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433A -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433A
KR20210138433A KR1020200056749A KR20200056749A KR20210138433A KR 20210138433 A KR20210138433 A KR 20210138433A KR 1020200056749 A KR1020200056749 A KR 1020200056749A KR 20200056749 A KR20200056749 A KR 20200056749A KR 20210138433 A KR20210138433 A KR 2021013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module
main system
message
vehicl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823B1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Priority to KR102020005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06K2209/1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충전모듈- 상기 충전모듈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함-; 및 상기 충전모듈의 충전포트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은,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카메라에 의해 차량번호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 및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로부터 상기 충전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충전여부를 묻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포트를 활성화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본 출원은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해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와 통신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충전장치를 활성화하고, 단말기 사용자에게 충전요금을 부과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별도의 전기자동차 충전소뿐 아니라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의 확충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장 대중화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카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충전장치와 연결된 카드리더기에 RFID카드를 태그하여 사전에 등록된 차량번호 및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가 회원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해 요금을 부과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반드시 RFID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부설 및 사설 유료주차장의 경우 LPR(License Plate Recognition)시스템 및 장치를 이용해 자동차의 입출차를 확인하고 주차시간에 따른 주차요금이 계산되는데, 주차장에 설치된 키오스크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과 주차장 입출차 관리시스템이 별도로 운영되고 있어 주차요금과 충전요금 역시 사용자에게 별도로 부과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번호 인식결과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을 거쳐 활성화된 충전장치를 통해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충전요금을 부과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이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충전모듈- 상기 충전모듈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함-; 및 상기 충전모듈의 충전포트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은,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카메라에 의해 차량번호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 및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로부터 상기 충전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충전여부를 묻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포트를 활성화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메인 시스템은, 충전모듈 및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충전모듈의 모듈인식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번호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충전모듈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함-; 상기 차랑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모듈인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충전여부를 묻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응되어 획득한 정보에 따라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활성화 여부 판단결과에 기초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번호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활성화되는 충전포트; 및 상기 카메라, 통신부 및 충전포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일측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메인 시스템이 차량번호 인식결과를 기초로 차량번호와 대응하는 단말기와 통신함으로써 별도의 식별장치 없이 단말기를 이용해 충전포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메인 시스템이 충전모듈 및 차량번호와 대응하는 단말기와 통신해 별도의 결재장치 및 절차 없이 단말기 사용자에게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확인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QR코드 인식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 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충전모듈- 상기 충전모듈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함-; 및 상기 충전모듈의 충전포트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은,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카메라에 의해 차량번호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 및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로부터 상기 충전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충전여부를 묻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포트를 활성화한다.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는 상기 충전모듈의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는 상기 충전모듈의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의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충전모듈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획득한 제 3 메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을 승인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며,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을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메시지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모듈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QR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메인 시스템이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모듈이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정보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정보는 충전시간 및 충전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충전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메인 시스템은, 충전모듈 및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충전모듈의 모듈인식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번호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충전모듈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함-;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모듈인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충전여부를 묻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응되어 획득한 정보에 따라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활성화 여부 판단결과에 기초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획득한 제 3 메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을 승인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며,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에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메시지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QR코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QR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정보는 충전량, 충전시간 및 충전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충전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번호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활성화되는 충전포트; 및 상기 카메라, 통신부 및 충전포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일측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는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가 출력한 QR코드가 촬영되고, 상기 QR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된 후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프레임들 가운데 가장 큰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프레임은 상기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정보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정보는 충전시간, 충전량 및 충전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1)은 메인 시스템(100), 충전모듈(200),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그 위치가 로컬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로컬에 별도로 설치되어 충전모듈(200) 및 단말기(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스템(100)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구현되어 충전모듈(200) 및 단말기(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로컬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구현되어, 이하에서 기재되는 메인 시스템(100)의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 인식, 충전요금을 과금하는 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200)을 인식하고, 인식된 충전모듈(200)을 이용해 충전한 충전요금에 대해 인식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시스템의 운영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스템(100)은 주차장에 설치된 입출차 인식 시스템의 운영을 관리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주차장에 차량이 입차/출차하는 경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은 주차 차단기 바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인식된 차량 번호가 미리 저장된 차량 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출차하는 차량이 입차하는 차량번호와 동일한 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입차/출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해 주차차단기 바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주차장에 설치된 충전장치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한 충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주차장에 설치된 충전장치 사용자와 통신한 결과를 기초로 인식한 충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전체적인 과금을 관리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주차된 차량의 입차와 출차에 따른 주차요금을 관리할 수 있고, 주차된 차량이 충전되는 경우 충전량 또는 충전시간에 따른 요금을 관리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차량을 충전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충전 주입구에 결합된 후 차량에 전력을 전달하여 차량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촬영된 번호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메인 시스템(100)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충전포트를 통해 차량을 충전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일 수 있다. 단말기(300)는 충전모듈(200)에 의해 충전되는 차량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충전모듈(200)에 의해 충전되는 차량의 사용자는 다수일 수 있다.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과 충전모듈(200)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충전여부를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사용자 차량의 충전여부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과 충전모듈(20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과 충전모듈(200)은 케이블을 이용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은 충전모듈(200)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통신신호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가 통신신호인 경우 메인 시스템(100)과 충전모듈(200)은 케이블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충전 대상 차량의 차량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충전량에 대응되는 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충전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이 충전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정보를 충전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고, 충전모듈(200)은 이에 기초하여 충전 가능 상태로 될 수 있다.
