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838A -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 Google Patents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838A
KR20210130838A KR1020217033943A KR20217033943A KR20210130838A KR 20210130838 A KR20210130838 A KR 20210130838A KR 1020217033943 A KR1020217033943 A KR 1020217033943A KR 20217033943 A KR20217033943 A KR 20217033943A KR 20210130838 A KR20210130838 A KR 2021013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icinalis
extract
plants
herbal composition
ur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스칼 마이어
로르 브륄스
Original Assignee
알파노소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노소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알파노소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1013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7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5Foeniculum (fe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4Valerianaceae (Valerian family), e.g. valeri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예를 들어,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클렙시엘라(Klebsiella), 리스테리아(Listeria), 슈도모나스(Pseudomonas), 살모넬라(Salmonella), 스타필로코커스(Streptococcus), 칸디다(Candida) 또는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와 같은 세균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균류에 의해 유발된 미생물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항균 및/또는 항 생물막제로서 유용한 적어도 2 종의 상이한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추출물에서 활성 성분은 상승작용 방식으로 이들의 생물학적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추출물은 식품 보충제, 영양 보조 식품, 약학, 수의학 또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의 활성 성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또한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EXTRACT OF AN HERBAL COMPOSITION AS ANTIMICROBIAL AND/OR ANTIBIOFILM AGENT}
본 발명은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유용한 적어도 2 종의 상이한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추출물에서 활성 성분은 상승작용 방식으로 이들의 생물학적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임의의 살아있는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식물은 저분자량 화학 물질, 폴리펩타이드, 다당류, 효소를 포함하는 수많은 화학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식물 추출물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학 물질 혼합물의 간단한 예이다.
식물에서 얻어진 많은 화학 물질 혼합체의 생물학적 및 치료적 활동은 세속적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수많은 문서로 작성된다(예를 들어 문헌(Encyclopedia of Herbal Medicine: The Definitive Home Reference Guide to 550 Key Herbs with all their Uses as Remedies for Common Ailments Hardcover - November 15, 2000, by Andrew Chevallier) 참조)
현대 과학은 많은 유기체에 식물로부터 얻은 화학 물질 조합의 생물학적 및 치료 효과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Scheggi (Scheggi S. et al, Pharm. Biol. 2016 Jan 5:1-11. [Epub ahead of print])에는 래트 모델로 식물에서 얻은 화학 물질 조합의 우울증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Zhipeng QU (Zhipeng QU, Oncotarget. 2016 Sep 1 Epub)에서, 기능성 유전체학을 이용한 화합물 Kushen 주사의 후보 항암 분자 기작을 어떻게 밝힐 수 있는지 보여준다. 화합물 Kushen 주사 (CKI: Compound Kushen Injection)는 다양한 유형의 고형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중국에서 15 년 이상 임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전통 중국 의학 (TCM) 제제는 식물의 2 차 대사 산물의 복잡한 혼합물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방식으로 기본 분자 기작을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CKI가 MCF-7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보여준다. MCF-7 세포에서 CKI의 잠재적인 1 차 표적 경로로서 세포주기가 동정되었다. CKI는 또한 p53 독립적인 기작을 통해 MCF-7 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새로운 lncRNA를 밝혀내고 그 중 다수가 CKI 치료에 대한 반응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균 및 균류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에 식물, 균류 또는 세균로부터 얻어진 화학 물질 혼합물의 효과는 예를 들어 Venkatadri (Venkatadri B. et al. , Indian J. Pharm. Sci. 2015 Nov-Dec; 77 (6): 788-91)에 수회 기재되어 잇다.
생물막 (표면에 부착된 고분자 기질에 매립되어 이는 미생물 군집)의 형성에 식물, 균류 또는 세균으로부터 얻은 화학 물질 조합의 효과는 예를 들어 Suntar (Suntar I. et al., Pharm. Biol. 2016 Jun;54(6):1065-70Epub 2015 Oct 29)에 수회 기재되어 있다.
Shimizu M.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1 Nov;45(11):3198-201)은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의 추출물이 메티실린-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옥사실린 및 세프메타졸과 같은 베트-락탐 항생제의 MIC (Minimum Inhibitory Centric)를 현저히 감소시킴을 발견하였다. 같은 그룹은 또한 효과적인 화합물을 분리하고 이를 코릴라진으로 확인했다.
다른 그룹 (Denev P.et al. , Acta Biochim. Pol. 2014;61(2):359-67. Epub 2014 Jun 18)은 6 종의 약용 식물 -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잎, 초크 베리(Aronia melanocarpa) 잎, 산사 나무속(Crataegus monogyna) 잎, 레이디스 맨틀(Alchemilla glabra) 공중 부분, 매도우스위트(Filipendula ulmaria) 공중 부분 및 나무딸기(Rubus idaeus) 잎으로부터의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호중구 조절 활성을 연구했다. 연구 대상 추출물의 인체 병원균 11 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3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이 연구의 결과는 매도우스위트 및 검은 딸기 잎 추출물이 시험된 미생물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 효과와 최소 억제 농도 (MIC)를 가졌다고 결론을 내렸다.
문헌 (Yam T. et al. (FEMS Microbiol Lett. 1997 Jul 1, 152 (1) : 169-74)은 차(Camellia sinensis) 및 차 성분의 전체 및 분획 조 추출물의 미생물 활성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했다. 다양한 유형의 다양한 종류의 차(Camellia sinensis)의 수성 추출물을 시험한 결과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비롯한 광범위한 병원성 세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차 추출물은 '차 한 잔' 농도보다 훨씬 낮은 스타필로코카이(staphylococci) 및 에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해 살균 작용을 나타내었다. 활성은 분할 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해 녹차 추출물로부터 수득된 4 개의 분획 중 하나에 국한되었다. 순수한 차 화합물 및 밀접한 관련 화학 물질의 시험은 녹차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의 함량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홍차 추출물에서 테아플라빈과 그 갈레이트는 추가의 항균 활성 성분이다.
WO 2009/031041은 (a) 주어진 화학 구조식을 갖는 항균 화합물, (b) 란티오닌 박테리오신, 차 [카멜리아 신니스(Camellia sinensis) 추출물, 홉 [호뮬러스 루풀러스 엘(Humulus lupulus L)] 추출물, 포도 스킨 추출물, 포도 종자 추출물, 우바 우르시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WO 99/20289는 농축된 생약 추출물 및 충전 액체를 포함하는 투명한 생약 추출물 용액을 보고한다. 농축된 생약 추출물은 식물 추출물의 긴 목록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보고되며, 여기에는 이 리스트는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를 포함한다. 그러나, WO 99/20289는 청구된 생약 용액의 임의의 특정 치료 또는 의학적 사용을 언급하지 않는다.
US 2015/0056255는 섬유질 식물 제품의 층 및 섬유질 식물 제품 층에 적용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용, 화장품, 착색 또는 피부용 제품을 보고하고 있다. 식물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식물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으로부터의 물질을 포함하며, 여기서, 식물은 식물의 긴 목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Azanida NN (Med. Aromat. Plants, 4:3, p.1-6, 2015)은 약용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설명과 비교를 보고한 평론을 발표했다. 저자는 "보편적인 추출 방법은 이상적인 방법이 아니며 각 추출 과정은 식물에 고유한 것"이라고 기술하여 논문을 마무리한다 (참조: "결론", 5 ~ 7 행).
Selman A. Wachsman et al. (Bacteriology, 31, p.157-164, 1945)은 같은 균종의 다른 균주는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내성이 크게 다를 수 있다고 보고했다. 다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세균 균주는 스트렙토마이신의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 그러한 논문에 사용된다. 그러나 동일한 균주에서 식물 추출물을 시험하지 않았으므로 그런 논문에서 명확한 지침을 얻을 수 없다.
이전의 예들에서 고려된 바와 같은 생물학적 효과는 표준 약물과 같은 단일 화학 물질에 의해 또는 추출물에서와 같은 상이한 화학 물질의 상승 작용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일부 경우, 생물학적 효과는 추출물에 포함된 단일 화학 물질에 거의 기인한 것이다. 이 경우, 추출물은 정제된 활성 화학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화학 물질의 생물학적 영향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화학 물질과의 화학 반응 (변형) 또는 화학 물질, 특히 유기체를 구성하는 거대 분자에 대한 일시적인 또는 영구적인 결합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유기체의 화학 물질, 특히 거대 분자의 활성, 예를 들어 효소의 활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활성을 조절할 것이다.
불행하게도, 화학 물질은 유기체에 단일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특히 거대 분자 성분과의 상호 작용은 다양하다. 사실, 자연적이거나 화학적 합성에 기인한 임의의 화학 물질이 유기체 (사람,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 선량 관련 방식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결국, 용량 관련 양성 또는 치료 효과도 관찰될 수 있다. 화학 물질이 산업적으로 관심을 가질 경우, 양성 또는 치료 효과를 관찰하는 데 필요한 용량은 유해 영향이 용납될 수 없는 용량보다 낮을 필요가 있음이 분명하다.
화학 조성 또는 구조가 다른 화학 물질은 유기체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거대 분자와 다른 친화도 (또는 결합 상수)를 가지며 따라서 관찰된 해로운, 양성 및 치료 효과를 초래하는 다른 작용 모드를 갖게 된다.
해로운 영향에 관여하는 거대 분자와 양성 또는 치료 효과와 관련된 거대 분자는 많은 경우 서로 다르다. 화학 조성이 다른 화학 물질은 대부분의 경우 유기체를 구성하는 수 많은 다른 거대 분자와 매우 다른 친화도 (또는 결합 상수)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화학 물질은 주어진 거대 분자와 서로 다른 친화성 (또는 결합 상수)을 나타낸다. 드물지만, 다른 화학 물질은 동일한 거대 분자 또는 양성 또는 치료 효과와 관련된 고분자 집합과 유사한 친화도 (또는 결합 상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이들 상이한 화학 물질이 주어진 해로운 영향에 관여하는 거대 분자와 비교 가능한 친화도 (또는 결합 상수)를 갖는 것은 드문일이다.
따라서, 상이한 화학 물질의 혼합물은 누적된 주어진 해로운 효과없이 상승적인 양성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양성 또는 치료 효과의 경우, 혼합물 내의 각각의 개별 화학 물질에 필요한 용량은 주어진 양성 또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개별적으로 고려되는 화학 물질 각각에 의해 요구되는 용량보다 낮을 것이다. 각기 다른 화학 물질에 의해 유발된 유해한 효과가 다르거나 다른 거대 분자 병인이 있는 경우, 혼합물의 각각의 유해한 영향은 개별적으로 고려된 화학 물질의 유해한 영향보다 낮을 것인데, 이는 혼합물 내의 낮은 용량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상이한 화학 물질의 감소된 투여량의 동시 투여의 상승적 상황은 그들의 표준 투여량으로 투여된 상이한 치료 효과를 갖는 상이한 약물 (화학적 실체)의 동시 투여와 상이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후자의 경우, 약물 상호 작용으로 인한 부작용 증가가 잘 알려져 있다. 부작용의 원인 중 하나는 다른 약물 (화학 물질)의 가능한 화학적 상호 작용이다. 시너지적인 상황에서, 각각의 화학 물질은 감소 된 농도로 존재하고, 따라서 훨씬 낮은 화학적 상호 작용 속도를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화학 물질 (약물)에 대해 요구되는 농도 (용량)의 1/10에서 각각 투여되는 10 개의 다른 화학 물질의 상승작용 혼합물, 약물간 화학 반응의 반응 속도는 보편적 질량 작용 법칙에 의해 암시된 바와 같이 100 배만큼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유해한 효과가 감소된 소정의 양성 또는 치료 효과를 수득하거나, 주어진 상이한 수준의 상이한 유해 효과로 증가된 양성 또는 치료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상이한 화학적 실체의 상승작용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몇몇 추출물은 분리된 화학 물질에 비해 상승작용 활성을 갖는다 (참조: 예를 들어, Deharo E. et al., Malar. J. 2011 Mar 15;10 Suppl 1:S5).
