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408A -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 Google Patents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408A
KR20210122408A KR1020200039164A KR20200039164A KR20210122408A KR 20210122408 A KR20210122408 A KR 20210122408A KR 1020200039164 A KR1020200039164 A KR 1020200039164A KR 20200039164 A KR20200039164 A KR 20200039164A KR 20210122408 A KR20210122408 A KR 2021012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bent
bent portion
joint structure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동
장용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화신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화신,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2408A/ko
Priority to US17/071,199 priority patent/US11628631B2/en
Priority to CN202011246008.8A priority patent/CN113458645A/zh
Priority to DE102020129587.1A priority patent/DE102020129587A1/de
Publication of KR2021012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4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for forming corner connections, fork connections or cross connections
    • B29C66/4344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for forming fork connections, e.g. for making Y-shaped pieces
    • B29C66/434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for forming fork connections, e.g. for making Y-shaped pieces with two right angles, e.g. for making T-shaped pieces, H-shaped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06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of horizontal seams in assembling vertical plates, a welding unit being adapted to travel along the upper horizontal edge of th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03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controlling of welding dist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2Crimping or bending the workpieces at the join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부의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내구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는 제 1 모재에 제 2 모재를 T형으로 용접하는 이음매의 접합구조로서, 제 1 평탄부와 제 2 평탄부 사이에 굴곡부가 형성된 제 1 모재와; 본체부의 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 1 모재의 굴곡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모재와; 상기 제 1 모재의 굴곡부와 제 2 모재의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Welding structure of T-type welding joint}
본 발명은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부의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내구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다양한 패널의 용접 및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차체의 경량화와 고강도화를 위하여 용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용접은 용접되는 모재의 재질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용접 방식 중 하나가 모재가 서로 T자로 배치되는 T형 용접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T형 용접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은 T 플렛 용접을 보여주고, 도 2는 플레어 베벨 용접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는 모두 중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모재(1)에 중력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2 모재(2)를 T자 형태로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제 2 모재(2)의 상부와 제 1 모재(1)의 측면이 접하는 부분에 용접을 실시하여 비드(3)를 형성시킨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플레어 베벨 용접에서는 제 2 모재(2)의 단부가 "ㄱ"자로 절곡되어 절곡부(2a)와 수직부(2b)를 형성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용접은 제 1 모재(1)가 모두 중력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제 1 모재(1)와 제 2 모재(2) 사이에 형성되는 비드(3)는 제 1 모재(1)쪽 토우각(θa, θb)이 비교적 작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비드(3)의 제 1 모재(1)쪽 토우각(θa, θb)이 작게 형성되는 이유는 용접되는 용융금속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쪽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 베벨 용접시 루트부에 용융금속이 용입되지 않아 비드(3)가 형성되지 않는 루트부 미용입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토우각(θa, θb)이 작게 형성되거나 루트부 미용입부(A)가 발생되면 이러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파단이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9214호 (2018.02.23)
