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754A -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754A
KR20210123754A KR1020200041318A KR20200041318A KR20210123754A KR 20210123754 A KR20210123754 A KR 20210123754A KR 1020200041318 A KR1020200041318 A KR 1020200041318A KR 20200041318 A KR20200041318 A KR 20200041318A KR 20210123754 A KR20210123754 A KR 2021012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upport frame
roller
pa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759B1 (ko
Inventor
주충호
Original Assignee
주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충호 filed Critical 주충호
Priority to KR102020004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의 좌·우측면에 고리핀, 제동롤러, 제동패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조립된 제동장치가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승강대를 위아래로 이동시켜주기 위해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가 절단되면 지지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압착하여 제동시키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동장치의 제동롤러와 제동패드가 지지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제동하기 위한 힘의 분산없이 빠르게 가운데로 집중되어 추락하는 승강대를 빠르게 제동하며, 제동하기 위한 힘이 한쪽 방향으로만 쏠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이 휘어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Braking system to prevent the fall of work lift}
본 발명은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 현장이나 하역장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화물을 아래위로 나르는 승강장치에 있어 철골 구조물로 된 지지 프레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대를 승하강 시키는 실린더에 연결된 연결부재가 절단되는 경우 승강대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리프트는 동력을 사용하여 H빔 등과 같은 철골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대를 매달아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로 건설현장이나 하역장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용 리프트는 전·후·좌·우 기둥형태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의 내측으로 사람또는 화물이 탑재되는 승강대가 위치하고, 지지 프레임의 좌·우측에는 실린더가 설치된다.
실린더의 상단에는 회전부재가 설치하고,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로프 또는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승강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용 리프트는 승강대의 내부에 사람 또는 화물이 탑재된 상태에서 실린더가 작동되어 전진하게 되면, 실린더의 상단에 설치된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운반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업용 리프트는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가 절단될 경우에 승강대가 추락하게 되어 운반되는 화물이 파손되거나 사용하는 사람이 다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2189호;처럼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부재가 절된되면 추락방지장치가 지지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 일측에 압착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발명의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된 추락방지장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압착되어 제동을 걸기때문에 힘이 부족하여 빠르게 승강대를 제동시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부족함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 일측, 한 방향으로만 압착되기 때문에 제동하는 과정에서 압착되는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이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서 리프트의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21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작업용 리프트에서 연결부재가 절단되어 추락하는 승강대를 빠르게 제동함과 동시에 지지 프레임이 휘어지는 등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는, 고리 형상의 머리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이 형성된 고리핀, 승하강되는 롤러지지편과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며 지지 프레임에 압착을 가하는 제동롤러, 제동롤러가 안착되며 가이드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며 제동롤러가 압착되면 함께 압착되는 제동패드, 고리핀과 제동롤러, 제동패드가 조립되고 커버가 결합되어 제동장치를 이루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커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롤러지지편이 가이드홈을 따라서 위아래로 올바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동롤러가 지지 프레임을 먼저 압착하게 되면 제동패드도 제동롤러의 힘의 방향과 마주보도록 압착하게 되면서 힘이 서로 마주보는 가운데로 모이게 되어서 빠르게 제동시키고, 힘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이 휘어지는 등 변형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는 지지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에 압착되는 제동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한점으로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힘의 분산없이 빠르게 승강대를 제동할 수 있고, 제동을 하기 위한 힘이 한쪽 방향으로만 쏠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이 휘어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동장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동 전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동 전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동 후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동 후 상태의 측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은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은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작업용 리프트의 측면도로, 지지 프레임(1) 내부에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2)와, 지지 프레임(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위쪽 끝에는 지지대(3-1)가 결합되며 지지대(3-1)의 상단에는 회전부재(3-2)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3)와, 한쪽의 끝은 승강대(2)에 고정되고 반대쪽의 끝은 지지 프레임(1)의 가로바(1-1)에 고정되며 회전부재(3-2)에 반쯤 감기듯이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를 포함하는 작업용 리프트에 있어서, 앞서 작업용 리프트의 구성과 유사하게 지지 프레임(1)의 좌·우측에 제동장치(10)가 설치되고, 가로바(1-1)에는 고정부(11)가 설치되고, 지지대(3-1)의 아랫단에는 회전부(12)가 설치되고, 한쪽 끝은 고정부(11)에 고정되고 회전부(12)에 반쯤 감기듯이 지나가면서 반대쪽 끝은 제동장치(10)에 고정되게 와이어(13)가 결합된다.
상기 제동장치(10)는 절개홈(40-2,50-3)에 지지 프레임(1)의 일부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승강대(2)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며, 연결부재(4)가 절단되어 승강대(2)가 추락하게 되면 추락하는 힘으로 인해서 고정되어 있던 와이어(13)가 제동장치(10)의 고리핀(20)을 끌어올림과 동시에 제동롤러(30)와 제동패드(40)가 지지 프레임(1)을 마주보면서 압착되어 제동함으로써 승강대의 추락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업용 리프트의 제동장치(10)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동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동장치(10)는 크게 고리핀(20), 제동롤러(30), 제동패드(40), 프레임(50)을 포함한다.
