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513A -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 Google Patents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513A
KR20210119513A KR1020217027646A KR20217027646A KR20210119513A KR 20210119513 A KR20210119513 A KR 20210119513A KR 1020217027646 A KR1020217027646 A KR 1020217027646A KR 20217027646 A KR20217027646 A KR 20217027646A KR 20210119513 A KR20210119513 A KR 20210119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preload
screw device
surface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872B1 (ko
Inventor
유지 구보타
히로후미 스즈키
다카미츠 도미야마
유타 츠지사와
Original Assignee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1Monitoring wear or stress of gearing elements, e.g. for triggering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1Monitoring wear or stress of gearing elements, e.g. for triggering maintenance
    • F16H2057/012Monitoring wear or stress of gearing elements, e.g. for triggering maintenance of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싱글 너트로 예압을 부여하는 나사 장치에 있어서, 예압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는 나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사 장치(1)는 나선 형상의 외면 홈(2a)을 갖는 나사축(2)과, 나사축(2)이 끼워지고, 나선 형상의 내면 홈(3a) 및 복귀로(9)를 갖고, 외면 홈(2a)과 내면 홈(3a)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8)가 복귀로(9)로 연결되는 너트(3)와, 통로(8)와 복귀로(9)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4)와, 너트(3)의 외면에 첩부되는 변형 센서(5)를 구비한다. 변형 센서(5)가 첩부되는 너트(3)의 첩부면(3e) 및/또는 그 근방과 너트(3)의 내면(3d)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구멍(11)을 마련한다.

Description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본 발명은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사 장치는 나사축과, 너트와, 나사축과 너트 사이에 개재하는 복수의 전동체를 구비한다. 모터 등에 의해 나사축을 회전시키면, 너트가 직선 운동한다. 나사 장치는,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 사이에서 운동을 변환하는 기계 요소로서 사용된다. 나사축이 회전하는 동안, 전동체가 굴러서 운동하므로,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나사 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나사 장치에는 예압이 부여된다. 나사 장치의 예압 방식으로서, 더블 너트 예압, 오프셋 예압, 오버사이즈 볼 예압이 알려져 있다. 더블 너트 예압에 있어서는, 너트를 2개 사용하고, 2개의 너트 사이에 스페이서를 넣고, 각 너트의 나사축, 너트 및 볼간에 발생하는 축 방향 간극을 제로로 한다. 오프셋 예압은, 싱글 너트로 예압을 부여하는 방식이며, 너트의 나선 형상의 내면 홈의 일부를 내면 홈의 다른 일부에 대하여 너트의 축 방향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축 방향 간극을 제로로 한다. 오버사이즈 볼 예압은, 싱글 너트로 예압을 부여하는 방식이며, 너트의 나선 형상의 내면 홈과 나사축의 나선 형상의 외면 홈 사이의 통로보다 큰 전동체를 삽입함으로써, 축 방향 간극을 제로로 한다.
나사 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면, 전동체, 나사축, 너트가 마모된다. 이들이 마모되면, 나사 장치의 예압이 저하되고, 나사 장치의 강성, 위치 결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예압을 검지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는, 더블 너트 예압 방식의 볼 나사에 있어서, 2개의 너트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변형 센서를 개재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변형 센서에 의해 2개의 너트의 대향면에 작용하는 축 방향력을 검출함으로써, 경년 변화에 기인하는 예압의 저하를 감시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6-223493호 공보
싱글 너트로 예압을 부여하는 나사 장치에는, 더블 너트로 예압을 부여하는 나사 장치보다 예압을 검지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왜냐하면, 가령 너트의 외면에 변형 센서를 첩부해도, 예압 하중에 기인하는 너트의 외면의 변형량이 작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싱글 너트로 예압을 부여하는 나사 장치에 있어서, 예압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는 나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나선 형상의 외면 홈을 갖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이 끼워지고, 나선 형상의 내면 홈 및 복귀로를 갖고, 상기 외면 홈과 상기 내면 홈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가 상기 복귀로에 연결되는 너트와, 상기 통로와 상기 복귀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너트의 외면에 첩부되는 변형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 센서가 첩부되는 상기 너트의 첩부면 및/또는 그 근방과 상기 너트의 내면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구멍을 마련하는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변형 센서가 첩부되는 너트의 첩부면 및/또는 그 근방과 너트의 내면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구멍을 마련하므로, 적어도 1개의 구멍을 마련한 부분에 있어서, 너트의 외면에 예압 하중이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너트의 외면의 변형하는 부분과 변형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계선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변형량이 확대되므로, 변형 센서에 의한 예압의 검지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의 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오버사이즈 볼 예압의 원리를 도시하는 모식도(도 4의 (a)는 나사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오버사이즈 볼 예압에 의한 너트의 변형을 도시하는 모식도(도 5의 (a)는 너트의 측면도, 도 5의 (b)는 너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너트의 외면의 변형량의 크기를 도시하는 모식도(도 6의 (a)는 나사 장치의 축선에 직각인 단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나사 장치의 축선에 직각인 단면도(도 7의 (a)는 너트에 1개의 구멍을 마련한 본 발명예 1, 도 7의 (b)는 너트에 2개의 구멍을 마련한 본 발명예 2)이다.
