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125A -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125A
KR20210125125A KR1020200041900A KR20200041900A KR20210125125A KR 20210125125 A KR20210125125 A KR 20210125125A KR 1020200041900 A KR1020200041900 A KR 1020200041900A KR 20200041900 A KR20200041900 A KR 20200041900A KR 20210125125 A KR20210125125 A KR 2021012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isinfection
disinfectant solution
unit
toil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259B1 (ko
Inventor
이승룡
이한준
Original Assignee
엠제이하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제이하이테크(주) filed Critical 엠제이하이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4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화장실본체;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포함되는 소독대상부; 소독액이 충진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충진된 소독액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관 및 상기 소독대상부의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상부분사노즐이 포함되는 소독부; 및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독부를 제어하여 상기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소독부를 제어하여 소독대상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실본체 내부의 살균 소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화장실본체 내부의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MOVABLE TOILETS WITH DISINFECTING UNIT USING FOG NOZZLE}
본 발명은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소독부를 제어하여 소독대상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실본체 내부의 살균 소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화장실본체 내부의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은 가정의 화장실과 달리 야외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항시 청결 상태를 유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 내에 급격하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작업자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공중 화장실에 방문하여 수작업으로 청소를 진행하는 등 청결 상태를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메르스, 사스, 코로나 등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전염병이 종종 발생되고 있음에 따라, 공공시설의 청결 상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또한, 청결이 유지된 상태의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화장실을 청결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오염된 상태의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화장실을 청결하게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공중 화장실은 항시 청결 상태를 유지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청결하게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2056317 호에는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를 설명하자면, 출입문의 개방여부, 사용자의 재실여부, 잠금장치의 록킹 여부에 따라 살균램프를 작동시켜 변기를 살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공중화장실의 각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변기의 살균을 위해 각 구획공간의 출입문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부;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 또는 상기 구획공간을 이루는 벽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감지하여 재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재실센서;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출입문의 록킹을 위해 설치되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의 록킹동작 또는 록킹해제동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감지센서; 상기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출입문 감지수단; 상기 출입문 감지수단에서 전달받은 출입문 상태정보와 상기 재실센서의 사용자 감지정보와 상기 잠금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출입문 닫힘, 사용자 부재, 잠금해제된 경우에 상기 살균램프를 온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구획 공간에 설치되는 변기의 살균만을 진행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구획되지 않은 세면대, 소변기 등이 위치된 공간의 살균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명절 기간의 휴게소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살균램프의 동작 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충분한 살균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2056317 호(2019.12.10.)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080064 호(2018.07.11.) 등록특허공보 제 10-1736946 호(2017.05.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소독부가 구동되어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소독액이 포그 형태로 분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은, 출입구가 형성되는 화장실본체;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포함되는 소독대상부; 소독액이 충진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충진된 소독액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관 및 상기 소독대상부의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상부분사노즐이 포함되는 소독부; 및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독부를 제어하여 상기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독대상부에 소변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본체에는 상기 소변기의 전방 지면에 구비되는 발판이 포함되고, 상기 발판의 상부는 상기 소변기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판부재가 높이 순으로 정렬되어 상기 소변기의 전방 지면에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판부재는 각각 이웃하는 판부재와 서로 동일한 높이차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독부에는 상기 복수의 판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하부분사노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본체에는 상기 화장실본체의 일면 좌측 하부 또는 우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되는 배기팬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본체에는 상기 화장실본체의 일면 우측 상부 또는 좌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동되는 유입팬이 포함되되, 상기 유입팬은 상기 화장실본체의 일면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배기팬과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순환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배기팬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독부에는 상기 화장실본체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출입분사노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분사노즐에는, 상기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일 측 및 타 측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되 일 측에 상기 소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기관; 후방 일 측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분기관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분사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분사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노즐팁; 및 상기 노즐팁이 