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160A - 커넥팅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160A
KR20210134160A KR1020200052772A KR20200052772A KR20210134160A KR 20210134160 A KR20210134160 A KR 20210134160A KR 1020200052772 A KR1020200052772 A KR 1020200052772A KR 20200052772 A KR20200052772 A KR 20200052772A KR 20210134160 A KR20210134160 A KR 20210134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rt
fixed
substrate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924B1 (ko
Inventor
정배묵
안성민
이민희
허공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20005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924B1/ko
Priority to CN202180032722.3A priority patent/CN115769441A/zh
Priority to EP21795319.9A priority patent/EP4145639A1/en
Priority to PCT/KR2021/005414 priority patent/WO2021221473A1/ko
Priority to JP2022566501A priority patent/JP2023525242A/ja
Publication of KR2021013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924B1/ko
Priority to US17/975,649 priority patent/US202300470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7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78Interpo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장 부품들이 실장되는 제1기판 및 상기 제1기판에 대하여 평행되게 배치된 제2기판 사이의 소정공간에 고정되고, 중공이 형성된 고정 단자부, 상기 고정 단자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기판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 및 상기 고정 단자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2기판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기판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에 내설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됨으로써, 두 기판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용이하게 흡수함과 아울러, 조립 과정이 매우 간명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팅 장치{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마주보는 면을 가진 두 기판(또는 두 접점면) 사이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을 도모하고, 두 기판(또는 두 접점면)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용이하게 흡수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통신용 커넥터들은 동축의 케이블을 단자에 쉽고 치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RF 통신용 커넥터들은 크게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한 함체에 마련된 단자에 체결되는 용도와, 두 기판 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로서 두 기판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의 접속 단자들의 위치가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되는 용도가 있다.
특히, 일측 기판에 마련된 다수의 커넥터와 타측 기판에 마련된 다수의 단자들을 상기 두 기판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넥터와 그 커넥터에 대응하는 단자를 상호 결합시키는 작업은 매우 어려워,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편,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커넥터의 접점 부위가 손상되어 신호 연결이 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불량의 발생시에는 손상된 커넥터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지연되는 한편, 교체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판과 기판을 상호 RF 커넥터로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를 회동시켜 상대품(단자 접속부)과의 체결시 약간의 위치가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 및 방안이 요청된다.
이러한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945113호(2010년 03월 02일 공고)에 기재된 인쇄회로기판 표면 실장용 커넥터는 상부 일부에 접속홈을 가지는 커넥터핀을 가지는 커넥터에서 그 접속홈의 측면 일부의 커넥터핀에 핀절개홈을 마련하여 그 핀절개홈에 의한 공차의 차이를 주어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의 핀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는 절연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핀의 접속홈의 외측에 절개홈을 가지는 것 만으로 육안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커넥터 결합을 충분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등록특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회동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실질적으로 회동이 아닌 절연체의 탄성과 핀의 절개홈에 의한 공차의 개선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RF 커넥터들은 회동을 가지는 것이 아니며, 육안 확인이 불가능한 기판과 기판의 결합시 안정적인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좌우로는 상기 절개홈 및 절연체의 탄성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이며, 따라서 결합시 과도한 결합 힘이 작용하는 경우 삽입되는 핀이 휘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5113호(2010년 03월 02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기판(또는 두 접점면) 사이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을 도모함과 아울러, 두 기판(또는 두 접점면) 사이의 조립 공차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커넥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삽입되는 유전체 삽입 공간과는 구분되는 일측 공간 상에 배치되어 관련 PCB 보드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커넥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단자부는 캐비티 필터의 구성 중 단자 핀의 일측면을 지지하고 타측 단자부는 관련 PCB보드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관련 PCB보드를 캐비티 필터 측으로 밀착시키는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설치 및 조립이 가능한 커넥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장 부품들이 실장되는 제1기판 및 상기 제1기판에 대하여 평행되게 배치된 제2기판 사이의 소정공간에 고정되고, 중공이 형성된 고정 단자부, 상기 고정 단자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기판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 및 상기 고정 단자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2기판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기판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에 내설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상기 고정 단자부의 각 단부에 오버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각각, 상기 고정 단자부의 각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각각, 상기 고정 단자부의 각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각각, 상기 탄성부재의 