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328A -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28A
KR20210120328A KR1020200036906A KR20200036906A KR20210120328A KR 20210120328 A KR20210120328 A KR 20210120328A KR 1020200036906 A KR1020200036906 A KR 1020200036906A KR 20200036906 A KR20200036906 A KR 20200036906A KR 20210120328 A KR20210120328 A KR 2021012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aggregate
improved
sulfuric acid
tank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347B1 (ko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이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희 filed Critical 이원희
Priority to KR102020003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34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축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평균입도가 조절된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파쇄수단 및 선별수단이 구비된 파쇄선별장치; 상기 파쇄선별장치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황산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배출장치 및 경사판이 구비된 반응수조; 및 상기 반응수조에서 생성된 부유물을 침전하여 제거하는 침전수조;를 포함하는,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APPARATUS OF MANUFACTURING RECYCLED AGGREGATES DERIVED FROM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로부터 제조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폐기물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로서, 이 중 폐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지상 또는 지하의 건축물 또는 구축물을 철거할 때 발생된다.
현재 콘크리트용 골재, 열수송관 및 상수도공사의 뒷채움용 골재는 자연에서 채취한 쇄석골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쇄석골재 생산을 위한 자연환경 파괴가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폐콘크리트로부터 품질 및 검사 기준에 적합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생산기술 및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으로 전해장치를 포함하여 전해물질 주입을 통해 선별되는 전해형 습식선별공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순환골재 제조방법은 골재표면에 부착된 석회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워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성물질을 투입하여 석회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다량의 산성물질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다소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을 최소화하고, 품질 기준을 종래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석회를 제거할 수 있는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표면에 부착된 석회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축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평균입도가 조절된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파쇄수단 및 선별수단이 구비된 파쇄선별장치; 상기 파쇄선별장치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황산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배출장치 및 경사판이 구비된 반응수조; 및 상기 반응수조에서 생성된 부유물을 침전하여 제거하는 침전수조;가 구비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쇄선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조의 상단에 하나 이상의 경사판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전수조의 상징수인 황산수용액을 회수하여 반응수조로 재공급하는 순환장치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는 분사노즐, 황산수용액 저장조, pH측정기, 전자밸브, 유량조절밸브 및 펌프를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조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순환장치를 통해 회수된 황산수용액을 상기 반응수조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황산수용액의 저장조의 pH는 3~4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평균입도는 0.0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량 순환골재는 뒤채움용 또는 되메우기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는 골재표면에 부착된 석회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중 파쇄선별장치 이외의 공정에 대해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 순환골재 제조장치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축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평균입도가 조절된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파쇄수단 및 선별수단이 구비된 파쇄선별장치(110); 상기 파쇄선별장치(110)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황산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배출장치(122) 및 경사판(121)이 구비된 반응수조(120); 및 상기 반응수조(120)에서 생성된 부유물을 침전하여 제거하는 침전수조(130);가 구비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의 일 부분을 도식화한 것으로, 파쇄선별장치(110)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반응수조(120)에 투입하는 부분부터 침전수조(130)까지의 공정을 간단하게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파쇄선별장치(110)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이송 컨베이어(111)를 통해 운반하고, 진동체(112)를 거쳐 반응수조(120) 및 침전수조(130) 및 순환장치(140)를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반응수조(120) 내 상부에 경사판(121)을 구비하고 있으며, 중화 후 배출장치(122)를 통해 선별된 순환골재를 퍼올릴 수 있다.
