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153A -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153A
KR20210137153A KR1020217032456A KR20217032456A KR20210137153A KR 20210137153 A KR20210137153 A KR 20210137153A KR 1020217032456 A KR1020217032456 A KR 1020217032456A KR 20217032456 A KR20217032456 A KR 20217032456A KR 20210137153 A KR20210137153 A KR 2021013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levator
platform
ca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준 이노우에
다카유키 와카츠치
다카요시 오쿠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5207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13715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1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single car or c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Abstract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호출의 등록을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은,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측 비컨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에 출입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와, 휴대 단말이 상기 승강장측 비컨 장치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했을 때에,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승강장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상기 센서가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승강장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상기 센서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An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an elevator capable of suppressing the registration of calls unintentional by users is provided.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includes a platform-side beacon device provided in a platform, a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entering and exiting the car, and a mobile terminal that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and is preset in a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When a call reques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mobile terminal is registered, and after the car arrives at th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and the door is opened, the sensor When an object is detected,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mobile terminal is registered, and after the car arrives at th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and the door is opened, the sensor detects the object. When not detected, the control apparatus which does not register the cage|basket|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requirement transmitted automatically by the said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Figure P1020217032456
Figure P1020217032456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an elevator.

특허문헌 1은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을 개시한다. 해당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an elevator call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일본 특개 2018-9543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8-95439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의하면, 승강장측 비컨(beacon) 장치에 가까워지면, 엘리베이터의 호출이 등록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호출이 등록되는 경우도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en a platform-side beacon device approaches, the call of an elevator is registered. For this reason, there are cases where calls not intended by the user are register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호출의 등록을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an elevator capable of suppressing registration of calls not intended by users.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측 비컨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출입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와, 휴대 단말이 상기 승강장측 비컨 장치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했을 때에,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승강장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상기 센서가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승강장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상기 센서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form-side beacon device provided in the platform of the elevator, a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entering and exiting the car of the elevator, and a mobile terminal receiving radio waves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to register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preset call request in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and the car is placed on th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When the sensor detects an object after arrival and the door is opened,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mobile terminal is registered, and the car arrives at th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and a control device that does not register a car call corresponding to a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ensor does not detect an object after the door is opened.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장치는 휴대 단말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휴대 단말을 소지한 이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호출의 등록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register the cal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who possesses the portable terminal.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egistration of calls not intended by the user.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15)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비컨 설치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호출 패턴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비이용 시간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 시간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1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1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1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1 is applie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6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15 to which the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beacon installations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call patterns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peration outline|summary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1 is applied.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elevato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2 is applied.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irst example of the outline of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econd example of the outline of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Fig. 1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pplied.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3 is applied.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non-use time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utline|summary of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3 is applied.
Fig.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applied.
Fig. 19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applied.
Fig. 20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usage times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utline|summary of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4 is applied.
Fig. 2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elevator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applied.
Fig. 2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applied.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peration outline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5 is applied.
Fig. 2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applied.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an accompanying drawing. 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1 is applied.

도 1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로(1)는 도시되지 않은 건축물의 각 층을 관통한다. 기계실(2)은 승강로(1) 바로 위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은, 건축물의 각 층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은, 승강로(1)에 대향한다. In the elevator of Fig. 1, the hoistway 1 passes through each floor of a building, not shown. The machine room 2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hoistway 1 .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forms 3 is provid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forms 3 faces the hoistway 1 .

권상기(4)는 기계실(2)에 마련된다. 권상기(4)는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 등을 구비한다. 메인 로프(5)는 권상기(4)에 감겨 걸려져 있다. The hoisting machine 4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 . The hoisting machine 4 is provided with a brake light not shown. The main rope 5 is wound around the hoisting machine 4 and is hung.

엘리베이터 칸(6)은 승강로(1)의 내부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6)은 메인 로프(5)의 일측에 지지된다. 균형추(7)는 승강로(1)의 내부에 마련된다. 균형추(7)는 메인 로프(5)의 다른 측에 지지된다. The car 6 is provided inside the hoistway 1 . The car 6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main rope 5 . The counterweight 7 is provided inside the hoistway 1 . A counterweight 7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rope 5 .

복수의 승강장 도어(8)의 각각은,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의 출입구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9)는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구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구 근방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구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6)에 출입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10)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센서(10)는 적외선 센서, 광전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다. 예를 들면, 센서(10)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9)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센서(10)는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구 기둥에 마련되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6)에는, 엘리베이터 칸(6)에 걸리는 하중을 검지할 수 있도록 저울 장치(11)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저울 장치(11)는 엘리베이터 칸(6)의 바닥면 바로 아래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저울 장치(11)는 메인 로프(5)와 엘리베이터 칸(6)의 접속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landing doors 8 is provided in each entrance and exit of the plurality of landing doors 3 . A car door 9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car 6 .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of the car 6 , a sensor 10 is provided so as to detect an object entering and exiting the car 6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ar 6 . For example, the sensor 10 is an infrared sensor, a photoelectric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For example, the sensor 10 is provided on the car door 9 . For example, the sensor 10 may be provided in the entrance pillar of the car 6 . The car 6 is provided with a scale device 11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car 6 can be detected. For example, the scale device 11 is provided directly below the floor surface of the car 6 . For example, the scale device 11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main rope 5 and the cage|basket|car 6 .

복수의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각각은,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의 벽면에 마련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platform-side beacon devices 12 is provided on each wal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andings 3 .

제어 장치(13)는 기계실(2)에 마련된다. 제어 장치(13)는 엘리베이터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control device 13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 . The control device 13 is provided to control the elevator as a whole.