본 발명은 용접부의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내구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는 제 1 모재에 제 2 모재를 T형으로 용접하는 이음매의 접합구조로서, 제 1 평탄부와 제 2 평탄부 사이에 굴곡부가 형성된 제 1 모재와; 본체부의 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 1 모재의 굴곡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모재와; 상기 제 1 모재의 굴곡부와 제 2 모재의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모재는 중력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재는 중력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2 모재의 절곡부는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모재는 절곡부의 단부에 제 1 모재와 평행한 수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모재는 상기 제 1 평탄부가 상기 제 2 모재의 수직부에 대면되고, 상기 제 2 평탄부는 상기 제 1 평탄부의 상부 방향으로 굴곡부를 매개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평탄부와 제 2 평탄부가 옵셋량(u) 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옵셋량(u)와 제 1 모재의 두께(t)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 ≥ 0.3 × t ……… [관계식 1]
상기 제 1 모재에 형성되는 굴곡부는, 제 1 평탄부에서 제 1 곡률(R1)로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제 1 굴곡부와; 제 1 굴곡부에서 제 2 곡률(R2)로 굴곡되면서 연장되어 제 2 평탄부에 연결되는 제 2 굴곡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굴곡부의 제 1 곡률(R1) 및 제 2 굴곡부의 제 2 곡률(R2)는 제 1 모재의 두께(t)와 하기의 [관계식 2] 및 [관계식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 ≥ 2×t ……… [관계식 2]
R2 ≥ t ……… [관계식 3]
상기 제 1 굴곡부는 제 2 모재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되고, 상기 제 2 굴곡부는 제 2 모재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전에 제 1 모재의 용접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하여 용접시 용융금속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흘러내릴 때 굴곡부의 형상에 의해 용융금속이 굴곡부로 잘 모으게 되면서 루트부에 용융금속이 안정적으로 용입되고, 토우각과 각장을 증가시켜 용접부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용접강도와 내구수명을 증가시켜서 품질과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T형 용접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재 및 제 2 모재의 구조 및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제품의 단품 내구 시험 후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제품의 응력 비교를 위한 하중 인가시 응력의 분포 상태를 해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재 및 제 2 모재의 구조 및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는 제 1 모재(10)에 제 2 모재(20)를 T형으로 용접하는 이음매의 접합구조로서, 제 1 평탄부(11)와 제 2 평탄부(14) 사이에 굴곡부(12, 13)가 형성된 제 1 모재(10)와; 본체부(21)의 단부에 절곡부(22)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22)가 상기 제 1 모재(10)의 굴곡부(12, 13)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모재(20)와; 상기 제 1 모재(10)의 굴곡부(12, 13)와 제 2 모재(20)의 절곡부(22) 사이에 형성되는 비드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모재(10)와 제 2 모재(20)는 소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용접이 가능한 다양한 판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stee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및 티타늄(Ti)으로 형성되는 판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 1 모재(10)에는 용접 전 프레스 형성을 통하여 용접시 용융금속이 중력방향으로 흐르면서 잘 모일수 있도록 굴곡부(12, 13)가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제 1 모재(10)는 중력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 1 모재(10)는 하측부터 제 1 평탄부(11), 굴곡부(12, 13) 및 제 2 평탄부(14)로 구분된다. 그리고 굴곡부(12, 13)는 다시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제 1 굴곡부(12)와 제 2 굴곡부(13)로 구분된다.
그래서 제 1 모재(10)는 하측부터 제 1 평탄부(11), 제 1 굴곡부(12), 제 2 굴곡부(13) 및 제 2 평탄부(14)로 구분된다.
한편, 제 1 모재(10)에 형성되는 굴곡부(12, 13)는, 제 1 평탄부(11)에서 제 1 곡률(R1)로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제 1 굴곡부(12)와; 제 1 굴곡부(12)에서 제 2 곡률(R2)로 굴곡되면서 연장되어 제 2 평탄부(14)에 연결되는 제 2 굴곡부(13)로 구분된다.
이때 제 1 굴곡부(12)는 제 2 모재(20)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되고, 제 2 굴곡부(13)는 제 2 모재(20)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 1 굴곡부(12)와 제 2 굴곡부(13)은 대략 "S"자 형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모재(10)는 제 1 굴곡부(12)와 제 2 굴곡부(13)의 형성에 의해 옵셋량(u)만큼 이격되어 제 1 평탄부(11)와 제 2 평탄부(14)가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래서 제 1 평탄부(11)와 제 2 평탄부(14)는 제 1 굴곡부(12)와 제 2 굴곡부(13)를 매개로 연장된다.
한편, 제 2 모재(20)는 중력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그래서 제 1 모재(10)와는 수직방향으로 접촉된다.
이때 제 2 모재(20)의 단부는 중력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되어 절곡부(22)와 수직부(23)를 형성한다. 이때 제 2 모재(20)는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수직부(23)가 제 1 모재(1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 1 모재(10)의 제 1 평탄부(11)와 제 2 평탄부(14)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 1 모재(10)의 제 1 평탄부(11)와 제 2 모재(20)의 수직부(23)가 평행하게 형성된다는 의미는 상호 간에 정확하게 평행을 이루는 것 만을 한정하지 않고, 제 1 평탄부(11), 제 2 평탄부(14) 및 수직부(23)가 정확하게 평행을 이루지는 않지만 비교적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제 1 모재(10)의 제 1 평탄부(11)에 제 2 모재(20)의 수직부(23)가 대면되면서 그 상부에 제 1 모재(10)의 제 1 굴곡부(12) 및 제 2 굴곡부(13)와 제 2 모재(20)의 절곡부(22)로 둘러싸는 용접 영역이 형성된다.
