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448A - 스크라이빙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라이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448A
KR20210120448A KR1020200037155A KR20200037155A KR20210120448A KR 20210120448 A KR20210120448 A KR 20210120448A KR 1020200037155 A KR1020200037155 A KR 1020200037155A KR 20200037155 A KR20200037155 A KR 20200037155A KR 20210120448 A KR20210120448 A KR 20210120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strate
edge
scribing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466B1 (ko
Inventor
김종구
박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3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46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7/0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05Devices for the automatic drive or the program control of the mac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단재를 이송하는 단재 이송 유닛; 상기 단재 이송 유닛의 일측에 위치한 단재 파쇄기; 및 상기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단재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 인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라이빙 장치{SCRIBI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라이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단부로부터 절단된 기판의 단재를 이송하여 처리하는 단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무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투과형 프로젝터 기판, 반사형 프로젝터 기판 등은 유리와 같은 취성의 머더 글라스 패널(이하, '기판'이라 함)로부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단위 글라스 패널(이하, '단위 기판'이라 함)을 사용한다.
기판을 단위 기판으로 절단하는 공정은, 기판이 절단될 절단 예정선을 따라 다이아몬드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스크라이빙 휠을 기판에 가압한 상태에서 스크라이빙 휠 및/또는 기판을 이동시켜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 공정을 포함한다.
기판을 단위 기판으로 절단하는 공정 중에는, 단위 기판에 포함되지 않는 단재(더미(dummy) 또는 컬릿(cullet), 즉, 단위 기판의 유효 영역으로서 사용되지 않고 절단된 후 버려지는 비유효 영역)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9195호는 휠 팁을 사용하여 글라스 기판에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한 후, 지지 장치에 설치된 척을 사용하여 액정 머더 기판의 절단편을 파지하여 절단편을 분리시키고 폐기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기판의 단부로부터 절단되어 제거된 단재는 컨베이어 벨트 등의 단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후 단재 수용부에 수용된다. 그러나, 단재 이송부로부터 단재 수용부로 단재가 이송되는 과정 중, 단재가 비정상적인 상태(세워진 상태)로 이동되어 단재 파쇄기로 진입하지 못하고 그 입구에 정체됨으로써, 후속하는 단재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단재 파쇄기의 입구를 차단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재 이송부와 단재 파쇄기 사이에서 단재가 정상적인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하는 단재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단재 파쇄기의 입구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단재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단재 이송 유닛; 단재 이송 유닛의 일측에 위치한 단재 파쇄기; 및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단재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 인가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외력 인가 유닛은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단재와 충돌하는 충돌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력 인가 유닛은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단재에 가압하는 가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력 인가 유닛은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단재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단재가 세워져서 이동하는 경우, 외력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재 이동부 상에서 단재가 정상적인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하는 단재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단재 파쇄기의 입구를 차단한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단재 파쇄기의 정비 및 보수하는 횟수가 줄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절단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절단 장치의 단재 제거 유닛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재 처리 유닛에 구비되는 감지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력 인가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력 인가 유닛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외력 인가 유닛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력 인가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외력 인가 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에 의해 절단되는 대상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이 합착된 합착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기판은 컬러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기판은 컬러 필터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합착 기판을 간단히 기판이라고 하며, 외부로 노출된 제1 기판의 표면을 제1 면이라고 하고, 외부로 노출된 제2 기판의 표면을 제2 면이라고 한다.
