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986A -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986A
KR20210117986A KR1020210036268A KR20210036268A KR20210117986A KR 20210117986 A KR20210117986 A KR 20210117986A KR 1020210036268 A KR1020210036268 A KR 1020210036268A KR 20210036268 A KR20210036268 A KR 20210036268A KR 20210117986 A KR20210117986 A KR 2021011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
blood pressure
hispro
hypertension
compl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956B1 (ko
Inventor
정회윤
이헌종
김연수
양승희
이도현
전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Publication of KR2021011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CHP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과 CHP를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동일 구성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COMPOSITION HAVING ANTIHYPERTENSIVE EFFECT COMPRISING CHP (CYCLO-HIS PRO)}
본 발명은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CHP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및 동일 구성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과 CHP를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동일 구성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최근 경제 성장, 교육수준의 향상 그리고 과학의 발달 등으로 영양 상태가 극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식생활을 포함한 여러 생활패턴의 변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도 다양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 암에 이어 가장 높은 사망원인으로 지목되는 뇌혈관질환은 고지혈증과 고혈압의 높은 발병에 기인한다. 특히 고혈압은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등 합병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 질환으로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노령화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신장장애를 갖는 환자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으로는 생활환경의 변화, 고령화 또는 당뇨병 환자 증대에 따른 당뇨병성 신증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신장 기능저하로 신부전이 발생하거나 투석을 도입할 수 밖에 없는 환자수는 매년 증가하는 있으며, 투석요법의 경우 적혈구 생산장애, 마이크로글루불린 축적 등으로 인한 합병증, 심혈관 병변 증가 등의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다. 신부전이 발생한 환자에게는 강압요법에 더하여 혈액중의 전해질의 상승을 억제하는 약제의 투여, 저단백식의 처방이 행해지고 있고, 신장성 빈혈을 일으킨 경우에는 에리트로포에틴의 투여가 행하여지고 있으나 병태의 진행을 저지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신염이나, 당뇨병성 신증, 신부전 등의 신장질환에서는 고혈압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고혈압은 신장질환의 악화요인의 하나로서 여겨지고 있어 신장질환의 진행의 억제를 기대하는 강압제의 투여도 행하여지고 있다.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약으로 칼슘 통로 차단제, 이뇨제, 안지오텐신전환 효소 억제제 등이 있으나, 화학 합성 방법 등을 통하여 제조되었던 고혈압 치료제는 두통, 간질환, 안면홍조, 방실 차단, 통풍 등의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천연 물질을 이용하여 고혈압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세포에서의 고혈압 모델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은 안지오텐신 II (AngII) 모델이다. AngII는 혈관에 존재하는 안지오텐신 수용체와 결합하여 다양한 작용을 하는데, 이 중 제1형 수용체인 AT1(AT1R)은 혈관의 수축을 유도하며, 제2형 수용체인 AT2(AT2R)는 혈관을 이완시켜 AT1과 반대의 작용을 한다 (Elena Kaschina & Thomas Unger, Blood Press, 12(2), 70-88, 2003). 실제로 고혈압 환자에게서는 혈중 AngII 농도가 높게 유지되거나 AT1이 AT2보다 더 강하게 발현되어 혈관이 이완되기보다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기 쉬워 고혈압이 나타난다. 따라서, AT1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약물이나 AngII와 AT1 수용체의 결합을 막는 차단제는 고혈압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Le TH, et al. Hypertension, 42(4), 507-514, 2003).
