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731A -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731A
KR20210125731A KR1020200043271A KR20200043271A KR20210125731A KR 20210125731 A KR20210125731 A KR 20210125731A KR 1020200043271 A KR1020200043271 A KR 1020200043271A KR 20200043271 A KR20200043271 A KR 20200043271A KR 20210125731 A KR20210125731 A KR 20210125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housing
rod
shaft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276B1 (ko
Inventor
전태구
성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산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산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산정밀
Priority to KR102020004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2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기의 레버부 상부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스위치 등을 누르거나, 당김줄을 당겨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축의 하강과 동시에 작동축이 CO2 카트리지의 밀봉된 입구를 파열시키게 되고, CO2 카트리지의 파열로 인해 분사된 CO2 가스의 압력으로 로드가 하강하여 소화기의 레버부를 눌러 자동으로 소화기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Portabl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소화기의 레버부를 눌러 자동으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는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끄는 기구이다. 소화기는 펌프 소화기, 산 알칼리 소화기, 탄산가스 소화기, 분말 소화기 등 소화용의 대상에 따라 여러 가지 소화기로 구별된다. 소화기의 용기에는 소화할 수 있는 소화약제 등이 담기며, 용기의 상부에는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레버와 노즐이 연결된 손잡이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소화기는 가정이나 차량 등에 배치되어 손쉽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소화기의 레버가 쉽게 작동되지 않도록 안전핀이 꽂힌 상태로 배치되어 인적이 드문 시간이나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화재 진압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화재 시, 자동으로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여러 장치들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특허문헌 1은 에어 실린더식 자동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전원이 작동되어 소화약재가 자동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전원이 작동하면, 전원과 연결된 감속기가 작동하게 되고, 감속기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 누름판이 파열핀을 눌러 방출판이 파열된다. 이때, 분사되는 압축가스는 가스관을 통해 소화기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로 이동하게 되고, 유입된 압축가스의 압력으로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어 방출용 손잡이가 눌려져 소화약재가 분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화약 대신 압축가스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재가 분사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키지만, 분사되는 압축가스를 에어 실린더로 이동하기 위해 가스관을 설치해야 하는 등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화재로 인한 연기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 작동체에서 파열핀이 인출되어 파열관이 파열되고, 이후 유입된 기동가스의 압력에 의해 타공편이 디스크를 파열하여 소화기내의 소화액제가 분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연기를 감지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작동체의 작동으로 소화액제가 분출되도록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지만, 기동가스와 소화액제가 이동하는 여러 개의 가스관을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설치가 복잡하며,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77357호 (2008.12.29) 등록특허공보 제10-1264847호 (2013.05.09)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의 조립체로 소화기의 레버부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레버부를 눌러 자동으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의 솔레노이드부는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받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솔레노이드축 스프링과, 상기 솔레노이드축 스프링의 상부로 끼워지며, 전기를 인가받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하강하는 솔레노이드축과, 상기 솔레노이드 및 솔레노이드축 스프링과 솔레노이드축이 수용되는 솔레노이드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상부에는 본체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축의 하강으로 작동되어, CO2 카트리지의 밀봉된 입구를 파열시키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끼워져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작동축 스프링과, 상기 작동축과 작동축 스프링이 수용되는 본체부 하우징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 구멍에 끼워지는 것으로, 압축 CO2 가스가 내장된 CO2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멍에 끼워지는 것으로,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CO2 배출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로드부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는 CO2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하강하여, 소화기의 레버부를 누르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측으로 끼워져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로드 스프링과, 상기 로드와 로드 스프링이 수용되는 로드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축의 타측으로는 고정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부 하우징은 상부는 막히고 하부는 뚫리며,상기 솔레노이드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 하우징의 상부의 중심에는 통공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뚫려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 하우징은 공간이 본체부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내측으로 뚫려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은 통로가 본체부 하우징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뚫려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하우징의 후면에는 브라켓이 상, 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로드부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 