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100A -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100A
KR20210131100A KR1020200049487A KR20200049487A KR20210131100A KR 20210131100 A KR20210131100 A KR 20210131100A KR 1020200049487 A KR1020200049487 A KR 1020200049487A KR 20200049487 A KR20200049487 A KR 20200049487A KR 20210131100 A KR20210131100 A KR 20210131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opening
iron plate
concrete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435B1 (ko
Inventor
엄석호
이광길
강정기
김무성
김대년
정수호
Original Assignee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3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과, 상기 철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양측에 설치되고 철판의 외측에 상기 철판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며 개방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막음판; 상기 개방부의 상하측으로서 철판의 외측에 고정설치되고, 수평보강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체;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가로지르며 상기 개방구의 주변에 막음판과 고정판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방구를 지나는 서로 인접한 수직보강재의 사이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출입구가 마련된 방풍막 본체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방풍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Structure of windshield for warm curing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용 갱폼의 개방구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양생시간을 단축시키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화학반응, 즉 수화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수화열에 의해서 경화한다. 콘크리트 경화는 외기온도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겨울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화반응의 지연과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동결로 인한 동해는 콘크리트의 경화 또는 강도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여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분의 급격한 증발로 인해 습윤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수화열과 외기온도로 인해 콘크리트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여, 콘크리트에 치명적인 결함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한편,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는 갱폼이 널리 활용된다. 이러한 갱폼은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한 거푸집으로서 고층건물부터 아파트까지 널리 활용된다. 이러한 갱폼에서 건축물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용 갱폼에서는 작업자의 입출입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개방구는 작업자가 출입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건축물 공사과정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건축물 내부를 진입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개방구는 겨울철에 외기, 수분, 이물질이 유입되게 함으로서 콘크리트 양생시간을 크게 저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개방구를 폐쇄하여 외기를 차단해야 하지만, 개방구 주변에 각종 보강재와, 설치부재들로 인하여 개방구를 비닐로 간단하게 덮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서 비닐과 개방구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외기, 수분 및 이물질이 그대로 유입되어 차단의 효과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구를 틈새없이 확실하게 막을 수 있게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는,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과, 상기 철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양측에 설치되고 철판의 외측에 상기 철판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며 개방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막음판;
상기 개방부의 상하측으로서 철판의 외측에 고정설치되고, 수평보강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체;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가로지르며 상기 개방구의 주변에 막음판과 고정판에 의하여 결합되며, 개방구를 지나는 서로 인접한 수직보강재의 사이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출입구가 마련된 방풍막 본체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방풍막;을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출입구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수직보강재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각각의 수직보강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구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중에서 출입구에서 먼쪽에 위치하는 수직바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출입문은, 상측이 상기 출입구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고, 양측은 상기 출입구에 자석식으로 방풍막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는, 한 쌍의 수직바 중에서 출입구에 근접한 쪽에 위치하는 수직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자석에 배치되고,
상기 출입문에서 상기 제1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자석에 자력결합되는 제2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수평보강재보다 철판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막음판은, 복수의 수평보강재의 단부를 지나면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양측 가장자리는 수직으로 세워진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방풍막 본체는, 상기 절곡부가 상기 막음판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상기 상하단은 고정체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시공방법에서,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 상기 철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개방구를 가로지르도록 방풍막 본체를 수직보강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방풍막 본체에서 수직보강재 사이로서, 출입구가 형성될 위치에 출입문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
상기 출입문의 상부를 상기 방풍막 본체에 부착시키는 부착단계; 및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상기 출입문이 놓여진 부분을 절개하여 출입구를 형성시키는 절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공방법에서,
각각의 수직보강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는,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중에서 출입구가 설치된 위치에서 먼쪽에 위치하는 수직바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공방법에서,