고혈압을 비롯한 동맥경화, 말초혈액순환장애, 혈관협착, 뇌경색, 협심증, 심근경색 및 허혈성 뇌질환 등은 혈관 수축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관 수축은 혈관 벽이 수축됨에 따라 대동맥을 포함하는 동맥 또는 정맥 등의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활한 혈액 순환을 위해서는 혈관에서의 혈류 증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혈류 증가는 혈관의 확장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혈관 확장을 위해서는 혈관내피세포의 일산화질소합성효소인 eNOS(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작용에 의한 일산화질소(NO)가 관여하게 된다 (Ulrich Forstermann & Thomas Munzel, Circulation, 113, 1708-1714, 2006). 실제로, 고혈압의 경우에는 NO 생성이 감소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혈관평활근은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혈관내피세포가 생성하여 분비하는 NO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cGMP 신호전달 경로가 혈관 이완에서 매우 중요한 경로이다 (Zhu J, et. al., Mol Brain, 9, 20, 2016). NO는 혈관내피세포에서 e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된다.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된 NO는 혈관평활근세포로 유입되어 sGC(Soluble Guanylyl Cyclase)를 활성화시키고 cGMP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혈관평활근을 이완시켜 혈압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NO 생성 촉진제 또한 고혈압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사이클로-히스프로(Cyclo-HisPro; CHP)"는 갑상선 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의 대사산물인 히스티딘-프롤린으로 구성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원형 디펩티드(dipeptide) 또는 TRH 대사과정과 de novo로 체내에서 합성되기도 하는 생리활성 디펩티드로, 이의 혈당 조절 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6170호), 섬유증 치료 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0910호), 복막 섬유증 치료 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3151호)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CHP의 혈압 강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사이클로-히스프로 (Cyclo-HisPro; CHP)가 혈관내피세포에서 제1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감소; 제2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VE-카드헤린 (VE-cadherin)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eNOS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및/또는 NO 생성 증가 활성을 통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및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다음의 a) 내지 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통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 제1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감소;
b) 제2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c) VE-카드헤린 (VE-cadherin)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d) eNOS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및
e) NO 생성 증가.
추가로, 본 발명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은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말초혈액순환장애, 혈관협착,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허혈성 뇌질환, 신부전증, 사구체염, 당뇨,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단백뇨, 요독증, 부종, 눈의 혈관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 및 녹내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CHP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제1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감소; 제2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VE-카드헤린 (VE-cadherin)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eNOS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및/또는 NO 생성 증가 활성을 통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며, 천연물 유래의 성분으로 인체에 안전하므로, 일부 부작용을 나타내는 기존 합성 ACE 저해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치료제 및 식품 조성물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5/6 신 절제 래트를 만들기 3일 전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Pre-treatment)하여 2, 6 및 8주에 각각 수축기 혈압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5/6 신 절제 래트를 만든 2주 후부터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 (Post-treatment)하여 2, 6 및 8주에 각각 수축기 혈압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HUVEC 세포에서 안지오텐신 II 및 CHP 처리에 따른 AT1R(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AT2R(Angiotensin II type 2 receptor) 및 VE-카드헤린(VE-cadherin) 단백질의 발현 수준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SVEC4-10 세포에서 eNOS 유전자의 발현이 CHP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HMVEC-L 세포에서 CHP 처리에 따른 NO 생성 증가를 DAF-FM D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것이다 (스케일 바 50μm).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 합성 방법 등을 통하여 제조되었던 기존 고혈압 치료제는 두통, 간질환, 안면홍조, 방실 차단, 통풍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탐색하고 이를 의약품, 식품 소재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갑상선 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의 대사산물인 히스티딘-프롤린으로 구성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원형 디펩티드(dipeptide)인 사이클로-히스프로 (Cyclo-HisPro; CHP)가 부작용 없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및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이클로-히스프로(Cyclo-HisPro; CHP)"는 갑상선 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의 대사산물인 히스티딘-프롤린으로 구성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원형 디펩티드(dipeptide) 또는 TRH 대사과정과 de novo로 체내에서 합성되기도 하는 생리활성 디펩티드로, 뇌 전반과 척수 및 위장관 등에 널리 분포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CHP는 합성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HP가 함유된 물질, 예를 들어, 전립선 추출물 및 대두 가수분해물 등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어 "정제된"의 사용으로, CHP가 전립선 추출물과 같은 천연 유래로 얻을 수 있는 형태에 비하여 농축된 형태임을 의미하고자 한다. 정제된 성분들은 이들의 천연원으로부터 농축시키거나, 또는 화학적 합성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CHP 또는 이의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다음의 a) 내지 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통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 제1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감소;
b) 제2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c) VE-카드헤린 (VE-cadherin)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d) eNOS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및
e) NO 생성 증가.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고혈압(hypertension)"과 관련하여, 세계건강보건기구 (WHO)에서는 최고 혈압이 160 mmHg 이상이고 최저 혈압이 95 mmHg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고혈압 질환의 종류로는 크게 원인이 불분명한 본태성 고혈압과 원인 질병에 의한 속발성 고혈압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90% 이상이 본태성 고혈압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고혈압의 합병증"은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증상 또는 질환이거나,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 또는 질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혈압의 합병증은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말초혈액순환장애, 혈관협착,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허혈성 뇌질환, 신부전증, 사구체염, 당뇨,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단백뇨, 요독증, 부종, 눈의 혈관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 및 녹내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증상 또는 질환일 수 있다.