전기적 신호가 전압인 경우 메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충전모듈(200)로 전달되고, 충전모듈(200)에 의해 전기차가 충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은 전력 케이블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시스템(100)과 충전모듈(200)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인식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단말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단말기(300)는 복수일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에 인식한 차량번호의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충전여부 응답 메시지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시스템(100)은 시스템 저장부(110), 통신부(13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전기자 충전 시스템(1)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메인 시스템(110)이 송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200)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차량의 주차/충전요금 계산 및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등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차량번호, 차종, 전화번호,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하나의 등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로서 복수의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등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메인 시스템(100)이 인식한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주차장에 설치된 각각의 충전모듈(200) 인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차량을 충전한 충전모듈(200) 인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차량의 주차 및 충전요금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차량의 단위 주차/충전시간 또는 단위 충전량에 대한 요금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차량을 충전한 충전모듈(200)이 전송한 충전시간, 충전량 또는 충전요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메인 시스템(100)과 충전모듈(200) 또는 단말기(300)가 연결되도록 한다. 통신부는 메인 시스템(100)이 충전모듈(200) 또는 단말기(300)와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한다. 통신부(13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인 시스템(100)의 개별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시스템 저장부(110) 및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충전모듈(200)로부터 통신부(130)를 통해 전달받은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충전모듈(200)로부터 통신부(130)를 통해 전달받은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충전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충전모듈(200)에 의해 충전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충전모듈 인식부(151), 차량번호 인식부(153) 및 요금 정산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모듈 인식부(151)는 충전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 중전 시스템(1)의 다수의 충전모듈(200) 중 어느 충전모듈(200)에서 충전 예비 동작이 수행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모듈 인식부(151)는 시스템 주차장에 설치된 각각의 충전모듈(200) 인식 데이터와 차량을 충전한 충전모듈(200) 인식 데이터를 비교해 어느 충전모듈(200)에서 충전 예비 동작이 수행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을 인식하는 데이터는 주차장에서의 충전모듈(200) 위치정보일 수 있다. 충전모듈(200)을 인식하는 데이터는 각각의 충전모듈(200) 고유의 식별번호일 수 있다.
차량번호 인식부(153)는 충전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번호 인식부(153)는 충전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는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 영상 또는 차량번호일 수 있다. 차량번호 인식부(153)는 인식한 차량번호가 시스템 저장부(110)에 저장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차량번호 인식부(153)는 인식한 차량번호가 시스템 저장부(110)에 저장된 차량번호인 경우 충전모듈(10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155)는 인식된 충전모듈(200)이 차량을 충전한 정보를 수신해 충전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요금정산부(155)는 계산한 충전요금을 통신부(130)를 통해 충전된 차량의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금 정산부(155)는 충 차량의 단위 주차/충전시간 또는 단위 충전량에 대한 요금정보와 차량을 충전한 충전모듈(200)이 전송한 주차/충전시간, 충전량 또는 충전요금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 주차/충전요금을 계산 및 부과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155)는 차량이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때에 출차한 차량의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에 주차/충전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충전모듈(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모듈(200)은 카메라(210), 충전포트(230), 충전모듈 저장부(250), 통신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카메라(210)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메인 시스템(100)의 메시지를 기초로 충전포트(23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활성화된 충전포트(230)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차량의 충전결과에 관한 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일 수 있다.