상기 출입문은, 상기 출입구 주변의 방풍막 본체와 자석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는,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 상기 철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가로지르며 상기 개방구의 주변으로서 철판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개방구를 지나는 서로 인접한 수직보강재의 사이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출입구가 마련된 방풍막 본체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방풍막;을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의 하단에는 무게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은 상기 철판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의 가장자리는 상기 철판 내면에 형성된 벨크로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의 상단은 피스에 의하여 추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무게봉은, 상기 방풍막 본체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봉은 개방구 상부에 마련된 제1고정고리에 의하여 상기 무게봉의 돌출부분이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의 하단은 제2고정고리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구의 주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음판에 방풍막이 고정설치된으로서, 방풍막의 양측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갱폼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풍막의 출입구를 수직보강재 사이에 마련하고 방풍막의 출입구 주변이 상기 수직보강재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출입과정에서 방풍막을 확실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수직보강재는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자석이 수직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서 출입문이 보다 확실하게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보강재보다 돌출된 막음판에 방풍막 본체의 절곡부가 접촉되어 고정설치됨으로서 확실하게 외기, 수분, 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풍막에는 무게봉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무게봉에 의하여 방풍막이 바람에 의하여 펄럭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풍막의 무게봉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고리가 개방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돌려 막은 방풍막을 손쉽게 고정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풍막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방풍막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설치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방풍막이 설치된 후 "A"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풍막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방풍막 구조의 배면도.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방풍막이 감겨진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방풍막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배면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내측"의 방향지시어는 철판 내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양생용 공간을 마주보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은 내측의 반대로서 수평보강재, 수직보강재가 설치되는 부분과 마주보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건축물의 측벽을 콘크리트로 형성하기 위한 양생용 갱폼 및 그 갱폼의 개방구를 외부로부터 막을 수 있는 방풍막에 대한 것이다. 이때 갱폼은 겨울철의 외기로부터 내부의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에 대한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열갱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는 실시예 1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는 실시예 2와,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하는 실시예 3으로 구성되며, 각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하겠다.
먼저 실시예 1에 따른 방풍막(40)의 구조는,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111)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11)과, 상기 철판(11)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11)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12)와, 상기 수평보강재(12)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12)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111)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13)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10)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벽용 갱폼(10)에서 개방구(111)의 주변에 방풍막(40)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이물질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풍막(40)의 구조는, 막음판(20), 고정체(30), 방풍막(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막음판(20)은, 상기 개방구(111)의 양측에 설치되고 철판(11)의 외측에 상기 철판(11)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며 개방구(11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막음판(20)은, 직사각형의 얇은 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얇은 두께부분이 철판(11)의 외측면에 용접설치되어 있으며 측면부분은 각각의 수평보강재(12)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부분에서 바깥쪽 부분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수직보강재(13)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막음판(20)의 측면부분에서 안쪽 부분은 방풍막(40)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방풍막(4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막음판(20)은, 방풍막(40)과 접촉부분을 확대하기 위하여 수평보강재(12)보다 철판(11)에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때 수평보강재(12)보다 돌출된 부분이 방풍막(40)의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방풍막(4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서 방풍막(40)의 측면을 통해서 외기, 수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막음판(20)은, 개방구(111) 주변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체(30)와 연결되어 있어서 외기, 수분, 이물질이 방풍막(40)의 상부, 측면 어디에서도 유입되지 않게 한다.
상기 고정체(30)는, 상기 개방구(111)의 상하측으로서 철판(11)의 외측에 고정설치되고, 수평보강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체(30)는 각형 부재일 수 있으나, 막음판(20)과 같이 직사각형 바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체(30)는 개방구(11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고 철판(11)에 용접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체(30)에 방풍막(4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접촉되고, 고정수단에 의해서 방풍막(40)이 고정체(30)에 고정된다.
상기 방풍막(40)은, 개방구(111)를 폐쇄하여 외기가 갱폼(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방풍막(40)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414)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414)에는 개폐가능한 출입문(42)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풍막(40)은, 방풍막 본체(41)와, 출입문(42)을 포함한다.