기지국(14)은 건축물과는 떨어진 지점에 마련된다. 휴대 단말(15)은 이용자에게 소지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5)은 스마트폰이다. 본 시스템에서는, 이용자는, 휴대 단말(15)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요구할 수 있다. 휴대 단말(15)을 이용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15)에, 특정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보수 회사의 홈페이지에 휴대 단말(15)로부터 액세스함으로써, 휴대 단말(15)에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인스톨을 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은, 간단히 「애플리케이션」으로 표기된다. The base station 14 is provided at a point away from the building. The portable terminal 15 is carri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5 is a smartphone. In this system, a user can request|require the call of an elevator manually or automaticall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5. As shown in FIG. In order to perform call registr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5, a specific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needs to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5 in advance. For example, the user can download and install a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5 by accessing from the portable terminal 15 to the homepage of the maintenance company which manages an elevato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is simply referred to as "application".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 내지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의 정면도이다. 2 to 4 are front views of an opera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도 2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축물로서의 빌딩을 등록할 때의 조작 화면이다. 도 2에 있어서,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조작 화면에는,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에 대응한 빌딩의 등록을 촉구하는 다이얼로그 또는 통지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이용자가 조작 화면의 「OK」 영역을 터치하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에 대응한 빌딩이 등록된다. Fig. 2 is an operation screen when registering a building as a building equipped with an elevator. In Fig. 2,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a dialog or notification message prompting registration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is displayed on the operation screen. do. In this state, when a user touches the "OK" area|region of an operation screen,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is registered.

도 3은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수동으로 요구할 때의 조작 화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등록된 빌딩이 선택되면, 호출 등록 화면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휴대 단말(15)의 호출 등록 화면을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호출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현재층」으로서 「1」을 선택하고, 「행선지층」으로서 「4」를 선택한 후, 「호출」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1층의 승강장 UP 호출과 4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요구할 수 있다. 그 후, 이용자는 「닫음」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호출 등록 화면을 닫을 수 있다. 3 is an operation screen when manually requesting an elevator call. In Fig. 3, when a registered building is selected, a call registration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can manually request a call by operating the call registratio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1" as the "current floor", selects "4" as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n touches the "call" area to call the platform UP on the 1st floor and the elevator on the 4th floor You can request a call to Khan. Thereafter, the user can close the call registration screen by touching the "closed" area.

도 4는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자동으로 요구할 때의 조작 화면이다. 도 4에 있어서, 톱니바퀴 아이콘 영역이 터치되면,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휴대 단말(15)의 설정 화면을 조작함으로써, 자동으로 호출을 요구하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핸즈프리 설정 스위치를 ON으로 함으로써 층상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 후, 두 개의 층으로서, 「1」, 「8」을 선택하고, 「OK」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1층의 승강장 UP 호출과 8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혹은 8층의 승강장 DOWN 호출과 1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자동으로 요구하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1층에 있어서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에 가까워지면, 1층의 승강장 UP 호출과 8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자동으로 요구된다. 또한, 8층에 있어서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에 가까워지면, 8층의 승강장 DOWN 호출과 1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자동으로 요구된다. 4 is an operation screen when automatically requesting an elevator call. In FIG. 4 , when the gear icon area is touched, a setting screen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setting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a user can set it as a request|requirement of a call automatically. For example, after the user displays the floor selection screen by turning on the hands-free setting switch, selects "1" and "8" as two floors, and touches the "OK" area, It can be set to automatically request an UP call and a car call on the 8th floor, or a DOWN call on the 8th floor and a car call on the 1st floor. In this case, when it approaches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in the 1st floor, the platform UP call of the 1st floor and the car call of the 8th floor are automatically calculated|required. Moreover, when it approaches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in the 8th floor, the platform DOWN call of the 8th floor and the car call of the 1st floor are calculated|required automatically.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호출의 자동 등록 방법을 설명한다. Next, an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of an elevator c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는 승강장(3)을 향해서 전파를 송신한다. 휴대 단말(15)은 해당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제어 장치(13)를 향해서 전파로 송신한다. 해당 정보는 기지국(14)과 인터넷망을 통해서 제어 장치(13)에 수신된다. As shown in FIG. 5 ,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transmits an electric wave toward the platform 3 .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this radio wave, it transmits the information which requests|requires an elevator call to the control apparatus 13 by radio wave. Th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ontrol device 13 through the base station 14 and the Internet network.

제어 장치(13)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등록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3)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승강장(3)에 대응한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3)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승강장(3)에 대응한 승강장 호출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 The control device 13 registers an elevator call based on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3 registers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latform 3 based 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3 registers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latform 3 based on the information.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13)와 휴대 단말(15)을 설명한다. Next, the control apparatus 13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are demonstrated using FIG.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3)는 외부 통신부(13a)와 센서 통신부(13b)와 권상기 통신부(13c)와 호출 요구 수신부(13d)와 출입 검출부(13e)와 엘리베이터 칸 호출 여부 판정부(13f)와 운행 관리부(13g)와 제어부(13h)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6 , the control device 13 includes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3a, a sensor communication unit 13b, a traction machine communication unit 13c, a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d, an access detection unit 13e, and a car call or not plate. A government 13f,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13g, and a control unit 13h are provided.

외부 통신부(13a)는 인터넷망을 통해서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센서 통신부(13b)는 센서(1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권상기 통신부(13c)는 권상기(4)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호출 요구 수신부(13d)는 외부 통신부(13a)를 통해서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출입 검출부(13e)는 센서 통신부(13b)에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을 검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운행 관리부(13g)는 호출 요구 수신부(13d)로부터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받아, 제어부(13h)에 승강장 호출의 등록 요구와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호출 여부 판정부(13f)는 호출 요구 수신부(13d)에 수신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와 출입 검출부(13e)에 검출된 이용자의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할지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운행 관리부(13g)로 송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어부(13h)는 운행 관리부(13g)로부터 송신된 호출의 등록 요구에 기초하여 호출 등록을 행하여 권상기(4)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외부 통신부(13a), 호출 요구 수신부(13d), 출입 검출부(13e), 엘리베이터 칸 호출 여부 판정부(13f), 운행 관리부(13g)는, 제어 장치(13)와는 별개로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에 마련해도 된다.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3a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b is provide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10 . The hoisting machine communication unit 13c is provided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hoisting machine 4 . The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d is provided to receive information requesting a call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3a. The entrance/exit detection unit 13e is provided to detect the user's entrance/exit of the car 6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b.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13g receives information requesting a call from the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d, and is provided to transmit a registration request for a platform call and a registration request for a car call to the control unit 13h. The car call or not determination unit 13f calls the car based on the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car call received by the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d and the entry and exit of the user's car 6 detected by the access detection unit 13e. It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and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13g. The control unit 13h is provided to control the hoisting machine 4 by performing call registration based on the call registr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13g. In addition,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3a , the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d , the entrance/exit detection unit 13e , the car call status determination unit 13f ,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13g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device 13 . For example, you may provide in the monitoring apparatus which monitors the running state of an elevator.

