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436A -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436A
KR20210122436A KR1020200039552A KR20200039552A KR20210122436A KR 20210122436 A KR20210122436 A KR 20210122436A KR 1020200039552 A KR1020200039552 A KR 1020200039552A KR 20200039552 A KR20200039552 A KR 20200039552A KR 20210122436 A KR20210122436 A KR 20210122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haft
coupler
piezoelectric actuator
elastic tub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379B1 (ko
Inventor
윤만순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79B1/ko
Priority to US17/219,872 priority patent/US20210313508A1/en
Publication of KR2021012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10N30/883Additional insulation means preventing electrical, physical or chemical damage, e.g. protective coat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1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using intermittent driving, e.g. step motors, piezoleg motors
    • H02N2/025Inertial slid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7Membrane type
    • H10N30/2048Membrane type having non-planar shape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방수 기능을 가지는 선형 압전 모터가 개시된다. 하우징의 내부에 커플러가 구비되고, 커플러에 의해 이동축은 압전 액튜에이터에 고정된다. 하우징을 관통하는 이동축의 측면과 하우징의 오목한 함몰부에는 체결부가 구비된다. 체결부는 탄성 튜브와 인장 스프링을 구비하고, 탄성 튜브 내에 삽입되는 이동축은 하우징의 삽입공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Linear Piezoelectric Motor capable of driving underwa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형 압전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사용가능하며, 수온의 변화에 대해서도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된 선형 압전 모터에 관한 것이다.
압전 모터는 인가된 전계의 변화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압전 세라믹의 압전 효과를 이용한 모터이다. 압전 모터는 인간의 귀로 감지될 수 없는 20 kHz 이상의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며, 무소음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통상의 압전 모터는 진행파 방식 또는 정재파 방식 등의 진동 전달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진동 전달 방식은 반복적인 구동에 의해 접촉 부분에서 마모가 발생된다. 접촉 부분의 마모는 일정한 진폭을 확보하는데 장애요인이 되며, 압전 모터의 수명을 단축하는 일 요인이 된다. 진동 전달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동체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압전 모토가 개발되었다. 선형 압전 모터의 초기 형태는 압전 세라믹에 이동축이 접합된 구조로 이동축에는 이동체가 탑재된다. 초기의 선형 압전 모터는 압전 세라믹이 평면형이므로 변위를 얻기 위해 탄성판을 압전 세라믹에 접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 비용의 상승과 복잡한 제조공정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0768513호에서 돔형의 액튜에이터를 사용하는 선형 압전 모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특허에서 선형 압전 모터는 돔형의 압전 액튜에이터의 정점에 이동축을 에폭시로 접합한다. 돔형 압전 액튜에이터의 정점과 이동축이 접합 부위는 점 접촉이며, 접합 부위가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돔형 합전 액튜에이터의 진동은 이동축인 카본봉에 전달되므로, 카본봉과 돔형 압전 액튜에이터의 접점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진동 에너지에 의해 열이 발생되며, 에폭시가 약화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이동축의 돔형 압전 액튜에이터의 분리가 발생된다.
