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621A -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621A
KR20210136621A KR1020200055122A KR20200055122A KR20210136621A KR 20210136621 A KR20210136621 A KR 20210136621A KR 1020200055122 A KR1020200055122 A KR 1020200055122A KR 20200055122 A KR20200055122 A KR 20200055122A KR 20210136621 A KR20210136621 A KR 2021013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ylinder
primordial
sorting cylinder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384B1 (ko
Inventor
정광모
Original Assignee
정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모 filed Critical 정광모
Priority to KR102020005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3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dible Seaweed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원통에 형성된 다수 개의 선별슬릿을 통해 해태원초를 선별하는 동시에 상기 선별원통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원심력과 상기 선별원통의 내측에서 상기 선별슬릿을 향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원통의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선별슬릿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물질 선별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APPARATUS REMOVING FOREIGN SUBSTANCE OF LAVER}
본 발명은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원통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원심력과 상기 선별원통의 내측에서 상기 선별원통에 형성된 선별슬릿을 향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원통의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선별슬릿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태원초는 건조 김(laver)을 만들기 위한 원료로서, 해태 양식과정이나 채취 및 이송과정에서 사용된 끈이나 로프 등 각종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건조 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가 사용되는데,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는, 다수의 간격조절판을 상하로 적층 하여 그 사이에 선별슬릿이 형성되도록 하고, 다수의 제거 바를 상기 선별슬릿을 통과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선별부재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거 바(22)에 의해 상기 선별슬릿에 걸려있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금속 소재인 제거 바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경과에 따라 제거 바가 마모되기 쉽고 선별슬릿에 걸린 이물질과의 기계적 충돌에 의해 제거바가 파손될 수 있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나의 수조 내에 다수 개의 선별부재가 설치되고, 각 선별부재마다 다수 개의 제거 바를 적층 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량의 해태원초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선별부재가 요구되고 또 각 선별부재마다 이물질 제거부재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수조의 내부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처리용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7571호(공개일: 1998.11.1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선별원통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원심력과 상기 선별원통의 내측에서 상기 선별원통에 형성된 선별슬릿을 향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원통의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선별슬릿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는,
해태원초와 해수가 유입되는 일정 크기의 선별수조와; 상기 선별수조의 내부로 해태원초와 해수를 공급하는 원초공급펌프와; 상기 선별수조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선별원통과, 상기 선별원통의 수직벽에 해태원초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 다수 개의 선별슬릿과, 상기 선별원통의 상단에 고정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선별스크린과; 상기 선별스크린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선별스크린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관과, 상기 선별원통에 형성된 상기 선별슬릿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관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공기공급관의 하단과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펌프를 포함하는 공기분사장치와; 상기 선별원통의 내부로 해태원초를 외부로 배출하는 해태배출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별원통의 외측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선별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별원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선별슬릿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선별슬릿보다 큰 크기를 갖고 상기 선별슬릿과 연결되는 분사홈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홈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선별원통의 상단에는 확대된 두께를 갖는 상부플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렌지부에는 상기 덮개판을 고정하는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선별원통의 하단에는 확대된 두께를 갖는 하부플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렌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선별원통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링형 부시가 설치된다.
상기 링형 부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상기 하부플렌지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링형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 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 부시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이 밀접하게 삽입되는 링형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선별수조는 일정한 크기의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선별원통에서 배출되는 해태원초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원초체류조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선별원통 내부의 해태원초가 상기 원초체류조로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수조의 하부에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원초공급펌프와 해태배출펌프 및 공기압축펌프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원통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원심력과 상기 선별원통의 선별슬릿에 끼여있거나 걸려있는 이물질을 상기 선별원통의 내부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물질 선별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기계적인 마모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별스크린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분사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6 및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1)(이하 '이물질 선별장치'라 한다)는, 크게 선별수조(10)와, 상기 선별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별스크린(20)과, 상기 선별스크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분사장치(30) 및 상기 선별스크린(2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수조(10)는, 해태원초와 해수가 유입되는 일정 크기의 수조로서, 일정 높이의 프레임(15)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선별스크린(20)은, 상기 선별수조(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선별원통(21)과, 상기 선별원통(21)의 수직벽에 형성된 다수 개의 선별슬릿(25) 및 상기 선별원통(21)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판(22)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슬릿(25)은 해태원초는 통과할 수 있고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판(22)는 선별원통(21)의 상단을 폐쇄한다.