또한, 기판 절단 공정이 수행될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을 Y축 방향이라 정의하고, 기판이 이송되는 방향(Y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X축 방향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기판이 놓이는 X-Y평면에 수직인 방향을 Z축 방향이라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스크라이빙 장치는, 스크라이빙 유닛(30)과, 기판(S)을 스크라이빙 유닛(30)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유닛(10)과, 기판(S)을 스크라이빙 유닛(30)으로부터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 유닛(20)과, 스크라이빙 유닛(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재 제거 유닛(40)과, 단재 제거 유닛(40)에 의해 제거된 단재를 처리하는 단재 처리 장치(70) 와, 기판 절단 장치의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라이빙 유닛(30)은 기판(S)의 제1 면 및 제2 면에 X축 방향으로 스크라이빙 라인을 각각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라이빙 유닛(3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31)과, 제1 프레임(31)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스크라이빙 헤드(32)와, 제1 프레임(31)의 아래에서 제1 프레임(31)과 평행하게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33)과, 제2 프레임(33)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스크라이빙 헤드(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 및 제1 및 제2 프레임(31, 33) 사이에는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선 이동 기구는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에는 X축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스크라이빙 헤드(3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33)에는 X축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스크라이빙 헤드(34)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 및 제2 프레임(33) 사이에는 기판(S)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 및 제2 프레임(33)은 개별적인 부재로서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거나,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스크라이빙 헤드(32)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4)는 Z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에는 스크라이빙 휠(351)을 유지하는 휠 홀더(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라이빙 헤드(32)에 장착되는 스크라이빙 휠(351)과 제2 스크라이빙 헤드(34)에 장착되는 스크라이빙 휠(351)은 Z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라이빙 휠(351)은 각각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 가압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라이빙 휠(351)이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 각각 가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가 기판(S)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는 X축 방향으로 스크라이빙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는 각각 제1 및 제2 프레임(31, 33)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 및 제1 및 제2 프레임(31, 33) 사이에는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 모듈(38, 39)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 이동 모듈(38, 39)은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기구와 같은 직선 이동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가 각각 제1 및 제2 프레임(31, 33)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스크라이빙 휠(351)이 기판(S)에 가압되거나 기판(S)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스크라이빙 휠(351)이 기판(S)에 가하는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가 Z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스크라이빙 휠(351)의 기판(S)으로의 절삭 깊이(침투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이송 유닛(10)은 기판(S)을 지지하는 복수의 벨트(11)와, 복수의 벨트(11) 상에 지지된 기판(S)의 후행단을 파지하는 파지 부재(12)와, 파지 부재(12)와 연결되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13)와, 지지바(13)와 연결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레일(14)과, 스크라이빙 유닛(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판(S)을 부양시키거나 흡착하여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벨트(11)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각 벨트(11)는 복수의 풀리(111)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풀리(111) 중 적어도 하나는 벨트(1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풀리일 수 있다.
지지바(13)와 제1 가이드 레일(14) 사이에는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기구와 같은 직선 이동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 부재(12)가 기판(S)을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바(13)가 직선 이동 기구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기판(S)이 Y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벨트(11)는 파지 부재(12)의 이동과 동기화되어 회전하면서 기판(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파지 부재(12)는 기판(S)을 가압하여 유지하는 클램프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파지 부재(12)는 진공원과 연결된 진공홀을 구비하여 기판(S)을 흡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는 기판(S)을 부양시키거나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15)의 표면에는 가스 공급원 및 진공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제1 플레이트(15)의 복수의 슬롯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기판(S)이 제1 플레이트(15)로부터 부양될 수 있다. 또한, 진공원에 의해 형성된 부압에 의해 제1 플레이트(15)의 복수의 슬롯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 기판(S)이 제1 플레이트(15)에 흡착될 수 있다.
