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049A -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049A
KR20140097049A KR1020140057249A KR20140057249A KR20140097049A KR 20140097049 A KR20140097049 A KR 20140097049A KR 1020140057249 A KR1020140057249 A KR 1020140057249A KR 20140057249 A KR20140057249 A KR 20140057249A KR 20140097049 A KR20140097049 A KR 2014009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vibrating
piezoelectric
vibration
vibrating body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4005161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1274A/ko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4005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7049A/ko
Publication of KR2014009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049A/ko
Priority to KR1020150031069A priority patent/KR20150045959A/ko
Priority to CN201690000452.2U priority patent/CN208521966U/zh
Priority to JP2017600094U priority patent/JP3215078U/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압전진동체(2)(2a)(2b)의 하방에는 전극 기판(4)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압전진동체(2)(2a)(2b)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한 다리부(8)를 구비하여, 압전진동체(2)(2a)(2b)를 이동단말 내에 설치함에 있어 전극 기판(4)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다리부(8)를 부착하여 압전진동체(2)(2a)(2b)를 설치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압전진동체(2)(2a)(2b)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압전진동체(2)(2a)(2b)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이동단말 내의 어느 위치에나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VIBRATION APPARATUS EMPLOYING PIEZO ELECTRIC ELEMENT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전효과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가상현실 구현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용자는 가상현실을 통해 더욱 구체적이고 실감나는 정보를 원하게 되었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 중의 하나로 진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촉각을 전달하는 햅틱(Haptic) 기술이 있다. 단순한 햅틱 기술은 현재 휴대폰에 널리 쓰이는 진동모터를 이용한 알림 기능을 들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의료 시뮬레이터나 게임 기기 등 여러 분야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특히 앞으로는 컴퓨팅 장치의 출력 장치로서 모니터, 스피커와 더불어 햅틱 디바이스도 기본 장착되어 갈 전망이다. 이는 휴대용 전자기기 내에 햅틱 디바이스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촉감인식률이 높다는 점 그리고 IT기기와의 연동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햅틱 기술을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인 이동단말의 진동모터는 기존 이동단말에서 출력되는 소리와 영상에 진동을 덧입혀 입체적으로 느끼게 해준다.
이동단말에 설치되는 진동모터의 일 예로 본원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특허 제10-793682호, '초소형 선형 진동모터(선행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이동단말용 진동모터는 설치공간이 협소한 이동단말 내에 진동장치를 설치할 경우 진동발생위치를 결정함에 있어 부품배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진동모터의 응답속도(Response time)가 느려서 촉감인식의 동시감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이동단말 내에 설치함에 있어 설치공간을 자유로이 배치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초박형의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압전진동체(2)(2a)(2b)의 하방에는 전극 기판(4)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압전진동체(2)(2a)(2b)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한 다리부(8)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전극 기판(4)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체(2)(2a)(2b)를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해 절연처리된 고정용 하우징(18)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압전진동체(2)(2a)(2b)의 양단에는 압전진동체(2)(2a)(2b)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22)을 끼움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전극 기판(4)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체(2)(2a)(2b)의 진동효율을 높이기 위한 탄성부재(32)를 설치하며, 상기 탄성부재(32)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체(2)(2a)(2b)를 케이싱(16)에 부착설치하기 위한 하부판(36)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이다.
본 발명은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이동단말 내에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설치부재없이 케이스 내측에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압전소자 진동장치의 두께가 얇아져 이동단말 내의 어느 위치에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니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의 설치단면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바이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의 구성도,
도 5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멀티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의 구성도,
도 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압전진동체의 설치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는 역압전효과(Reverse 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이다.
압전효과는 압전물질에 힘을 가해 신축되는 순간에 전압이 발생되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압전물질에 전압을 가했을 때 신축하는 성질을 역압전효과라고 한다. 압전효과의 일 예로는 착화용 압전소자(전기 라이터, 점화식 가스레인지), 압력센서, 가속도센서 등이 있으며, 역압전효과의 일 예로는 액츄에이터, 피에조 모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진동장치는 정확히 말하면 역압전효과를 이용해 진동수단을 구현하는 것으로, 압전물질로 압전소자층을 형성하고 전압을 인가하여 신축되는 성질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압전물질의 대표적 예로서 복합세라믹인 PZT((Pb(Ti,Zr)O3), 강유전체인 티탄산 바륨(BaTiO3) 등이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압전 세라믹을 형성한다.