각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각각,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 내부로 오버랩되게 삽입되되,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 입구 단부 내측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일측 단자부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단자부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부와 결합되는 측의 외주면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복수 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일측 단자부의 단부와, 상기 제2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타측 단자부의 단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점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일측 단자부의 단부와, 상기 제2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타측 단자부의 단부는, 요홈지게 형성된 접점 홈, 및 상기 접점 홈의 둘레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점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공진 소자에 일측이 고정되고, 반경 방향으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마련된 임피던스 정합공간 상에 고정된 단자 핀이 구비된 캐비티 필터 및 상기 공진 소자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평행 배치된 관련 PCB보드 사이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 상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 핀과 상기 관련 PCB보드 사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 RF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RF 커넥터는, 중공이 형성된 고정 단자부, 상기 고정 단자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단자 핀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자 핀의 접점면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 및 상기 고정 단자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관련 PCB보드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관련 PCB보드 측의 접점면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에 내설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핀의 타단의 외측면 면적은, 상기 RF 커넥터 중 상기 일측 단자부의 일단의 외측면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 필터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은, 상기 단자 핀의 외주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단자 핀에 끼워지거나 상기 단자 핀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단자핀측 유전체가 삽입되어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 필터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는, 상기 RF 커넥터 중 상기 고정 단자부의 외주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 단자부에 끼워지거나 상기 고정 단자부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단자부측 유전체가 삽입되어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커넥터는, 상기 캐비티 필터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 내에 상기 고정 단자부를 상기 고정단자부측 유전체를 매개로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두 기판(또는 두 접점면) 사이에서 일측 단자부와 타측 단자부가 각각 전기적인 흐름이 단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고정 단자부를 기준으로 슬립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캐비티 필터와 관련 PCB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RF 커넥터를 구비하고, RF 커넥터를 통해 캐비티 필터 외측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관련 PCB보드에 RF 커넥터를 솔더링 방식을 통해 고정시킨 후 관련 PCB보드를 캐비티 필터 측으로 밀착시키는 간편한 동작으로 조립력을 부가함으로써 조립 가능한 바,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캐비티 필터의 내부에서 단자 핀이 고정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를 이용한 두 기판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구성 중 RF 커넥터의 정면도, 분해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구성 중 일측 단자부와 타측 단자부의 다른 결합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 및 도 2의 구성 중 일측 단자부와 타측 단자부의 접점 단면의 다양한 구현례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등이고,
도 6은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 보드와 관련 PCB 보드 사이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 외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를 이용한 두 기판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구성 중 RF 커넥터의 정면도, 분해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구성 중 일측 단자부와 타측 단자부의 다른 결합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미도시의 전장 부품들이 실장되는 제1기판(1) 및 제1기판(1)에 대하여 평행되게 배치된 제2기판(2) 사이의 소정공간에 고정되되, 일측과 타측이 소정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 RF 커넥터(RF connector, 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기판(1)과 제2기판(2)은, RF 커넥터(200)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 연결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인쇄회로기판(PCB, Plastic Circuit Board) 및 전자 기판(Electric Board) 등 그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본 실시예의 RF 커넥터(200)가 적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RF 커넥터(200)는, 제1기판(1)과 제2기판(2) 사이에 설치되어 양 기판(제1기판(1) 및 제2기판(2)) 사이의 전기적 신호 연결을 도모하는 한편, 제1기판(1)과 제2기판(2) 사이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설치자의 조립력을 통해 제1기판(1)과 제2기판(2)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가 자동 해소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RF 커넥터(20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중공(202)이 형성된 고정 단자부(201)와, 고정 단자부(201)의 일단부에 고정되되, 제1기판(1)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제1기판(1)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210)와, 고정 단자부(201)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제2기판(2)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제2기판(2)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부(201)의 중공(202)에 내설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2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는 각각 고정 단자부(201)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결합된 상태로서, 제1기판(1)과 제2기판(2)의 대향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대향 조립하게 되면,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는 각각 고정 