상승작용 화학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된 천연 추출물은 예를 들어, 단일 식물 분말 또는 적어도 2 종의 상이한 식물 분말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의 다수의 천연 추출물을 체계적으로 시험함으로써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르러, 예를 들어,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클렙시엘라(Klebsiella), 리스테리아(Listeria), 슈도모나스(Pseudomonas), 살모넬라(Salmonella),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칸디다(Candida) 또는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와 같은 세균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칸디다(Candida)와 같은 균류에 의해 유발된 미생물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항균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유용한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추출물에서 활성 성분은 상승작용 방식으로 이들의 생물학적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미생물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동결 건조물 또는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동결 건조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또는 수의학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의 건조 식물 및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아(Vitis vinifera var. tinctoria),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및 데스모듐 아드스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상기 생약 조성물은 다음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건조 식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킬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아코루스 칼라무스(Acorus calamus),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아그로피룸 레펜스(Agropyrum repens), 알케밀라 불가리스(Alchemilla vulgaris), 알칸나 틴토리아(Alkanna tinctoria),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아네툼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안젤리카 아르칸젤리카(Angelica archangelica), 아르부투스 우네도(Arbutus unedo),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아르테미시아 폰티카(Artemisia pontica),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스페룰라 오도라타(Asperula odorata), 베툴라 펜둘라(Betula pendula), 보라고 오피시날리스(Borrago officinalis), 부툭스 셈페르비렌스(Buxus sempervirens), 칼라민타 오피시날리스(Calamintha officinalis),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칼루나 불가리스(Calluna vulgaris), 카룸 카르비(Carum carvi),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Cassia angustifolia), 센타우레아 시아누스(Centaurea cyanus), 센타우륨 에리트라에아(Centaurium erythraea),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세트라리아 이슬란디카(Cetraria islandica), 카마에멜룸 노빌레(Chamaemelum nobile), 카모밀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 크리산텔룸 아메리카눔(Chrysanthellum americanum), 시코륨 엔디비아(Cichorium endivia), 시코륨 인티부스(Cichorium intybus), 신나모뭄 제이라니쿰(Cinnamomum zeylanicum), 시트루스 아우란튬(Citrus aurantium),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크라타에구스 옥시아칸타(Crataegus oxyacantha), 쿠미눔 시미눔(Cuminum cyminum), 쿠프레수스 셈페르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쿠르쿠마 제도아리아(Curcuma zedoaria),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시티수스 스코파리우스(Cytisus scoparius), 데스모듐 아드스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뭄(Elettaria cardamomum), 엘로이테로코쿠스 센티코수스(Eleutherococcus senticosus),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Epilobium parviflorum), 에리시뭄 오피시날레(Erysimum officinale),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유파토륨 칸나비눔(Eupatorium cannabinum),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프락시누스 엑셀시로르(Fraxinus excelsior),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Fumaria officinalis), 갈륨 오도라툼(Galium odoratum), 겐티아나 루테아(Gentiana lutea), 게라늄 로베르티아눔(Geranium robertianum),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레코마 헤데라세아(Glechoma hederacea),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한드로안투스 임페티기노수스(Handroanthus impetiginosus), 하르파고피툼 프로쿰벤스(Harpagophytum procumbens), 히에라큠 필로셀라(Hieracium pilosella), 후물루스 루풀루스(Humulus lupulus), 하이페리쿰 페르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하이소푸스 오피시날리스(Hyssopus officinalis), 일리슘 베룸(Illicium verum), 이눌라 헬레늄(Inula helenium), 쥬글란스 레지아(Juglans regia),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라뮴 알붐(Lamium album), 라반둘라 안구스티폴리아(Lavandula angustifolia), 레비스티쿰 오피시날레(Levisticum officinale), 리피리아 시트리오도라(Lippia citriodora), 로투스 코르니쿨라투스(Lotus corniculatus), 리트룸 살리카리아(Lythrum salicari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마루븀 불가레(Marrubium vulgare),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멘타 X 피페리타(Mentha Х piperita), 모루스 니그라(Morus nigra), 미르투스 콤무니스(Myrtus communis),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오리가눔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파리에타리아 오피시날리스(Parietaria officinalis),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a), 페트로셀리눔 크리스품(Petroselinum crispum), 퓨무스 볼두스(Peumus boldus), 파세올루스 불가리스(Phaseolus vulgaris), 핌피넬라 아니숨(Pimpinella anisum), 플란타고 란세올라타(Plantago lanceolata), 플란타고 오바타(Plantago ovata), 포텐틸라 안세리나(Potentilla anserina), 퀘르쿠스 로부르(Quercus robur), 람누스 프란굴라(Rhamnus frangula),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사 센티폴리아(Rosa centifolia),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루비아 틴토룸(Rubia tinctorum), 루부스 이다에우스(Rubus idaeus),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솔라눔 둘카마라(Solanum dulcamara), 타베부이아 임페티기노사(Tabebuia impetiginosa), 타나세툼 불가레(Tanacetum vulgare), 타락사쿰 오피시날리스(Taraxacum officinalis), 티무스 세리필룸(Thymus serpyllum),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틸리아 토멘토사(Tilia tomentosa), 틸리아 코르다타(Tilia cordata), 트리고넬라 포에눔-그라에쿰(Trigonella foenum-graecum), 투실라고 파르파라(Tussilago farfara), 바시늄 피르틸루스(Vaccinium myrtillus),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베르바스쿰 타프수스(Verbascum thapsus),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비스쿰 알붐(Viscum album), 제아 마이스(Zea mays) 및 진지베르 오피시날레(Zingiber officinale).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데스모듐 아드센데스(Desmodium adscendes),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및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중에서 선택된 3 내지 7 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 중 적어도 2 종은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식물 중 적어도 1 종은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데스모듐 아드센데스(Desmodium adscendes) 및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건조 식물: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를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건조 식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를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건조 식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를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다음의 건조 식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멘타 스피카타(Mentha spicata) 및 루비아 틴토룸(Rubia tinctorum)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16 종: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리피아 시트로도라(Lippia citrodora) 및 타나세툼 불가레(Tanacetum vulgar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4 종 또는 15 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건조 식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아르부투스 우네도(Arbutus unedo),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및 리피아 시트로도라(Lippia citrodora)를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건조 식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아르부투스 우네도(Arbutus unedo),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리피아 시트로도라(Lippia citrodora) 및 타나세툼 불가레(Tanacetum vulgare)를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이다.
상기 언급된 모든 생약 조성물은 또한 상응하는 추출물의 제조에서 중간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다.
추출물은 식품 보충제, 영양 보조 식품, 약학 또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의 활성 성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그대로 또는 건조되거나 동결 건조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와 함께 상기 정의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보충제, 영양 보조 식품, 약학, 수의학 또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가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다.
이러한 식품 보충제, 영양제, 약학, 수의학 또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는 분말, 과립, 캡슐, 환제, 정제 (정상 또는 제어 방출), 츄잉 검과 같은 고체 형태 또는 일반적으로 시럽, 점적제, 엘릭시르제, 용액, 현탁액과 같은 액체 형태를 비롯한 경구 투여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크림, 연고, 겔, 밀크, 페이스트, 물 기반 크림, 유제, 혈청, 마스크, 향유, 체액, 스프레이, 좌제, 질 좌약, 경피 흡수제 패치 및 치약, 치주 젤, 구강충결제와 같은 다른 제형으로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생약 조성물"이라는 표현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분쇄된 건조 식물을 함유하는 분말을 지칭한다. 단일 건조 식물의 분말은 전체 식물에서 얻어지거나 예를 들어 꽃, 새싹, 과일, 줄기, 잎, 씨앗, 뿌리 또는 기타와 같은 특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물은 실온에서 추출용 용매 (당을 첨가하거나 가하지 않은)와 생약 조성물을 간단히 항온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추출 용매는 물 및 식품 및 식품 성분의 제조에 사용이 허가된 모든 비-수성 용매이다. 예를 들어, 지침 2009/32/EC에 따르면, 이러한 비-수성 용매의 목록에는 프로판, 부탄,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산화탄소, 아세톤, 아산화질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변형 구현예에 따라, 추출물은 추출물은 추출용 용매 (당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및 후속 가열 (원심 분리 및 여과의 유무에 관계없이)과 생약 조성물의 항온 처리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라, 수분 추출물은 물 (당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을 갖는 생약 조성물을 항온처리하고 후속 가열함으로써 (예를 들어, 생성된 액체 제제를 60 ℃ 내지 134 ℃, 바람직하게는 119 ℃ 내지 121 ℃ 범위의 온도에서 5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분 범위의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당"이란 용어는 예를 들어 덱스트로스, 락토스, 무수 락토스, 만니톨, 소르비톨, 말토스, 갈락토스 또는 수크로스와 같은 의약용 또는 영양 등급의 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당은 수크로스이다.
상기 당은 1 내지 100 g/l, 선택적으로 50 내지 75 g/l로 변하는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식품 보충제"라는 용어는, 본원에서는 일반 식이를 보충하기 위해 의도된 식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타민 및 미네랄과 같은 영양소의 집중 공급원 또는 단위 투여 형태로 영양 또는 생리적 효과가 있는 기타 물질이다 (참조: Directive 2002/46 / EC of 10 June 2002).
"기능성 식품"이라는 표현은 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첨가되는 성분 (일반적으로 비-영양소)의 존재로 인한 추가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식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유기체의 하나 이상의 생리적 기능 (생물 변조)과 다소간 선택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건강 및/또는 질병 예방 유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한다. 식품은 건강 상태 및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질병의 위험 감소를 위해 적절한 영양 효과 외에도 신체의 한 가지 이상의 기능에 유익한 영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경우 '기능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유익한 효과는 건강 상태 또는 건강의 증진 및/또는 질병 과정 또는 질병의 위험 감소를 유지하는 데 포함될 수 있다 (참조: see AT Diplock et al: Scientific concepts of functional foods in Europe: Consensus Document,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999, 81 (Suppl. 1), S1-S27).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양 보조 식품 조성물"은 식이를 보충할 뿐만 아니라 질병 및/또는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보조해야 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표현은 "영양"과 "약학"의 개념에 합류한 Stephen L. DeFelice (혁신 의학 재단 (FIM)의 MD, 창립자 및 회장)에 의해 1989 년에 만들어졌다.
"부형제"라는 용어는 통상적인 부형제, 즉 조성물의 활성 성분에 대한 비활성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부형제는 생성된 제형 예를 들어 희석제 (예를 들어, 락토스, 미결정 셀룰로오스), 붕해제 (예를 들어,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결합제 (예를 들어, PVP, HPMC), 윤활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탁제 (예를 들어, 콜로이드성 SiO2) 또는 풍미제 (예를 들어, 페퍼민트, 레몬 오일)로서 작용할 수 있는 고형 투여 형태에서 의도하는 역할에 따라 다양한 기능적 분류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액체 투여 형태에서, 이들은 용매, 공용매 또는 용해제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에탄올, 소르비톨, 덱스트로오스), 완충제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항균제 (예를 들어, 소르브산칼륨), 습윤제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트윈스), 소포제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이산화규소), 증점제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또는 감미료 (예를 들어, 소르비톨, 아세설팜-K)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이며, 인간 및 동물에서의 미생물 감염의 치료, 예방 및/또는 진단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 감염의 치료, 예방 또는 진단을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용도이다. 이러한 약물은 동물의 인간에게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 또는 "치료하는"이란 표현은 질병을 치료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질환의 진행이나 병리학적 병태를 지연시키기 위해 고안된 활동을 의도하는 것이다.
"예방" 또는 "예방하는"이란 표현은 질환 또는 병리학적 병태의 발생 또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된 활동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미생물 감염의 경우,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예방은 세포, 조직 및 장기에 대한 병원성 미생물의 부착 및 정착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단" 또는 "진단하는"이란 표현은 결정된 질병 또는 병리학적 상태의 존재 및 범위를 평가하기 위해 일련의 생리학적 매개변수를 식별하도록 고안된 활동을 지칭하는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항균제"라는 표현은 미생물 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약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미생물 세포가 병원성 미생물 세포인 경우, 항균제는 인간 또는 동물에서의 미생물 감염의 치료를 위한 의약 또는 수의학 조성물의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현 "항생물막제"는 본원에서 미생물 세포에 의한 생물막의 형성을 억제하고/하거나 예비형성된 생물막의 분산을 촉진할 수 있는 약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기존의 항균제와 달리, 항균제는 미생물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러한 제제에 대한 저항성이 쉽게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승작용성"이란 용어는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즉,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함)에 의해 제시된 생물학적 효과 또는 활성 (본 원에서 항균 또는 항생물막)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는 해당 단일 건조 식물 추출물의 효과 또는 활동의 합보다 크다.
이러한 보다 큰 생물학적 효과 또는 활성은 예를 들어, 생물막 형성 억제 (항균 활성) 또는 변이 수의 관점에서 플랑크톤 성장의 억제 (항균 활성)의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미생물 감염은 예를 들어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클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리스테리아 이노쿠아(Listeria innocua),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살라모넬라 엔테리카 아종 엔테리카 세로바르(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var), 엔테리티디스(Enteritidis), 살모넬라 엔테리카 아종 엔테리카 세로바르(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var), 티피무륨( Typhimurium),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에(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이콰이 아종 조에피데미쿠스(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 스트렙토코커스 표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와 같은 세균에 의해 도는 예를 들어,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같은 균류에 의해 유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미생물 감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에 의해 유발된다.
공생적 그람 양성 세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피부 및 연조직 감염으로부터 심각한 패혈증, 독성 choc 또는 폐렴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있는 주요 병원균이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병원-관련 감염의 중요한 원인이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많은 병원 균주는 항생제, 특히 메티실린에 내성을 요구한다. 아직 유효한 백신은 없지만,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다양한 표적에 대해 능동적이고 수동적인 면역 요법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노력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비교 샘플에 대한 이러한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많은 상이한 균주가 사용되었고, 실시예 부분에서 언급될 것이다.
특히, 하기 세균 균주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의 항균 및 항균생물막 활성 둘 다를 시험하였다.
Seatle 1945로도 알려져 있는 ATCC 25923은 학술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이다 (2016 년 10 월 현재 627 개 간행물에 인용) (NIH-NCBI-Pubmed 참조). 그것의 항생제 내성 행동은 철저히 규명되었다 (참조, 예를 들어 Reimer L.G.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81 Jun;19(6):1050-5).
ATCC 29213은 또한 학술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이다 (2016 년 10 월 현재 327 개 간행물에 인용) (NIH-NCBI-Pubmed 참조). 그것은 생물막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 (참조, 예를 들어, Ceri H. et al., J. Clin. Microbiol. 1999 Jun;37(6):1771-6).
ATCC 1228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이다 (2016 년 10 월 현재 101 개 간행물에 인용) (NIH-NCBI-Pubmed 참고). 연방 규정집 (FDA)은 네오마이신에 대해 선호하는 분석 생물체와 같은 균주를 열거한다 (또한 참조: Robertson JH 외, Appl. Microbiol. 1971 Dec; 22 (6) : 1164-5).
ATCC 43300은 임상 연구로부터 분리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이다 (2016 년 10 월 현재 81 개 간행물에 인용)에 인용 (NIH-NCBI-Pubmed 참조). Lubenko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2008 Nov; 62 (5): 1065-9] 참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뉴만은 1952 년에 인간 감염으로부터 분리되어 강력한 병독성 표현형으로 인해 포도상 구균 감염의 동물 모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참조: Baba T. et al., Journal of bacteriology, 190 :300-310 (2008)). 병원-획득한 MRSA (메티실린-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달리,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뉴만은 적은 수의 삽입 서열 (IS)만을 가지고 있으며 알려진 항생제 저항성 결정 인자가 없다.
이 사례에서 사용된 다른 균주는 또한 학술 연구 또는 품질 관리 (QC)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대부분은 메티실린 내성이기도 하다.
