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550A -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550A
KR20210118550A KR1020200034935A KR20200034935A KR20210118550A KR 20210118550 A KR20210118550 A KR 20210118550A KR 1020200034935 A KR1020200034935 A KR 1020200034935A KR 20200034935 A KR20200034935 A KR 20200034935A KR 20210118550 A KR20210118550 A KR 2021011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ontrol
control unit
monitoring step
mechanical equipmen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조우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8550A/ko
Publication of KR2021011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의 기계설비와 기계설비 주변의 환경은 물론 작업자들에 대한 능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면서 위험 상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기계설비에 대한 안전제어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동작하는 기계설비; 상기 기계설비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된 대상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감지수단; 상기 기계설비 주변을 관찰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상기 기계설비와 상기 접근감지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과 연결된 통합제어부; 및 상기 통합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제1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제어부는, 구동수단의 이상 상태 파악과 구동수단에 대한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기계설비와 상기 접근감지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취득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장의 기계설비와 기계설비 주변의 환경은 물론 작업자들에 대한 능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면서 위험 상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기계설비에 대한 안전제어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전 씨제이(CJ) 물류센터 컨베이어벨트 감전 사망사고와 컨베이어 벨트에 끼여 숨진 '24살' 아들 이름을 딴 '김용균법'이 통과되는 등 공장의 기계설비와 관련된 산업재해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다.
공장 설비와 관련된 사고들은 한 순간의 방심이나 오판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자들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적극적인 안전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1590996호 (0002)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7742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장의 기계설비와 기계설비의 주변 환경 및 기계설비와 작업자들에 대해 능동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위험 상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고 실시간 안내조치와 동시에 기계설비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한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동작하는 기계설비; 상기 기계설비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된 대상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감지수단; 상기 기계설비 주변을 관찰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상기 기계설비와 상기 접근감지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과 연결된 통합제어부; 및 상기 통합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제1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제어부는, 구동수단의 이상 상태 파악과 구동수단에 대한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기계설비와 상기 접근감지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취득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와 구동시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감지센서는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감지센서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통합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자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작업자감지수단은 착용자의 맥박과 체온 및 현재 위치를 체크하여 상기 통합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감지수단에는, 상기 작업자의 체크 정보에 따른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사용방법은, 통합제어부에서 기계설비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기계설비 감시단계;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기계설비 주변 대상물을 감시하는 주변대상물 감시단계;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기계설비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주변환경 감시단계; 상기 통합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기계설비 감시단계, 상기 주변대상물 감시단계 및 상기 주변환경 감시단계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제1안내단계; 및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기계설비 감시단계, 상기 주변대상물 감시단계 및 상기 주변환경 감시단계를 통해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기계설비에 대한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각각의 감시단계에 따른 결과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통합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변환경 감시단계는,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을 통해 상기 기계설비 주변의 촬영을 통한 영상 감시단계; 및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된 작업자감지수단을 통해 작업자의 맥박과 체온 및 현재 위치를 체크하는 작업자 감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작업자의 맥박과 체온 및 현재 위치를 체크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작업자감지수단을 통해 안내하는 제2안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통합제어부를 통해 기계설비와 기계설비의 주변 상황 및 작업자(들)의 상태와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위험 상황 발생시 이에 대한 실시간 안내는 물론, 기계설비에 대한 이상 유무 판단과 동작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정성을 보다 근본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계설비에 대한 이상 유무 판단을 통해 기계설비에 대한 유지/보수/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종래 대비 이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계설비와 관련하여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 발생시 기계설비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생체 리듬과 건강 상태 등을 체크하여 이상 여부 감지시 작업자에게 가이드하고 작업자의 휴식을 유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스템 구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스템 구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은 기계설비(10), 접근감지수단(20), 촬영수단(30), 통합제어부(40) 및 제1표시수단(50)을 포함하며, 작업자감지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계설비(10)는 주로 공장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동수단(11)을 통해 동작하는 기기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이송설비나 커팅기, 승강실린더 등에 의해 동작하는 프레스기기 및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설비 등이 있다. 물론, 기계설비(10)를 상기 열거한 항목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열거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취지에 맞춰 당업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모든 기계설비를 포함한다 할 것이다.
구동수단(11)이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기계설비(10)에 사용되는 공지의 모든 구동모터와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수단(11)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감지센서(12)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감지센서(12)는 구동수단(11)에 대한 정상적인 전원 공급 상태를 체크하고, 구동수단(1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구동수단(11)은 후술할 통합제어부(40)와 연결되어 상기 체크 및 감지된 정보를 통합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나 실린더에 연결된 구동부감지센서(12)는 모터나 실린더의 정상 동작시의 온도나 전류(전압)값 등은 물론, 과부하 등과 같은 이상 동작시의 온도나 전류(전압)값 등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이상 발생시)으로 계측하고, 상기 계측값을 통합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기계설비(10)에는 제어부(13)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동수단(11)과 연결되어 구동수단(11)을 컨트롤하며, 통합제어부(40)와 연결된다. 제어부(13)가 구비될 경우 구동수단(11)의 정상동작 상태나 이상 여부를 제어부(13)에서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통합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11)에서 통합제어부(4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13)와 구동수단(11) 모두에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접근감지수단(20)은 기계설비(10)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된, 즉, 기계설비(10)로부터 설정된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모든 대상물을 감지한다. 대상물이란 사람 또는 사물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접근감지수단(20)은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환경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어도 하나 구성될 수 있다. 접근감지수단(20)은 기계설비(10)에 구비되거나 기계설비(10) 주변의 다른 사물에 설치될 수 있다. 접근감지수단(20)을 통해 감지된 정보 역시 통합제어부(40)로 전송된다.