압전효과를 이용하는 진동장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유니모프형(unimorph), 바이모프형(bimorph), 멀티모프형(multimorph) 등으로 구분되고, 바이모프형은 분극되는 방향에 따라 직렬형(serial), 병렬형(parallel)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니모프형, 바이모프형, 멀티모프형 등 다양한 형태의 압전진동체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니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이 좋은 소재의 전극 기판(Substrate)(4)을 두고 상단에 압전소자층(6)을 배치하여 압전진동체(2)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진동체(2)의 압전소자층(6)의 상단 전극과 하단 전극에 (+,-) 전압을 교대로 걸어주어 압전진동체(2)가 팽창과 수축현상에 의한 굴곡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주파수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압전소자층(6)의 상하면에 각각 (+,-)전압을 교대로 걸어줌에 따라 압전소자층(6)의 하면과 접착된 전극 기판(4)에도 전압이 인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압전진동체(2)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FPCB(Flexible PCB) 형태로 전극 기판(4)과 압전소자층(6)의 상단 전극에 각각 전압을 인가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전선을 이용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진동체(2)의 설치단면도, 도 3은 압전진동체(2)를 이동단말 내에 설치한 사용상태도로, 압전소자층(6)의 상부에 인가된 구동전압이 이동단말 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재(10)가 부착된다. 절연부재(10)는 절연필름을 부착하거나 에폭시, 우레탄 등을 이용한 절연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10)가 구비된 압전소자층(6)의 상부에는 절연과 함께 압전진동체(2)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해 포론(Poron)테이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포론테이프는 고밀도 셀구조의 우레탄폼 박형 테이프로 절연효과와 더불어 소음흡수 효과가 있어 압전진동체(2)의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압전진동체(2)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전극 기판(4)은 Brass, Stainless steel, Ni-alloy,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극 기판(4)의 하단에는 전압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증대시키기 위한 무게편(12)이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 부착된다. 압전진동체(2)의 상하 굴곡변위에 의해 자체 진동이 발생되지만 이동단말에 전달되는 진동량은 미약하므로 압전소자층(6)에 일정한 무게를 갖는 무게편(12)을 부착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압전진동체(2)를 이동단말 내부의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해 전극 기판(4)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한 다리부(8)를 구비한다. 다리부(8)는 도 2에서와 같이 압전진동체(2)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동단말 내부와 같이 공간이 협소한 곳에 설치할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압전진동체(2)의 내측으로 연장형성하여 설치공간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다리부(8)를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접착하거나 용접에 의해 부착하여 압전진동체(2)를 고정한다.
전극 기판(4)에는 (+,-)전압이 교대로 인가되는 것이므로, 전극 기판(4)에 인가된 전류가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형성된 다리부(8)는 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터,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 소재를 코팅하여 절연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절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전소자층(6)의 표면에도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 소재로 코팅층을 형성하여 진동시 발생하는 잡음성 음향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절연효과도 도모할 수도 있다. 코팅층의 일예로는 연질 에폭시, 연질 우레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니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기판(4)을 가운데 두고 양단에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바이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기판(4)의 상단에 다수의 압전소자층(6)을 적층한 멀티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로 압전진동체(2a)(2b)를 형성하여 이동단말 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내지 6b는 압전진동체(2b)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서, 멀티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로 압전진동체(2b)를 형성하는 경우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압전진동체(2b)를 부착설치하기 위한 브래킷(22)을 압전진동체(2b)의 양단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브래킷(22)은 전극 기판(4)의 양단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며, 양단의 브래킷(22)을 케이싱(16) 내면에 직접 부착하여 압전진동체(2b)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도 6b와 같이 압전진동체(2b)의 외면에는 보호테이프(24)를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호테이프(24)는 압전진동체(2b)의 일면이나 양면을 깜싸 부착될 수 있으며, 압전진동체(2b)의 진동이나 이동단말의 낙하 및 충격 등에 의한 압전소자층(6)의 파손방지 및 무게편(12)의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절연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보호테이프(24)를 부착한 후 압전진동체(2b)의 양단에 브래킷(22)을 끼움설치한 후 브래킷(22)을 이동단말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호테이프(24)는 압전소자층(6)을 유니모프, 바이모프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압전진동체(2)(2a)(2b)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하는 것이 좋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와 같이 압전소자층(6)을 멀티모프형으로 형성하면 압전진동체(2b)의 크기가 작아지고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단말과 같이 설치공간이 협소한 곳에 부착할 경우 설치위치에 따른 공간의 제약이 줄어들어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는 멀티모프형 압전진동체(2b)를 부착설치하기 위해 브래킷(22)을 형성하는 것이나, 유니모프형, 바이모프형 압전진동체(2)(2a)의 경우에도 양단에 브래킷(22)을 끼움결합하여 압전진동체(2)(2a)를 부착설치함으로써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기판(4)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압전진동체(2)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압전진동체(2)는 전극 기판(4)의 양단을 압전진동체(2)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절곡 형성하고, 형성된 다리부(8)를 케이싱(16)에 부착하여 압전진동체(2)를 고정한다. 