신장은 수분과 나트륨 대사에 관여하고 레닌-안지오텐신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신장 질환 자체, 즉, 사구체염이나 신부전증이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원발성 고혈압의 발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신 절제 동물모델에서 CHP 혈압 강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도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 절제 전 또는/후의 CHP 투여에 따라, 수축기 혈압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CHP는, 특히 신부전증, 사구체염, 당뇨병성 신증, 단백뇨 또는 요독증과 같은 신장 질환 관련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세포에서의 고혈압 모델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안지오텐신 II (AngII) 모델이다. AngII는 혈관에 존재하는 안지오텐신 수용체와 결합하여 다양한 작용을 하는데, 이 중 제1형 수용체인 AT1(AT1R)은 혈관의 수축을 유도하며, 제2형 수용체인 AT2(AT2R)는 혈관을 이완시켜 AT1과 반대의 작용을 한다 (Elena Kaschina & Thomas Unger, Blood Press, 12(2), 70-88, 2003). 실제로 고혈압 환자에게서는 혈중 AngII 농도가 높게 유지되거나 AT1이 AT2보다 더 강하게 발현되어 혈관이 이완되기보다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기 쉬워 고혈압이 나타난다. 따라서, AT1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약물이나 AngII와 AT1 수용체의 결합을 막는 차단제의 개발이 고혈압 치료제 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Le TH, et al. Hypertension, 42(4), 507-514, 2003).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HUVEC 세포에서 AngII 및 CHP 처리에 따른 AT1R, AT2R 및 VE-카드헤린(VE-cadherin)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HP 처리는 AngII에 의해 증가된 AT1R 단백질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고, AngII에 의해 감소된 AT2R 단백질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며, AngII에 의해 감소된 VE-카드헤린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CHP는 혈관의 수축을 유도하는 AT1R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고, 혈관을 이완시키는 AT2R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혈관 수축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에는 고혈압이 있으며, 그 밖에도 동맥경화, 말초혈액순환장애, 혈관협착, 뇌경색, 협심증, 심근경색 및 허혈성 뇌질환 등이 있다. 혈관 수축은 혈관 벽이 수축됨에 따라 대동맥을 포함하는 동맥 또는 정맥 등의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활한 혈액 순환을 위해서는 혈관에서의 혈류 증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혈류 증가는 혈관의 확장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혈관 확장을 위해서는 혈관내피세포의 일산화질소합성효소인 eNOS(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작용에 의한 일산화질소(NO)가 관여하게 된다 (Ulrich Forstermann & Thomas Munzel, Circulation, 113, 1708-1714, 2006). 실제로, 고혈압의 경우에는 NO 생성이 감소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혈관평활근은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혈관내피세포가 생성하여 분비하는 NO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cGMP 신호전달 경로가 혈관 이완에서 매우 중요한 경로이다 (Zhu J, et. al., Mol Brain, 9, 20, 2016). NO는 혈관내피세포에서 e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된다.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된 NO는 혈관평활근세포로 유입되어 sGC(Soluble Guanylyl Cyclase)를 활성화시키고 cGMP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혈관평활근을 이완시켜 혈압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혈관질환에 의한 혈압조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NO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SVEC4-10 세포에서의 CHP 처리에 따른 eNOS 유전자 발현 수준 및 HMVEC-L 세포에서의 CHP 처리에 따른 NO 생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CHP 처리에 의해 eNOS 유전자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고,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CHP 처리에 의해 NO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에 따라, CHP는 NO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용어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는 질병 또는 병증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 질병 또는 병증 상태를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 및 질병 또는 병증의 진행을 지연, 중단 또는 역전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산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메탄술폰산을 포함한다.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또는 붕산을 포함한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또는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 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드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 등),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스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사이클로-히스프로를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혈압 강하, 또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유효량"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혈압 강하, 또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이클로-히스프로가 0.01 내지 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사이클로-히스프로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히스프로를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의 용량은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혈압 강하, 또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일 수 있다.