촬영수단(30)은 기계설비(10) 주변을 관찰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구성된다. 카메라는 기계설비(10) 주변을 사각지대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팬/틸트/줌 카메라나 어안렌즈 카메라 등과 같은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촬영수단(30)을 통해 촬영된 정보도 통합제어부(40)로 전송된다. 촬영수단(30)을 통해 촬영된 정보는 통합제어부(40)에서 공지된 영상처리기술을 통해 분석되며, 이를 통해 대상물의 종류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설비(10), 접근감지수단(20) 및 촬영수단(30)과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받는다. 전송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수단(11)의 이상 상태 파악과 구동수단(11)에 대한 동작 여부 등을 결정하고, 기계설비(10)와 접근감지수단(20) 및 촬영수단(30)을 통해 취득된 정보에 대응하여 후술할 제1표시수단(50)을 동작시킨다.
또한, 통합제어부(40)에는 구동수단(11)이 정상 동작시의 온도와 전류(전압)값 정보 및 각각의 이상 동작시의 온도와 전류(전압)값 정보 등이 기준값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 상황 발생시 후속조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특히, 구동수단(11)의 경우 대부분 소모품이므로 구동수단(11)의 사용 주기를 미리 파악하여 교체 주기를 안내받을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부(40)에는 접근감지수단(20)과 촬영수단(30)을 통한 평상시와, 기계설비(10)로 접근하는 대상물 감지시 및 긴급상황 발생시에 따른 후속조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긴급상황이란 기계설비(10)에 위해(파손)가 되거나 될 수 있는 상황이거나, 기계설비(10)로 인해 사람이 위험해질 수 있는 상황이거나, 현재는 위험하지 않지만 다양한 위험 상황이 닥칠 수 있는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제어부(40)는 구동수단(10), 접근감지수단(20) 및 촬영수단(30)을 통해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평상시는 물론, 긴급(응급)상황 발생시에 따른 후속조치를 제1표시수단(50)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제1표시수단(50)은,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경광등,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표시수단(50)은 통합제어부(40)에 의해 컨트롤된다. 일례로, 통합제어부(40)에 의해 평상시 경광등에는 녹색불이 점등되며, 긴급 상황시에는 빨간불이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시에는 스피커를 통해 긴급상황에 대한 안내나 후속조치 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는 긴급 상황시 모니터 전체를 빨간색으로 점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평상시와 긴급 상황시에 따른 안내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통합제어부(40)는 딥 러닝을 통해 저장된 정보는 물론, 각각의 상황을 통해 취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안전기준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40)에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자감지수단(6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감지수단(60)은 예컨대, 스마트워치가 될 수 있다. 작업자감지수단(60)을 통해 착용자의 맥박과 체온 및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체크할 수 있으며, 체크된 정보는 통합제어부(40)로 전송된다. 작업자의 맥박과 체온 등의 정보를 통해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계설비(10)를 취급하는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항상 체크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의 맥박이 정상치 또는 평상시에 비해 느려지거나 빨라질 경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통합제어부(40)는 제1표시수단(50) 또는 작업자감지수단(60)에 구비된 제2표시수단(61)을 통해 이상 상황에 대해 안내할 수 있다. 동시에 작업자감지수단(60)을 통해 파악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촬영수단(30)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는 제1표시수단(50)을 통해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건강상태가 작업을 하기에 어려운 상황이라고 판단되며, 작업자에게 휴식을 취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표시수단(61)은, 예컨대, 스마트 워치에 구비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2표시수단(61)을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 체크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으므로 작업시 위험 상황에 대해 미리미리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수단(61)은 작업자의 맥박과 체온 정보를 표시함은 물론, 통합제어부(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표시수단(61)을 통해서도 제1표시수단(50)을 통해 안내되는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으므로 다른 작업자의 위험 상황에 대해서도 안내받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기본적인 구성 및 사용 상태 등은 전술한 시스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기계설비 감시단계(S10), 주변대상물 감시단계(S20), 주변환경 감시단계(S30), 제1안내단계(S40) 및 통합제어단계(S60)를 포함하며, 제2안내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계설비 감시단계(S10)는 기계설비(10)와 연결된 통합제어부(40)가 기계설비(10)에 구비된 구동수단(11)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이다. 구동수단(11)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사용되는 부품의 교체 시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발생시 구동수단(11)을 정지시켜 기계설비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주변대상물 감시단계(S20)는 통합제어부가(40) 접근감지수단(20)을 통해 정보를 취득하고, 기계설비(10) 주변으로 접근하는 대상물을 감시하는 단계이다.
