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724A -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724A
KR20210137724A KR1020200055942A KR20200055942A KR20210137724A KR 20210137724 A KR20210137724 A KR 20210137724A KR 1020200055942 A KR1020200055942 A KR 1020200055942A KR 20200055942 A KR20200055942 A KR 20200055942A KR 20210137724 A KR20210137724 A KR 2021013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xtension
air
housing
bla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이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기 filed Critical 이택기
Priority to KR102020005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724A/ko
Publication of KR2021013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01F15/063
    • B01F15/065
    • B01F15/0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1Heating or cooling systems using gas or liquid injected into the material, e.g. using liquefied carbon dioxide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B01F7/041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01F2015/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리 장치 내부에 고온 건조의 공기를 원활히 공급하여 동물의 폐사체를 분쇄, 발효 분해할 뿐 아니라 완전히 건조시킴으로써 악취의 발생없이 동물의 폐사체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APPARAUS FOR PROCESSING DEAD ANIMAL BODIES}
본 발명은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리 장치 내부에 고온 건조의 공기를 원활히 공급하여 동물의 폐사체를 분쇄, 발효 분해할 뿐 아니라 완전히 건조시킴으로써 악취의 발생없이 동물의 폐사체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 농가에서 각종 동물의 전염병을 막기 위하여 예방접종을 시행하거나 축사의 환경을 개선하고 있으나, 해마다 가축의 동물에서 전염병이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전염성 병균에 노출된 동물 또는 전염병에 전염된 동물 및 질병이나 전염병으로 폐사된 동물을 폐처분하기 위하여 매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전염성 병균에 노출된 동물 또는 전염병에 전염된 동물 및 질병이나 전염병으로 폐사한 동물을 매립하면서 발생 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환경오염 문제, 전염병의 재발 우려, 인근 지역의 지하수 오염, 사람으로의 감염에 따른 주민의 불안감이 발생 되고 있으며, 전염되거나 폐사된 동물을 이동하여 동물 화장장에서 화장하는 방법은 전염병이 확산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허 제10-1733601호에 직사각형의 박스체로 구성되는 본체 상에 발효조를 장착하며 효조의 하부에는 전열히터 가열장치가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설치되며, 본체 내부의 상부 일측면에는 열풍을 공급하는 급기팬과 증발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기구가 설치되고, 발효조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이 설치된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는 급기팬에 의해서만 열풍이 공급되므로 부피가 큰 본체에 열풍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본체의 특정 부분(급기팬이 설치되는 부분)에서만 열풍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동물 폐사체의 수분을 골고루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멸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동물 사체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733601호(2017.04.28)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동물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리 장치 내부에 고온 건조의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여 동물의 폐사체를 분쇄, 발효 분해할 뿐 아니라 완전히 건조시킴으로써 악취의 발생없이 동물의 폐사체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며, 동물의 폐사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투입되는 동물의 폐사체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모듈; 상기 케이스 외주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열매체의 가열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가열하는 가열 자켓;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교반 모듈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 축;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각도를 달리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각도를 달리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3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4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4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4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연장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5 연장부; 및 상기 제5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5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5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6 연장부; 및 상기 제6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6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6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부와 상기 제4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블레이드부와 상기 제5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3 블레이드부와 상기 제6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자켓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제1 히터 및 열매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 시스템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탈취를 위한 탈취부; 상기 탈취부를 통해 탈취된 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부; 및 상기 응축부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로 유입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는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2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열 자켓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블로잉하는 에어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블로잉하는 에어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홀의 크기가 점차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리 장치 내부에 고온 건조의 공기를 원활히 공급하여 동물의 폐사체를 분쇄, 발효 분해할 뿐 아니라 완전히 건조시킴으로써 악취의 발생없이 동물의 폐사체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의 내부를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교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의 에어 블로워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의 내부를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는 케이스(110), 투입부(130), 교반 모듈(200), 가열 자켓(150) 및 에어 블로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대략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후술할 교반 모듈(200)이 구비되는 중공의 내부 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이때, 개구된 상면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120)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동물의 폐사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30)는 호퍼(hopper)일 수 있으며, 커버(120)에 구비되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입부(130)를 통해 동물의 폐사체를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투입할 수 있다.
교반 모듈(200)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에 구비되며, 회전함에 따라 투입부(130)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투입되는 동물의 폐사체를 교반할 수 있다. 이때, 교반 모듈(200)은 동물 폐사체의 교반 뿐 아니라, 투입되는 동물 폐사체를 가압하여 파쇄할 수도 있다.
가열 자켓(150)은 케이스(110) 외주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열매체의 가열에 의해 케이스(110)를 가열할 수 있다. 열매체는 케이스(110) 내부 공간(111)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로서, 후술할 제1 히터(151)를 통해 가열되어 동물의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을 고온으로 유지한다.
