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835A -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835A
KR20210122835A KR1020217028453A KR20217028453A KR20210122835A KR 20210122835 A KR20210122835 A KR 20210122835A KR 1020217028453 A KR1020217028453 A KR 1020217028453A KR 20217028453 A KR20217028453 A KR 20217028453A KR 20210122835 A KR20210122835 A KR 2021012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ht
sig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고로 이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745Timing of adaptation
    • H04L2025/03764Timing of adaptation only during predefined intervals
    • H04L2025/0377Timing of adaptation only during predefined intervals during the reception of train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는,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갖는 물리(PHY)프레임을 통신한다. 해당 프리앰블은, Legacy Short Training Field(L-STF)와, Legacy Long Training Field(L-LTF)이라고, Legacy Signal Field(L-SIG)와, EHT(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EHT-SIG-A)와, EHT Short Training Field(EHT-STF)와, EHT Long Training Field(EHT-LTF)를 포함하고, 해당 EHT-SIG-A는, 해당 통신 장치가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무선LAN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터넷 사용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수요의 증가에 따르기 위해 여러가지의 통신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무선LAN) 기술은, 무선LAN단말에 의한 패킷 데이터, 음성, 비디오등의 인터넷 통신에 있어서의 스루풋 향상을 실현하고 있고, 현재도 여러가지의 기술개발이 열심히 행해지고 있다.
무선LAN기술의 발전에 있어서, 무선LAN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에 의한 수많은 표준화 작업이 중요한 역할을 다하고 있다. 무선LAN통신 규격의 하나로서, IEEE 802.11규격이 알려져 있고, IEEE 802.11n/a/b/g/ac 또는 IEEE 802.11ax등의 규격이 있다. 예를 들면, IEEE 802.11ax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에 의해 최대 9.6기가 비트 매초(Gbps)라고 하는 높은 피크 스루풋에 더하여, 혼잡 상황하에서의 통신 속도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특허문헌1).
최근, 한층 더 스루풋 향상을 위해, IEEE 802.11ax의 후계 규격으로서, IEEE 802.11 EHT(Extremely High Throughput)이라고 불리는 Study Group이 발족했다. IEEE 802.11 EHT가 목표로 하는 스루풋 향상의 방책의 1개로서, 주파수 대역폭의 최대치를 320MHz로 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또한, 무선LAN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어 있는 주파수 폭은 20MHz, 40MHz, 80MHz, 160MHz의 4가지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18-50133호 공보
상술한 것 같이, IEEE 802.11 EHT에서는, 320MHz의 주파수 대역폭의 사용이 검토되어 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무선LAN에 대한 규격에 있어서,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폭에서 통신하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메카니즘이 정의되지 않고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폭에서 통신하는 것을 프리앰블에 있어서 통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통신 장치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다시 말해,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갖는 물리(PHY)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통신 장치이며,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Short Training Field(L-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Long Training Field(L-L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L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Signal Field(L-SIG)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IG의 뒤에 배치되는 EHT Signal Field(EHT-SIG-A)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IG-A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Short Training Field(EHT-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Long Training Field(EHT-LTF)를,
포함하고,
상기 EHT-SIG-A는, 상기 통신 장치가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앰블에 있어서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폭에서 통신하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같은 구성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첨부한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그의 기술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1] 네트워크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2] AP의 기능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3] AP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4] AP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5]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
[도6]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7] EHT SU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8] EHT ER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9] EHT MU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10] EHT TB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계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 형태에는 복수의 특징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들의 복수의 특징의 모두가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고, 또한, 복수의 특징은 임의로 조합되어도 좋다. 더욱,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같은 구성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첨부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네트워크 구성)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본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IEEE 802.11 EHT(Extremely High Throughput)규격에 준거하는 기기(EHT기기)로서, 1개의 액세스 포인트(AP 102)와, 3개의 STA(STA 103, STA 104, STA 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EHT를 Extremely High Throughput의 생략이라고 해석해도 좋다. AP 102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STA 103∼105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STA의 일 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 AP 102가 송신하는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를 나타낸 원(101)의 내부에 있는 STA가 AP 102와 통신가능하다. AP 102는, IEEE 802.11 EHT규격의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서, 각 STA 103∼105와 통신한다. AP 102는, 각 STA 103∼105와 IEEE 802.11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어소시에이션 프로세스 등의 접속 처리를 통해 무선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은 설명을 위한 예에 지나지 않고, 예를 들면, 더욱 광범한 영역에 다수의 EHT기기 및 레거시 기기(IEEE 802.11a/b/g/n/ax규격을 따르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가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1에 도시한 각 통신 장치의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통신 장치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도, 이하의 논의를 적용가능하다.