ATCC 33591과 관련하여, 문헌[Reyes N.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2006 Aug;58(2):462-5, Epub 2006 May 30]을 참조한다. ATCC 33592와 관련하여, 문헌[Teka A. et al.,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5 Aug 18;15:286]을 참조한다. NCTC 12493과 관련하여, 문헌[Carey B.E.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2006 Aug;58(2):455-7, Epub 2006 Jun 20]을 참조한다. ATCC 700698과 관련하여, 문헌[Kirker K.R. et al., Int. J. Antimicrob Agents, 2015 Oct;46(4):451-5, Epub 2015 Jul 9]을 참조한다. ATCC 700699와 관련하여, 문헌[Sy C.L. et al., J. Clin. Microbiol. 2016 Mar;54(3):565-8, Epub 2015 Dec 16]을 참조한다. ATCC 9144와 관련하여, 문헌[Carson C.F.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2 Jun;46(6):1914-20]을 참조한다. ATCC BAA-44와 관련하여, 문헌[Monecke S. et al., PLoS One. 2011 Apr 6;6(4):e17936]을 참조한다. ATCC 14990과 관련하여, 문헌[Bernardo T.H. et al., Scientific World Journal. 2015;751791, Epub 2015 Jun 3]을 참조한다. ATCC 49444와 관련하여, 문헌[Ramsey KJ et al., J Food Prot. (2010)]을 참조한다. ATCC 60193과 관련하여, 문헌[Petrikaite V et al., Medicina (Kaunas). 2007;43(8):657-63]을 참조한다. ATCC 11775와 관련하여, 문헌[Usman H et al., A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2007 Jun 10;4(4):488-94]을 참조한다. ATCC 13883과 관련하여, 문헌[Supardy NA et al., J Microbiol Biotechnol. 2012 Jun;22(6):872-81]을 참조한다. ATCC 33090과 관련하여, 문헌[Le Marc Y et al.,Int J Food Microbiol. 2002 Mar;73(2-3):219-37]을 참조한다. ATCC 19115와 관련하여, 문헌[Vodnar DC., Chem Cent J. 2012 Jul 28;6(1):74. doi: 10.1186/1752-153X-6-74]을 참조한다. ATCC 27853과 관련하여, 문헌[Reimer LG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81 Jun;19(6):1050-5]을 참조한다. ATCC 13076과 관련하여, 문헌[Fioretto F et al., Braz J Med Biol Res. 2005 Aug;38(8):1259-65. Epub 2005 Jul 30]을 참조한다. ATCC 13311과 관련하여, 문헌[Leguerinel I et al., Int J Food Microbiol. 2007 May 1;116(1):88-95. Epub 2007 Jan 13]을 참조한다. ATCC 27336과 관련하여, 문헌[Chen S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2013 Jul;79(13):4015-23. doi: 10.1128/AEM.00704-13. Epub 2013 Apr 19]을 참조한다. ATCC 43079와 관련하여, 문헌[Farrow JA and Collins MD., Syst. Appl. Microbiol. 5: 483-493, 1984]을 참조한다. ATCC BAA-1323과 관련하여, 문헌[Svensson Mikael D et al., Microbiology 148: 3933-3945, 2002]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식품 보충제, 영양 보조 식품, 약학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상이한 투여 경로에 적합하게 적절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경로는 다음을 포함한다: 귀로, 협측, 피부, 치과, 비강, 안과, 구강, 구강인두, 직장, 호흡기 (흡입), 설하선, 국소 또는 질.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본 명세서 및 다음의 청구항의 목적을 위해,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또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또는 "이로 구성되는"이라는 용어를 포함한다.
실제로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은 전형적으로 치료될 병태, 선택된 투여 경로, 투여되는 실제 조성물, 연령, 체중 및 개별 대상체의 반응, 대상체의 증상의 중증도 등을 포함하여, 관련 상황에 비추어 의사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임의의 조성물에 대해, 치료학적 유효량은 세포 배양 분석 또는 동물 모델, 통상적으로 마우스, 래트, 기니아 피그, 토끼, 개 또는 돼지에서 초기에 추정될 수 있다.
동물 모델은 또한 적절한 농도 범위 및 투여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그러한 정보는 인간에게 유용한 투여 용량과 투여 경로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인체 동등 선량 (Human Equivalent Dose, HED) 계산시, 산업 및 검토자 지침 문서 (2005, 미국 식약청, Rockville, Maryland, USA)에 제공된 전환 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라, 인간에게 투여될 추출물의 투여량은 그것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생약 조성물 및 결과적으로 생약 조성물에 존재하는 분쇄된 단일 건조 식물의 양을 참조하여 조절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분쇄된 건조 식물 0.001 내지 500 g이 최종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임의로 0.01 내지 100 g이다. 이러한 추출물을은 그 자체로 또는 인간 또는 동물용으로 최종 조성물에 동결 건조, 건조 또는 동결 건조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희석할 수 있다.
인간 대상의 정확한 유효 투여량은 질환 또는 병태의 중증도, 대상체의 일반적인 건강 상태, 대상체의 나이, 체중 및 성별, 식이, 투여 시간 및 횟수, 기타 동시 치료법, 반응 민감도 및 관용/치료에 대한 반응에 좌우될 것이다. 이 양은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임상의의 판단 범위 내에 있다.
투여량 처리는 단일 투여 계획 또는 다중 투여 계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다음 단계를 개략적으로 포함한다:
a) 적어도 2 종의 단일 건조 식물의 혼합물을 개별적으로 초핑하거나 분쇄하여 상응하는 식물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b) 적어도 2 종의 상이한 식물 분말을 혼합하여 생약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생약 조성물에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상응하는 액체 제제 (또는 추출물)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액체 제제를 실온에서 5 내지 15 분 범위의 시간 동안 항온처리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e) 상기 액체 제제를 60 ℃ 내지 134 ℃ 범위의 온도에서 5 내지 60 분의 범위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f)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g) 단계 e) 또는 f)로부터 수득한 액체 제제를 농축 및/또는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본 출원에 따르면, 용어 "동결 건조물"은 본 발명에 따른 동결 건조 (탈수된) 및 건조 추출물 둘 다를 지칭할 것이다.
단일 건조 식물은 약국 생약 상점의 건조 식물 수집물의 일부로 구입할 수 있는 상업 제품이다. 말린 식물 수집물의 목록은 선택한 생약 상점의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집물에서 구입 가능한 건조 식물은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는 제조업체가 유럽법의 품질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면 2012 년에 공동 사용 목록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EC 규정 852/2004). 3 명의 인정된 전문가 (Robert Anton, Luke Delmulle 및 Mauro Serafini)의 열심히 노력한 덕분에 이 프로젝트는 1,029 개의 식물과 11 개의 버섯 목록을 만들었다 (참조:
http://www.economie.gouv.fr/files/files/directions_services/dgccrf/imgs/breve/2014/documents/harmonized_list_Section_A.pdf 에서 목록 BelFrIt)
본 발명은 이제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에 사용된 식물의 목록
다음 목록에 있는 식물과 식물의 일부가 다른 예에서 사용되었다. 간결성을 위해 각 식물은 실시예 전반에 사용된 코드로 식별된다. 식물 분말의 200 μl(보정된 스푼의 부피)에 해당하는 무게도 표시된다 (표 0-1). 약학 등급 PA00 ~ PB12의 건조 식물은 "Pharmacie Fontgieve"(Clermont-Ferrand, 프랑스)에서 입수했고, 약학 등급 PB13 내지 PD08의 건조 식물은 "Pharmacie St Herem"(Clermont-Ferrand, 프랑스)에서 입수했다. 실시예에서 지시될 때, 식물은 또한 "Herboristerie Cailleau"(Chemille, France) 또는 Siccarapam (Aubiat, France)으로부터 입수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생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방법 A)
각각의 건조 식물을 커피 콩 분쇄기 (Type 8100, SEB, France)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수득된 분말 (식물 분말)을 2 mm 메쉬 체를 사용하여 체질하고, 60 ml 용기 (Labbox, France)에서 보존하였다.
상이한 분쇄된 건조 식물 (또는 식물 분말)의 혼합물은 200 μL의 분말을 수집할 수 있는 보정된 스푼으로 고정된 체적의 식물 분말을 수집하여 제조하였다. 수집된 체적의 무게는 특정 식물 분말에 의존한다 (표 0-1 참조).
단일 건조 식물뿐만 아니라 상이한 분쇄된 건조 식물 (또는 식물 분말)의 이러한 혼합물 또는 혼합물들은 본 명세서에서 "생약 조성물"로도 불릴것이다.
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이 실시예에서는 "처리된 샘플", "추출물" 또는 "추출물을 혼합한다"라고도 함) (방법 B)
이러한 생약 조성물을 50 ml의 팔콘 튜브 (Falcon, USA)에 넣고 100 g/l의 영양 등급 수크로스 (Daddy, France)를 함유하는 영양 등급 샘물 (Volvic, France) 용액 20 ml 또는 40 ml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를 첨가하였다. 식품 내에 또는 식품 상에 사용하기 위한 향미 성질을 갖는 특정 식품 성분 및 향미제 상에 2008 년 12 월 16 일자 Regulation (EC) No 1334/2008에 하에 직접 소비될 수 있는 "향미제"의 등급에 들어가는 식용 조성물을 얻는 목적으로 과학적 등급의 제품이 아닌 영양 등급 수크로스 및 물의 선택이 결정되었다.
이러한 액체 제제가 함유된 각각의 팔콘 튜브를 보텍스 혼합기 (ThermoFisher, USA)를 사용하여 10 초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10 분간 항온처리 한 후 오토클레이브 (MED 12, JP Selecta, Spain)에 넣고 지시된 바와 같이 119 ℃ 또는 121 ℃에서 20 분간 멸균 사이클을 거쳤다. 냉각시킨 후에, 멸균된 제제를 사용할 때까지 -20 ℃에서 유지했다.
조작하는 날, 37 ℃에서 제형을 해동시켰다. 상기 제제를 10 분 동안 4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거나(Multifuge 35-R, Heraeus, Germany) 실온에서 경사 분리를 위해 항온처리하였다 (실시예에 기재 됨). 2 mL의 상등액을 10 mL 주사기로 수집하고 0.2 μM 필터 (Minisart Syringe Filters, Sartorius, Germany)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2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수집하였다. 나머지 멸균된 제제는 추후 사용을 위해 -20 ℃에서 보관한다.
이렇게 얻어진 샘플은 "처리된 샘플"이라고도 하며, 해당 생약 성분과 동일한 이름 또는 코드로 표시될 것이다 (예를 들어, " 믹스[2P]-1"이라는 이름은 생물학적 활성이 결정되는 생약 조성물 및 상응하는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을 확인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결정하는 방법 (방법 C)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각 실험 (또는 실시예)에 표시된 균주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각 측정을 위해, -80 ℃에서 크리오비드(cryobead) (Technical Service, UK)에 저장한 각 세균를 TS 한천 플레이트 (Tryptic Soy Broth, Sigma, USA, Agar, Fisherbrand, USA)에 도말하고 37 ℃에서 밤새 항온처리한다. 접종 루프를 사용하여 여러 콜로니를 수집하고 생리 식염수에 부유시킨다. 광학 밀도를 측정하고 TS 브루쓰에서 희석하여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스타필로코커스 슈드인테르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균주의 경우에는 2.10 5.5 세균/mL,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경우에는 2.10 5 세균/mL의 농도를 얻는다.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을 각 실험 (또는 실시예)에 표시된 균주 및 세균이 없는 대조군을 사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상에서 측정하였다. 각 웰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스타필로코커스 슈드인테르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균주의 경우에는 10 5.5 세균/mL,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경우에는 10 5 세균/mL (또는 모든 다른 종의 경우 실시예에서 지시된 농도)로 접종된 190 μL TS 브로쓰를 함유하거나 1:10, 1:20, 1:40 및 1:80의 최종 농도에서 또는 1:20, 1:63 및 1:200 (실시예에서 지시된 바와 같음)에서 대조군 및 희석된 처리된 샘플 또는 음성 대조군 (어떠한 식물도 없는 100 g/l의 수크로스 용액)을 위한 세균이 없다.
각 플레이트는 37 ℃에서 17 시간 동안 항온처리기 (HettCube 400, Hettich, Germany)에서 항온처리하였다.
측정은 상용 문서 스캐너 (V 220, Epson, Japan)를 사용하여 얻은 플레이트의 이미지를 ImageJ 소프트웨어 (NIH, 미국) (그러나 다른 동등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도 있음)로 분석하여 수행했다. 스캐닝 영역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이미지는 스캐너와 함께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600 dpi로 수집된다. 각 플레이트에 대해, 3개의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상이한 살모넬라 혈청형 (Agarwal, R.K. et al.,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18(4):1493-1498, 2011)에서 생물막 형성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미세역가 플레이트 검정의 최적화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항온처리 전(T0) 첫 번째, 17 시간 항온처리 후 두 번째 (Tf), 및 크리스탈 바이올렛 (CV) 염색 후 세 번째.
관심있는 각각의 웰에 대하여,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이미지로부터, 웰에 대해 중심에 있는 직경 14, 14 및 76 픽셀의 직경의 원형 영역은, 영역의 1 % 덜 강렬한 픽셀의 평균 M1 및 M2와 영역의 모든 픽셀의 평균 M3을 계산하기 위해 ImageJ 매크로를 사용하여 특성화했다. 웰 내의 세균 용액의 혼탁도는, 14 픽셀 직경 영역의 1 % 덜 강렬한 픽셀의 평균을 공지된 혼탁도의 세균 용액을 함유하는 웰로부터 측정한 독립적인 실험에서 얻어진 기준 곡선을 사용하여 M1 및 M2로부터 추론하였다. 웰 내의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의 광학 밀도는, 76 픽셀 직경 영역의 픽셀의 평균을 공지된 광학 밀도의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함유하는 웰로부터 측정한 독립적인 실험에서 얻어진 기준 곡선을 사용하여 M3으로부터 추론하였다.
각각의 처리된 샘플과 주어진 세균에 대해, MIC는 17 시간 내에 가시적인 성장의 출현을 방지하는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4 개 (1:10, 1:20, 1:40, 1:80) 중 가장 높은 저해 희석 (HID)으로부터 결정되었다. 시험된 희석액 중 어느 것도 세균 성장을 막지 않았으면 "0"으로 지정되었다.
처리된 샘플 및 주어진 세균를 함유하는 각 웰에 대해, 세균 플랑크톤 성장의 억제 백분율은 하기 식에 따라 확립되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Tf (처리된 샘플)는 샘플 웰의 두 번째 이미지의 혼탁도이며, T0 (처리된 샘플)은 같은 웰의 첫 번째 이미지의 혼탁도이며, Tf (음의 대조군)는 처리된 샘플이 없는 동일한 세균을 함유하는 웰의 두 번째 이미지로부터의 혼탁도이며, T0 (음의 대조군)은 동일한 웰의 첫 번째 이미지의 혼탁도이다.
처리된 샘플 및 주어진 세균을 함유하는 각 웰에 대해, 생물막 형성 (IBF)의 억제 백분율은 하기 식에 따라 확립되었다 :
Figure pat00006
여기서, CV (음의 대조군)는 처리된 샘플이 없는 동일한 세균을 함유하는 웰의 세 번째 이미지의 OD이며, CV (대조군 샘플)는 어떠한 세균도 없는 동일한 희석에서 동일함 샘플 또는 음의 대조군을 함유하는 웨의 세번 째 이미지의 CD이다. IBF의 음의 값은 시험된 혼합물이 생물막의 형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3개: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 2 종의 식물의 개시된 조성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동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설명한다.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Herboristerie Cailleau"(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이러한 3 종의 식물 분말로부터 시작하여, 상기한 방법 A에 따라 6 종의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함량은 표 1-1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pat00007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 세 가지 생약 조성물은 단일 식물 분말만을 포함하고 마지막 세 가지 조성물은 세 가지 다른 식물 분말 중 두 가지를 포함한다.
