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559A -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559A
KR20210137559A KR1020217033501A KR20217033501A KR20210137559A KR 20210137559 A KR20210137559 A KR 20210137559A KR 1020217033501 A KR1020217033501 A KR 1020217033501A KR 20217033501 A KR20217033501 A KR 20217033501A KR 20210137559 A KR20210137559 A KR 20210137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insulating film
layer
glazing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앙카 베르그스
발터 슈레이버
마티아스 바흐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1013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06B3/6631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2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omprising an interruption of the heat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3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06B3/6635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with separate sealing strips between the panes and the spac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06B3/67321Covering spacer elements, e.g. with sea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3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 E06B2003/6633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2003/663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1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special structural provisions for holding drying agents, e.g. packed in special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들(3.1, 3.2), 글레이징 내부 표면(4), 및 베이스 표면(5)을 포함하는, 여기서 판유리 접촉 표면들(3.1, 3.2) 및 베이스 표면(5)은 직접 또는 연결 표면들(6.1, 6.2)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중합체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12, 14)을 갖고 중합체 본체(2) 위에 도포되는 단열 필름(10)을 포함하고, 여기서 단열 필름(10)은 베이스 표면(5) 및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들(3.1, 3.2)을 완전히 덮고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다중 판유리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1).

Description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본 발명은 단열 글레이징(Insulating Glazing)의 개선된 스페이서(spacer),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리의 열전도율은 콘크리트 또는 이와 유사한 건축 재료의 열전도율보다 대략 2 내지 3배 더 낮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판유리는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비교 가능한 요소보다 훨씬 더 얇게 설계되기 때문에 건물은 외부 글레이징(glazing)을 통해 열의 가장 큰 부분을 잃는 경우가 많다. 난방 및 공조 시스템에 필요한 증가된 비용은 과소 평가되어서는 안 되는 건물 유지 관리 비용의 일부를 구성한다. 더욱이, 보다 엄격한 건설 규제의 결과로 더 낮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요구된다.
단열 글레이징은 이에 대한 해결에 중요한 접근 방법이다. 따라서 단열 글레이징은 외부로 향하는 글레이징의 점점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단열 글레이징은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두 개의 판유리를 포함한다. 판유리는 스페이서에 의해 정의되는 가스 또는 진공 공간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단열 유리의 단열 능력은 단일 유리보다 훨씬 높으며 삼중 글레이징에서 또는 특수 코팅으로 더욱 증가되고 및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 함유 코팅은 적외선의 투과율을 감소시켜 여름에 건물의 가열을 감소시킨다. 단열의 중요한 특성 외에도 광학 및 미적 측면도 건물 글레이징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리의 특성 및 구조 외에도 단열 글레이징의 다른 구성 요소도 중요하다. 씰(seal) 및 특히 스페이서(spacer)는 단열 글레이징의 품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단열 글레이징의 단열 특성은 에지 씰(edge seal), 특히 스페이서 영역의 열전도율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통상적인 스페이서의 경우, 금속의 높은 열전도율로 인해 유리 에지에 열교(thermal bridge) 현상이 형성된다. 이 열교현상은 한편으로는 단열 글레이징의 에지 영역에서 열 손실을 일으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습도와 낮은 외부 온도에서 스페이서 영역의 내부 판유리에 결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스페이서를 만드는 열적으로 최적화된 소위 "웜 에지(warm-edge)"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플라스틱을 사용할 때 한 가지 문제는 스페이서를 적절하게 밀봉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스페이서 내부의 누출로 인해 단연 글레이징들 사이의 불활성 가스가 쉽게 손실될 수 있다. 단열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누출로 인해 단열 글레이징에 습기가 쉽게 침투할 수도 있다. 단열 글레이징의 판유리 사이에 수분에 의해 형성되는 결로는 광학 품질을 상당히 악화시키고 많은 경우 단열 글레이징 전체의 교체가 필요하게 한다.
DE 19602455 A1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프로파일(profile) 본체를 갖는 가스 충전 다중 판유리 단열 글레이징용 내부 스트립(strip)을 묘사하고, 단열 글레이징의 가스 충전재와 접촉하는 프로파일 본체의 표면은 진공에서 증착된 금속과 같은 재료에 의해 기밀 장벽층으로 코팅된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은 일반적으로 높은 고유 중량을 가지며 복잡한 공정 기술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현행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는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WO 2017157637 A1은 기밀 박막 코팅을 갖는 냉장고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스트립을 개시하고 있다.