도 8은 실험에 의해 구한 예압량과 외관 변형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경년 변화에 수반하는 예압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의 축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오프셋 예압의 원리를 도시하는 모식도(도 12의 (a)는 나사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b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이하, 단순히 나사 장치라고 한다)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나사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는, 명세서의 개시를 충분히 함으로써, 당업자가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를 가지고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나사 장치(1)의 축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1)는 나사축(2)과, 너트(3)와, 나사축(2)의 외면 홈(2a)과 너트(3)의 내면 홈(3a) 사이에 개재하는 전동체로서의 볼(4)을 구비한다.
나사축(2)의 외면에는, 볼(4)이 구르는 나선 형상의 외면 홈(2a)이 형성된다. 외면 홈(2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볼(4)의 반경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갖는 2개의 원호를 조합한 고딕 아치상이다(도 4의 (b) 참조). 볼(4)은 외면 홈(2a)에 두 점에 접촉한다.
너트(3)에는 나사축(2)이 끼워진다. 너트(3)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는, 상대 부품에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3b)가 마련된다. 너트(3)의 외면은, 플랜지(3b)를 제외하고 대략 원통 형상이다. 너트(3)의 외면에는, 평탄한 평탄부(3c)가 형성된다. 너트(3)의 내면에는, 나사축(2)의 외면 홈(2a)에 대향하는 나선 형상의 내면 홈(3a)이 형성된다. 내면 홈(3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볼(4)의 반경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갖는 2개의 원호를 조합한 고딕 아치상이다(도 4의 (b) 참조). 볼(4)은, 내면 홈(3a)에 두 점에 접촉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의 외면의 평탄부(3c)에는,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변형 센서(5)가 첩부된다. 변형 센서(5)는, 금속 또는 반도체가 신축하면, 저항값이 변화한다고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너트(3)의 외면의 변형을 검출한다. 이 실시 형태의 변형 센서(5)는, 너트(3)의 외면의 적어도 원주 방향(도 1의 나사축(2)의 축선과 직각인 Y 방향)의 변형을 검출한다.
변형 센서(5)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절연체 상에 금속의 저항체를 설치한 금속 변형 게이지, 절연체 상에 반도체를 설치한 반도체 변형 게이지, 반도체 가공 기술을 사용해서 작성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변형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2)의 외면 홈(2a)과 너트(3)의 내면 홈(3a) 사이에 나선 형상의 통로(8)가 형성된다. 이 통로(8)에는, 복수의 볼(4)이 배치된다.
도 3은 나사 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는, 통로(8)의 중심선과 통로(8)에 연결되는 복귀로(9)의 중심선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에는, 볼(4)이 순환할 수 있도록, 이 통로(8)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결되는 복귀로(9)가 마련된다. 복귀로(9)는 너트(3)에 마련한 축 방향의 관통 구멍(9a)과, 관통 구멍(9a)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순환 부품(9b, 9c)에 의해 구성된다. 순환 부품(9b, 9c)은 너트(3)의 축 방향의 단부면의 오목부에 장착된다. 순환 부품(9b, 9c)에는, 통로(8)를 구르는 볼(4)을 너트(3)의 관통 구멍(9a)으로 유도하는 방향 전환로가 형성된다. 또한, 복귀로(9)를 너트(3)의 외면에 설치되는 리턴 파이프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센서(5)가 첩부되는 너트(3)의 첩부면(3e)과 너트(3)의 내면(3d) 사이에는, 구멍(11)이 마련된다. 구멍(11)을 너트(3)의 첩부면(3e)의 근방과 너트(3)의 내면(3d) 사이에 마련할 수도 있다. 구멍(11)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멍(11)은 너트(3)의 단부면으로부터 뚫어져서, 첩부면(3e)의 하방을 통과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1)의 예압 방식은, 오버사이즈 볼 예압이다. 도 4의 (a), (b)는 오버사이즈 볼 예압의 원리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볼(4)에는, 나사축(2)의 외면 홈(2a)과 너트(3)의 내면 홈(3a) 사이의 통로(8)보다 직경이 큰 오버사이즈의 볼(4)이 사용된다. 볼(4)은 외면 홈(2a)과 내면 홈(3a) 사이에서 압축된다. 부호 7은 접촉각 선이다. 나사축(2)의 외면 홈(2a)의 피치 P는 외면 홈(2a)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다. 너트(3)의 내면 홈(3a)의 피치 P도 내면 홈(3a)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다.