예를 들면, 호출 요구 수신부(13d)와 출입 검출부(13e)와 엘리베이터 칸 호출 여부 판정부(13f)와 운행 관리부(13g)와 제어부(13h)의 기능은,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the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d, the entrance/exit detection unit 13e, the car call or not determining unit 13f,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13g, and the control unit 13h, the processor reads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It is realized by putting it out and executing it.

휴대 단말(15)은 외부 통신부(15a)와 비컨 통신부(15b)와 호출 패턴 기억부(15c)와 호출 요구 작성부(15d)와 호출 요구 송신부(15e)를 구비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5 includes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5a, a beacon communication unit 15b, a call pattern storage unit 15c, a call request creation unit 15d, and a call request transmission unit 15e.

외부 통신부(15a)는 도 5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지국(14)을 통해서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비컨 통신부(15b)는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호출 패턴 기억부(15c)는 승강장 호출 패턴의 정보와 엘리베이터 칸 호출 패턴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호출 요구 작성부(15d)는 비컨 통신부(15b)에 수신된 전파의 정보와 호출 패턴 기억부(15c)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의 정보를 작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호출 요구 송신부(15e)는 호출 요구 작성부(15d)에 작성된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외부 통신부(15a)로 송신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5a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base station 14 (not shown) in FIG. 5 .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5b is provided so as to receive the radio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 The call pattern storage unit 15c is provided so as to memorize the information of the platform call pattern and the information of the car call pattern. The call request creation unit 15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reate call information based on the radio wav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5b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ll pattern storage unit 15c. The call request sending unit 15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call created in the call request creating unit 15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5a.

예를 들면, 호출 요구 작성부(15d)와 호출 요구 송신부(15e)의 기능은,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the call request creation unit 15d and the call request transmission unit 15e are realized when the processor reads out and executes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비컨 설치의 테이블을 설명한다. Next, the table of beacon installa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비컨 설치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beacon installations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컨 설치의 테이블에 있어서는, 비컨 정보와 물건 ID와 엘리베이터 ID와 비컨 설치층의 정보가 대응지어진다. As shown in FIG. 7, in the table of beacon installation, beacon information, object ID, elevator ID, and the information of a beacon installation floor are corresponded.

비컨 정보는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식별 정보이다. 예를 들면, 비컨이 iBeacon(등록상표)이면, UUID, Major, Minor로 부르는 데이터열의 세트로 식별자를 구성한다. 물건 ID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축물의 식별 정보이다. 엘리베이터 ID는 엘리베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설치층은 해당 비컨을 설치하는 층의 식별 정보이다. The beac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 For example, if the beacon is iBeacon (registered trademark), an identifier is constituted by a set of data strings called UUID, Major, and Minor. The object ID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is provided. The elevator ID i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elevator. The installation floor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on which the beacon is installed.

다음으로, 도 8을 이용하여, 호출 패턴의 테이블을 설명한다. Next, a table of call patterns will be described using FIG. 8 .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호출 패턴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call patterns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호출 패턴의 테이블에 있어서는, 비컨 정보와 물건 ID와 엘리베이터 ID와 층 1과 층 2의 정보가 대응지어진다. As shown in FIG. 8, in the table of a call pattern, beacon information, an object ID, an elevator ID, and the information of the 1st floor and the 2nd floor are corresponded.

비컨 정보는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식별 정보이다. 물건 ID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축물의 식별 정보이다. 엘리베이터 ID는 엘리베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층 1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에 타는 층 혹은 엘리베이터 칸(6)으로부터 내리는 층의 식별 정보이다. 층 2는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으로부터 내리는 층 혹은 엘리베이터 칸(6)에 타는 층의 식별 정보이다. The beac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 The object ID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is provided. The elevator ID i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elevator. The floor 1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on which the user gets on the car 6 or the floor from which the car 6 gets off. The floor 2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on which the user gets off the car 6 or the floor on which the car 6 gets on.

다음으로, 도 9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3)와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를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utline|summary of the control apparatus 13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is demonstrated using FIG.

도 9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peration outline|summary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1 is applied.

스텝 S1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비컨의 식별자를 수신한 휴대 단말(15)의 호출 요구 작성부(15d)는, 비컨 설치의 테이블에 의해서, 비컨 정보에 대응하는 물건 ID, 엘리베이터 ID, 설치층을 얻는다. 다음으로, 호출 패턴의 테이블에 의해, 비컨 식별자로부터 얻은 물건 ID와 엘리베이터 ID와 일치하고, 또한 설치층이 층 1 혹은 층 2에 일치하는 층 1 및 층 2를 얻는다. 층 1과 층 2가 얻어진 경우, 층 1과 층 2 중 설치층과 일치하는 층이 승강장 호출층으로 결정되고, 또 하나의 층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승강장 호출층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이 비교되어, 승강장 호출의 방향(UP 혹은 DOWN)이 결정된다. In step S1,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the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it activates an application.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2. In step S2, the portable terminal 15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ing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The call request creation part 15d of the portable terminal 15 which received the identifier of the beacon obtains the object ID, elevator ID, and installation floor corresponding to beacon information from the beacon installation table. Next, from the table of call patterns, floors 1 and 2 are obtained which match the object ID and elevator ID obtained from the beacon identifier, and the installed floor matches the floor 1 or floor 2. When floors 1 and 2 are obtained, the floor matching the installation floor among floors 1 and 2 is determined as the platform calling floor, and another floor is determined as the car calling floor. Finally, the platform calling floor and the car calling floor are compared, and the direction of the platform calling (UP or DOWN) is determined.

그 후, 제어 장치(13)는 스텝 S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제어 장치(13)는 휴대 단말(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그 후, 제어 장치(13)는 스텝 S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제어 장치(13)는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승강장(3)에 엘리베이터 칸(6)을 도착시킨 후에 도어 열림시킨다. Then, the control apparatus 13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3. In step S3, the control apparatus 13 registers a platform call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5. Then, the control apparatus 13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4. In step S4, the control apparatus 13 makes the door open after making the cage|basket|car 6 arrive at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a platform call.

그 후, 제어 장치(13)는 스텝 S5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5에서는, 제어 장치(13)는 엘리베이터 칸(6)의 도어 닫힘까지 이용자의 출입을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Then, the control apparatus 13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5. In step S5, the control apparatus 13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entrance and exit were detected by the door closing of the cage|basket|car 6 or not.