방풍막 본체(41)는, 대략 개방구(1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사각시트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방풍막 본체(41)는 외기, 수분, 이물질을 차단하고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시트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방풍막 본체(41)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이 복수로 적층되고 그 내부에 육각형 격벽공간을 가지고 그 내부에 공기가 가두어져 있는 단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풍막 본체(41)는, 상기 철판(11)의 개방구(111)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철판(11)의 개방구(111)를 가로지르며 상기 개방구(111)의 주변에 막음판(20)과 고정체(30)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방구(111)를 지나는 서로 인접한 수직보강재(13)의 사이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출입구(414)가 마련된다.
이때 방풍막 본체(41)의 상부와 하부는, 제2고정수단(413)(피스, 스크류, 볼트)에 의하여 개방구(111) 주변의 고정체(3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방풍막 본체(41)의 측면은, 수직으로 세워진 절곡부(411)가 마련되어 그 절곡부(411)가 막음판(20)에서 접촉되어 제1고정수단(412)(피스, 스크류, 볼트)에 의하여 상기 막음판(20)에 밀착고정된다.
상기 방풍막 본체(41)에서 중앙부분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414)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출입구(414)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출입구(414)는 수직보강재(13)의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수직보강재(13)는 철판(1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면서 수평보강재(12)에 용접접착되어 있게 되는데, 수평보강재(12)는 개방구(111)를 관통하지 않으나, 수직보강재(13)는 개방구(111)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게 된다. 실시예 1에서는 5개의 수직보강재(13)가 개방구(111)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각각의 수직보강재(13)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131, 132)를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되어 수평보강재(12)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풍막 본체(41)에서 출입구(414)의 주변부는 상기 수직보강재(13)에 의하여 고정수단(414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게 되어 작업자가 출입하는 과정에서 출입구(414)가 펄럭이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출입구(414)의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출입구(414)의 주변부는 한 쌍의 수직바에서 출입구(414)에서 먼쪽에 위치한 제1수직바(131)에 고정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방풍막 본체(41)에서 상기 출입구(414) 주변의 제2수직바(13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자석(415)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자석(415)은 한 쌍의 수직바(131, 132) 중에서 출입구(414)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수직바(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제1자석(415)이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제2수직바(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서 출입구(414) 주변의 방풍막 본체(41)가 제2수직바(132)에 자력에 해서 고정되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람이 출입문(42)을 개폐하는 과정에서도 방풍막 본체(41)에서 출입구(414)의 주변부는 제1자석(415)에 의하여 제2수직바(132)에 자석식으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또한 바람에 의하여 방풍막 본체(41)가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입문(42)은, 상기 출입구(414)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414)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입문(42)은 출입구(41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출입구(414)보다는 다소 큰 면적을 가지게 된다. 방풍막(40)의 상부는 상기 출입구(414)의 상측에 방풍막 본체(41)와 열접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출입문(42)의 측면과 하면은 자력에 의하여 상기 방풍막 본체(4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출입문(42)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자석(421)은 상기 제1자석(4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출입문(42)을 밀고 들어가면 제2자석(421)이 제1자석(415)과 분리되고, 작업자가 출입문(42)을 지나간 후에는 중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출입문(42)의 제2자석(421)이 제1자석(415)에 접촉되면서 자력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 1에 따른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40)의 설치방법을 간략하게 설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측이 절곡되어 절곡부(411)가 형성된 방풍막 본체(41)를 준비한 후에, 이를 상기 방풍막 본체(41)을 수직보강재(13)에 고정설치한다.(고정단계)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보강재(13)의 사이에 출입문(42)이 위치할 위치를 선정한 후에, 방풍막 본체(41)를 수직보강재(13)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한 쌍의 수직바에서 출입문(42)이 설치된 부분에서 먼쪽에 위치하는 제1수직바(131)에 방풍막 본체(41)를 고정한다. 또한, 한 쌍의 수직바에서 출입문(42)이 설치된 부분에서 근접한 부분에 배치된 제2수직바(132)에 자석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한다.
