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856B1 -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856B1
KR100801856B1 KR20060108700A KR20060108700A KR100801856B1 KR 100801856 B1 KR100801856 B1 KR 100801856B1 KR 20060108700 A KR20060108700 A KR 20060108700A KR 20060108700 A KR20060108700 A KR 20060108700A KR 100801856 B1 KR100801856 B1 KR 10080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sand
water
tank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0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철
최준옥
Original Assignee
김수철
최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철, 최준옥 filed Critical 김수철
Priority to KR2006010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 처리 과정 중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10mm이하의 선별토사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1수침분리조(100)내에 투입하여 일정시간동안 분산제 수용액속에 수침을 하여 점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부 에어분사구에 의한 폭기, 교반장치에 의한 분산 효과로 입자가 상하 부유 운동을 통해 분산제 수용액이 입자마다 골고루 접촉하도록 하여 점성이 제거되어 분리되도록 하고, 점성이 제거된 선별토사를 슬러리 상태로 이송하여 제2수침분리조에 주입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에어와 물이 각기 분사되어 침강시 입자가 고루 확산 되도록 하는 과정과 비중에 따라 다른 침강속도를 이용하여 0.2mm이하의 미세한 점토입자를 부유시켜 0.2mm 체로 구성된 여과벽으로 여과되도록 하고 이를 집수하며, 집수관의 구배에 의해 집수와 동시에 탈수조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 후 제2수침분리조내 잔류하는 물과 모래 중 물을 여과망이 부착된 하부경사방향 배출구로 우선 배출하고 남은 모래를 하부중앙배출구를 통해 회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제2수침분리조(200)에서 여과되어 집수된 점토슬러리를 탈수조(300)에서 10~20㎛ 여과포가 설치된 측면과 하부면으로 자연 배출하는 과정과 이후 여과판세트에 남은 포화수와 점토를 가압식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압축에 의한 탈수 및 압축점토를 가압식 마그네트의 이동 장치에 의해 회전배출장치로 이동하여 마그네트에 부착된 여과판을 자성 제어하여 회전식 배출장치에 안착하고 배출장치에 고정 후 회전하여 압축 점토를 회수한다. 또한, 수침분리조(100, 200)와 탈수조(300)에서 사용된 물을 중수저장조(400)에 집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각 장치에서 분리, 분산, 폭기, 여과, 가압, 탈수 등의 효과를 일으켜 양질의 모래와 점토를 생산 가능토록 하는 특징을 갖는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선별토사를 물리화학적으로 점성 제거 및 입자분리를 하여 간편하게 양질의 모래와 점토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수를 회수하여 재사용함에 따라 폐수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처리장치이며, 얻어진 모래는 콘크리트용 모래로 사용이 가능하고, 점토는 각종 도자기, 폐인트, 친환경 벽바름재, 점토벽돌, 콘크리트 첨가용 안료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Figure 112006080933979-pat00001
건설폐기물, 점토, 흙, 모래, 교반, 여과, 폭기, 분사.

