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501A -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501A
KR20210135501A KR1020217026755A KR20217026755A KR20210135501A KR 20210135501 A KR20210135501 A KR 20210135501A KR 1020217026755 A KR1020217026755 A KR 1020217026755A KR 20217026755 A KR20217026755 A KR 20217026755A KR 20210135501 A KR20210135501 A KR 2021013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juice
fruit
vegetables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 부르델라인
Original Assignee
포토-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토-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토-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 과일 또는 야채의 주스를 수집하도록 의도된 보울(6);
- 상기 과일 또는 상기 야채를 파괴하기 위한 부재(5)로서, 특히,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본 발명의 장치 내에 전체로 도입되는, 부재;
- 파괴 후 얻어진 과일 또는 야채의 요소를 분쇄하여, 그로부터 주스를 추출하도록 의도된 압착 부재; 및
- 압착 중 과일 또는 야채의 파괴로부터 발생되는 요소로부터 주스를 분리하도록 의도된 필터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파괴 부재는 상기 필터링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보울(6)에 의해 형성된 체적 내에 수용되는 단일 드럼(5)으로 형성된다. 이 드럼(5)은 회전된다. 상기 드럼은 상부 부분에 실제 파괴하는 기능적 영역을 형성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주스를 갖는 과일 또는 야채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외면을 가지며, 또한 필터로서 작용하는 기능적 영역으로 형성되는 하부 부분을 갖는다.
상기 압착 부재는 장치 내에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 코어(11)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 코어(11)의 외면은 워엄 스크류(12)를 형성하고, 워엄 스크류는, 필터로서 작동하는 상기 기능적 영역을 통한 주스의 반경방향 배출 및 상기 보울(6)에 주스의 수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상기 드럼(5)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과일 또는 야채의 파괴로부터 발생되는 요소를 상기 드럼의 바닥 부분 내로 이송하기에 적합한, 그리고 상기 요소를 드럼(5)의 바닥 부분에 대해 압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과일 또는 야채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록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사과, 배 등으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가정용으로 의도되었지만, 셀프 서비스에도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과일뿐만 아니라 특히 야채로부터도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문제의 과일을 절단하여, 일종의 펄프(pulp)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분쇄기, 및 이렇게 형성된 펄프로부터 주스를 추출할 수 있는 수직 또는 수평 축선을 갖는 전형적으로 회전하는 워엄 스크류(worm screw)로 형성되는 압착 부재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필터에 의해 워엄 스크류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압착 부재로부터 비롯되는 주스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또는 보울(bowl)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분쇄된 과일의 펄프는 회전하는 워엄 스크류에 의해 장치의 바닥 영역을 향해 가압되어, 과일 또는 야채 펄프로부터 주스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가 주서기(juicer)에 의해 작동되는 다른 종래 기술의 장치보다 더 효율적이지만, 그러나 이는 더 많은 단점을 갖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과일 전체를 분쇄할 수 있는 더 큰 직경의 워엄 스크류를 제공할 필요성이 언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장치는 이미 절단된 과일 조각만 허용한다. 과일 또는 야채 전체를 가공하고자 할 때, 워엄 스크류를 동작시키는 모터에 상당한 토크가 제공되어서, 특히 사과, 모과, 또는 감자의 경우 비교적 높은 내부 응집력을 가질 수 있는 과일 전체를 효과적으로 분쇄해야만 한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사과와 관련하여, 워엄 스크류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때, 분쇄된 사과는 공기와 접촉하는 상당한 표면적을 가지며, 이는 사과의 산화 프로세스를 가속화하여, 분쇄 및 필터링 후에 얻어지는 주스를 소비하기에는 부적합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
자동 분배 목적을 위한 이러한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경우에 있어서, 즉 셀프 서비스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장치는 두 가지 문제, 즉 상이한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장치의 소형화에 추가로 직면하게 된다.
최적화하기에 어려운 주스 추출 비율은, 종래 기술의 이들 준비의 구현으로부터도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과일 또는 야채의 분쇄 및 압착 작업 그리고 후속의 주스 추출 작업을 간소화하고, 그 후 이러한 장치를 형성하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장치의 소형화를 최적화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장치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그리고 종래 기술과는 반대로, 추출하고자 하는 주스를 갖는 과일 또는 야채는 분쇄되거나 절단되는 것이 아니라 강판으로 갈리며(grated), 한편으로는 주스를 추출하는 데 필요한 압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효과적인 압착을 보장하는 부재의 구동 토크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여기서 다시 종래 기술과는 반대로, 매우 통상적으로 구현되는 워엄 스크류의 회전을 갖는 대신에, 후자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그리고 파괴 부재(destructing member)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강판은 관련 필터와 함께 회전한다.