표 1-1에 보고된 각각의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원심분리 단계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20 mL의 물을 사용하기 전에 보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1:10으로 희석으로 본 실시예 1의 2 종의 식물 혼합물 및 관련 분리된 식물의 처리된 샘플의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및 항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을 하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ATCC 25923 및 ATCC 29213, 이전에 보고된 방법 C에 따라 표 1-2에 제시되었다.
Figure pat00008
PA13, PA21 및 PB12는 공지된 항생제 효과를 갖는다. 1:10 희석에서 플랑크톤 성장 (<27 %) 및 생물막 형성 (<51 %)의 제한된 억제를 측정한 반면, 두 가지 식물 믹스 추출물의 세 가지 방향제 제제는 항균 효과 (> 66 %)와 항생물막 효과 (> 78 %)를 시험된 균주 ATCC 25923 및 ATCC 29213 둘 다에서 시험하였다.
모든 혼합물 (믹스[2P]-1, 믹스[2P]-2, 믹스[2P]-3)에 대해, 2 종 식물의 상승작용 효과는 시험된 두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에 대해 관찰된다.
비교예 1
비교예로서, 본 발명자들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이 없거나 불량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두 가지 상이한 식물 분말을 함유하는 상응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일부 처리된 샘플의 활성을 설명한다.
5 개의 처리된 샘플은 2 개의 추가 식물 분말을 사용하여 준비되었다: PA74 (리베스 니그룸(Ribes nigrum) 과일 분말) 및 PC72 (코켈아리아 오피시날리스(Cochlearia officinalis) 꽃 분말).
단일 건조 식물 분말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하고, 5 가지 생약 조성물을 전술한 방법 A에 보고된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러한 5 가지 생약 조성물은 표 1-3에 보고된 내용을 가졌다.
Figure pat00009
각각의 생약 조성물을 방법 B에 보고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여, 여과 전 원심분리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20 mL의 물을 사용하는 상응하는 처리된 샘플에 도달하였다.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전술한 방법 C에 따라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ATCC 25923 및 ATCC 29213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1:10으로 희석하여 2 개의 식물 혼합물 및 관련된 분리 식물의 처리된 샘플의 세균 플랑크톤 성장 및 항생물막 형성 억제율을 표 1-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PC72 및 PA74 및 관련된 믹스 1은 시험된 균주 둘 다에서 1:10 희석에서 항균 활성 및 제한된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경우에, 상승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PA13 및 PA21 (믹스 2 및 3)을 함유하는 모든 혼합물에 대해, 이러한 혼합물에 PC72 또는 PA74가 또한 포함되는 경우 1:10 희석에서 시험된 2 개의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에 대해서는 상승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리베스 리그룸(Ribes nigrum)과 코클레아리아 오피시날리스(Cochlearia officinalis) 둘 다 항균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음을 주목하는 것은 흥미롭다.
이 비교예는 공지된 항균 및/또는 항생물막 활성을 갖는 단일 건조 식물 사이의 임의의 린덤 조합이 상승 작용이 관찰되는 수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없음을 예시한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이한 수분 추출물이 상이한 방법에 따라 제조 될 때, 실시예 1에서 보고된 3 종의 식물 중 2 종의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상이한 수분 추출물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동시에 설명한다.
약학 등릅의 건조 식물은 "Herboristerie Cailleau"(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그 내용이 표 2-1에 기재된 20 가지 생약 조성물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1
각 생약 조성물에 대해 20 개의 액체 (수분) 제제를 다음과 같이 준비했다:
수집된 분말을 20 개의 50 ml 팔콘 튜브 (Falcon, USA)에 넣었다. 0, 25, 50, 75 또는 100 g/l의 영양 등급 수크로스 (Daddy, France)를 함유하는 영양 등급 샘물 (Volvic, France) 용액 20 ml를 조건당 4 개의 형광등 튜브에 첨가하였다. 이러한 액체 제제를 함유한 각각의 팔콘 튜브를 보텍스 혼합기 (ThermoFisher, USA)를 사용하여 10 초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10 분 동안 항온처리한 다음, 4 가지 상이한 가열 처리를 각 조건에 적용하였다:
- 냉 주입 (원심분리 및 여과 전에 가열하지 않음):
실온에서 항온처리한 후, 제제를 10 분 동안 4,000 rpm에서 원심분리시키고 (Multifuge 35-R, Heraeus, Germany), 10 mL 주사기로 2 mL의 상등액을 수집하고 0.2 μM 필터 (Minisart Syringe Filters, Sartorius, Germany)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2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수집하고 사용할 때까지 -20 ℃에서 보관했다. 조작 한 날, 37 ℃에서 제제를 해동시켰다.
- 60 ℃에서 30 분 동안 가열:
실온에서 항온처리한 후, 제제를 오토클레이브 (VWR, USA)에 넣고 60 ℃에서 20 분 주기를 거쳤다. 냉각 후, 처리된 제제를 10 분 동안 4000 rpm으로 원심분리시키고(Multifuge 35-R, Heraeus, Germany), 10 mL 주사기로 2 mL의 상등액을 수집하고 0.2 μM 필터 (Minisart Syringe Filters, Sartorius , Germany)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2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수집하고 사용할 때까지 -20 ℃에서 보관했다. 조작한 날, 37 ℃에서 제형을 해동시켰다.
- 119 ℃에서 20 분 동안 가열:
실온에서 항온처리한 후,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 (VWR, USA)에 넣고 119 ℃에서 20 분 동안 멸균 사이클을 거쳤다. 냉각 후, 처리된 제제는 사용할 때까지 -20 ℃에서 보관했다. 조작한 날, 37 ℃에서 제제를 해동시키고 10 분 동안 4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고(Multifuge 35-R, Heraeus, Germany), 10 mL 주사기로 1 mL의 상등액을 수집하고 0.2 μM 필터 (Minisart Syringe Filters, Sartorius, Germany)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2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수집하였다.
이 샘플을 본 명세서에서 "처리된 샘플"이라고 한다.
각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균주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1:10 희석으로 이전에 제시된 상이한 가열 처리 각각으로부터 생약 조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제조된 20 개의 처리된 샘플의 세균 플랑크톤 성장 백분율을 표 2-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2
믹스 1에서 제조된 모든 처리된 샘플은 119 ℃에서의 온도 처리 후에만 ATCC 25923에 대한 항균 효과를 보인 반면, 믹스 2는 처리된 샘플이 단지 16 %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를 나타내는 60 ℃에서 처리된 수크로즈 첨가가 없는 조건을 제외하고는 수크로스의 모든 조건에 대해 냉 주입 후 그리고 모든 시험된 온도 처리 후 (> 82 %의 억제) 제한된 항균 효과 (31 ~ 52 %의 억제)를 보였다. 온도 처리는 믹스 2의 항균 효과를 향상시켰다. 믹스 1과 믹스 2에 대한 시험된 처리 사이의 최적의 온도 처리는 119 ℃에서 20 분 동안이었다.
항균 효과에 대한 수크로스 농도의 영향은 적용되는 온도 처리에 달려 있다. 20 분 동안 119 ℃에서 처리된 믹스 1의 경우 100, 75, 25 및 0 g/l의 수크로스를 사용하여 동일한 항균 효과가 얻어졌으며 50 g/l를 사용하여 낮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믹스 2의 경우, 119 ℃의 온도 처리에서 수크로스 농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항균 효과가 얻어졌다.
1:10 희석에서 이전에 제시된 상이한 가열 처리 각각으로부터 생약 조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제조된 20 개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막 형성 억제 (IBF) 백분율 (%)이 표 2-3에 주어진다.
Figure pat00013
시험된 모든 조건에서, 처리된 샘플은 일부 항생물막 효과를 나타냈다.
믹스 1의 경우, 제한된 항생물막 활성이 냉 주입 및 60 ℃ 온도 처리 (22 ~ 55 % 억제)의 모든 수크로스 농도에 대해 관찰되었다. 높은 항생물막 활성 (> 90 %의 억제)이 억제율 75 %를 나타내는 50 g/l를 제외하고 모든 수크로스 농도에 대해 119 ℃ 온도 처리로 관찰되었다.
믹스 2의 경우, 60 ℃ 및 119 ℃의 온도 처리 (> 77 %의 억제)에서 수크로스 농도에 관계없이 동등한 항균 활성이 얻어졌다. 냉 주입 후, 믹스 2는 수크로스 농도에 따라 중간 내지 우수한 항균 효과 (50 %에서 74 %의 억제)를 나타냈다. 수크로오스 농도가 높을수록 제제가 더 활성이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2 내지 7 종의 식물을 함유하는 12 개 혼합물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동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설명한다.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Herboristerie Cailleau"(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2 내지 7 개의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은 200 μL의 분말을 수집할 수 있는 보정된 스푼으로 고정된 체적의 식물 분말을 수집하여 제조하였다.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12 가지 생약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4
여과 전 원심분리 단계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20 mL의 물을 사용하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각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12 가지 상응하는 처리된 샘플을 제조하였다.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이전에 기재된 방법 C에 따라 다음의 스타필로코커스 아루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ATCC 25923, ATCC 29213, NCTC 12493, ATCC 33591, ATCC 33592, ATCC 43300, ATCC 700698, ATCC 700699, ATCC 9144 및 ATCC BAA 및 하기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 ATCC 12228, ATCC 700296, ATCC 49461 및 ATCC 14990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처리된 12 개의 샘플에서 관찰된 최소 억제 농도 (MIC)는 HID의 형태로 표 3-2에 주어졌으며 스타필로코커스 아루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모든 균주에 대한 평균 효능이 있다.
Figure pat00015
이 실시예에서, 관찰된 HID는 대부분의 경우 1:10에서 1:20 사이이므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의 희석으로서 1:20의 희석이 선택되었다. 1:20으로 희석한 12 개의 처리된 샘플의 세균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은 표 3-3에 제공되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모든 균주에 대한 평균 효능도 제공된다.
Figure pat00016
1:20으로 희석 한 12 개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막 형성 억제 (IBF) 비율은 표 3-4에 제공되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모든 균주에 대한 평균 효능이 제공된다.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의 평균 효능은 상이한 세균 균주에 대한 항균 및 항생물막 효능의 양호한 지표이다.
Figure pat00017
2-식물 믹스 추출물은 시험된 10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중 2 개 (ATCC 29213 및 ATCC 43300)에서 시험된 희석물에서 항균성이 없는 믹스[2P]-3을 제외하고 시험된 10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1:10 희석하여 완전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표 3-2 참조).
3 가지 2 개 식물 믹스 추출물은 시험된 4 가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 대해 서로 다른 항균 활성을 보였다. 믹스[2P]-1은 3 개의 균주 (ATCC 12228, ATCC 49461 및 ATCC 14990)에서 1:10의 HID 및 ATCC 700296 균주에서 1:20의 HID를 가졌다. 믹스[2P]-2는 2 개의 균주 (ATCC 12228 및 ATCC 49461)에서 2 개의 균주 (ATCC 12228 및 ATCC 49461)에서 1:10의 HID 및 2 개의 다른 균주 (ATCC 700296 및 ATCC 14990)에서 1:20의 HID를 가졌다. 반면, 믹스[2P]-3은 2 개의 균주 (ATCC 12228 및 ATCC 14990)에서 1:10의 HID 및 2 개의 다른 균주 (ATCC 700296 및 ATCC 49461)에서 1:20의 HID를 가졌다 (표 3-2 참조) .
믹스[2P]-1, 믹스[2P]-2 및 믹스[2P]-3에 포함된 3 가지 식물에서 얻은 믹스[3P]-1은 3 가지 2 개의 식물 혼합물 보다 광범위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9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1:10의 HID 및 ATCC 700699에서 1:20의 HID, 시험된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서 1:20의 HID) (표 3-2 참조). 항균 활성의 획득은 각 식물 믹스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을 계산하여 확인된다 (표 3-3 참조).
3 종의 식물 PA11, PA12 및 PA22를 3-식물 믹스 믹스[3P]-1에 첨가하여 3 가지 4 개의 식물-믹스 추출물 믹스[4P]-1, 믹스[4P]-2 및 믹스[4P]-3 각각을 얻었다. 이 4-식물 믹스 추출물은 3-식물 믹스 추출물 믹스[3P]-1과 동일한 HID 또는 이보다 더 높은 HID (표 3-2 참조) 및 더 높은 플라크통 성장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3-식물 믹스 추출물을 사용한 23%에 비해 10 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4-식물 믹스 추출물을 사용하여 평균 28-45%를 얻었다 (표 3-3 참조). 이들은 또한 더 높은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을 나타냈다: 3-식물 믹스 추출물을 사용한 25%에 비해 10 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4-식물 믹스 추출물을 사용하여 평균 34-42%를 얻었다 (표 3-4 참조).
5-식물 믹스는 3 종의 선택된 추가의 식물 중에서 2 종의 식물을 첨가하여 준비되었다. 3 가지 5-식물 믹스 추출물 모두는 4-식물 믹스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나타냈다 (표 3-2, 3-3 및 3-4 참조).
믹스[6P]-1은 이전에 시험된 처리된 샘플의 준비에 사용된 6 종 식물로 구성된. 흥미롭게도, 6-식물 믹스 추출물은 5-식물 믹스 추출물보다 적은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나타내지만 4-식물 믹스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 효과와 동등한 항생물막 효과를 나타냈다.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은 새로운 식물 (PA79)을 추가하여 회복 및 향상되었다 (표 3-2, 3-3 및 3-4 참조).
믹스에서 식물의 수를 늘리면 강화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갖는 상응는 수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었고, 이들 활성 하나 또는 둘 다를 확인할 수 있는 균주의 수를 증가시켰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기술된 3 가지 식물 중 적어도 2 가지의 식물 및 3 내지 10 가지 식물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추가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196 수분 추출물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동시에 설명한다.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Pharmacie Fontgieve"(Clermont-Ferrand, 프랑스, 식물 PA00 내지 PB12) 및 "Pharmacie St Herem"(Clermont-Ferrand, 프랑스, 식물 PB13 내지 PD08)에서 얻은 것이다.
4개의 참조 생약 조성물 믹스[2P]-1, 믹스[2P]-2, 믹스[2P]-3, 믹스[3P]-1 및 196 개의 새로운 생약 조성물은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제조되었고, 목록 4-1에 보고된 내용을 가졌다.