Description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soil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도 1은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1수침분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2수침분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탈수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탈수조내 설치되는 여과판과 그 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가압식마그네트와 여과판이 회전배출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중수저장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회전식 배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선별토사 투입구 B : 선별토사 슬러리 투입구
C : 점토 슬러리 투입구 S : 약품저장조
100 : 제1수침분리조 101 : 분사노즐
102 : 교반장치 103 : 에어/물 분사구
104 : 배출구
200 : 제2수침분리조 201 : 믹서
202 : 0.2mm 체망벽 203 : 투과수 집수조
204 : 투과수 집수 이송관 205 : 선별토사
206 : 폭기용 에어/물 분사구 207 : 모래 배출구
208 : 모래 배출 개폐용 밸브 209 : 모래진입 방지 여과망
210 : 물 배출구 211 : 물 배출 개폐용 밸브
300 : 탈수조 301 : 크레인
302 : 가압식 마그네트 303 : 마그네트 부착 및 여과포 고정틀
304 : 여과포 305 : 여과포 지지틀
306 : 여과포 및 잔류점토 지지용 다공판
307 : 포화수 배출용 여과포 벽 308 : 여과포 벽 지지틀
309 : 측면 배출수 집수조 310 : 측면 배출수 집수조 이송로
310a : 측면 이송관 개폐 밸브 311 : 하부 배출수 이송관
311a : 하부 이송관 개폐 밸브 401 : 유량 및 주입관 선택 차단 밸브
402 : 배출구 개폐 밸브 403 : 여과포
404 : 여과포 지지틀 405 : 지지용 다공판
406 : 고압 이송 펌프 407 : 제1수침분리조 연결 이송관
408 : 제2수침분리조 연결 이송관 409 : 탈수조 연결 이송관
501 : 회전 배출 장치 지지대 502 : 회전베어링세트
503 : 회전구 504 : 여과판 안착용 지지틀
505 : 회전 작동 레버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여 자원 부족의 해결과 환경 보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장치에 적용되어 골재와 혼재되어 있는 선별토사 등이 골재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될 경우 이를 처리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함은 물론, 추가적인 모래와 점토를 얻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종 건축, 토목공사 등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토사,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를 수집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파쇄, 선별, 세척 등의 공정을 마련함에 있어 선별공정을 거쳐 수조내로 이송된 골재를 세척함과 동시에 배재되는 토사를 재활용 하기 위하여 물, 분산액, 폭기용 에어, 부착토사 제거용 분사노즐과 교반장치, 지지틀, 여과포, 다공판, 중수집수조를 일체로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의 재생모래 및 재생점토 생산용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발명이다.
과거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으로 축조된 각종 건축, 토목공사물은 노후화 및 기능의 현저한 저하에 따라 재개발, 재건축 또는 구조물의 해체 대상이 되고 있어 그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을 유발한 원인이라 할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폐기물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케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한다.
특히,『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고, 이를 계기로 종래 단순 소거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부분적, 혹은 폐기물의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가지 방법과 장치들이 제안되기 시작하였다.
그 일례가 현재 각 건설업체에서 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크러셔의 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건설폐자재는 그 대부분이 다종다양한 여러 물품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식 기기의 성능상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94-4771호로 제안된『쓰레기 처리장치』는 쓰레기 자체가 자유 낙하되면서 여러 과정을 거쳐가는 동안에 금속류, 비금속류를 절단 분류하고, 또한 흙이나 먼지를 분리시키는 등의 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자원을 좀더 많이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이를 위해 경사 프레임의 상부에 투입구와, 1차 컨베이어, 돌편이 돌설된 축 로울러를 포함하는 1차 로울러 크러셔를 축설하고, 전자석의 기능을 갖는 로울러와 비전도성의 비자성 로울러 및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는 1차 자석 컨베이어, 받침날과 유동날로 구성된 절단기, 1차 걸름망, 2차 로울러 크러셔, 2차 컨베이어, 2차 자석 컨베이어, 2차 걸름망 및 3차 수평 컨베이어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의 인용 발명과 발명들은 각종의 폐기물이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의 자동 분리와 이를 통한 재생골재와 재생석분의 생산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간과된 점은 건설공사에 이용되는 강모래나 바닷모래, 각종 바인더로 활용되는 점토의 시작점은 산과 들의 흙이 우천에 의해 유실되어 물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점토와 모래가 분리되는 점이다. 대부분 재생골재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선별토사는 매립용으로 한정되게 이용되거나, 성토공사장에 무료로 납품하는 실정이나, 선별토사의 고함수비로 인해 지반연약화, 병원균의 양산 등의 피해를 가져오며, 다른 한편에서는 천연 토사를 채취하여 점토바인더를 얻거나 모래를 얻기 위해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484309호로 발명된 『선별토사를 이용한 모래제조 방법 및 장치』는 모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와 입도선별기와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토사에서 양질의 모래를 얻고자 하였으나, 고가의 운전비용과 설치비용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버려지는 선별토사를 저가의 설치비와 운영비로 점토와 모래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국내에 있어, 건설폐기물의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성상은 표와 같다.
