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547A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화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8547A KR20210118547A KR1020200034925A KR20200034925A KR20210118547A KR 20210118547 A KR20210118547 A KR 20210118547A KR 1020200034925 A KR1020200034925 A KR 1020200034925A KR 20200034925 A KR20200034925 A KR 20200034925A KR 20210118547 A KR20210118547 A KR 202101185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luid cargo
- flexible hose
- blocking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유체 화물을 공급받는 공급 배관이 구비되며, 복수개의 암이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로딩암과, 일측이 공급 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시블 호스와, 로딩암에 설치되고, 렉시블 호스에 장력이 가해짐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로의 유체 화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된 유체 화물을 선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석탄등과 같은 원료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조경유, 타르 등의 부산물은 로딩암 설비를 통해 부두에 정박된 선박에 선적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7865호(2011.05.09 공개, 발명의 명칭: 선박용 로딩 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선박의 위치변화에 대응되어 유체화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체 화물을 공급받는 공급 배관이 구비되며, 복수개의 암이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로딩암; 일측이 상기 공급 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시블 호스; 상기 로딩암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장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호스로의 유체 화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로딩암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상기 공급 배관으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호스로의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차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차단부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공급부를 중단시키는 제2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는,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공급 배관의 유로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로딩암에 구비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로딩암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 멀어짐에 따라 상기 밸브부를 일측으로 당겨 회전시키는 와이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로딩암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밸브부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부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밸브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를 이격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유체 화물의 유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선박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유체 화물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와이어부가 플렉시블 호스가 받는 장력을 대신 흡수할 수 있어 플렉시블 호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에 의해 다중으로 유체 화물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탄성부에 의해 차단된 공급배관의 유로를 다시 개방시킬 수 있어 작동의 가역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1)는 제철소의 부두, 항구 또는 선박, 부유체 구조물 등에 해당하는 베이스(2)상에 설치되어 유체 화물을 이송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유체 화물은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석탄 등의 원료의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조경유, 타르 등 다양한 종류의 액체, 기체 상태의 화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1)는 공급부(10), 로딩암(20), 플렉시블 호스(30), 차단부(10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베이스(2)에 설치되어 유체 화물을 저장하며,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유체 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미도시)와, 저장된 유체 화물에 외력을 가해 저장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암(20)은 베이스(2)상에 설치되고, 공급부(10)로부터 유체 화물을 공급 받으며, 선박(3)의 상부에서 높이 또는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로딩암(20)은 공급부(10)로부터 선박(3)으로 유체 화물을 로딩(loading)하거나 선박(3)으로부터 액체 화물을 언로딩(unlodaing) 시, 플렉시블 호스(30)를 선박(3)에 설치된 매니폴드(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암(20)은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 암(22), 공급배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는 베이스(2)상에 설치되어 로딩암(20)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21)는 로딩암(20)의 전체적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이 높은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1)는 베이스(2)상에 용접, 볼팅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베이스(2)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21)의 상단부는 암(2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21)는 도 2,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2)상에 설치되어 암(2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암(22)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암(22)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된다. 암(22)은 반복되는 회전 동작에 의한 하중에 충분히 잘 견딜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높은 강성을 지닌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22)은 제1암(22a)과 제2암(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암(22a)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략 중앙부가 지지부(22)의 상단부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암(22a)은 선박(3)의 수평면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암(22a)과 지지부(22)의 연결 지점에는 제1암(22a)을 지지부(22)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암(22b)의 일단에는 제1암(22b)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웨이트부(26)가 제1암(22b)의 길이방향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암(22b)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제1암(22a)의 타단에 구비되는 관절부(24)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1암(22a)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암(22b)은 제1암(22a)과 마찬가지로 선박(3)의 수평면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암(22a)과 제2암(22b)이 연결되는 관절부(24)에는 제2암(22a)을 제1암(22a)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암(22b)에는 후술할 차단부(1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제2암(22b)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7)는 마주보는 두개의 판이 축에 의해 연결되는 아령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암(22b)의 측면에 고정된다. 