스텝 S5에서 이용자의 출입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 장치(13)는 동작을 종료한다. When the user's entry and exit is not detected in step S5, the control apparatus 13 complete|finishes an operation|movement.

스텝 S5에서 이용자의 출입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 장치(13)는 스텝 S6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제어 장치(13)는 휴대 단말(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한다. 그 후, 제어 장치(13)는 동작을 종료한다. When the user's entry/exit is detected in step S5, the control apparatus 13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6. In step S6, the control device 13 registers a car call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5. After that, the control device 13 ends the operation.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제어 장치(13)는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휴대 단말(15)을 소지한 이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호출의 등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the radio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the control device 13 makes a cal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who has the portable terminal 15. Decide whether to register.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egistration of calls not intended by the us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levator.

구체적으로는, 승강장 호출의 등록 후, 이용자의 출입이 검출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칸 호출은 등록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이 해당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응한 목적층으로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Specifically, after registration of the platform call, if the user's entrance is not detected, the car call is not registered. For this reason, it can suppress that the car 6 moves unnecessarily to the destination floor corresponding to the said car call.

또한, 저울 장치(1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출입을 검출해도 된다. 이때, 저울 장치(11)에 걸리는 하중이 증가되지 않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 설정으로 하면,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등록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cale device 11, you may detect the entrance and exit of a user. At this time, if the setting in which the car call is not registere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scale device 11 does not increas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suppress unnecessary car call registration.

또한, 엘리베이터 칸(6)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상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출입을 검출해도 된다. 이때, 카메라의 화상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의 내부에 탑승한 것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 설정으로 하면,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등록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based on the image of the camera which image|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cage|basket|car 6, you may detect the entrance of a user. At this time, if it is set not to register the car call when it is not detected that the user boarded the inside of the car 6 based on the image of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suppress unnecessary car call from being registered. have.

또한,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고, 표시부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이용자가 수동으로 호출을 요구하거나 목적층을 변경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호출의 요구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5 receives a radio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whe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can be operated in the display unit, preset in the application It is not necessary to automatically send the request of the call. In this case, it can suppress that the request of a call becomes unnecessary when a user manually requests|requires a call or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changing a destination floor.

또한,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고, 표시부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을 조작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고, 휴대 단말(15)의 화면이 잠금되어 있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이용자가 수동으로 호출을 요구하거나 목적층을 변경하거나 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 즉시 호출을 요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5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an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when it is in the state which cannot operate the opera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 a display part, in an application beforehand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send a request for an established call.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is locked, the application may automatically transmit a preset call request.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not displayed, the request for a call set in advance in the application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In this case, when there is no possibility of the user manually requesting a call or changing the destination, the call can be requested immediately.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있어서, 도어 열림 버튼과 도어 닫힘 버튼을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어 열림 버튼 영역이 터치되었을 때에, 휴대 단말(15)로부터 기지국(14)과 인터넷망을 통해서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의 요구를 제어 장치(13)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어 닫힘 버튼 영역이 터치되었을 때에, 휴대 단말(15)로부터 기지국(14)과 인터넷망을 통해서 엘리베이터의 도어 닫힘의 요구를 제어 장치(13)로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승강장(3)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휴대 단말(15)이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제어 장치(13)를 향해서 전파로 송신할 때에, 기지국(14)과 인터넷망을 통해서 제어 장치(13)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했다. 예를 들면, 승강장(3)에 제어 장치(13)에 접속된 무선 LAN을 구축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고, 휴대 단말(15)이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제어 장치(13)를 향해서 전파로 송신할 때에,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제어 장치(13)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가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15)이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제어 장치(13)를 향해서 전파로 송신할 때에,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를 통해서 제어 장치(13)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Moreover, you may display a door open button and a door close button on the screen of an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the door open button region is touched, a request for opening the elevator do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5 to the control device 13 via the base station 14 and the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door closing button region is touched, a request for closing the elevator do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5 to the control device 13 via the base station 14 and the Internet network. In this case, the door opening/closing time of the elevator can be adjusted even at a position slightly distant from the platform 3 . 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ing the elevator call to the control device 13 by radio waves, the control device 13 via the base station 14 and the Internet network. It was configured to transmit by . For example, an access point for establishing a wireless LAN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3 is provided in the platform 3 ,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propagates information requesting an elevator call to the control device 13 . When transmitting to ,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13 via an access point. Further, for example, when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has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transmits information requesting an elevator call to the control device 13 by radio waves, the platform side You may make it transmit to the control apparatus 13 via the beacon apparatus 12.

실시 형태 2. Embodiment 2.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elevato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2 is applied. In addi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part of Embodiment 1 and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omitted.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6)의 내부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은 엘리베이터 칸(6)의 내부를 향해서 전파를 송신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5)에 있어서, 비컨 통신부(15b)는 승강장측 비컨 장치(12) 및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승강 판정부(15f)는 비컨 통신부(15b)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엘리베이터 칸(6)의 승강을 검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10 , the car-side beacon device 16 is provided inside the car 6 . The car-side beacon device 16 may be installed on the car. The car-side beacon transmits an electric wave toward the inside of the car 6 . 11, in the portable terminal 15, the beacon communication part 15b is provided so that the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and the car side beacon apparatus 16 can be received. The raising/lowering determination part 15f is provided so that the raising/lowering of the user's car 6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beacon communication part 15b.

다음으로, 도 12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의 제1 예를 설명한다. Next, a first example of an operation outline of the portable terminal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1st example of the outline|summary of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2 is applied.

스텝 S11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 또는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1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휴대 단말(15)은 해당 전파를 발신한 비컨 장치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In step S11, when receiving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or the car side beacon apparatus 16, the portable terminal 15 starts an application.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12. In step S12, the portable terminal 15 determines whether the beacon apparatus which transmitted the said electric wave is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스텝 S12에서 해당 전파를 발신한 비컨 장치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인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1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1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일정 시간 동안에 새로 전파를 수신해도 호출의 등록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15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동작을 종료한다. When the beacon apparatus which transmitted the said electric wave in step S12 is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13. In step S13, the portable terminal 15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ing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14. In step S14, the portable terminal 15 does not transmit information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call even if it receives a new radio wa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15. In step S15, the mobile terminal 15 terminates the application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at, the portable terminal 15 ends the operation.