이들 상이한 구조 및 상호 고정 모드는 실제 장치를 상당히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이한 구성요소 부품의 보다 용이한 세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과일 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본 장치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
- 과일 또는 야채의 주스를 수집하도록 의도된, 전형적으로 원통형이거나 또는 절두원추형인(frustoconical) 보울(bowl),
-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파괴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는 본 발명의 장치 내에 전체로 도입되며,
- 파괴 후 얻어진 과일 또는 야채의 요소를 분쇄하여, 그로부터 주스를 추출하도록 의도된 압착 부재, 및
- 압착 중 과일 또는 야채의 파괴로부터 발생되는 요소로부터 주스를 분리하도록 의도된 필터링 부재를 포함하는 타입을 포함하며,
상기 파괴 부재는 필터링 부재에 고정되고, 이들 두 부재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상기 보울 내에 수용되는, 회전 대칭을 갖는 단일 드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 파괴 부재 및 필터링 부재를 형성하는 드럼은 전기 모터 또는 수동에 의한 회전으로 작동되며, 상기 드럼은 상부 부분에 실제 파괴하는 기능적 영역을 형성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주스를 갖는 과일 또는 야채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외면을 가지며, 또한 필터로서 작용하는 기능적 영역으로 형성되는 하부 부분을 가지며,
- 압착 부재는 장치 내에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 코어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는 회전 대칭을 갖고, 드럼의 회전 축선과 교락(交絡)되는(confounding) 회전 축선을 가지며, 중심 코어의 외면은, 실질적으로 나선형의 주변 채널을 형성하는 워엄 스크류를 형성하고, 워엄 스크류는, 필터를 통한 주스의 반경방향 배출 및 보울에 주스의 수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드럼의 회전으로 인해 과일 또는 야채의 파괴로부터 발생되는 요소를 상기 드럼의 바닥 부분 내로 이송하기에 적합한, 그리고 상기 요소를 상기 드럼의 바닥 부분에 대해 압착하기에 적합하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더 이상 분쇄 단계를 포함하지 않지만 그러나 추출하고자 하는 주스를 갖는 과일 또는 야채를 강판으로 가는 강판 단계(grating)를 포함하며, 이 강판 단계는 전형적으로 강판(grater)을 형성하는 상부 부분을 갖는 회전 드럼의 회전으로 인해 나타나며, 따라서 통상적으로 관통 개구로 천공되어 있고, 이 강판 작업으로 인한 필라멘트(filament)는 상기 드럼과 워엄 스크류 사이에 형성된 체적 내로 낙하되고, 이들 필라멘트는, 드럼의 회전 및 워엄 스크류의 특정한 형상으로 인해, 필터로서 사용되는 드럼의 바닥 영역을 향해 구동되며, 상기 워엄 스크류의 특정한 형상으로 인해 그 레벨에서 상기 드럼의 내벽에 대해 필라멘트의 효과적인 압착이 수행되어, 주스를 추출하고 그 후 관련의 보울에 상기 주스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과일 또는 야채는 드럼 및 워엄 스크류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 내로 도입되지 않고, 파괴하는 기능적 영역의 레벨에서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과일이나 야채를 더 작은 크기로 미리 절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강판과 필터 모두를 형성하는, 경우에 따라서는 드럼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의 독특함은 따라서 장치의 부품 수를 제한한다. 이 드럼은 전기 구동 샤프트의 레벨로 스냅 동작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세척을 쉽게 하기 위해 드럼으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동시에, 워엄 스크류는 절두원추형 형상인 경우에도 스냅에 의해, 나사에 의해, 또는 상호 로킹에 의해 상부 부분의 보울 상에 부착 및 고정되므로, 세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보울은 과일 또는 야채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enclosure)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 인클로저에는 과일 또는 야채가 강판으로서 사용되는 드럼의 상부 및 외벽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레벨로, 적어도 하나의 포트 또는 관통 창(through window)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이 인클로저에는, 상기 인클로저 내에 도입된 과일 또는 야채가 단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강판과 접촉하는 경향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포트를 향해 경사진 바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포트 또는 관통 창 근처에 위치된 인클로저의 측벽의 적어도 내면의 일부에는, 과일 또는 야채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이는 전형적으로 상기 인클로저에 의해 형성된 체적을 향해 돌출하는 수직 홈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강판 작업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드럼의 회전에 의해 강판에 대해 과일 또는 야채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이점은 이제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특정 실시예의 이하의 비제한적인 설명에서 논의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간소화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시상 횡단면(sagittal cross-section)의 간소화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간소화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의 간소화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에 구현된 드럼의 간소화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장치에 구현된 보울의 베이스의 간소화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장치의 하부 베이스의 간소화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주스 추출 장치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사시도 및 시상 횡단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본 장치는 셀프 서비스에서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의도된다. 필요하다면, 통상적인 음료 자판기 등에서 구현되는 타입의 지불 수단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개시된 장치는 사과 전체로부터 사과 주스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의도된다.