먼저 'ㄷ'자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50)에 있어서, 상단에는 아래로 관통되는 핀홈(50-1)과 핀스프링홈(50-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핀스프링홈(50-2)은 핀홈(50-1)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 지지 프레임(1)이 일부 들어와 위치할 수 있도록 절개홈(50-3)이 형성된다.
프레임(5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동패드(40)는, 일측에는 패드스프링(41)이 안착되도록 패드스프링홈(40-1)이 형성되고, 프레임(50)과 동일하게 상단에서 하단으로 절개홈(40-2)이 형성되며, 정면으로는 제동롤러(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안착면(40-3)과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경사면(40-4), 지지 프레임에 압착되는 제동면(40-5)을 포함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동패드(40)에 형성된 안착면(40-3)에 위치하며 경사면(40-4)을 따라서 이동하는 제동롤러(30)는, 'ㄱ'자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50)의 핀홈(50-1) 위에 위치하여 고리핀(20)이 프레임(50)에 결합될 때 함께 결합되는 롤러지지편(31), 한쪽은 롤러지지편(31)과 반대쪽은 제동롤러(30)와 축(33,34)에 의해서 결합되어 링크 역할을 하는 회전판(32)이 결합되어 추락상황 발생시 위치를 유지한다.
고리핀(20)은 와이어(13)가 걸리도록 고리 형상의 머리를 가지며 아래로는 길이방향으로 축이 형성되어 프레임(50)의 핀홈(50-1) 위에 위치한 롤러지지편(31)부터 핀스프링홈(50-2)까지 관통하며, 고리핀(20)의 축 아래에서 관통하여 핀스프링홈(50-2)에서 위치하는 핀스프링(21)과 핀스프링(2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셔(22)와 볼트(23)가 차례대로 축에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50)의 좌·우측에서 'ㄱ'자 형상의 커버(51)가 결합되되, 하나의 커버(51)에는 롤러지지편(31)이 올바르게 위아래로 움직이게 도와주는 가이드홈(51-1)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승강대(2)의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제동장치(10)는 절개홈(40-2,50-3)이 지지 프레임(1)에 접촉되지 않도록 진입한 상태에서 승강대(2)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대(2)는 실린더(3)의 전·후진으로 움직이는데 있어서 적정한 속도로 운영되는데, 제동장치(10)는 별도의 작동없이 대기상태를 이룬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패드(40)의 패드스프링홈(40-1)에 위치한 패드스프링(41)이 커버(51)와 닿아있는 상태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여유공간을 가지는 제동패드(40)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어 제동패드(40)의 절개홈(40-2)과 프레임(50)의 절개홈(50-3)을 동일 중심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정렬하고, 고리핀(20)핀스프링홈(50-2)에 위치한 핀스프링(21)이 최대한 늘어나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롤러지지편(31)과 회전판(32), 제동롤러(30)가 동일한 중심선상으로 위치하게 하되 제동롤러(30)가 안착면(40-3)에 밀착되게 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승강대(2)에 승하강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재(4)가 절단되면 승강대(2)를 잡고 있는 힘이 없어져 추락하게 되는데, 이때 대기중인 제동장치(10)가 작동해 제동함으로써 추락을 방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쪽은 고정부(11)에 고정되고 반대쪽은 승강대(2)와 함께 승하강되는 제동장치(10)의 고리핀(20)에 연결되는 와이어(13)에 있어서, 급격하게 추락하는 승강대(2)의 힘으로 인해 와이어(13)에 연결된 고리핀(20)은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면서, 고리핀(20)에 결합되어 있던 롤러지지편(31)도 함께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롤러지지편(31)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함께 결합되어 있던 회전판(32)과 제동롤러(30)도 들어올려지면서 제동롤러(30)는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40-4)을 타고 이동하다가 지지 프레임(1)의 내측면(I)과 닿게 되고, 동시에 제동패드(40)의 제동면(40-5)이 지지 프레임(1)의 외측면(0)에 닿게 되어 제동롤러(30)와 제동면(40-5)이 마주보는 형태로 지지 프레임(1)을 압착하게 된다.
또한, 핀스프링홈(50-2)에 위치한 핀스프링(21)이 압축되어 갑작스럽게 힘을 받아 들어올려지는 고리핀(20)이 프레임(50)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지지 프레임(1)의 외측면(O)과 내측면(I)에 맞닿는 제동롤러(30)와 제동패드(40)는 추락하는 승강대(2)의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더욱 강하게 지지 프레임(1)을 압착하고, 힘이 분산되지 않고 한점으로 모이기 때문에 빠르게 승강대(2)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제동을 하는데 있어서 힘의 방향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아니고 가운데로 집중되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1)이 휘는등 변형이 일어나는 일을 방지한다.