돌출부(27)는 제2암(22b)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암(22b)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7)의 형상은 도2,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단부(1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1암(22a)과 지지부(22) 사이 또는 제1암(22a)과 제2암(22b)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며 제1암(22a)과 지지부(22) 또는 제1암(22a)과 제2암(22b)간의 상대회전을 일으키는 유압실린더(25)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배관(23)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공급부(10)의 펌프 등과 연결되어 유체 화물을 공급받고, 타측이 후술할 플렉시블 호스(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공급배관(23)은 제1암(22a)과 제2암(22b)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암(22a)과 제2암(22b)에 고정된다. 공급배관(23)은 제1암(22a)과 제2암(22b)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고, 제1암(22a)과 제2암(22b)의 외측에 용접,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공급배관(23)은 제1암(22a)과 제2암(22b)의 상대회전이 일어나는 관절부(24)에서 제1암(22a)과 제2암(22b)의 회전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관절부(24)를 기준으로 제1암(22a)에 고정된 부분과 제2암(22b)에 고정된 부분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호스(3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공급 배관(21)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4)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된다. 플렉시블 호스(30)는 공급배관(23)에 삽입되거나 끼움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공급배관(23)과 연통될 수 있고, 별도의 브라켓(미도시)등의 부재에 의해 연통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렉시블 호스(30)가 연장된 길이는 로딩암(20)의 가동범위, 매니폴드(4)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렉시블 호스(30)가 공급배관(23)과 연통된 측과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에는 선박에(3) 구비되는 매니폴드(4)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접속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32)의 형상은 도 2,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니폴드(4)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플렉시블 호스(30)는 고무, 고분자 소재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플레시블 호스(30)는 파도와 바람에 의하여 선박(3) 등에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플렉시블 호스(20)가 자체적으로 신축하거나 회전하기 때문에 로딩암(20)에 직접적으로 인장력 또는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플렉시블 호스(30)에는 작업자가 직접 파지할 수 있거나, 후술할 와이어부(112)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부(100)는 로딩암(20)에 설치되고, 플렉시블 호스(30)에 장력이 가해짐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30)로의 유체 화물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차단부(100)는 파도, 조수 차로 인해 선박(3)과 베이스(2)의 높이변화가 발생 되어 플렉시블 호스(30)에 한계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기 이전에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어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00)는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200)를 포함한다.
제1차단부(110)는 로딩암(20)에 설치되어 로딩암(20)이 매니폴드(4)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공급 배관(21)으로부터 플렉시블 호스(30)로의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설정 거리는 로딩암(20)의 제2암(22b)의 단부 또는 공급배관(23)의 단부로부터 선박(3)의 매니폴드(4)까지의 거리로, 플렉시블 호스(30)가 선박(3)의 높이 변화 등에 의해 장력을 받아 길이방향으로 늘어남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30)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차단부(110)는 밸브부(111), 와이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111)는 로딩암(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공급 배관(23)의 유로를 차단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11)는 밸브바디(111a)와 회전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바디(111a)는 로딩암(20)의 돌출부(2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돌출부(27)를 통해 공급배관(23)과 연결되어 일측(도 4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공급배관(23)의 유로를 차단하고, 타측으로 회전시 공급배관(23)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11a)는 회전에 따라 공급배관(23)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 등 다양한 밸브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밸브바디(111a)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설치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암(22b)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급배관(23)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부(111b)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바디(111a)로부터 연장된다. 회전부(111b)는 후술할 와이어부(112)가 당겨짐에 따라 밸브바디(111a)를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과 각도로 배치된다. 회전부(111b)는 밸브바디(111a)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밸브바디(111a)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11b)의 형상, 길이등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브바디(111a)로부터 연장되고 와이어부(112)가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와이어부(112)는 밸브부(111)와 플렉시블 호스(30)에 연결되어 로딩암(20)이 매니폴드(4)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 멀어짐에 따라 밸브부(111)를 일측으로 당겨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와이어부(112)는 끈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밸브부(111)의 회전부(111b)와 연결된다. 와이어부(112)는 회전부(111b)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11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밸브부(111)의 회전부(111b)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112)는 와이어부(112)에 가해지는 장력이 회전부(111b)에 작용하는 작용점을 밸브바디(111a)의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시킬 수 있어 밸브부(111)에 작용하는 회전력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다.