도 5의 (a), (b)는 오버사이즈 볼 예압에 의한 너트(3)의 변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의 (a), (b)의 실선이 예압을 걸기 전의 너트(3)를 나타내고, 도 5의 (a), (b)의 파선이 예압을 건 후의 너트(3)를 나타낸다. 오버사이즈 볼 예압을 건 경우, 너트(3)는 그 외경부가 부푸는 것처럼 변형된다. 도 5의 (a), (b)에는, 너트(3)의 변형을 과대하게 도시하지만, 너트(3)의 실제 변형은 얼마 되지 않는다. 오버사이즈 볼 예압의 경우, 볼(4)로부터 너트(3)에 작용하는 예압 하중이 너트(3)의 전체에 분산되기 때문이다.
도 6의 (a), (b)는, 너트(3)의 외면의 변형량의 크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의 (a), (b)에 있어서, 너트(3)의 외면의 변형량의 크기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의 내부에 구멍(11)을 마련함으로써, 예압 하중 F가 구멍(11)으로 전해지지 않고, 구멍(11)을 마련한 부분의 반경 방향 외측의 너트(3)의 외면 팽창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너트(3)의 외면의 변형하는 부분과 변형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계선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변형량이 확대된다. 변형량이 확대된 부분에 변형 센서(5)를 배치하면, 변형 센서(5)의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하거나, 변형 센서(5)의 분해능을 높이거나, 변형 센서(5)용 증폭기 기판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7의 (a)는 1개의 구멍(11)을 뚫은 너트(3)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의 (b)는 2개의 구멍(11)을 뚫은 너트(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너트(3)에는, 1개의 구멍(11)을 뚫어도 되고, 서로 평행하여 인접하는 2개의 구멍(11)을 뚫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형량은, 너트(3)의 외면의 변형하는 부분과 변형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계선에 있어서 확대한다. 2개의 구멍(11)을 뚫는 것으로, 확대시킨 변형량을 중첩시킬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구멍(11)을 뚫은 경우, 구멍(11)을 복귀로(9)의 관통 구멍(9a)과 원주 방향으로 180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구멍(11)을 뚫은 경우, 2개의 구멍(11)의 중심을 복귀로(9)의 관통 구멍(9a)과 원주 방향으로 180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3)의 무게 중심을 너트(3)의 중심에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실험에 의해 구한 예압량과 외관 변형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겉보기 변형량은, 너트(3)의 외면 원주 방향 변형량이다. 도 8의 ▲가 너트(3)에 구멍(11)을 마련하지 않는 비교예를 나타내고, 도 8의 ◆가 너트(3)에 1개의 구멍(11)을 마련한 본 발명예 1을 나타내고, 도 8의 ■가 너트(3)에 2개의 구멍(11)을 마련한 본 발명예 2를 나타낸다. 너트(3)에 1개의 구멍(11)을 마련함으로써, 구멍(11)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겉보기 변형량, 바꿔 말하면 변형 센서(5)의 감도를 약 2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너트(3)에 2개의 구멍(11)을 마련함으로써, 구멍(11)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겉보기 변형량, 바꿔 말하면 변형 센서(5)의 감도를 약 3.5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사 장치(1)를 장기간 사용하면, 볼(4), 나사축(2), 너트(3)가 마모되고, 나사 장치(1)의 예압이 저하된다. 예압이 저하되면, 너트(3)의 외면의 변형이 작아져서, 변형 센서(5)의 저항값이 저하된다. 변형 센서(5)는, 도시하지 않은 증폭기 기판에 접속된다. 증폭기 기판은, 변형 센서(5)의 저항값에 기초한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증폭기 기판의 전압 신호에 의해, 예압의 저하를 감시할 수 있다. 도 9는 증폭기 기판이 출력하는 전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나사 장치(1)의 사용 기간이며, 종축은 증폭기 기판이 출력하는 전압(즉 예압 잔존 레벨)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년 변화에 수반하는 예압 잔존 레벨의 저하를 알 수 있다.