(AP의 구성)
도2는, AP 102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다. AP 102는, 그 기능 구성의 일례로서, 무선LAN제어부(201), 프레임 생성부(202), 신호 해석부(203), 및 UI(유저 인터페이스)제어부(204)를 갖는다.
무선LAN제어부(201)는, 다른 무선LAN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신호(무선 프레임)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1개이상의 안테나(205) 및 회로,및 그것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LAN제어부(201)는, IEEE 802.11시리즈의 규격에 따라서, 프레임 생성부(202)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을 바탕으로 무선LAN의 통신 제어를 실행한다.
프레임 생성부(202)는, 무선LAN제어부(20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신호 해석부(203)가 행한 해석의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LAN제어부(201)에서 송신해야 할 프레임을 생성한다. 프레임 생성부(202)는, 신호 해석부(203)에 의한 해석 결과에 근거하지 않고, 프레임을 작성해도 좋다. 신호 해석부(203)는, 무선LAN제어부(20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한 해석을 행한다. UI제어부(204)는, AP 102가 도시되지 않은 유저에 의한 입력부(304)(도3)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고,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기 위한 제어나, 출력부(305)(도3)에 대한 출력(표시 등도 포함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3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AP 102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AP 102는, 그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로서, 기억부(301), 제어부(302), 기능부(303), 입력부(304), 출력부(305), 통신부(306), 및 1개이상의 안테나(205)를 갖는다.
기억부(301)는, ROM, RAM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301)로서, ROM, RAM등의 메모리의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DVD등의 기억 매체가 사용되어도 좋다.
제어부(302)는, 예를 들면, CPU나 MPU등의 프로세서, ASIC(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 DSP(디지탈 신호 프로세서), FPGA(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MPU는, Micro Processing Unit의 머리 글자어다. 제어부(302)는, 기억부(30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AP 102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2)는, 기억부(301)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OS(Operating System)와의 협동에 의해 AP 102 전체를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302)는, 기능부(303)를 제어하여, 촬상이나 인쇄, 투영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능부(303)는, AP 102가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다. 예를 들면, AP 102가 카메라일 경우, 기능부(303)는 촬상부이며, 촬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AP 102가 프린터일 경우, 기능부(303)는 인쇄부이며, 인쇄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AP 102가 프로젝터일 경우, 기능부(303)는 투영부이며, 투영 처리를 행한다. 기능부(303)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기억부(3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이여도 좋고, 후술하는 통신부(306)를 통해 STA 혹은 다른 AP와 통신한 데이터이여도 좋다.
입력부(304)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의 접수를 행한다. 출력부(305)는, 유저에 대하여 각종 출력을 행한다. 여기에서, 출력부(305)에 의한 출력이란, 화면상에의 표시나, 스피커에 의한 음성출력, 진동 출력 등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또한, 터치패널과 같이 입력부(304)와 출력부(305)의 양쪽을 1개의 모듈로 실현하도록 해도 좋다.
통신부(206)는, IEEE 802.11 EHT규격에 준거한 무선통신의 제어나, Wi-Fi에 준거한 무선통신의 제어나, IP(Internet Protocol)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306)는 1개이상의 안테나(205)를 제어하고,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그 경우, 공간 스트림을 이용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통신이 가능해진다. AP 102는 통신부(306)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STA의 구성)
STA 103∼105의 기능 구성 및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한 AP 102의 기능 구성(도2) 및 하드웨어 구성(도3)과 각각 같은 구성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STA 103∼105는 각각, 기능 구성으로서, 무선LAN제어부(201), 프레임 생성부(202), 신호 해석부(203), 및 UI제어부(204)를 갖고,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기억부(301), 제어부(302), 기능부(303), 입력부(304), 출력부(305), 통신부(306), 및 1개이상의 안테나(205)를 갖고서 구성될 수 있다.
(처리의 흐름)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AP 1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및 도1에 도시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시퀀스에 대해서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AP 1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4에 도시한 흐름도는, AP 102의 제어부(302)가 기억부(30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의 연산 및 가공 및 각 하드웨어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5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시퀀스 차트를 도시한다.