밀봉을 개선하고 열전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능한 접근법은 스페이서에 단열 필름을 도포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필름 재료에는 기밀성이 좋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WO 2013/104507 A1은 중합체 본체 및 단열 필름을 갖는 스페이서를 개시하고 있다. 단연 필름은 중합체 필름 및 적어도 두 개의 금속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층을 갖는 교대로 배열된 세라믹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부 층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층이다. 금속층의 두께는 1 μm 미만이며 중합체 층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열 글레이징을 조립하는 중에 스페이서를 자동 처리하는 동안 금속층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WO 2017/74333 A1은 중합체 본체 및 단열 코팅 또는 단열 필름을 갖는 스페이서를 갖는 단열 글레이징 유닛(glazing unit)을 개시한다.
EP 0852280 A1은 다중 판유리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스페이서는 베이스(base) 표면에서 0.1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금속 호일(foil)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의 플라스틱에 유리 섬유 내용물을 갖는다. 외부 금속 호일은 단열 글레이징에서 추가 처리하는 동안 높은 기계적 응력을 받는다. 특히, 자동 생산 라인에서 스페이서를 추가로 가공할 경우 금속호일이 쉽게 손상되어 차단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단열 필름은 일반적으로 외부 씨일 영역의 스페이서, 즉 스페이서의 후면에 부착된다. 스페이서의 판유리 접촉 표면은 또한 씨일을 제공하는 실런트(sealant)에 의해 판유리에 결합된다. 그러나, 공지된 시스템의 경우, 실런트(예: 폴리이소부틸렌)와 연결된 단열 필름만이 가스 및 습기에 대한 확산 장벽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 글레이징에서 밀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 기술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제한된 재료 선택이다. 예를 들어, 기존 시스템에서는 스페이서의 글레이징 내부 표면이 단열 글레이징에서 계속 볼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재료도 계속 증가하는 광학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재활용 플라스틱은 이러한 광학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다. 스페이서는 또한 일반적으로 장기간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햇빛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대량 시장을 위해 가공 동안 개선된 공정 신뢰성을 갖는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목적은 또한 습기 및 가스 확산에 대한 웜 에지(warm edge) 스페이서의 견고성을 최적화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동시에 이러한 스페이서의 본체에 사용되는 재료의 선택도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개선된 장기 안정성이 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에 따른 스페이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이의 용도, 및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글레이징은 추가 독립항들에서 나온다.
본체 주위 단열 필름의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의 결과로서, 고객에 의한 처리에서 더 큰 공정 신뢰성이 특히 단열 필름이 스페이서 본체 주위로 완전히 안내될 때 달성된다. 이것은 습기와 가스 확산에 대한 웜 에지 스페이서의 기밀성(tightness)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것은 고객에게 그리고 스페이서의 서비스 수명에 매우 중요하다.
동시에, 스페이서 본체용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광학적 요구가 더 이상 없도록 스페이서의 광학적 특성들을 위한 단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본체에 보다 경제적인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스페이서는 원하는 대로 채색될 수 있는 필름의 외관을 가지고 있다. 단열 필름의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UV 작용에 대해 본체의 재료를 보호하고 UV 흡수제와 같은 첨가제의 가스 방출 위험을 감소시켜 장기간 안정성도 향상시킨다.
다중 판유리 단열 글레이징용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본체 및 하나의 단열 필름을 포함한다. 본체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 베이스 표면 및 글레이징 내부 표면으로 구성된다. 판유리 접촉 표면 및 베이스 표면은 직접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표면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연결 표면은 판유리 접촉 표면에 대해 30°내지 60°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을 갖는다. 단열 필름은 중합체 본체 상에 도포되며, 단열 필름은 베이스 표면 및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을 완전히 덮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내부 표면을 완전히 덮는다. 단열 필름이 기껏해야 판유리 접촉 표면의 일부를 덮는 선행 기술 스페이서의 경우, 다중 판유리 단열 글레이징에 설치될 때, 스페이서와 판유리 사이에 배열된 실란트가 더 이상 단열 필름과 접촉하지 않고 판유리 접촉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전이 영역이 있다. 스페이서의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을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필름으로 완전히 덮음으로써, 이러한 전이 영역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정에서 더 높은 공정 신뢰성이 달성되고 수분 및 가스 확산에 대한 스페이서의 기밀성이 크게 향상된다.