구 분 선별토사 폐콘트리트 폐아스팔트 기타
전국 (2004년) 132,287.7 9,537.5 95,806.2 20,162.4 6,781.6
100.0 7.2 72.4 15.2 5.1
서울 (2004년) 27,665.6 3,549.0 16,221.0 3,255.7 4,639.9
100.0 12.8 58.6 11.8 16.8
경기 (2004년) 26,100.9 2,835.6 17,349.9 5,037.2 878.2
100.0 10.9 66.5 19.3 3.4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사의 비율은 7.2%로 많은 양이지만 세척 후 단순 매립에 의존하는 실정이며, 토사유출과 비산먼지에 의한 피해가 매우 큰 실정이지만, 일반화된 건설폐기물 재활용 생산시설에서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대중화된 공정도에 따르면, 폐기 콘크리트를 재생 플랜트에 반입하기 전에 파쇄기의 용도 및 용량에 적절한 크기의 치수로 분쇄한 후 재생 플랜트로 반입하고, 이 폐기 콘크리트는 죠 크러셔의 파쇄작용으로 철근과 목편과 같은 불필요한 물질이 제거되고, 그 후 임팩트 크러셔를 통해 파쇄한 후 자선기로서 철근조각을 제거하며, 각체의 치수별 체분리로 재생골재를 선별하게 되는 공정이며, 선별토사에 대한 공정은 중간과정에서 슬러지 상태로 배출되어 야적장으로 이송되는 공정으로 마감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설폐기물 처리 시설사업소에서 방치되는 토사슬러지를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분산, 폭기, 탈수 등의 공정을 통해 흙을 구성하는 모래, 실트, 점토의 삼상에서 양질의 모래를 추가 생산하고, 점토를 분리 생산하여 점토벽돌, 점토기와, 점토벽바름재, 점토 콘크리트, 각종 점토바인더 등을 얻을 수 있는 선별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기술을 발명하고자 하였다.
폐자원의 재활용 기술에 있어서 선별토사를 선별하여 재생모래와 점토를 만드는 기술은 자원의 재활용측면이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범국가적인 문제이다. 기존의 기술들은 대부분 천연 자원을 채취하여 분리·파쇄하고 세척·선별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필연적으로 환경파괴 및 자원낭비를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선별토사를
콘크리트용 모래, 바인더용 점토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과 같은 새로운 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본 기술은 그간 기피해온 토사의 단점인 강사나 해사와 같이 자연적으로 입형이 둥글게 되지 않은 상태와 점토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 바 흐르는 물에 씻기 시험을 거쳐 얻어지는 모래와 점토를 토대로 압축강도용 시멘트모르타르 시편을 제조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장치를 통해 얻게 되는 점토와 모래의 사용은 기존 천연자원 채취에서 얻어진 것과 품질의 차이는 매우 작았다.
따라서, 본 장치를 통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본 발명에서는 점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탄산나트륨, 인산나트륨, 규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점성이 제거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물 1ℓ당 인산나트륨(Na3 PO4 ) 0.7∼1.0g 또는 탄산나트륨(Na 2 CO3 ) 1.3∼1.6g, 규산나트륨(Na2SiO 3) 1~1.5g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점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약품 중 1가지를 선택하여 분산제 수용액을 제조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에서는 점성 제거과정이 보다 효율적 처리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분산수용액상의 수중분리에 의한 방법을 따랐으며, 수조에 에어분사를 이용한 폭기와 교반장치를 이용한 회전으로 처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로 제2수침분리조내에 0.2mm체망으로 구성되는 여과벽을 설치하여 폭기 된 상태에서 콜로이드화 된 점토를 물과 같이 외부로 이송하여 집수하고 하부로는 모래입자가 효과적으로 분리회수되는 방법에 따른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네 번째로 탈수조 하부에 여과판 지지용 받침부를 설치하고 그 위에 투기도 10~20㎛ 여과포와 이를 지지하여 주는 격자형 지지틀과 다공판을 설치하여 미분이 틈새에 끼어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중량 과다에 의한 지지틀 파손을 막기위한 다공판이 투수와 지지를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 번째로 탈수조 외측면에 10~20㎛ 여과포와 지지대로 구성되는 측면을 형성하고 제2수침분리조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점토슬러리의 수위가 상승 시 자연 배출되도록 하였다.