케이블은 충전모듈(200) 및 메인 시스템(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의 일측은 충전모듈(200)과 연결되고 타측은 충전모듈(200)이 아닌 다른 구성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의 타측은 메인 시스템(100), 차량 충전용 키오스크 또는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통신신호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의 타측이 차량 충전용 키오스크에 연결되는 경우 차량 충전용 키오스크는 메인 시스템(100) 및 전원공급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충전용 키오스크는 메인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케이블은 하나의 배선으로 구성되어 전력공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케이블은 번들형으로 구성되어 전력공급 신호 및 통신 신호를 각각 송수신할 수 있다.
버튼은 충전모듈(200)과 충전모듈(200)이 고정되어 있는 외부구조가 접촉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은 충전모듈(200)의 손잡이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일반카메라 또는 웹캠일 수 있다. 카메라(210)는 시야각의 중심과 충전포트(230)의 방향이 나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차량의 번호판을 비추기 위해 충전모듈(200)에 고정된 상태로 충전모듈(200)과 함께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충전모듈(200)에 일측이 고정된 케이블에 의해 이동반경 및 이동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반경 및 이동각도는 카메라(210)가 고정된 충전모듈(200)에 의해 충전될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기에 적당한 이동반경 및 적당한 이동각도일 수 있다. 또한 이동반경 및 이동각도는 카메라(210)가 고정된 충전모듈(200)에 의해 충전될 차량이 아닌 타 차량 번호판의 촬영을 제한하기에 적당한 이동반경 및 적당한 이동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모듈(200)에 할당된 주차 구역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 충전모듈(200)의 이동반경은 할당된 주차구역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충전모듈(200)이 할당된 주차구역 이외의 공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케이블의 길이와 고정부가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충전을 하고자 하는 전기차 이외의 차량의 번호판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메라(210)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210)의 활성화는 카메라가 영상 촬영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촬영 및 저장이 모두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 촬영 및 저장이 모두 가능한 상태인 경우, 카메라(210)가 활성화된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영상이 촬영 및 저장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이 사용자에 의해 충전모듈(200)이 고정된 외부구조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충전모듈(200)이 포함하는 카메라(2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모듈(200)의 일측이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모듈(200) 및 케이블의 일측을 당겨지는 경우, 카메라(2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 때, 충전모듈(200)은 주차장의 천장에 고정된 구조일 수 있다.
카메라(210) 및 버튼을 포함하는 충전모듈(200)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모듈(200)을 이동되면서 충전모듈(200)의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가 변하는 경우 카메라(2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 때, 외부구조는 충전모듈(200)의 고정장치 또는 사용자일 수 있다.
버튼은 물리버튼 또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모듈(200)과 외부구조가 접촉한 영역에 버튼이 구비되어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모듈(200)을 이동되면서 충전모듈(200)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물리버튼이 해제되는 경우 카메라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모듈(200)이 이동되면서 충전모듈(200)에 의해 가려져 있던 센서 버튼이 충전모듈(200)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2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활성화가 카메라(210)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 충전모듈(200)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영상/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로써 충전모듈(200)에는 충전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만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충전모듈(200)의 손잡이에 버튼이 구비된 경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여부에 따라 카메라(2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터치된 경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첫 번째 터치되면 카메라(210)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두 번째 터치도었을 때 카메라(210)가 영상을 저장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로써 충전모듈(200)에는 충전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만이 저장될 수 있다.