기본적으로, 본 장치는 이하에 기재되는 많은 요소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의도된 베이스(2)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수직 샤프트(4)를 갖는 통상적인 전기 모터(3)를 통합한 베이스(1)를 포함한다.
이 모터(3)는 드럼(5)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 기재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하도록 의도된다.
베이스(2)는 먼저 주스를 수집하기 위한 보울(6)을 수용하며, 사과 전체로부터 비롯되는 경우에는 상부 수용 인클로저(7)의 레벨로 도입된다. 이 인클로저(7) 및 보울(6)은 일체형인 것이 유리하며, 그리고 전형적으로 몰딩에 의해 또는 다르게 플라스틱 재료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주스 수집 보울(6)은, 경우에 따라서는, 원통형 형상 또는 상향으로 벌어진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사과인 경우에, 과일의 파괴는 도 3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강판을 형성하는 절단 톱니(cutting teeth)에 의해 보장되며, 이는 실제로 드럼(5)의 상부 부분(9)을 형성한다.
기재된 예에 있어서, 드럼(5)은 실질적으로 상향으로 벌어진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이는 스플라인 샤프트 상에 수직으로 상호 로킹됨으로써 구동 샤프트(4)의 레벨로 가역적으로 부착되어, 회전을 보장한다.
특히 도 2 및 도 3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5)은 회전 축선으로서 보울(6)의 회전 대칭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드럼(5)의 바닥 부분은 필터(10)를 형성하며, 이 필터는 이하에 기재되는 중심 코어(11)의 작용 하에서 상기 필터의 내벽에 대해서의 압착 작동 후에, 사과 및 주스를 파괴함으로써 형성되는 장치 어셈블리의 하부 영역에서의 필터링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드럼(5)은 2개의 독특한 영역, 즉 강판으로서 사용되는 상부 영역(9) 및 필터로서 사용되는 바닥 영역(10)을 각각 가지며, 2개의 영역은 서로 연속적이다. 이렇게 형성된 드럼의 활성 영역은 전형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 따라서 이들 영역은 쉽게 세척될 수 있다. 이들 차별화된 영역은 전형적으로 절단, 펀칭, 성형 및 용접을 통해 얻어진다.
먼저 사과의 강판 작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필라멘트를 압착 영역을 향한, 즉 드럼(5)의 바닥 영역을 향한 진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또한 고정되어 있는, 즉 회전하지 않는, 중심 코어(11)를 가지며, 그리고 중심 코어는 회전 대칭을 갖고, 드럼(5)의 회전 축선과 교락되는 회전 축선을 가지며, 그리고 워엄 스크류(12)를 형성하는 외면을 갖는다. 코어(11)의 외부 쉘(shell)은 또한 실질적으로 상향으로 벌어진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또한 이를 형성하는 측벽이 드럼(5)의 2개의 기능적 영역(9, 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코어(11)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용 인클로저(7) 상에 상호 로킹된 상부 커버(17)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수용 인클로저(7)의 상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이미드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코어(11)의 외면에 형성된 워엄 스크류(12)는, 과일 수용 인클로저(7)의 기재된 예의 형상이 반시계 방향으로 주어진 경우에, 드럼(5)의 회전으로 인해, 사과의 강판 작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필라멘트를 장치의 바닥 영역을 향해 이송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의 하부 영역을 향한 상기 필라멘트의 진행 속도는 워엄 스크류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상기 워엄 스크류에 의해 형성된 나선의 톱니의 피치 및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코어(11)의 상부 부분에서는, 워엄 스크류에 의해 부여된 비율이 강판(9)에 의한 필라멘트의 생성 비율보다 더 크도록 결정되며, 이는 강판 작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필라멘트를 압착을 피하면서 바닥 부분을 향해 변위시킨다. 그러나 바닥 부분에서는, 워엄 스크류에 의해 부여된 비율이 감소되고, 이는 드럼(5)의 필터링 영역(10)에 대해 필라멘트의 압착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워엄 스크류(12)는 상부 부분에 90 ㎜의 피치 및 8 mm의 깊이를 갖는 2개의 나선으로 형성된다. 