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788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788A
KR20210124788A KR1020200042290A KR20200042290A KR20210124788A KR 20210124788 A KR20210124788 A KR 20210124788A KR 1020200042290 A KR1020200042290 A KR 1020200042290A KR 20200042290 A KR20200042290 A KR 20200042290A KR 20210124788 A KR20210124788 A KR 2021012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member
light
reflector
light reflec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4788A/ko
Publication of KR2021012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를 향해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쉴드부재,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며 제2쉴드부재에서 반사되는 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타겟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학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램프의 색온도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시인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헤드라이트 또는 전조등) 및 포그 램프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 중에서,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헤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유해 파장이 포함되어 있으면 시인성 및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어렵다.
특히,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빛 중에서 유해 파장을 조성하는 블루라이트(380~500㎚의 파장을 내는 가시광선)는, 다른 빛보다 에너지가 강하기 때문에 눈동자를 움츠러들게 하고 눈의 근육을 혹사시켜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며, 이로 인해 긴장감을 유발하여 어깨와 목 등을 뭉치게 만들고, 특히 강한 파장과 에너지로 눈의 안쪽까지 도달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서 유해 파장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램프의 색온도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시인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 중에서 유해 파장을 조성하는 블루라이트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는,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를 향해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쉴드부재,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며 제2쉴드부재에서 반사되는 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타겟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학코팅층을 포함한다.
이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색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시인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유해 파장이 포함됨에 따라, 시인성 및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에서 기설정된 파장(유해 파장)의 타겟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인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주행중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타겟광을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광학계로 2개 이상의 색온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타겟광은 380~500㎚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코팅층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광에서 블루라이트가 아닌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코팅층은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에서 타겟광을 차단 가능한 다양한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쉴드부재의 표면에는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렌즈로 반사하는 제1반사층이 형성되고, 제2쉴드부재의 표면에는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렌즈로 반사하는 제2반사층이 형성되며, 광학코팅층은 상기 제2반사층의 표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특정된 빔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은, 제1쉴드부재와 제2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 중 어느 하나가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되면,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 중 다른 하나는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된다.
제1쉴드부재와 제2쉴드부재의 위치 전환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용 램프는, 일측에는 제1쉴드부재가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2쉴드부재가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 중 어느 하나는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게 회전축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광 경로 일부 차단 위치↔광 경로 개방 위치)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를 간소화하고,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의 색온도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시인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 중에서 유해 파장을 조성하는 블루라이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1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1쉴드부재에 의한 빔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2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광학코팅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로서, 제2쉴드부재에 의한 빔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광원(110), 광원(110)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160)를 향해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20),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쉴드부재(130),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쉴드부재(140), 및 제2쉴드부재(140)의 표면에 형성되며 제2쉴드부재(140)에서 반사되는 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타겟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학코팅층(144)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주로 조명 기능(예를 들어, 헤드 램프, 포그 램프)을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신호 기능(예를 들어,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100)의 용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의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에 마련되어 차량의 헤드 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110)으로서는 빛을 발광 가능한 다양한 물체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11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광원(110)으로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인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LED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벌브, 할로겐, 제논(HID)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마련된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렌즈를 향해)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플렉터(120)의 형태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량용 램프(100)의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내면에 반사층(반사면)이 형성된 타원 곡면 형태나 자유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초점 또는 다초점을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광원(110)은 리플렉터(120)의 초점 또는 초점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 함은, 차량용 램프(10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100)의 설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원(110)에서 발생된 광의 조사 방향이 상부를 향하고, 리플렉터(120)가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좌측 방향(도 1 기준)으로 반사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160)는 제1쉴드부재(130) 또는 제2쉴드부재(140)를 통과한 광, 및 제1쉴드부재(130) 또는 제2쉴드부재(14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제1쉴드부재(130)(또는 제2쉴드부재)의 전방에 마련된다.
렌즈(160)로서는 광원(110)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투사 가능한 다양한 렌즈(160)가 사용될 수 있으며, 렌즈(16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렌즈(160)로서는 통상의 비구면 렌즈(160)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160)는 제1쉴드부재(130)를 통과한 광 및 제1쉴드부재(13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외부로 투과시켜서 빔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빔패턴은 차량의 야간 주행시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로우빔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빔패턴이 야간 주행시 도로이정표와 같은 표지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하이빔 패턴이거나, 주간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 패턴일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빔패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쉴드부재(13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특정된 빔 패턴(예를 들어, 로우빔 패턴 또는 하이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리플렉터(120)와 렌즈(160)의 사이에 마련된다.