단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글레이징 내부 표면의 면적의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를 덮는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열 필름은 글레이징 내부 표면을 완전히 덮는다. 따라서, 스페이서의 본체는 시각적으로 은폐되어 본체에 대한 시각적 요구조건들이 없어진다. 스페이서의 시각적 특성들은 단열 필름에 의해 결정된다. 이로서 본체를 위한 적합한 재료들을 선택하는 것을 높여준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이 완전히 덮이면 단열 필름이 본체 전체 주위에 안내된다. 이는 본체 상의 단열 필름의 대향하는 측면들이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접하거나 중첩되어 배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중첩 배열이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 배열보다 조립 시 정밀도가 덜 요구되고 본체에 대한 단열 필름의 부착 및 완전한 피복이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단열 필름이 그 위에 겹쳐지는 중첩 영역의 폭(bU)은 예를 들어 0 초과 내지 5 mm 범위일 수 있다.
본체 상에서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 배열 또는 중첩 배열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열 필름의 대향 측면이 접하거나 중첩되게 배열되는 위치는 글레이징 내부 표면 상에 또는 본체 가장자리의 베이스 표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내부 표면 또는 베이스 표면의 중심 영역에 놓여진다.
기존의 단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단열 필름은 금속 호일 또는 다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갖는다. 다층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갖는다.
단열 필름의 금속층은 바람직하게는 철, 알루미늄, 은, 구리, 금, 크롬, 및/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은, 구리, 및/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혼합물을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층은 알루미늄을 함유한다. 단열 필름의 세라믹층은 바람직하게는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질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층은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규소를 함유한다. 임의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존재하는 중합체 층 또는 플라스틱 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비닐 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각 층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재료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캐리어(carrier), 장벽 및 박층을 포함하여 출원에 설명된 단열 필름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된다.
단열 필름의 가스 투과율은 0.001 g/(㎡h)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단열 필름은, 예를 들어 EP 0852280 A1에 기재된 금속 호일 및 WO 2013/104507 A1 또는 WO 2016/046081 A1에 기재된 다층 필름을 포함하며, 여기서 참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장벽층,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중합체 층 및 하나, 두 개 이상의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을 갖는다.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층이다. 외부 층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장벽층이다.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층에 인접해 있다. 단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배리어 층을 통해 본체에 부착 또는 접합된다. 그러나, 단열 필름이 금속 장벽층과 반대측으로 본체에 부착 또는 접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개별 층들은 접착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필름은 여러 개의 금속 호일 또는 세라믹 필름 층들이 플라스틱 층과 함께 사용되어 기밀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실시예의 예들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금속 장벽층은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0 ㎛,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내지 9 ㎛㎛의 두께를 갖는다. 중합체 층은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24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박층"은 100 n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층을 지칭한다.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은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30 nm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단열 필름은 다음의 층 시퀀스(sequence)를 갖는다: 금속 장벽층 - 중합체 층 -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단열 필름은 다음과 같은 층 시퀀스를 갖는다: 금속 장벽층 -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 - 중합체 층.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열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을 포함하고, 다음과 같은 아래의 층 시퀀스가 바람직하다: 금속 장벽층 -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 - 중합체 층 -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 이들 모든 실시예들에서, 단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장벽층이 본체를 향하도록 본체 상에 부착된다. 더욱이,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박층이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다층 필름은 중합체 캐리어 층, 적어도 하나의 다른 중합체 층, 및 적어도 두 개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을 갖는다. 외부 층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캐리어 층이다. 단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캐리어 층을 통해 부착 또는 접합된다. 그러나, 단열 필름이 중합체 캐리어 층의 반대편에 있는 본체에 부착되거나 접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중합체 층은 일반적으로 교번적인 시퀀스로 배열된다. 이 실시예의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 다층 필름에는, 예를 들어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들이 있을 수 있으며, 모든 층들은 금속이거나 모든 층들이 세라믹이거나 또는 둘 다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과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층이다. 교번적인 시퀀스는 중합체 층이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과 다른 금속 또는 세라믹 층 사이에 배열됨을 의미한다.금속 또는 세라믹 층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층이다.
중합체 캐리어층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 ㎛의 두께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중합체 층은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은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15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400 n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3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200 nm의 두께를 갖는다. 금속 또는 세라믹 층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 특히 금속 박층으로, 즉 100 n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열 필름은 불투명하다. 단열 필름은 채색될 수 있으며, 이는 단열 필름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단열 필름의 채색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층 및/또는 중합체 캐리어 층에 안료와 같은 착색제를 첨가함으로써 또는 추가 색상 코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채색된 단열 필름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채색을 통해 스페이서의 시각적 외관을 원하는 요구 사항에 간단하게 맞출 수 있다. 이는 본체가 더 이상 시각적 특성을 만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하다. 단열 필름은 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채색될 수 있고; 그러나 다른 모든 색상도 물론 가능하다.
