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520A - 수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수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520A
KR20210119520A KR1020217027896A KR20217027896A KR20210119520A KR 20210119520 A KR20210119520 A KR 20210119520A KR 1020217027896 A KR1020217027896 A KR 1020217027896A KR 20217027896 A KR20217027896 A KR 20217027896A KR 20210119520 A KR20210119520 A KR 20210119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moisture
measuring device
temperature sensor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621B1 (ko
Inventor
요시타케 아시마
마사시 스나다
Original Assignee
시즈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즈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즈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5Circuits
    • G01N27/046Circuits provided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granular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곡물의 보다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수분측정장치를 제공한다. 곡물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장치(10)는 수분측정장치(10)를 제어하는 기판(31g) 상에 마련되어, 수분측정장치(10)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31h)와,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44)와, 이 공간을 통과한 곡물의 일부의 곡립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31f)를 구비하고 있다. 측정부(31f)는 온도 센서(31h)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온도 센서(44)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측정한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한다.

Description

수분측정장치
본 발명은 곡물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수분측정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곡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곡물 건조기에 마련되어, 곡물의 건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곡물의 수분량으로서, 수용된 곡물의 일부의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수분측정장치는 쌍을 이루는 롤러와, 쌍을 이루는 롤러 사이에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한 수분측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수분측정장치는 수분측정기구에서 쌍을 이루는 롤러의 외주면 사이에서 곡립을 으깨고, 측정부에 의해 한 쌍의 롤러 사이에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으깬 상태의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전기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127584호 공보
그런데, 측정된 전기저항값은 곡물의 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변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수분측정장치는 곡물의 일부의 곡립을 으깼을 때에 그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곡물의 수분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이에, 수분측정장치는 그 본체의 기판 상에 마련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한 온도를 곡물의 온도로 하고, 그 온도에 기초하여 곡물의 수분량을 보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 상에, 곡물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온도 센서가 마련되어 있는 수분측정장치에 있어서,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부로 수분측정장치 내부의 온도의 데이터가 공급되면, 측정부는 이하의 (식 1)에 의해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한다.
보정 후의 곡립의 수분량=보정 전의 곡립의 수분량+A ‥ (식 1)
A : 기판 상의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분측정장치 내부의 온도에 의한 보정값
그러나 수분측정장치의 본체의 기판 상의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실제의 곡물의 온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수분측정장치는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곡립의 보다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없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곡물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장치이며, 수분측정장치를 제어하는 기판 상에 마련되어, 수분측정장치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와,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와, 이 공간을 통과한 곡물의 일부의 곡립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부를 구비하고, 수분측정부는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측정한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분측정장치에 의하면, 기판 상에 마련된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함으로 인해, 곡립의 보다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곡물 건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수분측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분측정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수분측정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수분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측정장치(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물 건조기(1)에 마련되어 있다. 곡물 건조기(1)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와, 곡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3)와, 건조부(3)로부터 내려오는 곡물을 모으기 위한 집곡(集穀)부(4)와, 집곡부(4)에 모아진 곡물을 저장부(2)에 되돌리기 위한 양곡(揚穀)부(5)와, 집곡부(4)로부터 양곡부(5)로 곡물을 송출하는 유곡통(流穀筒)(7)을 구비하고 있다.
저장부(2)는 곡물 건조기(1)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곡물을 수용한다.
건조부(3)는 저장부(2)의 하방에 마련되어, 저장부(2)로부터 순환동작에 의해 내려오는 곡물을 예를 들어 원적외선이나 열풍에 의해 가열하여, 곡물에 포함되는 수분을 저감시킨다.
집곡부(4)는 건조부(3)의 하방에 마련되어, 건조부(3)로부터 순환동작에 의해 내려오는 곡물을 모은다.