상기 반응수조의 상단면(120a) 및 침전수조의 상단면(130a)은 수평면에 평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수조의 상단면(120a)는 상기 침전수조의 상단면(130a)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의 차가 있는 경우, 반응수조(120)에서 중화반응 후 남는 부유물 등이 침전수조(13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수조의 상단면(120a) 및 침전수조의 상단면(130a)는 수평면에 평행하거나 경사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조의 상단면이 경사가 있는 경우, 상기 침전수조의 상단면(130a)의 경사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10~20㎜ 아래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고, 상기 반응수조의 상단면(120a)의 경사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5~10㎜ 아래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파쇄선별장치(110)는 건축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평균입도가 조절된 순환골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쇄선별장치(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쇄선별장치(110)는 제1 파쇄수단, 제2 파쇄수단, …, 제n파쇄수단과 제1 선별수단, 제2 선별수단, …제 k선별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쇄수단 및 선별수단이 각각 1~5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파쇄수단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순환골재의 평균입도를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평균입도가 섬세하게 조절하는 경우, 입자가 작은 순환골재가 입자가 큰 순환골재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배향됨으로써, 최종 생성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골재의 평균입도를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보다 작은 순환골재의 입자를 생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는 비표면적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표면적이 향상되는 경우, 후술되는 황산수용액과의 중화반응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파쇄선별장치(110)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이송 컨베이어(111)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111)는 상기 순환골재를 이동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순환골재를 진동체(112)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체(112)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11)를 통해 운반되어진 상기 순환골재를 원진동, 타원진동 또는 직선진동을 통해 분산 이동을 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진동체(112)는 설치 각도에 따라 경사형 또는 수평형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체(112)를 통해 상기 순환골재가 분산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순환골재가 고르게 분산되어 이동되어 상기 반응수조(120)에서의 중화반응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상기 진동체(112)는 진동체 말단부(112a)를 더 포함하여 2단계에 거쳐 상기 순환골재를 분산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동체 말단부(112a)를 통해 한차례 더 고르게 분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반응수조(120)에서 상기 순환골재가 황산수용액과 중화반응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었던 석회성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순환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수조(120)는 상기 파쇄선별장치(110)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황산수용액으로 중화할 수 있고, 배출장치(122) 및 경사판(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응수조(120)의 상단에 하나 이상의 경사판(121)이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판(121)의 각도는 30~80°, 40~70°, 또는 50~60° 일 수 있으며, 상기 각도가 30°미만이면, 상기 순환골재의 낙하속도가 느려져 정체현상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가 90° 초과이면 상기 순환골재의 낙하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중화반응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판(121)은 2개 이상의 다겹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경사판(121)의 모양은 상기 반응수조(120)의 정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경사판(121)이 2개 이상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별된 순환골재는 상기 황산수용액과의 접촉면적이 보다 증가할 수 있어 중화반응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수조(120)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경사판(121)의 모양은 전술한 각도에 따라 기울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형태 및 모양에 의해 상기 선별된 순환골재와 상기 황산수용액의 중화반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경사판(121)의 각도는 일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상기 순환골재 표면의 석회의 양, 흐름에 따라 각 경사판(121)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상기 반응수조(120)는 배출장치(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장치(122)는 경사 컨베이어 또는 버킷 엘리베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출장치(122)는 방향 및 개수가 한정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반응수조(120)에서 침강한 순환골재를 반응수조(120)에서 퍼내는 기능을 하여 배출하거나 작업자의 의도대로 원하는 위치에 선별된 순환골재를 분배할 수 있으며, 반응수조(120)에서 중화반응을 촉진할 수 있고, 상기 중화반응이 이루어져 석회성분을 분리한 순환골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결국 최종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의 A 부분을 참고하면, 상기 배출장치(122)가 버킷엘리베이터인 경우, 하나 이상의 버킷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킷의 홀의 평균 지름이 3~5㎜일 수 있다. 상기 버킷의 개수는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배출장치(122) 및 경사판(121)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출장치를 통해 선별된 순환골재를 분배 또는 배출하고 경사판(121)을 통해 순환골재가 하강하는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순환골재가 황산수용액과의 중화반응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건축폐기물은 폐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상기 폐콘크리트는 시멘트와 골재와 물을 혼합하여 자연 상태에서 굳게 하여 건축물이 유지하도록 한 건축자재로 활용한 후에 폐기된 폐기물이다. 따라서, 폐콘크리트는 주성분이 골재(자연 골재, 부순 골재)와 수경성인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게 된 물질이다. 굳게 된 물질은 대부분이 수산화석회(Ca(OH)2)이지만 세월이 흐르게 되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일부가 탄산석회(CaCO3)로 변하기도 한다.
