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15Y1 -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1015Y1 KR200441015Y1 KR2020070001057U KR20070001057U KR200441015Y1 KR 200441015 Y1 KR200441015 Y1 KR 200441015Y1 KR 2020070001057 U KR2020070001057 U KR 2020070001057U KR 20070001057 U KR20070001057 U KR 20070001057U KR 200441015 Y1 KR200441015 Y1 KR 2004410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d
- water
- rotary screen
- clay
- dischar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8—Screw dischar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2230/00—Specific aspects relating to the whole B07B subclass
- B07B2230/01—Wet separation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 처리 과정 중 발생되는 토사를 처리함에 있어서 우선,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선별되는 토사를 호퍼(1)에 반입하고, 수침분리조(100)에 정량적으로 공급하여 내부의 폭기용 에어분사노즐(140)과 상부 교반날개(110)에 의해 교반과 폭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치와, 이때 공급수의 수면 위로 부상하는 나무껍질,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은 상부외측의 경사진 집수부로 월류되어 집수관(130)을 따라 배출되도록 구성된 장치, 내부 기울기에 의해 제2 회전식 스크린으로 이송되는 단계;와 수중에서 모래입자와 점토 및 실트 입자가 분리된 상태의 토사가 혼재된 물은 하부 배관(150)을 따라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 공급 되고, 제1 회전식 스크린 내에 구성되는 여과벽체(240)는 0.3 mm 체망의 구성;과 모래(2)와 실트 및 점토(4)의 입도 경계로 침수된 토사는 분산이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회전함에 따라 모래입자에 붙어있는 실트와 점토 등의 잔입자는 여과벽체로 여과되어 분리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여과 배출되는 잔입자의 실트와 점토 그리고 물이 혼합된 슬러리(3)가 안전하게 수조내로 집수될 수 있도록 스크린외부에 덮개(230)가 장착되는 구성; 및 내부 스크류(260)에 의해 모래입자가 횡방향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여과벽체(24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부 덮개의 하부면에 살수장치(250)를 설치하여 회전식 스크린의 외부 여과벽면을 세척하고 여과망을 막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 및 단계; 그리고, 배출된 점토, 실트, 물이 혼 합된 상태의 슬러리(3)를 수조(280)에 집수되어 이송배관(270)에 의해 제2 회전식 스크린(300)내에 이송되는 단계;로 구성 및 작동되며, 제2 회전식 스크린에서도 제1 회전식 스크린의 구성 및 작동과 같이 운전되며, 다만 이송된 슬러리(3)를 1~30㎛ 이하의 여과포망으로 구성된 여과벽체(340)를 갖는 제2 회전식 스크린(300)의 고속 회전에 의해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과 여과포망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분사장치(350)가 설치 운영된다. 또한, 내부 스크류(360)에 의해 고형분은 횡방향 출구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로 토사에서 모래와 점토를 분리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토사를 물리적으로 입자분리를 하여 간편하게 양질의 모래와 점토를 분리회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분리회수된 모래는 콘크리트용 모래로 사용이 가능하고, 점토는 각종 도자기, 환경 벽바름재, 점토벽돌, 콘크리트 등의 주재료 및 첨가용 재료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건설폐기물, 토사, 모래, 점토, 분리회수, 회전식 스크린, 수조, 살수.