스텝 S12에서 해당 전파를 발신한 비컨 장치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가 아닌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16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로부터의 전파를 검출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When the beacon apparatus which transmitted the said electric wave in step S12 is not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16. In step S16, the portable terminal 15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wave from the cage|basket|car side beacon apparatus 16 is detected.

스텝 S16에서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로부터의 전파가 검출되는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16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6에서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로부터의 전파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14의 동작을 행한다. 비컨 장치의 전파 검출에 있어서는, 수신한 전파의 강도에 대한 검출 임계값을 마련하고, 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 검출, 비검출이 판정된다. 이 임계값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와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에서 같은 값이어도 되고, 다른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임계값을 변경함으로써, 건물이나 엘리베이터의 서로 다른 구조에 따라서 최적의 승강 판정을 행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ic wave from the car side beacon apparatus 16 is detected in step S16,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16. When the electric wave from the cage|basket|car side beacon apparatus 16 is not detected in step S16,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14. In the radio wave detection of the beacon device, a detection threshold value for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radio wave is provided, and detection or non-detection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this threshold value is exceeded. The threshold value may be the same in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and the car-side beacon device 16, or different values may be used. By changing this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al lifting/lowering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ructures of a building or an elevator.

다음으로, 도 13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의 제2 예를 설명한다. Next, a second example of an operation outline of the portable terminal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2nd example of the outline|summary of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2 is applied.

스텝 S21 내지 스텝 S25는, 도 12의 스텝 S11 내지 스텝 S15와 같다. 스텝 S22에서 해당 전파를 발신한 비컨 장치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가 아닌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24의 동작을 행한다. Steps S21 to S25 are the same as steps S11 to S15 in FIG. 12 . When the beacon apparatus which transmitted the said electric wave in step S22 is not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24.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어 장치(13)는,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호출을 요구했을 때에, 휴대 단말(15)이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지 않게 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호출의 등록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terminal 15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and requests a call, the control device 13 causes the mobile terminal 15 to be a car-side beacon device. (16) A call is not registered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not elapsed since the radio wave from (16) has not been receiv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egistration of calls not intended by the user.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15)은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했을 경우에 일정 기간, 호출의 요구의 자동 송신을 억제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의 주행 중에 호출이 등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스텝 S22에서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를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 이 때 검출한 비컨 장치의 전파는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의 전파이며, 휴대 단말(15)은 스텝 S24의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의 전파를 검출하고 나서 일정 기간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전파의 검출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스텝 S24의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일정 기간내에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전파를 검출하였을 경우, 스텝 S23의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6)이 승차층에 멈춰 있는 등, 휴대 단말(15)에서 수신한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의 전파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전파의 강도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보다도 먼저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가 검출되어 있어도, 최적의 승강 판정을 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the electric wave from the car-side beacon device 16, it suppresses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request|requirement of a call for a fixed perio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at a call is registered while the car 6 is running. In Embodiment 2, when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is not detected in step S22, the radio wave of the beacon device detected at this time is the radio wave of the car-side beacon device 16,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is sent at step S24. is performed, but after detecting the radio wave from the car-side beacon device 16 and confirming that there is no radio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of step S24 may be performed. When the radio wave of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is detected within a certain period, the operation of step S23 may be performed. By setting it as such an operation|movement, the intensity|strength of the electric wave of the car side beacon apparatus 16 received by the portable terminal 15, for example, the car 6 is stopped on the boarding floor, and the electric wave of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differs When there is no, even if the car-side beacon device 16 is detected earlier than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al boarding/lowering determination.

실시 형태 3. Embodiment 3.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Fig. 1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pplied.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3 is applied. In addi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part of Embodiment 1 and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omitted.

도 14와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5)은 가속도 검출부(15g)와 이용 판정부(15h)와 비이용 시간 기억부(15i)와 비이용 시간 판정부(15j)를 구비한다. 14 and 15 , the portable terminal 15 includes an acceleration detection unit 15g, a usage determination unit 15h, a non-use time storage unit 15i, and a non-use time determination unit 15j. .

가속도 검출부(15g)는 휴대 단말(15)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용 판정부(15h)는 가속도 검출부(15g)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이용 판정부(15h)는 가속도 검출부(15g)가 엘리베이터 칸(6)의 주행에 수반하는 가속도 변화를 검출했을 때에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비이용 시간 기억부(15i)는 비이용 시간대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비이용 시간 판정부(15j)는 비이용 시간 기억부(15i)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 시각이 비이용 시간대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15g is provided to detect the accel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 The use determination part 15h is provided so that it can determine whether a user is using the cage|basket|car 6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celeration detection part 15g. For example, the use determination unit 15h determines that the user is using the car 6 when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15g detects an acceleration change accompanying the running of the car 6 . The non-use time storage unit 15i is provided to store information on the non-use time period. The non-use time determining unit 15j is provided to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ime is the non-use time zone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on-use time storage unit 15i.

다음으로, 도 16을 이용하여, 비이용 시간의 테이블을 설명한다. Next, a table of non-use ti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비이용 시간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non-use time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이용 시간 테이블에 있어서는, 비컨 정보와 물건 ID와 엘리베이터 ID와 승차층과 이동 방향과 비이용 시간의 정보가 대응지어진다. As shown in Fig. 16, in the non-use time table, beacon information, article ID, elevator ID, boarding floor, moving direction, and non-use time information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비컨 정보는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식별 정보이다. 물건 ID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축물의 식별 정보이다. 엘리베이터 ID는 엘리베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승차층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에 타는 층의 식별 정보이다. 이동 방향은 엘리베이터 칸(6)의 이동 방향의 식별 정보이다. 비이용 시간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대의 식별 정보이다. The beac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 The object ID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is provided. The elevator ID i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elevator. The boarding floor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on which the user rides in the car 6 . The moving direc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6 . The non-use time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ime zone in which the car 6 is not used.

다음으로, 도 17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를 설명한다. Next, an operation outline of the portable terminal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utline|summary of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3 is applied.

스텝 S31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3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2에서는, 휴대 단말(15)은 현 시각이 비이용 시간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In step S31,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the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apparatus 12, an application is started.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32. In step S32, the portable terminal 15 determines whether the present time is a non-use time zone.

