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583A -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583A
KR20210121583A KR1020200038517A KR20200038517A KR20210121583A KR 20210121583 A KR20210121583 A KR 20210121583A KR 1020200038517 A KR1020200038517 A KR 1020200038517A KR 20200038517 A KR20200038517 A KR 20200038517A KR 20210121583 A KR20210121583 A KR 2021012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rning alarm
warning
alarm
vis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583A/ko
Publication of KR2021012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인 차량이 긴급 제동을 실시하기 전에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경고 알람을 발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청각적 경고 알람 및 시각적 경고 알람의 제공 우선순위를 다르게 변경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EXTERNAL WARNING ALARM METHOD AND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인 차량이 긴급 제동을 실시하기 전에 전방에 위치한 물체(충돌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이 주행 중인 상황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물체(충동대상물)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경우 또는 운전자의 전방 주시 불이행으로 전방의 물체를 늦게 인식한 경우와 같이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는 긴급 제동을 실시하게 된다.
일반적인 차량의 긴급 제동 감지는 브레이크 센서값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제동 신호의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 경우 긴급 제동으로 판정하고, 긴급 제동으로 판정시 경고등 및 비상등을 점등하여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긴급 제동은 제동시 차량의 감속 정도를 검출하는 감속 검출 센서를 이용해서 검출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은 긴급 제동이 발생된 시점 이후에 타 차량이나 또는 보행자에게 경고 알람을 주는 구성으로, 타 차량의 운전자나 또는 보행자는 경고 알람을 듣고 충돌에 대응할 시간이 부족하며, 이로 인해 충돌 회피의 기회가 줄어듦에 따라 사고를 충분히 예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6879호
본 발명은, 주행 중인 차량이 긴급 제동을 실시하기 전에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토록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로서, 타 차량의 운전자나 또는 보행자 또는 동물들에게 충돌 회피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고 발생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방에 위치한 물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경고 알람을 발생하고, 특히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경고 알람의 종류에 우선순위를 설정해서, 사고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은, 주행 중인 차량에서 긴급 제동 상황임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긴급 제동 상황으로 판단시 긴급 제동을 하기 전에 차량의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알람은 청각적 경고 알람 또는 시각적 경고 알람 또는 충돌 대상의 사람이 보유한 모바일 폰으로 전송되는 충돌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단계는 주행 중인 차량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통해 긴급 제동 상황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체의 종류에 따라 경고 알람을 다른 방식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체가 보행자 또는 사람이 탑승한 개인이동수단으로 식별된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 및 충돌 경고 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체가 동물로 식별된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을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물에게 발생하는 청각적 경고 알람은 동물별로 동물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물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송출할 때에는 소음 방지를 위해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음파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물이 싫어하는 적색등을 점멸시키는 방식으로 동물에게 시각적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체가 차량으로 식별된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을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 중인 차량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통해 충돌 위험의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충돌 위험 레벨은 물체와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아지고; 상기 충돌 위험 레벨이 높을수록 시각적 경고 알람은 제공되는 시각적 신호의 주기가 빨라지고 청각적 경고 알람은 제공되는 소리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간정보를 이용해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단하고; 상기 주간 또는 야간의 상황에 따라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의 제공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간인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이 시각적 경고 알람보다 우선순위로 발생하고; 야간인 경우 시각적 경고 알람이 청각적 경고 알람보다 우선순위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센서; 차량 전방의 물체를 식별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전방카메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 및 상기 차속센서와 전방카메라 및 거리센서의 신호를 이용해서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람장치는 청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장치 또는 시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등 발생장치 또는 충돌 대상의 사람이 보유한 모바일 폰으로 충돌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경고 신호 전송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이 긴급 제동을 실시하기 전에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타 차량의 운전자나 또는 보행자 또는 동물들에게 충돌 회피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경고 알람을 발생하고, 특히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청각적 경고 알람 및 시각적 경고 알람의 제공 우선순위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사고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및 블럭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및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이 급제동을 하기 전에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해서 사고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센서(1); 차량 전방의 물체(20)를 식별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전방카메라(2);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와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3); 및 상기 차속센서(1)와 전방카메라(2) 및 거리센서(3)의 신호를 이용해서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제어기(4);를 포함한다.
알람장치(10)는 청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장치(11) 또는 시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등 발생장치(12) 또는 충돌 대상의 사람이 보유한 모바일 폰(5)으로 충돌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경고 신호 전송장치(13)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경고음 발생장치(11)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적음, 및 특정 주파수 영역대의 음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경고등 발생장치(12)는 전조등, 및 비상등과 같이 차량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램프류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특정된 색상을 선택해서 방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경고 신호 전송장치(13)는 차량 외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안테나와 같은 장치로서 모바일 기지국을 통해 충돌 대상의 사람이 보유한 모바일 폰(5)으로 충돌 경고 신호(문자, 진동, 경고음)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 주행을 시작하면(단계 S1), 전방카메라(2)는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20)를 실시간으로 촬영해서 차량제어기(4)로 전송하고, 거리센서(3)는 주행 중인 차량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와의 이격거리를 실시간으로 검출해서 차량제어기(4)로 전송한다.
