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949A -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949A
KR20210130949A KR1020200049100A KR20200049100A KR20210130949A KR 20210130949 A KR20210130949 A KR 20210130949A KR 1020200049100 A KR1020200049100 A KR 1020200049100A KR 20200049100 A KR20200049100 A KR 20200049100A KR 20210130949 A KR20210130949 A KR 2021013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heating element
element composition
construc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433B1 (ko
Inventor
이석도
Original Assignee
이석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도 filed Critical 이석도
Priority to KR102020004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4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칼슘(Ca), 알루미늄(Al), 철(Fe), 규소(Si), 스트론튬(Sr), 황(S), 망간(Mn), 아연(Zn), 갈륨(Ga), 구리(Cu)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HEATING MATERIAL FOR CONSTRUCTING CONCRETE AND SPACER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동절기에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시행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동절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시멘트는 물과의 수화작용에 의하여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비로소 발휘하게 되는데, 물이 얼게 될 경우에는 시멘트의 수화작용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골재(모래와 자갈이 혼합된 것을 말함) 및 물이 적당 비율로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콘크리트는 타설 후 시멘트의 수화작용으로 경화가 진행되어 소정의 강도로 굳어지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물이 얼게 될 경우에는 시멘트의 수화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경화가 지연되는 것은 물론 구조적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건설현장의 공정관리 등의 차원에서 동절기에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실제 동절기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여름은 짧고 겨울이 긴 극지방으로 갈수록 건설시공 기간이 짧으므로 기온이 영하의 겨울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설공사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동절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주는 방법으로 미경화 콘크리트를 경화(양생)시키고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실내에 설치된 열풍기는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지만, 외부의 온도는 상승시킬 수 없으므로 실내측 미경화 콘크리트는 경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반면에 영하의 온도 분위기에서 차가운 외기와 접하는 실외측 미경화 콘크리트는 경화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심한 경우 물이 얼어서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면과 외부면의 경화속도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체는 경화 후 그 내, 외측면에 구조적 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철근에 결속선으로 전열선을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철근을 가열하면서 물이 얼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시공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317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낮은 온도에서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켜 주는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은, 칼슘(Ca), 알루미늄(Al), 철(Fe), 규소(Si), 스트론튬(Sr), 황(S), 망간(Mn), 아연(Zn), 갈륨(Ga), 구리(Cu)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동절기에도 타설된 시멘트 슬리브가 얼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원하는 강도로 경화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칼슘(Ca)과 알루미늄(Al)은 주성분으로 하여 98.7 내지 99.3중량%를 포함하고,
철(Fe), 규소(Si), 스트론튬(Sr), 황(S), 망간(Mn), 아연(Zn), 갈륨(Ga), 구리(Cu)은 부성분으로 하여 0.7 내지 0.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슘(CaO), 산화규소(SiO), 산화철(Fe2O3), 삼산화황(SO3), 산화스트로튬(SrO), 산화망간(MnO),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슘(CaO)은 주성분으로 하여 총 중량 대비하여 99 내지 99.5중량%로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산화규소(SiO), 산화철(Fe2O3), 삼산화황(SO3), 산화스트로튬(SrO), 산화망간(MnO),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은 부성분은 0.5 내지 1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는, 상술한 발열체 조성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에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에 따르면, 물과 접촉시 반응에 의해 발열하도록 하는 발열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로 스페이서를 제조하여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철근에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철근에 접촉된 스페이서가 발열하면서 철근은 물론, 주변 온도를 높여주어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절기에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에 물이 얼지 않도록 가열하여 줄 수 있어서, 콘크리트 시공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발열체를 설치할 필요 없이, 철근 스페이서를 발열체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과 설치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은, 칼슘(Ca), 알루미늄(Al)을 주성분으로 하여, 철(Fe), 규소(Si), 스트론튬(Sr), 황(S), 망간(Mn), 아연(Zn), 갈륨(Ga), 구리(Cu)를 부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발열체 조성물은 상기 칼슘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칼슘과 알루미늄을 합친 중량%는 98.7 내지 99.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칼슘이 알루미늄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포함되는 것이 좋다. 즉, 칼슘은 총 중량에 대하여 51 내지 51.3중량%, 알루미늄은 48 내지 48.3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술한 부성분들은 총 중량에 대하여 0.7 내지 0.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중에서도 철(Fe), 규소(Si), 스트론튬(Sr), 황(S), 망간(Mn), 아연(Zn), 갈륨(Ga), 구리(Cu) 순으로 많은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성분 중에서 철(Fe)은 0.317중량%, 규소(Si)는 0.215중량%, 스트론튬(Sr)은 0.0612중량%, 황(S)은 0.0497중량%, 망간(Mn)은 0.0264중량%, 아연(Zn)은 0.0244중량%, 갈륨(Ga)은 0.019중량%, 구리(Cu)는 0.0109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발열체 조성물은 칼륨과 알루미늄이 주 발열원이며, 물과 반응하여 에너지 즉 열을 방출하게 되며, 특히 오랜 시간에 걸쳐서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칼륨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발열체 조성물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이루어진 발열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철근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용 스페이서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성의 발열체 조성물을 특수강 재질의 금형 몰드에 넣고, 가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혼합물을 응집시켜 분말 덩어리를 제조하되, 바람직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용 스페이서의 형상으로 제조한다.