상기 공기분사장치(30)는, 상기 선별원통(21)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관(31)과, 상기 공기공급관(31)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스크린(21)의 내측면에 형성된 선별슬릿(25)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분사노즐(36)과, 상기 공기공급관(31)의 하단과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펌프(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압축펌프(35)는 상기 프레임(1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선별스크린(2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선별원통(21)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덮개판(22)에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31)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수조(10)의 한 부분에는 해태원초와 해수가 유입되는 원초유입구(51)가 형성되고, 상기 원초유입구(51)에는 해태원초와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초공급펌프(55)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선별원통(21)의 하부에는 상기 선별슬릿(25)을 통과한 해태원초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원초체류조(39)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초체류조(39)의 하부에는 상기 원초체류조(39) 내의 해태원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해태배출펌프(65)가 설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장치(1)는, 상기 구동모터(42), 공기압축펌프(35), 원초공급펌프(55), 해태배출펌프(6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원초공급펌프(55)가 작동하여, 상기 선별수조(10)의 내부로 해태원초와 해수를 공급하여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해태배출펌프(65)를 작동시켜서 상기 원초체류조(39)와 선별원통(21) 내부(29)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선별원통(21) 내부의 부압에 의해 상기 선별수조(10) 내의 해태원초와 해수가 상기 선별원통(21)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해태원초는 상기 선별스크린(20)의 선별슬릿(25)를 통과하여 상기 선별원통(21)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해태배출펌프(65)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으나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스크린(25)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선별수조(10)의 내부(19)에 잔류하고 이물질 중 일부는 상기 선별슬릿(25)에 끼이거나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42)가 작동하면, 상기 선별원통(21)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선별원통(2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선별원통(21)의 외주면에 원심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선별원통(21)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되게 된다.
이어, 상기 공기압축펌프(35)가 작동하면, 상기 공기압축펌프(35)에서 만들어지는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관(31)을 통해 다수 개의 분사노즐(36)로 공급되고, 상기 분사노즐(36)은 상기 선별원통(21)에 형성된 다수 개의 선별슬릿(25)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그러면 분사되는 압축공기나 고압수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선별원통(21)의 선별슬릿(25)에 걸려있던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장치(1)는, 상기 선별스크린(20)과 해태배출펌프(65)를 이용해 해태원초 선별작업을 일정 시간 진행하면,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이 선별슬릿(25)에 끼거나 선별원통(21)의 외측면에 부착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별슬릿(25)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끼거나 선별원통(21)의 외측면에 이물질과 해태원초가 부착되게 되면, 해태원초가 선별슬릿(25)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해태원초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해태원초 선별작업을 진행하는 동시에 상기 선별원통(21)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별원통(21)의 외측면에 해태원초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선별원통(21)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분사장치(30)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나 고압수를 상기 선별슬릿(25)으로 분사하여 상기 설별슬릿(25)에 끼여있는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해태원초 선별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수조(10)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19)이 형성되는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별수조(10)는 일정 크기의 바닥판(11)과 이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측면판(12)을 포함하고, 상단에는 상판(13)이 설치된다.
상기 선별수조(10)의 측면판(12)에는 해태원초와 해수가 유입되는 원초유입구(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초유입구(51)에는 공급호스(52)가 연결되고, 상기 공급호스(52)에는 원초공급펌프(55)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원초공급펌프(55)에는 2웨이 전자밸브(56)를 통해 원초공급호스(53)와 해수공급호스(5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원초유입구(51)에는 해태원초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원초절단기(53)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별수조(10)의 바닥판(11)에는 도시되지 않는 청소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선별수조(10)의 내부에는 선별원통(2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선별원통(2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지름을 갖는 금속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수직벽에는 해태원초는 통과할 수 있고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다수 개의 선별슬릿(25)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선별슬릿(25)은 선별원통(2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별슬릿(25)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연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선별슬릿(2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금속 원통이 상기 선별슬릿(25)을 중심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선별원통(21)의 내측 면에는 상기 선별슬릿(25)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분사홈(26)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홈(26)은 상기 분사노즐(36)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나 고압수를 상기 선별슬릿(25)으로 안내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홈(26)은 상기 선별슬릿(25) 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별원통(21)의 상단과 하단에는 확대된 두께나 폭을 갖는 플랜지부(21a)(21b)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1a)(21b)는 상기 선별원통(21)의 내측면을 일정 깊이로 깍아내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원통(21)의 상단에는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덮개판(22)이 설치된다. 상기 덮개판(22)은 선별원통(21)의 상부플랜지부(21a)에 형성된 체결공(24a)에 체결볼트(24)를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2)의 중심에는 회전축(41)이 관통하는 관통홀(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관통홀(22a)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2)은 상기 회전축(41)의 외주면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선별원통(21)의 하단에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링형 부시(28)가 설치된다. 