분사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사관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으로부터 상기 노즐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캡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관에는 상기 삽입홈의 전방 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구 및 상기 제1삽입구와 연통되되 상기 제1삽입구보다 전방 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제1삽입구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제2삽입구가 포함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에는, 상기 제1삽입구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이동 가능한 이동관이 형성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후방 측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삽입관의 전방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구에 삽입되되 외경의 크기가 상기 삽입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에 충진되는 소독액에는 이온화칼슘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에 의하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소독부를 제어하여 소독대상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실본체 내부의 살균 소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화장실본체 내부의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기의 전방 지면에 소변기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발판이 구비되어 소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변기에 가까이 다가선 상태에서 소변을 배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변이 상기 소변기의 외부로 튀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의 내부에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하부분사노즐이 구비됨으로써, 비교적 쉽게 오염될 수 있는 소변기 전방 지면의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본체의 일면 좌측 하부 또는 우측 하부에 배기팬이 설치되고 화장실본체의 일면 우측 상부 또는 좌측 상부에 유입팬이 설치되되, 배기팬과 유입팬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유입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화장실본체의 내부를 순환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기팬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장실본체 내부의 환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상부분사노즐의 노즐팁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독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범위에 따라 노즐팁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화장실본체 내부의 소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사되어 화장실본체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독액은 이온화칼슘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제조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실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소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발판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발판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배기팬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배기팬 및 유입팬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배기팬 및 유입팬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상부분사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상부분사노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상부분사노즐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소독부를 제어하여 소독대상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실본체 내부의 살균 소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화장실본체 내부의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에는, 화장실본체(100), 출입구(110)가 형성되는 소독대상부(200), 소독부(300) 및 제어부(400)가 포함되며, 상기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소독부(300)가 제어되어 소독액이 소독대상부(200)로 분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화장실본체(100) 내부의 살균 소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탱크(310)에 충진되는 소독액에는 이온화칼슘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에 충진되는 소독액의 제조 방법에는 해수를 원료로 하는 무기 성분을 포함하는 무기 수용액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 상기 무기 수용액에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 및 상기 오존을 혼합한 무기 수용액을 교반시키는 교반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 수용액에 포함되는 무기 성분에는 이온화칼슘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이온화칼슘은 이온화나트륨, 이온화마그네슘 및 이온화칼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온화칼슘은 저산증이나 위액 량이 부족한 사람이 섭취하는 경우에도 칼슘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리된 염에 의해 위 및 장에서 발생되는 자극을 저감시켜줌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근 등의 질환을 가진 사람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소독대상부(2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소독대상부(200)에는 세면대(230), 핸드 드라이기(240) 등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자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독부(300)에는, 소독액이 충진되는 저장탱크(310), 상기 저장탱크(310)에 충진된 소독액을 펌핑하는 펌프(320), 상기 펌프(320)에 의해 펌핑되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관(330) 및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상부분사노즐(340)이 포함된다.
상기 소독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소독대상부(200)를 소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소독부(300)의 상부분사노즐(340)은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세면대(230), 핸드 드라이기(240) 등 사용자가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자재의 상부에도 설치됨으로써,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든 기자재를 소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독부(3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출입구(1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출입분사노즐(36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출입분사노즐(360)은 상기 상부분사노즐(3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출입구(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출입구(110)를 통과하는 사용자에게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분사노즐(340) 및 출입분사노즐(360)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은 포그 형태로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불쾌함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0)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독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센서(410)에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독부(300)의 구동 및 정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00)에 의한 소독부(300)의 구동 및 정지 상태 제어의 예를 들자면,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로 입장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소독부(300)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서 퇴장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소독부(300)가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서 