Description
도 1은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선별 배출된 토사 저장 및 공급용 호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침분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 회전식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 회전식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공정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 : 이물질 1 : 토사
2 : 모래 배출 3 : 점토 슬러리 여과
4 : 10~30㎛이상의 점토 및 실트 배출
5 : 10~30㎛이하의 점토 및 실트 슬러리 배출
6 : 급수장치 10 : 토사 공급부
100 : 수침분리조 110 : 교반날개
120 : 측면 에어 분사 장치 130 : 이물질 집수관
140 : 하부 에어 분사 장치 150 : 하부 이송관
200: 제 1 회전식 스크린
210 : 토사 투입구 220 : 회전식 스크린 고정 베어링
230 : 덮개 240 : 0.3mm 여과망체
250 : 막힘 방지용 살수 장치 260 : 내부 스크류
270 : 이송 배관 280 : 수조
300: 제 2 회전식 스크린
310 : 토사 투입구 320 : 회전식 스크린 고정 베어링
330 : 덮개 340 : 10~30㎛이하의 여과망체
350 : 막힘 방지용 에어 분사 장치 360 : 내부 스크류
370 : 이송 배관 380 : 수조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여 자원 부족의 해결과 환경 보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장치에 적용되어 골재와 혼재되어 있는 폐토사 등이 골재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될 경우 이를 처리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함은 물론, 추가적인 모래와 점토를 얻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각종 건축, 토목공사 등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토사, 콘크 리트덩이, 폐목재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를 수집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파쇄, 선별, 세척 등의 공정을 마련함에 있어 선별공정을 거쳐 수조내로 이송된 골재를 세척함과 동시에 배재되는 토사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물, 분산액, 폭기용 에어, 입도별 회전식 스크린과 부착토사 제거용 살수, 에어 분사 노즐과 내부 이송용 스크류, 비산방지용 덮개, 지지틀, 여과포 등을 일체로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과거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으로 축조된 각종 건축, 토목공사물은 노후화 및 기능의 현저한 저하에 따라 재개발, 재건축 또는 구조물의 해체 대상이 되고 있어 그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토사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을 유발한 원인이라 할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폐기물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케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한다.
특히,『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고, 이를 계기로 종래 단순 소거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부분적, 혹은 폐기물의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가지 방법과 장치들이 제안되기 시작하였다.
그 일례가 현재 각 건설업체에서 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크러셔의 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건설폐자재는 그 대부분이 다종다양한 여러 물품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식 기기의 성능상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94-4771호로 제안된『쓰레기 처리장치』는 쓰레기 자체가 자유 낙하되면서 여러 과정을 거쳐가는 동안에 금속류, 비금속류를 절단 분류하고, 또한 토사나 먼지를 분리시키는 등의 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자원을 조금 더 많이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이를 위해 경사 프레임의 상부에 투입구와, 1차 컨베이어, 1차 로울러 크러셔를 축설하고, 전자석의 기능을 갖는 로울러와 비전도성의 비자성 로울러 및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는 1차 자석 컨베이어, 받침날과 유동날로 구성된 절단기, 1차 걸름망, 2차 로울러 크러셔, 2차 컨베이어, 2차 자석 컨베이어, 2차 걸름망 및 3차 수평 컨베이어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의 인용 고안과 발명들은 각종의 폐기물이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의 자동 분리와 이를 통한 재생골재와 재생석분의 생산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간과된 점은 건설공사에 이용되는 강모래나 바닷모래, 각종 바인더로 활용되는 점토의 시작점은 산과 들의 토사가 우천에 의해 유실되어 물을 따 라 흐르는 과정에서 점토와 모래가 분리되는 점이다. 