상기 링형 부시(28)는, 마찰력이 매우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링형 플라스틱의 상면에 상기 선별원통(21)의 하부플렌지부(21b)가 밀접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 가이드홈(28a)이 형성된다. 상기 링형 부시(28)는 선별원통(21)의 하단과 상기 선별수조(10)의 바닥판(1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선별원통(2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선별원통(21)의 하단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1)이 회전하면, 상기 선별원통(21)은 상기 링형 부시(28)의 가이드홈(28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선별원통(21)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선별수조(10)의 바닥판(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회전축(41)의 하단과 상기 바닥판(11) 사이에는 원형 부시(48)가 설치된다. 상기 원형 부시(48)는 마찰력이 매우 적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41)의 단부가 밀접하게 삽입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형 가이드홈(4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2)의 상면에는 상기 덮개판(22)의 관통홀(24)을 관통한 회전축(4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6)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1)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부재(46)에 의해 고정된 상기 덮개판(22)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수조(10)의 상단에는 상판(13)이 설치된다. 상기 상판(13)은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은 선별수조(10)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3)의 중심에는 회전축(41)이 관통하는 관통홀(4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4)의 상부에는 회전축(41)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베어링(4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1)의 상단은 소정의 커플링(45)을 통해 구동모터(42)의 구동축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2)가 작동되면, 상기 회전축(41)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41)이 회전하면 상기 덮개판(22)과 선별원통(2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1)은 원형 부시(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선별원통(21)은 링형 부시(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지되므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선별원통(21)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관(31)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공기공급관(3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원통(21)의 높이에 대응하거나 다소 낮은 높이를 갖는 중공 관으로서, 상기 선별원통(21)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그 하단은 상기 바닥판(11)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관(31)의 외측면 즉, 상기 선별원통(21)의 내측면을 바라보는 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개의 분사노즐(36)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 개의 분사노즐(36)은 상기 선별원통(2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분사홈(26)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31)의 하단은 소정의 공기공급호스를 통해 공기압축펌프(35)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압축펌프(35)가 작동하면, 상기 공기공급관(31)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다수 개의 분사노즐(36)을 통해서 상기 분사홈(26)으로 분사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별원통(21)의 하부에는 일정한 크기로 원초체류조(3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초체류조(39)의 하부에는 해태원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해태배출펌프(6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원통(21)을 지지하는 바닥판(11)에는 상기 선별원통(21)과 원초체류조(39)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6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원초공급펌프(55)가 작동되면, 해태원초가 상기 선별수조(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해태원초와 해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거나 주기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밸브(56)를 이용해서 해태원초와 해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수조(10)의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해태원초가 채워지면, 상기 해태배출펌프(65)가 작동되고, 상기 해태배출펌프(65)가 작동되면, 상기 원초체류조(39)와 선별원통(21) 내부(29)에 부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원통(21) 내부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상기 선별수조(10) 내의 해태원초가 선별원통(21)의 내부로 흡입되게 된다. 그러면, 해태원초는 상기 선별원통(21)의 선별슬릿(25)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지만, 이물질은 상기 선별슬릿(25)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선별수조(10)의 내부에 잔류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원통(21)으로 유입된 해태원초는 바닥판(11)에 형성된 연결통로(61)를 통해 상기 원초체류조(39)로 내려가고 상기 원초체류조(39) 내의 해태원초는 해태배출펌프(65)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반면에 상기 선별슬릿(25)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의 일부는 상기 선별슬릿(25)에 끼이거나 걸린다. 그런데 상기 선별슬릿(25)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끼이면, 상기 선별슬릿(25)이 막혀서 해태원초 선별작업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모터(42)를 작동하면, 상기 선별원통(21)이 상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선별원통(21)의 외주면에 원심력이 발생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선별원통(21)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선별수조(10)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2)는 이물질 선별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작동되거나 주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공기압축펌프(35)가 작동되면, 상기 공기압축펌프(35)에서 만들어진 압축공기가 공기공급관(3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31)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36)을 통해 상기 선별원통(21)의 내측면에 형성된 분사홈(26)으로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분사홈(26)으로 분사된 압축공기나 고압수는 선별슬릿(25)을 관통하면서 거기에 끼여있거나 걸려있는 이물질을 선별수조(10)쪽으로 분리시킨다. 끝으로 상기 선별수조(10)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상기 선별수조(10)에 설치된 청소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별원통에 형성된 다수 개의 선별슬릿을 통해 해태원초를 선별하는 동시에 상기 선별슬릿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설별슬릿(25)에 끼여있는 이물질을 압축공기나 고압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대용량 해태원초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마찰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장치(30)와 구동수단(40)이 선별원통(21)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선별수조의 용적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출원할 때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10: 선별수조