여섯 번째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된 물을 집수하여 재사용함에 따라 폐수의 발생으로 인한 과다한 상하수도 요금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였다.
일곱 번째로 탈수조에 잔재된 양질의 점토를 얻기 위하여 탈수조내 지지틀 세트 중 지지틀과 고정틀을 아연도금한 철재로 제작하여 가압식 마그네트에 의해 가압 후 마그네트에 부착되어 회전배출장치로 이동하여 점토가 회수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선별토사의 처리공정도를 도시하여 보았는바, 이와 같은 공정을 갖는 처리장치는 전체적으로 중앙집중 제어방식에 따라 전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동작될 것이며, 따라서 그 만큼 소모 인력의 감소와 작업량의 확대를 단시간내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먼저, 건설폐기물의 토사 처리공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처리과정에서 배출된 토사 또는 토사슬러지를 수집한 후 분산제 수용액과 함께 제1수침분리조에 주입하여 점성제거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제2수침분리조내에서 모래와 점토성분이 분리되는 공정을 거치며 이때, 벽면을 따라 설치된 0.2mm체망벽으로 콜로이드 상태의 점토입자는 투과되어 탈수조로 유입된다. 또한 하부로는 모래성분이 분리배출된다.
이 후, 각 폭기조를 통과한 토사는 탈수조에서 가압식 탈수과정을 거치고, 사용된 물은 중수저장조로 이송되어 재사용되고, 남은 점토와 모래는 이송배출구의 개폐식과 가압탈수식 방법에 따라 보관장소로 이송되는 과정을 통해 재활용 모래와 점토로 최종 저장된다.
보다 상세한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재생골재 생산 공정에서 폐자원이 반입된 후 선별기에서 분류된 선별토사를 수집하여 도2의 제1수침분리조(100)에 투입하고 분산제 수용액을 분사노즐(101)를 통해 주입하여 살수하고 교반장치(102)를 이용하여 교반함과 동시에 하부방향 에어/물 분사구(103)을 통해 폭기하여 입자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과정;
상기 제1수침분리조 공정 종료 후 하부 개폐식 이송관(104, 105)를 통해 이송된 토사슬러리를 도 3의 제2수침분리조(200)내에 투입하고 상부에 설치된 믹서(201)로 점토성 포화수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혼합을 실시한다. 또한 하부에 설치된 경사방향 폭기용 에어/물 분사구(206)를 통해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하여 하부에서도 폭기가 원활히 이루어져 혼재된 상태의 부유와 그 과정에서 점토입자를 모래로부터 분리하여 부유하게 하고 제2수침분리조(200) 중단부에 설치된 0.2mm체망벽(202)을 투과하여 투과수 집수조(203)에 자연 집수되고, 투과수 집수조(203) 하부에 설치된 탈수조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이송배관(204)를 통해 도4의 탈수조(300)로 이송되며, 제2수침분리조(200)에 잔류된 상태의 물은 하부개폐용 배출관(210)을 통해 우선 배출되며, 이 후 모래는 하부개폐식 배출구(208)를 통해 별도의 야적장소로 이송되는 과정;
상기 이송된 점토와 모래는 도 4의 개별 탈수조(300)로 이송이 완료된 후 하부에 설치된 여과포(304) 위에 쌓이게 되며, 쌓이는 과정 중 지속적인 포화수의 배출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고 포화수의 유입과 배출에 따라 결정되는 탈수조의 수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유입량을 조절한다.