대부분 재생골재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토사는 매립용으로 한정되게 이용되거나, 성토공사장에 무료로 납품하는 실정이나, 폐토사의 고함수비로 인해 지반연약화, 병원균의 양산 등의 피해를 가져오며, 다른 한편에서는 천연 토사를 채취하여 점토바인더를 얻거나 모래를 얻기 위해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484309호로 발명된 『폐토사를 이용한 모래제조 방법 및 장치』는 모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와 입도선별기와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폐토사에서 양질의 모래를 얻고자 하였으나, 고가의 운전비용과 설치비용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버려지는 폐토사를 저가의 설치비와 운영비로 점토와 모래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국내에 있어, 건설폐기물의 일일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성상은 표와 같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사의 비율은 7.2%로 많은 양이지만 세척 후 단순 매립에 의존하는 실정이며, 토사유출과 비산먼지에 의한 피해가 매우 큰 실정이지만, 일반화된 건설폐기물 재활용 생산시설에서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대중화된 공정도에 따르면, 폐 콘크리트를 재생 플랜트에 반입하기 전에 파쇄기의 용도 및 용량에 적절한 크기의 치수로 분쇄한 후 재생 플랜트로 반입하고, 폐 콘크리트는 죠 크러셔의 파쇄작용으로 철근, 목편과 같은 불필요한 물질이 제거되고, 그 후 임팩트 크러셔를 통해 파쇄한 후 자선기로서 철근조각을 제거하며, 각체의 치수별 체분리로 재생골재를 선별하게 되는 공정이며, 폐토사에 대한 공정은 중간과정에서 젖은 상태로 배출된 후 야적장으로 이송되는 공정으로 마감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건설폐기물 처리 시설사업소에서 방치되는 토사슬러지를 재활용 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 수침상태의 제1 회전식 스크린내에 공급하여 분산 공정을 통해 토사를 구성하는 모래, 실트, 점토로 이루어진 성상에서 회전하 는 스크린의 벽체를 구성하는 0.3mm 여과망체로 여과되는 물, 점토, 실트는 수조로 배출하고 남은 양질의 모래는 내부 스크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여과벽체로 배출된 점토, 실트가 혼재된 물은 수침하지 않는 제2 회전식 스크린내에 공급하여 스크린의 회전에 의해 물을 배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미립자의 점토와 실트는 물과 함께 중수집수조로 이송되어 응집 후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토사에서 분리 생산된 모래는 콘크리트용으로 재활용 되며 점토와 실트는 점토벽돌, 점토기와, 점토벽바름재, 점토 콘크리트, 각종 점토바인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기술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기술들은 대부분 천연 자원을 채취하여 분리파쇄하고 세척선별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필연적으로 환경파괴 및 자원낭비를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며, 폐자원의 재활용 기술에 있어서 건설폐기물 중 토사를 선별하여 분리 배출을 하고 있는 실정이나 그 토사에서 모래를 얻지는 못하고 있으므로, 자원의 재활용측면이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범국가적인 문제로서 본 고안을 통해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기술을 이루고자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 1에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토사의 처리공정도를 도시하여 보았는바, 이와 같은 공정을 갖는 처리장치는 전체적으로 중앙집중 제어방식에 따라 전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동작될 것이며, 따라서 그 만큼 소모 인력의 감소와 작업량의 확대를 단시간내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기술은 그간 기피해온 토사의 단점인 강사나 해사와 같이 자연적으로 입형이 둥글게 되지 않은 상태와 점토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어 살펴 본 바 흐르는 물에 씻기 시험을 거쳐 얻어지는 모래와 점토를 토대로 압축강도용 시멘트모르타르 시편을 제조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본 장치를 통해 얻게 되는 점토와 모래의 사용은 기존 천연자원 채취에서 얻어진 것과 품질의 차이는 매우 작았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는 다음과 같다.
건설폐기물이 외부로부터 이송되어 분리 작업을 거친 선별토사를 저장하는 호퍼는 10톤 이상의 선별토사를 저장하고 공급할 수 있는 보관시설로서 시간당 정량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타이머 장치와 중량 측정장치가 내재된 것으로 한다. 이때, 수침분리조(100)로 이송되는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하거나 수침분리조(100)를 호퍼의 높이보다 낮은 곳에 설치하여 높이차이에 의한 이송이 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를 택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송된 토사를 수중폭기에 의해 이물질, 미립분, 모래입자로 분리시키는 수침분리조(100)는 갓모양의 테두리형태에 이물질집수관(130), 원통형 몸체 측면부에 설치되는 측면 에어분사장치(120), 원통형 몸체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에어분사장치(140),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 공급하기 위해 잔류하는 모래입자와 점토 및 실트 입자가 분리된 상태의 토사가 혼재된 물을 이송하는 하부 이송관(150), 폭기되어 수면으로 부상된 것을 측면으로 흐트러뜨리는 교반날개(110)로 구성된다.
수침분리조(100)는 원통형 구조 설비로서, 상단 외측부에는 갓 모양의 테두리가 배출용 집배수 라인을 갖는 형태로 도3과 같이 형성되는 이물질집수관(130)이 구비되고, 이물질집수관(130)은 하부에서 폭기되어 떠오르는 이물질이 월류되어 원활히 집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물질집수관(130) 테두리의 바닥면이 배출구 방향으로 5도 이상의 경사가 지도록 하여야 한다.