제1쉴드부재(130)는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 또는 전환하여 특정된 빔 패턴이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쉴드부재(13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쉴드부재(130)는 적어도 일부에 평판 부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160)와 광원(11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쉴드부재(130)의 상면에는 빔 패턴에 따른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쉴드부재(1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차단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쉴드부재(130)의 상면(도 2 기준)에는 제1반사층(132)이 형성되며, 제1쉴드부재(130)에 의해 차단되는 광은 제1반사층(132)에 의해 렌즈(160)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근거리 시야를 보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반사층(132)은 통상의 금속 재질을 코팅 또는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반사층(132)의 재질 및 형성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쉴드부재(140)는 제1쉴드부재(130)와 개별적으로 마련되며,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특정된 빔 패턴(예를 들어, 로우빔 패턴 또는 하이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리플렉터(120)와 렌즈(16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쉴드부재(140)는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 또는 전환하여 특정된 빔 패턴이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쉴드부재(14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2쉴드부재(140)는 적어도 일부에 평판 부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160)와 광원(11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쉴드부재(140)의 상면에는 빔 패턴에 따른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쉴드부재(1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차단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층(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쉴드부재(140)의 상면(도 4 기준)에는 제2반사층(142)이 형성되며, 제2쉴드부재(140)에 의해 차단되는 광은 제2반사층(142)에 의해 렌즈(160)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근거리 시야를 보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반사층(142)은 통상의 금속 재질을 코팅 또는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반사층(142)의 재질 및 형성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특정된 빔 패턴을 형성하는 기능은, 제1쉴드부재(130)와 제2쉴드부재(14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쉴드부재(130) 및 제2쉴드부재(140) 중 어느 하나가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되면, 제1쉴드부재(130) 및 제2쉴드부재(140) 중 다른 하나는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쉴드부재(130)가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되면, 제2쉴드부재(140)는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쉴드부재(130)가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 또는 전환함으로써 특정된 빔 패턴(예를 들어, 로우빔 패턴 또는 하이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쉴드부재(140)가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되면, 제1쉴드부재(130)는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쉴드부재(140)가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 또는 전환함으로써 특정된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쉴드부재(130)와 제2쉴드부재(140)의 위치 전환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쉴드부재(130)와 제2쉴드부재(140)의 위치 전환 방식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차량용 램프(100)는, 일측에는 제1쉴드부재(130)가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2쉴드부재(140)가 연결되는 회전축(15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쉴드부재(130) 및 제2쉴드부재(140) 중 어느 하나는 회전축(150)의 회전에 대응하여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쉴드부재(130) 및 제2쉴드부재(140)는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게 회전축(15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쉴드부재(130)가 상부에 배치(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상태)되고 제2쉴드부재(140)가 하부에 배치(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개방하는 상태)된 상태에서, 회전축(150)이 180도 회전(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하면, 제1쉴드부재(130)와 제2쉴드부재(140)의 위치가 서로 반대로 전환됨에 따라, 제1쉴드부재(130)는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개방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쉴드부재(140)는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 하나의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제1쉴드부재(130) 및 제2쉴드부재(140)가 동시에 회전하며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1쉴드부재(130) 및 제2쉴드부재(140)를 선택적으로 이동(광 경로 일부 차단 위치↔광 경로 개방 위치)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를 간소화하고,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회전축(150)의 회전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해지거나, 센서 등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광학코팅층(144)은 제2쉴드부재(140)에서 렌즈(160)로 반사되는 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타겟광을 선택적으로 차단(또는 흡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타겟광은 380~500㎚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일 수 있다.