비드(30)는 제 1 모재(10)와 제 2 모재(20)의 용접 시 발생되는 용융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비드(30)는 제 1 모재(10)의 제 1 굴곡부(12) 및 제 2 굴곡부(13)와 제 2 모재(20)의 절곡부(22)로 둘러싸는 용접 영역의 형상에 의해 그 형상이 결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비드(30)가 형성하는 토우각(θc)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옵셋량(u)와 제 1 모재의 두께(t) 사이의 관계를 하기의 [관계식 1]로 한정한다.
u ≥ 0.3 × t ……… [관계식 1]
즉, 옵셋량(u)은 굴곡부(12, 13)을 형성하는 제 1 모재(10)의 두께(t)보다 0.3배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옵셋량(u)이 제 1 모재(10)의 두께(t)보다 0.3배보다 작게 되면 제 1 모재(10)가 거의 직선에 가깝게 되어 원하는 수준만큼 토우각(θc)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제 1 굴곡부(12)의 제 1 곡률(R1) 및 제 2 굴곡부(13)의 제 2 곡률(R2)는 제 1 모재(10)의 두께(t)와의 관계를 하기의 [관계식 2] 및 [관계식 3]로 한정한다.
R1 ≥ 2×t ……… [관계식 2]
R2 ≥ t ……… [관계식 3]
이렇게 제 1 굴곡부(12)의 제 1 곡률(R1) 및 제 2 굴곡부(13)의 제 2 곡률(R2)을 한정함에 따라 용접시 용융금속이 제 1 모재(10)의 제 1 굴곡부(12) 및 제 2 굴곡부(13)와 제 2 모재(20)의 절곡부로 둘러싸이는 용접 영역으로 잘 모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비교예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T 플렛 용접의 결과물이고,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T형 용접의 결과물이다.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제품의 단품 내구 시험 후 제품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결과를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a 및 도 5b는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제품의 단품 내구 시험 후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에서는 비드의 토우각이 115°로 형성된 반면에, 실시예에서는 비드의 토우각이 150°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에서는 비드의 각장이 28㎜로 형성된 반면에, 실시예에서는 비드의 각장이 40㎜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용접 제품의 용접부 응력비교를 위한 단위 하중 인가 시 응력의 분포 상태를 해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 1 모재의 제 1 평탄부를 고정하고, 제 1 모재의 제 2 평탄부와 제 2 모재의 본체부에 각각 동일한 하중을 부여했을 때 최대 응력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T형 접합 구조인 비교예를 100%로 설정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 구조는 비교예 대비 55%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에서 비드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단품 내구 시험에 따르면, 비교예는 수명이 26.1만회인 반면에, 실시예는 수명이 39.2만회로 증가하였다.
여기서 단품 내구 시험은 차량 전체를 제작하여 평가하는 실차 평가 단계 전에 검증하고자 하는 부품과 그 주변의 차량을 구성하는 몇가지의 부품만 제작하여 시험하는 방법이다.