기판(S)이 제1 플레이트(15)로부터 부양된 상태에서 기판(S)은 제1 플레이트(15)와 마찰 없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 스크라이빙 라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기판(S)은 제1 플레이트(15)에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이송 유닛(20)은, 스크라이빙 유닛(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흡착 기판(S)을 부양시키거나 흡착하여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25)와, 제2 플레이트(25)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송 벨트(21)와, 제2 플레이트(25) 및 이송 벨트(21)를 Y축 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장치(26)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레일(24)을 따라 제2 플레이트(25) 및 이송 벨트(21)를 Y축 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동 장치(26)로는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기구와 같은 직선 이동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5)와 이송 벨트(21)는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플레이트(25)와 이송 벨트(21)는 기판(S)이 이송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Y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크라이빙 유닛(30)에 의해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 각각 스크라이빙 라인이 형성될 때, 제2 플레이트(25)는 제1 플레이트(15)를 향하여 이동되며, 제1 플레이트(15)와 제2 플레이트(25) 사이에 제1 및 제2 스크라이빙 헤드(32, 34)가 위치될 수 있다. 스크라이빙 유닛(30)에 의해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 각각 스크라이빙 라인이 형성될 때, 제2 플레이트(25)가 제1 플레이트(15)를 향하여 이동되므로, 기판(S)이 제1 플레이트(15) 및 제2 플레이트(25) 모두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송 벨트(2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이송 벨트(21)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각 이송 벨트(21)는 복수의 풀리(211)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풀리(211) 중 적어도 하나는 이송 벨트(2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풀리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5)는 기판(S)을 부양시키거나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25)의 표면에는 가스 공급원 및 진공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제2 플레이트(25)의 복수의 슬롯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기판(S)이 제2 플레이트(25)로부터 부양될 수 있다. 또한, 진공원에 의해 형성된 부압에 의해 제2 플레이트(25)의 복수의 슬롯을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 기판(S)이 제2 플레이트(25)에 흡착될 수 있다.
기판(S)이 제2 플레이트(25)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2 플레이트(25)의 슬롯으로 가스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기판(S)이 제2 플레이트(25)와 마찰 없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 스크라이빙 라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흡착 기판(S)은 제2 플레이트(25)에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S)의 제1 및 제2 면에 각각 스크라이빙 라인이 형성된 이후에, 기판(S)이 제1 플레이트(15) 및 제2 플레이트(25)에 흡착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25)가 제1 플레이트(15)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됨에 따라, 기판(S)이 스크라이빙 라인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한편, 기판(S)이 제2 플레이트(25)로부터 후속 공정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플레이트(25)의 슬롯으로 가스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기판(S)은 제2 플레이트(25)와 마찰 없이 이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재 제거 유닛(40)은 기판(S)의 선행단의 가장자리 및 기판(S)의 후행단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단재(더미(dummy) 또는 (컬릿(cullet), 즉, 단위 기판으로서 사용되지 않고 절단된 후 버려지는 비유효 영역)을 파지하여 기판(S)으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단재 제거 유닛(40)은 제1 이송 유닛(10) 및 제2 이송 유닛(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재 제거 유닛(4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41)와, 지지대(41)에 배치되는 클램프 모듈(42)과, 지지대(41)를 지지대(41)의 중심축(X축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43)과, 지지대(4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모듈(44)과, 지지대(4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 모듈(4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듈(43)은 지지대(41)의 회전 중심축에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된 회전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모듈(43)은 회전 모터의 회전축과 지지대(41)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벨트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이동 모듈(44) 또는 수직 이동 모듈(45)은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기구와 같은 직선 이동 기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회전 모듈(43), 수평 이동 모듈(44) 및 수직 이동 모듈(45)이 지지대(4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구성을 도시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모듈(43), 수평 이동 모듈(44) 및 수직 이동 모듈(45)이 지지대(41)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지지대(41)의 타측에 지지대(41)의 회전,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이 구비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클램프 모듈(42)은 지지대(41)를 따라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 모듈(42)은 지지대(41)를 따라 연장된 가이드(411)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프 모듈(42)과 가이드(411) 사이에는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기구와 같은 직선 이동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클램프 모듈(42)이 직선 이동 기구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복수의 클램프 모듈(4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클램프 모듈(42)이 기판(S)의 폭에 적절하게 대응하게 배치되어 기판(S)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단재 제거 유닛(40)에 의해 기판(S)의 단부로부터 제거된 단재(D)는 단재 처리 장치(7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재 처리 장치(70)는, 단재 제거 유닛(40)에 의해 제거된 단재(D)를 이송하는 단재 이송 유닛(71)과, 단재 이송 유닛(71)에 의해 이송된 단재(D)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단재 수용 유닛(7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단재 이송 유닛(71)은, 컨베이어 벨트(711)와, 컨베이어 벨트(711)를 지지하는 풀리(7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재 제거 유닛(40)의 클램프 모듈(42)에 의해 기판(S)의 단부로부터 제거된 단재(D)는 컨베이어 벨트(711) 상으로 낙하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711) 상으로 낙하한 단재(D)는 컨베이어 벨트(711)에 의해 단재 수용 유닛(72)을 향하여 이송될 수 있다.