특히, 선형 압전 모터가 수중에서 구동될 경우, 이동축은 수중에서 구동되나, 압전 액튜에이터와 커플러의 부분은 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므로 별도의 하우징에 의해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조가 채택된다. 이 때, 압전 액튜에이터로부터 하우징 외부로 나오는 이동축과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접착체는 하우징의 오목한 면에 채워지고, 물의 유입이 방지된다. 그러나, 접착제와 접착하는 이동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고, 열팽창 계수에 의해 수온의 변화에 따라 이격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동축과 접착제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중 환경에서도 물이 침투되지 않는 뛰어난 방수 기능을 보유하는 선형 압전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함몰부 및 삽입공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된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고정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두께 진동을 수행하는 돔형의 압전 액튜에이터;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 상에 형성된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는 이동축; 및 상기 하우징의 함몰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이동축과 상기 삽입공 사이의 누수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선형 압전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진동을 수행하는 압전 액튜에이터;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를 고정하는 하부 기판;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에 의해 길이 방향의 진동을 수행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과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를 연결하는 커플러;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 상기 하부 기판 및 상기 커플러를 내부에 수용하고, 삽입공을 통해 상기 이동축이 관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오목한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축의 측면을 감싸고, 외부의 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선형 압전 모터의 제공을 통해서도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축은 압전 액튜에이터와 커플러를 통해 견고히 접합된다. 특히, 커플러의 관통공의 내주 표면은 대략 나사산 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이동축을 커플러와 접합하기 용이한 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이동축과 커플러 사이의 이격공간을 충진하는 접착제는 나사산 형상의 돌기부에 의해 커플러와 증가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커플러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부 표면은 압전 액튜에이터의 돔형 형상에 곡률이 매칭되도록 형성되며 접촉면의 에폭시 양을 확보하기 위하여 약간의 틈이 형성될 수도있다. 즉 커플러의 하부 곡률보다 압전 액튜에이터의 상부 접착면의 곡률이 약간 클 수도 있다. 커플러와 압전 액튜에이터의 접합을 최대화하도록 한다. 또한, 커플러의 상부 표면도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접착제를 수용하여 커플러의 측면으로 접착제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커플러는 압전 액튜에이터 상부와 접착되는 곡률 부위에 샌딩에 의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압전 액튜에이터 상부에 형성된 은 전극과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형성된 미세한 요철에 의하여 접착제가 경화 중에 벌어지는 현상을 빨판의 원리로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을 통하여 압전 액튜에이터와 커플러가 물과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제공된 하우징과의 경계면에 우물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접착제를 장입하여 하우징 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접착 영역에서 여러가지 환경변화 즉, 온도 상승에 따른 접착제의 열팽창 수축 혹은 밀폐된 공간에서 압력의 증감 등에 의하여 이동축과 이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물의 유입이 하우징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이동축과 닿는 부위에 스프링과 실리콘 튜브를 끼워 방수 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선형 압전 모터는 수중 환경에서도 물의 침투가 일어나지 않으며,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압전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압전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형 압전 모터는 하우징(100), 하부 기판(110), 압전 액튜에이터(120), 커플러(130), 이동축(140) 및 체결부(150)를 가진다.
하우징(100)은 물 등의 외부 요인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함몰부(101) 및 삽입공(102)이 형성되어, 삽입공(102)을 통해 이동축(14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며, 함몰부(101) 내에는 체결부(150)가 형성된다. 특히, 물이 함몰부(101) 및 삽입공(102)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함몰부(101) 상에는 접착제(155)로 충진된다. 접착제(155)는 함몰부(101)에 형성된 체결부(15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접착제(155)가 수용되고, 체결부(150)가 구비되는 함몰부(101)를 정의하기 위해 함몰부(101)의 측면에는 돌출부(103)가 형성된다.
하우징(100) 내부에는 압전 액튜에이터(120)와 접착하여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경방향 진동을 억제하는 하부 기판(110), 압전 액튜에이터(120) 및 커플러(130)가 형성되고, 이동축(140)은 하우징(100)을 관통한다.
압전 액튜에이터(120)는 압전 소재 및 상하면에 은 전극과 같은 도전체로 구성된다. 압전 소재를 통해 대략 돔형의 형상이 이루어지며, 돔형의 표면에는 도전체가 코팅된다. 도전체는 압전 소재로 구성된 돔형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코팅된다. 표면이 도전체들로 코팅된 압전 액튜에이터(1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하 진동을 일으킨다.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측면에는 하부 기판(110)이 배치된다. 압전 액튜에이터(120)는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경방향 진동을 억제하는 하부 기판(110)에 접착 삽입되며, 압전 액튜에이터(120)와 하부 기판(110) 사이의 이격은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압전 액튜에이터터(120)가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경방향 진동을 일으키면, 하부 기판(110)은 경방향 진동에 의한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수평 방향의 진동 또는 이격을 차단한다. 따라서, 수평 방향의 응력은 축 방향으로 전환되고, 이동축(140)이 길이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변위를 확대시킨다. 하부 기판(110)이 압전 액튜에이터(120)를 단속하고, 측면으로의 응력을 차단하기 위해 재질은 연성 또는 전성이 작은 물질로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하부 기판(110)은 통상의 세라믹 재질로서 압전체와 동일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하부 기판(110)은 하우징(100)의 저면에 견고히 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하부 전극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이 외부로 인출되기 위하여 중앙에 홀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되, 압전 액튜에이터(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이 단차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기판(1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금속 배선이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인입되고,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다른 금속 배선도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상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플러(130)는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돔형 형상의 상부 정면에 배치된다. 커플러(130)에 의해 압전 액튜에이터(120)와 이동축(140)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커플러(130)는 하부면과 상부면이 중심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의 오목한 부위는 돔형 형상의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상부면과 잘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커플러(130)의 하부면은 볼록한 돔형 형상의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표면 일부가 수용되도록 돔형 형상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13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 주변은 돌기부가 형성되며, 돌기부는 나사산 형태의 돌출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커플러(130)의 관통공에는 이동축(140)이 삽입되고, 이동축(140)은 하부의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상부 표면과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동축(140)은 길이 방향이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정점에서의 접선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동축(140)의 말단부는 커플러(130)의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정점에 결합된다. 또한, 이동축(140)은 커플러(130)의 나사산 형태의 돌기부에 직접 접촉되고, 견고한 결합을 형성한다. 이동축(140)은 커플러(130) 또는 압전 액튜에이터(123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커플러(130)의 돌기부와 직접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축(140)에는 이동체가 접촉되며, 이동축(140)과의 마찰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된다.