피치는 장치의 바닥 부분에서 50 ㎜로 감소되고, 나선의 깊이는 4 ㎜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필라멘트가 장치의 바닥 영역의 레벨에 도달했을 때, 그리고 전형적으로 보울(6)과 수직인 상태에 있어서, 필터링 영역(10)의 레벨에서 코어(11)와 드럼(5)의 내벽의 협력은, 상기 필라멘트의 압착을 발생시키며, 당연한 결과로서 필터를 가로질러 보울(6)에 수집될 수 있는 주스의 추출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과일 수용 인클로저(7)는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를 형성하는 다른 요소의 회전 대칭 축선에 센터링된, 코일형 벌루트(volute)의 형상인 2개의 로브(lobe)(13, 14)를 갖는다. 2개의 벌루트는 드럼의 상부 영역(9)의 레벨에 도달하며, 이들은 이 레벨에서 사과와 상기 드럼의 기능적인 강판 영역과 협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관통 창을 통해 각각 나온다. 기재된 예에서는, 2개의 로브의 존재로 인해, 장치는 2개의 사과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루트(13, 14)의 내벽의 일부에는, 드럼(5)의 회전으로 인해, 사과의 차단 및 강판을 형성하는 드럼의 상부 부분(9)에 대한 지지를 유도하고 그리고 이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의 돌출 홈(15)이 제공된다. 또한, 도 2에서 잘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 인클로저(7)의 하부 베이스 또는 바닥(16)은 드럼(5)을 향해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더 이상 사과 수용 인클로저 내로 손을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과의 파괴 및 주스의 생성을 최적의 안전 상태로 달성하기 위해 수동 작업 또는 추가의 푸셔(pusher)에 대한 필요성이 없어지며, 단지 중력, 수용 인클로저(7)의 특정 형상, 및 홈 또는 수직 리지(ridge)(15)의 존재가 강판(9)과 접촉하는 과일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자동으로 유도한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안전을 최적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과일을 인클로저(7) 내로 도입할 수 있게 있지만 그러나 드럼(5)의 기능적 영역 또는 강판(9)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된 영역(18)은 제외하고는, 수용 인클로저(7)를 완전히 덮는 상부 커버(17)를 포함한다. 커버는 인클로저(7)와 커버(17)를 협지하는(sandwich) 회전 래치(20)에 의해 수용 인클로저(7) 상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래치는, 도구 없이 드럼(5)으로부터 커버(17)의 급속한 분리 및 인클로저(7)와 보울(6)의 일체형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하여, 용이한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드럼(5), 코어(11), 및 베이스(2) 상에 수용 인클로저(7)와 보울(6)을 형성하는 어셈블리의 고정 모드로 인해, 제거 및 그에 따른 세척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드럼(5)의 내벽으로부터 코어(11)의 외면을 분리하는 체적이 특히 감소되기 때문에, 강판 작업으로부터 발생되어 공기와 접촉하기 쉬운 사과 필라멘트의 표면적 또한 감소되며, 따라서 압착 프로세스가 중단되는 경우라도 이들 필라멘트의 산화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라, 보울(6)의 하부 베이스는 원형 주둥이(21)를 형성하며, 이는 예를 들어 컵을 수용하는 영역을 향해 주스를 수집하고 채널링하기 위해, 상기 주둥이에 형성된 오리피스(22)에 의해 부재(19)와 연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 드럼(5)의 바닥 플랜지(23)에는 주스가 추출된 과일 펄프를 배출하기 위한 관통 개구(24)가 제공된다(도 5 참조). 워엄 스크류(12)에 의해 여전히 가압되고 있는 펄프는 보울(6)의 하부 및 중심 부분에 형성된 2개의 다른 구멍(25)을 통해 계속 이동하여(도 7 참조), 보울의 외측으로 배출되며, 그 후 이를 수집 탱크 내로 구동시키는 2개의 주둥이(26)에 의해 수집된다.
유리하게는, 보울(6)의 바닥에 형성된 주스 배출 오리피스(22) 및 펄프 배출 오리피스(25)는, 주스 및 펄프 배출 단계 중 주스와 펄프의 혼합을 피하기 위해, 보울 및 드럼의 바닥 플랜지로부터 비롯되어 배플(baffle)을 형성하는 벽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파괴된 과일의 더 나은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도 5에서 잘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럼(5)에는 내벽 상에 돌출된 반경방향 리브(27)가 제공된다.
