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040A - Kcnq 강화제로서의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메틸)우레아 유도체 - Google Patents

Kcnq 강화제로서의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메틸)우레아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040A
KR20210126040A KR1020217028040A KR20217028040A KR20210126040A KR 20210126040 A KR20210126040 A KR 20210126040A KR 1020217028040 A KR1020217028040 A KR 1020217028040A KR 20217028040 A KR20217028040 A KR 20217028040A KR 20210126040 A KR20210126040 A KR 2021012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cceptable salt
compound
refer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렌 제인 세케레스
앤드류 캐어윈 윌리엄스
마리아 앤 왓튼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21012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3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having only hydrogen or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2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칼륨 채널에 대한 소분자 강화제 (예컨대 KCNQ 강화제로도 불리는 Kv7 강화제),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및 원발성 측삭 경화증, 가성 연수 마비, 진행성 연수 마비, 진행성 근육 위축 및 간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다른 신경계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이러한 화합물의 사용 방법.

Description

KCNQ 강화제로서의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메틸)우레아 유도체
본 발명은 의학 분야에 속한다. 특히, 본 발명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및 원발성 측삭 경화증, 가성 연수 마비, 진행성 연수 마비, 진행성 근육 위축 및 간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다른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방법 및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LS (때때로 "루게릭병"으로 불림)는 연간 100,000명 중 대략 1.5-3명이 걸리는 치명적인 신경계 질환이다. 이는 전형적으로 진단으로부터 2-3년 내에 사망을 유발하는 운동 뉴런의 진행성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 연구가 계속되지만, 대부분의 ALS 사례는 공지된 원인 없이 산발적인 것으로 보인다.
ALS 환자는 전형적으로 말초 및 중심 운동 뉴런의 증가된 흥분성을 나타내어, 섬유속연축, 근육 경련 및 경직으로 이어진다. 증가된 뉴런 흥분성은 칼슘 과부하 및 세포 사멸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운동 뉴런 흥분성은 ALS 환자에서의 생존과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문헌 [K. Kanai et al.,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83, 734-738 (2012)] 참조).
연구는 ALS 환자에서의 운동 뉴런이 (비-ALS 환자와 비교하여) 변경된 흥분성을 갖는 이유에 대한 메카니즘 및 원인을 조사하였다. (문헌 [K. Kanai et al., Brain, 129, 953-962 (2006)] 참조). 연구의 결과는 질환-연관 과다흥분성에 대한 주요 기여자로서 뉴런에서의 감소된 칼륨 채널 활성을 시사한다 (상기 문헌 참조). 추가로, ALS 환자로부터의 만능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운동 뉴런은 또한 과다흥분성을 나타내었다. (문헌 [B.J. Wainger et. al., Cell Rep., 7, 1-11 (2014)] 참조). 이들 줄기 세포 유래 뉴런은 감소된 지연-정류기 칼륨 전류를 나타냈고, 실제로, 작용제 레티가빈 및 플루피르틴 (공지된 Kv7 칼륨 채널 강화제임)을 이들 줄기 세포-유래 뉴런에 첨가한 경우, 운동 뉴런의 과다흥분성을 정상화하였고, 세포의 시험관내 생존은 증가하였다 (상기 문헌 참조). 또 다른 연구에서, Kv7 강화제 레티가빈은 래트 설하 운동 뉴런을 사용한 ALS의 시험관내 모델에서 흥분독성의 증상을 감소시키고 생존을 증가시켰다 (문헌 [F. Ghezzi et. al., J. Physiol., 596, 2611-2629 (2018)] 참조).
현재, ALS를 치료하도록 승인된 유일한 약물은 릴루졸이며, 이는 생존을 2-3개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우수하고 보다 오래 지속되는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명백히 존재한다.
공지된 Kv7 강화제 레티가빈은 Kv7.2-7.5 (KCNQ2-KCNQ5) 칼륨 채널에 작용한다. 이는 약물-내성 간질을 갖는 환자에서 보조 요법으로서 승인되었다. 이는 2011년에 유럽 및 미국에서 승인되었지만, 2017년에 자발적으로 철회되었다. 임상적 사용으로부터의 레티가빈의 철회는 약물의 매우 제한된 사용으로 이어지는 수많은 내약성 문제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내약성 문제는 흔한 아마도 메카니즘-기반의 졸음 및 어지럼증의 발생 및 덜 흔한 망막 및 피부에서의 색소침착 변화 및 요폐의 발생을 포함한다. 망막 변화, 및 시력 상실에 대한 잠재력은 레티가빈에 대한 라벨 상에 박스표시된 경고를 유발하였고, 메카니즘 기반인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요폐는 방광 Kv7.3/7.5 채널의 강화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그의 부작용을 고려해 볼 때, 새로운 Kv7 강화제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ALS 환자에서 운동 뉴런 흥분성에 대한 릴루졸 (예를 들어, ALS에 대해 승인된 치료) 및 레티가빈의 효과를 비교하는 최근의 연구는 Kv7 채널의 강화제가 릴루졸보다 우수한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헌 [M. Kovalchuk et. al.,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104, 1136-1145 (2018)] 참조). 따라서, 레티가빈보다 더 우수한 내약성을 갖는 개선된 강화제는 ALS 및 다른 과다흥분성-관련 장애의 임상 치료에 유익할 것이다. (문헌 [B. Kalappa, et al.,The Journal of Neuroscience, 35 (23):8829-8842 (2015)] 참조). 지금까지, Kv7에 대해 작용하는 작용제는 ALS의 치료에 대해 승인되지 않았으므로, 따라서 Kv7에 대해 작용하는 작용제, 예컨대 치료 이익을 제공하는 대안적 Kv7 강화제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강화제가 다른 Kv7 채널보다 Kv7.2/7.3에 대해 보다 선택적이도록 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피하고, 특히 말초 및 중심 운동 뉴런의 흥분성의 치료를 위해 안전성, 효력, 효능 및 내약성을 포함한 개선된 약리학적 특성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 Kv7 작용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실시양태는 ALS 및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다른 신경계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칼륨 채널 강화제 (예컨대 KCNQ 강화제로도 불리는 Kv7 강화제)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이는 "화학식 I"로서 지정됨)의 화합물이 Kv7 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Figure pct00002
또는
Figure pct00003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I에서, R2는 H 또는 OH이다. 화학식 I에 대한 화합물 이외에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화학식 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또한 제조되어 Kv7 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서 R1은
Figure pct00004
이고, R2는 H이도록 제조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서 R1은
Figure pct00005
이고, R2는 OH이도록 제조된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R2가 OH인 경우에, OH 기가 부착되어 있는 탄소는 입체중심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2종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기 거울상이성질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특정한 거울상이성질체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거울상이성질체 중 1종만을 사용하는 실시양태를 구축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는 각각의 성분에 대해 상이한 백분율을 갖는 상이한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서 R1은
Figure pct00008
이고, R2는 H이도록 제조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서 R1은
Figure pct00009
이고, R2는 OH이도록 제조된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R2가 OH인 경우에, OH 기가 부착되어 있는 탄소는 입체중심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2종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기 거울상이성질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특정한 거울상이성질체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거울상이성질체 중 단지 1종을 사용하는 실시양태를 구축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는 각각의 성분에 대해 상이한 백분율을 갖는 상이한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양태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ALS이다.