수침분리조(100)의 원통형 몸체 하부와 측면에는 폭기를 일으킬 수 있도록 측면에어분사장치(120), 하부 에어분사장치(140)가 원둘레를 따라 측면과 하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측면에어분사장치(120) 및 하부 에어분사장치(140)에 정량적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부대 발전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상기, 측면에어분사장치(120)와 하부 에어분사장치(140)에 공급되는 압은 10마력 이상으로 수중에 침전되는 모래와 점토입자에 붙은 이물질이 탈락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이다.
중심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이송관(150)은 폭기 작업의 종료 후 이물질이 제거된 잔류물을 수침분리조(100) 내에 남은 물과 함께 하부 이송관(150)의 개폐장치를 개방하여 수두차에 의해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수침분리조(100)의 하부 이송관(150)을 통해 물에 혼재된 상태의 선별토사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부착된다.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장방향 원통형 체의 형상을 갖으며, 그 외측면에는 10~30㎛ 이상의 여과망체(240)가 설치되고, 수조(280)에 몸체의 1/4 이상을 물속에 담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식 스크린 고정 베어링(220)과 모터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부에는 막힘방지용 살수장치(250)를 설치하여 0.3mm 여과망체(240)에 잔입자가 막히지 않도록 작업 시간동안 살수하여 막힘이 없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의 작업 종료 후
회전식 스크린 고정 베어링(220)와 모터 등의 회전 장치에 의해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회전을 하게 되고, 그 내부의 내용물은 회전력에 의해 입자가 분리된다. 분리된 입자를 배출하고 수조의 물에 의한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방향 원통형 몸체의 측면에 0.3mm 여과망체(240)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침과 회전효과에 의해 0.3mm 이하의 잔입자는 0.3mm 여과망체(240)를 통해 수조(280)내 물 속으로 분리 침전된다.
이때, 제1회전식 스크린(200)의 내부에는 사선방향의 내부스크류(260)가 부착되도록 설비하며, 회전에 의한 내부스크류(260)의 진행방향에 따라 분리되어 배출구 방향으로 모래가 배출되며 그 끝단에는 컨베이어 밸트를 설치하여 배출된 모래가 안전한 장소로 이동되어 별도 보관되도록 한다.
수조(280)에 침전되는 0.3mm이하의 잔입자는 주로 점토슬러리(3)이며, 개폐가 가능한 이송 배관(270)을 부착하여 제2회전식 스크린(30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제2회전식 스크린(300)은 상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의 구성과 매우 유사하나, 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여과망체는 10~30㎛이하의 여과망체(340)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1회전식 스크린(200)과 제2회전식 스크린(300)의 차이점은 외측면에 부착되는 여과망체의 크기가 10~30㎛이상과 이하를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하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수조에 수침하는 형태이고, 제2회전식 스크린(300)은 수조에 수침하지 않는 조건으로 구성하여 설치한다. 또한, 제1회전식 스크린(200)에는 막힘방지용살수장치(250)이 설치되는 반면, 제2회전식 스크린(300)에는 막힘방지용 에어분사장치(350)을 설치한다. 이는 제2회전식 스크린(300)에서는 보다 가는 입자를 분리하기 위해 10~30㎛이하의 여과망체(340)를 통과하여야 하는 크기로서 여과망체에 막힘 발생시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살수에 의해 제거시 점토슬러리 농도가 낮아지므로 과다하게 유입되는 물에 의해 건조과정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제2회전식 스크린(300)은 제1회전식 스크린(200)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데, 수조에 침전되지 않은 조건이며, 스크린의 회전시 튀어나가는 잔입자를 잡아주도록 설치된 덮개(330)에 의해 수조(380)로 모아지도록 설치한다. 이후, 이송배관(370)에 의해 야적장으로 배출되어 건조과정을 통해 건조 후 일반 토사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수침분리조(100)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토사내 모래입자와 점토입자를 수중폭기에 의해 교란시킨 상태로 만든 후 제1회전식 스크린(200)으로 이송되면,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서 모래입자와 점토입자를 분리하고 제2회전식 스크린(300)으로 이송하며, 제2회전식 스크린(300)에서 점토입자와 물을 최대한 분리하는 공정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는 다음과 같다.
