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829A -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829A
KR20210128829A KR1020200046999A KR20200046999A KR20210128829A KR 20210128829 A KR20210128829 A KR 20210128829A KR 1020200046999 A KR1020200046999 A KR 1020200046999A KR 20200046999 A KR20200046999 A KR 20200046999A KR 20210128829 A KR20210128829 A KR 20210128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yl
quinolin
chloro
dichloro
difluorophenyl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래
박철민
김승택
장민성
권선오
이준영
진영희
송종환
신영섭
전상은
고미현
이지혜
민정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한국화학연구원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한국화학연구원,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4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829A/ko
Publication of KR2021012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퀴놀리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퀴놀리논 유도체는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므로,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COVID-19 containing quinolinone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단일가닥의 양성 RNA 바이러스이며 게놈 크기는 25-32kb로 지금까지 알려진 RNA바이러스 중에서는 비교적 큰 바이러스에 속한다. 외피에 곤봉모양의 돌기인 스파이크(spike) 단백질이 박혀 있어 화염 또는 왕관 모양의 특이적 구조를 가지고 있고, 라틴어 Corona로부터 바이러스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1937년 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후 박쥐, 새, 고양이, 개, 소, 돼지, 쥐 등 다양한 조류와 동물에서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는 4개의 그룹(Alpha-, Beta-, Gamma-, Deltacoronavirus)으로 나누어진다. 알파와 베타코로나바이러스 그룹은 포유류에 주로 감염되고 감마와 델타코로나바이러스 그룹은 조류에서 찾을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동물들에서 위장병 및 호흡기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1960대 발견된 HCoV-229E와 HCoV-OC43, 사스 대유행 이후 발견된 HCoV-NL63(2004년)과 HCoV-HKU1(2005년)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기도감염증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면역결핍환자들에게는 심각한 폐질환을 유도하기도 한다. 주로 겨울이나 이른 봄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감염률이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고, 성인 감기환자 중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 병원체인 비율이 상당히 높다고 알려져있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을 일으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가 처음 발견되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보고에 따르면 2002년에서 2003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8,273명의 환자와 775명의 사망자(치사율 약 10%)가 발생하였고, 2004년까지 추가적인 환자 발생과 사망자가 보고되었다.
2012년 9월 사스와 유사한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을 나타내는 중중 호흡기질환 환자가 발생하였고, 이 원인 병원체는 기존의 알려진 바이러스와는 다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HCoV-EMC)로 밝혀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2013년 5월 국제바이러스 분류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의 코로나바이러스 스타디그룹에서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MERS-CoV)이라는 이름으로 분류하였다. 이 바이러스는 유전자 염기서열(genetic sequencing)이 박쥐에서 발견되는 Pipistrellus Bat CoV-HKU5, HKU4와 유사하다 하여 박쥐가 가장 유력한 감염원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최근 란셋전염병(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논문에서는, 오만의 단봉 낙타 50마리의 혈액샘플을 분석한 결과 모두 MERS-CoV 항체 흔적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카나리아제도에서는 105마리 가운데 15마리에서 항체 양성 반응을 보였다.
바이러스 자체가 발견되지는 못했지만 연구 결과는 이 낙타들이 어느 시점에 메르스 또는 유사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하며, 바이러스 숙주가 낙타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주었다.
2019년 12월에는 중국 우한에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 발생하여(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비특허문헌 1. Nature Microbiology 5, 536-544(2020)). 2020년 1월 9일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하였으며, 3월 11에는 홍콩독감(1968), 신종플루(2009)에 이어 사상 세번째로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했다. COVID-19의 증상은 발열, 권태감,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등 다양하게 경증에서 중증까지 호흡기 감염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며, 드물게는 객담, 인후통, 두통, 객혈, 설사도 나타난다. 전파 경로는 비말, 접촉을 통한 전파로 알려져있고, 1일 내지 14일의 잠복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COVID-19의 병원체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는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ICTV)가 2020년 2월 제안한 이름으로, 위원회는 이 바이러스가 2003년 유행한 사스와 비슷한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이 공개한 해당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박쥐 유래 코로나바이러스와 가장 높은 상동성 (89.1%)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 4종과의 상동성은 39%~43%으로 낮고, 메르스와는 50%, 사스와는 77.5%의 상동을 확인했다.