다른 실시양태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ALS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또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질환은 ALS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질환은 ALS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와 연관된 질환" 또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은 ALS, 원발성 측삭 경화증, 가성 연수 마비, 진행성 연수 마비, 간질 및 진행성 근육 위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포함한다. 이들 용어는 또한 문헌 [A. Verma, et al., "Atypical Motor Neuron Disease and Related Motor Syndromes," Seminars in Neurology, Volume 21, Number 2, 2001]에 열거된 모든 질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어는 또한 PNH (말초 신경 과다 흥분성) 장애를 포함한다. PNH 장애에 대한 정보는 문헌 [C.
Figure pct00012
et al., Peripheral nerve hyperexcitability syndromes”Rev Neurosci. 2015;26(2):239-51]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이들 질환 중 1종 이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환자", "대상체" 및 "개체"는 인간, 보다 특히 필요로 하는 환자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환자는 Kv7의 강화가 이로울 질환, 장애 또는 병태 (예를 들어, ALS 또는 또 다른 질환)를 갖는 것을 추가로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자는 추가로, 상기 언급된 병태, 또는 Kv7의 강화로부터 이득을 얻을 병태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효량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고 유사한 상황 하에 수득된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유효량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인자가 고려된다: 그의 크기, 연령 및 전반적 건강; 관련된 구체적 질환 또는 장애; 질환 또는 장애의 관련 정도 또는 중증도; 개별 환자의 반응; 투여된 특정한 화합물; 투여 방식; 투여된 제제의 생체이용률 특징; 선택된 용량 요법; 병용 의약의 사용; 및 다른 관련 상황.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은 말초 및 중심 운동 뉴런의 흥분성에서의 임상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합물을 생체이용 가능하게 만드는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로 제제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이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L.V. Allen, Editor, 22nd Edition, Pharmaceutical Press, 2012] 참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특히 유용하며, 특정 배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하기 목록은 이러한 배위를 기재한다. 이들 선호도는 치료 방법 및 본 발명의 화합물 둘 다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화합물 (여기서 R2는 OH임)은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R2가 OH인 이들 화합물에서, 상기 "편평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라세미체이고/이거나 거울상이성질체 둘 다가 존재한다 (50/50 혼합물로 또는 일부 다른 비로). 상기 쐐기형 및 파선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특정한 거울상이성질체를 도시한다. "파상"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그것이 존재하는 단일 거울상이성질체이지만, 이 단일 거울상이성질체의 정확한 배위는 미지이고, 따라서 이러한 거울상이성질체는 그의 광회전 (예를 들어, 이들이 (+) 또는 (-) 방향으로 광을 회전시키는지 여부)에 의해 구별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화합물은 또한 하기 분자 (여기서 R2는 H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R2로서 OH 기를 갖는 상기 화합물은 "상향" 배위 (쐐기형 투영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음)의 OH를 갖는 것들일 수 있다. OH 기가 "하향" 배위인 다른 실시양태가 설계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예를 들어 상이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고/하거나 상이한 반응 등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다른 거울상이성질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거울상이성질체는 하기 구조를 갖고, 본원에 청구된 실시양태의 일부이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본 발명이 모든 개별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라세미체를 포함한 상기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을 고려하지만, 상기 언급된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개별 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에서 임의의 편리한 시점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선택적 결정화 기술,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문헌 [J. Jacques, et al., "Enantiomers, Racemates, and Resolutions", John Wiley and Sons, Inc., 1981], 및 문헌 [E.L. Eliel and S.H. Wilen,"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Wiley-Interscience, 1994] 참조), 또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SFC) (예를 들어, 문헌 [T. A. 베르게르;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Primer," Agilent Technologies, July 2015] 참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분리 또는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조건 하에 적합한 용매 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적절한 유리 염기 및 적절한 제약상 허용되는 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Gould, P.L., "Salt selection for basic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3: 201-217 (1986)]; 문헌 [Bastin, R.J., et al. “Salt Selection and Optimization Procedures for Pharmaceutical New Chemical Entities,”Organic Process Research and Development, 4: 427-435 (2000)]; 및 문헌 [Berge, S.M., et al., “Salts,”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66: 1-19, (1977)]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아래 반응식, 제조예, 및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하기 반응식에서의 각각의 단계의 생성물은 추출, 증발,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여과, 연화처리 및 결정화를 포함한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에서, 모든 치환기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시약 및 출발 물질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하기 반응식,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측면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게다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상응하는 원하는 입체화학적 배위를 가진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특정 약어가 하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약어는 하기와 같다: "ACN"은 아세토니트릴을 지칭하고; "Ac"는 아세틸을 지칭하고; "AcOH"는 아세트산을 지칭하고; "Ac2O"는 아세트산 무수물을 지칭하고; "AP5"는 (2R)-아미노-5-포스포노펜타노에이트를 지칭하고; "BDNF"는 뇌-유래 신경영양 인자를 지칭하고; "BOC"는 tert-부톡시카르보닐을 지칭하고; "CAS#"은 화학 초록 등록 번호를 지칭하고; "CMAP"는 복합 근육 활동 전위를 지칭하고; "DCM"은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디클로로메탄을 지칭하고; "DIPEA"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지칭하고; "DMEA"는 디메틸에틸아민을 지칭하고;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지칭하고; "DMSO"는 디메틸 술폭시드를 지칭하고; "D-PBS"는 둘베코 (Dulbecco)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를 지칭하고; "EDTA"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을 지칭하고; "EGTA"는 에틸렌 글리콜-비스(β-아미노에틸 에테르)-N,N,N',N'-테트라아세트산을 지칭하고; "ES/MS"는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법을 지칭하고; "Et2O"는 디에틸 에테르를 지칭하고;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지칭하고; "EtOH"는 에탄올 또는 에틸 알콜을 지칭하고; "h"는 시간 또는 시간들을 지칭하고; "HEPES"는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을 지칭하고; "IPA"는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을 지칭하고; "IPAm"은 이소프로필 아민을 지칭하고; "iPrOAc"는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지칭하고; "LC/MSMS"는 탠덤 질량 분광측정법을 갖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지칭하고; "LiHMDS"는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를 지칭하고; "KOtBu"는 칼륨-tert-부톡시드를 지칭하고; "Me"는 메틸을 지칭하고; "msec"는 시간의 단위로서 밀리초 또는 밀리초들을 지칭하고; "MTBE"는 메틸-tert-부틸 에테르를 지칭하고; "min"은 분 또는 분들을 지칭하고; "NaOtBu"는 소듐-tert-부톡시드를 지칭하고; "n-BuLi"는 n-부틸리튬을 지칭하고; "NBQX"는 (2,3-디히드록시-6-니트로-7-술파모일-벤조[f]퀴녹살린을 지칭하고; "OAc"는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톡시를 지칭하고; "PBS"는 포스페이트-완충 염수를 지칭하고; "RT"는 실온을 지칭하고; "SCX"는 강한 양이온 교환을 지칭하고; "SD"는 표준 편차를 지칭하고; "sec"는 시간의 단위로서 초 또는 초들을 지칭하고; "SEM"은 평균의 표준 오차를 지칭하고; "SFC"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지칭하고; "TEA"는 트리에틸아민을 지칭하고; "TFA"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지칭하고;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지칭하고; "TMA"는 트리메틸아민을 지칭하고; "TMEDA"는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을 지칭하고; "트리스"는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또는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을 지칭하고; "[α]D 20"은 20 ℃ 및 589 nm에서의 비광회전을 지칭하며, 여기서 c는 농도 (g/mL) (통상적으로 g/100 mL임)이다.