또한, IoT를 도입하여, 증폭기 기판이 출력하는 전압 신호를 송신기에 의해 인터넷 회선을 통해서 클라우드로 송신해도 된다. 그리고, 클라우드 상의 고장 진단 시스템이, 증폭기 기판이 출력하는 전압 신호를 인공 지능을 사용한 심층 학습(딥러닝)하여, 나사 장치(1)의 고장을 진단해도 된다.
이상으로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 센서(5)가 첩부되는 너트(3)의 첩부면(3e) 및/또는 그 근방과 너트(3)의 내면(3d) 사이에 구멍(11)을 마련하므로, 구멍(11)을 마련한 부분에 있어서, 너트(3)의 외면에 예압 하중이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너트(3)의 외면의 변형하는 부분과 변형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계선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변형량이 확대되므로, 변형 센서(5)에 의한 예압의 검지가 용이해진다.
오버사이즈 볼 예압의 경우, 너트(3)의 원주 방향 변형을 검출함으로써, 변형 센서(5)에 의한 예압의 검지가 용이해진다.
1개의 구멍(11)을 마련함으로써, 구멍(11)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변형 센서(5)의 감도를 예를 들어 약 2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평행한 2개의 구멍(11)을 마련함으로써, 구멍(11)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변형 센서(5)의 감도를 예를 들어 약 3.5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 센서(5)를 너트(3)의 평탄부(3c)에 설치함으로써, 너트(3)에 변형 센서(5)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21)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나사 장치(21)의 축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21)도, 나사축(2), 너트(3), 나사축(2)의 외면 홈(2a)과 너트(3)의 내면 홈(3a) 사이에 개재하는 전동체로서의 볼(4)을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1)는 오버사이즈 볼 예압의 나사 장치(1)인 데 반해, 제2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21)는 오프셋 예압의 나사 장치(21)이다. 즉, 도 1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의 내면 홈(3a)의 일부(3a1)를 너트(3)의 내면 홈(3a)의 다른 일부(3a2)에 대하여 너트(3)의 축 방향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다. 내면 홈(3a)의 일부(3a1)가 사용되는 순환 회로와, 내면 홈(3a)의 다른 일부(3a2)가 사용되는 순환 회로는, 서로 다르다. 내면 홈(3a)의 일부(3a1)의 리드는 L이고, 내면 홈(3a)의 다른 일부(3a2)의 리드는 L이고, 일부(3a1)와 다른 일부(3a2) 사이의 오프셋부(18)의 리드는 L+α이다. 또한, 1조의 내면 홈(3a) 내에서 오프셋 예압을 걸어도 되고, 2조의 내면 홈(3a)의 조 사이에서 오프셋 예압을 걸어도 된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2)의 외면 홈(2a)의 단면 형상은, 볼(4)의 반경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갖는 단일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서큘러 아크상이다. 볼(4)은 외면 홈(2a)에 한 점에 접촉한다. 너트(3)의 내면 홈(3a)의 단면 형상은, 볼(4)의 반경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갖는 단일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서큘러 아크상이다. 볼(4)은 내면 홈(3a)에 한 점에 접촉한다. 부호 7은 접촉각 선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의 외면의 평탄부(3c)에는,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변형 센서(5)가 첩부된다. 변형 센서(5)가 설치되는 너트(3)의 첩부면(3e)과 너트(3)의 내면(3d) 사이에는, 구멍(11)이 마련된다. 구멍(11)을 너트(3)의 첩부면(3e)의 근방과 너트(3)의 내면(3d)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구멍(11)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접하는 평행한 2개의 구멍(11)을 마련해도 된다. 구멍(11)은 너트(3)의 측면으로부터 뚫어져서, 첩부면(3e)의 하방을 통과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나사 장치(21)에 의하면, 변형 센서(5)가 첩부되는 너트(3)의 첩부면(3e) 및/또는 그 근방과 너트(3)의 내면(3d) 사이에 구멍(11)을 마련하므로, 구멍(11)을 마련한 부분에 있어서, 너트(3)의 외면에 예압 하중이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너트(3)의 외면의 변형하는 부분과 변형하기 어려운 부분의 경계선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변형량이 확대되므로, 변형 센서(5)에 의한 예압의 검지가 용이해진다.