도4와 도5의 설명에 앞서,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구성 예를 도시한다. 종래부터 무선LAN에 사용되어 있는 2.4GHz대역에서는,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은 20MHz 혹은 40MHz다. 또한, 동일하게 종래부터 무선LAN에 사용되어 있는 5GHz대역에서는,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은, 20MHz, 40MHz, 80MHz, 160MHz 중 어느 하나다. 한편, 최근 새롭게 무선LAN에 개방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는 주파수인 6GHz대라고 불리는 5.925GHz 내지 7.125GHz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으로서 80MHz, 160MHz, 320MHz가 후보로 되어 있다. 또한, 6GHz대에 있어서의 주파수 대역은, IEEE 802.11 EHT규격에 한정하지 않고, IEEE 802.11x에 있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4와 도5에 있어서, AP 102는, STA 103∼105의 각각에 대하여, IEEE 802.11시리즈의 규격을 따르는 접속 처리를 행한다(S401, F501). 다시 말해, AP 102와 STA 103∼105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Probe Request/Response(프로브 요구/응답), Association Request/Reponse(어소시에이션 요구/응답), Auth(인증)등의 프레임을 송수신 함에 의해, 무선 링크가 확립된다. 계속해서, AP 102는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한다(S402, F502). 해당 주파수 대역폭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대역폭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주파수 대역폭은, AP 102가 도시되지 않은 유저에 의한 입력부(304)에 대한 조작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다음에, AP 102는, 송신하는 무선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S402, F502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403, F503). 계속해서, AP 102는, 결정한 송신 데이터 통신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STA 103∼105에 송신한다(404, F504).
(프레임의 구조)
다음에, S404, F504에서 송신되는 IEEE 802.11EHT규격에서 정해진 PPDU의 PHY(물리)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7∼도10에 도시한다. 또한, PPDU는, Physical Layer(PHY) Protocol Data Unit의 생략이다. 도7은, 싱글 유저(SU) 통신(AP와 단일의 STA간)용의 PPDU인, EHT SU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8은, 확장한 범위(통신 거리)(Extended Range)에 있어서의 통신용의 PPDU인 EHT ER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EHT ER PPDU는, AP와 단일의 STA간의 통신에서 사용된다. 도9는 멀티유저(MU)통신(AP와 복수의 STA간)용의 PPDU인 EHT MU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10은, EHT MU PPDU에 대하여 EHT-SIG-B가 없는 구조의 EHT TB(Trigger Based) PPDU의 PHY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EHT TB를 사용하는 경우는, 복수의 STA에 대한 통신 자원의 할당을, 트리거 프레임을 사용하여 행하기 때문에, EHT-SIG-B가 포함되지 않는다. EHT TB PPDU는, AP와 복수의 STA의 통신에서 사용된다.
도7∼도10에 공통하여 PPDU가 포함하는 정보로서, STF(Short Training Field), LTF(Long Term Field), SIG(Signal Field)가 있다. 도7을 예로 하면, PPDU선두부에는, IEEE 802.11a/b/g/n/ax규격에 대하여 후방 호환성이 있는, L(Legacy)-STF(701), L-LTF(702), L-SIG(703)를 갖는다. L-STF(701)는, PHY프레임 신호의 검출, 자동이득제어(AGC:automatic gain control)나 타이밍 검출등에 사용된다. L-STF(701)의 직후에 배치되는 L-LTF(702)는 고정밀도 주파수ㅇ시각 동기화나 전파 채널 정보(CSI) 취득등에 사용된다. L-LTF(702)의 직후에 배치되는 L-SIG(703)는, 데이터 송신율이나 PHY프레임 길이의 정보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IEEE 802.11a/b/g/n/ax규격을 따르는 레거시 기기는, 상기 각종 레거시 필드(L-STF(701), L-LTF(702), L-SIG(703))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각종 레거시 필드는, 도8∼10에 도시한 PPDU에도 마찬가지로 포함된다.