상이한 구성요소 부품, 보다 구체적으로는 워엄 스크류 형상의 외면을 갖는 중심 코어의 세척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강판 및 필터 그리고 마지막으로 과일 전체의 수용 인클로저와 일체형을 유리하게 형성하는 보울의 이중 기능을 각각 보장하는 드럼 때문에, 특히 셀프 서비스에서, 먼저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인해 특히 사과, 배, 모과 등, 또는 심지어 감자와 같은 과일 및 야채로부터 주스 추출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장치의 이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작은 크기의 조각으로 미리 절단할 필요 없이 과일 또는 야채 전체를 가공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2)

  1.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서,
    - 과일 또는 야채의 주스를 수집하도록 의도된 보울(6);
    - 상기 과일 또는 상기 야채를 파괴하기 위한 부재(5, 9)로서, 특히, 상기 과일 또는 야채가 상기 장치 내에 전체로 도입되는, 부재;
    - 파괴 후 얻어진 과일 또는 야채의 요소를 분쇄하여, 그로부터 주스를 추출하도록 의도된 압착 부재(5, 10, 11); 및
    - 압착 중 과일 또는 야채의 파괴로부터 발생되는 요소로부터 주스를 분리하도록 의도된 필터링 부재(5, 10)를 포함하고,
    상기 파괴 부재는 상기 필터링 부재에 고정되고, 이들 두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어셈블리는, 상기 보울 내에 수용되는, 회전 대칭을 갖는 단일 드럼(5)을 형성하며,
    - 상기 드럼(5)은 회전되며, 상기 드럼(5)은 상부 부분에 실제 파괴하는 기능적 영역(9)을 형성하고, 추출하고자 하는 주스를 갖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외면을 갖고, 또한 필터로서 작동하는 기능적 영역(10)으로 형성되는 바닥 부분을 가지며,
    -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장치 내에 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 코어(11)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 코어(11)는 회전 대칭을 갖고, 상기 드럼(5)의 회전 축선과 교락되는 회전 축선을 가지며, 상기 중심 코어(11)의 외면은, 실질적으로 나선형의 주변 채널을 한정하는 워엄 스크류(12)를 형성하고, 상기 워엄 스크류는, 필터로서 작동하는 상기 기능적 영역(10)을 통한 상기 주스의 반경방향 배출 및 상기 보울에 상기 주스의 수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상기 드럼(5)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과일 또는 상기 야채의 파괴로부터 발생되는 요소를 상기 드럼의 상기 바닥 부분 내로 이송하기에 적합한, 그리고 상기 요소를 상기 드럼(5)의 상기 기능적 영역(10)에 대해 압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괴 부재는 상기 드럼(5)의 상기 기능적 영역(9)을 형성하는 강판을 형성하는 절단 톱니로 형성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럼(5)에는, 내벽 상에, 파괴된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최적화된 형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리브(27)가 제공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베이스(2)를 포함하고, 그 레벨에서 상기 드럼(5) 및 상기 보울(6)이 가역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하고자 하는 주스를 갖는 상기 과일 또는 야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인클로저(7)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수용 인클로저에는 상기 과일 또는 상기 야채가 상기 드럼(5)의 상기 파괴하는 기능적 영역(9)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레벨로 적어도 하나의 포트 또는 관통 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 인클로저(7) 및 상기 보울(6)은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용 인클로저(7)에는 상기 포트 또는 관통 창을 향해 경사진 바닥(1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또는 관통 창의 근처에 위치된 상기 수용 인클로저(7)의 측벽의 적어도 내면의 일부에는, 상기 인클로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전형적으로 수직 홈(15)으로 형성되는, 상기 과일 또는 상기 야채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인클로저(7)는 상기 드럼(5) 및 상기 코어(11)의 회전 대칭 축선 상에 센터링된, 코일형 벌루트(volute)의 형상인 적어도 하나의 로브(lobe)(13, 14)를 가지며, 상기 벌루트는 상기 드럼(5)의 상기 기능적 영역(9)의 레벨에 도달하고, 그 레벨에서 벌루트는 포트 또는 관통 창을 통해 각각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0.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을 상기 인클로저(7) 내로 도입할 수 있게 하지만 그러나 상기 드럼(5)의 상기 기능적 영역 또는 강판(9)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된 영역(18)을 제외하고, 상기 수용 인클로저(7)를 완전히 덮는 상부 커버(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코어(11)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 워엄 스크류(12)는, 상기 장치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바닥 영역으로 감소하는 피치 및 깊이를 갖는 2개의 나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1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은 전기 모터(3)에 의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특히 수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또는 야채 전체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KR1020217026755A 2019-03-06 2020-03-05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KR20210135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2270A FR3093416B1 (fr) 2019-03-06 2019-03-06 Dispositif d’extraction du jus de fruits et/ou de légumes