다리부(8)가 압전진동체(2)의 내측으로 꺾여지게 형성함으로써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압전진동체(2)를 부착할 경우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진동체(2)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극 기판(4)을 박스형으로 형성하여 압전진동체(2)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부착한다. 전극 기판(4)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양단의 다리부(8)가 연결되어 압전진동체(2)의 하방 전체가 케이싱(16)에 부착됨으로써 다리부(8)에 의해 케이싱(16)과 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압전진동체(2)가 좀 더 견고하게 부착고정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압전진동체(2)는 크기가 매우 작은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전극 기판(4)은 소형이면서 두께가 0.1~0.3T 정도의 얇은 박막형으로 형성된다. 전극 기판(4)은 얇은 박막형태로 형성되어 취급시 구겨지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박막의 전극 기판(4)를 연장하여 절곡 형성한 다리부(8)를부착하여 압전진동체(2)를 케이싱(16)에 설치할 경우 다리부분이 힘을 받지 못해 압전진동체(2)를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기판(4)의 양단에 형성된 다리부(8)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버팀부재(14)를 구비한다. 버팀부재(14)는 다리부(8)의 양측면을 "┗┛"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다리부(8)에 버팀부재(14)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부착하여 진동이 발생될 경우 압전진동체(2)의 양단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조립공정에서 압전진동체(2)의 취급시에 박막형태의 전극 기판(4)이 쉽게 구겨지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압전진동체(2)는 진동 발생시 팽창과 수축현상에 의해 상하 굴곡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굴곡범위와 무게편(12)의 두께를 고려하여 압전진동체(2)가 굴곡운동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버팀부재(14)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극 기판(4)을 연장형성한 다리부(8)를 케이싱(16)에 부착하여 압전진동체(2)를 설치하는 것이나, 도 11에서와 같이 압전진동체(2)를 케이싱(16)에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으로 절곡 형성한 고정용 하우징(18)을 구비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용 하우징(18)은 전극 기판(4)의 하방에 접착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며, 고정용 하우징(18)의 저면을 케이싱(16)에 부착함으로써 압전진동체(2)를 설치한다. 상기의 고정용 하우징(18)은 전극 기판(4)과 같은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강도가 좋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함으로써 고정용 하우징(18)을 절연처리하는 공정이 간편하고, 압전진동체(2)를 제작하는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용 하우징(18)을 비전도성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전극 기판(4)에 인가된 전류가 고정용 하우징(18)으로 흘러 케이싱(16)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고정용 하우징(18)을 이용하여 압전진동체(2)를 케이싱(16)에 설치할 경우에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용 하우징(18)의 상부에 지지용 버팀부재(1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3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케이싱(12)에 부착된 압전진동체(2)에서 발생하는 진동음향을 억제하기 위해 압전진동체(2)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형태로 별도의 방음 케이스(20)가 구비된다. 방음 케이스(20)는 금속판, 플라스틱 및 고무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를 사용할 경우 진동시 발생하는 음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6과 같이 압전진동체(2)를 끼움설치할 수 있는 진동모듈케이스(26)를 구비하고, 내부에 압전진동체(2)를 끼워 넣어 고정한 후 케이싱(16)의 내면에 진동모듈케이스(26)를 부착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관체의 진동모듈케이스(26) 일측에서 압전진동체(2)를 끼워 넣어 진동모듈케이스(26)의 내부공간에 압전진동체(2)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진동모듈케이스(26)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철판 및 별도의 합성수지 성형물 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진동체(2)를 진동모듈케이스(26)에 끼운 후 양단을 도 15a와 같이 밀봉부재(28)로 마감 처리한다. 밀봉부재(28)는 실리콘, UV 접착제, 에폭시 등을 사용하며, 밀봉부재(28)로 진동모듈케이스(26)의 양단을 마감 처리함으로써 압전진동체(2)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방음 역할을 한다. 또한 진동모듈케이스(26) 내에 압전진동체(2)를 끼워 넣음으로써 자체 보호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도 15b와 같이 진동모듈케이스(26)의 양단에 막음판을 형성하여 내측에 끼움설치된 압전진동체(2)를 밀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막음판은 진동모듈케이스(26)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막음판을 설치하는 것고 가능하며, 진동모듈케이스(26)의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내측에 압전진동체(2)가 끼움설치된 형태에서 개방된 양단을 막음판으로 막아 진동 음파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방음 역할을 하게 된다.
