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592A -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592A
KR20210134592A KR1020210150540A KR20210150540A KR20210134592A KR 20210134592 A KR20210134592 A KR 20210134592A KR 1020210150540 A KR1020210150540 A KR 1020210150540A KR 20210150540 A KR20210150540 A KR 20210150540A KR 20210134592 A KR20210134592 A KR 2021013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lamp
type tension
pin body
op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254B1 (ko
Inventor
진영선
김영일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5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2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의 사이에 배전선이 통과되고 애자측 방향으로부터 배전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전선을 협지하는 쐐기체가 구성되어져 있고, 클램프 본체의 애자측 단부에 애자측 고리가 형성되어져 있고, 쐐기체의 일측에는 쐐기측 고리가 형성된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에서, 클램프와 쐐기체의 협지를 해제시켜서 배전선을 제거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있어서, 애자측 고리에 삽입하기 위한 고정핀이 형성되는 고정핀 몸체와; 고정핀 몸체 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핀 몸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단에는 쐐기측 고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부가 형성된 이동핀과; 작업자의 스마트 스틱의 회전력을 고정핀 몸체에 대한 이동핀의 수평이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2 윔기어를 포함하고, 고정핀은 고정핀 몸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이동핀은 고정핀 몸체에 형성된 이동핀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타단은 이동핀이 고정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억제판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 2웜기어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APPARATUS FOR OPENING WEDGE TYPE CLAMP}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 내부에 협지된 쐐기체를 클램프로부터 인출시켜서 배전선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안전우선 및 인명존중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하여 배전선로 활선작업 방법이 직접 활선에서 스마트 스틱(Smart Stick) 활용 간접활선으로 이양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90년대 후반부터 본격 적용되기 시작한 직접활선의 경우, 배전선로에서 시행되는 거의 모든 작업에 대하여 활선공구 및 공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스마트 스틱을 활용하는 간접활선의 경우에는 스틱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작업종류에 상당한 제약이 있으므로 적용가능한 공법이 지극히 한정되어져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직접활선(Rubber-Glove공법)의 경우에는 22개 공종이 가능하고, 스마트 스틱을 활용한 간접활선의 경우에는 겨우 5개 공종만 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현행 스마트 스틱 활선공법으로는 기설치되어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를 개방하여 전선을 제거할 수 있는 공구나 공법은 전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867879호에 상세하게 기재된 바, 도 1을 통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는 배전선(8)을 클램프내부에 협지된 상태로 구속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 형상의 클램프부(4)가 구성되고, 그 클램프부(4)는 상부 클램프(10a)와 하부 클램프(10b)로 이루어지고, 그 클램프부(4)는 애자측 방향으로 클램프 본체(6)가 연장되게 구성된다.
상부 클램프(10a)와 하부 클램프(10b)의 사이에는 배전선(8)이 통과되고 애자측 방향으로부터 배전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전선(8)을 협지하는 쐐기체(12)가 구성되어져 있고, 클램프 본체(6)는 애자측 단부에 애자측 고리(14)가 형성되어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행 스마트 스틱 활선공법으로는 기설치되어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를 개방하여 전선을 제거할 수 있는 공구나 공법은 전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정전상태에서 전선을 제거하거나 또는 직접 활선공법으로 전선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상시 노출된 상태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67879호(2008.11.04 등록, 발명의 명칭: 쐐기형 클램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클램프 내부에 협지된 쐐기체를 클램프로부터 인출시켜서 배전선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는,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의 사이에 상기 배전선이 통과되고 애자측 방향으로부터 배전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전선을 협지하는 쐐기체가 구성되어져 있고, 클램프 본체의 애자측 단부에 애자측 고리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쐐기체의 일측에는 쐐기측 고리가 형성된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에서, 클램프와 쐐기체의 협지를 해제시켜서 배전선을 제거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자측 고리에 삽입하기 위한 고정핀이 형성되는 고정핀 몸체와; 상기 고정핀 몸체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핀 몸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단에는 쐐기측 고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부가 형성된 이동핀과; 작업자의 스마트 스틱(50)의 회전력을 상기 고정핀 몸체에 대한 이동핀의 수평이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2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몸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핀은 상기 고정핀 몸체에 형성된 이동핀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타단은 이동핀이 고정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억제판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 2웜기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핀 몸체의 하부에는 2개가 1조로 구성되고, 내부에 스마트 스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금구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금구 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전금구 수용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핀 몸체의 측방 상부에는 상기 제 2웜기어와 이동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웜기어 