퇴장한 것으로 감지된 이후 상기 소독부(300)가 바로 정지되도록 하지 않고 더 구동된 이후에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머무른 시간이 부족하여 상기 소독부(300)에 의한 소독이 원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소독부(300)의 최소 구동 시간을 1분 내지 5분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1분 미만의 시간 동안만 머무르더라도 상기 소독부(300)는 상기 최소 구동 시간 동안 구동된 이후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져(청소, 감지센서(410)의 감지 오류 등) 상기 소독부(300)에 의한 소독이 비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소독부(300)의 최대 구동 시간을 10분 내지 20분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20분 초과되는 시간 동안 머무르더라도 상기 소독부(300)는 상기 최대 구동 시간 동안 구동된 이후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인원수의 사용자가 출입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소독부(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소독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인원수가 20명을 초과하는 것으로 카운팅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20번째 사용자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에서 퇴장한 이후 상기 소독부(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소독부(300)가 구동된 이후에는 상기 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를 다시 1명부터 카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가 소독부(300)를 구동시키게 되는 사용자의 인원수는 20명이 아니라,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크기,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개수 등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410)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출입구(110),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센서(410)가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모두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에 설치된 복수의 감지센서 중 사용자가 감지되는 감지센서가 위치된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분사노즐(340)만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변기(210)에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대변기(210)의 감지센서는 상기 대변기(210)가 위치한 칸막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칸막이의 개방 상태에 따라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소변기(220)에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소변기(220)의 감지센서는 기존에 상기 소변기(220)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감지하여 상기 소변기(220)에 물이 내려오도록 하는 감지센서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의 위치는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발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발판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a 내지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독대상부(200)에 소변기(220)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본체(100)에는 상기 소변기(220)의 전방 지면에 구비되는 발판(12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발판(120)의 상부는 상기 소변기(22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120)은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소변기(22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120)을 밟은 상태에서 상기 소변기(220)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발판(120)은 상기 발판(120)의 상부가 상기 소변기(22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22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소변기(220)에 가까이 다가선 상태에서 소변을 배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변이 상기 소변기(220)의 외부로 튀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판(120)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판부재(121)가 높이 순으로 정렬되어 상기 소변기(220)의 전방 지면에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는 각각 이웃하는 판부재와 서로 동일한 높이차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소독부(300)에는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하부분사노즐(35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로 구성되는 발판(120)은 물을 분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분사노즐(350)은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소독액이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교적 쉽게 오염될 수 있는 소변기(220) 전방의 지면을 소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분사노즐(350)은 상기 상부분사노즐(3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는 각각의 상부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판(12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는 사용자가 상기 소변기(220)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변기(22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에는,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의 상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복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돌기는, 상기 판부재(121) 상면에 복수의 원형 돌기가 배열된 형상, 상기 판부재(121) 상면에 복수의 사각형 돌기가 배열된 형상, 상기 판부재(121) 상면에 복수의 쐐기형 돌기가 배열된 형상 등 상기 소변기(22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12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배기팬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배기팬 및 유입팬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배기팬 및 유입팬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실본체(1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일면 좌측 하부 또는 우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되는 배기팬(1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팬(130)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기팬(130)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본체(1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일면 우측 상부 또는 좌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동되는 유입팬(140)이 포함되되, 상기 유입팬(140)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일면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배기팬(130)과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팬(14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를 순환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배기팬(13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팬(140)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팬(140)은, 상기 배기팬(130)과 같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기팬(130)과 유입팬(140)이 구동되어 상기 유입팬(14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팬(13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화장실본체(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인원수의 사용자가 출입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소독부(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 뒤에 상기 배기팬(130) 및 