양곡부(5)는 저장부(2), 건조부(3) 및 집곡부(4)의 측면 측을 상하방향으로 연장시키도록 마련되어, 집곡부(4)에 모아진 곡물을 상방으로 반송하고, 저장부(2)의 상부로 방출한다. 또한 양곡부(5)의 하부에는 곡물 건조기(1)에 의해 건조시키는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6)가 마련되어 있다. 투입구(6)로부터 투입된 곡물은 양곡부(5)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저장부(2)의 상부로 방출된다. 나아가 양곡부(5)의 상부에는 그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유곡통(7)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곡부(4)의 우측 끝에 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유곡통(7)은 집곡부(4)로부터 양곡부(5)로 곡물을 송출하는 송출로를 형성하고 있다. 집곡부(4)에서는 내려오는 곡물을 유곡통(7)으로 반송하는 반송기구(401)를 가지고 있다. 반송기구(401)는 회전축에 대해서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티스를 가지고 있으며, 그 티스의 회전에 의해, 내려오는 곡물을 도 1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반송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곡물은 집곡부(4)로부터 유곡통(7)으로 반송되고, 유곡통(7)으로부터 양곡부(5)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곡물 건조기(1)는 저장부(2), 건조부(3), 집곡부(4), 유곡통(7) 및 양곡부(5)의 순서대로 곡물을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분측정장치(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곡부(5)의 측면의 하측, 즉 곡물 건조기(1)의 일측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수분측정장치(10)는 소정 시간마다 곡물의 수분량으로서, 양곡부(5)에서 상방으로 반송되는 곡물의 일부의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분량'이란 '수분의 중량', '수분의 용량', 곡립 전체의 중량에 대한 그 곡립의 수분의 중량의 비율인 '수분의 중량비', 곡립 전체의 용량에 대한 그 곡립의 수분의 용량의 비율인 '수분의 용량비' 중 어느 것을 의미해도 된다.
곡물 건조기(1)는 곡물의 건조동작 중에 수분측정장치(10)에 의해 측정된 곡립의 수분량이, 미리 설정된 수분량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건조부(3), 집곡부(4) 및 양곡부(5)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분측정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곡부(5)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에 마련되어,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측정기구(30)와, 수분측정기구(30)를 향해서 곡립을 공급하기 위한 곡립 공급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면(21)을 양곡부(5)에 대향시킨 자세로 양곡부(5)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저면(22)은 제1 측면(21)에 대향하는 제2 측면(23)으로부터 제1 측면(21)을 향해서 하향 경사가 된다. 하우징(20)의 제1 측면(21)에 이웃하는 제3 측면(24)에는 외측으로부터 하우징(20) 내를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관찰 창(24a)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20)의 내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26)에 의해 제3 측면(24) 측의 제1 공간(20a)과, 제3 측면(24)과 대향하는 제4 측면(25) 측의 제2 공간(20b)으로 나뉘어져 있다. 하우징(20)의 제1 측면(21)에서의 제1 공간(20a) 측의 상부에는 곡립을 거두어들이기 위한 취입구(2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제1 측면(21)에서의 제1 공간(20a) 측의 하부에는 수분측정기구(30)에 의해 수분량을 측정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b)가 마련되어 있다.
수분측정기구(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분량을 측정하는 곡립의 크기마다 마련되어, 곡립을 으깨기 위한 복수의 수분측정부(31)와, 복수의 수분측정부(31)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32)와, 전동 모터(32)의 구동력을 복수의 수분측정부(31)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기구(33)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수분측정부(31)는 전동 모터(32)의 구동력을 받아서 구동하는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과, 제1 회전축(31a)에 지지되는 제1 롤러(31c)와, 제2 회전축(31b)에 지지되는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와,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 또는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서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측정부(31f)를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수분측정장치(10)를 제어하는 기판(31g)이 마련되어 있다. 기판(31g)은 하우징(20)의 제1 측면(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34a, 34b)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34a, 34b)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기판(31g) 상에는 측정부(31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판(31g) 상에는 수분측정장치(10) 내부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온도 센서(31h)가 마련되어 있다. 온도 센서(31h)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된다.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은 각각 금속제이며,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간(20a)에서 각각의 중심축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은 각각의 일단 측이 칸막이벽(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롤러(31c)는 제1 회전축(31a)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원통형 부재이다. 제1 롤러(31c)의 외주부에는 예를 들어 십자형 패턴 등의 전조(轉造)식 롤러 가공이 시행되어 있다. 또한 제1 롤러(31c)의 근방에는 제1 롤러(31c)의 외주면에 부착된 곡립의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회전 브러쉬(31c1) 및 스크래퍼(31c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롤러(31d)는 제2 회전축(31b)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원통형 부재이다. 제2 롤러(31d)는 축방향의 치수가 제1 롤러(31c)의 축방향의 치수의 대략 반이다. 제2 롤러(31d)의 외주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선형 패턴, 직선형 패턴 등의 전조식 롤렛 가공에 의해 홈(31d1)이 형성되어 있다. 홈(31d1)은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2 롤러(31d)의 외주부 사이에서 벼나 밀 등의 소립의 곡립을 으깨는 것이 가능한 깊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롤러(31e)는 제2 회전축(31b)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원통형 부재이다. 제3 롤러(31e)는 축방향의 치수가 제1 롤러(31c)의 축방향의 치수의 대략 반이며, 제2 롤러(31d)의 축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제3 롤러(31e)의 외주부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선형 패턴, 직선형 패턴 등의 절삭식 롤렛 가공에 의해 홈(31e1)이 형성되어 있다. 홈(31e1)은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3 롤러(31e)의 외주부 사이에서 대두나 옥수수 등의 대립의 곡립을 으깨는 것이 가능한, 제2 롤러(31d)의 홈(31d1)보다 큰 깊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회전축(31b)의 축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수분측정부(31)는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2 롤러(31d)의 외주부 사이를 제1 수분측정부(31A)로 하고,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3 롤러(31e)의 외주부 사이를 제2 수분측정부(31B)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의 근방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의 외주면에 부착된 곡립의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고정 브러쉬(31d2) 및 스크래퍼(31d3)가 마련되어 있다.