목록 4-1 : 처리된 샘플의 생약 조성물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이러한 생약 조성물의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원심분리 단계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20 ml의 물을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다음과 같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ATCC 25923, ATCC 49476, ATCC 6538, ATCC 51740, ATCC 29213 및 ATCC 14775를,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10 스푼 미만의 식물 분말 (M[2P] 내지 M[9P])을 함유하는 처리된 샘플에 대해 1:10, 1:20, 1:40 및 1:80으로 10 스푼의 식물 분말 (M[10P])을 함유하는 처리된 샘플에 대해 1:20, 1:63 및 1:200으로 처리된 샘플을 최종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결정되었다.
1:20으로 희석한 믹스[2P]-1의 2 종의 식물에서 얻은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과 생물막 형성 억제율 평균을 표 4-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3
5 또는 1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20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2P]-1 (표 4-1 A)보다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4 개의 10 가지 식물 믹스 추출물은 보다 높은 항바이오피름 활성 및 동등하거나 더 낮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4-1 B). 3, 4 또는 10 종 식물을 함유한 5 개의 처리된 샘플은 항균 활성이 더 높거나 항생물막 활성이 동등하거나 더 낮았다 (표 4-1 C).
1:20으로 희석한 믹스[2P]-2의 2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과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을 표 4-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3, 5, 9 또는 1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33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2P]-2 (표 4-2A)보다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6 개의 10 가지 식물 믹스 추출물은 항생물막 활성이 더 높고 항균 활성이 동등하거나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 B). 1개의 4 가지 식물 믹스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높고 항생물막 활성이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 C).
1:20으로 희석한 믹스[2P]-3의 2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을 표 4-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6
3, 5, 9 또는 1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23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2P]-3 (표 4-3 A)보다 더 높은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3, 4 또는 1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4 개의 처리된 샘플은 항생물막 활성이 보다 높고 항균 활성이 동등하거나 그보다 낮았다 (표 4-3 B).
1:20으로 희석한 믹스[3P]-1의 3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을 표 4-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4, 5, 6, 7, 9 또는 1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80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3P]-1 (표 4-4 A)보다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3, 4 또는 1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18 개의 처리된 샘플은 항생물막 활성이 보다 높고 항균 활성이 동등하거나 더 낮았다 (표 4-4 B). 생약 조성물 4와 10 식물에서 얻은 2 개의 처리된 샘플은 항생물막 활성이 높고 항균 활성이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4 C).
비교예 2
비교예로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의 3 종 식물 (PA13, PA21, PB12) 중 단지 1 종의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3 또는 10 가지 식물 믹스 추출물을 나타내지만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이 없거나 낮았다.
목록 4-8에서 내용이 보고된 10 가지 생약 조성물을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목록 4-8 : 처리된 샘플의 생약 조성
Figure pat00030
10 가지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해당 생약 조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제조되었다.
1:20 희석으로 처리된 샘플에 대해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되었고 표 4-5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31
실시예 1의 3 종 식물 (PA13, PA21, PB12) 중 1 종 식물을 포함하는 3 또는 10 종 식물로 구성된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시험된 모든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2P]-1 (PA13 및 PA21에서 얻음), 믹스[2P]-2 (PA21 및 PB12에서 얻음) 및 믹스[2P]-3 (PA13 및 PB12에서 얻음)의 3 가지 2 종 믹스 추출물보다 낮은 항균 활성 및 믹스[2P]-1 및 믹스[2P]-3보다 낮은 항생물막 활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표 1-1 참조)에 기재된 3 종 식물 중 적어도 2 종 식물 및 9 내지 20 종 식물의 혼합물을 어셈블링하기 위한 추가의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390 가지 혼합물 추출물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동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설명한다.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Pharmacie Fontgieve"(프랑스 Clermont-Ferrand, 프랑스 PA00 에서 PB12) 및 "Pharmacie St Herem"(프랑스 Clermont-Ferrand, 식물 PB13 에서 PD02)에서 얻은 것이다.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9 내지 20 개의 식물 분말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에 제시된 함량 (목록 5-3)을 갖는 4 개의 기준 생약 조성물 믹스[2P]-1, 믹스[2P]-2, 믹스[2P]-3, 믹스[3P]-1 및 390 가지 새로운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목록 5-3 : 처리된 샘플의 생약 조성물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참고 : 이전 및 다음 유사 목록에서 동일한 생약 조성에서 식물 코드가 1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 해당 연마된 건조 식물의 교정된 스푼이 1 이상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목록 6-3에 열거된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구배경사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40 mL의 물을 사용하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다음의 처리된 샘플의 최종 희석: 1:20, 1:63 및 1:200으로 하기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ATCC 25923, ATCC 49476, ATCC 6538, ATCC 51740, ATCC 29213 및 ATCC 14775를 사용함으로써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하였다.
1:20으로 희석 된 믹스[2P]-1의 2 개 식물을 포함하여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율은 표 5-1에 주어진다.
Figure pat00049
9, 18, 19 또는 2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20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2P]-1 (표 5-1 A)보다 높은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14 개의 20 가지 식물 믹스 추출물은 보다 높은 항생물막 활성 및 동등하거나 더 낮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5-1 B). 17 종 및 18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2 개의 처리된 샘플은 항균 활성이 보다 높고 항생물막 활성이 동등하거나 더 낮았다 (표 5-1 C).
1:20으로 희석한 믹스[2P]-2의 2 종 식물을 포함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 표 5-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9, 16, 17, 18, 19 또는 2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58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2P]-2 (표 5-2 A) 보다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16, 17, 19 또는 2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25 개의 처리된 샘플은 보다 높은 항생물막 활성 및 동등하거나 더 낮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5-2 B).
1:20으로 희석한 믹스[2P]-3의 2 종 식물을 포함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과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을 표 5-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9, 19 또는 2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70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2P]-3 (표 5-3 A) 보다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18 내지 20 종 식물을 함유한 37 개의 처리된 샘플은 항생물막 활성이 더 높고 항균 활성이 동등하거나 그보다 낮았다 (표 5-3 B).
1:20으로 희석한 믹스[3P]-1의 3 종 식물을 포함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빅분율 평균을 표 5-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9, 16, 17, 18, 19 또는 20 종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51 개의 처리된 샘플은 기준 믹스 추출물 믹스[3P]-1 (표 5-4 A) 보다 항생물막 및 항균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 내지 20 종 식물을 함유한 113 개의 처리된 샘플은 항바아오필름 활성이 높고 항균 활성이 동등하거나 그보다 낮았다 (표 5-4 B).
비교예 3
비교예로서, 본 발명자들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이 없거나 또는 불량한 것으로 밝혀진 실시예 1의 3 종 식물 (PA13, PA21, PB12) 중 단지 1 종 식물만을 함유하는 20 가지 식물 믹스 추출물을 보고한다.
목록 5-8에 보고된 함량을 갖는 10 가지 생약 조성물을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목록 5-8 : 처리된 샘플의 생약 조성
Figure pat00057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경사구배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물 40 mL를 사용하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상응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었다.
각각의 처리된 샘플에 대해, 생물학적 활성은 처리된 샘플의 최종 희석율이 1:20, 1:63 및 1: 200으로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되었다.
1:20으로 희석하여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과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을 표 5-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58
실시예 1의 3 종 식물 ((PA13, PA21, PB12)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포함한 20 개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모든 처리된 시험 샘플은 기준 믹스[2P]-1 (PA13 및 PA21에서 얻음), 믹스[2P]-2 (PA21 및 PB12에서 얻음) 및 믹스[2P]-3 (PA13 및 PB12에서 얻음)의 3 가지 2종 믹스 추출물보다 낮은 항생물막 활성 및 믹스[2P]-1 및 믹스[2P]-3보다 낮은 항생물막 활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4 및 5에 기재된 최선 믹스 중에서 선택된 2 개의 처리된 샘플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슈딘데르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에 대한 동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보고한다.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Pharmacie Fontgieve"(프랑스 Clermont-Ferrand)와 "Pharmacie St Herem"(프랑스 Clermont-Ferrand)에서 구입했다.
하기 표 6-1에 보고된 건조 식물 분말을 함유하는 2 가지 생약 제제를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6-1
Figure pat00059
이러한 생약 조성물 2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원심분리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M[20P]-576을 위한 물 40 mL 및 M[10P]-154를 위한 물 20 mL를 사용하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하기 균주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측정하였다:
-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ATCC 25923, ATCC 49476, ATCC 6538, ATCC 51740, ATCC 29213, ATCC 14775, NCTC 12493, ATCC 33591, ATCC 33592, ATCC 43300, ATCC 700698, ATCC 700699, ATCC 9144 및 ATCC BAA-44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 ATCC 14990, ATCC 12228, ATCC 700296, ATCC 49134 및 ATCC 49461
- 스타필로코커스 슈딘데르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균주: ATCC 49444
처리된 2 개의 샘플에서 관찰된 최소 억제 농도 (MIC)는 HID의 형태로 표 6-2에 제시되어 있으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모든 균주에 대한 평균 효능이 제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60
M[10P]-154와 M[20P]-576은 시험된 모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서 항균 활성을 보였다. M[10P]-154는 1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서 1:80, 4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4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의 시험된 균주에서 1:40, 9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1:20 및 1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1:10의 완전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M[20P]-576은 1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서 1:80, 6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및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의 시험된 균주에서 1:40, 7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및 4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서 1:20 및 1 개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1:10의 완전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1:20으로 희석한 2 가지 처리된 샘플의 세균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과 생물막 생성 억제 (IBF) 백분율은 표 6-3에 주어졌으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모든 균주에 대한 평균 효능도 주어졌다.
Figure pat00061
1:20으로 희석한 결과 M[10P]-154는 시험한 모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서 평균 88 %의 생물막 형성 억제를 나타냈으나 M[20P]-576은 평균 90 %를 나타냈다. 두 믹스는 한 균주에 대해 낮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ATCC 6538 (M[10P]-154에 대해 45%, M[20P]-576에 대해 60%). M[10P]-154는 시험된 모든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주에서 91 %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를 보였으나 M[20P]-576은 평균 88 %를 보였다. (표 6-3 참조). 두 가지 믹스는 시험된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에 대해 각각 95 % (M[10P]-154)와 93 % (M[20P]-576) 이상의 억제 백분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M[10P]-154와 M[20P]-576은 1:20 희석으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에서 항생물막 활성을 입증했다.
실시예 7
다음 제형에 사용된 믹스[20C]-576 (실시예 6에 기재됨)의 용액은 여과 단계를 제외하고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A 및 B에 따라 제조하였고, 본 실시예는 5 cm 두께의 친수성 코튼 층으로 채워진 부흐너 깔때기를 사용하여 흡인 여과에 의해 수행되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코튼 여과된 용액은 하기 실시예에서 SK576으로 언급될 것이다.
국소 적용에 사용될 연고와 2 개의 크림은 다음과 같은 유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 A 상 및 B 상을 2 개의 개별 비이커에서 회전식 진탕으로 혼합하여 다음의 성분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62
- 두 개의 비이커를 온수 욕조를 사용하여 70 ℃로 가열하고 밀랍의 결정화를 피하기 위해 10 분 동안 70 ℃에서 유지했다.
- 이어서, B 상을 천천히 A 상에 붓고, 비이커를 온수 조에 넣고 기계적 침지 블렌더 (Moulinex "Infinyforce_핸드 블렌더", 프랑스)로 일정하게 교반하였다다.
- 이어서, 상 A 및 B의 믹스를 함유하는 비이커를 따뜻한 욕조에서 꺼내고 침지 "마요네즈 블렌더(mayonnaise blender)" (Moulinex"Infinyforce_핸드 블렌더", 프랑스)를 사용하여 연고를 형성시켰다.
국소 적용에 사용되는 겔은
- 친수성 주사기 필터 (0.22 μm)에 SK57 6의 20.6 g을 여과하고.
- 여과된 용액에 0.75 g의 크산탄 분말 (Hyteck "Aroma ZoneTM", 프랑스) 및 0.25 g의 아스코르브산 (Hyteck "Aroma ZoneTM", 프랑스)을 첨가하고, 형성하도록 5-10 분간 주걱으로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국소 적용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용액은
- 5.5 g의 SK576과 11.9 g의 무수 에탄올 (Sigma-Aldrich, France)을 20 ml의 비이커에서 혼합하여 5 ℃의 냉장고에서 3 시간 동안 보관하고,
- 차가운 혼합물을 빙수 욕조에서 비이커에 넣고 Kolliphor® P-407 (Sigma-Aldrich, France) 0.7 g을 교반 바 및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부드럽게 첨가하고,
- 빙수욕 하에 30 분 교반한 후, 용액을 투여를 위해 시약 분무기 (CAMAG, 스위스)에 충전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 5 가지 제조 프로토콜 각각은 각 성분의 동일한 상대적 양을 유지함으로써 제제의 상이한 체적으로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실시예 8
치명적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 감염의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수분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도입
에스. 아우레우스(S. aureus) 균주 뉴만은 1952 년에 인간 감염으로부터 분리되어 강력한 병독성 표현형으로 인해 포도상 구균 감염의 동물 모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암컷 OF1 마우스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해 유발된 병인을 연구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감염의 병인에 대한 초기 연구는 기술적인 용이성 때문에 마우스를 감염시키고 치료하기 위한 복강내 경로를 사용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뉴만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치사량으로 감염된 암컷 OF1 마우스에서 본 발명의 수분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치료는 감염 후 7 일까지 감염 2 일 전에 Q Dx10 일정에 따라 경구 경로로 투여하였다. 사망률의 모니터링은 D0 내지 D15에서 수행하였다.
비히클은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 물질 및 대조군
시험 물질: 수분 추출물 M[20C] 576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120 g/l의 생약 조성물로부터 출발하여 수득됨). 이것은 수분 추출물이 각각 1,200 μl가 들어 있는 11 개의 바이알에 제공되었다. 그것은 -20 ℃에서 저장되었다.
비히클: 수크로스 10 % 수용액. 그것은 -20 ℃에서 저장될 것이다.
세균 균주: 뉴만 스타필로코커스 균주 (T. Foster 박사,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트리니티 대학 제공, 배치 번호 ST414156 , LST4).
동물 구매 및 케이지
찰스 리버 (Charles River) (L' Arbresle, France)에서 6 주령의 Crl:OF1 (이종 교배) 암컷 마우스를 20 마리 구입했다.
동물 보호 단체는 프랑스 농업 부처 (Agreement Number B35-288-1)의 승인을 받았다 (승인 번호 B35-288-1). 동물 실험은 동물 실험의 윤리적 가이드 라인에 따라 수행되었다(1986 년 11 월 24 일, n° 86/609 CEE du, 1987 년 10 월 19 일 Decret n° 87/848, 1987 년 10 월 19 일, Arrete d'Application du 19 Avril 1988).