우리나라는 2020년 2월 국내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에서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상향하여 국가적 대응에 힘쓰고 있다. 2020년 4월 9일 기준 215개 국가에서 약 145만명의 확진 환자, 약 8.5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COVID-19 발생 초기에는 판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Conventional PCR)과 염기서열분석 일치 여부를 통한 확인 검사를 진행하다가, COVID-19만을 타깃으로한 새 검사법, 실시간 PCR(Real Time PCR) 개발을 통해 신속한 진단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현재 COVID-19의 백신이나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치료 및 예방방법이 없으며 확진환자들은 기침, 인후통, 폐렴 등 주요 증상에 따라 항바이러스제나 대증치료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COVID-19에 대한 질병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물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퀴놀리논 유도체,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퀴놀리논 유도체,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퀴놀리논 유도체,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퀴놀리논 유도체,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퀴놀리논 유도체의 용도(use)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R2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3-10의 사이클로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m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OVID-19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은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도(us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퀴놀리논 유도체는 COVID-19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므로,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항바이러스 활성이 알려진 3개의 화합물(CQ, LPV, Remdesivir)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SARS-CoV-2 바이러스 감염의 억제효과를 농도-반응곡선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COVID-19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R2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3-10의 사이클로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m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다른 측면에서,
R1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R2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tert-부틸,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3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m은 0 내지 4의 정수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R1은 독립적으로 -H, -F, -Cl, -Br, -NO2, -CF3,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는 메틸, 에틸, 또는 iso-프로필이고;
R3은 독립적으로 -H, -F, -Cl, -Br, -CF3, 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및
m은 0 내지 3의 정수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일 수 있다.
(1) 3-아세틸-8-클로로-5-메틸-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2) 3-아세틸-6,8-디플루오로-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3) 3-아세틸-6-클로로-2-(3,5-디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4) 3-아세틸-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5) 6,8-디플루오로-3-이소부티릴-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6) 5,8-디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7) 5,8-디클로로-3-이소부티릴-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8) 5,8-디클로로-3-이소부티릴-2-(4-메톡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9) 3-아세틸-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10) 3-아세틸-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11) 3-아세틸-6-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12) 3-아세틸-5,8-디클로로-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3) 5,8-디클로로-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14) 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15) 5,8-디클로로-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16) 3-아세틸-5,8-디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7) 3-아세틸-5,8-디클로로-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8) 3-아세틸-8-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9) 3-아세틸-8-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1H)-온;
(20) 3-아세틸-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21) 3-아세틸-2-(4-클로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22) 3-아세틸-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8-에틸퀴놀린-4(1H)-온;
(23) 3-아세틸-2-(2,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24) 3-아세틸-6-클로로-2-(3-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25) 3-아세틸-5,8-디클로로-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26) 3-아세틸-5,8-디클로로-2-(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27) 5,8-디클로로-2-(2,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프로피오닐퀴놀린-4(1H)-온;
(28) 3-아세틸-6-클로로-2-(4-플루오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29) 3-아세틸-6-클로로-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30) 3-아세틸-8-클로로-2-(2,3-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5-나이트로퀴놀린-4(1H)-온;
(31) 3-아세틸-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7,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2) 3-아세틸-2-(4-브로모페닐아미노)-8-클로로-5-플루오로퀴놀린-4(1H)-온;
(33) 3-아세틸-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4) 3-아세틸-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7,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5) 3-아세틸-2-(2-클로로-4-메틸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6) 3-아세틸-7,8-디클로로-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37) 3-아세틸-8-클로로-5-플루오로-2-(2-플루오로-5-메틸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38) 5,8-디클로로-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프로피오닐퀴놀린-4(1H)-온;
(39) 3-아세틸-2-(4-브로모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40) 3-아세틸-6-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41) 5,8-디클로로-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42) 3-아세틸-2-(4-브로모페닐아미노)-7,8-디클로로퀴놀린-4(1H)-온;
(43) 3-아세틸-5,8-디브로모-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및
(44) 3-아세틸-5,8-디플루오로-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45) 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3-아이소뷰티릴뷔놀린-4(1H)-온.