나아가 복수의 수분측정부(31)는 각각 곡립과는 다른 돌이나 금속편 등의 이물질이 공급된 경우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물질 제거구조는 제1 롤러(31c)의 외주부의 일부,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의 외주부의 일부, 또는 제1 롤러(31c),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의 외주부의 일부를 평면이 되도록 자르는 소위 D 커트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수분측정부(31)에서는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을 구동하여 곡립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물질이 공급되면, 이물질이 롤러(31c, 31d, 31e)에 끼어 들어가서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의 회전이 규제된다. 복수의 수분측정부(31)에서는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를 검지하여, 수분량을 측정할 때의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수분측정부(31)에 투입된 이물질은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 또는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서 D 커트에 의해 형성된 틈을 낙하시켜서 수분측정부(31)로부터 제거된다.
측정부(31f)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축(31a)에 접속된 제1 측정점(31f1)과 제2 회전축(31b)에 접속된 제2 측정점(31f2)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측정부(31f)는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 또는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 곡립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제1 측정점(31f1)과 제2 측정점(31f2) 사이에 전기회로가 형성된다. 측정부(31f)는 제1 측정점(31f1)과 제2 측정점(31f2) 사이의 전기저항값을 검출함으로써,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부(31f)는 측정한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보정한다.
전동 모터(3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간(20a)의 상부에 마련되어, 칸막이벽(26)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기구(33)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32)의 회전축이 연결된다. 또한 구동력 전달기구(33)에는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이 연결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기구(33)는 제2 공간(20b)에 마련되어, 칸막이벽(26)에 고정되어 있다.
곡립 공급기구(4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이 투입되는 호퍼(41)와, 호퍼(41) 내와 복수의 수분측정부(31) 각각을 연이어 통하는 복수의 연통로(42a, 42b)가 형성된 연통부재(42)와, 호퍼(41)에 투입된 곡립을 호퍼(41) 내에서 소정의 연통로에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곡립 이동부재로서의 곡립 이동판(43)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제1 측면(21)을 양곡부(5)에 대향시킨 자세로 양곡부(5)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호퍼(41)는 하우징(20)의 상부 측에서 양곡부(5)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호퍼(41)는 일단 측이 폐쇄됨과 동시에 타단 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호퍼(41)는 그 일부가 취입구(21a)를 통해서 양곡부(5)의 내부공간으로 튀어나와 있으며, 통형상의 일단 측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향해져 있다. 호퍼(41)의 타단 측의 개구는 양곡부(5)에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향하고 있다. 호퍼(41)에는 양곡부(5)로부터 호퍼(41) 내에의 곡립의 투입량을 억제하기 위해서 타단 측의 개구의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판(41a)이 마련되어 있다.