건설폐기물이 외부로부터 이송되어 분리 작업을 거친 선별토사를 저장하는 호퍼는 10톤 이상의 선별토사를 저장하고 공급할 수 있는 보관시설로서 시간당 정량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타이머 장치와 중량 측정장치가 내재된 것으로 한다. 이때, 수침분리조(100)로 이송되는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하거나 수침분리조(100)를 호퍼의 높이보다 낮은 곳에 설치하여 높이차이에 의한 이송이 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를 택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송된 토사를 수중폭기에 의해 이물질, 미립분, 모래입자로 분리시키는 수침분리조(100)는 갓모양의 테두리형태에 이물질집수관(130), 원통형 몸체 측면부에 설치되는 측면 에어분사장치(120), 원통형 몸체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에어분사장치(140),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 공급하기 위해 잔류하는 모래입자와 점토 및 실트 입자가 분리된 상태의 토사가 혼재된 물을 이송하는 하부 이송관(150), 폭기되어 수면으로 부상된 것을 측면으로 흐트러뜨리는 교반날개(110)로 구성된다.
수침분리조(100)는 원통형 구조 설비로서, 상단 외측부에는 갓 모양의 테두리가 배출용 집배수 라인을 갖는 형태로 도3과 같이 형성되는 이물질집수관(130)이 구비되고, 이물질집수관(130)은 하부에서 폭기되어 떠오르는 이물질이 월류되어 원활히 집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물질집수관(130) 테두리의 바닥면이 배출구 방향으로 5도 이상의 경사가 지도록 하여야 한다.
수침분리조(100)의 원통형 몸체 하부와 측면에는 폭기를 일으킬 수 있도록 측면에어분사장치(120), 하부 에어분사장치(140)가 원둘레를 따라 측면과 하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측면에어분사장치(120) 및 하부 에어분사장치(140)에 정량적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부대 발전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상기, 측면에어분사장치(120)와 하부 에어분사장치(140)에 공급되는 압은 10마력 이상으로 수중에 침전되는 모래와 점토입자에 붙은 이물질이 탈락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이다.
중심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이송관(150)은 폭기 작업의 종료 후 이물질이 제거된 잔류물을 수침분리조(100) 내에 남은 물과 함께 하부 이송관(150)의 개폐장치를 개방하여 수두차에 의해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수침분리조(100)의 하부 이송관(150)을 통해 물에 혼재된 상태의 선별토사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부착된다.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장방향 원통형 체의 형상을 갖으며, 그 외측면에는 10~30㎛ 이상의 여과망체(240)가 설치되고, 수조(280)에 몸체의 1/4 이상을 물속에 담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식 스크린 고정 베어링(220)과 모터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부에는 막힘방지용 살수장치(250)를 설치하여 0.3mm 여과망체(240)에 잔입자가 막히지 않도록 작업 시간동안 살수하여 막힘이 없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의 작업 종료 후
회전식 스크린 고정 베어링(220)와 모터 등의 회전 장치에 의해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회전을 하게 되고, 그 내부의 내용물은 회전력에 의해 입자가 분리된다. 분리된 입자를 배출하고 수조의 물에 의한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방향 원통형 몸체의 측면에 0.3mm 여과망체(240)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침과 회전효과에 의해 0.3mm 이하의 잔입자는 0.3mm 여과망체(240)를 통해 수조(280)내 물 속으로 분리 침전된다.
이때, 제1회전식 스크린(200)의 내부에는 사선방향의 내부스크류(260)가 부착되도록 설비하며, 회전에 의한 내부스크류(260)의 진행방향에 따라 분리되어 배출구 방향으로 모래가 배출되며 그 끝단에는 컨베이어 밸트를 설치하여 배출된 모래가 안전한 장소로 이동되어 별도 보관되도록 한다.