방풍막 본체(41)를 수직보강재(13)에 설치한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출입문(42)을 방풍막 본체(41)의 대응위치에 배치한다. (배치단계) 구체적으로 출입문(42)는 미리 정해진 출입구가 설치될 위치(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이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42)을 방풍막 본체(41)의 상부에 부착시킨다.(부착단계) 이때 출입문(42)의 상부는 방풍막 본체(41)에 열접착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출입문(42)의 측면은 자력에 의하여 방풍막 본체(41)에 고정시킨다.
이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풍막 본체(41)에서 수직보강재(13)의 사이에서 출입구(414)를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놓은 크기로 상기 출입구(414)에 해당하는 부분을 방풍막 본체(41)에서 절개하여 제거함으로서 출입구(411)를 형성한다.(절개단계) 방풍막 본체(41)에서 출입구(414)에 해당되는 부분이 제거되어도 출입문(42)이 이미 설치되어 있으므로 출입구(414)가 개방되지 않고 폐쇄되어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은 방풍막 본체(41)를 개방구(111)의 주변에 고정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방풍막 본체(41)의 측면 가장자리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411)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풍막 본체(41)의 절곡부(411)를 철판(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막음판(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은 후에, 제1고정수단(412)을 이용하여 상기 방풍막 본체(41)의 절곡부(411)를 막음판(20)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이와 함께 방풍막(40)의 상단과 하단은 고정체(30)의 제2고정수단(413)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40)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구(111)의 주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음판(20)에 방풍막(40)이 고정설치되어 있어서, 방풍막(40)의 양측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갱폼(10)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갱폼(10)의 경우 외부 갱폼(10)에 추가 부착물이 있는 경우에는 상, 하부에 있어서는 일반 갱폼과 같이 고정바를 사용할 수 있으나, 좌우측면의 경우엔 외부 부착물로 인하여 두께가 커짐에 따라 방풍막을 설치하기 곤란하나, 본 발명에서는 막음판(20)을 설치함으로서 외부의 이물질, 수분, 또는 외기 등이 개방구(111)를 통하여 갱폼(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풍막(40)의 출입구(414)를 수직보강재(13) 사이에 마련하고 방풍막(40)의 출입구(414) 주변이 상기 수직보강재(13)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출입과정에서 방풍막(40)을 확실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재(13)가 출입구(414) 주변을 지지함으로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에도 상기 방풍막(40)이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고 수직보강재(13)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수직보강재(13)는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자석이 수직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서 출입문(42)이 보다 확실하게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자석(415)이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수직보강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 있어서, 바람에 의하여 제1자석(415)의 위치가 변경되는 일이 없고, 제2자석(421)이 확실하게 제1자석(415)에 복귀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보강재(12)보다 돌출된 막음판(20)에 방풍막 본체(41)의 절곡부(411)가 접촉되어 고정설치됨으로서 확실하게 외기, 수분, 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방풍막 본체(41)와 막음판(20)이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서 기밀성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방풍막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방풍막 구조는, 방풍막 본체를 갱폼의 외측에서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서, 실시예 2는 방풍막 본체를 갱폼의 내측에서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차이가 난다. 즉, 설치자는 갱폼의 외측에서 작업하는 경우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나,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방풍막 본체의 부착과 설치가 갱폼의 내측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의 방풍막의 구조는,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111)가 형성된 철판(11), 철판(11)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11)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12)와, 상기 수평보강재(12)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12)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111)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13)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10)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판(11)의 개방구(111)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철판(11)의 개방구(111)를 가로지르며 상기 개방구(111)의 주변으로서 상기 철판(11)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개방구(111)를 지나는 서로 인접한 수직보강재(13)의 사이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출입구(511)가 마련된 방풍막 본체(51)와, 상기 출입구(511)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511)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52)을 포함하는 방풍막(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풍막 본체(51)의 하단에는 무게봉(5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도 8은 갱폼의 외측에서 바라본 설치후 모습이며, 도 9는 갱폼의 내측에서 방풍막을 바라본 모습이다. 이때 방풍막 본체는 철판(11)의 외측면이 아닌 철판(11)의 내측에 고정설치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철판(11)의 내측면에는 개방구(111)의 주변부 전체를 벨크로와 같은 분리가능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방풍막(50)에도 벨크로가 함께 마련되어 있어서 철판(11)의 내면과 방풍막 본체(5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한편, 방풍막(50)의 상단은 자중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피스, 스크류, 나사) 등에 의하여 추가고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방풍막 본체(51)는 그 하단에 무게봉(5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무게봉(53)은 방풍막 본체(51)의 하단을 감아서 형성한 공간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무게봉(53)의 양단은 상기 방풍막(50)의 하단 양측에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즉, 무게봉(53)의 길이는 방풍막 본체(51)의 폭보다 크게 구성된다.