에어 블로워(300)는 케이스(110) 내부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며, 동물의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고온 건조의 공기를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에 공급한다.
동물의 폐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은 온도와 습도에 따라 분비물이나 혈액, 폐사체에 의한 유기물의 공급이 적정한 상태가 되어 부패하기 시작하므로 세균, 바이러스 등 각종 미생물이 증식되기 시작하여 악취의 발생과 위생을 저해하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폐사체가 처리되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을 고온, 건조한 대기 환경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본 발명의 경우 에어 블로워(300)를 구비하여, 폐사체의 처리 과정에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을 고온, 건조한 대기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투입부(130)를 통해 동물 폐사체를 투입한 후 처리 장치를 작동시키면 교반 모듈(200)이 회전하면서 동물의 폐사체를 교반/ 파쇄하며, 가열 자켓(150)이 케이스(110)를 가열하고, 에어 블로워(300)가 고온, 건조의 공기를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에 공급하여 폐사체 처리 과정 중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낮은 습도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없이 동물의 폐사체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교반 모듈(200)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교반 모듈(200)은 교반 축(210), 제1 교반기(220), 제2 교반기(230), 제3 교반기(240), 제4 교반기(250), 제5 교반기(260) 및 제6 교반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모듈(200)은 케이스(11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교반 모듈(200)의 구비 개수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의 크기, 폐사체 처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독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교반 축(210)은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111)에 구비되며, 액츄에이터(17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제1 교반기(220)는 제1 연장부(221) 및 제1 블레이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21)는 교반 축(210)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1 연장부(221) 각각에는 제1 블레이드부(223)가 일정한 면적을 갖으며 돌출 형성된다.
제1 블레이드부(223)는 케이스(110)의 내측벽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제1 블레이드부(223)는 교반 축(210)의 회전에 의해 제1 연장부(221)가 회전함에 따라 동물의 폐사체를 교반하며, 제1 블레이드부(223)가 동물 폐사체를 케이스(110)의 내측벽으로 가압하여 동물 폐사체를 파쇄할 수 있다.
제2 교반기(230)는 제2 연장부(231) 및 제2 블레이드부(233)를 포함하며, 제2 연장부(231)는 제1 연장부(221)와 각도를 달리하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3 교반기(240)는 제3 연장부(241) 및 제3 블레이드부(243)를 포함하며, 제3 연장부(241)는 제1 연장부(221) 및 제2 연장부(231)와 각도를 달리하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4 교반기(250)는 제4 연장부(251) 및 제4 블레이드부(253)를 포함하며, 제4 연장부(251)는 제1 연장부(221)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5 교반기(260)는 제5 연장부(261) 및 제5 블레이드부(263)를 포함하며, 제5 연장부(261)는 제2 연장부(231)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6 교반기(270)는 제6 연장부(271) 및 제6 블레이드부(273)를 포함하며, 제6 연장부(271)는 제3 연장부(241)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6의 연장부 및 제2 내지 제6의 블레이드부는 앞선 제1 연장부(221) 및 제1 블레?瀕佯恝?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기를 복수로 구비함으로써 동물 폐사체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의 교반 모듈(200)은 제1 연결부(281), 제2 연결부(283) 및 제3 연결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81), 제2 연결부(283) 및 제3 연결부(285)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281)는는 제1 블레이드부(223)와 제4 블레이드부(253)를 연결하고, 제2 연결부(283)는 제2 블레이드부(233)와 제5 블레이드부(263)를 연결하고, 제3 연결부(285)는 제3 블레이드부(243)와 제6 블레이드부(273)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교반기(220) 내지 제6 교반기(270)의 설치 간격에 의해 교반기 사이에 공백 구간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를 통해 각 교반기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케이스(110) 내부에서 공백 구간 없이 동물 폐사체를 교반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가열 자켓(150)은 케이스(11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제1 히터(151) 및 온도 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자켓(150)은 내부에 열매체를 수용하며 열매체의 가열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매체의 가열을 위해 가열 자켓(150)의 내부에는 제1 히터(1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151)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전열선이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히터(151)의 작동에 의해 열매체의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며, 열매체의 가열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가열 자켓(150)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15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에어 블로워(300)는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자켓(15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에어 블로워(3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열 자켓(1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310)에는 에어 홀(330)이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에어 홀(330)은 케이스(110)의 내측벽을 관통하도록 하우징(31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310)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 건조 공기를 하우징(310) 내부로 블로잉한다.