탈수조(300)의 측면부에는 10~20㎛ 여과포(308)가 설치되며, 투과수 집수조(203)로 부터 이송된 슬러리의 수분을 측면부로 자연 배출하도록 한다. 즉, 10㎛ 이하의 슬러지는 10~20㎛ 여과포(308)에 걸려 잔존하게 되고, 물은 배출된다. 또한, 탈수조내에서 용이한 탈수를 위해 적절한 수위가 유지되도록 조절한 후 가압식 마그네트(302)의 자중을 이용하여 압축 탈수를 실시한다. 이때, 월류하는 슬러리 중 물은 10~20㎛ 여과포(308)로 배출된다. 이후 압축탈수가 종료 된 후 가압식 마그네트를 상승시키면 마그네트의 자성으로 인해 여과판 세트가 잔류압축점토를 갖는 상태에서 부착되어 도4-b의 회전배출 장치로 이동하게 되는 과정;
상기 가압식 마그네트(302) 크레인(301)에 의해 이동되어진 여과판 세트를 도 6의 회전배출장치에 내려놓고 회전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잔류압축점토를 제거하는 과정;
상기 공정들에서 사용된 물을 회수하여 여과후 재사용하기 위한 도 6의 중수집수조(400)에 회수수를 주입구(401)에 주입하고 여과포(403), 지지틀(404), 다공판(405)을 투과하여 하부에 정수상태로 집수되고 하부개폐구(402)를 통해 초기 제1수침분리조(100), 제2수침분리조(200)에 주입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선별토사 처리방법에 따르며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선별토사를 분산제에 의한 화학적 방법과 교반, 폭기용 에어/물 분사구에 의한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양질의 모래와 점토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자원회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수를 회수하여 재사용함에 따라 폐수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처리방법이며, 회수된 모래는 콘크리트용 모래로 사용이 가능하고, 점토는 각종 도자기, 폐인트, 벽돌, 콘크리트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5)

  1.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선별토사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1수침분리조(100)내에 투입하여 일정시간동안 분산제 수용액속에 수침을 하여 점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폭기용 에어/물 분사구에 의한 폭기, 교반장치에 의한 분산 효과로 입자가 상하 부유 운동을 통해 분산제 수용액이 입자마다 골고루 접촉하도록 하여 점성이 제거되어 분리되는 과정;
    점성이 제거된 선별토사를 슬러리 상태로 이송하여 제2수침분리조에 주입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에어와 물이 각기 분사되어 침강시 입자가 고루 확산 되도록 하는 과정과 비중에 따라 다른 침강속도를 이용하여 0.2mm이하의 미세한 점토입자를 부유시켜 0.2mm 체로 구성된 여과벽으로 여과되도록 하고 이를 집수하는 과정;
    미세입자의 점토가 부유하여 여과벽으로 여과되고 남은 제2수침분리조내의 물과 모래 중 물을 여과망이 부착된 하부경사방향 배출구로 우선 배출하고 남은 모래를 하부중앙배출구를 통해 회수하는 과정;
    제2수침분리조(200)에서 여과되어 집수된 점토슬러리를 탈수조(300)에서 10~20㎛ 여과포가 설치된 측면과 하부면으로 자연 배출하는 과정과 이후 여과판세트에 남은 포화수와 점토를 가압식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압축에 의한 탈수 및 압축점토를 가압식 마그네트의 이동 장치에 의해 회전배출장치로 이동하는 과정;
    마그네트에 부착된 여과판을 자성 제어하여 회전식 배출장치에 안착하고 배출장치에 고정 후 회전하여 압축 점토를 회수하는 과정; 및 수침분리조(100, 200)와 탈수조(300)에서 사용된 물을 중수저장조(400)에 집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2.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선별토사를 처리함에 있어서 폭기/분산/분
    리 기능을 갖는 제1수침분리조(100), 폭기/분산/분리/침전/여과 기능을 갖는
    제2수침분리조(200), 여과/가압탈수 기능을 갖는 탈수조(300)로 구성되는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장치
  3. 상기 제 2항에 있어서, 상부에 설치된 교반 장치(102), 분사노즐(101) 및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에어/물 분사구(103)를 특징으로 하는 제1수침분리조(100)가 포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4. 상기 제 2항에 있어서, 상부에 설치된 믹서(201), 측면부에 설치된 0.2㎜ 체망으로 구성되는 0.2mm 체망벽(202)에 의한 여과장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폭기용 에어/물 분사구(206)를 특징으로 하는 제2수침분리조(200)가 포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5. 상기 제 2항에 있어서, 상부에 설치된 가압용 마그네트장치(302), 측면부에 설치된 10~20㎛ 여과포(308)로 구성되는 여과장치, 하부에 설치된 10~20㎛ 여과포(304)와 여과포 지지틀(305)로 구성되는 탈수조(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KR20060108700A 2006-11-06 2006-11-06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80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8700A KR100801856B1 (ko) 2006-11-06 2006-11-06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8700A KR100801856B1 (ko) 2006-11-06 2006-11-06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856B1 true KR100801856B1 (ko) 2008-02-11