도7에 도시한 EHT SU PPDU는, 상기의 L-STF(701), L-LTF(702), L-SIG(703)에 계속되어, RL-SIG(704), EHT-SIG-A(705), EHT-STF(706), EHT-LTF(707), 데이터 필드(708), Packet extention(709)을 갖는다. RL-SIG(704)는 없어도 좋다. EHT-SIG-A(705)는 L-SIG(703)의 뒤에 배치되고, EHT-STF(706)는 EHT-SIG-A(705)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LTF(707)는 EHT-STF(706)의 직후에 배치된다. 또한, L-STF(701), L-LTF(702), L-SIG(703), RL-SIG(704), EHT-SIG-A(705), EHT-STF(706), EHT-LTF(707)까지의 필드를 프리앰블이라고 부른다. EHT-SIG-A(705)에는, PPDU의 수신에 필요한 EHT-SIG-A1과 EHT-SIG-A2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EHT-SIG-A(705)에 포함되는 EHT-SIG-A1과 EHT-SIG-A2를 구성하는 서브필드와 그 설명을 각각 표 1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S402, F502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폭은, EHT-SIG-A1(표 1)에 있어서의 Bandwidth서브필드(B19-B20)에서 표시된다.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Bandwidth서브필드의 값이 0일 때는 주파수 대역폭은 20MHz이며, 1일 때는 40MHz, 2일 때는 80MHz, 3일 때는 160MHz (80+80MHz)인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폭으로서, 320MHz의 사용을 상정하고 있다. 한편, Bandwidth서브필드에서는 2비트밖에 준비되어 있지 않고, 4개의 종류의 주파수 대역폭밖에 지정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EHT-SIG-A1(표 1)에 있어서의 Reserved(예약 영역)서브필드(B14) 및/또는 EHT-SIG-A2(표 2)에 있어서의 Reserved서브필드(B14)의 1비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EHT-SIG-A1에 있어서의 Bandwidth서브필드와 맞추어, 합계 3비트 혹은 4비트를 사용해서 주파수 대역폭을 지정한다.
EHT-SIG-A(705)에 이어지는 EHT-STF(706)는 EHT Short Training Field의 생략으로, 주목적은 MIMO송신에 있어서의 자동이득제어를 개선하는 것이다. EHT-LTF(707)는 EHT Long Training Field의 생략으로, 수신기에 MIMO채널의 추정을 행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데이터 필드(708)에는, EHT-SIG-A1의 NSTS And Midamble Periodicity서브필드에서 나타내는 SS(공간 스트림)수로 송신되는 MIMO통신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8에 도시한 EHT ER PPDU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 거리를 확장하고 싶을 때에 사용하는 PPDU에서, AP와 단일의 STA간의 통신에서 사용된다. EHT ER PPDU는, L-STF(801), L-LTF(802), L-SIG(803), RL-SIG(804), EHT-SIG-A(805), EHT-STF(806), EHT-LTF(807), 데이터 필드(808), Packet extention(809)을 갖는다. RL-SIG(804)는 없어도 좋다. L-LTF(802)는 L-STF(801)의 직후에 배치되고, L-SIG(803)는 L-LTF(802)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SIG-A(805)는 L-SIG(803)의 뒤에 배치되고, EHT-STF(806)는 EHT-SIG-A(805)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LTF(807)는 EHT-STF(806)의 직후에 배치된다. 또한, L-STF(801), L-LTF(802), L-SIG(803), RL-SIG(804), EHT-SIG-A(805), EHT-STF(806), EHT-LTF(807)까지의 필드를 프리앰블이라고 부른다. 각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는, 도7에 도시한 EHT SU PPDU와 동일 내용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EHT-SIG-A(805)에서는 도7의 ETH SU PPDU와 같이, EHT-SIG-A1의 B14비트와 EHT-SIG-A2의 B14비트가 Reserved서브필드로 되어 있고, 해당 서브필드도 사용하여,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다.
도9의 EHT MU PPDU는, 상술한 바와 같이, MU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PPDU다. EHT MU PPDU는, L-STF(901), L-LTF(902), L-SIG(903), RL-SIG(904), EHT-SIG-A(905), EHT-SIG-B(906), EHT-STF(907), EHT-LTF(908), 데이터 필드(909), Packet extention(910)을 갖는다. RL-SIG(904)는 없어도 좋다. L-LTF(902)는 L-STF(901)의 직후에 배치되고, L-SIG(903)는 L-LTF(902)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SIG-A(905)는 L-SIG(903)의 뒤에 배치되고, EHT-SIG-B(906)는 EHT-SIG-A(905)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STF(907)는 EHT-SIG-B(906)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LTF(908)는 EHT-STF(907)의 직후에 배치된다. 또한, L-STF(901), L-LTF(902), L-SIG(903), RL-SIG(904), EHT-SIG-A(905), EHT-SIG-B(906), EHT-STF(907), EHT-LTF(908)까지의 필드를 프리앰블이라고 부른다.