본체에 단열 필름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단열 필름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 필름을 부착하는 데 적합한 접착제의 실시예들은 폴리우레탄(PU) 접착제,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또는 에폭시 접착제이다. 바람직한 접착제는 PU 핫멜트(hot-melt) 접착제 및 EVA 핫멜트 용융 접착제와 같은 핫멜트 접착제, 또는 PU 반응성 접착제, 아크릴 반응성 접착제 또는 에폭시 반응성 접착제와 같은 반응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변형예에서, 단열 필름은 습기 하에서 양생되는 가스 발생이 없는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베이스 표면에 접착된다.
대안적으로, 단열 필름은 본체에 단열 필름을 부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본체와 함께 공압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열 필름은 특히 본체가 단열 필름으로 완전히 덮일 때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도포되는 영역에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이것은 특히 건조를 위해 글레이징 내부와 가스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데 유리하다. 관통 구멍은 존재하는 경우, 단열 필름의 중첩 영역에서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배치하거나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이 단열 필름으로 완전히 덮이지 않은 경우 이러한 관통 구멍은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관통 구멍은 예를 들어 본체에 건조제가 포함될 때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걸쳐 분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체가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 및 개구들로 구현되는 경우,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중공 공간에서 단열 글레이징의 글레이징 내부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공통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관통 구멍이 본체의 개구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구멍은 단열 필름의 부착 전 또는 후에 단열 필름에 만들어질 수 있다. 본체에 단열 필름을 부착한 후, 1단계로 본체의 개구들 및 단열 필름의 관통 구멍을 스페이서에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내부 표면을 따라 5 mm 내지 4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8 mm 내지 20 mm의 폭(b)을 갖는다. 정확한 폭은 단열 글레이징의 치수 및 원하는 간격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접촉 표면을 따라 5.5 mm 내지 8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5 mm의 총 높이(g)를 갖는다.
예를 들어 본체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표면과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판유리 접촉 표면 사이에 연결 표면을 갖는다.
본체는 건조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중공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중합체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갖고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개구들이 제공된다. 개구들은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으로부터 환경으로의 통로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갖고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개구들이 제공되는 본체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열 필름은 글레이징 내부 표면을 완전히 덮고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도포되는 영역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중공 공간에서 글레이징 내부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공통 개구들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의 개구들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갖고 글레이징 내부 표면에 개구들이 제공되는 본체에 대한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열 필름은 개구들이 단열 필름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글레이징 내부 표면을 완전히 덮지 않는다. 이 경우 단열 필름의 관통 구멍은 필요하지 않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단열 필름의 외관 및 더 어려운 설치로 인해 덜 바람직하다.
중합체 본체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본체이다. 이 목적에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에스테르(AS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폴리카보네이트(ABS/P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PET/PC, PBT/PC,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본체는 유리 섬유로 강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의 열팽창 계수는 본체의 유리 섬유 함량을 선택하여 변경 및 조정될 할 수 있다. 본체와 단열 필름의 열팽창 계수를 조정하여 서로 다른 재료 사이의 온도 유도 응력 및 단열 필름의 박리를 피할 수 있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유리 섬유 함량을 갖는다. 본체의 유리 섬유 함량은 강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이점은 스페이서의 외관이 단열 필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본체의 외관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것은 본체에 보다 경제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본체에 무색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에 재활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재활용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외관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시각적 요구 사항에 비추어 기존 스페이서에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중합체 본체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재활용 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본체는 더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환경 보호에 기여한다. 상기 플라스틱의 재생 플라스틱을 본체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재생 폴리프로필렌(PP), 재생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또는 재생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중합체 본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유리 섬유로 강화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건조제,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 분자체, CaCl2, Na2SO4, 활성탄, 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건조제는 중공 공간 내부 또는 유리 섬유 강화 중합체 본체 자체 내부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공간 내에 포함된다. 그런 다음 단열 글레이징을 조립하기 직전에 건조제를 추가할 수 있다. 이것은 완성된 단열 글레이징에서 건조제의 특히 높은 흡수 능력을 보장한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포함된 건조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 흡수를 할 수 있는 개구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두개의 판유리, 판유리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판유리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실런트, 및 외부 밀봉층을 포함하는 단열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제1 판유리는 스페이서의 제1 판유리 접촉 표면과 접촉하고; 제2 판유리는 스페이서의 제2 판유리 접촉 표면과 접촉한다. 실런트는 제1 판유리와 제1 판유리 접촉 표면 사이 및 제2 판유리와 제2 판유리 접촉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 스페이서로 경계를 이루는 글레이징 내부는 두 개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다. 두 개의 판유리는 스페이서 너머로 돌출되어 외부 밀봉층,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밀봉 화합물로 채워진 원주 가장자리 영역을 생성한다. 가장자리 공간은 내부 판유리 사이 공간 맞은편에 있으며 두 판유리 및 스페이서로 구분된다.