와이어부(112)의 타측은 플렉시블 호스(30)의 타측, 즉 매니폴드(4)와 결합되는 측에 연결된다. 와이어부(112)는 회전부(111b)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와이어부(112)의 타측이 플렉시블 호스(30)의 타측에 연결됨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30)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플렉시블 호스(30)로의 유체 화물의 유입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11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30)의 타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부(112)의 연결지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렉시블 호스(30)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부(112)는 플렉시블 호스(3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112)는 플렉시블 호스(30)보다 먼저 장력을 받음으로써 밸브부(111)를 회전시켜 플렉시블 호스(30)로의 유체 화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유체 화물의 과다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거리는 와이어부(112)가 최대로 펴진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와이어부(112)는 플렉시블 호스(30)보다 탄성계수가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112)는 플렉시블 호스(30)에 가해지는 장력을 대신 흡수할 수 있어 장력에 의한 플렉시블 호스(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차단부(120)는 제1차단부(110)와 연결되고, 제1차단부(110)의 작동시 이에 연동되어 공급부(10)의 유체 화물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차단부(120)는 몸체부(121), 작동부(122), 스위치부(123)를 포함한다.
몸체부(121)는 로딩암(20)에 고정되어 제2차단부(12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21)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딩암(20)의 돌출부(27)에 고정되어 회전이 방지되며, 밸브부(111)의 회전부(111b)의 회전 경로상에 회전부(111b)와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 몸체부(121)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딩암(20)에 고정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몸체부(121)에는 대략 중앙부에 후술할 작동로드(12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로드(122a)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122)는 밸브부(111)에 연결되고, 밸브부(111)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22)는 작동로드(122a), 접촉부(122b), 탄성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로드(122a)는 밸브부(111)로부터 연장되고, 몸체부(121)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로드(122a)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일측이 밸브부(111)의 회전부(111b)에 연결되고, 타측이 몸체부(121)의 관통홀을 통해 몸체부(121)에 삽입된다.
작동로드(122a)는 회전부(111b)의 회전경로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로드(122a)는 회전부(111b)의 회전에 따라 몸체부(12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122b)는 작동로드(122a)의 단부에 작동로드(12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접촉부(122b)가 작동로드(12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게됨에 따라, 작동로드(122a)가 몸체부(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22b)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동로드(122a)의 단부에 구비된다. 접촉부(122b)는 작동로드(122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작동로드(122b)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122b)는 작동로드(122a)에 의해 이동되어 몸체부(121)에 최대로 근접한 경우 후술할 스위치부(123)와 접촉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탄성부(122c)는 몸체부(121)와 접촉부(122b) 사이에 구비되고, 작동로드(122a)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탄성복원력에 의해 몸체부(121)와 접촉부(122b)를 이격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122c)는 대략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접촉부(122b)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부(121)에 연결되어 작동로드(1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부(122c)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탄성부(122c)는 작동로드(122a)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 접촉부(122b)와 몸체부(121)를 이격시켜 회전부(111b)를 타측(도 4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만큼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30), 와이어부(112)에 작용하는 장력이 제거된 경우, 공급배관(23)을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공급배관(23)을 개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부(123)는 작동부(122)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고, 작동부(122)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공급부(1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123)는 센서부(123a), 제어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3a)는 몸체부(121)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122b)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122b)와의 접촉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23a)는 몸체부(121)가 접촉부(122b)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센서부(123a)는 작동부(122)와 접촉될 시 가해지는 압력, 접촉여부등을 측정하는 로드셀 등과 같은 접촉센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작동부(122)와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스위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23b)는 센서부(123a)로부터 측정된 감지신호에 의해 공급부(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3b)는 센서부(123a)와, 공급부(10)에 구비되는 펌프에 연결되어 센서부(123a)로부터 전달받은 측정신호를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박(3)이 베이스(2)와 비슷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플렉시블 호스(30)와 와이어부(112)는 모두 장력이 걸리지 않는 느슨한 상태를 유지한다.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유체 화물은 공급배관(23)을 따라 플렉시블 호스(30)로 유입되고, 플렉시블 호스(30)로 유입된 유체 화물은 플렉시블 호스(30)와 연결된 선박(3)의 매니폴드(4)로 공급된다.