충전포트(23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주입구와 결합되는 플러그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포트(230)는 급속 또는 완속충전을 위한 충전포트(230)일 수 있다. 충전포트(230)는 건(gun)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포트(230)는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충전포트(230)는 충전모듈(200)이 메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충전포트(230)는 활성화되기 이전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충전포트(230)는 활성화된 이후이더라도 차량의 충전 주입구에 접촉한 경우에만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충전포트가 차량의 충전 주입구에서 분리된 경우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충전포트가 차량의 충전 주입구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다시 메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충전모듈(200)이 수신한 메시지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충전모듈 저장부(250)는 충전모듈(200)이 포함하는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한다. 충전모듈 저장부(250)는 메인 시스템(100)이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모듈(200)을 인식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충전모듈 저장부(250)는 각각의 충전모듈(200)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고유 식별번호, 주차장 맵(map)상의 위치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충전모듈(200)이 메인 시스템(100) 또는 단말기(300)와 연결되도록 한다. 통신부(270)는 충전모듈(200)이 메인 시스템(100) 또는 단말기(300)와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한다. 통신부(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충전모듈(200)과 일측이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메인 시스템(100) 또는 단말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충전모듈(200)의 개별구성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 제어부(290)는 충전모듈 저장부(250), 카메라(210), 충전포트(230), 통신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충전모듈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처리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이 영상/이미지 저장버튼을 포함하는 경우, 카메라(210)는 충전 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비추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충전 대상이 아닌 타 차량의 번호판을 비출 수 있다. 이 때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충전모듈 저장부(250)에 모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90)는 충전모듈 저장부(250)에 저장된 복수의 차량 번호판을 포함하는 영상/이미지를 불러와 충전대상인 차량 번호판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이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의 저장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210)가 충전 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비추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충전 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충전 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의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90)는 충전모듈 저장부(250)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충전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차량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이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의 저장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210)는 저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충전 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충전 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의 이미지를 충전모듈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90)는 충전모듈 저장부(250)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충전포트(23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메인 시스템(100)이 전송한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충전포트(2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충전포트(230)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포트(230)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충전포트(230)가 차량의 충전 주입구에서 분리된 경우 충전포트(230)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300)는 제어부(310), 디스플레이(330), 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33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메인 시스템(100)이 전송한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330)에 차량의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거절 또는 확인/취소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충전여부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통신부(350)가 메인 시스템(100)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일정시간 내에 충전을 승인하는 응답이 입력된 경우, 메인 시스템(100)으로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충전모듈(200)에 충전모듈(200)이 활성화 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메인 시스템(100), 충전모듈(200), 충전차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메인 시스템(100)이 전송한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메인 시스템(100)이 전송한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팝업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사용자에 의해 충전여부를 승인하는 응답이 입력된 경우, 충전차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배터리량, 충전시간,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사용자에 으해 충전여부를 거절하는 응답이 입력된 경우, 충전모듈(200) 및 충전차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인식한 충전모듈(200)의 위치에 관한 정보, 차량의 위치에 관한 정보, 차량번호가 인식된 시간 및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인식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사용자는 소유 차량이 타인에 의해 사용중인 경우에도 차량위치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 과금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시간, 충전량 및 요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단말기(300)와 메인 시스템(100) 또는 충전모듈(200)을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단말기(300)가 메인 시스템(100) 또는 충전모듈(200)과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확인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메인 시스템(100), 충전모듈(2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카메라 활성화(S101), 차량 번호판 촬영(S103), 데이터(S105) 전송,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 인식(S107), 등록 차량번호 확인(S109), 메시지(S111) 전송, 메시지 출력(S113), 사용자 확인(S115), 승인/거절 메시지(S117), 메시지 확인(S119), 메시지(S121) 전송, 충전포트 활성화(S123), 충전완료(S125), 충전정보(S127) 전송 및 충전요금 부과(S129)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의 카메라(210)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S101). 충전모듈의 카메라(21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의해 영상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충전모듈의 카메라(21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의해 영상촬영 및 저장이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충전모듈의 카메라(210)는 충전 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다. (S103)
충전모듈의 카메라(210)는 촬영되는 모든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촬영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충전모듈(200)은 촬영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5).
충전모듈(200)은 통신부(220)를 통해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충전모듈(200)의 인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전체 촬영영상, 촬영이미지, 촬영이미지의 일부 영역 또는 차량번호 정보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전체 촬영영상/이미지, 촬영이미지, 촬영이미지의 일부 영역 또는 차량번호정보인 경우를 나누어서 설명한다.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전체 촬영영상 /이미지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충전모듈(200)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충전모듈(200)은 획득한 영상/이미지를 모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모듈(200)이 포함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충전모듈(200)은 획득한 영상/이미지를 모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저장된 모든 영상/이미지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5). 충전모듈(200)은 영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지난 때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모듈(200)은 일정시간동안 단위시간마다 일정개수의 이미지 또는 일정 시간구간의 영상을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영상/이미지를 획득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지난 때에 저장된 전체 영상/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이 사용자에 의해 충전대상인 차량번호판을 비추는 과정에서 획득한 영상/이미지에는 충전대상이 아닌 타 차량의 번호판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이미지로부터 충전대상인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S107).