주변환경 감시단계(S30)는 영상 감시단계(S31)와 작업자 감시단계(S32)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감시단계(S31)는 통합제어부(40)가 촬영수단(30)을 통해 취득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기계설비(10)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단계이다.
작업자 감시단계(S32)는 통합제어부(40)가 작업자감지수단(60)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상태와 위치를 감시하는 단계이다.
제1안내단계(S40)는 통합제어부(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기계설비 감시단계(S10), 주변대상물 감시단계(S20) 및 주변환경 감시단계(S30)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제2안내단계(S50)는 통합제어부(40)에서 작업자감지수단(60)을 통해 작업자의 건강상태정보와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작업자감지수단(60)을 통해 긴급상황에 대해 안내하는 단계이다.
통합제어단계(S60)는 기계설비 감시단계(S10), 주변대상물 감시단계(S20) 및 주변환경 감시단계(S30)를 통해 긴급상황 발생시 기계설비(10)에 대한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각각의 감시단계에 따른 결과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작업환경 관리자 없이도 통합제어부(40)를 통해 작업환경을 감시하고, 긴급상황에 대해 미리 안내받아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기계설비(10)에 대한 유지/보수/관리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대비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계설비 11 : 구동수단
12 : 구동부감지센서 13 : 제어부
20 : 접근감지수단 30 : 촬영수단
40 : 통합제어부 50 : 제1표시수단
60 : 작업자감지수단 61 : 제2표시수단
S10 : 기계설비 감시단계 S20 : 주변대상물 감시단계
S30 : 주변환경 감시단계 S31 : 영상 감시단계
S32 : 작업자 감시단계 S40 : 제1안내단계
S50 : 제2안내단계 S60 : 통합제어단계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동작하는 기계설비;
    상기 기계설비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된 대상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감지수단;
    상기 기계설비 주변을 관찰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
    상기 기계설비와 상기 접근감지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과 연결된 통합제어부; 및
    상기 통합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제1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제어부는,
    구동수단의 이상 상태 파악과 구동수단에 대한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기계설비와 상기 접근감지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취득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와 구동시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감지센서는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감지센서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통합제어부와 연결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자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작업자감지수단은 착용자의 맥박과 체온 및 현재 위치를 체크하여 상기 통합제어부로 전송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감지수단에는,
    상기 작업자의 체크 정보에 따른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이 더 구비된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기재된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합제어부에서 기계설비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기계설비 감시단계;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기계설비 주변 대상물을 감시하는 주변대상물 감시단계;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기계설비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주변환경 감시단계;
    상기 통합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기계설비 감시단계, 상기 주변대상물 감시단계 및 상기 주변환경 감시단계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제1안내단계; 및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기계설비 감시단계, 상기 주변대상물 감시단계 및 상기 주변환경 감시단계를 통해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기계설비에 대한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각각의 감시단계에 따른 결과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통합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환경 감시단계는,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수단을 통해 상기 기계설비 주변의 촬영을 통한 영상 감시단계; 및
    상기 통합제어부와 연결된 작업자감지수단을 통해 작업자의 맥박과 체온 및 현재 위치를 체크하는 작업자 감시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에서 상기 작업자의 맥박과 체온 및 현재 위치를 체크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작업자감지수단을 통해 안내하는 제2안내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00034935A 2020-03-23 2020-03-23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10118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935A KR20210118550A (ko) 2020-03-23 2020-03-23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935A KR20210118550A (ko) 2020-03-23 2020-03-23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550A true KR20210118550A (ko) 2021-10-01

Family

ID=7811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935A KR20210118550A (ko) 2020-03-23 2020-03-23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85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96B1 (ko) 2013-12-27 2016-02-02 송호석 도시형 식물 공장의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80077429A (ko) 2016-12-28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도장공장용 VOCs저감장비의 통합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96B1 (ko) 2013-12-27 2016-02-02 송호석 도시형 식물 공장의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80077429A (ko) 2016-12-28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도장공장용 VOCs저감장비의 통합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40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808064B1 (ko) 관제 시스템 및 방법
EP3409629B2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KR101910480B1 (ko)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US20090030550A1 (en) Automatic machine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295308B1 (ko)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CN104639887A (zh) 监视装置及监视方法
US9933510B2 (en) Safety scanner and optical safety system
US20190318170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mage processing-based work force safety
EP32702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d displaying site safety metrics
KR102152738B1 (ko) 재난 안전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11479B1 (ko) 스태커 크레인 원격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JP2017061026A (ja) ロボット制御装置、ロボット制御方法、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16313A (ko) 산업용 로봇의 고장 징후 감지장치 및 고장징후 측정방법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KR20210133071A (ko)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18550A (ko) 인공지능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JP2015229224A (ja) 産業用ロボット
JP2018177395A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0133765A (ja) センサ装置における異常報知方法および異常報知装置
KR102391575B1 (ko)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JP7469020B2 (ja) ロボット安全システム
JPH09303685A (ja) 加工機械の身体防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