단자부(201)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서 소정거리(L1,L2)만큼 오버랩되게 슬립 이동되면서 두 기판(1,2)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RF 커넥터(20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는 고정 단자부(20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제1기판(1) 및 제2기판(2) 사이에 고정되고, 제1기판(1)과 제2기판(2)이 상호 밀착되도록 대향 조립될 때, 일측 단자부(210)의 접점단(212) 및 타측 단자부(220)의 접점단(222)이 각각 제1기판(1)의 접점면 및 제2기판(2)의 접점면에 접점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단자부(210)에는 고정 단자부(201)의 일측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213)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단자부(220)에는 고정 단자부(201)의 타측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223)이 형성되고,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는 각각,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의 중공(213,223) 중 외부와 인접하는 내주면에는 각각 내향 후크 리브(214,224)가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외향 후크 리브(204-1, 204-2)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는 각각,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에 내향 후크 리브(214,224)와 외향 후크 리브(2040-1,204-2)의 상호 후크 결합에 의하여 고정 단자부(20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1기판(1) 및 제2기판(2)의 상호 밀착 조립 시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에 대하여 상호 소정길이 오버랩(overlap)되게 슬립 이동될 수 있다.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의 오버랩 가능한 길이(도 2의 도면부호 'L1'및 'L2' 참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기판(1)과 제2기판(2) 사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는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에 상호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해당 중공(213,223) 내부로 고정 단자부(201)의 단부를 삽입시키면, 도 3의 (b) 및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예컨대 일측 단자부(210)의 중공(213) 내부로 고정 단자부(201)의 단부 일측이 삽입됨과 동시에, 일측 단자부(210)의 내측 후크 리브(214)와 고정 단자부(201)의 외측 후크 리브(204-1)가 상호 후크 결합되고, 타측 단자부(220)의 중공(223) 내부로 고정 단자부(201)의 단부 타측이 삽입됨과 동시에, 타측 단자부(220)의 내측 후크 리브(224)와 고정 단자부(201)의 외측 후크 리브(204-2)가 상호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내측 후크 리브(214,224)와 외측 후크 리브(204-1,204-2)의 원활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내측 후크 리브(214,224)는 각 중공(213,223)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 후크 리브(204-1,204-2)는 고정 단자부(201)의 중공(202) 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후크 리브(214,224)와 외측 후크 리브(204-1,204-2)가 상호 후크 결합됨으로써, 고정 단자부(201)의 중공(202)에 개재된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가 상호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는, 제1기판(1) 및 제2기판(2)의 사이 공간에 고정 단자부(20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단자부(20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소정거리(L1,L2) 슬립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의 이동 거리(도 2의 도면부호 L1, L2 참조)는, 제1기판(1)과 제2기판(2)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 또는 제1기판(1) 또는 제2기판(2)에 실장된 주변 부품의 높낮이차를 보상하면서 용이하게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의 내측 후크 리브(214,224) 및 고정 단자부(201)의 외측 후크 리브(204-1,204-2)의 후크 결합 부위와 탄성부재(230)의 압축량의 한계점 사이에 의하여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의 슬립 이동량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부(20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일측 단자부(210)의 중공(213) 및 타측 타단부(220)의 중공(223)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나(도 4의 (a) 참조), 도 4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 단자부(210)의 일부 및 타측 단자부(220)의 일부가 고정 단자부(201)의 중공(202) 단부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삽입된 후 후크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되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의 외주면에는 외측 후크 리브(214',224')가 구비되고, 고정 단자부(201)의 중공(202) 단부 일측과 타측의 내주면에는 내측 후크 리브(204-1',204-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 중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를 감싸는 외주면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절개부(215,225)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절개부(215,225)의 형성에 의하여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의 절개된 부위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텐션력이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텐션력은,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의 중공(213,223)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된 고정 단자부(201)의 외주 측으로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측면 텐션을 부가하는 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텐션'이라 함은 일체형이 아니라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와 고정 단자부(201)의 분리형으로 구비된 RF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호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예방하도록 각 단자부 간 측면 방향으로 형성하는 접점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 커넥터(미도시)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제1기판(1) 및 제2기판(2)의 상호 밀착력에 의하여 외형이 변경되는 일체형으로 구비된 경우, 제1기판(1)과 제2기판(2) 사이의 조립 공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조립자에 의한 소정의 조립력을 공급받아 그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일체형 RF 커넥터의 경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위한 별도의 측면 텐션 부가 구조를 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RF 커넥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와 이들이 결합되는 고정 단자부(201)의 분리 형태로 구비되고, 조립 공차의 흡수를 위하여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가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에서 상호 오버랩되게 이동되면서 전체 길이가 수축 또는 신장되도록 구비되며, 상술한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는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별도의 형상 변경이 필수적이다.