연통부재(42)는 호퍼(41)의 일단과 복수의 수분측정부(31)의 상방을 연이어 통하는 통로가 형성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0)의 제1 측면(21) 측으로부터 봐서 우측에 호퍼(41)와 제1 수분측정부(31A)를 연이어 통하는 제1 연통로(42a)가 형성되고, 좌측에 호퍼(41)와 제2 수분측정부(31B)를 연이어 통하는 제2 연통로(4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곡부(5)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 측면(21) 상이며 호퍼(41)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는 온도 센서(44)가 마련되어 있다. 온도 센서(44)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된다. 온도 센서(44)는 양곡부(5)의 내부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이다. 양곡부(5)에 의해 곡물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송될 때, 즉 곡물이 양곡부(5)의 내부공간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할 때, 온도 센서(44)는 그 내부공간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44)를, 양곡부(5)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 측면(21) 상이며 호퍼(41)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마련한 이유로서는, (1)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여 온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실험을 행한 결과, 이 위치에서 최적의 온도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었던 것, (2) 양곡부(5)의 내부공간에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하는 곡물과 온도 센서(44)가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온도 센서(4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유를 들 수 있다.
온도 센서(4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31g) 상의 측정부(31f)와 코드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온도 센서(44)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데이터는 측정부(31f)에 공급된다. 또한 측정부(31f)에는 기판(31g) 상에 마련된 온도 센서(31h)에 의해 측정된, 수분측정장치(10) 내부의 온도의 데이터가 공급된다.
측정부(31f)는 호퍼(41)의 바로 아래에 마련된 온도 센서(44)에 의해 측정된,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양곡부(5)의 내부공간의 온도와, 기판(31g) 상에 마련된 온도 센서(31h)에 의해 측정된 수분측정장치(10)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저항값의 검출에 의해 측정한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31f)는 기판(31g) 상의 온도 센서(31h)로부터 수분측정장치(10) 내부의 온도의 데이터가 공급되고, 호퍼(41)의 바로 아래의 온도 센서(44)로부터, 양곡부(5)의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내부공간의 온도의 데이터가 공급되면, 이하의 (식 2)에 의해 전기저항값의 검출에 의해 측정한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한다.
보정 후의 곡립의 수분량=보정 전의 곡립의 수분량+B+C ‥ (식 2)
B : 온도 센서(31h)에 의해 측정된 수분측정장치(10) 내부의 온도에 의한 보정값, C : 온도 센서(44)에 의해 측정된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양곡부(5)의 내부공간의 온도에 의한 보정값
이와 같이, 수분측정장치(10)는 온도 센서(31h)에 의해 측정된 수분측정장치(10) 내부의 온도뿐 아니라, 온도 센서(44)에 의해 측정된,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양곡부(5)의 내부공간의 온도도 이용하여, 상기 (식 2)에 의해 전기저항값의 검출에 의해 측정한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한다. 이에 의해, 수분측정장치(10)는 온도 센서(31h)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온도 센서(44)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라 해도 곡립의 보다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분측정장치(10)는 온도 센서(44)를, 양곡부(5)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 측면(21) 상이며 호퍼(41)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분측정장치(10)에 의하면, 예를 들어 유곡통 내를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곡물의 수분량을 보정하는 수분측정장치와 달리, 곡물의 온도를 즉시 측정하지 않아도,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양곡부(5)의 내부공간의 온도를 이용함으로써, 곡립의 보다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분측정장치(10)에 의하면, 수분측정기구로부터 유곡통 내의 온도 센서까지 코드 등을 연장시켜서 접속할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수분측정장치(10)에 의하면, 수분측정기구와 유곡통 내의 온도 센서를 접속하지 않으면 안 되어, 그 때의 작업자에 의한 배선작업이 번잡해지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수분측정장치(10)는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하는데 있어서, 양곡부(5)의 내부공간의 온도를 이용하고 있음으로 인해, 곡물의 양과 상관없이 곡립의 보다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측정장치(10)에 의하면, 번잡한 배선작업을 행하지 않으면서 곡물의 정확한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인해, 범용성이 높은 수분측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회전축(31b)에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와 같은 2개의 롤러가 지지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회전축(31b)에는 1개의 롤러 혹은 3개 이상의 롤러가 지지되어도 된다.
1 : 곡물 건조기 10 : 수분측정장치
31 : 수분측정부 31f : 측정부
31h : 온도 센서 31g : 기판
31A : 제1 수분측정부 31B : 제2 수분측정부
41 : 호퍼 44 : 온도 센서

Claims (3)

  1. 곡물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장치이며,
    상기 수분측정장치를 제어하는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수분측정장치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와,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와,
    상기 공간을 통과한 곡물의 일부의 곡립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측정부는 상기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측정한 곡립의 수분량을 보정하는 수분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이 통과하고 있는 공간은 곡물을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곡물 건조기가 구비하는, 곡물을 반송 가능한 양곡부의 내부공간이며,
    상기 수분측정장치는 상기 양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온도 센서는 상기 양곡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수분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측정장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온도 센서는 상기 양곡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위치이며 상기 호퍼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수분측정장치.