본 발명의 일 측면은 3-아세틸-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3-아이소뷰티릴뷔놀린-4(1H)-온,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테이트,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감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 소과 코로나바이러스, 개과 코로나바이러스, 고양이과 코로나바이러스, 돼지 적혈구 응집 뇌척수염 바이러스, 마우스 간염바이러스, 칠면조 코로나바이러스, 전염성 위장병 바이러스, 랫트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229E(HCoV-229E),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NL63(HCoV-NL63),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OC43(HCoV-OC43),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및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은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감염으로 인한 질환, 일 예로 메르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 등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등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OVID-10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나아가,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도(us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퀴놀리논 유도체는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므로,
COVID-19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하기에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부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3-아세틸-8- 클로로 -5- 메틸 -2-(2,3,4- 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03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1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29924)
< 실시예 2> 3-아세틸-6,8- 디플루오로 -2-(2,3,4- 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04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892)
< 실시예 3> 3-아세틸-6- 클로로 -2-(3,5- 디클로로페닐아미노 )-8- 나이트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05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30122)
< 실시예 4> 3-아세틸-5,6,8- 트리클로로 -2-(3- 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06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4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30020)
< 실시예 5> 6,8- 디플루오로 -3- 이소부티릴 -2-(2,3,4- 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07
단계 1: N-(2,4-디플루오로페닐)-4-메틸-3-옥소펜탄아마이드
Figure pat00008
방법 1: 아닐린 (11.0 mmol)을 벤젠 (20 mL)에 녹이고, 디케텐 (10.0 mmol)과 트리에틸아민 (1.0 mmol)을 첨가하고, 110℃에서 90~12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용액을 감압 제거하고, 잔여물을 실리카젤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2)하였다.
방법 2: 자일렌 (20 mL)에 치환된 아세틸 아세테이트 (10 mmol)와 아닐린 (10 mmol)을 첨가하고 12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용액을 감압 제거하고, 잔여물을 실리카젤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2)하였다.
단계 2: 2 -( 비스(메틸티오)메틸렌 )-N-(2,4- 디플루오로페닐 )-4- 메틸 -3- 옥소펜탄아마이드
Figure pat00009
DMF (50 m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아마이드 (17.5 mmol)를 녹이고, K2CO3 (5.25 mmol)과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8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약 20~23℃)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CS2 (21 mmol)을 놓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메틸설페이트 (38.5 mmol)을 넣고 2시간 교반하고, 반응물을 얼음물에 넣고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헥산으로 씻어서 건조하였다.
단계 3: 6,8-디플루오로-3-이소부티릴-2-(메틸티오)퀴놀린-4(1H)-온
Figure pat00010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비스(메틸티오)화합물 (5 mmol)을 o-디클로로벤젠 (10 mL)에 녹이고, 1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헥산으로 씻어서 건조하였다.
단계 4: 6,8-디플루오로-3-이소부티릴-2-(메틸설피닐)퀴놀린-4(1H)-온
Figure pat00011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퀴놀린-4-온 (2.6 mmol)을 아세트산 15 mL에 녹이고 과산화수소수 (30%, 1.5 mL)를 가한 후에 5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얼음물에 붓고 30분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후, 헥산으로 세척하여 건조하였다.