상술한 절개부(215,225)는, 일측 단자부(210) 및 타측 단자부(220)의 외주면 일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면서 형성되어 내측(즉, 고정 단자부(201)의 외주면 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이 부가됨으로써 고정 단자부(201)의 외주면에 대하여 일종의 밀착력을 발생시키고,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가 고정 단자부(2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거리(L1,L2) 이동되는 동안에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이 예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 단자부(201)의 중공(202)에 개재된 탄성부재(230)는, 일측 단자부(210)를 제1기판(1) 측으로 탄성지지하고, 타측 단자부(220)를 제2기판(2)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탄성부재(230)는, 고정 단자부(201)의 중공(202)을 완전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탄성부재(230)가 신장된 상태에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 단자부(201)의 일단부 및 타단부 측으로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일측 단자부(210)의 중공(213) 내측단에 지지됨과 아울러, 탄성부재(230)의 타단은 타측 단자부(220)의 중공(223) 내측단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230)는, 일단부가 일측 단자부(210)의 중공(213)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타측 단자부(220)의 중공(223)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된 탄성부재(230)는,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가 고정 단자부(201)의 각 단부에 후크 결합되고, 별도의 조립력과 같은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로서 일측 단자부(210)와 타측 단자부(220)에 지속적인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 및 도 2의 구성 중 일측 단자부와 타측 단자부의 접점 단면의 다양한 구현례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등이다.
제1기판(1)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와, 제2기판(2)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는, 도 5a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점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와,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의 형상이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5a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구분홈(217a,227a)에 의하여 2개 또는 4개소의 점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라운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와,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는, 도 5a의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점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 형상부(218,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 및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의 형상은, 접점 대상인 제1기판(1) 및 제2기판(2)에 대한 접점압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형상으로 설계 및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와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가 다수의 접점 영역으로 분할 형성됨에 따라, 고정 단자부(201)를 매개로 하는 전기적인 신호 전달율을 향상시키고, 반사적으로 전송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기판(1)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와, 제2기판(2)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는, 요홈지게 형성된 접점 홈(219a,229a) 및 접점 홈(219a,229a)의 둘레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점 평면(219b,229b)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와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의 가운데에 형성된 접점 홈(219a,229a)에 의하여 그 주변의 접점 평면(219b,229b)에 대한 접점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 보드와 관련 PCB 보드 사이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기판(1)과 제2기판(2)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적인 신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RF 커넥터(200)가 가장 많이 소요되는 분야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 분야일 수 있다.
MIMO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로서, 4G LTE-advanced에서는 8개의 안테나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pre-5G 단계에서는 64 또는 128개의 안테나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5G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비가 사용될 것으로 사용되며, 이를 Massive MIMO 기술이라고 한다.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안테나 소자의 개수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송신기와 필터의 개수도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장 공간을 최소화하며 실장이 손쉬운 캐비티 필터 구조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한편, 안테나 소자가 구비된 안테나 보드와 관련 PCB 보드 사이에 전기적 신호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모듈식 캐비티 필터 또는 캐비티 필터와 관련 PCB 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RF 커넥터(200)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0)는 히트싱크(heat sink)가 형성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결합된 레이돔(radome, 17)을 포함한다. 하우징(11)과 레이돔(17) 사이에는 안테나 어셈블리(16)가 내장된다.