일반 반응식
반응식 1
Figure pct00023
반응식 1은 R1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된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예시한다. 적절하게 치환된 아민 (또는 그의 상응하는 염, 예를 들어 HCl)의 활성화 에스테르 형성은, 예를 들어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사용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기록되어 있고, 적합한 유기 염기와 함께 (2-에톡시-4-피리딜)메탄아민 (또는 그의 상응하는 염 형태, 예를 들어 HCl)과 상기 활성화 중간체의 선택적 N-대 O-카르보닐화는 본 발명의 목적 우레아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1). 통상의 기술자는 입체화학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이 키랄-치환된 아민을 통해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를 수득하거나, 또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예컨대 SFC를 사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키랄 분해에 의해, 또는 키랄 보조제, 예컨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은 키랄 염 제제의 사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반응식 2
Figure pct00024
반응식 2는 rac-2-아미노-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를 도시한다.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웨인렙 (Weinreb)-유형 아미드 제조 (단계 2)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기재된 다양한 조건 하에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THF 또는 Et2O 중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사용하여, 표준 환원제를 사용한 웨인렙-유형 아미드의 환원 (단계 3a)에 이어서 알데히드의 단리 및 강염기, 예컨대 NaH 또는 KOtBu의 존재 하에 생성된 니트로메탄의 음이온의 상응하는 알데히드에 대한 첨가 (단계 3b)를 통해 니트로-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을 제조하는 2 단계 방법은 목적 라세미 2-니트로-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을 제공할 수 있다. 니트로 기의 상응하는 아민으로의 후속 환원 (단계 4)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기재된 다양한 조건 하에 달성될 수 있고, 생성된 아민은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적절한 염 형태, 예를 들어 HCl로 전환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아민의 라세미 혼합물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 예컨대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키랄 염 보조제를 사용한 제제를 사용하여 그의 2종의 키랄 거울상이성질체로 분해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반응식 3
Figure pct00025
반응식 3은 필요한 (2S)-1-아미노-3,3-디메틸-부탄-2-올 또는 그의 상응하는 염의 제조를 도시한다. Co3+로 활성화된 키랄 전이-금속 촉매, 예컨대 Co2+를 사용하는 2-tert-부틸옥시란의 동역학적 분해 (단계 5)는 JACS 9 VOL. 124, NO. 7, 2002, 1307에 보고된 문헌에 기초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생성된 입체화학은 키랄 촉매의 입체화학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2S)-2-tert-부틸옥시란은 S,S-(살렌)Co3+OAc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문헌 [JACS 9 VOL. 124, NO. 7, 2002, 1307] 참조). 추가로, S-입체화학의 검증은 문헌 [Tetrahedron: Asymmetry 13 (2002) 1209-1217]에서 보고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입체제어된 에폭시드 개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조건 하에 질소 친핵체, 예컨대 MeOH 중 NH3을 사용 (단계 6)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생성된 아미노 알콜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조건 하에 적합한 염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조예 1
N-메톡시-N-메틸-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6
EtOAc (50 mL) 중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CAS# 277756-46-4] (4.8 g, 31.4 mmol) 및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65 g, 46.7 mmol)의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포란-2,4,6-트리옥시드 용액의 용액 (DMF 중 50 질량%, 28 mL, 47.5 mmol)을 첨가 깔때기를 통해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H4Cl 용액에 부어 켄칭하였다. 생성된 상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4.4 g, 67 %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3.74 (s, 3H), 3.29 (s, 3H), 1.33-1.25 (m, 4H). ES/MS: m/z 198 [M+H].
제조예 2
(±)-2-니트로-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
Figure pct00027
THF 중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의 1 M 용액 (20 mL, 20 mmol)을 Et2O (50 mL) 중 N-메톡시-N-메틸-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스아미드 (4.3 g, 20.9 mmol)의 0 ℃ 용액에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0.81 mL)에 이어서 2 M 수성 NaOH (0.81 mL)에 이어서 추가의 물 (2.43 mL)을 적가하여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MgSO4 (5 g)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최소 진공 하에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여, Et2O 중 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브알데히드의 용액으로 생각되는 것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을 니트로메탄 (60 mL, 1.1 mol) 및 KOtBu (360 mg, 3.17 mmol)의 급속 교반 용액에 0 ℃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플라스크 내의 갈색 검으로부터 용매를 경사분리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0-10 % MeOH/DCM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2.9 g, 67 %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0.97-0.91 (m, 1H), 1.13-0.99 (m, 3H), 2.66 (d, J= 5.1 Hz, 1H), 4.41-4.36 (ddd, J= 9.8, 5.1, 2.4 Hz, 1H), 4.59-4.53 (dd, J= 9.8, 13.8 Hz, 1H), 4.68 (dd, J= 2.4, 13.8 Hz, 1H).
제조예 3
(±)-2-아미노-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28
THF 중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의 1 M 용액 (37 mL, 37 mmol)을 Et2O (30 mL) 중 (±)-2-니트로-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 (2.9 g, 14.8 mmol)의 0 ℃ 용액에 적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THF 중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의 추가의 1 M 용액 (15 mL, 15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96 mL)에 이어서 2 M 수성 NaOH (1.96 mL)에 이어서 물 (5.88 mL)을 적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켄칭하였다. MgSO4 (5 g)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규조토의 층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디옥산 중 4 M HCl (20 mL, 80 mmol)로 처리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신속하게 교반하면서 Et2O (50 mL) 중에 현탁시켰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단리하여 표제 화합물 (1.52 g, 47 % 수율)을 수득하였다. ES/MS: m/z = 170 [M+H].
제조예 3에 대한 대안적 절차
파르 (PARR) 플라스크에 산화백금 (IV) (242 mg, 1.07 mmol), EtOH (24 mL) 중 (+)-2-니트로-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 (2.42 g, 11.5 mmol)의 용액 및 아세트산 (4.96 mL)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55 psi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두고,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반응물을 규조토의 층을 통해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디옥산 (17.2 mL) 중에 슬러리화하고, 1,4-디옥산 중 4 N HCl (10 mL, 40 mmol)을 적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케이크를 1,4-디옥산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15 분 동안 풀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진공 오븐에서 45 ℃에서 3 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21 g, 80 % 수율)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실시예 2 제공)
(±)-1-[2-히드록시-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우레아
Figure pct00029
DCM (4 mL) 중 [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CAS# 2044704-69-8] (200 mg, 0.8 mmol)의 현탁액을 0 ℃로 냉각시키고, DIPEA (580 μL, 3.3 mmol) 및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149 mg, 0.9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물을 0 ℃에서 15 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고, (±)-2-아미노-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 히드로클로라이드 (232 mg, 1.0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켄칭하고, DCM으로 희석하고, 소수성 프릿에 통과시켰다. 유기 층을 증발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0-15 % MeOH/DCM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8 mg, 57 % 수율)을 수득하였다. ES/MS: m/z = 402 [M+H].