단계 5: 6 ,8- 디플루오로 -3- 이소부티릴 -2-(2,3,4- 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12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화합물 (0.57 mmol)을 디페닐에테르 4 mL에 녹이고, 아닐린 (0.62 mmol)을 첨가하였다. 180℃에서 2시간 반응을 시킨 후,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45 (s, 1H), 7.80 (dt, J = 8.8, 2.2 Hz, 1H), 7.62 (s, 1H), 7.24 - 7.15 (m, 2H), 7.10 (ddd, J = 10.3, 7.8, 2.8 Hz, 1H), 4.34 (hept, J = 6.6 Hz, 1H), 1.21 (d, J = 6.7 Hz, 6H).
< 실시예 6> 5,8- 디클로로 -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3- 이소부티릴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13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21 (s, 1H), 8.16 (s, 1H), 7.68 - 7.62 (m, 1H), 7.46 - 7.38 (m, 3H), 7.22 (d, J = 8.5 Hz, 1H), 4.21 (p, J = 6.7 Hz, 1H), 1.22 (d, J = 6.7 Hz, 6H).
< 실시예 7> 5,8- 디클로로 -3- 이소부티릴 -2-(2,3,4- 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14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22 (s, 1H), 8.14 (s, 1H), 7.43 (d, J = 8.5 Hz, 1H), 7.22 (dd, J = 13.3, 8.1 Hz, 3H), 4.22 (tt, J = 13.3, 6.8 Hz, 1H), 1.22 (d, J = 6.7 Hz, 6H).
< 실시예 8> 5,8- 디클로로 -3- 이소부티릴 -2-(4- 메톡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15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2.83 (s, 1H), 8.31 (s, 1H), 7.36 (d, J = 8.5 Hz, 1H), 7.32 - 7.26 (m, 2H), 7.17 (d, J = 8.5 Hz, 1H), 7.10 - 6.99 (m, 2H), 4.21 (p, J = 6.7 Hz, 1H), 3.88 (s, 3H), 1.21 (d, J = 6.7 Hz, 6H).
< 실시예 9> 3-아세틸-2-(2,4-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6,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16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9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03744)
< 실시예 10> 3-아세틸-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6,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17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38 (s, 1H), 7.79 (dt, J = 9.0, 3.0 Hz, 1H), 7.66 (d, J = 1.8 Hz, 1H), 7.63 (brs, 1H), 7.44 (d, J= 2.1 Hz, 1H). 7.43 (s, 1H), 7.13-7.06 (m, 1H) 2.85 (s, 1H).
< 실시예 11> 3-아세틸-6- 클로로 -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8- 나이트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18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11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630)
< 실시예 12> 3-아세틸-5,8- 디클로로 -2-(2,3,4- 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19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NMR (300 MHz, DMSO-d6) δ 12.55 (s, 1H), 7.69 (d, J = 9.0 Hz, 1H), 7.39 - 7.48 (q, J = 9.0, 18.0 Hz, 1H), 7.25 (d, J = 9.0 Hz, 1H), 2.59 (s, 3H).
< 실시예 13> 5,8- 디클로로 -2-(3,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3- 이소부티릴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20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13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916)
< 실시예 14> 2-(2,4-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6,8- 디플루오로 -3- 이소부티릴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21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24 (s, 1H), 7.79 (dt, J = 8.7, 1.8 Hz), 7.59 (brs, 1H), 7.46-7.39 (m, 1H), 7.14-7.05 (m, 3H), 4.39-4.29 (m, 1H), 1.57 (s, 1H), 1.21 (d, J= 6.9 Hz, 1H).
< 실시예 15> 5,8- 디클로로 -2-(4- 클로로 -2- 플루오로페닐아미노 )-3- 이소부티릴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22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16 (s, 1H), 8.17 (s, 1H), 7.42 (d, J = 8.5 Hz, 1H), 7.40 - 7.31 (m, 2H), 7.23 (d, J = 8.5 Hz, 2H), 4.20 (p, J = 6.7 Hz, 1H), 1.22 (d, J = 6.7 Hz, 6H).