스페이서와 판유리를 연결하기 위한 실런트는 한편으로는 스페이서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페이서와 판유리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이점은 실런트가 단열 필름과 접촉하지 않는 대신 스페이서의 측면 접촉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에 존재하는 전이 영역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실런트가 단열 필름과만 접촉하고 판유리 접촉 표면 자체와는 접촉하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이것은 가공중 공정 신뢰성 및 긴밀성을 증가시킨다. 적합한 실런트는 예를 들어 부틸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에틸렌 비닐 알코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외부 밀봉층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단열 필름과 접촉한다. 외부 밀봉층은 예를 들어 중합체 또는 실란-개질된 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실온 가황(RTV) 실리콘 고무, 고온 가황(HTV) 실리콘 고무, 과산화물-가황 실리콘 고무, 및/또는 부가 가황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부틸 고무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85% 초과의 광학 투명도를 갖는다. 판유리는 유리 및/또는 투명 중합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평판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붕규산염 유리, 소다 석회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판유리이다.
원칙적으로, 판유리의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및 둥근 형상이 가능하다.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열 보호 코팅을 갖는다. 열 보호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은을 함유한다. 에너지 절약 가능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단열 글레이징은 불활성 가스, 바람직하게는 아르곤 또는 크립톤으로 채워질 수 있으며, 이는 단열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 공간에서 열 전달 값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단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함으로써 중합체 본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다중 글레이징, 바람직하게는 단열 그레이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용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은 단순히 도식적 표현이며 축척이 아니다. 그것들은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더 상세한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단열 필름이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글레이징 내부 표면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단열 필름이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페이서의 글레이징 내부 표면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적절한 단열 필름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다른 적절한 단열 필름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다른 적절한 단열 필름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다른 적절한 단열 필름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1)의 단면을 도시한다. 유리 섬유 강화 중합체 본체(2)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3.1, 3.2)을 포함한다. 판유리 접촉 표면(3.1 및 3.2)은 베이스 표면(5) 및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통해 연결된다. 두 개의 각진 연결 표면(6.1 및 6.2)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표면(5)과 판유리 접촉 표면(3.1 및 3.2) 사이에 배열된다. 연결 표면(6.1, 6.2)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표면(5)에 대해 30°내지 60°의 각도(α)로 연장된다. 유리 섬유 강화 중합체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및 대략 35 중량%의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본체에는 중공 공간(8)이 있다. 또한, 글레이징 내부 표면(4)에는 개구들(7)이 제공된다. 중합체 본체(2)의 벽 두께는 예를 들어 1 mm이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따른 본체(2)의 폭(b)(도 4 참조)은 예를 들어 12 mm이다. 중합체 본체의 전체 높이(g)(도 4 참조)는, 예를 들면 6.5 mm이다. 베이스 표면(5) 및 판유리 접촉 표면(3.1, 3.2)의 일부에 대략 판유리 접촉 표면의 높이(h)의 최대 절반은 단열 필름(10)으로 도포되고,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연 필름 중 하나일 수 있다. 단열 필름은 접착제(미도시)로 본체에 접착된다. 판유리 접촉 표면에는 본체의 판유리 접촉 표면에 단열 필름이 제공되지 않는 전이 영역이 있다.
전체 스페이서는 10 W/(mK) 미만인 열전도율 및 0.001 g/(㎡h) 미만인 가스 투과율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의 스페이서에 관한 데이터는 다음에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준용한다. 도 2의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특히 단열 필름(10)이 베이스 표면(5),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3.1, 3.2), 및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완전히 덮는다는 점에서 도 1의 종래 기술 스페이서와 상이하다. 단열 필름(10)의 대향 측면은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의 중앙 영역에서 중첩적으로 배열되어 중첩 영역(22)이 생성된다.