상기 무게봉(53)은 바람에 의하여 방풍막(50)이 흔들리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무게봉(53)에서 방풍막에서 돌출된 부분은, 개방구(111)의 상단측에 배치된 제1고정고리(54)에 의하여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즉, 방풍막(50)을 개방구(111)에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 방풍막(50)을 하단에서부터 돌려 감은 후에, 방풍막(50)을 충분하게 들어올렸으면 방풍막(50)에서 돌출된 무게봉(53)을 개방구(111) 상단에 형성된 제1고정고리(54)에 걸어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방풍막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3의 방풍막의 구조는, 실시예 2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방풍막 하부에 제2고정고리(64)를 형성하여 상기 제2고정고리(64)가 방풍막(60)의 하단을 고정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벨크로에 의하여 부착된 방풍막(60)의 하부를 제2고정고리(64)에 의하여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방풍막(60)이 철판(11)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2고정고리(64)가 모서리 쪽에 배치되어 있어서 방풍막(60)이 철판(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갱폼 11...철판
111...개방구 12...수평보강재
13...수직보강재 131...제1수직바
132...제2수직바 20...막음판
30...고정체 40...방풍막
41...방풍막 본체 411..절곡부
412...제1고정수단 413...제2고정수단
414...출입구 415...제1자석
42...출입문 421..제2자석

Claims (19)

  1.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과, 상기 철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양측에 설치되고 철판의 외측에 상기 철판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며 개방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막음판;
    상기 개방부의 상하측으로서 철판의 외측에 고정설치되고, 수평보강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체;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가로지르며 상기 개방구의 주변에 철판의 외측에 막음판과 고정판에 의하여 결합되며, 개방구를 지나는 서로 인접한 수직보강재의 사이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출입구가 마련된 방풍막 본체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방풍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출입구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수직보강재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보강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구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중에서 출입구에서 먼쪽에 위치하는 수직바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상측이 상기 출입구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고, 양측은 상기 출입구에 자석식으로 방풍막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는, 한 쌍의 수직바 중에서 출입구에 근접한 쪽에 위치하는 수직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자석에 배치되고,
    상기 출입문에서 상기 제1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자석에 자력결합되는 제2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상기 수평보강재보다 철판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복수의 수평보강재의 단부를 지나면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양측 가장자리는 수직으로 세워진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방풍막 본체는, 상기 절곡부가 상기 막음판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상기 상하단은 고정체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10.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과, 상기 철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개방구를 가로지르도록 방풍막 본체를 수직보강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방풍막 본체에서 수직보강재 사이로서, 출입구가 형성될 위치에 출입문을 배치시키는 배치단계;
    상기 출입문의 상부를 상기 방풍막 본체에 부착시키는 부착단계; 및
    상기 방풍막 본체에서 상기 출입문이 놓여진 부분을 절개하여 출입구를 형성시키는 절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보강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방풍막 본체는,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중에서 출입구가 설치된 위치에서 먼쪽에 위치하는 수직바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상기 출입구 주변의 방풍막 본체와 자석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시공방법.
