 (ko) 2024-02-05

Family

ID=8953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306A KR102632900B1 (ko) 2022-07-01 2022-07-01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209A (ko) * 2008-01-22 2010-12-03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식별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38974A (ko) * 2020-05-13 2021-11-22 엔비에스티(주)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KR20210002908U (ko) * 2020-06-18 2021-12-27 엔비에스티(주) 뷰어 일체형 위변조 방지수단
KR20220033208A (ko) * 2020-09-09 2022-03-16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조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209A (ko) * 2008-01-22 2010-12-03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식별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38974A (ko) * 2020-05-13 2021-11-22 엔비에스티(주)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KR20210002908U (ko) * 2020-06-18 2021-12-27 엔비에스티(주) 뷰어 일체형 위변조 방지수단
KR20220000803U (ko) * 2020-06-18 2022-04-08 엔비에스티(주) 뷰어 일체형 위변조 방지수단
KR20220033208A (ko) * 2020-09-09 2022-03-16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조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900B1 (ko)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2358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US7654579B2 (en) Object of value comprising a moiré pattern
US20200298608A1 (en) A security document
JP7371840B2 (ja) 機械可読光学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RU2493969C2 (ru) Гониолюминесцентный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3671732A (zh) 包括胆甾相液晶显示层的防伪变造装置
JPWO2016010088A1 (ja) 樹脂製シート、および、冊子
KR102632900B1 (ko) 3단 인증방법이 적용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KR102460572B1 (ko) 채도 대비관계를 이용해 시인성을 개선한 위변조 방지 수단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WO2019139051A1 (ja) 積層体、証明証、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653739B1 (ko) 압변색 인증 및 외부자극 인증이 적용가능한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CN216353017U (zh) 一种可追溯的防伪标签
JP6575307B2 (ja) 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1227B1 (ko)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층을 포함하는 연포장재
CN101294361B (zh) 安全线
KR102584229B1 (ko) 위변조 방지수단을 구비한 음료 병 및 캡 어셈블리
KR102430790B1 (ko) 명도 대비관계를 이용해 시인성을 개선한 위변조 방지 수단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KR102632898B1 (ko) 위변조 방지용 보안필름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KR102597533B1 (ko)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및 이를 활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KR102460582B1 (ko) 보색 대비관계를 이용해 시인성을 개선한 위변조 방지 수단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변조 인증방법
CN207781062U (zh) 一种带有光学微结构特征的解放军驾驶证防伪膜
CN116047805A (zh) 一种防伪变造装置及验证方法
JP5589640B2 (ja) 真贋判定シート
AU2012100299A4 (en) A polari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ng a polarising device
AU2016102127B4 (en) Optically variable moire securi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