메인 시스템(100)은 영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촬영된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마지막에 촬영된 번호판 이미지가 충전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일 확률이 높으며, 가장 마지막에 촬영된 번호판 이미지를 충전대상인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로 추출함으로써 충전 대상 차량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영상으로부터 가장 큰 차량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에 할당된 주차 구역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 충전모듈(20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차량이 충전대상인 차량일 확률이 높으며, 가장 크게 촬영된 번호판 이미지를 충전대상인 번호판 이미지로 추출함으로써 충전 대상 차량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촬영이미지, 촬영이미지의 일부 영역 및 차량번호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충전모듈(200)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모듈(200)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 및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차량번호인 경우에는, 충전모듈(200)이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 및 차량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모듈은 추출한 차량번호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5).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차량번호인 경우로서, 충전모듈(200)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충전모듈은 저장된 전체 영상/이미지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이 전체 영상/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전술한 바 생략하도록 한다.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촬영이미지 또는 촬영이미지의 일부 영역인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S107).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모듈(200)로부터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촬영이미지, 촬영이미지의 일부 영역 및 차량번호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의해 충전대상인 차량의 번호판이 지향되는 시점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이미지가 저장되므로 충전대상인 차량번호에 대한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전체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작아 데이터 전송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충전모듈(200)이 메인 시스템(100)으로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충전모듈(200)은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인 차량번호판을 포함하는 이미지/영상 전체, 차량번호판 이미지 또는 차량번호 중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충전모듈(200)과 메인 시스템(100)중 하나가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고, 충전모듈(200) 과 메인 시스템(100)이 모두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충전모듈(200)과 메인 시스템(100)은 동일한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중으로 차량번호를 인식함으로써, 차량번호가 오인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210)가 활성화된 후 일정시간 내에 데이터가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S105).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이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카메라(210)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시 카메라(2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충전모듈(200)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 때에 데이터가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S105).
충전모듈(200)은 차량 번호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획득한 때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5).
충전모듈(200)은 차량 번호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충전모듈(200) 인식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S105). 메인 시스템(100)은 수신한 데이터(S105)를 기초로 하여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을 인식할 수 있다(S107).
메인 시스템(100)은 인식된 차량번호가 시스템 저장부(110)에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S109).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번호인 경우 시스템 저장부(110)로부터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획득한 단말기(300)의 정보를 이용해, 해당 단말기(300)에 전기차의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1). 이 때, 메인 시스템(100)은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데에 기초가 된 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시스템(100)은 차량번호 인식의 기초가 된 차량번호 이미지를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번호 인식의 기초가 된 차량번호 이미지 데이터 외에 상기 이미지가 획득된 시간, 충전모듈의 위치 등이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충전여부를 결정하는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300)에 출력된 차량번호 이미지,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충전모듈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S113). 단말기(300)에 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시간 동안 단말기(300)에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될 수 있다(S115).
단말기(300)에 일정시간 내에 사용자에 의해 충전을 승인 또는 거절하는 응답이 입력된 경우, 단말기(300)는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획득한 때에 승인 또는 거절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7).
일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충전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300)는 일정시간이 지난 때 거절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7).
메인 시스템(100)이 획득한 단말기(300)의 정보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300)는 주 단말기와 부 단말기로 설정될 수 있다.
주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충전을 승인하는 입력을 획득한 경우, 주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으로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117).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충전모듈(200)에 충전모듈(200)이 활성화 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주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주 단말기(300)가 입력을 획득하지 못하였거나 충전을 거절하는 입력을 획득한 경우, 주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으로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117).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부 단말기로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는 주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메인 시스템(100)이 주 단말기(300)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주 단말기(300)에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때 부 단말기(300)로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 때, 부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충전을 승인하는 입력을 획득한 경우, 부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으로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117).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충전모듈(200)에 충전모듈(200)이 활성화 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부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응답을 획득하지 못하였거나 충전을 거절하는 입력을 획득한 경우,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으로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117).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또는 부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시간 내에 메인 시스템(100)이 부 단말기(300)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부 단말기(300)에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때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300)에 대하여 주 단말기(300)와 부 단말기(300)가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 내에서 가장 빠른 시점에 충전을 승인하는 입력을 획득한 한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으로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117).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충전모듈(200)의 활성화를 명령하도록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 내에 모든 복수의 단말기(300)에 대하여 충전을 거절하는 입력을 획득하거나 입력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으로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117).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 내에 모든 복수의 단말기(300)에 대하여 충전을 거절하는 입력을 획득하거나 입력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말기(300)에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때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가 전송한 메시지로부터 단말기(300) 사용자의 충전여부에 대한 승인 및 거절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S119).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가 전송한 메시지로가 충전을 거절하는 메시지임을 확인한 경우, 충전에 관한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가 전송한 메시지가 충전을 승인하는 메시지임을 확인한 경우, 충전모듈 인식 단계(S107)에서 인식한 충전모듈(200)에 충전포트(230)의 활성화를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121)
충전모듈(200)은 메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충전포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S123).