본체(2)는 단열 필름(10)으로 덮여 있어 스페이서의 외관이 단열 필름에 의해 결정된다. 단열 필름은 채색 및 불투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본체의 불균일한 외관이 무의미하기 때문에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본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재활용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재활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로 만들어진 본체를 사용할 수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본체는 유리 섬유로 강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페이서(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페이서는 중첩 영역(22)이 베이스 표면(5) 상의 중앙 영역에 구현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스페이서에 대응한다.
도 4는 추가 세부사항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도 2 스페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에는 단열 필름(10)이 접착제(11), 이 경우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다는 사실이 도시되어 있다.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단열 필름이 사용되어 금속 장벽층(12)으로 본체에 결합될 때 단열 필름을 중합체 본체(2)에 특히 잘 결합시킨다.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가스가 글레이징 내부(19) 내로 확산되고 거기에 가시적인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접착제이다. 중첩 영역(22)의 폭(bU)은 예를 들어 0 초과 내지 5 mm이다.
도 5는 도 3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단열 필름(10)이 제공된 글레이징 내부 표면(보이지 않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변형예에서, 단열 필름(10)에는 글레이징 내부 표면의 중앙 영역에 관통 구멍(21)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21)은 각각의 경우에 글레이징 내부 표면의 개구부 위에 배치되어 공통 개구가 형성되고,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중공 공간과 가스 교환을 위한 단열 글레이징의 글레이징 내부 공간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도 6은 도 2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단열 필름(10)이 제공된 글레이징 내부 표면(보이지 않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변형예에서, 단열 필름(10)에는 글레이징 내부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중첩 영역(22)에 관통 구멍(21)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21)은 각각의 경우에 글레이징 내부 표면의 개구부 위에 배치되어 공통 개구가 형성되고,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중공 공간과 가스 교환을 위한 단열 글레이징의 글레이징 내부 공간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 적합한 단열 필름(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열 필름(10)은 다층 필름이며 두께 6 ㎛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 장벽층(12), 두께 12 ㎛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중합체 층(13) 및 두께 10 nm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 박층(14)을 포함한다. 필름층은 알루미늄 층, 즉 금속 장벽층(12) 및 금속 박층(14)이 외부에 있도록 배열된다.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장벽층(12)이 베이스 표면(5)을 향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본체 상에 배열된다. 그러면, 금속 박층(14)은 바깥쪽을 향하며 동시에 실런트(18) 및 외부 밀봉층(17)의 재료에 대하여 접착층의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 적합한 단열 필름(10)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재료 및 두께는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그러나 개별층들의 순서는 다르다. 금속 박층(14)은 금속 장벽층(12)과 중합체 층(13)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중합체 층(13)은 금속 장벽층(12)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 적합한 단열 필름(10)의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열 필름(10)의 구조는 본질적으로 도 8에 설명된 바와 같다. 또한, 추가 금속 박층(14)은 중합체 층(13)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 박층(14)은 완성된 단열 글레이징에서 실런트(18) 및 외부 밀봉층(17)의 재료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 적합한 다른 단열 필름(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열 필름(10)은 다층 필름으로 LLDPE(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로 만들어진 12㎛ 두께의 중합체 캐리어 층(13, 최하층), 12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세 개 이상의 중합체 층(13) 및 각각 50 nm 두께인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세 개의 금속층(14)을 포함한다. 금속층(14) 및 중합체 층(13)은 중합체 캐리어 층에 교대로 도포된다.
도 11은 도 2 또는 도 6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글레이징의 단면도을 도시한다. 제1 유리 판유리(15)와 제2 유리 판유리(16) 사이에는 단열 필름(10)이 부착된 접착제(11)로 결합된 유리 섬유 강화 중합체 본체(2)가 배열된다. 단열 필름(10)은 베이스 표면(5), 연결 표면(6.1, 6.2), 판유리 접촉 표면(3.1, 3.2) 및 글레이징 내부 표면(5)을 완전히 덮는다. 단열 필름의 반대쪽 끝은 글레이징 내부 표면(5)에서 겹친다.