하우징의 상부는 뚫리며, 상기 로드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인출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축의 타측에는 당김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으로 소화약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차량 등에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자동과 수동의 두 가지 방법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외부 전원 연결에 제한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서 솔레노이드 축이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서 작동축이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서 로드가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서 CO2 가스가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부(20), 본체부(30), 로드부(50)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부(20)는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받아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를 작동시키는 부분이다. 솔레노이드부(20)는 솔레노이드(21),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 솔레노이드축(24) 및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5)으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21)는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받아 솔레노이드 축(24)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솔레노이드(21)의 중심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뚫리는 축공(22)이 형성된다.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은 압축 및 팽창을 통해 솔레노이드축(24)의 작동을 도와주는 스프링으로, 완충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축(24)은 작동축(31)을 고정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축(24)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측으로는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의 판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당김줄(25)은 수동으로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축(24)의 타측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다.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은 상기 솔레노이드(21),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 및 솔레노이드축(24)을 수용할 수 있는 커버이다.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은 내부에 공간(27)을 형성하면서 하부는 뚫린 형태이다. 통공(28)은 작동축(31)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통공(28)은 상기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의 상부 중심에 형성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뚫린다. 체결구멍(28)은 솔레노이드부(20)와 본체부(30)의 연결을 위해 체결수단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체결구멍(28)은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의 상부 테두리 부분과 본체부 하우징(34)의 타측면 테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본체부(30)는 상기 솔레노이드부(20)에 의해 작동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의 본체 부분이다. 본체부(30)는 작동축(31), 작동축 스프링(33), 본체부 하우징(34), CO2 카트리지(40) 및 CO2 배출마개(42)로 구성된다. 작동축(31)은 CO2 카트리지(40)의 밀봉된 입구를 파열시키는 축이다. 작동축(31)은 일측의 끝 부분이 뾰족한 원통의 형상이며, 중간에는 작동축 스프링(33)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의 판이 형성된다. 고정구멍(32)은 작동축(31)의 고정 및 해제를 위한 솔레노이드 축(24)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작동축(31)의 타측으로 형성된다. 작동축 스프링(33)은 압축 및 팽창을 통해 작동축(31)의 작동을 도와주는 스프링으로, 완충역할을 한다. 본체부 하우징(34)은 상기 작동축(31), 작동축 스프링(33)을 수용할 수 있는 커버이다. 본체부 하우징(34)의 내부에는 공간(35)과 통로(36)가 형성된다. 공간(35)은 상기 작동축(31) 및 작동축 스프링(33)이 안착 되는 공간이다. 공간(35)은 본체부 하우징(34)의 타측면에서 내측으로 뚫려 형성된다. 통로(36)는 CO2 기체의 이동을 위한 통로이다. 통로(36)는 본체부 하우징(34)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뚫려 형성되며, 상기 공간(35)과 연결된다. 끼움부(37)는 로드부(5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본체부 하우징(34)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다. 끼움부(37)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본체부 하우징(34)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 부분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 형태이다. 또한, 끼움부(37)는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내부 통로(36)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 하 뚫린 형태로 형성된다. 끼움 구멍(38)은 CO2 카트리지(40)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본체부 하우징(34)의 일측 중심에 형성된다. CO2 카트리지(40)는 내부에 CO2 압축가스가 내장된 카트리지로, 입구 부분은 밀봉된다. 배출구멍(41)은 CO2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배출구멍(41)은 본체부 하우징(34)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통로(36)와 연결되도록 뚫린다. CO2 배출마개(42)는 상기 배출구멍(41)을 개폐시키는 마개이다. CO2 배출마개(42)는 상부 헤드와 하부 핀이 결합 된 형태이다. 상기 CO2 배출마개(42)의 헤드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는 뚫린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CO2 배출마개(42)의 하부 핀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측은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브라켓(43)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의 설치 및 고정을 도와주는 것이다. 브라켓(43)은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 하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또한, 브라켓(43)에는 체결수단을 끼울 수 있도록 구멍(45)이 형성된다.
로드부(50)는 소화약제(63)가 분사되도록 소화기(60)의 레버부(64)를 작동시키는 부분이다. 로드부(50)는 로드(51), 로드 스프링(52) 및 로드 하우징(53)으로 구성된다. 로드(51)는 소화기(60)의 레버부(64)를 누르는 축이다. 로드(51)는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 원통형의 축으로, 헤드 부분은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로드 스프링(52)은 압축 및 팽창을 통해 로드(51)의 작동을 도와주는 스프링으로, 완충역할을 하는 것이다. 로드부 하우징(53)은 상기 로드(51) 및 로드 스프링(52)을 수용할 수 있는 커버이다. 로드부 하우징(53)은 내부에 공간(54)을 형성하면서, 상부는 뚫리고 하부에는 인출 구멍(55)이 형성된다.