< 실시예 16> 3-아세틸-5,8- 디클로로 -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23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16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307)
< 실시예 17> 3-아세틸-5,8- 디클로로 -2-(2,4-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24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17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29646)
< 실시예 18> 3-아세틸-8- 클로로 -5-( 트리플루오로메틸 )-2-(2,3,4- 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25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10 (s, 1H), 8.24 (s, 1H), 7.67 (s, 2H), 7.22 - 7.28 (m, 2H), 2.82 (s, 3H).
< 실시예 19> 3-아세틸-8- 클로로 -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5-( 트리플루오로메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26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3.14 (s, 1H), 8.24 (s, 1H), 7.66 (s, 1H), 7.63 (s, 2H), 7.46 (s, 2H), 2.79 (s, 3H).
< 실시예 20> 3-아세틸-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5,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27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0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580)
< 실시예 21> 3-아세틸-2-(4- 클로로페닐아미노 )-6,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28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1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893)
< 실시예 22> 3-아세틸-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8- 에틸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29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2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4636)
< 실시예 23> 3-아세틸-2-(2,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5,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0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3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595)
< 실시예 24> 3-아세틸-6- 클로로 -2-(3- 클로로페닐아미노 )-8- 나이트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1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4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542)
< 실시예 25> 3-아세틸-5,8- 디클로로 -2-(4- 클로로 -2- 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32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5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547)
< 실시예 26> 3-아세틸-5,8- 디클로로 -2-(4- 클로로 -2-(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33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6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569)
< 실시예 27> 5,8- 디클로로 -2-(2,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3- 프로피오닐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4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7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591)
< 실시예 28> 3-아세틸-6- 클로로 -2-(4- 플루오로페닐아미노 )-8- 나이트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5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8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624)
< 실시예 29> 3-아세틸-6- 클로로 -2-(2- 클로로 -4- 플루오로페닐아미노 )-8- 나이트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6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29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633)
< 실시예 30> 3-아세틸-8- 클로로 -2-(2,3-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5- 나이트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7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0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4195)
< 실시예 31> 3-아세틸-2-(3,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7,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8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1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4171)
< 실시예 32> 3-아세틸-2-(4- 브로모페닐아미노 )-8- 클로로 -5- 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39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2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828)
< 실시예 33> 3-아세틸-2-(4- 클로로 -2- 플루오로페닐아미노 )-5,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0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3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29588)
< 실시예 34> 3-아세틸-2-(3,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7,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1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4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30226)
< 실시예 35> 3-아세틸-2-(2- 클로로 -4- 메틸페닐아미노 )-5,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2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5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29587)
< 실시예 36> 3-아세틸-7,8- 디클로로 -2-(3,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43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6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29692)
< 실시예 37> 3-아세틸-8- 클로로 -5- 플루오로 -2-(2- 플루오로 -5- 메틸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44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7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29661)
< 실시예 38> 5,8- 디클로로 -2-(2,4-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3- 프로피오닐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5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8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30113)
< 실시예 39> 3-아세틸-2-(4- 브로모페닐아미노 )-6,8- 디플루오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6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39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30184)
< 실시예 40> 3-아세틸-6- 클로로 -2-(2,4- 디클로로페닐아미노 )-8- 나이트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7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40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630)
< 실시예 41> 5,8- 디클로로 -2-(3,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3- 이소부티릴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8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41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916)
< 실시예 42> 3-아세틸-2-(4- 브로모페닐아미노 )-7,8- 디클로로퀴놀린 -4(1H)-온
Figure pat00049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42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418)
< 실시예 43> 3-아세틸-5,8- 디브로모 -2-(3,5- 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50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43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3852)
< 실시예 44> 3-아세틸-5,8- 디플루오로 -2-(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아미노 )퀴놀린-4(1H)-온
Figure pat00051
한국 화합물은행으로부터 실시예 44 화합물을 입수하였다.