다만, 상기 수산화석회 및 탄산석회는 거의 물에 녹지 않으므로 건식방법 또는 습식 방법으로 파쇄하여도 상기 석회(CaO)성분은 골재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황산수용액과 상기 석회 부분의 중화반응 및 침전반응을 통하여 상기 석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석회 및 황산수용액의 중화반응 및 침전반응을 하기 반응식 1, 2와 표기하였다.
[반응식 1]
CaCO3 + H2SO4 → CaSO4 + CO2 + H2O
[반응식 2]
Ca(OH)2 + H2SO4 → CaSO4 + 2H2O
즉, 상기 반응수조(120)에서 황산수용액(H2SO4);과 수산화석회 및 탄산석회;를 중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중화반응 후 남은 부유물을 침전수조(130)에서 침전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침전수조(130)는 여과막(13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막(131)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침전수조(130)의 상징수인 황산수용액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침전수조(130) 내 상기 여과막(131)은, 예를 들어,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막(131)은 침전되지 못한 미세한 부유물이 황산수용액과 혼합되어 상기 황산수용액을 재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막(131)이 과도하게 많으면, 설비 비용이 높아져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막(131)을 포함하여 와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류를 통해 자연스레 부유물이 침전할 수 있다.
상기 침전수조(130)는 하나 이상의 침전조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하나 이상의 침전조를 포함하는 침전수조(130)인 경우, 단계적으로 침전이 가능하여 상기 침전수조(130) 내 상징수인 황상수용액의 순도가 향상되어 재사용 가능 횟수가 증가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침전수조(130)의 상징수는 황산수용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는 상기 상징수를 회수하여 반응수조(120)로 재공급하는 순환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순환장치(140)는 분사노즐(141), 황산수용액 저장조(142), pH측정기, 전자밸브, 유량조절밸브 및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장치(140) 내 분사노즐(141)은 상기 반응수조(12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141)을 포함하여 2이상의 방법으로 황산수용액을 공급할 수 있어, 효율적인 중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황산수용액을 공급하는 방법은 새 황산수용액을 투입하는 방법과 상기 침전수조(130)의 상징수를 회수하여 공급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및 투입하는 방법은 분사형태일 수 있고, 관을 통해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산수용액을 재공급하는 방법을 통해 새롭게 투입되는 황산수용액의 양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41)은 방향 및 개수가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수조(120) 내 하단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분사 방향은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분사될 수 있고, 상기 분사노즐(141)은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동식 형태로 분사하여 재공급하는 황산수용액과 상기 선별된 순환골재와의 중화반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최종 개량 순환골재 표면에 석회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사노즐(141)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황산수용액과 투입되는 순환골재는 서로 반대 방향 즉,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별된 순환골재과 황산수용액이 골고루 반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황산수용액 저장조(142)는 상기 반응수조(120) 내에서 순환골재를 황산수용액으로 중화한 뒤 상징수를 이동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에는 펌프,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황산수용액 저장조(142)의 pH는 3~4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산수용액 저장조(142) 내의 황산수용액의 pH가 3 미만이면, 수산화석회 및 탄산석회를 제거하기 용이할 수 있으나, 산성이 너무 강하면 취급하기가 어렵고, 상기 황산수용액 저장조(142) 내의 황산수용액의 pH가 4 초과이면, 적절하게 순환골재 외부에 수산화석회 및 탄산석회를 침전하여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어, 최종 생산되는 개량 순환골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순환장치(140)를 포함하여, 2 이상의 경로로 황산수용액을 주입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순환장치(140)를 이용하여 주입되는 황산수용액의 경우 상기 침전수조(130)의 상징수인 황산수용액을 상기 반응수조(120) 내부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은 상기 순환장치(140) 내의 상기 분사노즐(141)을 통해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산수용액을 공급하는 순환장치(140)를 포함하여,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중화반응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장치(140)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정이 이루어지면, 