스텝 S32에서는, 현 시각이 비이용 시간대인 경우, 휴대 단말(15)은 동작을 종료한다. In step S32, when the current time is a non-use time zone, the portable terminal 15 ends the operation.

스텝 S32에서는, 현 시각이 비이용 시간대가 아닌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3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3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In step S32, when the present time is not a non-use time zone,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33. In step S33, the portable terminal 15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ing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3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4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34. In step S34, the portable terminal 15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using the cage|basket|car 6 or not.

스텝 S34에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휴대 단말(15)은 동작을 종료한다. When the user is using the car 6 in step S34, the portable terminal 15 ends the operation.

스텝 S34에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35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5에서는, 휴대 단말(15)은 현 시각에 대응한 시간대를 비이용 시간대로 지정한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동작을 종료한다. When the user is not using the cage|basket|car 6 in step S34,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operation|movement of step S35. In step S35, the portable terminal 15 designates the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time as the non-use time zone. After that, the portable terminal 15 ends the operation.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제어 장치(13)는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의 시각이 비이용 시간대인 경우에는 호출의 요구를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13)는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호출의 등록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13 does not receive a call request when the tim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is a non-use time zone. For this reason, the control device 13 does not register the cal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egistration of calls not intended by the user.

또한, 센서(10)의 검출 결과, 저울 장치(11)의 검출 결과,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16)의 수신 상황 등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해도 된다. In addition, even if 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using the cage|basket|car 6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10,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cale apparatus 11, the reception condition of the cage|basket|car side beacon apparatus 16, etc. do.

또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지 않았던 통산 횟수, 호출을 등록한 횟수에 대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지 않았던 횟수의 비율 등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In addition,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user did not use the car 6,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did not use the car 6 to the number of times the call was registered, the condition for not registering a call may be set. .

실시 형태 4. Embodiment 4.

도 18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Fig.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applied. Fig. 19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applied. In addi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part of Embodiment 1 and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omitted.

도 18과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5)은 조작부(15k)와 이용 이력 기억부(15l)와 이용 시간 기억부(15m)와 이용 시간 판정부(15n)를 구비한다. 18 and 19 , the portable terminal 15 includes an operation unit 15k, a usage history storage unit 151, a usage time storage unit 15m, and a usage time determination unit 15n.

조작부(15k)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용 이력 기억부(15l)는 조작부(15k)에 대한 수동 조작에 기초한 호출의 요구 이력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용 시간 기억부(15m)는 이용 시간대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용 시간 판정부(15n)는 이용 시간 기억부(15m)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 시각이 이용 시간대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operation unit 15k is provided so as to receive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The use history storage unit 151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tore information of a request history of a call based on a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5k. The use time storage unit 15m is provided so as to store information on the use time period. The use time determination unit 15n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ime is the use time zone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 time storage unit 15m.

다음으로, 도 20을 이용하여, 이용 시간의 테이블을 설명한다. Next, using FIG. 20, the table of usage time is demonstrated.

도 20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 시간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0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usage times used in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용 시간의 테이블에 있어서는, 비컨 정보와 물건 ID와 엘리베이터 ID와 승차층과 이동 방향과 이용 시간의 정보가 대응지어진다. As shown in FIG. 20, in the table of use time, beacon information, object ID, elevator ID, boarding floor, moving direction, and information of use time are corresponded.

비컨 정보는 승강장측 비컨 장치(12)의 식별 정보이다. 물건 ID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축물의 식별 정보이다. 엘리베이터 ID는 엘리베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승차층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에 타는 층의 식별 정보이다. 이동 방향은 엘리베이터 칸(6)의 이동 방향의 식별 정보이다. 이용 시간은 엘리베이터 칸(6)을 이용하는 시간대의 식별 정보이다. The beac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 The object ID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is provided. The elevator ID i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elevator. The boarding floor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loor on which the user rides in the car 6 . The moving direc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6 . The use time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ime zone in which the car 6 is used.

다음으로, 도 21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를 설명한다. Next, an operation outline of the portable terminal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

도 21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utline|summary of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4 is applied.

스텝 S41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4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2에서는, 휴대 단말(15)은 현 시각이 이용 시간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In step S41, when receiving the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the portable terminal 15 starts an application.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42. In step S42, the portable terminal 15 determines whether the present time is a use time zone.

스텝 S42에서 현 시각이 이용 시간대인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4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3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동작을 종료한다. When the present time is the use time zone in step S42,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43. In step S43, the portable terminal 15 transmits the information which requests|requires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After that, the portable terminal 15 ends the operation.

스텝 S42에서 현 시각이 이용 시간대가 아닌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4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4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수동으로 호출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When the current time is not the usage time zone in step S42,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44. In step S44, the portable terminal 15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all has been manually requested.

스텝 S44에서 수동으로 호출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15)은 동작을 종료한다. If a manual call is not requested in step S44, the portable terminal 15 ends the operation.

스텝 S44에서 수동으로 호출이 요구되었을 경우, 휴대 단말(15)은 스텝 S45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5에서는, 휴대 단말(15)은 현 시각에 대응한 시간대를 이용 시간대로 지정한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43의 동작을 행한다. When a manual call is requested in step S44,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45. In step S45, the portable terminal 15 designates the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time as the use time zone.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43.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제어 장치(13)는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의 시각이 과거에 수동으로 호출을 요구한 시각에 대응한 시간대인 경우에는 호출의 요구를 받는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13)는 호출을 등록한다. 그 결과,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비이용 시간대로 되어 있는 시각이어도 수동으로 이용 시간대로 재지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control device 13, the tim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the radio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is a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a call was manually requested in the past. In the case of , a call request is received. For this reason, the control device 13 registers the call. As a result, in the third embodiment, even when the time is in the non-use time zone, it is possible to manually re-specify the use time zone.

또한, 수동으로의 호출의 요구의 통산 횟수 등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는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In addition, the conditions for registering a call may be set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requests for a manual call or the like.

실시 형태 5. Embodiment 5.