(ChemBank#: 229992)
< 실시예 45> 5,6,8- 트리클로로 -2-((3- 플루오로페닐 )아미노)-3- 아이소뷰티릴뷔놀린 -4(1H)-온
Figure pat00052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d1) δ 13.15 (s, 1H), 8.45 (s, 1H), 7.66 (s, 1H), 7.50 - 7.58 (m, 1H), 7.10 - 7.20 (m, 3H), 4.10 - 4.19 (m, 1H), 1.21 (d, J = 6.0 Hz, 6H); LC/MS (ESI) 426.9 m/z [M+H]+.
상기 실시예 1 내지 45 화합물의 구조를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실시예 구조
1
Figure pat00053
23
Figure pat00054
2
Figure pat00055
24
Figure pat00056
3
Figure pat00057
25
Figure pat00058
4
Figure pat00059
26
Figure pat00060
5
Figure pat00061
27
Figure pat00062
6
Figure pat00063
28
Figure pat00064
7
Figure pat00065
29
Figure pat00066
8
Figure pat00067
30
Figure pat00068
9
Figure pat00069
31
Figure pat00070
10
Figure pat00071
32
Figure pat00072
11
Figure pat00073
33
Figure pat00074
12
Figure pat00075
34
Figure pat00076
13
Figure pat00077
35
Figure pat00078
14
Figure pat00079
36
Figure pat00080
15
Figure pat00081
37
Figure pat00082
16
Figure pat00083
38
Figure pat00084
17
Figure pat00085
39
Figure pat00086
18
Figure pat00087
40
Figure pat00088
19
Figure pat00089
41
Figure pat00090
20
Figure pat00091
42
Figure pat00092
21
Figure pat00093
43
Figure pat00094
22
Figure pat00095
44
Figure pat00096
45
Figure pat00097
< 실험예 1> 항COVID -19 활성평가
<1-1> 세포주 및 바이러스 준비
본 발명에 사용한 베로 세포(vero cell)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CCL-81; Manassas, VA)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10% 열 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및 1x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 Gibco/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가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Welgene, Gyeongsan, Korea)에 담아 37
Figure pat00098
에서 5% 이산화탄소 하에서 배양하였다.
SARS-CoV-2 한국 분리주 (βCoV/Korea/KCDC03/2020 (NCCP 43326))를 한국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원으로부터 제공받아, 베로 세포에서 증식하였다. SARS-CoV-2를 사용한 모든 실험은 한국질병관리본부부터 승인받은 국립보건원의 강화된 생물 안전 등급 3단계 (Biosafety Level 3, BL-3) 봉쇄 절차를 준수한 한국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수행하였다.
<1-2> 시약 준비
클로로퀸 이인산염(Chloroquine diphosphate (CQ; C6628))과 로피나비르(lopinavir (LPV; GP6351)), 렘데시비르(Remdesivir)를 각각 SelleckChem (Houston, TX)과 MedChemExpress (Monmouth Junction, NJ)에서 구매하였다. 일차 항체로 사용된 항-SARS-CoV-2 뉴클리로캡시드 프로테인 항체는 Sino Biological Inc. (Beijing, China)로부터 구매하였다. 이차항체인 Alexa Fluor 488 goat anti-rabbit IgG 및 세포핵 염색체인 Hoechst 33342는 MolecularProbes/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에서 구매하였다. 32% Paraformaldehyde (PFA) 수용액과 정상염소 혈청은 각각 Electron Microscopy Sciences (Hatfield, PA) 및 Vector Laboratories, Inc. (Burlingame, CA)에서 구매하였다.