제1 판유리(15), 제2 판유리(16), 및 단열 필름(10)은 예를 들어 폴리설파이드를 함유하는 외부 밀봉층(17)으로 채워진 글레이징의 외부 에지 공간(20)을 한정한다. 외부 밀봉층(17)과 함께, 단열 필름(10)은 판유리와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된 글레이징 내부 공간(19)을 단열하고 유리 섬유 강화 중합체 본체(2)로부터 글레이징 내부 공간(19)으로의 열 전달을 감소시킨다. 단열 필름은 예를 들어 PUR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중합체 본체(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판유리 접촉 표면(3.1, 3.2)의 영역에서, 실런트(18)가 단열 필름(10)과 유리 판유리(15, 16) 사이에 배열되는데,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에 기초한 실런트이다. 실런트(18)는 가능한 계면 확산이 방지되도록 단열 필름과 접한다. 스페이서에 대하여 실런트(18)는 단열 필름에만 접하고 있다. 실런트가 스페이서의 측면 접촉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종래의 스페이서에서 통상적인 전이 면적은 회피된다.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와 비교하여, 이는 가공중 더 큰 공정 신뢰성을 갖게 하고 수분 및 가스 확산에 대한 스페이서의 기밀성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중합체 본체(2)는 중앙 중공 공간(8)을 가지며, 그 내부에 건조제(9), 예를 들어 분자체가 도입된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은 글레이징 내부 공간(19)과 가스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비교적 작은 개구들(7) 또는 기공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단열 필름에는 중첩 영역에 관통 구멍(21)이 제공되며, 이는 개구들(7) 위에 배치하여 공통 통로를 생성한다.
(1) 스페이서
(2) 중합체 본체
(3.1) 제1 판유리 접촉 표면
(3.2) 제2 판유리 접촉 표면
(4) 글레이징 내부 표면
(5) 베이스 표면
(6.1) 제1 연결 표면
(6.2) 제2 연결 표면
(7) 개구들
(8) 중공 공간
(9) 건조제
(10) 단열 필름
(11) 접착제
(12) 금속 장벽층
(13) 중합체 층 또는 캐리어 층
(14) 금속 또는 세라믹 층 또는 박층
(15) 제1 판유리
(16) 제2 판유리
(17) 외부 밀봉층
(18) 실런트
(19) 글레이징 내부 공간
(20) 단열 글레이징의 외부 에지 공간
(21) 단열 필름의 관통 구멍
(22) 단열 필름의 중첩 영역
h 판유리 접촉 표면의 높이
b 글레이징 내부 표면을 따른 중합체 본체의 폭
g 판유리 접촉 표면을 따른 본체의 총 높이
bU 중첩 영역의 폭

Claims (15)

  1. 다중 판유리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1)로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들(3.1, 3.2), 글레이징 내부 표면(4), 및 베이스 표면(5)을 포함하는, 여기서 판유리 접촉 표면들(3.1, 3.2) 및 베이스 표면(5)은 직접 또는 연결 표면들(6.1, 6.2)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중합체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12, 14)을 갖고 중합체 본체(2) 위에 도포되는 단열 필름(10)을 포함하고, 여기서 단열 필름(10)은 베이스 표면(5) 및 두 개의 판유리 접촉 표면들(3.1, 3.2)을 완전히 덮고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다중 판유리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1).
  2. 제1항에 있어서,
    단열 필름(10)은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의 면적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를 덮는, 스페이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열 필름(10)은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완전히 덮는, 스페이서(1).
  4. 제3항에 있어서,
    단열 필름(10)의 대향 측면이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서로 접하거나 중첩하여 배열되고, 중첩 배열이 바람직한, 스페이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열 필름(10)은 금속 호일 또는 다층 필름이고, 다층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층(13) 및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12, 14)을 갖는, 스페이서(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장벽층(12),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층(13), 및 하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금속 또는 세라믹 박층들(14)을 가지며, 여기서 외부 층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장벽층(12)이거나, 또는 중합체 캐리어 층(13), 적어도 하나의 다른 중합체 층(13), 및 적어도 두 개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들(14)을 갖고, 여기서 바람직하게 외부 층은 중합체 캐리어 층(13)이고 적어도 두 개의 금속 또는 세라믹 층들(14)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중합체 층(13)이 교번적인 시퀀스로 배열되는, 스페이서(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열 필름(10)은 불투명하고 및/또는 단열 필름(10)은 채색되는, 스페이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열 필름(10)은 접착제(11)를 통해 본체에 결합되는, 스페이서(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열 필름(10)은 글레이징 내부 표면(4) 상에 도포되는 영역에 관통 구멍들(21)이 제공되는, 스페이서(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본체(2)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8)을 갖고 글레이징 내부 표면(4)에 개구들(7)이 제공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단열 필름(10)이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완전히 덮지 않아 개구들(7)이 단열 필름(12)에 의해 덮이지 않거나, 단열 필름(10)이 글레이징 내부 표면(4)을 완전히 덮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들(7) 위에 배치되는 글레이징 내부 표면(4)에 도포되는 영역에 공통 개구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들(21)이 제공되는, 스페이서(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본체(2)가 재활용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폴리프로필렌(PP), 재활용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또는 재활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을 포함하는, 스페이서(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본체(2)는 유리 섬유로 강화되는, 스페이서(1).