단재 이송 유닛(71)로 낙하한 단재(D)는 단재 수용 유닛(72)에 수용될 수 있는 상태인 정상적인 상태를 가지거나, 단재 수용 유닛(72)에 수용될 수 없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단재(D)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711)를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74)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74)에 의해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를 인지하게 되면, 외력인가부를 통해 외력을 주어,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가 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로 되도록 단재(D)의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74)는 단재 수용 유닛(72) 또는 단재 수용 유닛(72)과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센서(74)는 컨베이어 벨트(711)에 단재(D)가 접하는 면의 표면에서 단재(D)의 위치가 이격된 초과 거리(h)인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격된 초과 거리(h)를 가지는 단재(D)는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로 보고, 이와 반대로, 이격된 초과 거리(h)를 갖지 않는 단재(D)를 정상적인 상태의 단재로 본다.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의 경우에, 단재 수용 유닛(72)에 수용되기 어렵다. 반면, 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의 경우에 단재 수용 유닛(72)에 수용되기 쉽다.
감지 센서(74)에 의해서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가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 발생 유닛에 의해 알람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단재(D)를 치우는 등의 행위를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단재(D)에 의해 후속되는 진행에 막힘 현상을 저지할 수 있다.
또는, 감지 센서(74)에 의해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가 감지되고, 감지가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즉, 단재(D)의 정체 현상이 발생하면, 감지 센서(74)가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정시간 동안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가 유지되는 경우에 감지 센서(74)가 이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준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정체 현상이란, 단재(D)가 감지 센서(74)에 의해 10초 이상 감지된 경우를 말한다.
단재 수용 유닛(72)에 수용될 수 없는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를 가지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재 이송 유닛(71)에 제1 외력 인가 유닛(73) 또는 제2 외력 인가 유닛(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력 인가 유닛(73)은 컨베이어 벨트(711) 상에서 이동하는 단재(D)에 직접적인 외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써, 단재 수용 유닛(72)으로 이송되기 어려운 비정상적인 상태로부터 단재 수용 유닛(72)으로 이송되기 쉬운 정상적인 상태로 단재(D)의 위치 및 자세를 직접적으로 변경시킨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외력 인가 유닛(73)의 일례로, 충돌 부재(731), 가압부(732), 유체 분사부(7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돌 부재(731)는 단재 수용 유닛(72)과 가까운 쪽의 컨베이어 벨트(711) 상에 위치하고, 컨베이어 벨트(711) 상에서의 단재(D)의 이탈을 방지하며, 단재(D)를 단재 수용 유닛(72)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71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 일례로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가이드부를 들 수 있다.
충돌 부재(731)는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가 충돌 부재(731)와 접촉으로 인해, 충돌 부재(731)를 따라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정상적인 상태로 단재(D)의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부(732)는 컨베이어 벨트(711) 상에서 단재(D)의 이탈을 방지하고, 단재(D)를 단재 수용 유닛(72)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711)의 외측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가압부(732)는 단재 수용 유닛(72)과 이격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732)는 컨베이어 벨트(711) 상에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단재(D)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재(D)에 외력을 부가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체 분사부(733)도 단재 수용 유닛(72)과 이격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유체 분사부(733)는 액체 또는 기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이다.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에 유체를 분사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단재(D)의 위치 및 자세를 변경시킨다.