수조(280)에 침전되는 0.3mm이하의 잔입자는 주로 점토슬러리(3)이며, 개폐가 가능한 이송 배관(270)을 부착하여 제2회전식 스크린(30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제2회전식 스크린(300)은 상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의 구성과 매우 유사하나, 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여과망체는 10~30㎛이하의 여과망체(340)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1회전식 스크린(200)과 제2회전식 스크린(300)의 차이점은 외측면에 부착되는 여과망체의 크기가 10~30㎛이상과 이하를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하며, 제1회전식 스크린(200)은 수조에 수침하는 형태이고, 제2회전식 스크린(300)은 수조에 수침하지 않는 조건으로 구성하여 설치한다. 또한, 제1회전식 스크린(200)에는 막힘방지용살수장치(250)이 설치되는 반면, 제2회전식 스크린(300)에는 막힘방지용 에어분사장치(350)을 설치한다. 이는 제2회전식 스크린(300)에서는 보다 가는 입자를 분리하기 위해 10~30㎛이하의 여과망체(340)를 통과하여야 하는 크기로서 여과망체에 막힘 발생시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살수에 의해 제거시 점토슬러리 농도가 낮아지므로 과다하게 유입되는 물에 의해 건조과정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제2회전식 스크린(300)은 제1회전식 스크린(200)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데, 수조에 침전되지 않은 조건이며, 스크린의 회전시 튀어나가는 잔입자를 잡아주도록 설치된 덮개(330)에 의해 수조(380)로 모아지도록 설치한다. 이후, 이송배관(370)에 의해 야적장으로 배출되어 건조과정을 통해 건조 후 일반 토사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수침분리조(100)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토사내 모래입자와 점토입자를 수중폭기에 의해 교란시킨 상태로 만든 후 제1회전식 스크린(200)으로 이송되면,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서 모래입자와 점토입자를 분리하고 제2회전식 스크린(300)으로 이송하며, 제2회전식 스크린(300)에서 점토입자와 물을 최대한 분리하는 공정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선별되는 토사를 호퍼(10)에 반입하고, 수침분리조(100)에 정량적으로 공급하여 내부의 폭기용 측면에어분사장치(120), 하부에어분사장치(140), 상부의 교반날개(110)에 의해 교반과 폭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때 공급수의 수면으로 부상하는 나무껍질과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은 월류되어 상부외측의 경사진 집수관(130)을 따라 배출되고, 내부 기울기에 의해 제2 회전식 스크린으로 이송되는 단계;와 모래입자와 점토 및 실트 입자가 분리된 상태의 토사가 혼재된 물은 하부 배관(150)을 따라 제1 회전식 스크린(200)에 공급되는 단계;
수조(280)에 회전식 스크린(200)을 일정부분 침수시켜, 여과벽체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와 토사 투입부에 설치된 급수장치(6)에 의해 토사의 유입이 원활하고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단계;
제1 회전식 스크린 내에 구성되는 0.3mm 여과망체(240)는 0.3mm간격으로 망이 구성된다. 수침분리조에서 수중 폭기와 교반에 의해 토사슬러리는 모래(2)와 실트 및 점토(4)가 분산이 된 상태로 제1 회전식 스크린 내에 유입되고, 제1 회전식 스크린이 회전함에 따라 분산된 토사슬러리 중 실트와 점토 등의 잔입자는 여과벽체로 여과되어 분리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여과 배출되는 잔입자의 실트와 점토, 물이 혼합된 슬러리(3)가 안전하게 수조내로 집수될 수 있도록 스크린외부에 덮개(230)가 장착되는 구성; 및 내부 스크류(260)에 의해 모래입자가 횡방향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여과벽체(24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부 덮개의 하부면에 막힘 방지용 살수장치(250)를 설치하여 회전식 스크린의 외부 여과벽면을 세척하고 여과망을 막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 및 단계; 그리고, 배출된 점토, 실트, 물이 혼합된 상태의 슬러리(3)를 수조(280)에 집수하여 이송배관(270)에 의해 제2 회전식 스크린(300)내에 이송되는 단계;로 구성 및 작동되며, 제2 회전식 스크린에서도 제1 회전식 스크린의 구성 및 작동과 같이 운전된다, 다만 이송된 슬러리(3)를 10~30㎛ 이하의 미립자는 10~30㎛이하의 여과망체(340)를 갖는 회전식 스크린(300)의 고속 회전에 의해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과 10~30㎛이하의 여과망체(34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막힘 방지용 살수장치(250) 대신 막힘방지용 에어분사장치(350)가 설치 및 운영되어 내부 스크류(360)에 의해 고형분은 횡방향 출구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로 토사에서 모래와 점토를 분리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토사를 회전식 스크린에 의해 간편하게 양질 의 모래와 점토를 분리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자원회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분리회수된 모래는 콘크리트용 모래로 사용이 가능하고, 점토는 각종 도자기, 환경 벽바름재, 점토벽돌, 콘크리트 등의 주재료 및 첨가용 재료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3)