하우징(11) 내부에는, 예컨대 도킹(docking) 구조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 유닛(PSU, power supply unit, 12)이 결합되며, 파워 서플라이 유닛(12)은 안테나 어셈블리(16)에 구비된 전자 부품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을 제공한다. 통상 안테나 어셈블리(16)는 전면에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배열되는 안테나 보드(15)의 배면에 통상의 RF 커넥터(200)가 안테나 소자의 개수만큼 배치되고, 관련 PCB보드(13)가 이어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RF커넥터(200)를 배제하고 모듈형의 캐비티 필터(100)를 구비함으로써 그 연결이 보다 용이해지고, 더 낮은 높이 프로파일을 갖는 안테나 구조(2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는, 도 6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캐비티 필터(100)를 대신하여 안테나 보드와 관련 PCB보드(13)를 연결하는 RF 커넥터(200)가 구비되거나, 캐비티 필터(100)와 관련 PCB보드(13)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 역할을 하도록 RF 커넥터(200)가 구비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 외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는, 캐비티 필터(100) 및 RF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 필터(100)는, 각 송신기의 고전력용 채널 여파기로서 사용되어 불요파 신호를 억제하여 송신하는 주파수를 채널별로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캐비티 필터(100)는, 다수의 안테나 소자가 구비된 안테나 기판(미도시)과 연결된 공진 소자(103)와 관련 PCB 보드(13)와의 상호 전기적인 연결을 도모하면서 안테나 소자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및 안테나 소자를 통하여 송신할 신호의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캐비티 필터(100)는, 저온 및 고온에서의 온도환경에서도 고유의 주파수 특성이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임피던스 정합공간(110) 형태의 캐비티가 구비되고, 유전체 공진기(Dielectric Resonator) 또는 금속봉과 같은 공진 소자(103)가 마련되는 한편, 임피던스 정합공간(110)에는 소정의 유전율을 가진 단자핀측 유전체(130)를 삽입하여 임피던스 매칭 설계를 통해,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기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초고주파의 공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캐비티 필터(10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기판과 관련 PCB보드(13) 사이에 하나의 커넥팅 모듈 형태로 구비되어 양자 사이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티 필터(10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임피던스 정합공간(110)을 형성하고, 안테나 기판과 관련 PCB보드(13) 사이에 구비된 필터 본체 케이스(105)를 포함한다.
아울러, 캐비티 필터(100)는, 필터 본체 케이스(105)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단자핀측 유전체(130) 외에 공진 소자(103)에 일측이 고정되고, 반경 방향으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마련된 임피던스 정합공간(110) 상에 고정된 단자 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공간(110)은, 균일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원통형의 빈 공간 형태로 마련되고, 단자 핀(120)은 임피던스 정합공간(110) 상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단자 핀(120)은 관련 PCB보드(13) 측에 머리부가 형성된 일종의 평머리 나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자 핀(120)의 머리부는 '관련 PCB보드 측' 또는 '타단'으로 칭하기로 하고, 단자 핀(120)의 일단(122)에 해당하는 핀부는 '안테나 보드 측' 또는 '일단'으로 칭하기로 한다.
단자 핀(120)의 타단(121)의 외측면 면적은, 후술하는 RF 커넥터(200)의 일단(보다 상세하게는,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의 외측면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단자 핀(120)은 전도체로 구비되는 바, RF 커넥터(200)의 일단의 접점률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단자핀측 유전체(13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중심을 단자 핀(120)이 관통하도록 실린더 형태로 구비된 제1 단자핀측 유전체(131)와, 제1 단자핀측 유전체(131)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임피던스 정합공간(1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구비된 제2 단자핀측 유전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 필터(100)의 구성 중 하나인 단자핀측 유전체(130)의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형화된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단자핀측 유전체(130)의 형상은 임피던스 정합공간(110) 상에서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단자핀측 유전체(130)는, 상술한 제1 단자핀측 유전체(131)와 같이, 단자 핀(120)의 외주면을 덮도록 단자 핀(120)에 끼워지거나, 상술한 제2 단자핀측 유전체(132)와 같이, 단자 핀(120)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삽입되어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유전체(130) 중 제1 단자핀측 유전체(131)는 단자 핀(120)의 핀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 림(123)에 의하여 단자 핀(120)과 함께 임피던스 정합공간(110)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RF 커넥터(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다만, 제1기판(1) 대신 관련 PCB보드(13)가 대체하여 구비되고, 제2기판(2) 대신 캐비티 필터(100)가 구비되는 것의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경우, RF 커넥터(200)가 임피던스 정합공간(110)과는 무관한 캐비티 필터(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점에서, 