도 22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Fig. 2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elevator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applied. Fig. 2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elevator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applied. In addi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part of Embodiment 1 and the same or equivalent part.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omitted.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 센서(17)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9)의 상방에 마련된다. 도어 센서(17)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9)의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3)는 현재층 취득부(13i)와 도어 개폐 판정부(13j)를 구비한다. 현재층 취득부(13i)는 엘리베이터 칸(6)이 존재하는 층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 개폐 판정부(13j)는 도어 센서(17)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9)의 개폐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22 , the door sensor 17 is provided above the car door 9 . The door sensor 17 is provided to detect the open/close state of the car door 9 . As shown in FIG. 23 , the control device 13 includes a current floor acquisition unit 13i and a door open/close determination unit 13j. The current floor acquisition unit 13i is provided so as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floor on which the car 6 exists. The door open/close determination unit 13j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determin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ar door 9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sensor 17 .

다음으로, 도 24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3)와 휴대 단말(15)의 동작 개요를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utline|summary of the control apparatus 13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is demonstrated using FIG.

도 24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와 휴대 단말의 동작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It is a flowchart for demonstrating the operation outline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in Embodiment 5 is applied.

스텝 S51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 후, 휴대 단말(15)은 스텝 S5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52에서는, 휴대 단말(15)은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In step S51, when receiving the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apparatus 12, the portable terminal 15 starts an application. Then, the portable terminal 15 performs the operation|movement of step S52. In step S52, the portable terminal 15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ing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그 후, 제어 장치(13)는 스텝 S5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53에서는, 제어 장치(13)는 엘리베이터 칸(6)이 해당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층에 있어서 도어 열림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13 performs the operation of step S53. In step S53, the control device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ar 6 is open on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스텝 S53에서 엘리베이터 칸(6)이 해당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층에 있어서 도어 열림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13)는 스텝 S5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54에서는, 제어 장치(13)는 해당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그 후, 제어 장치(13)는 동작을 종료한다. In step S53, when the door 6 of the cage|basket|car 6 does not open in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said boarding point call, the control apparatus 13 performs operation|movement of step S54. In step S54, the control apparatus 13 registers the said boarding point call. After that, the control device 13 ends the operation.

스텝 S53에서 엘리베이터 칸(6)이 해당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층에 있어서 도어 열림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13)는 동작을 종료한다. In step S53, when the door 6 of the cage|basket|car 6 is open in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said boarding point call, the control apparatus 13 complete|finishes an operation|movement.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제어 장치(13)는 휴대 단말(15)이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승강장 호출을 요구했을 때에, 해당 승강장(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이 도어 열림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6)의 도어 닫힘 시간이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12 and requests a platform call, the control device 13 is a car ( 6) If this door is open, the platform call is not registered. For this reason, it can suppress that the door closing time of the cage|basket|car 6 is extended unnecessarily.

실시 형태 6. Embodiment 6.

도 25는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Fig. 2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ssential part of an elevator to which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applied.

실시 형태 6에 있어서, 휴대 단말(15)은 승강장측 비컨 장치(12)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와 승차층과 휴대 단말(15)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자동으로 송신한다. 감시 장치(19)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시하여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도시되지 않은 감시 센터에 통보를 행한다. 감시 장치(19)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된 외부 통신부(13a), 호출 요구 수신부(13d), 출입 검출부(13e), 엘리베이터 칸 호출 여부 판정부(13f), 운행 관리부(13g)를 구비한다. In Embodiment 6, when the portable terminal 15 receives the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2, it automatically sends the 1st signal for specifying the elevator, boarding floor, and portable terminal 15 preset in an application. send to The monitoring device 19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t notifies a monitoring center (not shown). The monitoring device 19 includes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3a, a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d, an entrance/exit detection unit 13e, a car call status determination unit 13f, and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13g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서버(18)는 해당 제1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휴대 단말(15)에 대응지어진 목적층을 특정한다. 서버(18)는 해당 승차층과 해당 목적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해당 엘리베이터를 향해서 송신한다. The server 18 specifies the target layer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15 based on the first signal. The server 18 transmits a second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boarding floor and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floor toward the corresponding elevator.

해당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감시 장치(19)는 상기 서버(18)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해당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요구를 파악한다. 감시 장치(19)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의 제어 장치(13)와 마찬가지로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In this elevator, when the monitoring apparatus 19 receives the 2nd signal from the said server 18, it grasps|ascertains the request|requirement of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based on the said 2nd signal. The monitoring device 19 determines whether to register a platform call and a car call similarly to the control device 13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예를 들면, 감시 장치(19)는 해당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승차층에 대응한 승강장 호출의 등록 요구를 제어 장치(13)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3)는 엘리베이터 칸(6)이 해당 승차층에 대응한 승강장(3)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센서(10)가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해당 목적층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 요구를 제어 장치(13)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3)는 엘리베이터 칸(6)이 해당 승차층에 대응한 승강장(3)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센서(10)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목적층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 요구를 제어 장치(13)로 송신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monitoring device 19 transmits, to the control device 13, a registration request for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boarding floor, based on the second signal. For example, when the sensor 10 detects an object after the car 6 arrives at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boarding floor and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device 13 responds to the target floor. A registration request of one car call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13 . For example, when the sensor 10 does not detect an object after the car 6 arrives at the platform 3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oarding floor and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device 13 sends it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floor. The registration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car call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13 .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6에 의하면, 서버(18)는 해당 제1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휴대 단말(15)에 대응지어진 목적층을 특정한다. 서버(18)는 해당 승차층과 해당 목적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해당 엘리베이터를 향해서 송신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와 승차층과 목적층과 휴대 단말(15)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서버(18)에 등록해 두면, 그 후에는, 휴대 단말(15)로부터 목적층의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erver 18 identifies the target layer associat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15 based on the first signal. The server 18 transmits a second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boarding floor and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floor toward the corresponding elevator. For this reason, if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elevator, the boarding floor,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is registered in the server 18, thereafter, even without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from the portable terminal 15, Platform calls and car calls can be registered automatically.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기계실을 구비한 엘리베이터뿐만이 아니라,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고 승강로의 내부에 권상기와 제어 장치가 설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도 포함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system. The elevator system includes not only an elevator having a machine room, but also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in which a hoisting machine and a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in a hoistway without a machine room.