KR1020217027896A 2019-03-07 2019-03-07 수분측정장치 KR102667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09117 WO2020179061A1 (ja) 2019-03-07 2019-03-07 水分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520A true KR20210119520A (ko) 2021-10-05
KR102667621B1 KR102667621B1 (ko) 2024-05-22

Family

ID=7233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896A KR102667621B1 (ko) 2019-03-07 2019-03-07 수분측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62806B2 (ko)
KR (1) KR102667621B1 (ko)
CN (1) CN113518916A (ko)
WO (1) WO2020179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2805B2 (ja) * 2019-03-07 2022-10-31 静岡製機株式会社 水分測定装置および水分測定方法
CN115060856B (zh) * 2022-05-25 2023-01-31 安徽大学 一种在线谷物水分测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584U (ja) 1984-07-23 1986-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プロジエクシヨン溶接用電極
KR880004302A (ko) * 1986-09-30 1988-06-03 이세끼 마사다까 순환식 곡물낟알 건조기에 있어서의 기내곡물낟알의 온도측정방법
JP2004037101A (ja) * 2002-06-28 2004-02-05 Iseki & Co Ltd 穀物水分測定装置
JP2006038595A (ja) * 2004-07-26 2006-02-09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水分測定装置
KR20180049403A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포스코 분말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0750A (ja) * 1986-10-02 1988-04-21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水分測定方式
US8479408B2 (en) * 2009-03-13 2013-07-09 Noble M. Salisbury Retrofit grain dryer moisture controller
JP6127584B2 (ja) * 2013-03-01 2017-05-17 静岡製機株式会社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JP7162805B2 (ja) * 2019-03-07 2022-10-31 静岡製機株式会社 水分測定装置および水分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584U (ja) 1984-07-23 1986-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プロジエクシヨン溶接用電極
KR880004302A (ko) * 1986-09-30 1988-06-03 이세끼 마사다까 순환식 곡물낟알 건조기에 있어서의 기내곡물낟알의 온도측정방법
JP2004037101A (ja) * 2002-06-28 2004-02-05 Iseki & Co Ltd 穀物水分測定装置
JP2006038595A (ja) * 2004-07-26 2006-02-09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水分測定装置
KR20180049403A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포스코 분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62806B2 (ja) 2022-10-31
KR102667621B1 (ko) 2024-05-22
JPWO2020179061A1 (ko) 2020-09-10
CN113518916A (zh) 2021-10-19
WO2020179061A1 (ja)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9520A (ko) 수분측정장치
KR20210119519A (ko) 수분측정장치
JP6127584B2 (ja)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RU25221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и применен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змере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2212414B1 (ko)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JP6750826B2 (ja) 乾燥機
JP4668035B2 (ja) 製茶揉乾ライン並びにその運転制御方法
CN206906302U (zh) 一种差速电阻式粮食水分在线检测装置
US20200338598A1 (en) Sorting and supplying apparatus for plurality of packaging products
KR20100087918A (ko) 과일용 트레이 정렬 장치, 과일 품질 판정 장치 및 이들을 구비한 수박 선별 장치
US20230211383A1 (en) Grain sorting process
JP5850797B2 (ja) コンバイン
JP4320881B2 (ja) 穀粒水分測定装置
JP6977019B2 (ja) 分光分析装置
JP5565961B2 (ja) 水分測定装置
CN109073545B (zh) 干燥机及干燥机用光谱分析装置
US10857562B2 (en) String filter
JP3943290B2 (ja) サンプル穀物乾燥装置における水分値制御装置
KR101141747B1 (ko) 사료 정량 공급장치
KR101645932B1 (ko) 곡물 로스팅 장치
JP2004037101A (ja) 穀物水分測定装置
CN113853928A (zh) 联合收割机
CN113311023A (zh) 一种谷物水分计
JPH11211348A (ja) 穀粒乾燥機における水分検出装置
CN115586100A (zh) 测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