동물은 온도 (22 ± 3 ℃), 습도 (50 ± 20 %), 광 주기 (12 시간 밝음/12 시간 어둠), 공기 교환 및 저압의 통제된 조건 하에서 "A2" 룸에서 유지되었다. 공조 시스템은 재순환 없이 1 시간에 14 회의 공기 변경을 프로그래밍한다.
음식과 물을 케이지 꼭대기의 금속 뚜껑에 넣고 자유롭게 제공했다.
치료 및 실험 디자인
세균 준비 - 도전을 위한 세균의 증폭
세균 한 바이알을 해동시키고 50 ml의 Tryptic Soy 브로쓰 (TSB, Ref. 43592 또는 22902, Sigma)에서 접종 물 100 μl를 배양했다. 세균을 수평 교반기에서 110 rpm 하에 교반하면서 20 시간 동안 37 ℃에서 항온처리하였다. 세균 현탁액을 1/20 (100 μl + 1.9 ml의 TSB)로 희석하고 광학 밀도는 680 nm (O.D. 680 nm)에서 ㅍ판독할 것이다.
이어서, 10 ml의 세균을 5,200 rpm (3400 g)에서 4 ℃에서 10 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을 버리고 세균을 10 ml의 DPBS (Ref. BE17 -512F, Lonza, France)에 가용화시켰다. 세균 현탁액 (C0)을 1/20 (100 ㎕ + 1.9 ml의 DPBS)으로 희석하고 O.D.680 nm를 측정할 것이다.
원심분리 전과 후에 측정한 O.D. 680 nm는 유사해야 한다.
세균 용액의 CFU/ml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CFU/ml = (O.D. 680 nm x 20 (희석 배수) Х 6.5.108 (CFU/U.D.O)
뮤신 제조
뮤신 (Sigma, France)은 하기 설명된 바와 같이 치료 전 14-16 일에 20 %에서 제조하였다.
DPBS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를 56 ℃에서 예열하고 최종 부피의 3/4을 믹서로 옮긴 다음, 돼지 뮤신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믹서를 나머지 부피의 DPBS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20 % 뮤신 용액을 삼각 플라스크 (Erlenmeyer Flask)로 옮기고 37 ℃에서 1 시간 30 분 동안 진탕 하에 항온처리하였다. 20 % 뮤신 용액의 3/4을 멸균 병에 옮겼다. 상기 용액의 나머지 1/4은 별도로 저장했다. 이어서, 3/4 및 1/4 용액을 오토클레이빙으로 멸균시켰다. 멸균된 20 % 돼지 뮤신 용액을 + 4 ℃에서 보관하였다.
감염 전날, 여과된 NaOH 30 %를 첨가하여 20 % 뮤신 용액의 3/4의 pH를 7.4로 조정하였다. 필요한 경우, 1/4 남은 나머지 용액의 일부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합니다.
세균 준비
O.D.680 nm 결과에 따르면, 세균 (C0)을 DPBS로 희석하여 6.8 x 10 7 CFU/ml의 농도에 도달시켰다. 이 현탁액을 20 % 돼지 뮤신에서 1/2로 희석하여 PBS-10 % 돼지 뮤신에서 3.4 x 10 7 CFU/ml의 LD80 농도로 만들었다. 처리에 사용된 현탁액을 멸균 유리 비드 (4 mm, Ref. 068502, Dutscher, France)를 함유하는 튜브에 넣었다. 현탁액은 와동되지 않았지만 튜브를 뒤집어서 혼합되었다. 세균을 치료 전에 얼음 위에 놓고 치료하는 동안 얼음 위에 두었다.
CFU 결정
동물에 접종한 전후의 세균 현탁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세균 현탁액을 표 8-1에 기술된 바와 같이 DPBS-0.5 % Tween 20 (Sigma, France)에서 10 배 연속 희석하여 깊은 웰에서 희석시켰다 (50 μl의 세균 + 450 μl의 DPBS-0.5 % 트윈 20). 이어서, 세균 희석액 3, 4, 5 및 6의 6 x 50 μl를 Tryptic Soy Agar 플레이트 (Tryptic Soy Agar, Sigma)에 접종하고 37 ℃에서 밤새 두었다. 접종물의 실제 CFU (Colony-Forming Units)를 결정하기 위해 콜로니를 계산했다.
수치는 20 ~ 100 개의 콜로니를 포함하는 방울 (50 μl)에서 나타났다. 회색 박스는 플레이트에 씨딩된 희석액에 해당한다.
Figure pat00063
무작위
실험 전 (D-2), 20 마리의 건강한 OFI 암컷 마우스를 체중 기준에 따라 10 마리 마우스/그룹 2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그룹의 평균 체중이 통계적으로 상이하지 않게하였다.
처리
치료는 경구 (PO) 투여에 의해 D-2 내지 D7에서 수행하였다 (D0: 세균 접종한 날). 세균 접종은 복강내 주사 (IP)에 의해 수행되었다.
접종
D0, 마우스에게 세균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각 접종은 3.4 x 10 7 CFU/ml (1.7 x 10 7 CFU / 마우스)의 현탁액 500 μl의 복강내 주사로 구성되었다.
실험적 설계
D-2 내지 D7에서 시험 물질의 경구 투여로 동물을 치료하였다. D0에서, 치료는 세균을 접종한 후 1 시간 수행하였다.
실험 그룹은 아래에 설명 된대로 정의되고 표 8-2에 요약되어 있다.
ㆍ 그룹 1의 10 마우스는 처리 스케줄 Q1DX10에 따른 경구 투여에 의해 비히클로 D-2 내지 D7로 처리할 것이다.
ㆍ 그룹 2의 10 마우스는 처리 스케줄 Q1DX10에 따른 경구 투여에 의해 시험 물질로 D-2 내지 D7로 처리할 것이다.
Figure pat00064
동물 모니터링
D0 내지 D1에서, 사망률을 위해 마우스를 하루에 두 번 관찰되었다.
D2 내지 D15에서, 사망률을 위해 마우스를 하루에 한 번 관찰되었다.
마우스의 체중은 실험이 끝날 때까지 주 2 회 기록되었다.
아래의 표 8-3에 설명된 대로 상세한 임상 관찰 (피부, 털, 눈, 점막, 분비물 및 배설물의 발생, 호흡 기능, 보행 자세 변화, 자세)을 일주일에 2회 모니터링했다. 이 목록에 대한 설명은 완전한 것이 아니며 필요할 경우 다른 관측에 의해 보완되었다.
Figure pat00065
마우스 희생
D15에서, 살아남은 마우스를 방혈하여 희생시켰고 필요하다면 자궁 경부 탈구를 하였다. 부검을 하지 않았다.
결과
마우스 생존 분석은 하기 표 8-4 및 표 8-5에 보고되었다.
Figure pat00066
치료를 통해 마우스의 사망률을 100 %에서 70 %까지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동물 연구는 본 발명의 수분 추출물이 동물에게 경구 경로를 통해 투여될 때, 시험관내에서 관찰된 청구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이 치료 효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3 개의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PA13,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PA21,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PB12 중 2 종 식물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PA22 중 적어도 1 종 식물의 개시된 조성물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동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세 가지 다른 식물 분말로부터 시작하여 6 가지 생약 조성물을 이전에 보고된 방법 A에 따라 제조하였다.
목록 9-1 : 처리된 샘플의 생약 조성물
Figure pat00067
목록 6-3에 열거된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경사구배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40 mL의 물을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생물막 형성 억제에 대해 1:5 그리고 성장 억제를 위해 1:10의 처리된 샘플의 최종 희석을 사용하여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되었다. 성장 억제는 1:5 희석에서 각 혼합물에 대해 100 %에 가깝고, 생물막 형성 억제는 1:10 희석에서 모든 믹스에 대해 0 %에 가깝다는 점에 주목한다.
상이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모든 균주에 대한 세균 플랑크톤 성장 억제율 백분율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을 하기 표 9-1에 보고한다.
Figure pat00068
(A)는 PA13 및 PA21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목록 추출물로, PC20, PB07 및 PA22 중 하나를 첨가는 활성을 향상시킨다; (B)는 A13 PB12를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목록 추출물로, PC20, PB07 및 PA22 중 하나의 첨가는 활성을 향상시킨다; (C) PA13, PA21 및 PB12를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목록 추출물로, PC20, PB07 및 PA22 중 하나의 첨가는 활성을 향상시킨다; (D)는 PA13 와 PA21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은 목록 추출물로, PC20, PB07 및 PA22 중 하나의 첨가는 활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10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3 개의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PA13),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PA21),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PB12) 중 2 종 식물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PA22) 및 데스모듐 아드센덴스(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포함하는 개시된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324 혼합물의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동시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을 설명한다.
M[20C]-2083 내지 M[20C]-20798의 믹스에 대해,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Herboristerie CailleauU" (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M[20C]-2805 내지 M[20C]-2957의 믹스에 대해,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을 "Pharmacie Fontgieve" (Clermont-Ferrand, 프랑스, 식물 PA00 내지 PB12)와 "Pharmacie St Herem" (Clermont-Ferrand, 프랑스, 식물 PB13 내지 PD02)에서 얻었다.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3 내지 20 개의 식물 분말을 함유하는 식물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구배경사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40 mL의 물을 사용하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처리된 샘플의 1:20 최종 희석을 사용하여 하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ATCC 25923, ATCC 49386, ATCC 6538, ATCC 51740, ATCC 29213 및 ATCC 14775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을 결정하였다.
목록 10-1, 목록 10-2, 목록 10-3 및 목록 10-4 각각의 하기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균주 모두에 대한 세균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은 표 10-1, 표 10-2, 표 10-3 및 표 10-4에 각각 주어진다. 각 세트에서, 3 또는 4 종 이상의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단지 3 또는 4 종식물을 함유하는 임의의 믹스보다 큰 플랑크톤 성장 억제 또는 생물막 형성 억제 (또는 둘 다의 억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록 10-1: 3 개의 필리펜둘라 울마리아( Filipendula ulmaria ) (PA13),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 (PA21) 중 2 종 식물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 Eugenia caryophyllus )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 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 (PA22), 데스모듐 아드센덴스( Desmodium adscendens ) (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의 추출물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목록 10-2: 필리펜둘라 울마리아( Filipendula ulmaria ) (PA13),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Arctostaphylos uva-ursi ) (PB12)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 Eugenia caryophyllus )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 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 (PA22), 데스모듐 아드센덴스( Desmodium adscendens ) (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의 추출물: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목록 10-3: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 (PA21),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Arctostaphylos uva-ursi ) (PB12)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 Eugenia caryophyllus )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 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 (PA22), 데스모듐 아드센덴스( Desmodium adscendens ) (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의 추출물: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목록 10-4: 필리펜둘라 울마리아( Filipendula ulmaria ) (PA13),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 (PA21),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Arctostaphylos uva-ursi ) (PB12)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 Eugenia caryophyllus )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 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 (PA22), 데스모듐 아드센덴스( Desmodium adscendens ) (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의 추출물: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비교예 4
비교예로서, 본 발명자들은 3 개의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PA13),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PA21),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PB12) 중 단지 1 종의 식물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PA22), 데스모듐 아드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의 여러 추출물을 보고한다.
목록 10-5에 보고된 함량을 갖는 5 가지 생약 조성물을 이전에 기술된 방법 1에 따라 제조하였다.
목록 10-5 다음 식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로부터의 추출물
Figure pat00083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20 가지 식물 분말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경사구배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40 mL의 물을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처리된 샘플의 1:20 최종 희석을 사용하여 하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 ATCC 25923, ATCC 49476, ATCC 6538, ATCC 51740, ATCC 29213 및 ATCC 14775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을 결정하였다.
목록 10-4의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처리된 샘플의 시험된 균주 모두에 대한 세균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 및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 평균은 표 10-5에 각각 주어진다. 각 백분율은 두 개의 다른 웰에서 같은 조건의 2 회 측정의 평균이다. 음의 백분율은 원하는 억제 대신 성장 촉진 및 생물막 촉진을 반영한다. 이러한 추출물은 실시예 10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어떠한 억제라도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84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들은 3 개의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PA13),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PA21),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rusi) (PB12) 중 2 종의 식물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PA22) 및 데스모듐 아드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포함하는 목록 11-1에 개시된 생약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10 혼합물 추출물의 표 11-1에 기재된 14개 상이한 미생물 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예시한다.
Figure pat00085
목록 11-1: 실시예 11에 사용된 필리펜둘라 울마리아( Filipendula ulmaria ) (PA13),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Arctostaphylos uva-ursi ) (PB12) 및 3 개의 유게니아 카료필루스( Eugenia caryophyllus ) (PC20),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알( Vitis vinifera var. tinctorial ) (PA22), 데스모듐 아드센덴스( Desmodium adscendens ) (PB07) 중 적어도 1 종 식물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로부터의 추출물:
Figure pat00086
믹스 M[5P]-1, M[5P]-2 및 M[19P]-576에 대해, 약약 등급의 건조 식물은 "Herboristerie Cailleau"(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다른 믹스에 대해,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Pharmacie Fontgieve"(Clermont-Ferrand, 프랑스, 식물 PA00에서 PB12) 및 "Pharmacie St Herem"(Clermont-Ferrand, 프랑스, 식물 PB13에서 PD02)에서 구입했다 .
이전에 기술된 방법 A에 따라 20 가지 식물의 모든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경사구배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40 mL의 물을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생약 조성물 M[19P]-576, M[5P]-1 및 M[5P]-2는 표 1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건조 허브를 칭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7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경사구배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각각 M[19P]-576, M[5P]-1 및 M[5P]2를 사용하여 수크로스 없이 물 30 mL, 40 mL 및 40 mL를 각각 사용하여 이전에 기재된 방법 B에 따라 제조되었다.
각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표 11-3에 주어진 처리된 샘플의 표시된 최종 희석액에서 다음의 균주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되었다.
미생물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을 표 11-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88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들은 추출 단계가 표 12-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이원 믹스로서 사용되는 비수성 용매인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로 실현된 식물 믹스의 항균 활성을 예시한다. 물과의 비교가 제공된다.