유입팬(140)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소독부(300)가 구동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흐른 뒤에 상기 배기팬(130) 및 유입팬(140)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소독부(300)에 의한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소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소독부(30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소독부(300)의 구동과 함께 상기 배기팬(130) 및 유입팬(140)이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소독에 사용된 소독액이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상부분사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상부분사노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의 상부분사노즐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a 내지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부분사노즐(340)에는, 상기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관(330)에 연결되는 연결관(341), 상기 연결관(341)의 일 측 및 타 측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341)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되, 일 측에 상기 소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42a)가 형성되는 분기관(342), 후방 일 측에 삽입홈(343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43a)으로 상기 분기관(342)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분사관(343), 상기 분사관(34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분기관(342)으로부터 분사관(34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부재(344), 상기 분사관(34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342a)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노즐팁(345) 및 상기 노즐팁(345)이 분사관(34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사관(343)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343)으로부터 상기 노즐팁(345)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캡(346)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분사노즐(340)에는 상기 분사관(343)과 고정캡(346)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액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오링(34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관(342)은 상기 연결관(341)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기관(342)이 상기 연결관(341)의 일 측 및 타 측 모두에서 돌출 형성되는 경우, 한 쌍으로 구성되는 분기관(342)의 배출구(342a)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은 상기 연결관(341)을 통해 상기 분기관(342)으로 분기되고, 상기 분기관(342)으로 분기된 소독액은 상기 분사관(343)으로 이동되며, 상기 분사관(343)으로 이동된 소독액은 상기 이탈방지부재(344) 및 노즐팁(345)을 거쳐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팁(345)은 상기 분사관(34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소독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범위에 따라 상기 노즐팁(345)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화장실본체(100) 내부의 소독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관(343)에는 상기 삽입홈(343a)의 전방 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구(343b) 및 상기 제1삽입구(343b)와 연통되되 상기 제1삽입구(343b)보다 전방 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제1삽입구(343b)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제2삽입구(343c)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44)에는, 상기 제1삽입구(343b)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구(343b)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342a)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이동 가능한 이동관(344b)이 형성되는 삽입관(344a), 상기 삽입관(344a)의 후방 측에서 상기 배출구(342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342a)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344c) 및 상기 삽입관(344a)의 전방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구(343c)에 삽입되되, 외경의 크기가 상기 삽입관(344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턱(344d)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344)는, 상기 삽입관(344a)이 상기 분사관(343)의 제1삽입구(343b)에 삽입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344c)는 상기 분기관(342)의 배출구(342a)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344d)은 상기 분사관(343)의 제2삽입구(343c)에 삽입되되, 상기 이탈방지돌기(344c)는 단지 상기 배출구(342a)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관(343)이 분기관(34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만을 방지할 뿐, 상기 배출구(342a)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삽입관(344a)의 이동관(344b)으로 이동되는 소독액의 이동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방지돌기(344c)는 상기 삽입관(344a)의 후방 측에서 상기 배출구(342a)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삽입관(344a)의 후방 측에서 상기 배출구(342a) 방향으로 돌출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342a)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돌기(344c)는 상기 배출구(342a)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삽입관(344a)의 이동관(344b)으로 이동되는 소독액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소독부를 제어하여 소독대상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실본체 내부의 살균 소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화장실본체 내부의 청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화장실본체 110 : 출입구
120 : 발판 121 : 판부재
130 : 배기팬 140 : 유입팬
200 : 소독대상부 210 : 대변기
220 : 소변기 230 : 세면대
240 : 핸드 드라이기
300 : 소독부 310 : 저장탱크
320 : 펌프 330 : 공급관
340 : 상부분사노즐 341 : 연결관
342 : 분기관 342a : 배출구
343 : 분사관 343a : 삽입홈
343b : 제1삽입구 343c : 제2삽입구
344 : 이탈방지부재 344a : 삽입관
344b : 이동관 344c : 이탈방지돌기
344d : 걸림턱
345 : 노즐팁 346 : 고정캡
347 : 오링
350 : 하부분사노즐 360 : 출입분사노즐
400 : 제어부 410 : 감지센서

Claims (9)

  1. 출입구(110)가 형성되는 화장실본체(100);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포함되는 소독대상부(200);
    소독액이 충진되는 저장탱크(310), 상기 저장탱크(310)에 충진된 소독액을 펌핑하는 펌프(320), 상기 펌프(320)에 의해 펌핑되는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관(330) 및 상기 소독대상부(200)의 대변기(210) 및 소변기(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포그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상부분사노즐(340)이 포함되는 소독부(300); 및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10)가 포함되며, 상기 감지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독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대상부(200)에 소변기(220)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장실본체(100)에는 상기 소변기(220)의 전방 지면에 구비되는 발판(120)이 포함되고,