20: 선별스크린 21: 선별원통
22: 덮개판 25: 선별슬릿
26: 분사홈 30: 공기분사장치
31: 공기공급관 35: 공기압축펌프
36: 분사노즐 40: 구동수단
41: 회전축 42: 구동모터
55: 원초공급펌프 65: 해초배출펌프

Claims (7)

  1. 해태원초와 해수가 유입되는 일정 크기의 선별수조와;
    상기 선별수조의 내부로 해태원초와 해수를 공급하는 원초공급펌프와;
    상기 선별수조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선별원통과, 상기 선별원통의 수직벽에 해태원초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 다수 개의 선별슬릿과, 상기 선별원통의 상단에 고정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선별스크린과;
    상기 선별스크린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선별스크린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관과, 상기 선별원통에 형성된 상기 선별슬릿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관의 일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공기공급관의 하단과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펌프를 포함하는 공기분사장치와;
    상기 선별원통의 내부로 해태원초를 외부로 배출하는 해태배출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원통의 외측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선별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별원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선별슬릿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선별슬릿보다 큰 크기를 갖고 상기 선별슬릿과 연결되는 분사홈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홈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원통의 상단에는 확대된 두께를 갖는 상부플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렌지부에는 상기 덮개판을 고정하는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선별원통의 하단에는 확대된 두께를 갖는 하부플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렌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선별원통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링형 부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부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상기 하부플렌지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링형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 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 부시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이 밀접하게 삽입되는 원형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조는 일정한 크기의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선별원통에서 배출되는 해태원초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원초체류조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선별원통 내부의 해태원초가 상기 원초체류조로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수조의 하부에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원초공급펌프와 해태배출펌프 및 공기압축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200055122A 2020-05-08 2020-05-08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KR102419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22A KR102419384B1 (ko) 2020-05-08 2020-05-08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22A KR102419384B1 (ko) 2020-05-08 2020-05-08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21A true KR20210136621A (ko) 2021-11-17
KR102419384B1 KR102419384B1 (ko) 2022-07-08

Family

ID=7870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22A KR102419384B1 (ko) 2020-05-08 2020-05-08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0514A (zh) * 2022-03-10 2022-06-03 通道侗族自治县长界矿业有限公司 一种更高效的锑矿选矿用螺旋分级机
KR102631690B1 (ko) * 2022-12-30 2024-02-01 임준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660A (ja) * 1992-10-13 1994-05-06 Tsukasa Takebe 海苔異物分離除去装置
KR19980077571A (ko) 1997-04-21 1998-11-16 우석수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JPH11318399A (ja) * 1998-05-18 1999-11-24 Tsukasa Takebe 海苔異物除去装置
JP2000078961A (ja) * 1998-09-04 2000-03-21 Tsukasa Takebe 海苔異物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660A (ja) * 1992-10-13 1994-05-06 Tsukasa Takebe 海苔異物分離除去装置
KR19980077571A (ko) 1997-04-21 1998-11-16 우석수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JPH11318399A (ja) * 1998-05-18 1999-11-24 Tsukasa Takebe 海苔異物除去装置
JP2000078961A (ja) * 1998-09-04 2000-03-21 Tsukasa Takebe 海苔異物除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0514A (zh) * 2022-03-10 2022-06-03 通道侗族自治县长界矿业有限公司 一种更高效的锑矿选矿用螺旋分级机
KR102631690B1 (ko) * 2022-12-30 2024-02-01 임준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384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384B1 (ko)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US59518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material in a filter apparatus utilizing a suction generating nozzle
KR100733860B1 (ko)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CN102115916B (zh) 羽绒清洗机
US6379505B1 (en) Pulper
KR101370394B1 (ko) 협잡물 제거용 드럼 스크린
EP0674040B2 (fr) Procédé de désencrage de pâte à papier et appareil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US20210236965A1 (en)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to separate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KR102373892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KR100828314B1 (ko) 이물질 여과장치
CN202164391U (zh) 一种羽毛清洗机
KR100500567B1 (ko) 여과재 선별장치
KR102407793B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CN216440120U (zh) 一种化工产品生产用废料收集装置
KR200403564Y1 (ko)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DE102006018774B4 (de) Teile-Reinigungs- und Vereinzelungsmaschine
KR102188048B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125649B1 (ko) 해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1962428U (zh) 羽绒清洗机
KR20220099046A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CN206492727U (zh) 垃圾清洗机
KR200424042Y1 (ko) 김치 제조용 야채류 세척 장치
KR20020066896A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JPH11318397A (ja) 生海苔洗浄機及び生海苔洗浄方法
KR20240048733A (ko) 해태원초 이물질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