상기 외용제는 피부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제,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약외품은 연고제, 마스크, 습포제, 첩부제 및 경피흡수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사이클로-히스프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내용이 준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식품"및 "건강 식품"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는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상기 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 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 보조제 (nutritional supplement), 식품 첨가제 (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 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사이클로-히스프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사이클로-히스프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를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와 혈압 강하, 또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사이클로-히스프로는 혈압 강하용, 또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상기 효과를 얻기에 유효한 양으로, 예를 들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사이클로-히스프로와 함께 혈압 강하, 또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 기술하는 특정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 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준비예]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사이클로-히스프로(CHP)는 바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사이클로-히스프로 처리에 의한 래트의 혈압 조절 예방 효과 측정
1-1. 5/6 신절제 모델 제작 및 사이클로-히스프로 투여
신장은 수분과 나트륨 대사에 관여하고 레닌-안지오텐신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신장 질환 자체, 즉, 사구체염이나 신부전증이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원발성 고혈압의 발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래트에서 신 절제를 통한 만성 신부전은 고혈압, 요독증, 단백뇨와 사구체 경화를 계속 진행하게 한다.
㈜코아텍에서 구입한 7주령의 SD 래트를 1주일 이상 예비 사육한 후 실험군은 두 단계에 거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전신 마취 후 복부의 정중선을 절개하여 좌측 신장을 부신 및 주위 조직과 분리한 후 출혈을 막기 위해 신혈관을 겸자로 잡은 후에 좌측 신장의 상부 1/3과 하부 1/3을 제거하고 1주일 후 다시 전신 마취 후 오른쪽 신장을 전체를 제거하여 5/6 신절제 모델을 완성하였다.
8마리씩 3 그룹으로 나누어 제1 그룹은 신 절제를 받지 않은 정상 대조군(SHAM)으로 설정하여 인산 완충 식염수를 투여하고, 제2 그룹은 5/6 신 절제(5/6 Nx.) 후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 받지 않은 질병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인산 완충 식염수를 투여하고, 제3 그룹은 신 절제 수술 3일 전부터 사이클로-히스프로를 35 mg/kg으로 8주 동안 격일로 경구 투여하였다.
1-2. 래트의 혈압 측정
혈압 측정의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해 실험동물을 혈압측정기(BP-2000 blood pressure analysis system, rat platform 2-channel, Visitech Systems, Apex, NC, USA)의 홀더에 보정한 후 37 ℃ 히팅 챔버 (heating chamber)에서 30분간 적응시켜 꼬리 동맥에서 최소 5회 이상 수축기 혈압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질병 대조군 (Nx)과 정상 대조군, 사이클로-히스프로 투여군의 집단별 t검증을 실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p<0.0005, ****p<0.00005).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SHAM)에 비하여 질병 대조군(Nx)의 수축기 혈압이 시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한 군에서는 수축기 혈압이 질병 대조군(Nx)보다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대조군(SHAM)의 수축기 혈압은 127.8 mmHg이고 질병 대조군(Nx)의 수축기 혈압은 196.2 mmHg이었으나,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한 군의 수축기 혈압은 156.7 mmHg이었다. 따라서,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가 혈압 강하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이클로-히스프로에 의한 래트의 혈압 조절 치료 효과 측정
2-1. 5/6 신절제 모델 제작 및 사이클로-히스프로 투여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5/6 신절제 모델을 제작하였고, 8마리씩 3 그룹으로 나누어, 제1 그룹과 제2 그룹은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나, 제3 그룹은 신 절제 수술 후 2주 후부터 사이클로-히스프로를 35 mg/kg으로 6주 동안 격일로 경구 투여하였다.