제조예 4에 대한 대안적 절차
DCM (10 mL) 중 [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500 mg, 1.79 mmol) 및 DIPEA (1.26 mL, 7.16 mmol)를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11 mg, 1.88 mmol)을 첨가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아미노-1-[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올 히드로클로라이드 (465 mg, 2.15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유기 상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유기부를 증발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0-15 % MeOH/DCM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80 mg, 90 % 수율)을 수득하였다.
이 분자의 키랄 부분은 동역학적 분해 및 개환 화학을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제조예 5
(2S)-1-아미노-3,3-디메틸-부탄-2-올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30
상업적으로 (CAS# 40102-55-4) 또는 문헌 [J. AM. CHEM. SOC. 9 VOL. 124, NO. 7, 2002 1307]에서 보고된 동역학적 분해를 통해, R 배위된 에폭시드가 RR 촉매로부터 수득되는 (2S)-2-tert-부틸옥시란을 수득하고, 따라서 S 에폭시드가 SS 촉매로부터 수득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Figure pct00031
EtOH (427 mL) 중 (2S)-2-tert-부틸옥시란 (107 g, 1.01 mol) 및 NH4OH (1.3 L, 10.7 mol)의 혼합물을 밀봉된 용기에서 100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DCM (100 mL) 중에 0 ℃에서 용해시키고, 디옥산 중 HCl의 4 M 용액 (267 mL, 1.1 mol)을 10 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면서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차가운 DCM으로 세척하고, 진공 흡인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03 g; 62.9 %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1 MHz, MeOD): δ 0.94 (s, 9H), 2.76 (dd, J= 11.1, 12.6 Hz, 1H), 3.09 (dd, J= 2.5, 12.6 Hz, 1H), 3.41 (dd, J= 2.5, 11.1 Hz, 1H). [α]D 20 = +32.38° (c = 0.8 g/100 mL, EtOH). 문헌 [Tetrahedron: Asymmetry 13 (2002) 1209-1217]에 보고되어 있다. [α]D 20 = +25.9°(c = 0.47 g/100 mL, EtOH).
제조예 5에 대한 대안적 절차
A 및 B로 표지된 2개의 ISCO 2-1000 ml 시린지 펌프를 제조한다:
펌프 A를 MeOH 중 NH3의 7 M 용액으로 채웠다. 펌프 B를 MeOH 중 NH3의 7 M 용액 (995 mL) 중에 용해된 (2S)-2-tert-부틸옥시란 (25 g, 232 mmol)의 용액으로 채웠다. 펌프를 오븐 내 500 mL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 반응기 (OD= 1/8")에 연결한 다음, 출구, 오븐 외부에 위치한 7 mL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 반응기 (OD= 1/16")에 연결하여 열 교환기로서 작용하고, 열 교환기 후 1200 psi로 설정된 이퀼리바 (EQUILIBAR)® 배압 조절기를 연결하였다.
펌프 A를 사용하여, 튜브 반응기를 MeOH 중 NH3의 7 M 용액으로 5 mL/분으로 채웠다. 오븐 온도를 200 ℃로 설정하였다. 튜브 반응기가 가득 차면, 100 분 동안 10 mL/분으로 펌프 B로 스위칭한 다음, 펌프 A로 스위칭하여 MeOH 중 NH3의 7 M 용액을 동일한 유량으로 추가 1 시간 동안 전달하였다.
수집된 용액을 감압 하에 실온에서 농축시켜 조 (2S)-1-아미노-3,3-디메틸-부탄-2-올 (24.4 g)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tert-부틸 메틸 에테르 (150 mL) 중에 용해시키고, IPA 중 HCl의 5.5 M 용액 (46.4 mL, 255 mmol)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여과하고, MTBE (4 x 2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3 g, 72 % 수율)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6
[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32
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카르보니트릴 [CAS# 618446-30-3] 82.5 g, 367 mmol)을 EtOH (500 mL) 중에서 교반하고, 용액을 미용해 고체로부터 경사분리하고, 고체를 EtOH (3 x 50 mL)로 세척하고, 매회 용액을 경사분리하였다. EtOH 용액을 합하고, 추가의 EtOH (150 mL)로 희석하고, 진한 HCl (125 mL)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약 10 mL EtOH 중 탄소 상 10 % 팔라듐 (3.7 g)의 슬러리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의 분위기 하에 60 psi에서 실온에서 밤새 진탕시켰다. 혼합물을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남겼다. 생성된 고체를 MTBE 중에서 45 ℃에서 30 분 동안 슬러리화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물 (400 mL) 중에 용해시키고, MTBE (400에 이어서 20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크림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THF (100 mL) 중에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THF (2 x 30 ml)로 세척하고, 진공 흡인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46.16 g, 44 % 수율)을 수득하였다. 여과물을 추가로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THF (50 mL) 중에서 30 분 동안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의 추가의 수확물 (34 g, 32.5 % 수율)을 수득하였다. ES/MS: m/z 307 [M+H]. 클로라이드 이온 분석 (IC)은 2:1 클로라이드 이온:모의 몰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1-[(2S)-2-히드록시-3,3-디메틸-부틸]-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우레아
Figure pct00033
DCM (50 mL) 중 [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8.06 g, 33.2 mmol)를 교반하고, DIPEA (29 mL, 16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고,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5.7 g, 33.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2S)-1-아미노-3,3-디메틸-부탄-2-올 히드로클로라이드 (5 g, 32.5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 상을 분리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CM 중 0에서 10 % MeOH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용매 증발 후에 표제 화합물 (8.16 g, 72 % 수율)을 수득하였다.
물질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또 다른 로트의 표제 화합물 (4.37 g)과 합하고, iPrOAc (45 ml)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1.29 g을 수득하였다. ES/MS: m/z 350 [M+H]. [α]D 20 = +29.845°(c = 0.2 g/100 mL, MeOH).
실시예 2
키랄 분해를 통한 (+)-1-[2-히드록시-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우레아 및 (-)1-[2-히드록시-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우레아
Figure pct00034
(±)-1-[2-히드록시-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우레아 (680 mg)를 키랄팩 (CHIRALPAK)® AD-H (250 x 30 mm, 5 μ) 칼럼을 사용하여 35 ℃, 100 bar에서 SFC 키랄 정제에 적용하고, 92:8 CO2/에탄올 (0.2 % N,N-디메틸에틸아민 함유)로 152 mL/분으로 용리시키고, 220 nm에서 검출하고, 분획을 증발시키고, 45 ℃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하기를 수득하였다:
거울상이성질체 1 (제1 용리 피크, 285.4 mg): (-)-1-[2-히드록시-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우레아; [α]D 20 = -21.0°(c = 0.20 g/100 mL, MeOH);
거울상이성질체 2 (제2 용리 피크, 289.5 mg). 거울상이성질체 2를 상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재차 SFC 정제에 적용하고; 분획을 증발시키고, 45 ℃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1-[2-히드록시-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우레아 (236 mg)를 수득하였다; [α]D 20 = +15.0°(c = 0.20 g/100 mL, MeOH).