  13. 내측에 콘크리트 양생용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측벽 형성용 철판과, 상기 철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철판을 보강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측에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수직하게 연장설치되는 상기 개방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측벽용 갱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철판의 개방구를 가로지르며 상기 개방구의 주변에 상기 철판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개방구를 지나는 서로 인접한 수직보강재의 사이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출입구가 마련된 방풍막 본체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는 방풍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 본체의 하단에는 무게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은 상기 철판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의 가장자리는 상기 철판 내면에 형성된 벨크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의 상단은 피스에 의하여 추가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봉은, 상기 방풍막 본체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봉은 개방구 상부에 마련된 제1고정고리에 의하여 상기 무게봉의 돌출부분이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 본체의 하단은 제2고정고리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KR1020200049487A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236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87A KR102367435B1 (ko)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87A KR102367435B1 (ko)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100A true KR20210131100A (ko) 2021-11-02
KR102367435B1 KR102367435B1 (ko) 2022-02-25

Family

ID=7847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487A KR102367435B1 (ko)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729B1 (ko) * 2022-04-22 2022-11-11 주식회사 케이씨씨콘크리트 콘슬라트 밀폐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35B1 (ko) * 2016-06-14 2017-03-27 미진정공(주) 단열 및 방음구조를 구비한 갱폼
KR20170060606A (ko) * 2017-05-14 2017-06-01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996185B1 (ko) * 2018-10-29 2019-07-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갱폼에 설치되는 건물 공사 소음차단용 차음막 유닛
KR102005470B1 (ko) * 2019-02-21 2019-07-30 미진정공(주) 버블시트를 이용한 갱폼 개구 차단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35B1 (ko) * 2016-06-14 2017-03-27 미진정공(주) 단열 및 방음구조를 구비한 갱폼
KR20170060606A (ko) * 2017-05-14 2017-06-01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996185B1 (ko) * 2018-10-29 2019-07-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갱폼에 설치되는 건물 공사 소음차단용 차음막 유닛
KR102005470B1 (ko) * 2019-02-21 2019-07-30 미진정공(주) 버블시트를 이용한 갱폼 개구 차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35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35B1 (ko) 단열 및 방음구조를 구비한 갱폼
KR102367435B1 (ko) 콘크리트 보온양생용 방풍막의 구조 및 시공방법
US3550559A (en) Animal enclosure
KR10096916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US10221611B2 (en) Window frame insul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warm house
KR200455649Y1 (ko) 단열 및 방열 성능이 향상된 제어함체
CN209066590U (zh) 一种预制叠合阳台
KR100642990B1 (ko) 건축물 창문틀 고정구조
KR102340320B1 (ko) 단열갱폼
KR200287608Y1 (ko) 알루미늄과 목재 그리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 창호
KR2018010652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KR101509104B1 (ko) 열교 차단을 위한 복합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394726B1 (ko) 슬래브 착탈형 고정유닛을 이용한 공동 주택의 창호 프레임 시공방법
JP2007070969A (ja) 建物用遮熱断熱パネル,建物の壁構造及び建物の屋根構造
JP2002070214A (ja) 建築物の壁面構造および壁面施工方法
JPH09195401A (ja) 床下換気構造及び換気見切縁材
JP495348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外断熱外壁に於ける開口部構造
CN216866406U (zh) 带微通风的窗装配式预制外墙板结构
KR200496354Y1 (ko) 갱폼의 보온용 개폐커버 장치
CN211690740U (zh) 一种具有一体化空调机位的预制凸窗结构及其建筑
JP2023028008A (ja) 改装建具
JPH02300491A (ja) 家屋の壁構造
JP2017210852A (ja) 建物ユニット及び壁パネルの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JP200208903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開口部用金属製型枠
JP2002371761A (ja) 耐震補強雨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