이는, 차량용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유해 파장(블루라이트)이 포함되면, 시인성 및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어렵다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에서 기설정된 파장(유해 파장)의 타겟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인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주행중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타겟광을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광학계로 2개 이상의 색온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코팅층이 광원에서 렌즈로 진행하는 광(제2쉴드부재에서 렌즈로 반사되는 광) 중에서 블루라이트가 아닌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코팅층(144)은 제2쉴드부재(140)에서 렌즈(160)로 반사되는 광(도 5의 L1)에서 타겟광(도 5의 L2)(예를 들어, 블루라이트)을 차단 가능한 다양한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광학코팅층(144)의 재질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광학코팅층(144)은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조성을 가지면서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에폭시, 아크릴, PET(Polyethylene phthalate) 또는 멜라민 수지 중 적합한 하나를 사용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광투과성 재질을 제2쉴드부재(140)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광학코팅층(144)에 의한 타겟광 차단 성능은 광학코팅층(144)의 두께 및 형상(예를 들어, 표면 형상) 등을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광학코팅층(144)의 두께 및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쉴드부재(140)가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예를 들어, 제2쉴드부재가 제1쉴드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면,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L1) 중 타겟광(L2)이 광학코팅층(144)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L1) 중 타겟광(L2)을 제외한 나머지 광(도 5의 L3)은 광학코팅층(144)을 투과한 후 제2반사층(142)을 통해 렌즈(160)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쉴드부재(140)에 단 하나의 광학코팅층(144)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쉴드부재에 복수개의 광학코팅층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광학코팅층의 종류 및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는 제1쉴드부재와 제2쉴드부재에 각각 서로 다른 광학코팅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쉴드부재(130) 또는 광학코팅층(144)이 형성된 제2쉴드부재(140) 중 어느 하나로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특정된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광학계로 2개 이상의 색온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쉴드부재(130)로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특정된 빔 패턴을 형성하면, 차량용 램프(100)에서 조사되는 광은 차가운 백색광(cool whit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반면, 광학코팅층(144)이 형성된 제2쉴드부재(140)로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특정된 빔 패턴을 형성하면, 유해 파장(블루라이트)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램프(100)에서 조사되는 광은 따뜻한 백색광(warm whit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램프
110 : 광원
120 : 리플렉터
130 : 제1쉴드부재
132 : 제1반사층
140 : 제2쉴드부재
142 : 제2반사층
144 : 광학코팅층
150 : 회전축
160 : 렌즈

Claims (7)

  1.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를 향해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쉴드부재;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쉴드부재; 및
    상기 제2쉴드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쉴드부재에서 반사되는 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타겟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학코팅층;
    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부재 및 상기 제2쉴드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쉴드부재 및 상기 제2쉴드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제1쉴드부재가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쉴드부재가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부재 및 상기 제2쉴드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부재 및 상기 제2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게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제1반사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쉴드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제2반사층이 형성되며,
    상기 광학코팅층은 상기 제2반사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광은 380~500㎚의 파장을 갖는 블루라이트인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코팅층은 상기 제2쉴드부재에서 반사되는 상기 광에서 상기 타겟광만을 차단 가능한 투과성 재질 또는 반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200042290A 2020-04-07 2020-04-07 차량용 램프 KR20210124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290A KR20210124788A (ko) 2020-04-07 2020-04-07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290A KR20210124788A (ko) 2020-04-07 2020-04-07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788A true KR20210124788A (ko) 2021-10-15

Family

ID=7815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290A KR20210124788A (ko) 2020-04-07 2020-04-07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47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5108B1 (en) Ligh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JP4971137B2 (ja) 色収差補正搭載プロジェクタ・ランプ・ヘッドライト
KR101340902B1 (ko) Led 콜리메이터 및 조명 유닛
JP2005044809A (ja) カットオフを有する照明ビームを発生する、シールドのない楕円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かかるモジュールを備えたヘッドライト
JP2008226542A (ja) プロジェクター型ヘッドライト用の投影レンズ
CN106662307A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照明模块
KR20190064090A (ko) 차량용 램프
US20220120406A1 (en) Lamp for vehicle
JP5445049B2 (ja) 車両用灯具
KR10258575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JP5446757B2 (ja) 車両用灯具
KR101461550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124788A (ko) 차량용 램프
KR10155585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H11222073A (ja) 車両用灯具
RU2691976C2 (ru) Лампа
KR20210125760A (ko) 차량용 램프
KR102178817B1 (ko) 차량용 램프
KR102475706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128577A (ko) 차량용 램프
CN110553213B (zh) 光源模组
KR20220005919A (ko) 차량용 램프
JP5397174B2 (ja) 車両用灯具
KR100516821B1 (ko) 이중 전반사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JP4285276B2 (ja) 車両用赤外光灯光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