실시예 3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3-[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우레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500 mg, 2.6 mmol; WO 2013/134252 참조, 그러나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CAS#: 1454690-80-2])를 DCM (5 mL) 중에서 교반하고, DIPEA (1.4 mL, 8 mmol)를 첨가하였다. 투명한 용액이 생성되면,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428 mg, 2.6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탄아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810 mg, 2.9 mmol)를 단일 부분으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40 ℃로 3 시간 동안 가온하고,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로 옮기고, 100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DCM 중 0-10 % MeOH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92 mg, 88 % 수율)을 수득하였다. ES/MS: m/z 386 [M+H]
실시예 3에 대한 대안적 절차
마이크로웨이브 반응 용기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758 mg, 0.4 mmol, CAS# 561297-93-6), DCM (2 mL), DIPEA (698 μL, 0.4 mmol) 및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649 mg, 0.4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실온에서 DCM (0.8 mL, 0.4 mmol) 중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탄아민 (CAS# 1454690-80-2; 대안적으로, WO 2013/134252 참조)의 0.5 M 제조된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00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보다 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따라내고, 물 (5 mL) 및 DCM (5 mL)으로 희석하였다.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고, 소수성 프릿에 통과시켜 유기 상을 분리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고 pH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75 x 30 mm 페노메넥스 (PHENOMENEX)® 제미니 (GEMINI)®-NX C18 칼럼, 5 μ 입자 크기, 110A, 제미니®-NX C18 15 x 30 mm 가드를 갖는 악시아 (AXIA) 칼럼을 사용하여, 수성 상으로서 5 % MeOH를 함유하는 10 mM NH4HCO3 (pH ~10) 중 23-57 %의 ACN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4-피리딜]메틸]-3-[2-[1-(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프로필]에틸]우레아 (90.6 mg, 59 % 수율)를 수득하였다. ES/MS: m/z 386 [M+H]
검정
본 실시양태의 화합물이 Kv7을 증강시키는 데 있어서 활성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생물학적 검정 데이터가 다음에 제공된다.
검정 # 1
ALS 환자 iPSC 세포주로부터 유래된 운동 뉴런의 실시예 1에 대한 옵토패치 (optopatch) 흥분성 검정
피질 뉴런 및 하부 운동 뉴런의 변경된 흥분성은 ALS의 병리생리상태에서 중요한 인자이다 (예를 들어, 문헌 [K. Kanai, et. al.,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83, 734-738 (2012); P. Menon, et. al., Eur J Neurol., 24, 816-824 (2017)] 참조). 모든-광학 전기생리학 ("옵토패치")을 사용하여 상이한 병원성 돌연변이를 갖는 2명의 ALS 환자로부터의 iPSC 세포주로부터 유래된 배양된 운동 뉴런의 흥분성을 평가하였다.
세포 배양: 2개의 iPSC 세포주는 각각 TARDBP에서 병원성 돌연변이를 갖는 1명의 환자 및 C9orf72에서 병원성 반복 확장 돌연변이를 갖는 1명의 환자로부터 유래된다. 운동 뉴런은 운동 뉴런 모르포겐의 포함에 의해 이중 SMAD 억제 뉴런 패턴화 프로토콜 (문헌 [S.M. Chambers, et. al., Nat Biotechnol., 27, 275-280 (2009)] 참조)로부터 적합화된 2D 분화 방법에 의해 이들 세포주로부터 생성된다. 분화를 베타-III-튜불린 및 핵 운동 뉴런 마커 ISL1에 대한 육안 검사, 핵형분석 및 염색에 의해 확인하였다. 뉴런을 10 ng/mL BDNF로 보충된 mTeSR (스템 셀 테크놀로지스)에서 마우스 신경교의 단층 상에서 배양하였다. 영상화 48 시간 전에, 100 nM 망막횡단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옵토패치 벡터로의 형질도입: 시험관내 15 일에, 배양된 운동 뉴런을 렌티바이러스 벡터로 형질도입하여 작동기 CheRiff-mOrange2 및 전압 지시자 QuasAr3-시트린의 공동-발현을 구동하였다 (세부사항에 대해 문헌 [D.R. Hochbaum, et. al., Nat. Methods, 11, 825-833 (2014)] 참조). 영상화 48 시간 전에, 100 nM 망막횡단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용액: 3 mM 칼륨을 함유하는 브레인피즈 (Brainphys)TM 영상화 완충제 중에서 기록을 수행하였다. 갭 접합 차단제 2-아미노에톡시디페닐 보레이트 (50 μM)를 첨가하여 세포 사이의 전기적 커플링을 제거하고, NBQX (10 μM), 가바진 (20 μM), 및 AP5 (25 μM)를 사용하여 시냅스 전달을 차단하였다.
옵토패치 기록: 형질도입 5일 후, 실온에서 맞춤형 울트라-와이드필드 형광 현미경 상에서 옵토패치 영상화를 수행하였다. 운동 뉴런을 적색 레이저 여기 (200 W/cm2; 635 nm)로 조명하여 QuasAr 형광 및 청색 LED 여기 (0-127 mW/cm2, 470 nm)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세포 막을 CheRiff로 탈분극시켰다. i) 단지 자발적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색 조명 2 초, ii) 청색 광 강도를 증가시키는 5 x 500 msec 단계 및 iii) 각각 상이한 최대 청색 강도를 갖는 청색 광 램프를 선형으로 증가시키는 2 x 2 초로 이루어진 맞춤형 청색 광 자극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옵토패치 데이터를 1 kHz 프레임 속도를 갖는 하마마츠 (Hamamatsu) ORCA-플래쉬 (Flash) 4.0 sCMOS 카메라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시야 크기는 4 mm x 0.5 mm이다. MATLAB로 작성된 맞춤 제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조명 프로토콜을 제어하고 모든 영화를 기록한다. Kv7.2/7.3 강화제의 급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뉴런을 영상화 전에 15 분 동안 시험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데이터 분석: 시간 주성분 분석 및 공간-시간 독립적 성분 분석을 사용하여 영상 분할 분석을 수행하여 개별 뉴런을 단리하였다. 스파이크-발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활동 전위를 발견하고, 데이터를 평균 발화율, 적응, 기전류 및 활동 전위 파형 형상에 대한 화합물 효과에 대해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분석한다 (세부사항에 대해, 문헌 [C.A. Werley, et. al., Curr. Protoc. Pharmacol., 78, 11.20.1-11.20.24. (2017)] 참조).
상기 기재된 프로토콜에 적용시, 실시예 1의 주요 효과는 저강도 청색 광 조명에 반응한 활동 전위 발화율에 대한 것이다. 5.1 mW/cm2의 청색 LED 조명 강도에서, 화합물은 농도-의존성 방식으로 활동 전위 주파수를 감소시켰다.
4-파라미터 로지스틱 방정식을 데이터에 피팅하는 것은 활동 전위 주파수에 대한 실시예 1의 효과의 효력 (EC50)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과를 TARDBPC9orf72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환자로부터 유래된 세포주에 대해 각각 2회의 별개의 분화 노력에 대해 표 1에 나타낸다. 관찰된 효과는 정성적으로 유사하지만, 공지된 Kv7.2/7.3 강화제 플루피르틴에서 관찰된 것과 보다 강력하여, 환자-유래 운동 뉴런의 흥분성을 감소시킴으로써 ALS를 치료하기 위한 실시예 1의 잠재적 유용성을 입증한다.