    상기 발판(120)의 상부는 상기 소변기(22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20)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판부재(121)가 높이 순으로 정렬되어 상기 소변기(220)의 전방 지면에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는 각각 이웃하는 판부재와 서로 동일한 높이차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독부(300)에는 상기 복수의 판부재(1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하부분사노즐(35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1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일면 좌측 하부 또는 우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되는 배기팬(130);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1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일면 우측 상부 또는 좌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동되는 유입팬(140)이 포함되되,
    상기 유입팬(140)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일면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배기팬(130)과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팬(14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내부를 순환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배기팬(13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300)에는,
    상기 화장실본체(100)의 출입구(1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출입분사노즐(36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분사노즐(340)에는,
    상기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관(330)에 연결되는 연결관(341);
    상기 연결관(341)의 일 측 및 타 측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341)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되, 일 측에 상기 소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42a)가 형성되는 분기관(342);
    후방 일 측에 삽입홈(343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43a)으로 상기 분기관(342)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분사관(343);
    상기 분사관(34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분기관(342)으로부터 분사관(34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부재(344);
    상기 분사관(34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342a)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노즐팁(345); 및
    상기 노즐팁(345)이 분사관(34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사관(343)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343)으로부터 상기 노즐팁(345)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캡(346);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343)에는,
    상기 삽입홈(343a)의 전방 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구(343b) 및 상기 제1삽입구(343b)와 연통되되 상기 제1삽입구(343b)보다 전방 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제1삽입구(343b)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제2삽입구(343c)가 포함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44)에는,
    상기 제1삽입구(343b)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구(343b)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구(342a)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이동 가능한 이동관(344b)이 형성되는 삽입관(344a);
    상기 삽입관(344a)의 후방 측에서 상기 배출구(342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342a)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344c); 및
    상기 삽입관(344a)의 전방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구(343c)에 삽입되되, 외경의 크기가 상기 삽입관(344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걸림턱(344d);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310)에 충진되는 소독액에는,
    이온화칼슘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KR1020200041900A 2020-04-07 2020-04-07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KR10237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00A KR102375259B1 (ko) 2020-04-07 2020-04-07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00A KR102375259B1 (ko) 2020-04-07 2020-04-07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125A true KR20210125125A (ko) 2021-10-18
KR102375259B1 KR102375259B1 (ko) 2022-03-17

Family

ID=7827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900A KR102375259B1 (ko) 2020-04-07 2020-04-07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14B1 (ko) 2023-08-10 2024-02-22 주식회사 공간스마트팩토리 유해성분 감지 자동방역 및 홍보정보 출력 기능을 갖는 화장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24Y1 (ko) * 2007-06-13 2008-08-12 박병성 오픈형 몸 소독기
JP5246471B2 (ja) * 2007-06-13 2013-07-24 株式会社敬友 除菌清浄システム
KR200478555Y1 (ko) * 2015-07-16 2015-10-19 김남구 남성 소변기 설치 구조
KR101736946B1 (ko) 2015-09-14 2017-05-18 이신애 화장실의 소변 정화장치
KR20180080064A (ko) 2017-01-03 2018-07-11 김종성 음이온 발생장치를 활용한 화장실과 욕실 살균 시스템
JP2019127475A (ja) * 2018-01-26 2019-08-01 邦夫 池村 口腔内殺菌剤
KR102056317B1 (ko) 2017-09-15 2019-12-16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24Y1 (ko) * 2007-06-13 2008-08-12 박병성 오픈형 몸 소독기
JP5246471B2 (ja) * 2007-06-13 2013-07-24 株式会社敬友 除菌清浄システム
KR200478555Y1 (ko) * 2015-07-16 2015-10-19 김남구 남성 소변기 설치 구조
KR101736946B1 (ko) 2015-09-14 2017-05-18 이신애 화장실의 소변 정화장치
KR20180080064A (ko) 2017-01-03 2018-07-11 김종성 음이온 발생장치를 활용한 화장실과 욕실 살균 시스템
KR102056317B1 (ko) 2017-09-15 2019-12-16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JP2019127475A (ja) * 2018-01-26 2019-08-01 邦夫 池村 口腔内殺菌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14B1 (ko) 2023-08-10 2024-02-22 주식회사 공간스마트팩토리 유해성분 감지 자동방역 및 홍보정보 출력 기능을 갖는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59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404B1 (ko) 연무식 분사구조를 갖는 고성능 살균 샤워기
JP4417374B2 (ja) 液体殺菌装置
JP2009261596A (ja) 隔離病棟などの出入口や通路用の殺菌システムユニット
KR102056317B1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EP3323948B1 (en) Hospital ozone faucet
KR102375259B1 (ko) 포그 노즐을 이용한 소독부가 구비되는 이동용 화장실
KR102180182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손소독기
JP2006274573A (ja) 光学式のセンサを有する設備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2310087B1 (ko)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KR20230039807A (ko)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US20230211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plumbing fixtures and rooms with plumbing fixtures
KR10132678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JP3765057B2 (ja) 入室時におけるスリッパ等の履物消毒方法及び装置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CN116324341A (zh) 坐便器杀菌装置
KR20220031260A (ko) 자동 충전기능이 구비된 초음파 가습분사 방역장치
KR101074351B1 (ko) 자동 개폐식 몸 소독기
JP2005270590A (ja) 排泄物回収処理装置
US20240068218A1 (en) Uv light sanitizing solutions for sanitary wares
KR102527147B1 (ko) 엘리베이터용 살균 소독 장치
JP3230108U (ja) エアシャワー室
KR102284578B1 (ko) 다중 분사구가 형성되는 이동식 대인 소독기
JP6836297B1 (ja) 感染性排水の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