<1-3> 유효 화합물의 농도-반응곡선 실험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의 억제효과를 농도-반응곡선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실험화합물의 최고농도를 10 mM로 하여 DMSO를 사용하여 2배 희석하여 10단계까지 연속적으로 희석한다. 베로 세포를 각 웰당 1.2x104 세포로 2% 열 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및 1x 항생제-항진균제가 포함된 DMEM에 담아 블랙, 384-웰, 마이크로클리어 플레이트(Clear plates, Greiner bio-one, Kremsmunster, Austria)에 분주하였다. 24시간 후, 앞서 연속적으로 희석한 저분자 화합물을 자동화 액체 처리 시스템(automated liquid handling system (Apricot Designs, Covina, CA))을 사용하여 각 웰에 첨가하였다. 실험 화합물의 최종 농도는 50 μM 이었고, DMSO의 농도는 0.5%로 유지하였다. 화합물이 처리된 군은 BL-3 봉쇄실로 옮긴 후, 0.0125 MOI의 SARS-CoV-2에 감염되었다.
<1-4> 면역형광에세이를 이용한 농도-반응곡선 산출
감염 후 24시간에 PFA를 사용 (최종 PAF 농도= 4%) 하여 감염을 고정하였다. 항-SARS-CoV-2 뉴클리로캡시드 프로테인 항체를 고정된 세포에 처리한 후 Alexa Fluor 488 goat anti-rabbit IgG 및 Hoechst 33342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감염된 세포의 고정 및 염색 후 20x 배율의 형광 이미징 시스템 (Perkin Elmer Operetta, 20x,Waltham, MA) 상에서 이미지화하였다. 감염률 (SARS-CoV-2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의 수/총 세포수)은 내부에서 개발된 Image Mining 3.0 (IM 3.0) 플러그인으로 측정되었다. 저분자 화합물이 처리된 세포의 SARS-CoV-2에 대한 감염률은 각 플레이트 상에 있는 음성대조군 (0% 감염억제율) 및 양성대조군 (100% 감염억제율)로 하여 환산되었고, 90% 이상의 억제효과를 야기하는 저분자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농도반응곡선 실험으로 화합물의 50% 바이러스 억제농도 (Inhibitory concentration 50 ;IC50), 50% 세포독성농도 (Cytotoxicity concentration; CC50), 약물과 세포독성 사이의 비율 (selectivity index; SI)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IC 50 ( μM ) CC 50 ( μM ) SI
클로로퀸 7.28 >150 20.61
로피나비르 9.12 >50 5.48
렘데시비르 11.41 >25 2.19
실시예 4 0.23 >50 216.34
실시예 45 0.14 >50 360.1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합물은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 억제활성이 우수하므로,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성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9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R2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3-10의 사이클로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m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R2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tert-부틸,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3은 독립적으로 -H, -OH, 할로, -NO2, -NH2, -CN,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및
    m은 0 내지 4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R1은 독립적으로 -H, -F, -Cl, -Br, -NO2, -CF3,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는 메틸, 에틸, 또는 iso-프로필이고;
    R3은 독립적으로 -H, -F, -Cl, -Br, -CF3, 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및
    m은 0 내지 3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1) 3-아세틸-8-클로로-5-메틸-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2) 3-아세틸-6,8-디플루오로-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3) 3-아세틸-6-클로로-2-(3,5-디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4) 3-아세틸-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5) 6,8-디플루오로-3-이소부티릴-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6) 5,8-디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7) 5,8-디클로로-3-이소부티릴-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8) 5,8-디클로로-3-이소부티릴-2-(4-메톡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9) 3-아세틸-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10) 3-아세틸-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11) 3-아세틸-6-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12) 3-아세틸-5,8-디클로로-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3) 5,8-디클로로-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14) 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15) 5,8-디클로로-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16) 3-아세틸-5,8-디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7) 3-아세틸-5,8-디클로로-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8) 3-아세틸-8-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19) 3-아세틸-8-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1H)-온;
    (20) 3-아세틸-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21) 3-아세틸-2-(4-클로로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22) 3-아세틸-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8-에틸퀴놀린-4(1H)-온;