소화기(60)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소화기(60)는 본체용기(61)와 레버부(64) 및 분사부(65)로 구성된다. 본체용기(61)는 소화약제(63)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62)이 형성된 통이다. 소화약제(63)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 물질로, 이산화탄소 가스 및 분말 등 종류가 다양하다. 레버부(64)는 본체용기(61) 내의 소화약제(63)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압력이 가해지는 손잡이 부분이다. 분사부(65)는 호스와 노즐 폰이 연결된 것으로, 소화약제(63)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부분이다.
도 2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가 조립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는 솔레노이드부(20), 본체부(30), 로드부(50)가 조립된 형태이다. 먼저, 솔레노이드부(20)는 솔레노이드(21) 상부에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이 조립된다. 이후, 솔레노이드(21)의 축공(22)으로 솔레노이드 축(24)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면,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은 솔레노이드(21)와 솔레노이드 축(24)의 일측에 형성된 원형의 판의 사이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조립체의 상부로는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 커버가 씌워진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21) 및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과 솔레노이드 축(24)은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27)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본체부(30)는 먼저, 작동축(31)에 작동축 스프링(33)이 조립된다. 작동축 스프링(35)은 상기 작동축(31)의 타측으로 조립되어, 작동축(31)에 형성된 원형의 판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조립된 작동축(31) 및 작동축 스프링(33)은 본체부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5)에 안착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체부(30)는 솔레노이드부(20)와 연결된다.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에 형성된 체결구멍(28)과 본체부 하우징(34)에 형성된 체결구멍(46)으로 체결수단을 끼워주면, 솔레노이부(20)와 본체부(30)는 연결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본체부(30)의 작동축(31)을 작동축 스프링(33)이 완전히 압축되도록 밀어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작동축(33)은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28)의 타측 끝 부분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작동축(31)에 형성된 고정 구멍(32)으로 솔레노이드 축(24)을 끼워준다. 상기와 같이 고정 구멍(32)에 솔레노이드 축(24)이 끼워지면, 작동축(31)은 작동축 스프링(33)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 본체부 하우징(34)에는 CO2 카트리지(40)와 CO2 배출마개(42)가 끼워진다. 먼저, CO2 카트리지(40)는 본체부 하우징(34)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 구멍(38)에 끼워진다. 끼움 구멍(38)에 CO2 카트리지(40)를 끼운 다음, 오링 등을 끼워주면 CO2 가스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CO2 카트리지(40)를 더욱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O2 배출마개(42)는 본체 하우징(34)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멍(36)에 끼워진다. 이때, CO2 배출마개(42)의 헤드 부분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는 뚫린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 오링 등을 끼워주면 CO2 가스가 새어나가는 방지하고, CO2 배출마개(42)를 더욱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로드부(50)는 먼저, 로드(51)에 로드 스프링(52)이 조립된다. 로드 스프링(52)은 로드(51)의 하측으로 조립되어, 로드(51)의 헤드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이후, 로드 하우징(53) 커버가 씌워진다. 따라서, 로드(51) 및 로드 스프링(52)은 로드 하우징(53)에 형성된 내부에 안착 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조립된 로드부(50)는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37)에 끼워진다. 이때, 끼움부(37)는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 부분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부(37)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의 직경 차이로 형성되는 홈에 오링 등을 끼워 넣으면 CO2 가스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로드부(50)를 더욱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7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에서 솔레노이드부(20)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열이나 연기를 감지게 되면, 외부에서 솔레노이드(21)로 전기가 인가된다. 솔레노이드(21)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솔레노이드 축(24)은 하강하게 된다. 차량 등에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21)와 연결되는 전기선을 운전석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스위치로 전원을 작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면 휴대용 소화장치(10)를 쉽게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에서 본체부(30)의 작동축(31)이 작동되는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부(20)가 작동되면, 본체부(30)의 작동축(31)이 작동된다. 작동축(31)은 작동축 스프링(33)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로 솔레노이드 축(24)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부(20)의 작동으로 작동축을(31)을 고정하던 솔레노이드 축(24)이 하강하게 되면, 작동축(31)은 고정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작동축(31)이 해제되면, 솔레노이드 축(24)에 의해 고정되어 압축 상태를 유지하던 작동축 스프링(33)은 팽창하여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작동축(31)은 작동축 스프링(33)의 팽창으로 인해 튕겨져나가 CO2 카트리지(40) 입구의 밀봉된 부분을 파열시키게 된다.