반응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황산수용액을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우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중화반응에 사용되는 황산수용액의 pH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최종 개량 순환골재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적절하게 석회성분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H가 적절히 조절된 황산수용액을 사용하고, 비표면적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였고, 상기 비표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파쇄선별장치(110)에서 다양하면서도 미세한 평균입도를 갖는 순환골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순환장치(140)는 전자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를 의미한다. 상기 전자밸브는 전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플런저를 움직이는 변환 밸브로서, 전기신호로 작동 가능하며, 작업 및 제어 매체의 흐름의 시작, 정지 및 방향 등을 제어 및 조절해주는 장치로서, 기능에 따라 방향제어 밸브, 논리턴 밸브, 유량조절밸브, 압력조절밸브 및 셧-오브 밸브의 5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조작방식에 따라 인력조작, 기계조작, 전자조작 및 공기압 조작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순환장치(140) 내의 전자밸브의 종류 중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밸브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고, 각 수조 및 장치의 위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기계적 작동으로 유체 또는 슬러리를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전수조(130)의 상징수인 황산수용액을 반응수조(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순환장치(140) 내 분사노즐(141), pH 측정기, 밸브 및 펌프를 포함하여 상기 황산수용액의 pH를 3~4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pH를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일정한 고품질의 개량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평균입도는 0.08~5㎜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평균입도가 5㎜초과이면,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평균입도가 0.08~5㎜에 포함되는 경우의 중화반응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시간 대비 중화반응 후에도 상기 순환골재 표면에 석회가 잔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평균입도가 0.08㎜미만이면, 추후 콘크리트와 혼합 시 혼화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미세분말의 부피 및 비산 등에 의한 작업환경 열화와 원가 상승으로 인하여 경제성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량 순환골재는 되메우기용 및 뒷채움용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의 예로, 도로기층용, 도로보조기층용, 콘크리트용, 콘크리트 제품 제조용, 아스팔트콘크리트용, 동상방지층 및 차단층용, 노상용, 노체용, 되메우기용, 뒷채움용, 성토용, 복토용, 매립시설의 복토용으로 구분하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용도에 따라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품질 기준이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파쇄선별장치
111: 이송 컨베이어
112: 진동체
112a: 진동체 말단부
120: 반응수조
120a: 반응수조의 상단면
121: 경사판
122: 배출장치
130: 침전수조
130a: 침전수조의 상단면
131: 여과막
140: 순환장치
141: 분사노즐
142: 황산수용액 저장조

Claims (10)

  1. 건축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평균입도가 조절된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파쇄수단 및 선별수단이 구비된 파쇄선별장치;
    상기 파쇄선별장치에서 선별된 순환골재를 황산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배출장치 및 경사판이 구비된 반응수조; 및
    상기 반응수조에서 생성된 부유물을 침전하여 제거하는 침전수조;가 구비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쇄선별장치가 구비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조의 상단에 하나 이상의 경사판이 위치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수조의 상징수인 황산수용액을 회수하여 반응수조로 재공급하는 순환장치가 추가로 더 구비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는 분사노즐, 황산수용액 저장조, pH측정기, 전자밸브, 유량조절밸브 및 펌프를 구비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조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위치한,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침전수조로부터 회수된 황산수용액을 상기 반응수조 내부로 분사하는,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수용액 저장조의 pH는 3~4인,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량 순환골재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개량 순환골재에 있어서,
    상기 개량 순환골재의 평균입도는 0.08~5㎜인, 개량 순환골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 순환골재는 뒤채움용 또는 되메우기용인, 개량 순환골재.