진동모듈케이스(26) 내부에 압전진동체(2)를 끼운 상태에서 진동모듈케이스(26)의 하면을 케이싱(14) 내면에 접착제로 부착고정한다. 진동모듈케이스(26)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로는 양면 테이프가 바람직하며, 에폭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전진동체(2)가 내부에 삽입된 진동모듈케이스(26)의 하면 전체를 케이싱(14)에 부착고정함으로써 접착면적이 넓어져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압전진동체(2)의 발생진동을 케이싱(14)을 통해 이동단말에 전달하는 효과도 높아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진동모듈케이스(26) 내에 압전진동체(2)를 내설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이동단말에 진동장치를 부착하는 작업공정시에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서는 압전진동체(2) 부착을 위한 다리부(8)가 구비된 압전진동체(2)를 진동모듈케이스(26)에 끼움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6a 내지 도 6b와 같이 브래킷(22)을 양단에 끼움결합하여 케이싱(16)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가능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8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압전진동체(2)의 고정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압전진동체(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하우징(18)을 구비할 경우 압전진동체(2)의 양단이 고정용 하우징(16)과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되어 진동의 폭을 제한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압전진동체(2)의 고정 방식을 도 17 내지 도 19에서와 같이 끼움 구조로 형성하면 압전진동체(2)의 양단이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아닌 자유단을 형성함으로써 압전진동체(2)의 상하 굴곡변위에 의한 진동 폭을 제한하지 않게 되어 보다 큰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끼움 구조에 의해 압전진동체(2)의 양단을 고정할 경우에는 끼워진 고정용 하우징(16)의 끝단에 형성된 날개편을 접어 끼워진 압전진동체(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후공정이 필요하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압전진동체(2)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압전진동체(2)의 진동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극 기판(4)의 하부에 탄성부재(32)를 설치한다. 탄성부재(32)는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천연 고무 등을 사용하며, 그 외에 연질의 탄성이 있는 소재이면 어느것이든 좋다.
상기 탄성부재(32)는 전극 기판(4)의 양단에 접착, 결합 및 사출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전극 기판(4) 하부의 무게편(1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압전진동체(2)의 상하 굴곡변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기판(4) 양단에 연질의 탄성부재(32)를 형성하면 압전소자층(6)과 전극 기판(4)의 굴곡으로 인한 무게편(12)의 진동시 진동효율이 높아지며, 전극 기판(4)의 신축이 자유로워 공진주파수 제약이 없어지므로 다양한 주파수의 진동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압전소자층(6)과 전극 기판(4)의 굴곡 변위에 의한 진동소음이 감쇄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탄성부재(32)가 설치된 전극 기판(4)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체(2)를 케이싱(16)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판(36)을 더 구비하며, 하부판(36)을 케이싱(16)이 접착하여 압전진동체(20)를 부착고정한다.
또한, 도 21과 같이 케이싱(16)에 부착된 압전진동체(2)의 상부에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압전진동체(2)의 상부에 덮개(34)를 덮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34)는 금속판, 플라스틱 및 고무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를 사용할 경우 진동시 발생하는 음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4은 압전진동체(2b)를 구성하는 전극기판(4)의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크기에서 압전진동체(2b)의 진동력을 높이거나 진동력은 동일하나 압전진동체(2b)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전극기판(4)의 폭을 좁게 형성한다.