도 5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에서 CO2 카트리지(40) 속 CO2 가스가 분사되어 로드(51)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축(31)이 CO2 카트리지(40)의 밀봉 부분을 파열시면, CO2 가스가 분사된다. 이때 분사된 CO2 가스는 작동축(31)과 로드(51)를 작동시키게 된다. 먼저, 작동축(31)은 CO2 가스가 분사되면, 다시 밀려나가게 된다. 작동축(31)이 밀리면서 작동축 스프링(33)은 압축되고, CO2 가스의 압력이 계속 가해지면서 그 상태가 유지된다. 로드(51)는 CO2 가스가 분사되면, 하강하게 된다. 로드(51)가 하강하게 되면 로드 스프링(52)은 압축되고, CO2 가스의 압력이 계속 가해지면서 로드(51)는 하강 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하강한 로드(51)는 소화기(60)의 레버부(64)를 누르게 된다.
도 6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에서 소화기(60)의 레버부(64)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 같이 CO2 가스가 분사되면 로드(51)는 하강하게 된다. 로드(51)는 로드부 하우징(53)의 하부에 형성된 인출 구멍(5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인출된 로드(51)는 소화기(60)의 레버부(64)를 누르게 된다. 소화기(60)의 레버부(64)가 눌려지면, 소화기(60) 내의 소화약제(63)가 분사부(65)를 통해 이동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로드(51)는 CO2 가스가 누르는 압력으로 인해 계속 하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화약제(63)의 계속적인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에서 CO2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재 진압을 끝낸 후에는 본체부(30) 내의 CO2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주어야 한다.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는 한 번 작동시켜 사용한 후, CO2 카트리지(40)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때, 작동이 완료된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는 본체부(30) 내부에 CO2 가스가 가득 찬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CO2 카트리지(40)를 분리시키게 되면, CO2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CO2 카트리지(40)가 갑자기 뒤로 튕겨져나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CO2 카트리지(40)를 교체하기 전 CO2 배출마개(42)를 배출구멍(41)에서 살짝 빼내어 CO2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교체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때, 상기 CO2 배출마개(42)의 하부 핀 부분의 일측은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CO2 배출마개(42)의 하부 핀의 함몰된 부분과 배출구멍(41) 사이에는 작은 공간이 생기게 되고, 그 공간을 통해 CO2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는 소화기(60)의 레버부(64) 위쪽으로 설치된다. 본체부 하우징(34)의 후면에 설치된 브라켓(43)의 구멍(45)으로 체결수단을 끼워 체결해주면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는 작동 시 소화기(60)의 레버부(64)를 누르는 로드(51)가 인출될 수 있도록 소화기(60)의 레버부(64) 상부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전원을 연결해주면 자동으로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를 작동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는 상기와 같이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외에 수동으로 작동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의 솔레노이드축(24)에는 타측에 당김줄(25)이 설치된다. 상기 설치된 당김줄(25)을 당기면 솔레노이드축(24)이 하강하게 되면서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가 작동된다. 즉, 외부 전원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당김줄(25)을 당겨주면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10)가 작동되어 자동으로 소화기(60)의 소화약제(63)를 분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0 :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20 : 솔레노이드부
21 : 솔레노이드 22 : 축공
23 : 솔레노이드축 스프링 24 : 솔레노이드 축
25 : 당김줄 26 : 솔레노이드부 하우징
27 : 공간 28 : 통공
29 : 체결구멍 30 : 본체부
31 : 작동축 32 : 고정구멍
33 : 작동축 스프링 34 : 본체부 하우징
35 : 공간 36 : 통로
37 : 끼움부 38 : 끼움구멍
40 : CO2 카트리지 42 : CO2 배출마개
43 : 브라켓 45 : 구멍
50 : 로드부 51 : 로드
52 : 로드 스프링 53 : 로드부 하우징
54 : 공간 55 : 인출구멍
60 : 소화기 61 : 본체용기
62 : 내부 공간 63 : 소화약제
64 : 레버부 65 : 분사부

Claims (6)

  1. 화재 발생 시 소화기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의 솔레노이드부(20)는 외부에서 전기를 인가받는 솔레노이드(21);와
    상기 솔레노이드(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과
    상기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의 상부로 끼워지며, 전기를 인가받은 솔레노이드(21)에 의해 하강하는 솔레노이드축(24);과
    상기 솔레노이드(21) 및 솔레노이드축 스프링(23)과 솔레노이드축(24)이 수용되는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20)의 상부에는 본체부(30)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30)는 상기 솔레노이드 축(24)의 하강으로 작동되어, CO2 카트리지(40)의 밀봉된 입구를 파열시키는 작동축(31)과;
    상기 작동축(31)에 끼워져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작동축 스프링(33);과