활성화된 충전포트(230)가 충전 주입구에서 분리된 때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S125).
활성화된 충전포트(230)에 의해 차량이 완전 충전된 때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된 때, 충전포트(230)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활성화된 충전포트(230)가 충전 주입구와 결합한 때부터 충전이 완료된 때까지의 시간구간을 기초로 하는 충전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수신한 충전정보를 기초로 충전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S129).
메인 시스템(100)은 계산된 충전요금을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부과하기 위해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300)에 대하여 주 단말기(300)와 부 단말기(300)가 설정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항상 주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충전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시스템(100)으로 충전을 승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충전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300)에 대하여 주 단말기(300)와 부 단말기(300)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충전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시스템(100)은, 메인 시스템(100)이 복수의 단말기(300)에 대하여 충전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내에 가장 빠른 시점에 충전을 승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충전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시스템(100)은 수신한 충전정보를 기초로 계산된 충전요금을, 충전 대상인 차량이 주차장에서 출차할 때 과금할 수도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 대상인 차량에 충전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과금에 관한 정보를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에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300)는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SMS)를 통해, 충전요금 과금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3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요금 과금에 관한 정보는 요금, 결제 수단, 결제 시간, 충전모듈(200)의 위치 및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충전요금 과금에 관한 정보를 모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충전요금 과금에 정보와 대응되는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차량번호판 이미지는 메인 시스템(100)이 전송한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단말기(300)는 사용자에게 충전요금 과금에 관한 정보 및 충전모듈(2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재된 단말기(300)의 기능은 이하, 제2 내지 제4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QR코드 인식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되고, 충전모듈(200)의 카메라에 의해 QR코드가 촬영되면, 충전모듈(200)이 메인 시스템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흐름도의 각각의 구성들은 위의 절차 이외에는 제1 실시 예와 공통된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은 메인 시스템(100), 충전모듈(2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가 QR코드를 출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단말기(300)는 상기 메시지를 받아 표시화면 상에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QR코드를 촬영하여 QR코드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시스템 저장부(110), 통신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단말기(300)에 전송되는 QR코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시스템 저장부(110)는 충전모듈(200)이 카메라(210)를 통해 획득한 QR코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카메라(210), 충전포트(230), 충전모듈 저장부(250), 통신부(270),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에 출력된 QR코드는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카메라(210)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카메라(210)를 통해 인식된 QR코드에 관한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제어부(310), 디스플레이(330), 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메인 시스템(100)이 전송한 메시지에 따라 디스플레이(330)가 QR코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QR코드 인식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카메라 활성화(S101), 차량 번호판 촬영(S103), 데이터(S105) 전송,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 인식(S107), 등록 차량번호 확인(S109), 메시지(S111) 전송, QR코드 출력(S131), QR코드 촬영(S115), QR코드 데이터(S135) 전송, QR코드 확인(S137), 메시지(S121) 전송, 충전포트 활성화(S123), 충전완료(S125), 충전정보(S127) 전송 및 충전요금 부과(S129)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QR코드 인식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서 카메라 활성화(S101), 차량 번호판 촬영(S103), 데이터(S105) 전송,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 인식(S107) 및 등록 차량번호 확인(S109) 단계는 메시지 확인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과 동일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대상인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S109).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대상인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번호인 경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단말기(300)에 QR코드를 출력하게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1).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단말기(300)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이하 등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단말기(300)가 하나인 경우와 복수인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등록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가 하나인 경우,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이 전송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330)에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S131).
단말기(300)는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팝업창을 통해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팝업창을 통해 출력된 QR코드는 일정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단말기(300)의 SMS(Short Message Service)기능을 통해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SMS기능을 통해 출력된 QR코드는 일정시간 동안 유효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QR코드 인식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메시지 확인결과를 기초로 하는 충전시스템과 달리 소유한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충전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충전모듈(200)의 카메라(210)는 단말기(300)에 출력된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S133).
충전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300)에 출력된 QR코드 데이터를 획득한 때, QR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5).