표 1: ALS 환자 유래 운동 뉴런에서의 흥분성의 억제 (평균으로 제시됨 (95 % 신뢰 구간))
Figure pct00037
검정 # 2
포유동물 발현 시스템에서 Kv7 강화제에 의한 Kv7.2/7.3 전도도의 조정
Kv7 강화제의 효력 및 효능은 기기의 집단 패치 클램프 모드를 이용하여 이온웍스 바라쿠다 (IonWorks Barracuda) (몰레큘라 디바이시스 (Molecular Devices)) 플랫폼 상에서 자동화 전기생리학에 의해 평가하였다.
세포 배양: hKv7.2 (테트라시클린 유도 하에) 및 hKv7.3 (카탈로그# CT6147, 찰스 리버)을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 세포를 이들 연구에 사용하였다. 세포를 5 % 테트라시클린-스크리닝된 소 태아 혈청 (시그마-알드리치 (Sigma-Aldrich)), 15 mM HEPES, 500 μg/mL G418, 100 U/mL 페니실린,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29.2 mg/mL L-글루타민, 100 μg/mL 제오신 및 5 μg/mL 블라스티시딘으로 보충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영양소 혼합물 햄 (Ham) F-12 (시그마-알드리치)에서 유지하였다. 기록 24 시간 전에 1 μg/mL 독시시클린을 첨가하여 hKv7.2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세포를 코닝 T-150 플라스크에서 85 %-95 %의 전면생장률로 배양하였다. 실험을 시작할 때, 세포를 칼슘 및 마그네슘 무함유 D-PBS로 1회 세척한 다음, 0.25 % 트립신 3 ml 중에서 37 ℃에서 8 분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해리시켰다. 세포를 배지에 재현탁시키고, 부드럽게 연화처리하고, 1,000 rpm에서 4 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세포를 2.5-3.5 M 세포/mL의 최종 농도로 외부 용액에 재현탁시켰다.
용액: 외부 용액은 140 NaCl, 5 KCl, 2 CaCl2, 1 MgCl2, 10 HEPES, 10 글루코스, pH 7.4 (mM 단위)로 구성되었다. 내부 용액은 90 K-글루코네이트, 40 KCl, 3.2 EGTA, 3.2 MgCl2, 5 HEPES, pH 7.25 (mM 단위)로 구성되었다. 막 천공제 암포테리신 B를 DMSO 중 27 mg/mL 원액으로서 매일 제조한 다음, 내부 용액에 0.1 mg/mL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시험 물품 희석물을 384-웰 플레이트에서 10 mM DMSO 원액으로부터 제조하고, 음향 분배 (랩사이트 에코 (Labcyte ECHO)®)를 사용하여 최종 DMSO 농도가 0.1 %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전기생리학적 기록: 재현탁된 세포를 이온웍스® 바라큐다TM (IWB) 기기 상에 놓고, 외부 용액을 384-웰 패치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홀 시험을 수행하여 차단된 웰 및 오프셋 전압을 결정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기기에 의해 패치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웰당 9 μL). 내부 용액에 천공제 암포테리신을 도입하기 전에 두 밀봉 시험을 수행하고 대략 8 분 동안 전기적 접근을 허용하며, 이는 제3 밀봉 시험에 의해 확인된다. 명령 전압 프로토콜은 -80 mV의 유지 전위로부터 -80 mV 내지 +40 mV의 1 초 전압 단계의 패밀리로 이루어지고, 시험 물품 첨가 전 (기준선) 및 6 분 후에 적용된다.
데이터 분석: 데이터를 획득하고, IW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누출을 차감하였다. 각각의 전압 단계의 마지막 10 msec 동안의 전류 진폭을 평균내고 내보낸다. 추가의 분석을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Microsoft Excel) 및 그래프패드 프리즘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전류 진폭은 하기 식에 의해 전도도 (G)로 전환된다: G=I/(V-Ek), 여기서 I=전류, V=단계 전위, Ek=칼륨 역전 전위 (-84 mV). 시험 물품의 존재 하에서의 전도도를 동일한 웰에 대한 +40 mV에서의 기준선 전도도에 대해 정상화하였다. 전도도-전압 (G-V) 곡선을 볼츠만 방정식 y=하부+(상부-하부)/(1+ EXP((Vm-V0.5/k))으로 피팅하였다.
전도도 곡선의 중간점에서의 시험 물품-매개 이동 (V0.5)을 실시예 1-3에 대해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의 최대 전도도의 절반에서의 전압의 대조군으로부터의 차이.
Figure pct00038
(상기 SD는 표준 편차를 지칭함).
4-파라미터 로지스틱 방정식을 데이터에 피팅하는 것은 각각의 시험 화합물에 대한 효력 (EC50) 및 효능 (최대 이동)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과를 실시예 1-3에 대해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Kv7.2/7.3 강화제의 효력 및 효능
Figure pct00039
검정 # 3
말초 신경 흥분성에 대한 3, 10 및 30 mg/kg IP에서의 실시예 1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역치 추적
역치 추적은 그의 막 전위 및 이온 채널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말초 축삭의 흥분성 특성의 측정을 허용하는 비-침습성 기술이다.
방법
체중이 307-446 g인 16마리의 수컷 위스타 (Wistar) 래트 (찰스 리버)를 사용하였다. 동물을 표준 하우징 조건 (케이지당 4, 07:00시부터 19:00시까지 광 주기, 일정한 온도 (21 ℃) 및 습도, 및 음식 및 물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 뿐만 아니라 환경적 풍부화)으로 군별로 수용하였다.
래트를 이소플루란 (2-2.5 %, 0.5 L/분으로 O2)으로 마취시킨 다음, 가열 패드 상에 그의 등 위에 놓아 꼬리 온도를 32 ℃ 초과로 유지하였다. 고리 전극의 배치를 표시하고, 꼬리의 표시된 섹션을 블레이드로 긁어 털 및 피부의 상부 층을 제거하였다. 부위를 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피부와 점착성 전극 사이의 우수한 전도를 가능하게 한다.
점착성 고리 자극 전극 (+ve 애노드)을 발 주위를 감싼다. 제2 점착성 고리 자극 전극 (-ve 캐소드)을 꼬리의 기부로부터 1.5 cm 감싼다. 바늘 기록 전극을 꼬리 상부의 중심에서 바로 벗어나, 꼬리 기부의 자극 캐소드에 대해 6 cm 원위에 위치시켰다. 바늘 기준 전극을 꼬리의 상부의 중심에서 바로 벗어나, 기록 전극에 대해 2 cm 원위에 위치시켰다. 점착성 접지 전극을 기록 전극으로부터 2 cm 근위에서 꼬리 주위를 감싼다.
연구 프로토콜
·멀티트랙 프로그램 (하기 설명)의 시작 및 스파이킹.