    상기 작동축(31)과 작동축 스프링(33)이 수용되는 본체부 하우징(34);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 구멍(38)에 끼워지는 것으로, 압축된 CO2 가스가 내장된 CO2 카트리지(40);와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멍(41)에 끼워지는 것으로, 배출구멍(41)을 개폐하는 CO2 배출 마개(4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30)의 하부에는 로드부(50)가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50)는 CO2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하강하여, 소화기(60)의 레버부(64)를 누르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의 하측으로 끼워져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로드 스프링(52);과
    상기 로드(51)와 로드 스프링(52)이 수용되는 로드부 하우징(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31)의 타측으로는 고정 구멍이(32)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은 상부는 막히고 하부는 뚫리며,
    상기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의 내부에는 공간(27)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 하우징(26)의 상부의 중심에는 통공(28)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뚫려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은 공간(35)이 본체부 하우징(34)의 타측면에서 내측으로 뚫려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은 통로(36)가 본체부 하우징(34)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뚫려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하부에는 끼움부(37)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하우징(34)의 후면에는 브라켓(43)이 상, 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 하우징(53)은 내부에 공간(54)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 하우징(53)의 상부는 뚫리며,
    싱기 로드부 하우징(53)의 하부에는 인출구멍(5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축(24)의 타측에는 당김줄(2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KR1020200043271A 2020-04-09 2020-04-09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KR10244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71A KR102447276B1 (ko) 2020-04-09 2020-04-09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71A KR102447276B1 (ko) 2020-04-09 2020-04-09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731A true KR20210125731A (ko) 2021-10-19
KR102447276B1 KR102447276B1 (ko) 2022-09-27

Family

ID=7822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71A KR102447276B1 (ko) 2020-04-09 2020-04-09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2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98Y1 (ko) * 2005-09-16 2005-12-09 최지영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KR100877357B1 (ko) 2008-03-21 2009-01-0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에어실린더식 자동소화기
KR20110007530U (ko) * 2010-01-22 2011-07-28 최보섭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KR101264847B1 (ko) 2012-03-05 2013-05-1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
KR102009371B1 (ko) *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98Y1 (ko) * 2005-09-16 2005-12-09 최지영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KR100877357B1 (ko) 2008-03-21 2009-01-0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에어실린더식 자동소화기
KR20110007530U (ko) * 2010-01-22 2011-07-28 최보섭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KR101264847B1 (ko) 2012-03-05 2013-05-1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
KR102009371B1 (ko) *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276B1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302B1 (ko) 수동 겸용 자동 분사 소화기
US5848649A (en) Fire extinguisher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0937601B1 (ko) 호스형 소화기
US5881819A (en) Fire extinguisher
KR102447276B1 (ko)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JP2001340485A (ja) 差圧式開放弁および開放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CN214130036U (zh) 非贮压式灭火装置及消防系统
KR20070000917U (ko) 소화기의 작동장치
KR100519426B1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KR200327645Y1 (ko) 소화기
US11612774B2 (en) Dual-chamber fire extinguisher
JP4511229B2 (ja) 消火システム及び消火装置
US5575338A (en) Valve for fire fighting installation
KR102020528B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JP2980330B2 (ja) 消火装置
KR100958603B1 (ko)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CN214344087U (zh) 灭火装置
CN219333040U (zh) 防爆气体灭火装置和灭火系统
KR200192920Y1 (ko) 벽걸이형 소화기
CN220435522U (zh) 一种具有实时启闭功能的气体灭火剂容器阀及灭火装置
CN220002815U (zh) 安全释放型干粉灭火器
CN214318949U (zh) 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