2-2. 래트의 혈압 측정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그룹의 래트의 혈압을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SHAM)에 비하여 질병 대조군(Nx)의 수축기 혈압이 시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한 군에서 수축기 혈압이 질병 대조군(Nx)보다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대조군(SHAM)의 수축기 혈압은 127.8 mmHg이고 질병 대조군(Nx)의 수축기 혈압은 196.2 mmHg 이었으나,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한 군의 수축기 혈압은 171.6 mmHg 이었다. 따라서, 사이클로-히스프로를 투여가 혈압 조절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UVEC 세포에서 안지오텐신 II 및 CHP 처리에 따른 AT1R, AT2R 및 VE-카드헤린 단백질 발현 확인
3-1. HUVEC 세포 배양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CRL-1730)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입수하였고, EBM-2 기본 배지와 EGM-2 MV 미세혈관 내피세포 성장 배지 SingleQuots 보충물들을은 Lonza 사에서 구입하였다.
HUVEC 세포는 EBM-2 배지에 EGM-2 MV SingleQuots 보충물들을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매 2~3일마다 배지를 교체하고, 70~80% 컨플루언시 (confluency)에서 계대배양을 진행하였다.
3-2. AT1R, AT2R 및 VE-카드헤린 단백질의 발현 수준 확인
HUVEC 세포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그룹 처리
정상 대조군 (Control) 비히클 (vehicle)
양성 대조군 Ang II
CHP 처리군 Ang II 및 CHP
안지오텐신 II와 CHP를 처리한 HUVEC 세포를 프로테아제 (protease) 및 포스파타아제 (phosphatase) 저해제가 첨가된 RIPA 버퍼 500 ul에 넣고 IKA 사의 T10 균질기 (homogenizer)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15분간 얼음에 방치 시킨 후, 4℃에서 15,000rpm으로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모아 BCA 정량법으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동량의 샘플들을 Bolt TM 단백질 젤 전기영동 시스템을 이용해 단백질을 분리시킨 다음,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Nitrocellulose membrane)에 옮겼다. 멤브레인은 5% 스킴 밀크 (skim milk)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 (blocking)을 진행한 후 1차 항체인 AT1R(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AT2R(Angiotensin II type 2 receptor), VE-카드헤린 및 β-액틴 항체와 4℃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BST로 10분씩 3회 씻은 후 2차 항체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BST로 10분씩 3회 씻은 후 ECL로 반응시켜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나타나는 밴드의 크기는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해 정량 하였고, 각 밴드 크기 값을 β-액틴 밴드의 크기 값으로 나누어 보정 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안지오텐신 II 처리 대조군(Ang II)과의 스튜던트 티 검정 (Student’s t-test) 통계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0.05, **p<0.05, ***p<0.0005).
실험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HUVEC 세포에 안지오텐신 II (AngII) 처리에 따라 혈관의 수축을 유도하는 AT1(AT1R)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고, 혈관을 이완시켜 AT1과 반대의 작용을 하는 AT2(AT2R)의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CHP 처리군에서는 AT1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AT2는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혈관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VE-카드헤린이 안지오텐신 II (AngII)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CHP를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VE-카드헤린 단백질 발현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의 결과를 통해, CHP가 혈관의 수축을 유도하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1(AT1R)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혈관을 이완시키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2(AT2R)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HP가 고혈압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입증한다.
SVEC4-10 세포에서의 CHP 처리에 따른 eNOS 유전자 발현 확인
4-1. SVEC4-10 세포 배양
마우스 내피세포주인 SVEC4-10 (CRL-2181)은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입수하였고, RPMI-1640 배지와 FBS는 Hyclone 사에서 구입하였다.
SVEC4-10 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RPMI-1640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고, 매 2일마다 계대배양을 진행하였다.
4-2. eNOS 유전자 발현 수준 확인
SVEC4-10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5x105 개로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무혈청 (Serum free) 배지에 CHP를 각각 0, 10, 100 및 250 μM 농도로 처리 후 37℃, 5% CO2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차가운 PBS로 1회 세척한 후 NucleoZOL을 이용하여 바로 녹여냈다.