오프셋 예압의 경우, 너트(3)의 외면의 축 방향의 변형량을 검지함으로써, 예압의 검지가 용이해진다. 오프셋 예압에 의해 너트(3)는 축 방향(도 10의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변형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화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동체에는 볼 대신에 롤러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구멍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지만, 원형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4각형 등이어도 된다. 또한, 구멍은 직선 형상 혹은 원호 형상의 긴 구멍, 및/또는 슬릿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멍의 내부가 공간으로 되어 있지만, 구멍의 내부를 충전재에 의해 충전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2019년 2월 6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제2019-019349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해 둔다.
1, 21 : 나사 장치
2 : 나사축
2a : 외면 홈
3 : 너트
3a : 내면 홈
3a1 : 너트의 내면 홈의 일부
3a2 : 너트의 내면 홈의 다른 일부
3c : 평탄부
3d : 너트의 내면
3e : 첩부면
4 : 볼(전동체)
5 : 변형 센서
8 : 통로
9 : 복귀로
11 : 구멍

Claims (5)

  1. 나선 형상의 외면 홈을 갖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이 끼워지고, 나선 형상의 내면 홈 및 복귀로를 갖고, 상기 외면 홈과 상기 내면 홈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가 상기 복귀로에 연결되는 너트와,
    상기 통로와 상기 복귀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와,
    상기 너트의 외면에 첩부되는 변형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 센서가 첩부되는 상기 너트의 첩부면 및/또는 그 근방과 상기 너트의 내면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구멍을 마련하는,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장치의 예압이, 상기 통로보다 큰 상기 전동체를 사용하는 오버사이즈 볼 예압이며,
    상기 변형 센서가 상기 너트의 적어도 원주 방향의 변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장치의 예압이, 상기 너트의 상기 내면 홈의 일부를 상기 너트의 상기 내면 홈의 다른 일부에 대하여 상기 너트의 축 방향으로 오프셋시키는 오프셋 예압이며,
    상기 변형 센서가 상기 너트의 축 방향 변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멍이 서로 평행해서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센서가 상기 너트의 상기 외면의 평탄부에 첩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KR1020217027646A 2019-02-06 2020-01-20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KR102670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9349 2019-02-06
JP2019019349A JP7166185B2 (ja) 2019-02-06 2019-02-06 予圧検知可能なねじ装置
PCT/JP2020/001652 WO2020162145A1 (ja) 2019-02-06 2020-01-20 予圧検知可能なね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513A true KR20210119513A (ko) 2021-10-05
KR102670872B1 KR102670872B1 (ko) 2024-05-3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3493A (ja) 2015-05-28 2016-12-28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3493A (ja) 2015-05-28 2016-12-28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2145A1 (ja) 2020-08-13
DE112020000713T5 (de) 2021-11-11
TW202043649A (zh) 2020-12-01
US11892062B2 (en) 2024-02-06
CN113423972A (zh) 2021-09-21
JP7166185B2 (ja) 2022-11-07
JP2020125829A (ja) 2020-08-20
US20220128136A1 (en) 2022-04-28
TWI821517B (zh) 2023-11-11
CN113423972B (zh)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963B1 (ko)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CN112104146B (zh) 带有集成力传感器的机电气缸
JP6952570B2 (ja) 予圧検知可能なねじ装置
TWI820322B (zh) 可檢測預負載之螺桿裝置
KR20210119513A (ko)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JP6952569B2 (ja) 予圧検知可能なねじ装置
KR102670872B1 (ko) 예압 검지 가능한 나사 장치
JP5821926B2 (ja) ボールねじ装置用シール
US10444098B2 (en) Torque sensor and robot
EP2944548A1 (en) Ball joint and steer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8185592A (ja) フレッチングによる異音発生予測方法
ES2747248T3 (es) Objetivo de medición magnética
JP2018179965A (ja) トルクセンサおよびロボット
CN109990762B (zh) 具有倾斜侦测器的滚珠螺杆
WO2015005282A1 (ja) センサ付車輪用軸受装置
JP4127163B2 (ja) フレッチング発生予測方法
JP4244557B2 (ja) 循環方式のボールねじ
JP2021032559A (ja) 負荷荷重検出ユニット
JP2007192249A (ja) 複列転が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