도 22a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압전진동체(2b)를 진동의 힘이 큰 멀티모프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압전소자층(6)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압전소자층(6)이 부착되지 않는 전극기판(4)의 좌우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단말과 같이 내부 공간이 협소한 전자기기 내에 압전진동체(2b)를 부착할 경우 도 22a, 도 22b와 같이 압전소자층(6)이 부착되지 않는 전극기판(4)의 양단 가장자리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자기기 내에 여유공간이 생겨 다른 부품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전극기판(4)의 양단 폭이 좁아짐에 따라 생긴 여유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도 23에서와 같은 형태의 무게편(12)을 전극기판(4)에 부착하여 도 24와 같은 형태의 압전진동체(2b)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게편(12)의 중량을 높임으로써 진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압전소자층(6)의 동일한 진동량이라 할지라도 전극기판(4)에 부착되는 무게편(12)의 중량이 무거워져 진동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며, 이는 압전진동체(2b)의 크기는 작아져도 진동효과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압전소자층(6)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압전소자층(6)을 유니모프, 바이모프, 멀티모프형으로 압전진동체(2)(2a)(2b)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이동단말 내에 설치함에 있어 전극 기판(4)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다리부(8)를 부착하여 압전진동체(2)를 설치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압전진동체(2)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압전진동체(2)의 두께가 얇아져 이동단말 내의 어느 위치에나 설치가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2a)(2b)-- 압전진동체 (4)-- 전극 기판
(6)-- 압전소자층 (8)-- 다리부
(10)-- 절연부재 (12)-- 무게편
(14)-- 버팀부재 (16)-- 케이싱
(18)-- 고정용 하우징 (20)-- 방음 케이스
(22)-- 브래킷 (24)-- 보호테이프
(26)-- 진동모듈케이스 (28)-- 밀봉부재
(30)-- 막음판 (32)-- 탄성부재
(34)-- 덮개 (36)-- 하부판

Claims (17)

  1.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압전진동체(2)(2a)(2b)의 하부에는 전극 기판(4)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압전진동체(2)(2a)(2b)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한 다리부(8)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리부(8)는 압전진동체(2)(2a)(2b)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하나로 절곡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체(2)(2a)(2b)의 내측으로 절곡된 다리부(8)는 양단을 연결 형성하여 케이싱(16)에 부착되는 접착면적이 확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4. 제1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리부(8)의 양측면에는 케이싱(16)에 부착된 압전진동체(2)(2a)(2b)의 고정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버팀부재(14)를 "┗┛" 형상으로 절곡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다리부(8)에는 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터, 아크릴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소재로 코팅하여 절연피막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6.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전극 기판(4)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체(2)(2a)(2b)를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해 절연처리된 고정용 하우징(18)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고정용 하우징(18)에는 케이싱(16)에 부착된 압전진동체(2)(2a)(2b)의 고정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버팀부재(1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8.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압전진동체(2)(2a)(2b)의 양단에는 압전진동체(2)(2a)(2b)를 이동단말 내의 케이싱(16)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22)을 끼움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9. 전도성있는 소재의 전극 기판(4)을 두고 압전소자층(6)을 배치한 압전진동체(2)(2a)(2b)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진동장치를 구성하되, 압전소자층(6)에는 인가된 구동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10)를 형성하고, 전극 기판(4)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체(2)(2a)(2b)의 진동효율을 높이기 위한 탄성부재(32)를 설치하며, 상기 탄성부재(32)의 하부에는 압전진동체(2)(2a)(2b)를 케이싱(16)에 부착설치하기 위한 하부판(36)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0.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체(2)(2a)(2b)의 상부에는 진동소음 감소를 위한 덮개(34)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1.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체(2)(2a)(2b)에는 진동을 증대시키는 무게편(12)을 일측면 및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2.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체(2)(2a)(2b)는 유니모프형, 바이모프형, 멀티모프형 압전소자 진동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3.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16)에 부착된 압전진동체(2)(2a)(2b)의 상단에는 진동과 함께 발생하는 진동음향을 억제하는 방음 케이스(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4.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체(2)(2a)(2b)의 일면 또는 양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압전소자층(6)의 파손방지와 무게편(12)의 탈락방지, 압전진동체(2)(2a)(2b)의 절연을 위한 보호테이프(24)를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5.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체(2)(2a)(2b) 표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 및 고무 소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절연과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이 감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6.