EHT-SIG-A(905)는 PPDU의 수신에 필요한 EHT-SIG-A1과 EHT-SIG-A2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EHT-SIG-A(705)에 포함되는 EHT-SIG-A1과 EHT-SIG-A2를 구성하는 서브필드와 그 설명을 각각 표 3과 표 4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EHT-SIG-B(906)는 PPDU의 수신에 필요한 Common field나 User Block field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EHT-SIG-B(906)에 포함되는 Common field나 User Block field를 구성하는 서브필드와 그 설명을 각각 표 5와 표 6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05
[표 6]
Figure pct00006
User field는 복수의 유저에 대하여, OFDMA로 송신하는지, MU-MIMO로 송신하는지에 의해 형식이 다르다. 표 7은 OFDMA로 송신하는 경우 User field의 설명을 나타내고, 표 8은 MU-MIMO로 송신하는 경우의 User field의 설명을 나타낸다.
[표 7]
Figure pct00007
[표 8]
Figure pct00008
EHT MU PPDU에서는, EHT-SIG-A1(표 3)에 있어서의 3비트의 Reserved서브필드(B15-B17)에 더하여, EHT-SIG-A2(표 4)에 있어서의 Reserved서브필드(B7)도 사용하여,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다.
도10의 EHT TB PPDU는, 상술한 바와 같이, EHT MU PPDU에 대하여, EHT-SIG-B가 없는 구조의 PPDU다. EHT TB PPDU를 사용하는 경우는, 복수의 STA에 대한 통신 자원의 할당은 트리거 프레임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EHT TB PPDU는, L-STF(1001), L-LTF(1002), L-SIG(1003), RL-SIG(1004), EHT-SIG-A(1005), EHT-STF(1006), EHT-LTF(1007), 데이터 필드(1008), Packet extention(1009)을 갖는다. RL-SIG(1004)는 없어도 좋다. L-LTF(1002)는 L-STF(1001)의 직후에 배치되고, L-SIG(903)은 L-LTF(1002)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SIG-A(1005)는 L-SIG(1003)의 뒤에 배치되고, EHT-STF(1006)는 EHT-SIG-A(1005)의 직후에 배치되고, EHT-LTF(1007)는 EHT-STF(1006)의 직후에 배치된다. 또한, L-STF(1001), L-LTF(1002), L-SIG(1003), RL-SIG(1004), EHT-SIG-A(1005), EHT-STF(1006), EHT-LTF(1007)까지의 필드를 프리앰블이라고 부른다.
EHT TB PPDU에 있어서의 EHT-SIG-A(1005)의 EHT-SIG-A1과 EHT-SIG-A2를 구성하는 서브필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EHT-SIG-A1의 B23비트와 EHT-SIG-A2의 B7-B15비트가 Reserved서브필드로 된다. 따라서, 이것들의 서브필드도 사용하여,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IEEE 802.11 EHT규격에서 사용하는 어느쪽의 PPDU도, 주파수 대역폭을 지정하기 위해서 EHT-SIG-A에 3비트이상의 영역을 확보하고,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7∼도10은, IEEE 802.11a/b/g/n/ax규격에 대하여 후방 호환성이 있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냈지만, 후방 호환성을 확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L-STF 및 L-LTG의 필드는 생략되어도 좋다. 그 대신에, EHT-STF가 EHT-LTF가 삽입되어도 좋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하는 처리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9년 2월 28일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 2019-036409를 기초로 하여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인용한다.