그런 다음, 분말 덩어리는 전기로에 넣고 소정 온도로 소정 시간 동안 소결시켜서, 철근 콘크리트 시공용 스페이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시공용 스페이서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타설공간에 설치한 철근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런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 슬리브에 포함된 물이 스페이서에 접촉하게 되고, 스페이서는 물과 접촉하여 반응하면서 열을 발생시킨다. 발생한 열은 철근을 따라 전달되어 콘크리트 타설된 전체 부분을 가열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에 영하의 날씨에서도 타설된 콘크리트에 포함된 물이 얼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원하는 강도로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오랜 시간 동안 스페이서가 물과 방응하면서 열을 발생하게 되므로,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될 때까지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동절기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시공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시공이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발열체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별도의 설치시공 시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시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체 조성물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슘(CaO)를 주성분으로 하고, 산화규소(SiO), 산화철(Fe2O3), 삼산화황(SO3), 산화스트로튬(SrO), 산화망간(MnO),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을 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 조성물은 상기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슘(CaO)을 주성분으로 하여 총 중량 대비하여 99 내지 99.5중량%로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나머지 부성분은 0.5 내지 1중량%를 포함하도록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산화알루미늄(Al2O3)은 총 중량대비 64 내지 64.3중량%, 산화칼륨(CaO)은 35 내지 35.3중량%로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성분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산화규소(SiO), 산화철(Fe2O3), 삼산화황(SO3), 산화스트로튬(SrO), 산화망간(MnO),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 순으로 많은 양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산화규소(SiO)는 0.282중량%, 산화철(Fe2O3)은 0.184중량%, 삼산화황(SO3)은 0.06중량%, 산화스트로튬(SrO)은 0.0277중량%, 산화망간(MnO)은 0.0126중량%, 산화아연(ZnO)은 0.0117중량%, 산화갈륨(Ga2O3)은 0.10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칼슘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발열체 조성물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시공용 스페이서를 제조하여 사용하게 되면, 물과 접촉시 칼슘과 알루미늄 간의 반응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오랜 시간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발열 온도를 오랜 시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칼슘을 알루미늄보다 많은 중량%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장기적으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경화시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칼슘(Ca), 알루미늄(Al), 철(Fe), 규소(Si), 스트론튬(Sr), 황(S), 망간(Mn), 아연(Zn), 갈륨(Ga), 구리(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칼슘(Ca)과 알루미늄(Al)은 주성분으로 하여 98.7 내지 99.3중량%를 포함하고,
    철(Fe), 규소(Si), 스트론튬(Sr), 황(S), 망간(Mn), 아연(Zn), 갈륨(Ga), 구리(Cu)는 부성분으로 하여 0.7 내지 0.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3.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슘(CaO), 산화규소(SiO), 산화철(Fe2O3), 삼산화황(SO3), 산화스트로튬(SrO), 산화망간(MnO),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슘(CaO)은 주성분으로 하여 총 중량 대비하여 99 내지 99.5중량%로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산화규소(SiO), 산화철(Fe2O3), 삼산화황(SO3), 산화스트로튬(SrO), 산화망간(MnO),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은 부성분은 0.5 내지 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발열체 조성물로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KR1020200049100A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KR10254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100A KR102547433B1 (ko)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100A KR102547433B1 (ko)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49A true KR20210130949A (ko) 2021-11-02