·안정한 기준선의 15 분 기록
·15 분 후, 실시예 1 또는 HEC로 투여
·PK를 위해 혈반을 하기와 같이 취한다:
o 투여 10 분 후
o 투여 20 분 후
o 투여 30 분 후
o 투여 40 분 후
·실시예 1을 IP (복강내) 투여한지 45 분 후에, XE-991 (XE-991은 생체내 포르말린 검정에서 KCNQ 강화제 효과를 차단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화합물임)을 투여하였다 (문헌 [Y. Zheng, et al., of peripheral KCNQ channels relieves gout pain,” Pain, 156 (2015) 1025-1035]; 및 문헌 [R. Zaczek, et al., “New Potent Neurotransmitter Release Enhancers, 10,10-Bis(4-Pyridinylmethyl)-9(10H)-Anthracenone and 10,10-Bis(2-Fluoro-4-Pyridinylmethyl)-9(10H)-Anthracenone: Comparison to Linopirdine”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85:724-730, 1998] 참조).
o (XE-991은 30 mg/kg에서 실시예 1 후에만 투여됨)
·PK를 위해 혈반을 하기와 같이 취한다:
·투여 10 분 후 (실시예 1 투여 55 분 후)
·투여 20 분 후 (실시예 1 투여 65 분 후)
·투여 30 분 후 (실시예 1 투여 75 분 후)
·투여 40 분 후 (실시예 1 투여 85 분 후)
래트에서의 말초 축삭 연구의 흥분성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역치 추적 검정에서, 화합물을 1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25 % 폴리소르베이트 80:0.05 % 소포제:정제수 (HEC) 제제를 사용하여 3, 10 또는 30 mg/kg으로 IP 투여하였다. 투여 후 약 10, 20, 30 및 마지막 40 분에 건조 혈반 (DBS)을 수집하였다. DBS 샘플을 실온에서 약 2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뇌 샘플을 최종 시점에 수득하고, 분석시까지 동결시켰다. DBS 샘플을 수송하고, 실온에서 저장하였다.
실시예 1의 1-mg/mL 원액을 제조하고, 풀링된 래트 혈액으로 연속 희석하여 1 내지 10000 ng/mL 범위의 표준물을 제조하였다. 혈액을 블랭크 DBS 카드에 스파이킹하여 표준을 제조하였다. 1개의 3 mm 펀치의 DBS 표준물 또는 샘플을 96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1:1 ACN:MeOH 중 180 μL의 내부 표준물 (IS)을 첨가하였다. 45 분 동안 진탕하고, 추출 용액을 물로 2배 희석하고, 약물 농도 분석을 위해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뇌 샘플을 1.14 mL의 MeOH:H2O (2:8)를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원액을 5 내지 50000 ng/mL 범위의 일련의 블랭크 뇌 균질물 내로 스파이킹함으로써 표준물을 제조하였다. 25 μL의 표준물 또는 샘플을 96 웰 플레이트에 피펫팅하고, 1:1 ACN:MeOH 중 180 μL의 내부 표준물 (IS)을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샘플을 4 ℃에서 10 분 동안 4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물로 15배 희석하고,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샘플 및 표준물을 시마즈 (Shimadzu) HPLC 시스템 (LC-IOAD, 시마즈 코포레이션 (Shimadzu Corporation)) 및 길슨 (Gilson) 215 오토샘플러 (Autosampler)에 연결된 시엑스 (Sciex) API 4000 삼단계 사중극자 질량 분광측정계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시엑스, 디비전 오브 엠디에스 인코포레이티드 (Sciex, Division of MDS Inc.), 캐나다 토론토)로 분석하였다. 샘플 (0.01 mL)을 5-μm 베타실 (Betasil) C-18, 20 x 2.1 mm 자벨린 (Javelin) (써모 일렉트론 코포레이션 (Thermo Electron Corp) Cat#70105-022106)의 HPLC 칼럼 상에 주입하고, 구배로 용리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1.5 mL/분의 유량으로 2.5-분 구배에 걸쳐 진행되는 물/1 M NH4HCO3 (2000:10, v/v)의 이동상 A 및 MeOH/1 M N NH4HCO3 (2000:10, v/v)의 이동상 B로 이루어진다. 터보 스프레이를 갖는 양이온 모드 및 740 ℃의 이온 공급원 온도를 질량 분광측정 검출에 이용하였다. 정량화는 하기 전이에서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정량화는 하기 전이에서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 (m/z 350.2에서 m/z 233.0) 및 유사체 내부 표준물 (m/z 263.1에서 m/z 148.1). 화합물 대 내부 표준물 피크 면적 비 대 약물 농도의 선형 회귀 플롯은 1/x2 2차로 유도하였다. 화합물 대 내부 표준물 피크 면적 비 대 약물 농도의 선형 회귀 플롯은 1/x2 2차로 유도하였다.
사용된 유사체 내부 표준물은 2-(디메틸아미노)-N-펜틸-3-페닐-프로판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1)이고,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40
이 유사체 내부 표준물은 네덜란드 9747 AT 그로닝겐 카디즈크 3의 주소를 갖는 네덜란드 회사인 신콤 (Syncom)으로부터 구입하였다.
래트 혈장 단백질 및 뇌 균질물에 대한 약물 결합은 이들 매트릭스 내로 약물을 스파이킹하고, 궤도 진탕을 진행하면서 37 ℃에서 4.5 시간에 걸쳐 인큐베이션한 후, 시험관내 투석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HT 투석 미세평형 장치 및 투석 막 스트립 (MWCO 12-14k)을 사용하여 검정을 수행하였다. 시간 0 샘플을 단백질 매트릭스 후에 취하고, 샘플을 4.5 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막의 단백질 측 및 완충제 측 둘 다로부터 취한다. 모 화합물을 0 및 45 분 시점 둘 다에서 LC-MSMS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비결합 분획은 완충제 측의 농도를 단백질 측의 농도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퍼센트 회수는 또한 4.5 시간 후에 완충제 및 단백질 챔버의 합계를 시간 0 농도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비결합 화합물 농도는 총 농도* 비결합 분획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결과: 절대 역치에 대한 실시예 1의 효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ct00041
CMAP= 화합물 근육 활동 전위.
(이 검정에 대한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는, 문헌 [R. Sittl et al. “Kv7 potassium channel activator flupirtine affects clinical excitability parameters of myelinated axons in isolated rat sural nerve,” Journal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15:63-72 (2010)]; 문헌 [M. Kovalchuk, et al., “Effects of Riluzole and Retigabine on Axonal Excitability in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Trial,”Received 7 March 2018; accepted 13 April 2018; advance online publication 00 Month 2018. doi:10.1002/cpt.1096,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VOLUME 00 NUMBER 00, MONTH 2018]; 및 문헌 [J. Fleckenstein et al., “Activation of axonal Kv7 channels in human peripheral nerve by flupirtine but not placebo - therapeutic potential for peripheral neuropathies: results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2013, 11:34] 참조.)
시간 및 시간*치료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원 RM ANOVA; 시간 효과 F (26, 312)= 13.18, p= <0.0001; 시간*치료 상호작용 F (78, 312)= 2.888, p <0.0001). 본페로니 (Bonferroni) 다중 비교 시험은 30 mg/kg의 실시예 1이 비히클과 비교하여 절대 역치 (흥분성의 감소)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음을 나타내었다. XE-991은 이러한 증가를 역전시킬 수 있었다 (흥분성을 증가시킴).