또한, 제2 외력 인가 유닛(75)은 컨베이어 벨트(711)에 직접적인 외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써, 단재 수용 유닛(72)으로 이송되기 어려운 비정상적인 상태로부터 단재 수용 유닛(72)으로 이송되기 쉬운 정상적인 상태로 단재(D)의 위치 및 자세를 변경시킨다. 즉, 컨베이어 자체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컨베이어 상에 위치하고 있는 단재(D)의 막힘 현상을 풀어주고, 이에 정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2 외력 인가 유닛(75)의 일례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부(751) 또는 요철부(7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부(751)는 컨베이어에 진동을 부가하는 방법으로써, 컨베이어 벨트(711)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부여하여 간접적으로 단재(D)에 충격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철부(752)는 굴곡진 형상의 요철부(752)를 컨베이어 벨트(711)상에 놓아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를 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요철부(752)는 컨베이어(71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요철부(752)는 컨베이어 벨트(711)의 일면을 덮는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력 인가 유닛(75)의 다른 예로서,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단재 처리 장치(70)는 커버(76)의 일측에 각도 조정이 가능한 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변부가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를 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비정상적인 상태의 단재(D)를 감지 센서(74)가 감지하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711)를 역방향으로 일정시간동안 이동시킨 뒤에 다시 정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711)를 이동시킴으로써, 비정상적인 단재(D)를 정상적인 단재(D)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711)가 단재 수용 유닛(72)을 향하는 방향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단재 수용 유닛(7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70: 단재 처리 장치
71: 단재 이송 유닛
72: 단재 수용 유닛
73: 제1 외력 인가 유닛
74: 감지 센서
75: 제2 외력 인가 유닛
76: 커버
711: 컨베이어 벨트
712: 풀리
731: 충돌 부재
732: 가압부
733: 유체 분사부
751: 진동부
752: 요철부

Claims (5)

  1. 단재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단재 이송 유닛;
    상기 단재 이송 유닛의 일측에 위치한 단재 파쇄기; 및
    상기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단재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 인가 유닛;
    을 포함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인가 유닛은 상기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단재와 충돌하는 충돌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인가 유닛은 상기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단재에 가압하는 가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인가 유닛은 상기 단재 이송 유닛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단재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재가 세워져서 이동하는 경우, 외력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KR1020200037155A 2020-03-26 2020-03-26 스크라이빙 장치 KR10237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55A KR102375466B1 (ko) 2020-03-26 2020-03-26 스크라이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55A KR102375466B1 (ko) 2020-03-26 2020-03-26 스크라이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48A true KR20210120448A (ko) 2021-10-07
KR102375466B1 KR102375466B1 (ko) 2022-03-18

Family

ID=7811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55A KR102375466B1 (ko) 2020-03-26 2020-03-26 스크라이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4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130B1 (ko) * 2006-02-06 2006-07-0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용 기판 절단장치
KR20170030397A (ko) * 2015-09-09 2017-03-17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접 수하물 처리가 가능한 수하물 위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130B1 (ko) * 2006-02-06 2006-07-0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용 기판 절단장치
KR20170030397A (ko) * 2015-09-09 2017-03-17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접 수하물 처리가 가능한 수하물 위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466B1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9570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593614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593615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375466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2525334B1 (ko) 스크라이빙 장치
CN109824261B (zh) 基板切割装置及基板切割方法
KR102147127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353203B1 (ko) 단재 제거 장치
KR102341797B1 (ko) 단재 제거 유닛
KR20190059572A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90037830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341799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2353207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20200144167A (ko) 단재 제거 장치
KR102304575B1 (ko) 단재 제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단재 제거 방법
CN109553287B (zh) 划片设备及划片方法
KR20200087365A (ko) 더미 제거 유닛
KR20190059573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304576B1 (ko) 단재 제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CN116177862A (zh) 基板切割装置
KR102176872B1 (ko) 단재 제거 장치
KR10230457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2304577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353204B1 (ko) 스크라이빙 장치
CN112103228B (zh) 基板传送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