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진동체(2)(2a)(2b)를 내부에 끼움설치하고 양단을 밀봉부재(28)로 고정하여 진동과 함께 발생하는 진동음향을 억제하는 진동모듈케이스(2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17.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 기판(4)에 부착되는 압전소자층(6)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압전소자층(6)이 부착되지 않은 전극 기판(4)의 좌우 폭을 좁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KR1020140057249A 2014-04-29 2014-05-13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KR20140097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249A KR20140097049A (ko) 2014-04-29 2014-05-13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KR1020150031069A KR20150045959A (ko) 2014-04-29 2015-03-05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압전소자 진동장치
CN201690000452.2U CN208521966U (zh) 2014-04-29 2016-02-04 提供实时震动反馈的压电元件震动装置
JP2017600094U JP3215078U (ja) 2014-04-29 2016-02-04 リアルタイム振動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圧電素子振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1615A KR20140131274A (ko) 2013-02-27 2014-04-29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KR1020140051615 2014-04-29
KR1020140057249A KR20140097049A (ko) 2014-04-29 2014-05-13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049A true KR20140097049A (ko) 2014-08-06

Family

ID=517447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249A KR20140097049A (ko) 2014-04-29 2014-05-13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KR1020150031069A KR20150045959A (ko) 2014-04-29 2015-03-05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압전소자 진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069A KR20150045959A (ko) 2014-04-29 2015-03-05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압전소자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970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618A (zh) * 2016-04-28 2016-08-31 太原科技大学 一种磁致伸缩蛇形移动运输器及其运输方法
WO2016140442A1 (ko) * 2015-03-05 2016-09-09 김정훈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압전소자 진동장치
WO2016153148A1 (ko) * 2015-03-23 2016-09-29 김정훈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보호케이스
CN112524472A (zh) * 2019-09-17 2021-03-19 彭志军 一种内置超声辅助出气氢气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8874B (en) 2017-10-03 2021-02-15 Aito Bv Piezoelectric device for haptic feedback with an integrated suppor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42A1 (ko) * 2015-03-05 2016-09-09 김정훈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압전소자 진동장치
US20180009003A1 (en) * 2015-03-05 2018-01-11 Jung-Hoon Kim Piezoelectric element vibration apparatus that provides real-time vibration feedback
WO2016153148A1 (ko) * 2015-03-23 2016-09-29 김정훈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보호케이스
CN107257636A (zh) * 2015-03-23 2017-10-17 金正勋 提供实时振动反馈的便携式终端保护套
US10039976B2 (en) 2015-03-23 2018-08-07 Jung-Hoon Kim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providing real-time vibration feedback
CN105905618A (zh) * 2016-04-28 2016-08-31 太原科技大学 一种磁致伸缩蛇形移动运输器及其运输方法
CN112524472A (zh) * 2019-09-17 2021-03-19 彭志军 一种内置超声辅助出气氢气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959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5659B2 (en)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for mobile terminal
JP6662496B2 (ja) 振動構造、振動装置、および触覚提示装置
JP5558577B2 (ja) 圧電振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US20180009003A1 (en) Piezoelectric element vibration apparatus that provides real-time vibration feedback
KR20140097049A (ko)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US9161134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123127B2 (en) Sound generator, vibration member for the sound generator, and sound generation system
KR101366213B1 (ko)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JPWO2017168793A1 (ja) 振動提示装置
KR20140131274A (ko) 이동단말용 압전소자 진동장치
TWI590668B (zh) Sound generator, sound gener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JP5677636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68315B2 (ja) 音発生器
JP6166038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215078U (ja) リアルタイム振動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圧電素子振動装置
JP6522819B2 (ja) 音発生器、音発生器用圧電振動部及び音発生システム
JP5894850B2 (ja) パネル装置
JP6092618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329613B2 (ja) 音発生器
JP6188566B2 (ja) 音発生器
JP2014127750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2217028A (ja) 発振装置
JP2014131119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116795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064149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