수용공간이 하면에 각설된 상부덮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금구는 일단에 제 1웜기어가 구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마트 스틱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O형 고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와 스마트 스틱을 통하여 작업자는 간접 활선공사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포함된 이동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포함된 고정핀 몸체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포함된 이동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포함된 고정핀 몸체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20)는 클램프의 소정부와, 쐐기체의 소정부에 각각 장치본체와 이동핀을 결합시키고, 그 장치본체와 이동핀이 스마트 스틱의 회전력에 의해 벌어지게 함으로써, 클램프 내부에 협지된 쐐기체를 클램프로부터 인출시켜서 배전선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20)는 상부 클램프(10a)와 하부 클램프(10b)의 사이에 배전선(8)이 통과되고 애자측 방향으로부터 배전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전선(8)을 협지하는 쐐기체(12)가 구성되어져 있고, 클램프 본체의 애자측 단부에 애자측 고리(14)가 형성되어져 있고, 쐐기체(12)의 일측에는 쐐기측 고리(16)가 형성된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에서, 클램프와 쐐기체(12)의 협지를 해제시켜서 배전선(8)을 제거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20)는 고정핀 몸체(32)와, 회전금구 수용체(22a,22b)와, 이동핀(38)과, 회전금구(26) 및 상부덮개(46)의 조립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20)는 애자측 고리(14)에 삽입하기 위한 고정핀(36)이 형성되는 고정핀 몸체(32)와; 고정핀 몸체(32)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핀 몸체(32)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단에는 쐐기측 고리(16)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부(44)가 형성된 이동핀(38)과; 작업자의 스마트 스틱(50)의 회전력을 고정핀 몸체(32)에 대한 이동핀(38)의 수평이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2 웜기어(30,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핀(36)은 고정핀 몸체(32)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핀 몸체(32)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 이동핀(38)을 수용하고 있으면서, 그 측방으로 고정핀(36)이 구성되는 바, 고정핀(36)은 고정핀 몸체(32)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이동핀(38)은 고정핀 몸체(32)에 형성된 이동핀 수용공간(34)에 수용되며, 타단은 이동핀(38)이 고정핀 몸체(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억제판(4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 2웜기어(40)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핀(38)은 고정핀 몸체(32)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핀 수용공간(34)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바, 이때 이동핀 수용공간(34)의 중앙 소정부에는 제 2웜기어(40)가 일정길이 이동될 수 있는 홈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고정핀 몸체(32)의 하부에는 2개가 1조로 구성되고, 내부에 스마트 스틱(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금구(26)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금구 수용공간(24)이 형성된 회전금구 수용체(22a,22b)가 구성된다. 이때, 회전금구 수용공간(24)은 제 1웜기어(30)와 회전금구(26)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져 있다.
더욱 상세하게, 회전금구(26)는 일단에 제 1웜기어(30)가 구성되고, 타단에는 스마트 스틱(50)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52)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O형 고리(28)가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고정핀 몸체(32)의 측방 상부에는 제 2웜기어(40)와 이동핀(38)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웜기어 수용공간(48)이 하면에 각설된 상부덮개(46)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먼저 상부 클램프(10a)와 하부 클램프(10b)의 사이에 배전선(8)이 통과되고 애자측 방향으로부터 배전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전선(8)을 협지하는 쐐기체(12)가 구성된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가 설치되어져 있다.
그 상태에서, 배전선(8)을 철거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20)를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에 취부시킨다. 즉, 작업자가 고정핀 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36)을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2)의 애자측 고리(14)에 요입시키고, 이동핀(38)의 일단에 구성된 삽입돌기부(44)를 쐐기측 고리(16)에 요입시킨다.
그 상태에서, 작업자는 스마트 스틱(50)을 파지하고, 그 스마트 스틱(50)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52)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20)의 하단으로 노출된 회전금구(26)의 O형 고리(28)에 결합시킨다.
도 6a,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마트 스틱(50)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금구(26)가 동기되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러면, 제 2웜기어(40)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웜기어(30)를 종동시켜서 이동핀(38)이 애자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동핀(38)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돌기부(44)는 쐐기측 고리(16)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동핀(38)의 이동으로 그 삽입돌기부(44)는 쐐기측 고리(16)를 애자측으로 잡아당기면서 상부 클램프(10a)와 하부 클램프(10b) 사이에 구속된 쐐기체(12)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그러면, 쐐기체(12)와 클램프부(4)에 의해 협지된 배전선(8)이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되고, 그 상태에서 작업자가 현수 애자체를 파지하고 흔들게 되면 배전선(8)이 탈거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20)와 스마트 스틱(50)을 통하여 작업자는 간접 활선공사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쐐기형 인장클램프장치, 4:클램프부,
8:배전선, 10a,10b:상하부 클램프,
12:쇄기체, 14:애자측고리,
16:쐐기측고리, 20: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22a,22b:회전금구수용체, 26:회전금구,
28:O형고리, 30:제 1웜기어,
32:고정핀몸체, 36:고정핀,
38:이동핀, 40:제 2웜기어,
44:삽입돌기부, 50:스마트스틱,
52:후크.