Claims (25)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2

    상기 식에서, R1은
    Figure pct00043

    또는
    Figure pct00044
    이고,
    R2는 H 또는 OH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Figure pct00045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3. 제2항에 있어서, R2가 O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4. 제3항에 있어서, 메탄올 중에서 (+) 광회전을 갖는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6
  5. 제3항에 있어서, 메탄올 중에서 (-) 광회전을 갖는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7
  6. 제2항에 있어서, R2가 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7. 제1항에 있어서, R1이
    Figure pct00048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8. 제7항에 있어서, R2가 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9. 제7항에 있어서, R2가 O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0. 제9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9
  11. 제9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5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3.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이 ALS인 방법.
  15.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제12항의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이 ALS인 방법.
  17.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8.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9. 제18항에 있어서,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이 ALS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20.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
  21. 제20항에 있어서, 운동 뉴런 흥분성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 질환이 ALS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
  2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3.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51
  24. 메탄올 중에서 (+) 광회전을 갖는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52
  25.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53
KR1020217028040A 2019-02-06 2020-02-04 Kcnq 강화제로서의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메틸)우레아 유도체 KR20210126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01716P 2019-02-06 2019-02-06
US62/801,716 2019-02-06
US201962811038P 2019-02-27 2019-02-27
US62/811,038 2019-02-27
PCT/US2020/016499 WO2020163268A1 (en) 2019-02-06 2020-02-04 1-((2-(2,2,2-trifluoroethoxy)pyridin-4-yl)methyl)urea derivatives as kcnq potentia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040A true KR20210126040A (ko) 2021-10-19

Family

ID=6974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040A KR20210126040A (ko) 2019-02-06 2020-02-04 Kcnq 강화제로서의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메틸)우레아 유도체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3) US11208383B2 (ko)
EP (1) EP3921030B1 (ko)
JP (2) JP7451543B2 (ko)
KR (1) KR20210126040A (ko)
CN (1) CN113692304A (ko)
AU (1) AU2020218180A1 (ko)
BR (1) BR112021015544A2 (ko)
CA (1) CA3128975A1 (ko)
DK (1) DK3921030T3 (ko)
ES (1) ES2968807T3 (ko)
FI (1) FI3921030T3 (ko)
HR (1) HRP20240012T1 (ko)
HU (1) HUE064734T2 (ko)
IL (1) IL285113A (ko)
LT (1) LT3921030T (ko)
MX (1) MX2021009396A (ko)
PL (1) PL3921030T3 (ko)
PT (1) PT3921030T (ko)
RS (1) RS65040B1 (ko)
SG (1) SG11202108599SA (ko)
SI (1) SI3921030T1 (ko)
WO (1) WO2020163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28975A1 (en) * 2019-02-06 2020-08-13 Eli Lilly And Company 1-((2-(2,2,2-trifluoroethoxy)pyridin-4-yl)methyl)urea derivatives as kcnq potentiators
MX2022016263A (es) 2020-06-25 2023-02-09 Idorsia Pharmaceuticals Ltd Derivados de ciclobutil-urea.
WO2023054626A1 (ja) * 2021-09-30 2023-04-06 住友ファーマ株式会社 シクロプロパンアミド誘導体
WO2023091461A1 (en) 2021-11-19 2023-05-25 Icagen, Llc Pyridine compounds as kv7.2 enhancers
WO2023091554A1 (en) 2021-11-19 2023-05-25 Icagen, Llc Novel heteroaryl-urea compounds as kv7.2 inhibitors
WO2023121992A1 (en) 2021-12-22 2023-06-29 Icagen, Llc Cyclopropyl compounds
WO2023158584A1 (en) 2022-02-15 2023-08-24 Icagen, Llc New bicyclopenta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2676A (ja) 2004-04-13 2007-11-15 イカジ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リウムイオンチャネル調節剤としての多環式ピリジン
WO2010036316A1 (en) 2008-09-24 2010-04-01 Yangbo Feng Urea and carbamate compounds and analogs as kinase inhibitors
AR090151A1 (es) 2012-03-07 2014-10-22 Lilly Co Eli Compuestos inhibidores de raf
CN103709097A (zh) 2012-09-28 2014-04-09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1,3-取代脲或硫脲化合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应用
ES2817902T3 (es) 2013-03-15 2021-04-08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N-acil-N'-(piridin-2-il) ureas y análogos que presentan actividades anticancerosas y antiproliferativas
WO2015130905A1 (en) * 2014-02-27 2015-09-03 Merck Patent Gmbh Heterocyclic compounds as nav channel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N107108485B (zh) 2014-10-24 2020-06-12 小野药品工业株式会社 Kcnq2~5通道活化剂
EP3447045B9 (en) 2016-04-22 2021-07-21 ONO Pharmaceutical Co., Ltd. 1-(1-hydroxy-2,3-dihydro-1h-inden-5-yl)-urea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kcnq 2-5 channel activators for treating dysuria
CA3128975A1 (en) * 2019-02-06 2020-08-13 Eli Lilly And Company 1-((2-(2,2,2-trifluoroethoxy)pyridin-4-yl)methyl)urea derivatives as kcnq potenti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9744A (ja) 2022-03-24
US20220073464A1 (en) 2022-03-10
EP3921030A1 (en) 2021-12-15
CA3128975A1 (en) 2020-08-13
US11840516B2 (en) 2023-12-12
JP2024063191A (ja) 2024-05-10
ES2968807T3 (es) 2024-05-14
US11208383B2 (en) 2021-12-28
JP7451543B2 (ja) 2024-03-18
BR112021015544A2 (pt) 2021-10-26
RS65040B1 (sr) 2024-02-29
MX2021009396A (es) 2021-09-10
PL3921030T3 (pl) 2024-05-06
HUE064734T2 (hu) 2024-04-28
US20240076269A1 (en) 2024-03-07
HRP20240012T1 (hr) 2024-03-29
EP3921030B1 (en) 2023-10-11
PT3921030T (pt) 2024-01-12
US20200247752A1 (en) 2020-08-06
SG11202108599SA (en) 2021-09-29
AU2020218180A1 (en) 2021-08-19
FI3921030T3 (fi) 2024-01-08
IL285113A (en) 2021-09-30
LT3921030T (lt) 2024-01-25
DK3921030T3 (da) 2024-01-02
CN113692304A (zh) 2021-11-23
WO2020163268A1 (en) 2020-08-13
SI3921030T1 (sl)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6040A (ko) Kcnq 강화제로서의 1-((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메틸)우레아 유도체
KR102012675B1 (ko) 베타-세크레타제(BACE)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3,4-디하이드로-피롤로[1,2-a]피라진-1-일아민 유도체
EP4074703B1 (en) Pyridinyl-(aza)indolsulfonamides
EP3983384B1 (en) N-(phenyl)-indole-3-sulfonamid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gpr17 modulators for treating cns disorders such as multiple sclerosis
RU2528333C2 (ru) Соединения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боли и других заболеваний
CN114390924A (zh) 用于蛋白质降解的化合物、组合物和方法
RU2790174C1 (ru) Производные 1-[[2-(2,2,2-трифторэтокси)пирид-4-ил]метил]мочевины в качестве потенциаторов kcnq
EP4301739A1 (en) Fpr2 (formyl peptide receptor 2) receptor agonist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NZ714831A (en) Diazacarbazole derivatives as tau-pet-lig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