도 6 , 도 7을 참조하면, 파도 또는 조수 차로 인해 선박(3)이 베이스(2)에 비해 높이가 낮아지거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로딩암(20)의 제2암(22b)의 단부와 매니폴드(4)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30)와 와이어부(11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한다.
제2암(22b)과 매니폴드(4)간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플렉시블 호스(30)와 와이어부(112)는 직선형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와이어부(112)가 플렉시블 호스(30)보다 짧은 길이를 갖게 됨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30)보다 와이어부(112)에 먼저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와이어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작용되는 장력은 회전부(111b)로 전달되게 되고 회전부(111b)는 이에 의해 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된다.
회전부(111b)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111b)에 연결된 밸브바디(111a)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공급배관(23)의 유로를 차단한다. 따라서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배관(23)으로 공급된 유체 화물은 플렉시블 호스(30)로의 이송이 차단된다.
회전부(111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부(111b)의 단부에 연결된 작동로드(122a) 역시 이에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작동로드(122a)가 회전부(111b)의 회전 곡률에 대응되도록 절곡됨에 따라, 작동로드(122a)는 몸체부(121)에 간섭되지 않고 몸체부(121)의 관통홀을 따라 이동된다.
이후 작동로드(122a)의 이동에 의해 작동로드(122a)의 단부에 구비되는 접촉부(122b)는 몸체부(121)를 향해 접근한다. 접촉부(122b)는 센서부(123a)가 배치된 위치까지 접근되고 이후 센서부(123a)와 접촉된다.
센서부(123a)는 접촉부(122b)와 접촉됨에 따라 접촉에 의한 신호를 제어부(123b)로 전달하고, 제어부(123b)는 이를 전달받아 공급부(10)에 구비되는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켜 공급부(10)의 유체 화물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후 선박(3)이 다시 본래 위치로 복귀되면, 플렉시블 호스(30)와 와이어부(112)에 작용하는 장력이 감소되고, 플렉시블 호스(30)와 와이어부(112)는 다시 느슨한 상태가 된다.
와이어부(112)가 느슨해짐에 따라 회전부(111b)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123c)는 자체적인 탄성복원력으로 접촉부(123b)와 몸체부(121)를 밀어내어 이격시킨다.
이후 작동로드(122a)는 반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되고, 작동로드(122a)에 연결된 회전부(111b)와 밸브바디(111a)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공급배관의 유로를 다시 개방한다.
상술한 구성과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유체 화물의 유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선박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유체 화물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와이어부가 플렉시블 호스가 받는 장력을 대신 흡수할 수 있어 플렉시블 호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에 의해 다중으로 유체 화물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탄성부에 의해 차단된 공급배관의 유로를 다시 개방시킬 수 있어 작동의 가역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2 : 베이스
3 : 선박 4 : 매니폴드
10 : 공급부 20 : 로딩암
21 : 지지부 22 : 암
22a : 제1암 22b : 제2암
23 : 공급배관 24 : 관절부
25 : 유압실린더 26 : 웨이트부
27 : 돌출부 30 : 플렉시블 호스
31 : 손잡이부 32 : 접속부
100 : 차단부 110 : 제1차단부
111 : 밸브부 111a : 밸브바디
111b : 회전부 112 : 와이어부
120 : 제2차단부 121 : 몸체부
122 : 작동부 122a : 작동로드
122b : 접촉부 122c : 탄성부
123 : 스위치부 123a : 센서부
123b : 제어부
3 : 선박 4 : 매니폴드
10 : 공급부 20 : 로딩암
21 : 지지부 22 : 암
22a : 제1암 22b : 제2암
23 : 공급배관 24 : 관절부
25 : 유압실린더 26 : 웨이트부
27 : 돌출부 30 : 플렉시블 호스
31 : 손잡이부 32 : 접속부
100 : 차단부 110 : 제1차단부
111 : 밸브부 111a : 밸브바디
111b : 회전부 112 : 와이어부
120 : 제2차단부 121 : 몸체부
122 : 작동부 122a : 작동로드
122b : 접촉부 122c : 탄성부
123 : 스위치부 123a : 센서부
123b : 제어부
Claims (7)
-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체 화물을 공급받는 공급배관이 구비되며, 복수개의 암이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로딩암;
일측이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시블 호스;