Family

ID=3934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08700A KR100801856B1 (ko) 2006-11-06 2006-11-06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8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0880A (zh) * 2017-05-05 2017-08-11 佛山市东方智柏纳米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陶瓷生产用陶泥搅拌装置
CN109865733A (zh) * 2019-03-07 2019-06-11 湖南大学 一种盾构渣土现场处理及资源化的系统和方法
CN111660196A (zh) * 2020-05-18 2020-09-15 梁倩 一种提高分选精度的胶囊抛光机
WO2023159312A1 (en) * 2022-02-25 2023-08-31 Northstar Clean Technologies Inc. Method, process and system for recycling an asphalt-based roofing mater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808A (ko) * 2003-02-07 2004-08-16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KR20050017356A (ko) * 2003-08-13 2005-02-22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50110511A (ko) * 2004-05-19 2005-11-23 (주)성인건기 건설폐기물의 분리재생장치
KR100539709B1 (ko) 2004-09-24 2005-12-29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건설폐기물의 선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808A (ko) * 2003-02-07 2004-08-16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KR20050017356A (ko) * 2003-08-13 2005-02-22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50110511A (ko) * 2004-05-19 2005-11-23 (주)성인건기 건설폐기물의 분리재생장치
KR100539709B1 (ko) 2004-09-24 2005-12-29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건설폐기물의 선별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0880A (zh) * 2017-05-05 2017-08-11 佛山市东方智柏纳米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陶瓷生产用陶泥搅拌装置
CN107030880B (zh) * 2017-05-05 2019-04-26 新昌县玮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陶瓷生产用陶泥搅拌装置
CN109865733A (zh) * 2019-03-07 2019-06-11 湖南大学 一种盾构渣土现场处理及资源化的系统和方法
CN111660196A (zh) * 2020-05-18 2020-09-15 梁倩 一种提高分选精度的胶囊抛光机
WO2023159312A1 (en) * 2022-02-25 2023-08-31 Northstar Clean Technologies Inc. Method, process and system for recycling an asphalt-based roofing material
US11976173B2 (en) 2022-02-25 2024-05-07 Northstar Clean Technologies Inc. Method, process and system for recycling an asphalt-based roofing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0976478B (zh) 一种拆建及装修废弃物的资源化处理工艺
CN210450263U (zh) 土压平衡盾构渣土综合处理及资源生态利用系统
CN112007936A (zh)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KR100801856B1 (ko)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353019A (zh) 以建筑物废料为原料的再生骨料的生产装置及再生骨料
KR10053468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CN110116041B (zh) 一种建筑垃圾分类搅碎装置
CN212069909U (zh) 一种基于筛分的超声波辅助土壤异位淋洗系统
KR20070034559A (ko) 토사에서 모래를 분리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209835808U (zh) 混凝土砂石浆水回收系统
CN210079019U (zh) 一种新型绿色环保泥浆处理系统
CN108409073A (zh) 通沟污泥处理方法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CN114632798B (zh) 工程渣土多级预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440197B1 (ko)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KR102253153B1 (ko) 굴패각을 이용한 그라우팅용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굴패각을 이용한 저유동 몰탈 그라우팅 공법
KR20060000074U (ko)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장치
KR200441015Y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CN209953042U (zh) 一种炉渣回收处理系统
CN112275418A (zh) 一种撬装移动式固废处理、机制砂生产的集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