1 : 승강로 2 : 기계실
3 : 승강장 4 : 권상기
5 : 메인 로프 6 : 엘리베이터 칸
7 : 균형추 8 : 승강장 도어
9 : 엘리베이터 칸 도어 10 : 센서
11 : 저울 장치 12 : 승강장측 비컨 장치
13 : 제어 장치 13a : 외부 통신부
13b : 센서 통신부 13c : 권상기 통신부
13d : 호출 요구 수신부 13e : 출입 검출부
13f : 엘리베이터 칸 호출 여부 판정부
13g : 운행 관리부 13h : 제어부
13i : 현재층 취득부 13j : 도어 개폐 판정부
14 : 기지국 15 : 휴대 단말
15a : 외부 통신부 15b : 비컨 통신부
15c : 호출 패턴 기억부 15d : 호출 요구 작성부
15e : 호출 요구 송신부 15f : 승강 판정부
15g : 가속도 검출부 15h : 이용 판정부
15i : 비이용 시간 기억부 15j : 비이용 시간 판정부
15k : 조작부 15l : 이용 이력 기억부
15m : 이용 시간 기억부 15n : 이용 시간 판정부
16 : 엘리베이터 칸측 비컨 장치 17 : 도어 센서
18 : 서버 19 : 감시 장치
1: hoistway 2: machine room
3: Platform 4: hoisting machine
5: main rope 6: car
7: counterweight 8: platform door
9: car door 10: sensor
11: scale device 12: platform side beacon device
13: control device 13a: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3b: sensor communication unit 13c: traction machine communication unit
13d: call request receiving unit 13e: access detecting unit
13f: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car is called or not
13g: operation management unit 13h: control unit
13i: current floor acquisition unit 13j: door open/close determination unit
14: base station 15: mobile terminal
15a: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5b: beacon communication unit
15c: call pattern storage unit 15d: call request creation unit
15e: call request transmission unit 15f: lift judgment unit
15g: acceleration detection unit 15h: use determination unit
15i: non-use time storage unit 15j: non-use time determination unit
15k: operation unit 15l: use history storage unit
15m: use time storage unit 15n: use time determination unit
16: Car side beacon device 17: Door sensor
18: server 19: monitoring device

Claims (3)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측 비컨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출입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와,
휴대 단말이 상기 승강장측 비컨 장치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했을 때에,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승강장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상기 센서가 물체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장 호출에 대응한 승강장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된 후에 상기 센서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된 요구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지 않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
A platform-side beacon device provided in the platform of the elevator;
A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entering and exiting the car of the elevator;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radio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and automatically transmits a preset call request in a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register a platform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nsor detects an object after the car arrives at th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and the door is opened, register the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levator When the sensor does not detect an object after the car arrives at th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all and the door is opened, a control device that does not register the car cal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portable terminal.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승강장측 비컨 장치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고, 표시부에 있어서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하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when the display unit is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screen of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can be operated,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An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that does not automatically transmit a preset call request in th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승강장측 비컨 장치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고, 표시부에 있어서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을 조작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 호출 등록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호출의 요구를 자동으로 송신하는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electric wave from the platform-side beacon device,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whe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cannot be operated on the display unit, the call registration system application An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of an elevator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a preset call request in the .
KR1020217032456A 2019-03-15 2019-03-15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KR2021013715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10863 WO2020188635A1 (en) 2019-03-15 2019-03-15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for eleva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153A true KR20210137153A (en) 2021-11-17

Family

ID=7252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456A KR20210137153A (en) 2019-03-15 2019-03-15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41379B2 (en)
KR (1) KR20210137153A (en)
CN (1) CN113767058B (en)
WO (1) WO202018863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4146B1 (en) 2020-10-16 2022-03-3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systems, elevators, how elevator car doors work, and programs
JP7346628B2 (en) 2022-02-18 2023-09-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ystem,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4715741A (en) * 2022-03-09 2022-07-0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Elevator calling system and calling method
WO2024009415A1 (en) * 2022-07-06 2024-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24047765A1 (en) * 2022-08-30 2024-03-07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Elevato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5439A (en) 2016-12-15 2018-06-21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al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0222A1 (en) *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all registration system
US7918321B2 (en) * 2006-02-21 2011-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elevators
US9359169B2 (en) * 2011-01-26 2016-06-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hall destination calls for assigned and non-assigned elevator calls
JP5790320B2 (en) * 2011-08-29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ystem
JP2013071842A (en) * 2011-09-29 2013-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2014031252A (en) * 2012-08-03 2014-02-20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control system
JP5903061B2 (en) * 2013-03-01 2016-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system
JP2015020888A (en) * 2013-07-22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229560A (en) * 2014-06-05 2015-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and elevator call registration method
CN104477714B (en) * 2014-12-08 2016-08-1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Method, server and the smart machine that elevator runs is controlled based on smart machine
US20170291795A1 (en) * 2016-04-06 2017-10-12 Otis Elevator Company Mobile call modify
EP3231754B1 (en) * 2016-04-15 2020-01-08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program and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JP6335222B2 (en) * 2016-06-22 2018-05-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system
US10294071B2 (en) * 2016-10-28 2019-05-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tivity level management of mobile device access
JP6270961B1 (en) * 2016-11-09 2018-01-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method
CN109019197B (en) * 2017-06-09 2022-05-17 奥的斯电梯公司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n elevato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5439A (en) 2016-12-15 2018-06-21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al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67058A (en) 2021-12-07
JPWO2020188635A1 (en) 2021-04-08
WO2020188635A1 (en) 2020-09-24
JP6841379B2 (en) 2021-03-10
CN113767058B (en)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495B1 (en)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KR20210137153A (en) Elevator's automatic call registration system
EP3438034B1 (en) User device including secondary-touch elevator service request interface
JP6570047B1 (en) Elevator system
JP7294988B2 (en) elevator remote control system
CN113213281B (en) Elevator system
JP6747380B2 (en) Mobile terminal, program,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and elevator system
WO2020022332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JP6194061B1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JP6608482B1 (en) Position display system
JP6190200B2 (en) Elevator operation system
JP2017178584A (en) Elevator device
KR102551809B1 (en) Elevator emergency contact system
CN110182660B (en) Elevator system
KR100546655B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vator
JP7226665B2 (en) elevator emergency contact system
JP2018111590A (en) Elevator, elevator system, and program
KR20130065973A (en) Elevator control method using by cellular phone
CN116056997B (en) Emergency contact system for elevator
JP2018002376A (en) Elevator control method and elevator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KR100531329B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vator
JP2023121059A (en) Elevator system,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