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130A - 고정성 여과재 - Google Patents
고정성 여과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5130A KR20210135130A KR1020200053456A KR20200053456A KR20210135130A KR 20210135130 A KR20210135130 A KR 20210135130A KR 1020200053456 A KR1020200053456 A KR 1020200053456A KR 20200053456 A KR20200053456 A KR 20200053456A KR 20210135130 A KR20210135130 A KR 202101351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 sub
- water
- filtered
- fixed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6 dissolved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69 microbial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ammoniacal nitr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성 여과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민물 장어 양식장의 여과대상수 내에 포함된 슬러지를 흡착 및 분해하고, 무산소 조건에서 여과대상수 내의 암모니아를 탈기시킬 수 있는 고정성 여과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망상으로 형성된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구비하고, 복수를 서로 중첩 및 적층함으로써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통해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서로 중첩 및 적층된 메인망체들 사이에 일정 크기의 틈이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에 흡착되어 뭉쳐진 슬러지에 의해 여과대상수가 고정성 여과재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 및 여과대상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망상으로 형성된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구비하고, 복수를 서로 중첩 및 적층함으로써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통해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서로 중첩 및 적층된 메인망체들 사이에 일정 크기의 틈이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에 흡착되어 뭉쳐진 슬러지에 의해 여과대상수가 고정성 여과재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 및 여과대상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성 여과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민물 장어 양식장의 여과대상수 내에 포함된 슬러지를 흡착 및 분해하고, 무산소 조건에서 여과대상수 내의 암모니아를 탈기시킬 수 있는 고정성 여과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산물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는 반면, 어획 자원이 크게 줄어들면서 어획량이 점점 감소 단계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 도달해 있다.
이의 대안으로, 수산 양식 정화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 기술의 핵심은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화학적 처리제, 사료 찌꺼기, 배설물 등으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양식장은 어류의 대사활동으로 인한 배설물과 유실된 사료에 의해 발생된 오염물질이 공공수역인 하천 및 오수, 연안의 오염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부영양화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다수 공지되어 있는데. 특히 등록특허 제10-0610589호의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시스템"에서는 제1생물막 여과조, 오존반응조, 제2물막 여과조, 오존탈기조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간접 폭기에 의해 하향류로 배출수의 흐름을 조정하여, 침적상태인 다공성 여재를 포함하는 제1생물막 여과조와 제2생물막 여과조를 통해 잔존부유물 및 용존 유기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공성 여재에는 부유물의 여과와 함께 여재 표면에서 미생물 대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다공성 여재에 부유물과 잉여 미생물 슬러지가 계속 증가하며, 이것이 지속되면 다공성 여재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수질이 나빠지고 다공성 여재에 의한 압력손실이 유발되어 처리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다공성 여재에 쌓인 부유 고형물인 슬러지를 제거하는 역세척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데, 다공성 여재의 재사용을 위해 세척작업을 하는 경우, 세척과정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러지의 흡착 및 분해와 암모니아 탈기를 위한 여과제에 망상으로 형성된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구비하고, 복수를 서로 중첩 및 적층함으로써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통해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고정식 여과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여과재에 흡착되어 뭉쳐진 슬러지에 의해 여과대상수가 고정성 여과재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 및 여과대상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여과재의 세척 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고정식 여과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여과대상수가 수용되는 여과조 내에 침지 및 복수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를 흡착하여 분해하고, 여과대상수 내의 암모니아를 탈기시키기 위한 고정성 여과재에 있어서, 여과대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복수의 메인홀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홀들 사이의 영역에 각각 여과대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서브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여과대상수가 통과 및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으로 형성된 메인망체와; 상기 베이스의 타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홀들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며, 여과대상수가 통과 및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으로 형성된 서브망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망체는 상기 메인홀 내주면의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지점으로 각각 연장되어 특정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메인패턴부와, 상기 제1메인패턴부와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인패턴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메인패턴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메인패턴부와, 상기 제1메인패턴부와 상기 