Claims (4)

  1.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의 사이에 배전선이 통과되고 애자측 방향으로부터 배전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전선을 협지하는 쐐기체가 구성되어져 있고, 클램프 본체의 상기 애자측 단부에 애자측 고리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쐐기체의 일측에는 쐐기측 고리가 형성된 쐐기형 인장클램프 장치에서, 클램프와 상기 쐐기체의 협지를 해제시켜서 배전선을 제거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자측 고리에 삽입하기 위한 고정핀이 형성되는 고정핀 몸체와;
    상기 고정핀 몸체 내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핀 몸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단에는 상기 쐐기측 고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부가 형성된 이동핀과;
    작업자의 스마트 스틱의 회전력을 상기 고정핀 몸체에 대한 상기 이동핀의 수평이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2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몸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핀은 상기 고정핀 몸체에 형성된 상기 이동핀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핀이 상기 고정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억제판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 2웜기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몸체의 하부에는 2개가 1조로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스마트 스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금구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금구 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전금구 수용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몸체의 측방 상부에는 상기 제 2웜기어와 상기 이동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웜기어 수용공간이 하면에 각설된 상부덮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금구는 일단에 상기 제 1웜기어가 구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마트 스틱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O형 고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0A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32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40A KR102327254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350A KR102324712B1 (ko) 2019-10-10 2019-10-10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0A KR102327254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350A Division KR102324712B1 (ko) 2019-10-10 2019-10-10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592A true KR20210134592A (ko) 2021-11-10
KR102327254B1 KR102327254B1 (ko) 2021-11-17

Family

ID=7574311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350A KR102324712B1 (ko) 2019-10-10 2019-10-10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0A KR102327254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2A KR102327256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1A KR102327255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3A KR102327257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4A KR102327258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350A KR102324712B1 (ko) 2019-10-10 2019-10-10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42A KR102327256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1A KR102327255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3A KR102327257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1020210150544A KR102327258B1 (ko) 2019-10-10 2021-11-04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324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567B1 (ko) * 2021-05-12 2021-08-23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전선 설치공법, 쐐기형 인장클램프 설치, 철거공법
KR102628481B1 (ko) * 2021-12-21 2024-01-23 천공전기(주) 간접활선용 클램프와 이를 이용한 전선인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KR20240018961A (ko)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쐐기형 인장클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72Y1 (ko) * 2004-06-14 2004-09-22 최봉기 쐐기형 인장클램프
JP4379610B2 (ja) * 2004-12-03 2009-12-0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高速引張試験用グリップ
KR101984829B1 (ko) * 2018-05-25 2019-06-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72Y1 (ko) * 2004-06-14 2004-09-22 최봉기 쐐기형 인장클램프
JP4379610B2 (ja) * 2004-12-03 2009-12-0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高速引張試験用グリップ
KR101984829B1 (ko) * 2018-05-25 2019-06-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600A (ko) 2021-04-20
KR102324712B1 (ko) 2021-11-11
KR20210134594A (ko) 2021-11-10
KR102327255B1 (ko) 2021-11-17
KR20210134884A (ko) 2021-11-11
KR102327254B1 (ko) 2021-11-17
KR102327257B1 (ko) 2021-11-17
KR20210134885A (ko) 2021-11-11
KR102327256B1 (ko) 2021-11-17
KR102327258B1 (ko) 2021-11-17
KR20210134593A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257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JP6893665B2 (ja) 張線装置
US1722816A (en) Cable connection for portable tools
CN105932610A (zh) 一种具有辅助固定功能的液压钳
KR102298331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전선 간격 유지기구
KR102320722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20220120349A (ko) 전선 인장기
JP2017077139A (ja) アースフック
CN108565787A (zh) 电力电缆外半导电屏蔽层剥离成套工具
CN112636232A (zh) 更换带电设备引流线固定辅助装置
JP4484401B2 (ja) くさび型クランプ
US11584611B2 (en) Rotary wire-receiving rack
JP6320825B2 (ja) 高圧引下線接続用コネクタ把持具
JP2016082726A (ja)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JP6819191B2 (ja) 短絡接地器具
JP2013102630A (ja) 引留クランプ
JP3936269B2 (ja) 多心光ファイバテープを分離する機構
CN112531555A (zh) 更换带电设备引流线固定用屏蔽盒
KR102448485B1 (ko) 케이블 지지장치
JP2022148529A (ja) 接続開閉器
KR20200046207A (ko) 현수애자 지지장치
KR20200123815A (ko) 슬리브 장착 공구, 및, 슬리브 장착 방법
KR102381223B1 (ko) 간접활선 작업을 위한 장선기용 클램프
KR102610496B1 (ko) 간접 활선용 자동 안전개폐후크가 장착된 내장력형 쐐기형 인장 클램프 양방향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설치, 쐐기형 인장 클램프 설치, 철거 간접 활선공법
CN213923586U (zh) 一种电力电缆运输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