임피던스 매칭 설계에 매우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커넥팅 장치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캐비티 필터(100)의 임피던드 정합공간(110)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C)는, RF 커넥터(200) 중 고정 단자부(201)의 외주면 일부를 덮도록 고정 단자부(201)에 끼워지거나 고정 단자부(201)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단자부측 유전체(240)가 삽입되어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RF 커넥터(200)는, 캐비티 필터(100)의 임피던스 정합공간(110)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C) 내에 고정 단자부(201)를 상술한 고정단자부측 유전체(240)를 매개로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블록(250)은, 필터 본체 케이스(105)의 캐비티(C) 내측에 형성된 걸림단(106)에 걸림되도록 걸림부(251)가 고정됨으로써, 캐비티(C) 내에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실시예의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테나 보드로부터 연장 연결된 공진 소자(103) 각각에 캐비티 필터(100)의 단자 핀(120)의 일단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관련 PCB보드(13)에 RF 커넥터(200)의 구성 중 고정 단자부(201)를 고정단자부측 유전체(240) 및 고정 블록(250)을 매개로 하여 임피던스 정합공간(110)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C) 공간 내의 걸림단(106)에 걸림부(251)를 고정시키는 동작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 단자부(201)의 일측 단부에 후크 결합되고, 탄성부재(230)의 일단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 일측 단자부(210)의 단부(217)가 단자 핀(120)의 머리부에 해당하는 타단(121)에 탄성 접점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련 PCB보드(13) 전부를 캐비티 필터(100) 측으로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소정의 조립력을 부가시키면, 고정 단자부(201)의 타측 단부에 후크 결합되고,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 타측 단자부(220)의 단부(227)가 관련 PCB보드(13)의 접점면에 접점되면서 부가되는 소정의 조립력에 의하여 슬립 이동되고, 슬립된 이동 거리만큼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에 따르면, 캐비티 필터(100)와 관계없는 외측 공간 상의 조립 공차를 RF 커넥터(200)를 통해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캐비티 필터(100)의 임피던스 정합공간(110) 상에서의 단자 핀(120)이 비교적 단순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그 이동성이 매우 낮게 설계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 설계가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제1기판 2: 제2기판
100: 캐비티 필터 103: 공진 소자
105: 필터 본체 110: 임피던스 정합공간
120: 단자 핀 121: 단자 핀의 타단
122: 단자 핀의 일단 123: 고정 림
130: 단자핀측 유전체 131: 제1 단자핀측 유전체
132: 제2 단자핀측 유전체 200: RF 커넥터
210: 일측 단자부 213: 중공
214: 내측 후크 리브 220: 제2단자부
223: 중공 224: 내측 후크 리브
230: 탄성부재 240: 고정단자부측 유전체
250: 고정 블록 251: 걸림부
L1,L2: 이동 거리 C: 캐비티

Claims (13)

  1. 전장 부품들이 실장되는 제1기판 및 상기 제1기판에 대하여 평행되게 배치된 제2기판 사이의 소정공간에 고정되고, 중공이 형성된 고정 단자부;
    상기 고정 단자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기판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 및
    상기 고정 단자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2기판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기판 측의 내측면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에 내설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커넥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상기 고정 단자부의 각 단부에 오버랩 가능하게 결합된, 커넥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에는 각각, 상기 고정 단자부의 각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각각, 상기 고정 단자부의 각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후크 결합되는, 커넥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각각, 상기 탄성부재의 각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각각,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 내부로 오버랩되게 삽입되되,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 입구 단부 내측에 후크 결합되는, 커넥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일측 단자부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단자부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일체형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된, 커넥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부와 결합되는 측의 외주면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복수 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커넥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일측 단자부의 단부와, 상기 제2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타측 단자부의 단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점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 형상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일측 단자부의 단부와, 상기 제2기판에 접점되는 상기 타측 단자부의 단부는, 요홈지게 형성된 접점 홈, 및 상기 접점 홈의 둘레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점 평면, 을 포함하는, 커넥팅 장치.