Claims (9)

  1.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갖는 물리(PHY)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통신 장치이며,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Short Training Field(L-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Long Training Field(L-L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L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Signal Field(L-SIG)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IG의 뒤에 배치되는 EHT(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EHT-SIG-A)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IG-A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Short Training Field(EHT-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Long Training Field(EHT-LTF)를,
    포함하고,
    상기 EHT-SIG-A는, 상기 통신 장치가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갖는 물리(PHY)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갖는 통신 장치이며,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Short Training Field(L-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Long Training Field(L-L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L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Signal Field(L-SIG)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IG의 뒤에 배치되는 EHT(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EHT-SIG-A)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IG-A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Short Training Field(EHT-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Long Training Field(EHT-LTF)를,
    포함하고,
    상기 EHT-SIG-A는, 상기 통신 장치가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서브필드가 갖는 비트의 수는 합계로 3비트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서브필드는 Reserved(예약 영역)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갖는 물리(PHY)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 방법이며,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Short Training Field(L-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Long Training Field(L-L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L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Signal Field(L-SIG)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IG의 뒤에 배치되는 EHT(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EHT-SIG-A)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IG-A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Short Training Field(EHT-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Long Training Field(EHT-LTF)를,
    포함하고,
    상기 EHT-SIG-A는,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를 갖는 물리(PHY)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 방법이며,
    상기 프리앰블은,
    Legacy Short Training Field(L-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Long Training Field(L-L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LTF의 직후에 배치되는 Legacy Signal Field(L-SIG)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L-SIG의 뒤에 배치되는 EHT(Extremel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EHT-SIG-A)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IG-A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Short Training Field(EHT-STF)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EHT-STF의 직후에 배치되는 EHT Long Training Field(EHT-LTF)를,
    포함하고,
    상기 EHT-SIG-A는, 16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1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서브필드가 갖는 비트의 수는 합계로 3비트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서브필드는 Reserved(예약 영역)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17028453A 2019-02-28 2020-02-05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101228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6409A JP7373287B2 (ja) 2019-02-28 2019-02-28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9-036409 2019-02-28
PCT/JP2020/004217 WO2020175046A1 (ja) 2019-02-28 2020-02-05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835A true KR20210122835A (ko) 2021-10-12

Family

ID=7223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453A KR20210122835A (ko) 2019-02-28 2020-02-05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85111A1 (ko)
EP (1) EP3934318A4 (ko)
JP (2) JP7373287B2 (ko)
KR (1) KR20210122835A (ko)
CN (2) CN113508615B (ko)
BR (1) BR112021016419A2 (ko)
WO (1) WO2020175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1543A1 (en) * 2019-06-24 2022-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ppdu over broadband in wireless lan system
US20230388992A1 (en) * 2020-10-28 2023-11-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5443679A (zh) * 2021-04-01 2022-12-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JP2024006492A (ja) * 2022-07-01 2024-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0133A (ja) 2016-09-20 2018-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2247A4 (en) * 2013-11-19 2017-08-23 Intel IP Corporation Frame structure with reduced signal field and method for high-efficiency wi-fi (hew) communication
ES2898101T3 (es) * 2014-10-31 2022-03-03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transmisión-recepción multiusuario e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dispositivo para el mismo
WO2016106753A1 (zh) * 2014-12-31 2016-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的信道估计方法和装置
WO2018232138A1 (en) * 2017-06-14 2018-12-20 Intel IP Corporation 6 ghz neighbor reports and capability and operation elements
JP6880452B2 (ja) 2017-08-10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WO2019032216A1 (en) * 2017-08-11 2019-02-14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A NUMBER OF SPACE FLUXES AND A BANDWIDTH
US10365362B2 (en) * 2017-09-11 2019-07-30 Intel IP Corporation Location measurement reporting
US10785706B2 (en) * 2017-10-16 2020-09-22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signaling for a basic service set (BSS) supporting 320 MHZ operating bandwidth
US20190116513A1 (en) * 2017-10-16 2019-04-18 Qualcomm Incorporated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signal detection
WO2019164365A1 (ko) * 2018-02-23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fdr을 기반으로 ppdu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97058B2 (en) * 2018-08-10 2022-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PDU in WLAN system
US11711183B2 (en) * 2018-09-04 2023-07-25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s for multi-access point coordinated multi-user transmissions
US11082983B2 (en) * 2018-09-10 2021-08-03 Intel Corporation Tone plans and preambles for extremely high throughput
US10813061B2 (en) * 2018-09-18 2020-10-20 Intel Corporation Power reduction in a wireless network
SG10201808652UA (en) * 2018-10-01 2020-05-28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US11165544B2 (en) * 2018-10-04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preamble format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20242109A1 (ko) * 2019-05-29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mu ppdu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0133A (ja) 2016-09-20 2018-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85111A1 (en) 2021-12-09
CN113508615A (zh) 2021-10-15
JP7373287B2 (ja) 2023-11-02
JP2023179724A (ja) 2023-12-19
WO2020175046A1 (ja) 2020-09-03
JP2020141307A (ja) 2020-09-03
EP3934318A4 (en) 2022-12-14
EP3934318A1 (en) 2022-01-05
CN113508615B (zh) 2024-02-09
CN117997503A (zh) 2024-05-07
BR112021016419A2 (pt)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2835A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JP7261039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18888A (ko) 통신장치와 그 통신방법, 정보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JP2023106475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22851A (ko)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7397577B2 (ja)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03113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126689A (ko) 통신장치 및 그 통신 방법,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0175299A1 (ja)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97783B (zh) 通信设备、通信设备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493654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41326A (ja)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4014256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2091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04588A1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48205B1 (ko) 통신장치, 정보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