- 수침분리조내에서 교반장치에 의한 교반과 에어분사장치에 의한 폭기 작용이 원활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장치가 유입수와 혼재된 토사를 수중분리 및 폭기하고, 사용수를 월류수면 이상으로 유입시켜 콜로이드 상태의 이물질과 비중차에 의해 부상되는 목편 등의 이물질을 월류 시키고, 이를 집수하는 집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침분리조와;제1 회전식 스크린의 하부가 수침되도록 하는 수조, 회전력에 의해 입도분리 배출 되는 잔입자와 물의 비산을 방지하고 하부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덮개장치, 입도분리 배출의 기준이 되는 0.3mm 여과망체, 배출 후 잔류하는 모래를 횡방향으로 이송 배출하는 내부 스크류, 0.3mm 여과망체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덮개장치 내측에 설치되는 막힘 방지용 살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회전식 스크린과;제2 회전식 스크린의 하부가 수침되지 않도록 하는 수조, 회전력에 의해 입도분리 배출 되는 미세잔입자와 물의 비산을 방지하고 하부의 수조로 유도하는 덮개장치, 입도분리 배출의 기준이 되는 10~30㎛이하의 여과망체, 배출 후 잔류하는 모래를 횡방향으로 이송 배출하는 내부 스크류, 10~30㎛이하의 여과망체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하는 덮개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회전식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1057U KR200441015Y1 (ko) | 2007-01-22 | 2007-01-22 |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1057U KR200441015Y1 (ko) | 2007-01-22 | 2007-01-22 |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182U KR20070000182U (ko) | 2007-02-09 |
KR200441015Y1 true KR200441015Y1 (ko) | 2008-07-16 |
Family
ID=4164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1057U KR200441015Y1 (ko) | 2007-01-22 | 2007-01-22 |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1015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02102A (zh) * | 2021-10-29 | 2022-02-01 | 海南金海浆纸业有限公司 | 一种造纸木片重杂质检测方法 |
-
2007
- 2007-01-22 KR KR2020070001057U patent/KR2004410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182U (ko) | 2007-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3975B1 (ko)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
KR100850762B1 (ko) |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 |
KR100650509B1 (ko) |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 |
KR100756420B1 (ko) |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 |
CN112007936A (zh) |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 |
CN111408471A (zh) | 一种建筑垃圾处理方法 | |
KR100358687B1 (ko)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 |
KR100534680B1 (ko)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 |
KR100510328B1 (ko) |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 |
CN109127646B (zh) | 建筑垃圾资源化循环利用工艺 | |
KR20070034559A (ko) | 토사에서 모래를 분리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KR100834710B1 (ko) |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 |
CN106830594B (zh) | 污泥处理系统 | |
KR100764136B1 (ko) |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 |
KR100801856B1 (ko) |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JP4123510B2 (ja) | 汚染土壌の処理システム | |
KR20070019780A (ko) |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
CN108409073A (zh) | 通沟污泥处理方法 | |
KR200441015Y1 (ko) |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 장치 | |
KR100850372B1 (ko) |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 |
KR20030078574A (ko) | 재활용 모래 선별기 | |
KR100853413B1 (ko) |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 |
CN212703649U (zh) |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 |
KR100400197B1 (ko) |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 |
KR100751838B1 (ko) |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