Figure pat00089
M[20P]-576 건조 식물 믹스는 표 12-2에 따라 구성되고 500 mL 바이알에 넣고 수동으로 뒤집어서 섞어 완전히 혼합하였다. 건조 허브는 Siccarapam (Aubiat, 프랑스)에서 구입한 PC49를 제외하고는, "Herboristerie Cailleau"(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Figure pat00090
시험된 각각의 용매에 대해, 건조 식물 혼합물 5 g을 교반 바가 달린 100 ml의 색깔의 바이알 (Schott, Germany)에 넣고 50 ml의 용매를 첨가했다. 액체 현탁액을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최대 속도로 자기 교반기 (RO 15P IKA, Germany)로 교반하였다. 증발 플라스크에 놓인 유리 깔대기 (Schott, Germany) 자체에 놓인 250 mm 접혀진 필터 (J02 5106, Prats Dumas, France)를 사용하여 각 현탁액/용액을 중력으로 여과하였다. 여과기를 통과한 액체가 들어있는 플라스크를 회전식 진공 증발 장치 (Rotavapor® R20 5 + V80 0 진공 제어기, Buchichi, 스위스)에 놓고 모든 용매가 증발 할 때까지 용매 증발점 이하로 조절된 진공으로 35 ℃에서 증발을 수행한다. 남아있는 물질을 칭량하고 DMSO (Acros organic, USA) qsp 10 g/L에 용해시켜 추출된 믹스를 형성한다.
2 개의 수분 추출물은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되었고, 건조 식물의 스푼은 여과 전 구배경사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 추출을 위해 40 mL의 물을 사용을 사용하여 실시예 12의 M[20P]-576 건조 식물 믹스 2 g으로 대체되었다. 식물 믹스 추출물 중 하나의 건조 잔사 함량은 동결 건조물의 동결 건조 장치 (FreeZoneTM 2.5, Labconco USA, 독일 RZ6 Vacuubrand 소재)로 얻은 동결 건조 잔사를 칭량하여 결정되었다.
이들 건조 잔류물은 다른 추출물의 특정 활동을 추론하는 데 사용되었다.
각각의 추출된 믹스의 생물학적 활성은 추출된 믹스의 희석이 1:20, 1:40, 1:80, 1:160인 표 12-3에 표시된 균주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하였다. 최소 억제 농도 (MIC)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최저 농도로서 웰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나타냈다.
Figure pat00091
결과는 다양한 용매에 대해 표 12-4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pat00092
실시예 13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들은 추가된 탄수화물은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말토즈 및 갈락토스 중에서 선택되는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된 식물 믹스의 항균 활성을 예시한다.
M[19P]-576, M[5P]-1 및 M[5P]-2 건조 식물 믹스는 표 13-1에 따라 작성하고 500 mL 바이알에 넣고 수동으로 뒤집어서 섞어 완전히 혼합한다. 건조 허브는 Siccarapam (Aubiat, 프랑스)에서 구입한 PC49를 제외하고는, "Herboristerie Cailleau"(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각각의 건조된 식물 믹스에 대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추출물을 제조하고, 건조된 식물의 스푼은 여과 전에 경사구배를 포함하여 물 추출을 위해 표 13-3에 나타낸 물 40 mL 및 탄수화물의 양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식물 믹스 2 g으로 대체하였다.
탄수화물이 없는 식물 믹스의 건조 잔류물 함량은, 건조 식물의 스폰을 여과 전에 경사구배 단계를 포함하여 물 추출을 위해 물 40 mL를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식물 믹스 2 g으로 대체한 이전에 기술한 방법 B에 따라 제조된 동결된 40 mL의 추출물을 동결 건조 장치 (FreeZone 2.5, Labconco USA, 독일 RZ6 Vacuubrand 소재)로 얻은 동결 건조 잔사를 칭량하여 개별적으로 결정되었다. 이 건조 잔류물 함량은 탄수화물이 보조제로 간주되어 활성 성분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 다른 추출물의 특정 활성을 추론하는 데 사용되었다.
각각의 추출된 믹스의 생물학적 활성은 추출된 믹스의 희석이 1:20, 1:40, 1:80, 1:160인 표 13-2에 표시된 균주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하였다. 최소 억제 농도 (MIC)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최저 농도로서 웰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나타냈다.
Figure pat00095
결과는 표 13-4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pat00096
실시예 14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에 대한 M[20P]-576 생약 추출물의 항균 활성 증진을 예시한다.
Figure pat00097
목록 14-1 : 실시예 14에서 사용된 처리된 샘플의 생약 조성물:
Figure pat00098
약학 등급의 건조 식물은 "Herboristerie Cailleau" (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생약 조성물 M[19P]-576은 표 14-2에 표시된 대로 각각의 건조된 허브를 칭량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99
생약 조성물로부터 시작하여 상응하는 수분 추출물 (또는 처리된 샘플)은 여과 전 경사구배를 포함하여 수분 추출을 위해 100 g/L의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40 mL의 물을 갖는 상기 생약 조성물 2.06 g을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B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크로스 없이 독립적인 수분 추출물 제조에 있어서, 동결 건조된 생약 추출물의 무게로부터 추론된 2.06 g/40 mL의 생약 조성물이 14.5 g/L에 해당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각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표 14-3에 제시된 처리된 샘플의 나타낸 최종 희석에서 후속 균주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되었다. 실시예 14에서, 본 발명자들은 항생제 및 생약 믹스 추출물 둘 모두가 없는 성장과 관련하여 항생제 및/또는 생약 믹스의 존재하에 세균의 성장을 계산한다.
세균의 플랑크톤 성장 억제 백분율 평균을 표 14-3에 나타내었다.
생약 추출물 M[19P]-576의 존재는 사용된 농도에서 세 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1) 저농도 및 항생제의 부재에서의 세균의 증식을 감소시킴, 2) 항생제 부재에서 성장에 대해 낮은 항생제 농도에 의해 유도된 세균 성장의 증가를 감소시킴, 및 3) 각각 90.6 μg/mL, 181.3 μg/mL 및 90.6 μg/mL에서 시작하는 M[20C]-576 농도에서 B-A17에 대해 각각 반코마이신 및 B-A21에 대해 암피실린 및 페니실린의 최소 억제 농도 (MIC)를 감소를 감소시킴
Figure pat00100
실시예 15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자들은 산업 제약 사항에 대처하기 위해 방법 B의 온도를 조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유기 등급의 건조 식물은 "Herboristerie Cailleau" (Chemille,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생약 조성물 M[5P]-1은 표 15-1에 표시된 대로 각 건조된 허브를 칭량하여 제조되었다.
Figure pat00101
제 1 추출물 M[5P]-1-A는 2L 비이커 (Schott, 독일)에 함유된 물을 600 mL로 생약 조성물 120 g을 혼입하여 제조하였다. 제 2 추출물인 M[5P]-1-B는 120 g의 생약 조성물을 25x30 cm 유기 등급 면가방 (Ecobags, USA)에 넣고, 채워진 가방을 2L 비이커 (Schott, 독일)에 담긴 물 600 mL에 넣었다. 제 3 추출물 M[5P]-1-C는 60 g의 생약 조성물을 25x30 cm 유기 등급 면가방 (Ecobags, USA)에 넣고, 채워진 가방을 단일 2L 비이커 (Schott, 독일)에 담긴 물 600 mL에 넣었다. 각각 M[5P]-1-A, M[5P]-1-B 및 M[5P]-1-C, 제제를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비이커에 넣고 각각 121 ℃, 121 ℃ 및 134 ℃에서 30 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VWR Vapor Line Eco 25, USA)에 넣었다. M[5P]-1-B와 M[5P]-1-C 각각에 대해, 수동으로 작동 5 L 과일 프레스 (Brouwland, 벨기에)와 회수된 액체를 사용하여 누를 코튼 가방은 2 L의 비이커에 다시 배치했다. 각각의 비이커는 경사구배를 위해 방치되고, 상등액의 필요한 양은 그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Figure pat00102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생물학적 활성은 1:40, 1:80, 1:160 및 1:320의 최종 희석도에서 표 15-2에 열거된 균주를 사용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법 C에 따라 결정하였다. 최저 억제 농도 (MIC)에 해당하는 희석은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최저 농도로서 웰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 15-3에 보고한다.
Figure pat00103
산업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코튼 백을 도입하는 것은 백이 없는 불만족 공정에 비해 추출물의 활성을 약간 감소시킨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고온 추출 단계에서 오토 클레이브의 온도를 높이면 전체 활성을 회복할 수 있다.

Claims (24)

  1.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의 건조 식물 및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아(Vitis vinifera var. tinctoria),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데스모듐 아드스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하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건조 식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추출물: 아킬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아코루스 칼라무스(Acorus calamus),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아그로피룸 레펜스(Agropyrum repens), 아그로피룸 레펜스(Agropyrum repens), 알케밀라 불가리스( Alchemilla vulgaris), 알칸나 틴토리아(Alkanna tinctoria),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아네툼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안젤리카 아르칸젤리카(Angelica archangelica), 아르부투스 우네도(Arbutus unedo),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아르테미시나 폰티카(Artemisia pontica),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스페룰라 오도라타(Asperula odorata), 베툴라 펜둘라(Betula pendula), 보라고 오피시날리스(Borrago officinalis), 부툭스 셈페르비렌스(Buxus sempervirens), 칼라민타 오피시날리스(Calamintha officinalis),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칼루나 불가리스(Calluna vulgaris), 카룸 카르비(Carum carvi),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Cassia angustifolia), 센타우레아 시아누스(Centaurea cyanus), 센타우륨 에리트라에아(Centaurium erythraea),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세트라리아 이슬란디카(Cetraria islandica), 카마에멜룸 노빌레(Chamaemelum nobile), 카모밀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 크리산텔룸 아메리카눔(Chrysanthellum americanum), 시코륨 엔디비아(Cichorium endivia), 시코륨 인티부스(Cichorium intybus), 신나모뭄 제이라니쿰(Cinnamomum zeylanicum), 시트루스 아우란튬(Citrus aurantium),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크라타에구스 옥시아칸타(Crataegus oxyacantha), 쿠미눔 시미눔(Cuminum cyminum), 쿠프레수스 셈페르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쿠르쿠마 제도아리아(Curcuma zedoaria),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시티수스 스코파리우스(Cytisus scoparius), 데스모듐 아드스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뭄(Elettaria cardamomum), 엘로이테로코쿠스 센티코수스(Eleutherococcus senticosus),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Epilobium parviflorum), 에리시뭄 오피시날레(Erysimum officinale),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유파토륨 칸나비눔(Eupatorium cannabinum),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프락시누스 엑셀시로르(Fraxinus excelsior),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Fumaria officinalis), 갈륨 오도라툼(Galium odoratum), 겐티아나 루테아(Gentiana lutea), 게라늄 로베르티아눔(Geranium robertianum),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레코마 헤데라세아(Glechoma hederacea),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한드로안투스 임페트리기노수스(Handroanthus impetiginosus), 하르파고피툼 프로쿰벤스(Harpagophytum procumbens), 히에라큠 필로셀라(Hieracium pilosella), 후물루스 루풀루스(Humulus lupulus), 하이페리쿰 페르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하이소푸스 오피시날리스(Hyssopus officinalis), 일리큠 베룸(Illicium verum), 이눌라 헬레늄(Inula helenium), 쥬글라스 레지아(Juglans regia),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라뮴 알붐(Lamium album), 라반둘라 안구스티폴리아(Lavandula angustifolia), 레비스티쿰 오피시날레(Levisticum officinale), 리피리아 시트리오도라(Lippia citriodora), 로투스 코르니쿨라투스(Lotus corniculatus), 리트룸 살리카리아(Lythrum salicari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마루븀 불가레(Marrubium vulgare),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멘타 X 피페리타(Mentha Х piperita), 모루스 니그라(Morus nigra), 미르투스 콤무니스(Myrtus communis),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오리가눔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파리에타리아 오피시날리스(Parietaria officinalis),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a), 페트로셀리눔 크리스품(Petroselinum crispum), 퓨무스 볼두스(Peumus boldus), 파세올루스 불가리스(Phaseolus vulgaris), 핌피넬라 아니숨(Pimpinella anisum), 플란타고 란세오라타(Plantago lanceolata), 플란타고 오바타(Plantago ovata), 포텐틸라 안세리나(Potentilla anserina), 퀘르쿠스 로부르(Quercus robur), 람누스 프란굴라(Rhamnus frangula),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사 센티폴리아(Rosa centifolia), 로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루비아 팅토룸(Rubia tinctorum), 루도스 이다에우스(Rubus idaeus),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솔라눔 둘카마라(Solanum dulcamara), 타베부이아 임페티기노사(Tabebuia impetiginosa), 타나세툼 불가레(Tanacetum vulgare), 타락사쿰 오피시날리스(Taraxacum officinalis), 티무스 세리필룸(Thymus serpyllum),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틸리아 토멘토사(Tilia tomentosa), 틸리아 코르다타(Tilia cordata), 트리고넬라 포에눔-그라에쿰(Trigonella foenum-graecum), 투실라고 파르파라(Tussilago farfara), 바시늄 피르틸루스(Vaccinium myrtillus),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베르바스쿰 타프수스(Verbascum thapsus),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비스쿰 알붐(Viscum album), 옥수수(Zea mays) 및 생강(Zingiber officinale).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비티스 비니페라틴토리아(Vitis viniferatinctoria), 데스모듐 아드센데스(Desmodium adscendes),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및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중에서 선택된 3 내지 7 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식물 중 적어도 2 종은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식물 중 적어도 1종은 비티스 비니페라틴토리아(Vitis viniferatinctoria), 데스모듐 아드센데스(Desmodium adscendes) 및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중에서 선택되는, 추출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다음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추출물: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다음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추출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다음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추출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다음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추출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멘타 스피카타(Mentha spicata) 루비아 틴토륨(Rubia tinctorium).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다음의 16 종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4 종 또는 15 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추출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리피아 시트로도라(Lippia citrodora) 및 타나세툼 불가레(Tanacetum vulgare).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다음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추출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아루투스 우네도(Arbutus unedo),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및 리피아 시트로도라(Lippia citrodora).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조성물이 다음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추출물: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비티스 비니페라 틴토리아(Vitis vinifera tinctoria),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아르부투스 우네도(Arbutus unedo),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리피아 시트로도라(Lippia citrodora) 및 타나세툼 불가레(Tanacetum vulgare).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의 동결 건조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제11항의 동결 건조물을 유효 성분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식품 보충제, 영양 보조 식품, 의약품, 수의약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경구 또는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화된, 식품 보충제, 영양 보조 식품, 의약품, 수의약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14. 항균제 및/또는 항 생물막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제11항의 동결 건조물 또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의약품 또는 수의학 조성물.
  15. 미생물 감염의 치료, 예방 또는 진단에서 항균제 및/또는 항 생물막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제11항의 동결 건조물 또는 제12항 또는 제13항의 의약품 또는 수의학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이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클렙시엘라(Klebsiella), 리스테리아(Listeria), 슈도모나스(Pseudomonas), 살모넬라(Salmonella),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칸디다(Candida) 또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에 의해 유발된 것인, 추출물, 동결 건조물 또는 의약품 또는 수의학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슈딘테르메디우스(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에 의해 유발된 것인, 추출물, 동결 건조물 또는 의약품 또는 수의학 조성물.