하우징(310)에 형성되는 에어 홀(330)을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공급되는 고온 건조의 공기는 내부 공간(111)의 대기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처리 장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에어 블로워(300)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310)에 형성되는 에어 홀(330)이 처리 과정에서 분쇄된 동물 폐사체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 블로워(300)를 내부 공간(111)의 상부에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의 에어 블로워(30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6을 참고하면, 하우징(310)에 형성되는 에어 홀(330)은 하우징(3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홀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온 건조 공기는 하우징(310)의 일단부에서 공급되어 하우징(3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기압이 낮아지므로, 하우징(310)의 타단부로 갈수록 에어 홀(330)의 크기를 점차 크게함으로써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블로잉되는 공기 공급량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 시스템(400)은, 배출부(410), 탈취부(430), 응축부(450), 공급부(470), 배수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부(410)는 케이스(11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410)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폐사체에서 배출되는 악취 및 습기를 함유하는 공기를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부(41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순환 라인(440)을 통해 탈취부(430)로 유입되며, 탈취부(430)로 유입되는 공기는 탈취제나 각종 필터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다.
탈취부(430)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순환 라인(440)을 통해 응축기로 유입되며, 탈취된 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응축부(450)에서 발생된 수분은 배수 라인(460) 및 배수부(480)를 통해 처리 장치 외부로 배출되며,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순환 라인(440) 및 공급부(470)를 통해 다시 케이스(110)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사이클을 통해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오폐수가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응축부(450)와 공급부(470) 사이에는 제2 히터(49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히터(490)는 응축부(450)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공급부(470)로 유입되기 전 순환 라인(44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히터(490)는 공기를 가열하며, 제2 히터(490)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공급부(47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 공간(111)으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급부(470)를 통해 고온 건조의 공기를 케이스(110) 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급부(470)에 의해 케이스(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제한적일 뿐 아니라, 공급부(470)의 설치 위치에 의해 고온 건조 공기의 공급 효과가 한정적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는 별도의 에어 블로워(300)를 통해 고온 건조의 공기를 골고루 충분하게 공급하여 악취의 발생없이 동물의 폐사체를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케이스 111: 내부 공간
120: 커버 130: 투입부
200: 교반 모듈 150: 가열 자켓
151: 제1 히터 153: 온도 센서
170: 액츄에이터 210: 교반 축
220: 제1 교반기 221: 제1 연장부
223: 제1 블레이드부 230: 제2 교반기
231: 제2 연장부 233: 제2 블레이드부
240: 제3 교반기 241: 제3 연장부
243: 제3 블레이드부 250: 제4 교반기
251: 제4 연장부 253: 제4 블레이드부
260: 제5 교반기 261: 제5 연장부
263: 제5 블레이드부 270: 제6 교반기
271: 제6 연장부 273: 제6 블레이드부
281: 제1 연결부 283: 제2 연결부
285: 제3 연결부 300: 에어 블로워
310: 하우징 330: 에어 홀
400: 순환 시스템 410: 배출부
430: 탈취부 440: 순환 라인
450: 응축부 460: 배수 라인
470: 공급부 480: 배수부
490: 제2 히터

Claims (9)

  1.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며, 동물의 폐사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투입되는 동물의 폐사체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모듈;
    상기 케이스 외주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열매체의 가열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가열하는 가열 자켓;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모듈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 축;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각도를 달리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각도를 달리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3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4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4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4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연장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5 연장부; 및 상기 제5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5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5 교반기;
    상기 교반 축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6 연장부; 및 상기 제6 연장부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6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제6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부와 상기 제4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블레이드부와 상기 제5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3 블레이드부와 상기 제6 블레이드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자켓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제1 히터 및 열매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 시스템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탈취를 위한 탈취부;
    상기 탈취부를 통해 탈취된 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부; 및
    상기 응축부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로 유입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는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2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열 자켓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블로잉하는 에어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워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블로잉하는 에어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홀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KR1020200055942A 2020-05-11 2020-05-11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KR20210137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42A KR20210137724A (ko) 2020-05-11 2020-05-11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42A KR20210137724A (ko) 2020-05-11 2020-05-11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24A true KR20210137724A (ko) 2021-11-18

Family

ID=7871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942A KR20210137724A (ko) 2020-05-11 2020-05-11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77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601B1 (ko) 2016-11-30 2017-05-08 이택기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601B1 (ko) 2016-11-30 2017-05-08 이택기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601B1 (ko)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2016005701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30112085A (ko) 가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3954864B2 (ja) 除湿発酵式有機廃棄物処理機
KR2013014185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2740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10137724A (ko)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KR101250766B1 (ko) 탈취기능을 갖는 동물 사체 처리기
KR2003006688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100523998B1 (ko)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JP3184899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機性廃棄物処理車
KR100458454B1 (ko) 유기물의 멸균 및 건조시스템
KR101962959B1 (ko) 가축 사체 진공 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체 진공포장 방법
KR101252490B1 (ko) 가축 부산물 처리장치
KR102561907B1 (ko)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281589B2 (ja) 腐敗性有機物の処理装置
KR102528793B1 (ko)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JP2017094237A (ja) 加水分解処理システム
KR10185040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0245300B1 (ko) 음식물분해기의 개스처리장치 및 방법
KR20060116598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