KR102547433B1 KR102547433B1 (ko) 2023-06-22

Family

ID=7847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100A KR102547433B1 (ko) 2020-04-23 2020-04-23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413A (ko) * 2020-11-27 2022-06-03 이석도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용 발열체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42A (ko) * 1994-06-24 1996-01-26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960031737A (ko) 1995-02-21 1996-09-17 최훈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JPH08269966A (ja) * 1995-03-30 1996-10-15 Topy Ind Ltd 地中埋設杭の撤去方法および杭用鋼線組立体
JP2007063404A (ja) * 2005-08-31 2007-03-15 Oosaki:Kk 発熱剤
JP2009034496A (ja) * 2007-07-12 2009-02-19 Momo Hisahiro 発熱体製造方法、シール型、含余剰水発熱組成物供給装置、それらを用いた発熱体製造装置及び発熱体
JP2014012817A (ja) * 2012-06-04 2014-01-23 Kumamoto Univ 発熱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42A (ko) * 1994-06-24 1996-01-26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960031737A (ko) 1995-02-21 1996-09-17 최훈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JPH08269966A (ja) * 1995-03-30 1996-10-15 Topy Ind Ltd 地中埋設杭の撤去方法および杭用鋼線組立体
JP2007063404A (ja) * 2005-08-31 2007-03-15 Oosaki:Kk 発熱剤
JP2009034496A (ja) * 2007-07-12 2009-02-19 Momo Hisahiro 発熱体製造方法、シール型、含余剰水発熱組成物供給装置、それらを用いた発熱体製造装置及び発熱体
JP2014012817A (ja) * 2012-06-04 2014-01-23 Kumamoto Univ 発熱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413A (ko) * 2020-11-27 2022-06-03 이석도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용 발열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433B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5657B2 (en) Method of accelerating curing and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zzolanic and cementitious-based material
US9421695B2 (en) Accelerating curing and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zzolanic and cementitious-based material
KR20170003759A (ko) 발열 콘크리트용 내한촉진제 조성물
KR102194685B1 (ko) 염해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보강 공법
KR101561003B1 (ko) 자기발열 슬래그를 포함한 시멘트 조성물, 이를 포함한 한중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5731947A (zh) 可以控制凝结时间的碱激发胶凝材料、控制方法及应用
KR102547433B1 (ko) 콘크리트 시공용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서
KR101914054B1 (ko) 콘크리트 단면 복구를 위한 보수보강 몰탈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7555919B (zh) 桥梁灌浆料及采用其快速修复桥梁伸缩缝的方法
KR100843309B1 (ko) 콘크리트 보수보강재
JP6965484B2 (ja) 高強度コンクリート及び高強度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CN111788163B (zh) 用于任选含辅助胶凝材料的水泥、砂浆或混凝土组合物的凝结硬化加速剂及该加速剂的用途
JP2009007925A (ja) 鋼橋用床版
CN116177955A (zh) 一种强度成长型聚氨酯水泥砂浆立面修复材料及制备
JP2006348465A (ja) 複合プレキャスト床版および床版補修工法
JP2002154862A (ja) 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体
EP2900619B1 (en) Process to produce a durable concrete at hot ambient conditions
KR101193022B1 (ko) 고기능성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AU2015200172A1 (en) Concrete mix composition, mortar mix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and curing concrete or mortar and concrete or mortar objects and structures
JP2000145018A (ja) アフターボンド工法
JP2003040662A (ja) 補強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補修・補強構造体、透排水構造及び透排水二次製品
Brzhanov Forecast of cooling of monolithic concrete
JP2022161225A (ja) コンクリート用凝結調整表面改質剤、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組成物の調製方法
JP2003221265A (ja) セメント混和材、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組成物
JP2015074222A (ja) 超低温瞬間冷凍生コンクリートと製造工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