커플러(130)와 이동축(140)의 접점 부위에는 접착제(135)가 유입된다. 특히, 커플러(130)의 돌기부는 나사산의 형상을 가지므로 접착제(135)가 커플러(130)와 이동축(140) 사이의 이격공간을 충진하는데 유리하다. 나사산 형상의 돌기부를 따라 접착제(135)가 이격공간에 유입되고, 이격공간을 완전히 충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형 압전 모터에서 커플러(130)와 이동축(140) 사이가 접착제(135)로 충진되며, 접착제(135)가 커플러(130)와 접착되는 면적은 증가한다. 따라서, 이동축(140)이 압전 액튜에이터(12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는 해결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130)의 하부면과 압전 액튜에이터(120)가 접하는 부위는 접착제(135)가 채워져서 커플러(130)와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견고한 접합을 완성한다. 이를 통해 이동축(140)과 압전 액튜에이터(120)는 커플러(130)를 통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플러(130)는 통상의 금속을 가공하거나 다이케스팅을 통해 제작된 원형의 원통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플러(130)는 관통공(131), 돌기부(132), 상부 표면(133) 및 하부 표면(134)을 가진다.
관통공(131)은 커플러(130)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관통공(131)을 통해 이동축(140)이 삽입된다. 또한, 관통공(131)은 상부의 폭과 하부의 폭이 상호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관통공(131)을 가지는 커플러(130)의 내벽에는 돌기부(132)가 형성된다. 돌기부(132)는 기계적 가공 또는 샌딩 처리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132)에서 관통공을 향해 돌출된 부위는 이동축(140)과 직접 접촉됨이 바람직하고, 돌기부(132)의 함몰부는 접착제(135)로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돌기부(132)의 형성을 통해 요철 구조가 형성되며, 접착제(135)가 커플러(130)와 접촉하는 면적은 증가된다. 이를 통해 이동축(140)은 관통공(131) 내에 견고하게 접합된다.
또한, 커플러(130)의 상부 표면(133)은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오목한 형상의 정점에는 관통공(131)이 형성되며, 오목한 형상으로 인해 접착제(135)가 커플러(130)를 넘쳐서 주변으로 흐르는 현상은 방지된다.
또한, 커플러(130)의 하부 표면(134)은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돔형 형상에 곡률이 매칭되도록 형성되며 접촉면의 에폭시 양을 확보하기 위하여 약간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플러의 하부 표면(134)의 곡률보다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상부 접착면의 곡률이 약간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플러와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접합을 최대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130)의 하부 표면(134)과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표면 사이에는 접착제(135)가 유입되어 커플러(130)와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견고한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커플러(130)는 압전 액튜에이터(120) 상부와 접착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하부 표면(134) 상에 샌딩에 의하여 미세한 요철을 가진다. 요철 형상을 가지는 하부 표면(134)에 의해 압전 액튜에이터(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은 전극과의 접촉면적은 증가되며, 형성된 미세한 요철 구조에 의하여 접착제가 경화 중에 벌어지는 현상은 빨판의 원리로 예방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 외곽의 함몰부(101) 내에는 체결부(150)가 구비된다.