제2메인패턴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메인패턴부에 대해 상기 제2메인패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망체의 제1지지리브는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를 서로 중첩시킬 때, 일 측 메인망체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타 측 메인망체의 제1지지리브가 일 측 망체의 제1지지리브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패턴부 및 상기 제2메인패턴부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망체는 상기 서브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패턴부와, 상기 베이스와 서브패턴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서브패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와 먼 측의 상기 메인망체와 상기 서브망체 각각의 단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게 개방되고,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상기 여과조 내에서 현수시킬 수 있도록 현수용 로프가 통과되며, 상기 매인홀과 상기 서브홀 각각에 동심을 이루는 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망상으로 형성된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구비하고, 복수를 서로 중첩 및 적층함으로써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를 통해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서로 중첩 및 적층된 메인망체들 사이에 일정 크기의 틈이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메인망체 및 서브망체에 흡착되어 뭉쳐진 슬러지에 의해 여과대상수가 고정성 여과재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 및 여과대상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무산소 조건에서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의 메인망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의 서브망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들을 중첩되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들을 중첩되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의 메인망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의 서브망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들을 중첩되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들을 중첩되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는 여과대상수가 수용되는 여과조(10) 내에 침지 및 복수가 서로 중첩 및 적층된 형태로 설치되어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를 흡착하여 분해하고, 여과대상수 내의 암모니아를 무산소 조건에서 탈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110)와, 메인망체(130)와, 서브망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는 도 1,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용 로프(30)에 의해 복수가 중첩되고, 여과조(10) 상단에 거치된 거치파이프(20)에 현수용 로프(30)를 묶어 여과조(10) 내의 일정 위치에 현수된 상태로 설치된다.
베이스(110)는 여과대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복수의 메인홀(113)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홀(113)들 사이의 영역에 각각 여과대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서브홀(115)이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내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리부(111)를 구비하고, 고리부(111)들이 평면을 이루도록 동일 평면상에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며, 복수의 고리부(111)가 적어도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외접하도록 연결 및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110)에 형성된 메인홀(113)은 고리부(111)에 형성된 개구이고, 서브홀(115)은 고리부(111)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이다.
메인망체(130)는 베이스(11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컵 구조를 형성한다.
일 측의 메인망체(130)는 인접하는 타 측 메인망체(13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메인홀(113)의 내측 영역에만 형성되며, 여과대상수가 통과 및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 구조로 형성된다.
메인망체(130)는 제1메인패턴부(131)와, 제2메인패턴부(132)와, 제1지지리브(133)에 의해 망상 구조를 갖는다.
제1메인패턴부(131)는 메인홀(113) 내주면의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지점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연장리브(131A)를 통해 특정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메인패턴부(131)는 메인홀(113) 내주면의 서로 다른 5개의 각 지점으로부터 메인홀(1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양측에 인접하는 각각의 지점으로 연장된 5개의 연장리브(131A)를 통해 전체적으로 정오각형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각 연장리브(131A)는 중앙 부분이 메인홀(113)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메인패턴부(131)가 세부적으로 별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다.
각 연장리브(131A)를 메인홀(113)의 중앙 측으로 절곡함으로써 각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구조보다 연장리브(131A)의 길이를 소폭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러지의 흡착 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 분해 성능 및 무산소 조건 및 환경하에서의 암모니아 탈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메인패턴부(131)는 전체적으로는 오각형 세부적으로는 별형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으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2메인패턴부(132)는 제1메인패턴부(131)와 대응되는 패턴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메인패턴부(13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후술하는 복수의 제1지지리브(133)에 의해 제1메인패턴부(131)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 및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메인패턴부(132)는 2개가 구비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슬러지의 흡착 면적을 증가시켜 분해 성능 및 암모니아 탈기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그 이상의 수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리브(133)는 제1메인패턴부(131)와 제2메인패턴부(132)를 서로 연결하여 제1메인패턴부(131)에 대해 제2메인패턴부(132)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가 구비된다.