내구 평가를 위하여 차량 전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비용과 시간이 상당함은 자명하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부분의 부품과 그 부품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부품을 제작하여 평가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단품 내구 시험 단계에서 검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차 시험의 결과도 예상 가능하다. 이러한 단품 내구 시험은 동종업계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제조업 부분에서도 널리 사용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10: 제 1 모재 2, 20: 제 2 모재
2a: 절곡부 2b: 수직부
3, 30: 비드 11: 제 1 평탄부
12: 제 1 굴곡부 13: 제 2 굴곡부
14: 제 2 평탄부 21: 본체부
22: 절곡부 23: 수직부

Claims (7)

  1. 제 1 모재에 제 2 모재를 T형으로 용접하는 이음매의 접합구조로서,
    제 1 평탄부와 제 2 평탄부 사이에 굴곡부가 형성된 제 1 모재와;
    본체부의 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 1 모재의 굴곡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모재와;
    상기 제 1 모재의 굴곡부와 제 2 모재의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드를 포함하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재는 중력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재는 중력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2 모재의 절곡부는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재는 절곡부의 단부에 제 1 모재와 평행한 수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모재는 상기 제 1 평탄부가 상기 제 2 모재의 수직부에 대면되고, 상기 제 2 평탄부는 상기 제 1 평탄부의 상부 방향으로 굴곡부를 매개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평탄부와 제 2 평탄부가 옵셋량(u) 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옵셋량(u)와 제 1 모재의 두께(t)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u ≥ 0.3 × t ……… [관계식 1]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재에 형성되는 굴곡부는,
    제 1 평탄부에서 제 1 곡률(R1)로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제 1 굴곡부와;
    제 1 굴곡부에서 제 2 곡률(R2)로 굴곡되면서 연장되어 제 2 평탄부에 연결되는 제 2 굴곡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의 제 1 곡률(R1) 및 제 2 굴곡부의 제 2 곡률(R2)는 제 1 모재의 두께(t)와 하기의 [관계식 2] 및 [관계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R1 ≥ 2×t ……… [관계식 2]
    R2 ≥ t ……… [관계식 3]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는 제 2 모재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되고,
    상기 제 2 굴곡부는 제 2 모재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KR1020200039164A 2020-03-31 2020-03-31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KR20210122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64A KR20210122408A (ko) 2020-03-31 2020-03-31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US17/071,199 US11628631B2 (en) 2020-03-31 2020-10-15 Welding structure of T-type welding joint
CN202011246008.8A CN113458645A (zh) 2020-03-31 2020-11-10 T型焊接接头的焊接结构
DE102020129587.1A DE102020129587A1 (de) 2020-03-31 2020-11-10 Schweissstruktur einer t-förmigen schweissverbind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64A KR20210122408A (ko) 2020-03-31 2020-03-31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408A true KR20210122408A (ko) 2021-10-12

Family

ID=7765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64A KR20210122408A (ko) 2020-03-31 2020-03-31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28631B2 (ko)
KR (1) KR20210122408A (ko)
CN (1) CN113458645A (ko)
DE (1) DE10202012958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214A (ko) 2015-07-28 2018-02-2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필릿 아크 용접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1309B4 (de) * 2000-12-08 2005-07-28 Nothelfer Gmbh Verfahren zur Verbindung von Seitenteil und Dachteil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und Verbindung hergestellt unte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WO2014084317A1 (ja) 2012-11-29 2014-06-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隅肉アーク溶接継手の形成方法及び隅肉アーク溶接継手
FR3020583B1 (fr) * 2014-04-30 2016-04-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assemblage de toles en materiaux differents
JP5994879B2 (ja) 2015-02-12 2016-09-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重ね隅肉アーク溶接継手
MX369542B (es) 2015-02-13 2019-11-12 Nippon Steel Corp Junta soldada en filete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214A (ko) 2015-07-28 2018-02-2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필릿 아크 용접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58645A (zh) 2021-10-01
US11628631B2 (en) 2023-04-18
US20210299972A1 (en) 2021-09-30
DE102020129587A1 (de)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2401B1 (en) End section of frame member
US6398260B1 (en) Side rail for a vehicle frame assembly
JP2006306211A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材の溶接構造部材
US20030184075A1 (en) Frame member having overlapping reinforcement sections
JP6570989B2 (ja) サスペンションのコントロールアーム
KR20210122408A (ko) T형 용접 이음매의 접합 구조
US11718352B2 (en) Vehicle engine cradle structure
JPH05221209A (ja) 車両の懸架システム用制御アーム
JP3942132B2 (ja) 溶接継手構造材
RU2667676C2 (ru) Подвеска со скручивающейся балкой
JP6065147B1 (ja) 重ね隅肉アーク溶接継手、プレス成形部品の接合構造
US10688600B2 (en) Structure having stress protected groove weld and structural members forming the same
JP6014384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EP1547716B1 (en) Mounting bracket
US11052950B2 (en) Vehicle pillar member
JP5201010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7361331B2 (ja) 継手構造及び構体、並びに構造体
US20240123782A1 (en) Suspension arm
JP7044099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US11351827B2 (en) Automobile suspension part
JP6922753B2 (ja) 溶接接合構造体および溶接接合方法
CN210011565U (zh) 一种扭转梁后桥总成
JPH09193633A (ja) L字状チャンネル構造体
JP4012387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溶接継ぎ手
JPH09141427A (ja) 鋼板の重ね隅肉溶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