특히, 체결부(150)는 탄성 튜브(151) 및 인장 스프링(152)을 가진다. 이동축(140)은 탄성 튜브(151)에 삽입되고, 탄성 튜브(151)의 외곽 표면은 인장 스프링(152)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튜브(151)는 이동축(140)의 표면을 감싸되 완전히 접착된 형태로 제공되지 않는다. 다만, 탄성에 의해 이동축(140)의 표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동축(140)과 함께 하우징(100) 상부의 삽입공(102) 내에 삽입된다. 외부 압력에 대해 신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탄성 튜브(151)에 의해 삽입공(102)은 밀봉될 수 있다. 특히, 탄성 튜브(151)가 이동축(140)과 접착력을 가지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가지므로 이동축(140)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을 하더라도 탄성 튜브(151)에 의한 진동의 방해는 최소화된다. 즉, 체결부(150)의 탄성 튜브(151)에 의해 이동축(140)은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외부의 물은 탄성 튜브(151)에 의해 삽입공(102)으로 침투되지 않는다.
또한, 인장 스프링(152)은 탄성 튜브(151)를 외부에서 누르며, 탄성 튜브(151)가 이동축(140)을 이격없이 누르도록 작용한다. 인장 스프링(152)은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탄성 튜브(15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환경에서는 탄성 튜브(151)에 압력을 인가하므로 탄성 튜브(151)의 탄성력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50)가 구비된 함몰부(101)에는 접착제(155)가 충진된다. 함몰부(101)를 충진하는 접착제(155)에 의해 하우징(100)의 방수 특성은 더욱 강화될 수 있으며 체결부(150)가 하우징(100)의 함몰부(101)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함몰부(101)를 충진하는 접착제(155)는 탄성 튜브(151)의 최상말단 바로 윗부분까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30)는 투명 재질의 탄성 튜브(131)와 금속 재질의 인장 스프링(132)을 가진다.
도 3의 탄성 튜브(131)는 통상의 당업자들이 지칭하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금속 재질의 인장 스프링(132) 내부에 일정한 내경 및 외경을 가지고, 상기 탄성 튜브(131)는 배치된다. 또한, 탄성 튜브(131)가 이동축을 수용하지 않은 경우의 내경은 이동축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축이 탄성 튜브(131) 내에 수용되는 경우, 탄성 튜브(131)는 팽창되며, 내경의 확장에 의해 이동축에 압축 응력을 작용한다.
또한, 지속적인 압축 응력을 작용하기 위해 탄성 튜브(131)의 외부는 인장 스프링(132)으로 감싸진다. 상기 인장 스프링(132)은 용수철 형상을 가지되, 내경을 향하는 압축 응력을 작용한다. 즉, 통상의 스프링이 용수철의 작용을 통해 압축 및 신장력을 발휘하나 본 발명의 도 3의 인장 스프링(132)은 용수철의 내경을 향한 압축 응력을 발휘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체결부(130)는 하우징을 관통하는 이동축으로 인해 외부의 수분이 하우징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접착력으로 인해 길이 방향으로 진동하는 이동축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축은 압전 액튜에이터와 커플러를 통해 견고히 접합된다. 특히, 커플러의 관통공의 내주 표면은 대략 나사산 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이동축을 커플러와 접합하기 용이한 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이동축과 커플러 사이의 이격공간을 충진하는 접착제는 나사산 형상의 돌기부에 의해 커플러와 증가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커플러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부 표면은 압전 액튜에이터의 돔형 형상에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커플러와 압전 액튜에이터의 접합을 최대화하도록 한다. 또한, 커플러의 상부 표면도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접착제를 수용하여 커플러의 측면으로 접착제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선형 압전 모터는 수중 환경에서도 물의 침투가 일어나지 않으며,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하부 기판
120 : 압전 액튜에이터 130 : 커플러
140 : 이동축 150 : 체결부

Claims (15)

  1. 상부에 함몰부 및 삽입공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된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고정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두께 진동을 수행하는 돔형의 압전 액튜에이터;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 상에 형성된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는 이동축; 및
    상기 하우징의 함몰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이동축과 상기 삽입공 사이의 누수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선형 압전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이동축이 통과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정의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나사산 형태를 가지며, 나사산의 돌출된 형상은 상기 이동축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나사산 형상의 함몰부위는 접착제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하부 표면은 돔 형상의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플러의 하부 표면과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 사이는 접착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상부 표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접착제가 상기 상부 표면의 오목한 형상과 상기 돌기부와 상기 이동축 사이의 이격 공간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하부 표면은 요철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이동축에 압축 응력을 작용하는 탄성 튜브; 및