제1지지리브(133)는 도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 내부로 타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를 삽입하여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100)를 서로 중첩시킬 때, 일 측 메인망체(13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타 측 메인망체(130)의 제1지지리브(133)가 일 측 망체의 제1지지리브(13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메인패턴부(131) 및 제2메인패턴부(132)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더욱 상세하게 제1지지리브(133)는 제1메인패턴부(131) 및 제2메인패턴부(132)의 꺾인 지점의 내주면 측에 연결되어 제1메인패턴부(131) 및 제2메인패턴부(13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적어도 제1메인패턴부(131) 및 제2메인패턴부(132)의 가장자리와 동일하거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메인망체(130)의 제1지지리브(133)를 제1메인패턴부(131) 및 제2메인패턴부(132)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100)를 서로 중첩시켰을 때, 일 측의 메인망체(130)와 타 측의 메인망체(130) 사이에 일정한 틈이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메인망체(130)들 사이에 일정한 틈이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메인망체(130)들에 흡착된 슬러지가 일정 크기로 뭉쳐져도 고정성 여과재(100)들 사이로 여과대상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슬리지의 흡착 및 분해 성능과, 암모니아 탈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서브망체(150)는 메인망체(130)의 돌출 방향과 반대로 베이스(110)의 타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메인홀(113)들 사이의 영역 즉, 고리부(111)들 사이에 형성되며, 여과대상수가 통과 및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으로 형성된다.
서브망체(150)는 서브패턴부(151)와 제2지지리브(153)에 의해 망상 구조를 가진다.
서브패턴부(151)는 서브홀(11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홀(115)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1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서브패턴부(151)는 복수가 구비되며, 복수의 제2지지리브(153)에 의해 베이스(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 및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서브패턴부(151)는 2개가 구비된 것을 적용하였고, 서브홀(115)의 형상과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4개의 연장리브(151A)들로 구성된 것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각 연장리브(151A)는 제1메인패턴부(131)의 연장리브(131A)와 같이 중앙 부분을 서브홀(115)의 내측을 향해 절곡하여 4개의 날로 구성된 표창 모양을 이루도록 하였다.
서브패턴부(151)의 각 연장리브(151A)를 서브홀(115)의 중앙 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직선형 연장리브(131A)보다 그 길이를 소폭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러지의 흡착 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 분해 성능 및 암모니아 탈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서브패턴부(151)는 전체적으로는 사각형 세부적으로는 표창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으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2지지리브(153)는 베이스(110)와 서브패턴부(151)를 서로 연결하여 베이스(110)에 대해 서브패턴부(151)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가 구비된다.
제2지지리브(153)는 서브홀(115) 내주면의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서브패턴부(151)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는 베이스(110)와 먼 측의 메인망체(130)와 서브망체(150) 각각의 단부 즉, 제2메인패턴부(132)와 서브패턴부(151) 각각에 물이 통과할 수 있게 개방되고,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100)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여과조(10) 내에서 현수시킬 수 있도록 현수용 로프(30)가 통과되며, 매인홀과 서브홀(115) 각각에 동심을 이루는 통과홀(132A, 151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 하단에 타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 하단이 접하고, 타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서브망체(150) 하단에 또 다른 고정성 여과재(100)의 서브망체(150) 상단이 접하도록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100)를 상하로 중첩 및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중첩 및 적층된 고정성 여과재(100)들은 메인망체(130)에 구비된 통과홀(132A, 151B)에 현수용 로프(30)를 통과시킨 뒤 거치파이프(20)에 묶거나, 서브망체(150)에 구비된 통과홀(132A, 151B)에 현수용 로프(30)를 통과시킨 뒤 거치파이프(20)에 묶어 현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 내측에 타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가 