RNA 추출을 위해 NucleoZOL (MACHEREY-NAGEL)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총 RNA 분리 프로토콜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고, 1㎍의 RNA를 iScript cDNA 합성 키트 (Bio-Rad)를 이용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cDNA는 eNOS 유전자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iQ SYBR Green Supermix (Bio-Rad)로 실시간 PCR을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는 표 2와 같은 염기서열로 Bioneer 사에 합성을 의뢰하여 사용하였다.
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5'→3') 서열번호 역방향 프라이머 (5'→3') 서열번호
eNOS CCCGGAAAGAGGGATTGTGT 1 TGCAACCAATGCTGTAGGCA 2
β-액틴 GGGAAGGTGACAGCATTG 3 ATGAAGTATTAAGGCGGAAGATT 4
각 유전자 발현 값은 하우스키핑 유전자인 β-액틴의 발현 값으로 나누어 보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스튜던트 티 검정 (Student’s t-test) 통계법으로 분석하였다 (*p<0.05).
실험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eNOS 유전자의 발현이 CHP 처리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산화질소 생성이 촉진되면서 혈관이 이완되고 혈압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HMVEC-L 세포에서의 CHP 처리에 따른 NO 생성 확인
5-1. HMVEC-L 세포 배양
인간 폐 유래 미세혈관 내피세포(Human Lung Microvascular cells; HMVEC-L, CC2527)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입수하였고, EBM-2 기본 배지와 EGM-2 MV 미세혈관 내피세포 성장 배지 SingleQuots 보충물들을은 Lonza 사에서 구입하였다.
HUVEC-L 세포는 EBM-2 배지에 EGM-2 MV SingleQuots 보충물들을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매 2~3일마다 배지를 교체하고, 70~80% 컨플루언시 (confluency)에서 계대배양을 진행하였다.
5-2. NO 생성 확인
검정색 96-웰 플레이트에 5x104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넣고 24시간 배양한 후 무혈청 (serum free) 배지에 각각 0, 1, 10, 100 및 500 μM 농도의 CHP를 처리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μM 농도의 DAF-FM DA (DAF-FM Diacetate; Invtrogen)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추가로 배양하고, PBS로 1회 세척한 후 FITC 파장의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동일한 노출 시간으로 사진을 촬영하고, 각 세포의 형광 세기 강도를 ImageJ 툴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 통계법으로 분석하였고, CHP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비교는 던넷 사후 검정법 (Dunnett’s test)으로 분석하였다 (****p<0.0001).
실험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HP가 처리됨에 따라 HMVEC-L 세포에서의 DAF-FM DA 형광 세기가 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형광의 세기는 세포 내 NO 양을 반영하므로, CHP 처리로 혈관내피세포에서 NO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혈관내피세포의 NO 생성은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완을 촉진하여 혈관 이완과 함께 혈압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 결과를 통해 CHP는 NO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압 조절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의 통계분석
통계적 유의성은 스튜던트 티 검정 (Student’s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 통계법으로 분석하였고, 이상치(outlier)는 GraphPad의 그럽 이상치 계산표(Grubb’s Outlier calculato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한 이상치는 결과 합산에서 제외하였다.
SEQUENCE LISTING <110> NOVMETAPHARMA CO., LT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 R&DB FOUNDATION <120> COMPOSITION HAVING ANTIHYPERTENSIVE EFFECT COMPRISING CHP (CYCLO-HIS PRO) <130> 1068894 <150> KR 10-2020-0034625 <151> 2020-03-20 <160> 4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NOS forward primer <400> 1 cccggaaaga gggattgtg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eNOS reverse primer <400> 2 tgcaaccaat gctgtaggca 20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β-actin forward primer <400> 3 gggaaggtga cagcattg 18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β-actin reverse primer <400> 4 atgaagtatt aaggcggaag att 23

Claims (8)

  1.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다음의 a) 내지 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통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a) 제1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감소;
    b) 제2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c) VE-카드헤린 (VE-cadherin)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d) eNOS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및
    e) NO 생성 증가.