상기 로딩암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장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호스로의 유체 화물 공급을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로딩암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호스로의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차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차단부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공급부를 중단시키는 제2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는,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공급배관의 유로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로딩암에 구비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로딩암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 멀어짐에 따라 상기 밸브부를 일측으로 당겨 회전시키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로딩암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밸브부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부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밸브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접촉부를 이격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접촉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925A KR102394788B1 (ko) | 2020-03-23 | 2020-03-23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925A KR102394788B1 (ko) | 2020-03-23 | 2020-03-23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8547A true KR20210118547A (ko) | 2021-10-01 |
KR102394788B1 KR102394788B1 (ko) | 2022-05-04 |
Family
ID=7811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4925A KR102394788B1 (ko) | 2020-03-23 | 2020-03-23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478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17999A (ja) * | 1984-03-31 | 1985-10-31 | 株式会社新潟鐵工所 | 流体荷役装置 |
JPH11227900A (ja) * | 1998-02-17 | 1999-08-24 | Showa Kiki Kogyo Kk | 遮断弁 |
KR20150128694A (ko) * | 2013-02-05 | 2015-11-18 | 맥그리거 푸스네스 에이에스 | 탄화수소 함유 유체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077566A (ko) * | 2016-12-29 | 2018-07-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액체 화물 이송장치 |
KR101884844B1 (ko) * | 2017-07-28 | 2018-09-1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비상분리장치 |
-
2020
- 2020-03-23 KR KR1020200034925A patent/KR1023947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17999A (ja) * | 1984-03-31 | 1985-10-31 | 株式会社新潟鐵工所 | 流体荷役装置 |
JPH11227900A (ja) * | 1998-02-17 | 1999-08-24 | Showa Kiki Kogyo Kk | 遮断弁 |
KR20150128694A (ko) * | 2013-02-05 | 2015-11-18 | 맥그리거 푸스네스 에이에스 | 탄화수소 함유 유체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077566A (ko) * | 2016-12-29 | 2018-07-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액체 화물 이송장치 |
KR101884844B1 (ko) * | 2017-07-28 | 2018-09-1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비상분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4788B1 (ko) | 2022-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0177B1 (ko) |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 |
EP2450271B1 (en) | Mooring system for a vessel | |
BRPI0921594B1 (pt) | Sistema de controle de fluxo para uso em um poço | |
JPH02186102A (ja) | ピストン型アキュムレータのピストン位置検知装置 | |
KR102394788B1 (ko)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
RU2688981C2 (ru) | Клапан защиты от перелива для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тестированием | |
WO2007001125A1 (en) | Dual fluid lng transferring arm | |
KR102003050B1 (ko) | Lng 벙커링 로딩암 | |
US8966792B2 (en) | Machine having dipper actuator system | |
WO2011065085A1 (ja) |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における係留機構の弾性係数決定方法 | |
US3396747A (en) | Fluid handling apparatus including a reel | |
JP5329374B2 (ja) | 起伏ゲート式防波堤 | |
KR102394786B1 (ko)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
JP6422177B2 (ja) | 連絡橋構造体 | |
KR102483008B1 (ko) |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 |
KR102662432B1 (ko) | 액체 화물 이송장치 | |
JP3913729B2 (ja) | サイホン式自動倒伏装置 | |
JP6610919B2 (ja) | 連絡橋 | |
JP2019027216A (ja) | 津波用および高潮用フラップゲート | |
KR20190130223A (ko) | 부유식 구조물 | |
JP6043242B2 (ja) | 水中設置フラップゲートの係留装置 | |
KR101018023B1 (ko) | 디스크 고정형 플로트밸브 | |
KR200182633Y1 (ko) | 유압구동식 버터플라이 밸브의 비상닫힘장치 | |
US10760706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a mechanical automatic shut-off to fluid reservoirs | |
JP2009173391A6 (ja) | オートテンション機能を有するウィン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