KR1020200036906A 2020-03-26 2020-03-26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KR10246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06A KR102469347B1 (ko) 2020-03-26 2020-03-26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06A KR102469347B1 (ko) 2020-03-26 2020-03-26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28A true KR20210120328A (ko) 2021-10-07
KR102469347B1 KR102469347B1 (ko) 2022-11-22

Family

ID=7811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06A KR102469347B1 (ko) 2020-03-26 2020-03-26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3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64Y1 (ko) * 2000-06-22 2000-12-01 인선기업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생산용 세척수조
KR200369852Y1 (ko) * 2004-09-24 2004-12-09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폐 콘크리트 재생 골재 제조장치의 세척수 중화장치
KR100756852B1 (ko) * 2006-11-16 2007-09-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006229B1 (ko) * 2010-04-09 2011-01-07 (유) 씨엔지알텍 저알칼리성 순환골재 생산 장치
KR101133777B1 (ko) * 2009-01-12 2012-04-05 임정빈 순환골재의 강 알카리성 침출수를 중화하는 방법
KR101391991B1 (ko) * 2013-11-29 2014-05-0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순환골재 강제 탄산화 장치
KR101789615B1 (ko) * 2016-02-17 2017-10-25 중앙아스콘(주) 알칼리 골재 반응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재생골재의 다단계 세척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64Y1 (ko) * 2000-06-22 2000-12-01 인선기업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생산용 세척수조
KR200369852Y1 (ko) * 2004-09-24 2004-12-09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폐 콘크리트 재생 골재 제조장치의 세척수 중화장치
KR100756852B1 (ko) * 2006-11-16 2007-09-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133777B1 (ko) * 2009-01-12 2012-04-05 임정빈 순환골재의 강 알카리성 침출수를 중화하는 방법
KR101006229B1 (ko) * 2010-04-09 2011-01-07 (유) 씨엔지알텍 저알칼리성 순환골재 생산 장치
KR101391991B1 (ko) * 2013-11-29 2014-05-0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순환골재 강제 탄산화 장치
KR101789615B1 (ko) * 2016-02-17 2017-10-25 중앙아스콘(주) 알칼리 골재 반응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재생골재의 다단계 세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347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832B1 (ko) 탄산가스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석회성분 제거방법 및 그장치
US20230406768A1 (en) Carbonation of concrete products
CN104030536B (zh) 一种环保疏浚底泥一体化机械深度干化系统
CN111533428B (zh) 一种建筑泥浆固化处理施工方法
US8470406B2 (en) Method of spray application, and spray apparatus, for bentonite material
CN113510821A (zh) 一种利用河湖底泥3d打印免烧砖的装置及制作方法
KR100850257B1 (ko) 암반용 쉴드 공사에서 발생하는 굴착토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용도별로 분산 및 응집하는 방법
KR102469347B1 (ko) 건축폐기물 유래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CN110756553A (zh) 一种建筑施工用施工垃圾处理方法
KR100803706B1 (ko) 순환골재와 탄산가스를 이용한 침강성 탄산칼슘 생산방법및 그 장치
KR101006229B1 (ko) 저알칼리성 순환골재 생산 장치
KR100801856B1 (ko)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6827244B (zh) 负压搅拌式再生混凝土生产设备
CN207628482U (zh) 一种水利工程用混凝土破碎机
CN101531426B (zh) 全尾砂料浆的处理利用方法及装备
KR100805322B1 (ko) 탄산가스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석회성분 제거방법 및 그장치
CN216550097U (zh) 一种污泥造粒装置
CN111088804A (zh) 一种赤道高温地区高流态细石混凝土堆石坝的施工方法
TW200948974A (en) Apparatus of back-end processing slag mud and method thereof
CN218740756U (zh) 一种混凝土废料回收系统
CN214644709U (zh) 一种商砼站输送带砂石回收系统
CN216756709U (zh) 一种绿色环保型砂石骨料生产线系统
CN115837393B (zh) 基于微波脱硫回收与余硫激发矿渣固化的高硫尾砂资源化利用系统及方法
CN114100844B (zh) 一种用于尾矿综合回收和浓缩排放的工艺
CN116655182B (zh) 一种废弃矿山酸性废水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