1: 지지 프레임 1-1: 가로바
2: 승강대 3: 실린더
3-1: 지지대 3-2: 회전부재
4: 연결부재
10: 제동장치 11: 고정부
12: 회전부
20: 고리핀 21: 핀스프링
22: 와셔 23: 볼트
30: 제동롤러 31: 롤러지지편
32: 회전판 33: 제1 축
34: 제2 축
40: 제동패드 40-1: 패드스프링홈
40-2: 절개홈 40-3: 안착면
40-4: 경사면 40-5: 제동면
41: 패드스프링
50: 프레임 50-1: 핀홈
50-2: 핀스프링홈 50-3: 절개홈
51: 커버 51-1: 가이드홈

Claims (3)

  1. 추락상황 발생시 고리핀에 의해 위치를 유지하면서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을 제동패드와 함께 압박하도록 설치된 제동롤러(30)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지지 프레임(1)이 삽입되도록 절개홈(40-2)이 형성되고, 정면으로는 홈이 파져서 제동롤러(30)가 위치하는 안착면(30-3), 제동롤러(3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경사면(30-4), 제동롤러(30)와 마주보며 지지 프레임(1)을 압착하는 제동면(40-5)을 포함하며 연결부재(4)가 절단되면 제동롤러(30)와 함께 지지 프레임(1)을 압착하여 제동하는 제동패드(40),
    'ㄷ'자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제동패드가 설치되며, 제동패드(40)와 동일하게 지지 프레임(1)이 삽입되도록 절개홈(40-3)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며 고리핀(20), 제동롤러(30), 제동패드(40)가 조립되는 프레임(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리핀은 와이어(13)를 걸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머리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이 있어 프레임의 내에서 핀스프링(21)을 관통되게 위치하고 와셔(22)와 볼트(23)를 체결하여 핀스프링(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동롤러는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리핀(20)의 축을 통해서 결합되어 위아래로 이동하는 롤러지지편(31)과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판(3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KR1020200041318A 2020-04-06 2020-04-06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KR10234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18A KR102340759B1 (ko) 2020-04-06 2020-04-06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18A KR102340759B1 (ko) 2020-04-06 2020-04-06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754A true KR20210123754A (ko) 2021-10-14
KR102340759B1 KR102340759B1 (ko) 2021-12-17

Family

ID=7815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318A KR102340759B1 (ko) 2020-04-06 2020-04-06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761A (ja) * 1997-09-29 1999-06-15 Inventio Ag 拘束制動装置
EP1013595A2 (en) * 1998-12-22 2000-06-28 Dynatech, Dynamics & Technology, S. L. Double action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elevators
KR200252556Y1 (ko) * 2001-02-14 2001-11-16 (주)도원기전 엘레베이터의 양방향 비상제동장치
KR20030093946A (ko) * 2003-04-29 2003-12-11 최용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100652189B1 (ko) 2006-07-07 2006-12-04 김동수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761A (ja) * 1997-09-29 1999-06-15 Inventio Ag 拘束制動装置
EP1013595A2 (en) * 1998-12-22 2000-06-28 Dynatech, Dynamics & Technology, S. L. Double action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elevators
KR200252556Y1 (ko) * 2001-02-14 2001-11-16 (주)도원기전 엘레베이터의 양방향 비상제동장치
KR20030093946A (ko) * 2003-04-29 2003-12-11 최용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100652189B1 (ko) 2006-07-07 2006-12-04 김동수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759B1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49B1 (ko) 엘리베이터 처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US11040855B2 (en)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mine shaft conveyance
CN210655745U (zh) 用于施工升降机的安全保护装置
CN113479817A (zh) 一种中、高层型轻载堆垛机载货台安全防坠装置
US6655661B2 (en) Rotating jack winch
KR102340759B1 (ko)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CN114572899A (zh) 一种超重载堆垛机载货台总成防坠落装置
US3612221A (en) Lift truckload carriage safety device
CN210029925U (zh) 一种升降防坠机构及堆垛机
US5908088A (en) Hydraulic drive mechanism for a vertical conveyor
KR100652189B1 (ko) 작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JP2003073054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揚重装置
US249076A (en) Elevator-stop
US3768597A (en) Elevator flexible guide clamp safety
KR20200093738A (ko) 회전형 제동패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쳐짐방지용 정위치 클램핑 및 비상제동 장치
US4065122A (en) Emergency brake for movable conveyor
CN211110509U (zh) 一种升降安全的联动制动装置
KR20160104178A (ko) 4주식 리프트용 안전 록킹장치
CN108928707A (zh) 载货电梯总成
CN216836654U (zh) 用于升降装置的防断绳装置、升降机及电梯
CN114803955B (zh) 防护装置
JP2512341B2 (ja) 油圧エレベ―タの試験装置
CN220414229U (zh) 一种岩土工程用压桩设备
CN113998360B (zh) 一种用于发运线立体仓库的提升机
KR100682730B1 (ko) 하역기용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