차량제어기(4)는 전방카메라(2)의 정보를 이용해서 배경을 제외한 차량 전방의 물체(20)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해서 물체(20)의 종류를 식별하고, 또한 거리센서(3)의 정보를 이용해서 전방 물체(20)와의 이격거리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게 된다.(단계 S2)
전방 물체(20)와의 이격거리가 충돌 위험이 있는 근접된 이격거리로 판단된 경우, 차량제어기(4)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수초 이내에 긴급하게 제동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긴급 제동 상황)으로 판단하게 되고(단계 S3), 이와 같이 긴급 제동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제어기(4)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이나 또는 차량의 자동 제동 제어에 의한 긴급 제동이 시작되기 전에 차량에 구비된 알람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해서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하게 된다.
알람장치(10)에서 발생되는 경고 알람은 청각적 경고 알람 또는 시각적 경고 알람 또는 충돌 대상의 사람이 보유한 모바일 폰(5)으로 전송되는 충돌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알람장치(10)를 이용해서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할 때에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의 종류에 따라 경고 알람을 다른 방식으로 발생하게 된다.
제1실시예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가 보행자(21) 또는 사람이 탑승한 개인이동수단(22)으로 식별된 경우이며(단계 S4), 이때에는 경고음 발생장치(11)를 이용한 청각적 경고 알람과 경고등 발생장치(12)를 이용한 시각적 경고 알람 및 경고 신호 발생장치(13)를 이용한 충돌 경고 신호를 모두 발생한다.(단계 S5)
보행자(21)는 걸어서 이동하는 이족 보행자이고, 개인이동수단(22)에는 세그웨이(segway), 전동식 킥보드(kick board), 전동식 휠체어, 자전거 등 차량을 제외하고 사람이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가 동물(23)로 식별된 경우이고(단계 S6), 이때에는 경고음 발생장치(11)를 이용한 청각적 경고 알람과 경고등 발생장치(12)를 이용한 시각적 경고 알람을 동시에 발생한다.(단계 S7)
여기서, 동물(23)에게 발생하는 청각적 경고 알람은 동물별로 동물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영역으로부터 동물(23)의 긴급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동물(23)의 로드 킬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동물(23)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송출할 때에는 사람이 음파 신호를 소음으로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음파 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
또한, 동물(23)이 싫어하는 적색등을 점멸시키는 방식으로 해서 동물(23)에게 시각적 경고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동물(23)들의 긴급한 대피를 유도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는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가 차량(24)으로 식별된 경우이고(단계 S8), 이때에는 경고음 발생장치(11)를 이용한 청각적 경고 알람과 경고등 발생장치(12)를 이용한 시각적 경고 알람을 동시에 발생한다.(단계 S9)
한편,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에게 경고음 발생장치(11)를 이용한 청각적 경고 알람 및 경고등 발생장치(12)를 이용한 시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할 때에는, 도 4와 같이 주행 중인 차량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와의 이격거리를 통해 충돌 위험의 레벨을 먼저 판단하게 되며, 충돌 위험 레벨은 물체(20)와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아지고, 충돌 위험 레벨이 높을수록 시각적 경고 알람은 제공되는 시각적 신호의 주기가 빨라지고 청각적 경고 알람은 제공되는 소리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즉, 충돌 위험 레벨이 레벨 1인 경우는 충돌까지의 이격거리가 미리 입력된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확보된 상황으로, 이때에는 느린 주기로 경고등이 점멸되도록 하는 시각적 경고 알람만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충돌 위험 레벨이 레벨 2인 경우는 충돌까지의 이격거리가 레벨 1보다 줄어든 상황으로, 이때에는 빠른 주기로 경고등이 점멸되도록 하는 시각적 경고 알람 및 작은 크기의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청각적 경고 알람이 동시에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충돌 위험 레벨이 레벨 3인 경우는 충돌까지의 이격거리가 레벨 2보다 더 줄어든 긴박한 상황으로, 이때에는 빠른 주기로 경고등이 점멸되도록 하는 시각적 경고 알람 및 큰 크기의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청각적 경고 알람이 동시에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에게 경고음 발생장치(11)를 이용한 청각적 경고 알람 및 경고등 발생장치(12)를 이용한 시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현재의 시간정보를 이용해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단하고, 주간 또는 야간의 상황에 따라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의 제공 우선순위를 달리해서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보행자 또는 동물)가 경고 알람을 보다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주간인 경우에는 경고음 발생장치(11)를 이용한 청각적 경고 알람이 경고등 발생장치(12)를 이용한 시각적 경고 알람보다 우선순위로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야간인 경우에는 시각적 경고 알람이 청각적 경고 알람보다 우선순위로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는, 주행 중인 차량이 긴급 제동을 실시하기 전에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타 차량의 운전자나 또는 보행자 또는 동물들에게 충돌 회피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20)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경고 알람을 발생하고, 특히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청각적 경고 알람 및 시각적 경고 알람의 제공 우선순위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사고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차속센서 2 - 전방카메라
3 - 거리센서 4 - 차량제어기
5 - 모바일 폰 10 - 알람장치
11 - 경고음 발생장치 12 - 경고등 발생장치
13 - 경고 신호 전송장치 20 - 물체
21 - 보행자 22 - 개인이동수단
23 - 동물 24 - 차량

Claims (14)