  18.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클렙시엘라(Klebsiella), 리스테리아(Listeria), 슈도모나스(Pseudomonas), 살모넬라(Salmonella),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칸디다(Candida) 또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에 의해 유발된 미생물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 시 항균제 및/또는 항 생물막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의 건조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동건 건조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수의학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적어도 2 종의 단일 건조 식물의 혼합물을 개별적으로 잘게 자르거나 분쇄하여 상응하는 식물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b) 적어도 2 종의 상이한 식물 분말을 혼합하여 생약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생약 조성물에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상응하는 액체 제제 (또는 추출물)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액체 제제를 실온에서 5 내지 15 분 범위의 시간 동안 항온 처리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e) 상기 액체 제제를 60 ℃ 내지 134 ℃ 범위의 온도에서 5 내지 60 분 범위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f)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g) 단계 e) 또는 f)로부터 수득한 액체 제제를 농축 및/또는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가 물인,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첨가된 물은 1 내지 100 g/l, 선택적으로 50 내지 75 g/l의 농도로 용해된 당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중간체로서, 필리펜둘라 울마리아(Filipendula ulmaria),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및 악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의 건조 식물 및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아(Vitis vinifera var. tinctoria),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및 데스모듐 아드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식물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하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건조 식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 아킬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아코루스 칼라무스(Acorus calamus), 아그리모니아 유파토리아(Agrimonia eupatoria), 아그로피룸 레펜스(Agropyrum repens), 아그로피룸 레펜스(Agropyrum repens), 알케밀라 불가리스( Alchemilla vulgaris), 알칸나 틴토리아(Alkanna tinctoria), 알타에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아네툼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안젤리카 아르칸젤리카(Angelica archangelica), 아르부투스 우네도(Arbutus unedo),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아르테미시나 폰티카(Artemisia pontica),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스페룰라 오도라타(Asperula odorata), 베툴라 펜둘라(Betula pendula), 보라고 오피시날리스(Borrago officinalis), 부툭스 셈페르비렌스(Buxus sempervirens), 칼라민타 오피시날리스(Calamintha officinalis),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칼루나 불가리스(Calluna vulgaris), 카룸 카르비(Carum carvi),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Cassia angustifolia), 센타우레아 시아누스(Centaurea cyanus), 센타우륨 에리트라에아(Centaurium erythraea),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세트라리아 이슬란디카(Cetraria islandica), 카마에멜룸 노빌레(Chamaemelum nobile), 카모밀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 크리산텔룸 아메리카눔(Chrysanthellum americanum), 시코륨 엔디비아(Cichorium endivia), 시코륨 인티부스(Cichorium intybus), 신나모뭄 제이라니쿰(Cinnamomum zeylanicum), 시트루스 아우란튬(Citrus aurantium), 콤브레툼 미크란툼(Combretum micranthum), 크라타에구스 옥시아칸타(Crataegus oxyacantha), 쿠미눔 시미눔(Cuminum cyminum), 쿠프레수스 셈페르비렌스(Cupressus sempervirens), 쿠르쿠마 제도아리아(Curcuma zedoaria),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시티수스 스코파리우스(Cytisus scoparius), 데스모듐 아드스센덴스(Desmodium adscendens),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뭄(Elettaria cardamomum), 엘로이테로코쿠스 센티코수스(Eleutherococcus senticosus),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Epilobium parviflorum), 에리시뭄 오피시날레(Erysimum officinale),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유파토륨 칸나비눔(Eupatorium cannabinum),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프락시누스 엑셀시로르(Fraxinus excelsior),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푸마리아 오피시날리스(Fumaria officinalis), 갈륨 오도라툼(Galium odoratum), 겐티아나 루테아(Gentiana lutea), 게라늄 로베르티아눔(Geranium robertianum),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레코마 헤데라세아(Glechoma hederacea),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한드로안투스 임페트리기노수스(Handroanthus impetiginosus), 하르파고피툼 프로쿰벤스(Harpagophytum procumbens), 히에라큠 필로셀라(Hieracium pilosella), 후물루스 루풀루스(Humulus lupulus), 하이페리쿰 페르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하이소푸스 오피시날리스(Hyssopus officinalis), 일리큠 베룸(Illicium verum), 이눌라 헬레늄(Inula helenium), 쥬글라스 레지아(Juglans regia), 쥬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라뮴 알붐(Lamium album), 라반둘라 안구스티폴리아(Lavandula angustifolia), 레비스티쿰 오피시날레(Levisticum officinale), 리피리아 시트리오도라(Lippia citriodora), 로투스 코르니쿨라투스(Lotus corniculatus), 리트룸 살리카리아(Lythrum salicari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마루븀 불가레(Marrubium vulgare),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멘타 X 피페리타(Mentha Х piperita), 모루스 니그라(Morus nigra), 미르투스 콤무니스(Myrtus communis),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오리가눔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파리에타리아 오피시날리스(Parietaria officinalis),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a), 페트로셀리눔 크리스품(Petroselinum crispum), 퓨무스 볼두스(Peumus boldus), 파세올루스 불가리스(Phaseolus vulgaris), 핌피넬라 아니숨(Pimpinella anisum), 플란타고 란세오라타(Plantago lanceolata), 플란타고 오바타(Plantago ovata), 포텐틸라 안세리나(Potentilla anserina), 퀘르쿠스 로부르(Quercus robur), 람누스 프란굴라(Rhamnus frangula), 레움 팔마툼(Rheum palmatum), 로사 센티폴리아(Rosa centifolia), 로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루비아 팅토룸(Rubia tinctorum), 루도스 이다에우스(Rubus idaeus), 살릭스 알바(Salix alba),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솔라눔 둘카마라(Solanum dulcamara), 타베부이아 임페티기노사(Tabebuia impetiginosa), 타나세툼 불가레(Tanacetum vulgare), 타락사쿰 오피시날리스(Taraxacum officinalis), 티무스 세리필룸(Thymus serpyllum),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틸리아 토멘토사(Tilia tomentosa), 틸리아 코르다타(Tilia cordata), 트리고넬라 포에눔-그라에쿰(Trigonella foenum-graecum), 투실라고 파르파라(Tussilago farfara), 바시늄 피르틸루스(Vaccinium myrtillus),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베르바스쿰 타프수스(Verbascum thapsus),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비스쿰 알붐(Viscum album), 비티스 비니페라 바르. 틴토리아(Vitis vinifera var. tinctoria), 옥수수(Zea mays) 및 생강(Zingiber officinale).
  2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제11항의 동결 건조물을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와 혼합함을 포함하여,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식품 보충제, 영양 보조 식품, 의약품, 수의약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의 제조 방법.
KR1020217033943A 2016-11-02 2017-11-01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KR20210130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0588 2016-11-02
FR1660588 2016-11-02
EP16197217 2016-11-04
EP16197217.9 2016-11-04
KR1020197012564A KR102612228B1 (ko) 2016-11-02 2017-11-01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PCT/EP2017/077956 WO2018083115A1 (en) 2016-11-02 2017-11-01 Extract of an herbal composition as antimicrobial and/or antibiofilm ag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564A Division KR102612228B1 (ko) 2016-11-02 2017-11-01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838A true KR20210130838A (ko) 2021-11-01

Family

ID=601863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564A KR102612228B1 (ko) 2016-11-02 2017-11-01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KR1020217033943A KR20210130838A (ko) 2016-11-02 2017-11-01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564A KR102612228B1 (ko) 2016-11-02 2017-11-01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1717552B2 (ko)
EP (1) EP3534926A1 (ko)
JP (1) JP7096599B2 (ko)
KR (2) KR102612228B1 (ko)
CN (1) CN109952109A (ko)
AU (1) AU2017353327B2 (ko)
BR (1) BR112019008864B1 (ko)
CA (1) CA3042325A1 (ko)
CL (1) CL2019001194A1 (ko)
IL (1) IL266027B (ko)
MA (1) MA46685A (ko)
MX (1) MX2019004901A (ko)
MY (1) MY194292A (ko)
PH (1) PH12019500815A1 (ko)
SG (1) SG11201903345WA (ko)
TN (1) TN2019000134A1 (ko)
WO (1) WO2018083115A1 (ko)
ZA (1) ZA2019034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7306A (zh) * 2020-06-19 2020-09-15 广东一芙化妆品有限公司 一种草本植物银离子组合物及其应用
CN112369326B (zh) * 2020-11-05 2021-08-03 北京花乡花木集团有限公司 一种心叶牛舌草“哈德斯本冰淇淋”的组织培养方法
LU102656B1 (de) 2021-03-11 2022-09-12 Prosecur Gmbh Flüssiges Nahrungsergänzungsmittel zur Immunstimulatio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KR20220169531A (ko) * 2021-06-21 2022-12-28 피부생명공학센터 주식회사 터리풀 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미생물 또는 이의 파쇄물을 포함하는 항염, 항균 효능 미생물 제제
IT202100028799A1 (it) * 2021-11-12 2023-05-12 Bruno Parapetti Composizione di principi attivi naturali
CN114949063B (zh) * 2022-07-14 2023-05-16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具有协同抑菌作用的有效部位的制备方法及应用
CN116640670A (zh) * 2023-05-12 2023-08-25 华南农业大学 一株有促生作用的紫花风铃木内生真菌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358A (ja) 1997-03-19 1998-10-06 Tsumura & Co 痩身化粧料
AUPO990397A0 (en) 1997-10-22 1997-11-13 R.P. Scherer Holdings Pty Ltd Clear solutions of herbal extracts
JP2002241299A (ja) 2001-02-13 2002-08-28 Ichimaru Pharco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修復剤
JP2003246722A (ja) * 2002-02-25 2003-09-02 Kanebo Ltd 美白化粧料
JP2004035425A (ja) 2002-07-01 2004-02-05 Naris Cosmetics Co Ltd むくみ改善剤
US20040208902A1 (en) * 2003-04-18 2004-10-21 Gupta Shyam K. Controlled-release nano-diffusion delivery systems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2005052085A (ja) 2003-08-05 2005-03-03 Orbis Inc 食品組成物
GB0717182D0 (en) * 2007-09-04 2007-10-17 Danisco Composition
EP2648742B1 (en) * 2010-12-09 2019-04-24 Y&B Mother's Choice Ltd. Formulations comprising saponins and uses thereof
WO2012077120A2 (en) * 2010-12-09 2012-06-14 Y&B Mother's Choice Ltd. Natural formulations
BE1020835A5 (nl) * 2012-03-20 2014-06-03 Maes Francis N 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plantenextract, i.h.b. uit desmodium.
CN105142428A (zh) * 2013-02-28 2015-12-09 Swm卢森堡有限公司 用于制造茶饮料或草本和蔬菜汤的组合物
RU2693413C2 (ru) * 2013-08-20 2019-07-02 Швайцер-Маудит Интернешнл, Инк. Содержащий растение продукт для медицинског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окрашивающего или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52109A (zh) 2019-06-28
JP7096599B2 (ja) 2022-07-06
JP2020506218A (ja) 2020-02-27
AU2017353327A1 (en) 2019-05-02
IL266027B (en) 2021-10-31
PH12019500815A1 (en) 2019-08-19
WO2018083115A1 (en) 2018-05-11
EP3534926A1 (en) 2019-09-11
CA3042325A1 (en) 2018-05-11
MY194292A (en) 2022-11-26
MA46685A (fr) 2019-09-11
TN2019000134A1 (en) 2020-10-05
MX2019004901A (es) 2019-08-29
ZA201903475B (en) 2020-09-30
US20190255136A1 (en) 2019-08-22
US11717552B2 (en) 2023-08-08
WO2018083115A9 (en) 2019-10-10
CL2019001194A1 (es) 2019-08-16
SG11201903345WA (en) 2019-05-30
KR102612228B1 (ko) 2023-12-12
BR112019008864A2 (pt) 2019-07-09
KR20190082210A (ko) 2019-07-09
IL266027A (en) 2019-06-30
AU2017353327B2 (en) 2022-05-19
BR112019008864B1 (pt)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2228B1 (ko) 항균제 및/또는 항생물막제로서 생약 조성물의 추출물
Cwikla et al. Investigations into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hytotherapeutic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Campylobacter jejuni
ES2367791T3 (es) Composición fisiologicamente activa a base de colágeno.
Deshpande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different extracts of Juglans regia L. against oral microflora
Uddin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Hibiscus rosa-sinensis leaves and flowers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bacteria
US11712056B2 (en) Extract obtained from several plants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s
KR101471710B1 (ko) 천연식물 유래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WO2013087217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FR2827774A1 (fr) Preparations pharmaceutiques et/ou dietetiques contenant un extrait vegetal titre en composes actifs et des micro-organismes probiotiques
Hridhy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Chromolaena odorata against selected pyogenic pathogens
US20220354919A1 (en) Extract of an herbal composition as antimicrobial and/or antibiofilm agent
Kryvtsova et al.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me Biochemical Properties of Vaccinium vitis-idaea L.
Sabirin et al. Screening of seaweeds potential against oral infections
Adedayo et al. Antibacterial screening of Phoenix dactylifera L.(Date palm) seed extracts on some bacterial isolate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US20210212929A1 (en) Oral formulations for mitigating acute cannabis intoxication
Kačániová et al. Antimicrobial potential of different medicinal plants against food industry pathogens
Sayeed et al. Synergistic antibacterial effects of three edible plants extract against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genic resistant bacteria
Bunu et al. Determination of Phytochemicals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Evaluation of the Leaves Extracts of Psidium guajava (L) Myrtaceae
WO2019074959A1 (en) COMPOSITION OF CANNABINOIDS AND PRODUCTS COMPRISING ALPHA-TOCOPHEROL
Ch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sophora japonica extract against oral bacteria
Wu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total flavonoids from Ilex rotunda Thunb. and different antibacterials on differen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alone or in combination
RO132471B1 (ro) Produs natural fito- terapeutic pentru afecţiuni ale vezicii urinare şi ale tractului reno-urinar şi procedeu de obţinere al acestuia
Madushani et 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ons of Paspanguwa: A decoction of traditional five medicinal herbal mixture
Ibrahima et al. Antibacterial Property of Synsepalum dulcificum Leaves Aqueous Extract against Oral Pathogens and its Chemical Compounds
Ahmed et al. Effects of Bacterocin from MRSA and Nigella Sativa (seed oil) against Biofilm from MR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