    (23) 3-아세틸-2-(2,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24) 3-아세틸-6-클로로-2-(3-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25) 3-아세틸-5,8-디클로로-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26) 3-아세틸-5,8-디클로로-2-(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27) 5,8-디클로로-2-(2,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프로피오닐퀴놀린-4(1H)-온;
    (28) 3-아세틸-6-클로로-2-(4-플루오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29) 3-아세틸-6-클로로-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30) 3-아세틸-8-클로로-2-(2,3-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5-나이트로퀴놀린-4(1H)-온;
    (31) 3-아세틸-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7,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2) 3-아세틸-2-(4-브로모페닐아미노)-8-클로로-5-플루오로퀴놀린-4(1H)-온;
    (33) 3-아세틸-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4) 3-아세틸-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7,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5) 3-아세틸-2-(2-클로로-4-메틸페닐아미노)-5,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36) 3-아세틸-7,8-디클로로-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37) 3-아세틸-8-클로로-5-플루오로-2-(2-플루오로-5-메틸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38) 5,8-디클로로-2-(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프로피오닐퀴놀린-4(1H)-온;
    (39) 3-아세틸-2-(4-브로모페닐아미노)-6,8-디플루오로퀴놀린-4(1H)-온;
    (40) 3-아세틸-6-클로로-2-(2,4-디클로로페닐아미노)-8-나이트로퀴놀린-4(1H)-온;
    (41) 5,8-디클로로-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3-이소부티릴퀴놀린-4(1H)-온;
    (42) 3-아세틸-2-(4-브로모페닐아미노)-7,8-디클로로퀴놀린-4(1H)-온;
    (43) 3-아세틸-5,8-디브로모-2-(3,5-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및
    (44) 3-아세틸-5,8-디플루오로-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45) 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3-아이소뷰티릴뷔놀린-4(1H)-온.
  5. 3-아세틸-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퀴놀린-4(1H)-온,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6. 5,6,8-트리클로로-2-((3-플루오로페닐)아미노)-3-아이소뷰티릴뷔놀린-4(1H)-온,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OVID-19로 인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046999A 2020-04-17 2020-04-17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28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99A KR20210128829A (ko) 2020-04-17 2020-04-17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99A KR20210128829A (ko) 2020-04-17 2020-04-17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29A true KR20210128829A (ko) 2021-10-27

Family

ID=7828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999A KR20210128829A (ko) 2020-04-17 2020-04-17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808963A (zh) 經取代之多環性吡啶酮衍生物及含有其前體之醫藥組合物
KR102169476B1 (ko)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7893108B2 (en) Antiviral methods and compositions
KR20230044446A (ko) 급성 호흡기 장애의 치료 방법
WO2018174442A1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 치료용 화합물
KR102187953B1 (ko) 신규 퀴놀리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N113773275A (zh) 一种抗病毒化合物及其制备方法
JP7023442B2 (ja) 抗重症熱性血小板減少症候群ウイルス薬
KR20210128829A (ko) 퀴놀리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covid-19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03956B1 (ko) 신규 퀴놀론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코로나 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10002386A (ko) 신규 퀴놀리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337933B1 (ko) 1,2,4-옥사디아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KR102249543B1 (ko) 페난트로인돌리지딘 및 페난트로퀴놀리지딘 알칼로이드 유도체,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치료용 조성물
US9233921B2 (en) Potent poxvirus inhibitor
US7183412B2 (en) Ester or amide derivatives
JP4731320B2 (ja) 抗コロナウイルス剤
KR20220120299A (ko) 신규 트리아졸릴 콤브레타스타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SARS-CoV-2)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204501A1 (en) Enterovirus inhibitor
KR101148098B1 (ko)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6217621B (zh) 一种核苷类双前药、合成方法及应用
KR102145025B1 (ko) 신규한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US20230365535A1 (en) Compound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20100262A (ko) 부추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의 항바이러스제로서의 용도
US20220313631A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arasitic infections
CN107098895B (zh) 苯氨基噻唑甲基喹啉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