  1. 주행 중인 차량에서 긴급 제동 상황임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긴급 제동 상황으로 판단시 긴급 제동을 하기 전에 차량의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알람은 청각적 경고 알람 또는 시각적 경고 알람 또는 충돌 대상의 사람이 보유한 모바일 폰으로 전송되는 충돌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주행 중인 차량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통해 긴급 제동 상황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체의 종류에 따라 경고 알람을 다른 방식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보행자 또는 사람이 탑승한 개인이동수단으로 식별된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 및 충돌 경고 신호가 함께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동물로 식별된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을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물에게 발생하는 청각적 경고 알람은 동물별로 동물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송출할 때에는 소음 방지를 위해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음파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싫어하는 적색등을 점멸시키는 방식으로 동물에게 시각적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차량으로 식별된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을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 중인 차량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통해 충돌 위험의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충돌 위험 레벨은 물체와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아지고;
    상기 충돌 위험 레벨이 높을수록 시각적 경고 알람은 제공되는 시각적 신호의 주기가 빨라지고 청각적 경고 알람은 제공되는 소리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시간정보를 이용해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단하고;
    상기 주간 또는 야간의 상황에 따라 청각적 경고 알람과 시각적 경고 알람의 제공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주간인 경우 청각적 경고 알람이 시각적 경고 알람보다 우선순위로 발생하고;
    야간인 경우 시각적 경고 알람이 청각적 경고 알람보다 우선순위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센서;
    차량 전방의 물체를 식별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전방카메라;
    차량 전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 및
    상기 차속센서와 전방카메라 및 거리센서의 신호를 이용해서 차량 외부로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알람장치는 청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장치 또는 시각적 경고 알람을 발생하는 경고등 발생장치 또는 충돌 대상의 사람이 보유한 모바일 폰으로 충돌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경고 신호 전송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장치.
KR1020200038517A 2020-03-30 2020-03-30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KR20210121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517A KR20210121583A (ko) 2020-03-30 2020-03-30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517A KR20210121583A (ko) 2020-03-30 2020-03-30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583A true KR20210121583A (ko) 2021-10-08

Family

ID=7860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517A KR20210121583A (ko) 2020-03-30 2020-03-30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5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423A (zh) * 2022-01-29 2022-05-1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音频的播放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30060612A (ko) * 2021-10-27 2023-05-08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6879A (ko) 2010-09-10 2012-03-2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긴급 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6879A (ko) 2010-09-10 2012-03-2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긴급 제동 경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612A (ko) * 2021-10-27 2023-05-08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4475423A (zh) * 2022-01-29 2022-05-1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音频的播放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475423B (zh) * 2022-01-29 2023-09-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音频的播放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7230B2 (en) AI-bas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and harm minimization
US11500378B2 (en) Active lighting control for communicating a state of an autonomous vehicle to entities in a surrounding environment
CN108068820B (zh) 用于识别违反规则行为的方法和设备
CN107839797A (zh) 自行车安全禁区系统
US10081299B2 (en) Front end sensor for pedestrians
US2013009080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130139928A (ko) 차량 안전 제어 디바이스의 반응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6500664A (ja) 車両の衝突を阻止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919536B2 (en) Emergency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20091790A (ja) 自動運転システム
KR10260020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6627354A (zh) 一种增强车辆主动安全的车外提醒方法及系统
KR20170042248A (ko) 차량의 운전자의 적응 반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54862B1 (ko) 차량용 보행자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10121583A (ko)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JP2019026201A (ja) 車外報知装置
JP4063142B2 (ja) 夜間障害物報知装置
JP2017097846A (ja) 交通参加者の注意度を改善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801789B2 (en) Self-adapting variable loudness and/or variable sound pattern emergency vehicle siren system with optional collision warning
US10926778B2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device
JP2006323766A (ja) 車両用通信装置
US11328604B2 (en) Individual alert system and method
JP2017117191A (ja) 運転支援装置
JP2009042824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102593554B1 (ko) 긴급제동 상황에서의 보행자 경고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