삽입되고, 타 측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 내측에 또 다른 고정성 여과재(100)의 메인망체(130)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100)를 상하로 중첩 및 적층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리고, 중첩 및 적층된 고정성 여과재(100)들은 메인망체(130)에 구비된 통과홀(132A, 151B)에 현수용 로프(30)를 통과시킨 뒤 거치파이프(20)에 묶거나, 서브망체(150)에 구비된 통과홀(132A, 151B)에 현수용 로프(30)를 통과시킨 뒤 거치파이프(20)에 묶어 현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는 망상 구조로 형성된 메인망체(130) 및 서브망체(150)를 구비하고, 복수를 서로 중첩 및 적층함으로써 메인망체(130) 및 서브망체(150)를 통해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100)는 서로 중첩 및 적층된 메인망체(130)들 사이에 일정 크기의 틈이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메인망체(130) 및 서브망체(150)에 흡착되어 뭉쳐진 슬러지에 의해 여과대상수가 고정성 여과재(100)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 및 여과대상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흡착, 분해 및 암모니아 탈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여과조
100 : 고정성 여과재
110 : 베이스
111 : 고리부
113 : 메인홀
115 : 서브홀
130 : 메인망체
131 : 제1메인패턴부
132 : 제2메인패턴부
133 : 제1지지리브
150 : 서브망체
151 : 서브패턴부
153 : 제2지지리브
100 : 고정성 여과재
110 : 베이스
111 : 고리부
113 : 메인홀
115 : 서브홀
130 : 메인망체
131 : 제1메인패턴부
132 : 제2메인패턴부
133 : 제1지지리브
150 : 서브망체
151 : 서브패턴부
153 : 제2지지리브
Claims (5)
- 여과대상수가 수용되는 여과조 내에 침지 및 복수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를 흡착하여 분해하고, 여과대상수 내의 암모니아를 탈기시키기 위한 고정성 여과재에 있어서,
여과대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복수의 메인홀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홀들 사이의 영역에 각각 여과대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서브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여과대상수가 통과 및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으로 형성된 메인망체와;
상기 베이스의 타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홀들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며, 여과대상수가 통과 및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으로 형성된 서브망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성 여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망체는
상기 메인홀 내주면의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지점으로 각각 연장되어 특정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메인패턴부와,
상기 제1메인패턴부와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인패턴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메인패턴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메인패턴부와,
상기 제1메인패턴부와 상기 제2메인패턴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메인패턴부에 대해 상기 제2메인패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성 여과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망체의 제1지지리브는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를 서로 중첩시킬 때, 일 측 메인망체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타 측 메인망체의 제1지지리브가 일 측 망체의 제1지지리브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패턴부 및 상기 제2메인패턴부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성 여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망체는
상기 서브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패턴부와,
상기 베이스와 서브패턴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서브패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성 여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먼 측의 상기 메인망체와 상기 서브망체 각각의 단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게 개방되고, 복수의 고정성 여과재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상기 여과조 내에서 현수시킬 수 있도록 현수용 로프가 통과되며, 상기 매인홀과 상기 서브홀 각각에 동심을 이루는 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성 여과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456A KR102455796B1 (ko) | 2020-05-04 | 2020-05-04 | 고정성 여과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456A KR102455796B1 (ko) | 2020-05-04 | 2020-05-04 | 고정성 여과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5130A true KR20210135130A (ko) | 2021-11-12 |