FR1902270 2019-03-06
PCT/EP2020/055853 WO2020178386A1 (fr) 2019-03-06 2020-03-05 Dispositif d'extraction du jus de fruits et/ou de legu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501A true KR20210135501A (ko) 2021-11-15

Family

ID=6726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755A KR20210135501A (ko) 2019-03-06 2020-03-05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34489B1 (ko)
JP (1) JP2022522734A (ko)
KR (1) KR20210135501A (ko)
CN (1) CN113490441B (ko)
FR (1) FR3093416B1 (ko)
WO (1) WO2020178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2533A1 (fr) * 2020-12-10 2022-06-16 Photo-Me Limited Organe de destructuration et de pressage de jus de fruits ou de legumes
FR3117311B1 (fr) * 2020-12-10 2022-12-23 Photo Me Ltd Dispositif de production de jus a partir de fruits ou de legumes entiers
FR3117382B1 (fr) * 2020-12-10 2022-12-23 Photo Me Ltd Organe de destructuration et de pressage de jus de fruits ou de legumes
FR3117312B1 (fr) * 2020-12-10 2022-12-23 Photo Me Ltd Dispositif pour la production de jus de fruits ou de legumes entiers
FR3121015B1 (fr) 2021-03-29 2023-03-24 Photo Me Ltd Dispositif d’evacuation de la mousse susceptible de se former lors de la realisation d’un jus de fruits ou de legum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1710A (ja) * 1981-10-09 1983-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ジユ−サ−
JPS58190919U (ja) * 1982-06-14 1983-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ジユ−サ
CN2253613Y (zh) * 1996-04-23 1997-05-07 郑荣源 果菜豆浆机自动除渣改良结构
WO2005099531A1 (en) * 2004-04-19 2005-10-27 Breville Pty Limited Juicer feed tube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GB2454673A (en) * 2007-11-14 2009-05-20 Dyson Technology Ltd Domestic Appliance
TWI411405B (zh) * 2009-06-30 2013-10-11 Young Ki Kim 榨汁機
KR101291738B1 (ko) * 2011-09-09 2013-07-31 김영기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1278596B1 (ko) * 2010-11-05 2013-06-25 김영기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1270140B1 (ko) * 2012-11-09 2013-05-3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278889B1 (ko) * 2012-12-13 2013-06-26 김영준 멀티 원액기
KR101343599B1 (ko) * 2013-05-27 2013-12-20 김재원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KR101343601B1 (ko) * 2013-06-07 2013-12-20 김재원 착즙 주서기
CN104586229B (zh) * 2015-01-13 2016-09-14 东莞市福是多电器有限公司 双层网磨压机构及双层网磨压榨汁机
US10045663B2 (en) * 2014-11-13 2018-08-14 Dongguan Fushiduo Electrics Co., Ltd. Double-screen grinding mechanism and double-screen grinding juicer
FR3042396B1 (fr) * 2015-10-20 2018-05-04 Santos Appareil electrique de pre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4489A1 (fr) 2022-01-12
WO2020178386A1 (fr) 2020-09-10
FR3093416B1 (fr) 2021-12-17
CN113490441B (zh) 2022-08-02
JP2022522734A (ja) 2022-04-20
FR3093416A1 (fr) 2020-09-11
EP3934489B1 (fr) 2023-06-07
CN113490441A (zh)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5501A (ko)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US6135019A (en) Filter assembly for a blender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101343599B1 (ko)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US7954425B2 (en) Grating disk for food processor
KR101226441B1 (ko) 주스 착즙기
KR101496295B1 (ko) 착즙기
KR101470323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12312808B (zh) 食物制备装置
TWM473791U (zh) 榨汁機與用於榨汁機的硏磨座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WO2020239031A1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KR20180002167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101170618B1 (ko) 과일분쇄장치
KR200392592Y1 (ko) 주스제조기용 절단부재의 구조
KR20120032955A (ko) 일체화 가능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서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