메인 시스템(100)이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로부터 QR코드 인식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메인 시스템(100)은 일정횟수에 한해 단말기(300)에 새로운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에 새로운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상기 일정횟수만큼 전송한 후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로부터 QR코드 인식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이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로부터 QR코드 인식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등록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단말기(300)는 주 단말기(300)와 부 단말기(300)로 설정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주 단말기(300)에 우선하여 QR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1). 주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330)에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S131).
주 단말기(300)에 출력된 QR코드가 주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에 의해 인식된 경우(S133), 충전모듈(200)은 QR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5).
메인 시스템(100)이 주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로부터 QR코드 인식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부 단말기(300)에 새로운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부 단말기(300)에 출력된 QR코드가 부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에 의해 인식된 경우(S133), 충전모듈(200)은 QR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5).
메인 시스템(100)이 부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로부터 QR코드 인식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등록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가 복수인 경우, 주 단말기(300)와 부 단말기(300)가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단말기(300)는 메인 시스템(100)이 각각 전송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330)에 서로 다른 QR코드가 출력될 수 있다(S131).
복수의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가장 빠른 시점에 인식된 QR코드에 대하여(S133), 충전모듈(200)은 QR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5).
메인 시스템(100)이 복수의 단말기(300)에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때부터 일정시간 내에 충전모듈(200)로부터 QR코드 인식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이에 응답하여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에 전송한 QR코드 데이터와 충전모듈(200)로부터 수신한 QR코드 데이터를 비교해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37).
메인 시스템(100)은 단말기(300)에 전송한 QR코드 데이터와 충전모듈(200)로부터 수신한 QR코드 데이터를 비교해 일치하는 경우, 충전모듈 인식 단계(S107)에서 인식한 충전모듈(200)에 충전포트(230)의 활성화를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블루투스를 통한 사용자 인식결과를 기초로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을 따르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기재된 충전모듈(200)에서의 카메라 활성화 단계(S101), 차량번호판 촬영 단계(S103),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단계(S105), 및 메인 시스템에서의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 인식단계(S107), 등록 차량번호 확인 단계(S109), 충전 완료 단계(S125), 충전정보 전송 단계(S127) 및 충전요금 부과(S129) 단계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3 실시 예에서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시스템(100)은 인식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단말기(300)를 인식한 충전모듈(200)과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해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300)에 출력될 수 있고 또한 메시지(SMS)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단말기(300)와 충전모듈(200)이 블루투스를 이용해 연결된 경우, 단말기(300)는 단말기(300)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충전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충전모듈(200)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메인 시스템(100)은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등록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등록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충전모듈(200)에 충전포트(230)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스템(100)은 등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충전모듈(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충전모듈(200)은 메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충전모듈(200)은 메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290)를 통해 충전포트(2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내지 3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에서, 메인 시스템(100)이 획득한 차량번호 데이터와 대응되는 단말기(300)와 통신이 불가능한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을 따르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기재된 충전모듈(200)에서의 카메라 활성화 단계(S101), 차량번호판 촬영 단계(S103),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단계(S105), 및 메인 시스템에서의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 인식단계(S107), 등록 차량번호 확인 단계(S109)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4 실시 예에서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차량번호 및 충전모듈(200)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시스템(100)은 인식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단말기(300)와 통신이 불가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또는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에 메인시스템(100)은 단말기(300)와 통신이 불가능 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이 포함하는 장치 또는 결제를 위한 외부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요금 정산을 위한 결제수단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시스템(100)이 획득한 단말기(300)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 카드의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 또는 카드를 태그 또는 스와이프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된 결제를 위한 정보는 충전모듈(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충전모듈(200)은 결제를 위한 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된 결제를 위한 정보는 메인 시스템(100)의 시스템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결제를 위한 정보가 메인 시스템(100)에 저장된 경우,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에 상기 충전모듈(200)이 포함하는 충전포트(230)의 활성화를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를 위한 정보가 충전모듈(200)에 저장된 경우, 충전모듈(200)의 제어부(290)는 충전포트(23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결제를 위한 정보가 메인 시스템(100)에 저장된 경우, 충전모듈(200)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때, 충전모듈(200)은 충전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로부터 수신한 충전정보 및 시스템 저장부(110)에 저장된 결제를 위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또한, 결제를 위한 정보가 충전모듈(200)에 저장된 경우, 충전모듈(200)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때, 충전모듈(200)은 메인 시스템(100)으로 충전정보 및 결제를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100)은 충전모듈(200)로부터 수신한 충전정보 및 결제를 위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충전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다.