KR102455796B1 KR102455796B1 (ko) | 2022-10-17 |
Family
ID=7849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456A KR102455796B1 (ko) | 2020-05-04 | 2020-05-04 | 고정성 여과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5796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37490A (ja) * | 1992-02-25 | 1993-09-17 | Nippon Kentetsu Co Ltd | 生物接触濾材 |
JPH08257589A (ja) * | 1995-03-24 | 1996-10-08 | Ngk Insulators Ltd | 硝化脱窒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硝化脱窒方法 |
KR200251890Y1 (ko) * | 2001-07-12 | 2001-11-17 | 안덕원 | 미생물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용 여재 |
KR200292231Y1 (ko) | 2002-07-15 | 2002-10-18 | 주식회사 대일환경공사 | 암면 메디아를 이용한 양식장 배출수의 순환 여과 처리장치 |
KR20040000115A (ko) * | 2002-06-24 | 2004-01-03 | 주식회사 동우기업 | 폐어망(미생물막 여재)을 이용한 오. 폐수 정화 처리방법및 그 장치 |
KR100610589B1 (ko) | 2005-04-13 | 2006-08-09 | 허목 |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시스템 |
KR101444206B1 (ko) | 2014-06-12 | 2014-10-08 | 대한민국 |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
KR101594822B1 (ko) | 2015-11-03 | 2016-02-17 | 박서현 |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용 슬러지의 처리장치와 그 방법 |
KR101625669B1 (ko) * | 2015-05-04 | 2016-06-14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생물여과장치용 스트레이너 블럭 |
-
2020
- 2020-05-04 KR KR1020200053456A patent/KR1024557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37490A (ja) * | 1992-02-25 | 1993-09-17 | Nippon Kentetsu Co Ltd | 生物接触濾材 |
JPH08257589A (ja) * | 1995-03-24 | 1996-10-08 | Ngk Insulators Ltd | 硝化脱窒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硝化脱窒方法 |
KR200251890Y1 (ko) * | 2001-07-12 | 2001-11-17 | 안덕원 | 미생물을 이용한 오폐수처리용 여재 |
KR20040000115A (ko) * | 2002-06-24 | 2004-01-03 | 주식회사 동우기업 | 폐어망(미생물막 여재)을 이용한 오. 폐수 정화 처리방법및 그 장치 |
KR200292231Y1 (ko) | 2002-07-15 | 2002-10-18 | 주식회사 대일환경공사 | 암면 메디아를 이용한 양식장 배출수의 순환 여과 처리장치 |
KR100610589B1 (ko) | 2005-04-13 | 2006-08-09 | 허목 |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시스템 |
KR101444206B1 (ko) | 2014-06-12 | 2014-10-08 | 대한민국 |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
KR101625669B1 (ko) * | 2015-05-04 | 2016-06-14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생물여과장치용 스트레이너 블럭 |
KR101594822B1 (ko) | 2015-11-03 | 2016-02-17 | 박서현 |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용 슬러지의 처리장치와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5796B1 (ko) | 2022-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226272B2 (ja) | 水槽用の回転式生物ろ過システム | |
KR102455796B1 (ko) | 고정성 여과재 | |
CN204058201U (zh) | 一种养殖场污水净化器 | |
CN210367354U (zh) | 一种水体多层级复合净化装置 | |
CN1047483A (zh) | 滤材循环式污水净化方法及其装置 | |
CN209872691U (zh) | 除油除cod吸附降解的过滤复合池 | |
JP2004136187A (ja) | 浄化槽、浄化槽の使用方法 | |
KR100887760B1 (ko) |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 |
KR101124508B1 (ko) | 분리막 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JP2003200183A (ja) | 生物活性炭水処理装置 | |
KR20060082915A (ko) | 흡착기능과 입자제거 기능을 갖는 정수용 복합필터 및 그 제조방법 | |
JPH08117759A (ja) | 浄水装置 | |
KR101576087B1 (ko) | 교체가 용이한 상향류 여과장치 | |
JP2000176485A (ja) | 水流分散板及び該水流分散板を備えた静水域用浄化装置 | |
CN217202267U (zh) | 一种工业废水处理用曝气器 | |
CN212222749U (zh) | 一种a/o+mbr一体化污水处理设备 | |
KR102693779B1 (ko) | 오염원 제거 및 펜톤산화반응효율이 향상된 하수고도처리시스템 | |
JPH10165041A (ja) | 水槽の水を循環濾過するための濾過槽および濾過方法 | |
KR100249466B1 (ko) | 오수 정화용 접촉여재 | |
JPH07275876A (ja) | バクテリア培養式ろ過材 | |
CN214218415U (zh) | 一体化污水处理装置 | |
KR200264003Y1 (ko) | 정화조용락필터 | |
JP2002028642A (ja) | 含油廃水処理装置 | |
KR200221248Y1 (ko) | 중수 처리장치 | |
JP2004066134A (ja) | 排水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