    상기 탄성 튜브의 외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 튜브에 압축 응력을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튜브는 상기 이동축이 삽입되기 이전의 내경이 상기 이동축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동축이 삽입된 상기 탄성 튜브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 내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의 측면에는 접착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11.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진동을 수행하는 압전 액튜에이터;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를 고정하는 하부 기판;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에 의해 길이 방향의 진동을 수행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과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를 연결하는 커플러;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 상기 하부 기판 및 상기 커플러를 내부에 수용하고, 삽입공을 통해 상기 이동축이 관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오목한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축의 측면을 감싸고, 외부의 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선형 압전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이동축이 통과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정의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나사산 형태를 가지며, 나사산의 돌출된 형상은 상기 이동축과 접하며, 상기 돌기부의 나사산 형상의 함몰부위는 접착제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하부 표면은 돔 형상의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도록 오목한 형상 및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플러의 하부 표면과 상기 압전 액튜에이터 사이는 접착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이동축에 압축 응력을 작용하는 탄성 튜브; 및
    상기 탄성 튜브의 외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 튜브에 압축 응력을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튜브는 상기 이동축이 삽입되기 이전의 내경이 상기 이동축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동축이 삽입된 상기 탄성 튜브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압전 모터.
KR1020200039552A 2020-04-01 2020-04-01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552A KR102393379B1 (ko) 2020-04-01 2020-04-01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US17/219,872 US20210313508A1 (en) 2020-04-01 2021-03-31 Linear piezoelectric motor capable of underwater driv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552A KR102393379B1 (ko) 2020-04-01 2020-04-01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436A true KR20210122436A (ko) 2021-10-12
KR102393379B1 KR102393379B1 (ko) 2022-05-02

Family

ID=7792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552A KR102393379B1 (ko) 2020-04-01 2020-04-01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13508A1 (ko)
KR (1) KR102393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336B2 (en) * 2020-07-27 2023-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iezoelectric based pallet generator for device charg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7090B2 (ja) * 2001-12-27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体および振動波駆動装置
KR20100010333A (ko) *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KR101975715B1 (ko) * 2018-09-21 2019-05-07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압전 선형모터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용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1032B2 (en) * 2018-09-21 2023-07-04 Eco Dm Lab Co., Ltd. Cartridge for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device comprising piezoelectric linear motor and piezoelectric linear 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7090B2 (ja) * 2001-12-27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体および振動波駆動装置
KR20100010333A (ko) *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KR101975715B1 (ko) * 2018-09-21 2019-05-07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압전 선형모터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용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3508A1 (en) 2021-10-07
KR102393379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0299B2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4922470A (en) Barrel stave projector
KR20000062580A (ko) 전기음향 변환기
JP2001119795A (ja)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80081332A (ko) 자기변형장치
JP3844012B2 (ja)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US5941838A (en) Shock wave source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principle
US2939970A (en) Spherical transducer
KR102393379B1 (ko) 수중 구동이 가능한 선형 압전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EP1943998B1 (en) Ultrasonic transducer and skin care device with same
US3460061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improved shock resistance
JP6891293B2 (ja) 振動性ダイヤフラムに組み込まれた圧電セラミック変換素子を有する音響変換器
KR20140097049A (ko)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US3546497A (en) Piezoelectric transducer element
KR101739701B1 (ko) 초음파 발생 장치
US6166998A (en) Moulded transducer
JPH05244692A (ja) 超音波マイクロホン
JP4442632B2 (ja) 超音波センサ
US6404106B1 (en) Pressure tolerant transducer
JP3879264B2 (ja) 超音波センサ
WO2020095649A1 (ja) 超音波センサ
JP2002238094A (ja) 圧電音響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02649A (en) Tapered cylinder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reversed tapered driver
JP4422812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
WO2023203879A1 (ja) 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