1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00 메인 시스템
200 충전모듈
300 단말기

Claims (19)

  1.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충전모듈- 상기 충전모듈의 일측은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함-; 및
    상기 충전모듈의 충전포트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카메라에 의해 차량번호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 및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충전모듈 인식 데이터로부터 상기 충전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충전여부를 묻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포트를 활성화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의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충전모듈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의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충전모듈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획득한 제 3 메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을 승인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며,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을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지 않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메시지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QR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모듈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QR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메인 시스템이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모듈이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정보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정보는 충전시간 및 충전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충전요금을 과금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8. 충전모듈 및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충전모듈의 모듈인식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번호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충전모듈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 및 충전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함-;
    상기 차랑번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모듈인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모듈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충전여부를 묻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응되어 획득한 정보에 따라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충전포트의 활성화 여부 판단결과에 기초한 제 2 메시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메인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획득한 제 3 메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을 승인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며,
    상기 제 3 메시지가 충전에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되지 않는
    전기자동차 충전 메인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메시지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메인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QR코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QR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되는
    전기자동차 충전 메인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정보는 충전량, 충전시간 및 충전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충전요금을 과금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메인 시스템.

  13. 메인 시스템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번호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활성화되는 충전포트; 및
    상기 카메라, 통신부 및 충전포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일측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모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는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를 상기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가 출력한 QR코드가 촬영되고,
    상기 QR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된 후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프레임들 가운데 가장 큰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프레임은 상기 버튼에 대한 외부구조의 접촉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포트가 활성화된 이후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충전포트에 의한 충전정보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정보는 충전시간, 충전량 및 충전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모듈.

KR1020200056749A 2020-05-12 2020-05-12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246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749A KR102462823B1 (ko) 2020-05-12 2020-05-12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749A KR102462823B1 (ko) 2020-05-12 2020-05-12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433A true KR20210138433A (ko) 2021-11-19
KR102462823B1 KR102462823B1 (ko) 2022-11-04

Family

ID=7871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749A KR102462823B1 (ko) 2020-05-12 2020-05-12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2215A1 (en) * 2022-10-28 2024-05-02 Volta Charging, Ll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amera array
KR102665840B1 (ko) * 2023-07-12 2024-05-13 주식회사 엠스톤 영상 인식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1432A (ja) * 2015-01-13 2016-07-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合用電気自動車充電装置
JP2018072241A (ja) * 2016-11-01 2018-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20190100893A (ko) * 2019-08-08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11292A (ko) * 2018-07-24 2020-02-03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전기차를 위한 충전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1432A (ja) * 2015-01-13 2016-07-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合用電気自動車充電装置
JP2018072241A (ja) * 2016-11-01 2018-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20200011292A (ko) * 2018-07-24 2020-02-03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전기차를 위한 충전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90100893A (ko) * 2019-08-08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2215A1 (en) * 2022-10-28 2024-05-02 Volta Charging, Ll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amera array
KR102665840B1 (ko) * 2023-07-12 2024-05-13 주식회사 엠스톤 영상 인식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823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9726B (zh) 用于向电动车辆充电的充电系统及用于授权从充电站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
CN109801388B (zh) 收费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467762B (zh) 在车内使用驾驶者脸部识别管理进入和离开的系统和方法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EP3656603A1 (en) Charging station and system with vehicle presence sensor and authentication function
US20120143657A1 (en) Parking system and method
KR10246282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CN111885143A (zh) 一种车辆换电方法、装置、系统及设备
US11535115B2 (e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power to another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ystem
WO2018171273A1 (zh) 一种停车场管理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08335388B (zh) 车辆放行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5976439A (zh) 停车场计费方法和装置
CN212627964U (zh) 一种车辆换电装置、系统及换电站
CN109727390A (zh) 充电桩运行过程控制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517412A (zh) 乘梯云收费系统
JP5940331B2 (ja) 改札システム、自動改札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200088040A (ko)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KR102067251B1 (ko) 사이니지 광고 시청에 따른 주차요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0997A (ko) 아파트 단지 내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20190115534A (ko)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및 결제 시스템
KR102034040B1 (ko) 안면인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결제 시스템
WO2019062964A1 (zh) 电动汽车的充电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动汽车
CN110766859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公交乘车支付装置及方法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CN115983863A (zh) 一种城市智能客运的售检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