  9. 공진 소자에 일측이 고정되고, 반경 방향으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마련된 임피던스 정합공간 상에 고정된 단자 핀이 구비된 캐비티 필터; 및
    상기 공진 소자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평행 배치된 관련 PCB보드 사이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 상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 핀과 상기 관련 PCB보드 사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 RF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RF 커넥터는,
    중공이 형성된 고정 단자부;
    상기 고정 단자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단자 핀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자 핀의 접점면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부; 및
    상기 고정 단자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관련 PCB보드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슬립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관련 PCB보드 측의 접점면에 접점되는 타측 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자부와 상기 타측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부의 중공에 내설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커넥팅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자 핀의 타단의 외측면 면적은, 상기 RF 커넥터 중 상기 일측 단자부의 일단의 외측면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된, 커넥팅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필터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은, 상기 단자 핀의 외주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단자 핀에 끼워지거나 상기 단자 핀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단자핀측 유전체가 삽입되어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이루어지는, 커넥팅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필터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는, 상기 RF 커넥터 중 상기 고정 단자부의 외주면 일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 단자부에 끼워지거나 상기 고정 단자부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단자부측 유전체가 삽입되어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이루어지는, 커넥팅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는, 상기 캐비티 필터의 상기 임피던스 정합공간의 외측에 해당하는 캐비티 내에 상기 고정 단자부를 상기 고정단자부측 유전체를 매개로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 을 더 포함하는, 커넥팅 장치.
KR1020200052772A 2020-04-29 2020-04-29 커넥팅 장치 KR10242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72A KR102421924B1 (ko) 2020-04-29 2020-04-29 커넥팅 장치
CN202180032722.3A CN115769441A (zh) 2020-04-29 2021-04-29 连接装置
EP21795319.9A EP4145639A1 (en) 2020-04-29 2021-04-29 Connecting apparatus
PCT/KR2021/005414 WO2021221473A1 (ko) 2020-04-29 2021-04-29 커넥팅 장치
JP2022566501A JP2023525242A (ja) 2020-04-29 2021-04-29 コネクティング装置
US17/975,649 US20230047023A1 (en) 2020-04-29 2022-10-28 Conn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72A KR102421924B1 (ko) 2020-04-29 2020-04-29 커넥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160A true KR20210134160A (ko) 2021-11-09
KR102421924B1 KR102421924B1 (ko) 2022-07-21

Family

ID=7837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772A KR102421924B1 (ko) 2020-04-29 2020-04-29 커넥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47023A1 (ko)
EP (1) EP4145639A1 (ko)
JP (1) JP2023525242A (ko)
KR (1) KR102421924B1 (ko)
CN (1) CN115769441A (ko)
WO (1) WO202122147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254A (ja) * 2004-09-30 2006-04-13 Yokowo Co Ltd プローブ
KR100945113B1 (ko) 2009-05-14 2010-03-02 남창기 인쇄회로기판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복층식 회로기판 연결 구조
KR20110041919A (ko) *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KR20120029981A (ko) * 2010-09-17 2012-03-27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 커넥터
KR101926503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156B1 (ko) * 2013-12-06 2014-05-22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KR102588796B1 (ko) * 2018-05-09 2023-10-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254A (ja) * 2004-09-30 2006-04-13 Yokowo Co Ltd プローブ
KR100945113B1 (ko) 2009-05-14 2010-03-02 남창기 인쇄회로기판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복층식 회로기판 연결 구조
KR20110041919A (ko) *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KR20120029981A (ko) * 2010-09-17 2012-03-27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 커넥터
KR101926503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5242A (ja) 2023-06-15
KR102421924B1 (ko) 2022-07-21
EP4145639A1 (en) 2023-03-08
US20230047023A1 (en) 2023-02-16
CN115769441A (zh) 2023-03-07
WO2021221473A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5870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EP3809522B1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avity filter comprising the same
KR102241459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US11824246B2 (en) Cavity filter with a slim and compact structure
WO2020099375A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20210098850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US20210098912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JP7459197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KR102421924B1 (ko) 커넥팅 장치
KR102203367B1 (ko) 커넥팅 장치
JP7430230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EP3869610A1 (en) Cavity filter
US1181764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WO2024050728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multiple module-to-board (m2b) or module to module (m2m) conn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ary coaxial connection assemblies wherein the outer contact of one socket being integral part of module of m2b or m2m
KR20210055528A (ko) 캐비티 필터
JP2023078302A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