  3.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항 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다음의 a) 내지 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통해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혈압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 제1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감소;
    b) 제2형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Angiotensin II type II receptor)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c) VE-카드헤린 (VE-cadherin)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d) eNOS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의 증가; 및
    e) NO 생성 증가.
  5.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말초혈액순환장애, 혈관협착,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허혈성 뇌질환, 신부전증, 사구체염, 당뇨,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단백뇨, 요독증, 부종, 눈의 혈관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 및 녹내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사이클로-히스프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말초혈액순환장애, 혈관협착,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허혈성 뇌질환, 신부전증, 사구체염, 당뇨,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단백뇨, 요독증, 부종, 눈의 혈관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 및 녹내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고혈압 또는 이의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036268A 2020-03-20 2021-03-19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KR102621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4625 2020-03-20
KR1020200034625 2020-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986A true KR20210117986A (ko) 2021-09-29
KR102621956B1 KR102621956B1 (ko) 2024-01-10

Family

ID=7776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268A KR102621956B1 (ko) 2020-03-20 2021-03-19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165855A1 (ko)
EP (1) EP4122484A4 (ko)
JP (1) JP2023518955A (ko)
KR (1) KR102621956B1 (ko)
CN (1) CN115942949A (ko)
BR (1) BR112022018707A2 (ko)
CA (1) CA3172267A1 (ko)
WO (1) WO202118794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5125A1 (en) * 2003-01-31 2004-09-23 Song Moon K.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KR20120089970A (ko) * 2011-01-07 2012-08-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속 kh-15의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8305A (ko) * 2016-07-13 2018-01-24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사이클로 히스티딘-프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90074746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시클로-히스프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6841A1 (en) * 2005-12-09 2007-06-14 Serombio Co., Ltd. Yeast hydrolysate containing cyclo-his-pro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18968B1 (ko) 2011-07-08 2014-07-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CHP(cyclo(His-Pro))를 고농도로 함유한 대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용 조성물
KR20140101974A (ko) * 2013-02-13 2014-08-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라폰티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3151B1 (ko) 2019-03-28 2020-07-13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복막 섬유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5125A1 (en) * 2003-01-31 2004-09-23 Song Moon K.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KR20120089970A (ko) * 2011-01-07 2012-08-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속 kh-15의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8305A (ko) * 2016-07-13 2018-01-24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사이클로 히스티딘-프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90074746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시클로-히스프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2484A1 (en) 2023-01-25
CN115942949A (zh) 2023-04-07
JP2023518955A (ja) 2023-05-09
KR102621956B1 (ko) 2024-01-10
CA3172267A1 (en) 2021-09-23
US20230165855A1 (en) 2023-06-01
BR112022018707A2 (pt) 2022-11-01
WO2021187942A1 (ko) 2021-09-23
EP4122484A4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04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KR102133151B1 (ko)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복막 섬유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020954A (ja) 動植物由来ペプチド含有血清カルノシン分解酵素阻害用組成物
WO2006095675A1 (ja) 抗動脈硬化組成物
WO2003055481A1 (fr) Inhibiteurs de fibrose des organes
WO2017010537A1 (ja) 環状ジペプチド含有血清カルノシン分解酵素阻害用組成物
KR101379427B1 (ko) 디메틸푸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3445B1 (ko)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1956B1 (ko)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KR20200023235A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03000B1 (ko) 아피제닌, 커큐민 및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31313B2 (ja) 血圧を降下させるための組成物
KR101991880B1 (ko)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19018381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qualene for improving muscle function and preventing muscle damage
KR102427242B1 (ko) 유스카픽 에시드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용 조성물
KR102645399B1 (ko) 유스카픽 에시드를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1026753A (ja) 高血圧症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102115353B1 (ko) Chp(사이클로-히스프로) 및 부갑상선 호르몬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4229B1 (ko)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0894B1 (ko)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638180A (zh) 用于短期肾功能的蛋白质水解产物
KR20200045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8326A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8368B1 (ko) 일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 공급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