  13. 적어도 두 개의 판유리들(15, 16), 판유리들(15, 16)의 에지 영역에서 판유리들(15, 16)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1), 실런트(18), 및 외부 밀봉층(17)를 포함하는 단열 글레이징으로서, 여기서
    - 제1 판유리(15)는 제1 판유리 접촉 표면(3.1) 상에 놓이고,
    - 제2 판유리(16)는 제2 판유리 접촉 표면(3.2) 상에 놓이고,
    - 실런트(18)는 제1 판유리(15)와 제1 판유리 접촉 표면(3.1) 사이 및 제2 판유리(16)와 제2 판유리 접촉 표면(3.2) 사이에 배치되고,
    - 외부 밀봉층(17)은 단열 필름(10)에 인접한 외부 에지 공간(20)에서 제1 판유리(15)와 제2 판유리(16)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 글레이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1)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단열 필름(10)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11)와의 결합에 의해 중합체 본체(2)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의 제조 방법.
  15. 다중 글레이징들, 바람직하게는 단열 글레이징들에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1)의 용도.
KR1020217033501A 2019-04-03 2020-03-05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KR20210137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6929.0 2019-04-03
EP19166929 2019-04-03
PCT/EP2020/055834 WO2020200623A1 (de) 2019-04-03 2020-03-05 Abstands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559A true KR20210137559A (ko) 2021-11-17

Family

ID=6609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501A KR20210137559A (ko) 2019-04-03 2020-03-05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6548A1 (ko)
EP (1) EP3947886A1 (ko)
JP (1) JP2022526000A (ko)
KR (1) KR20210137559A (ko)
CN (1) CN113994066A (ko)
WO (1) WO2020200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8179A1 (en) * 2022-08-18 2024-02-22 Rolltech A/S Spacer profile comprising an outer layer of acid-treated polymer, a composite barrier foil, a method of making such spacers and use of acid-treated polymers in spacer profiles for insulating glass uni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3229U (ko) * 1981-03-04 1982-09-08
DE19602455A1 (de) * 1996-01-24 1997-07-31 Andreas Jakob Innenleiste für gasgefüllte Mehrscheibenisolierverglasungen
ES2210346T5 (es) 1996-12-20 2009-11-11 Saint-Gobain Glass France Separador para acristalado aislante de varias lunas.
JPH11210341A (ja) * 1998-01-29 1999-08-03 Zeon Kasei Co Ltd 遮音換気ドア
JP3960895B2 (ja) * 2002-10-09 2007-08-15 新日軽株式会社 サッシ用グレチャン
JP4529956B2 (ja) * 2006-07-13 2010-08-25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用スペーサ、複層ガラス、および複層ガラス用スペーサの製造方法
DE102009057156A1 (de) * 2009-12-05 2011-06-09 Seele Holding Gmbh & Co. Kg Isolierglasscheibe
WO2013104507A1 (de) 2012-01-13 2013-07-18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s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MX2017003876A (es) * 2014-09-25 2017-06-19 Saint Gobain Separador para unidades de acristalamiento aislantes.
JP2016211270A (ja) * 2015-05-11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押出樹脂成形体からなる中空長尺建材およびその接合構造
WO2017074333A1 (en) 2015-10-28 2017-05-0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djusting presentation of a user interface
FR3048862B1 (fr) 2016-03-18 2018-04-06 Saint- Gobain Glass France Vitrage isolant notamment pour enceinte climatique
US10443300B2 (en) * 2016-04-05 2019-10-15 Saint-Gobain Glass France Insulating glass unit for a refrigera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6548A1 (en) 2022-06-16
EP3947886A1 (de) 2022-02-09
WO2020200623A1 (de) 2020-10-08
CN113994066A (zh) 2022-01-28
JP2022526000A (ja)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663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KR101766175B1 (ko) 단열 창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KR20160095129A (ko) 압출된 프로파일링된 밀봉체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KR102567521B1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US20200056422A1 (en) Insulating glazing unit, in particular a triple insulating glazing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ng glazing unit
JP7312331B2 (ja) 向上した接着性を有するスペーサ
KR20210137559A (ko)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JP2023512224A (ja) 中断されている接着層を有するスペーサ
US20240110433A1 (en) Spacer with coextruded hollow profile
KR20220158284A (ko) 보강 프로파일을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단열 글레이징
KR20220018037A (ko)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NZ730418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NZ626943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