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063A -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 Google Patents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063A
KR20210116063A KR1020200032727A KR20200032727A KR20210116063A KR 20210116063 A KR20210116063 A KR 20210116063A KR 1020200032727 A KR1020200032727 A KR 1020200032727A KR 20200032727 A KR20200032727 A KR 20200032727A KR 20210116063 A KR20210116063 A KR 2021011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ase
band
plastic bag
z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길
조원상
심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피안
Priority to KR102020003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063A/ko
Priority to PCT/KR2021/002147 priority patent/WO2021187762A1/ko
Publication of KR2021011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6Interlocking member having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stri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부정 개봉 방지 지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는, 플라스틱 백의 일 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1 밴드부와, 제1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제1 밴드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1 베이스부와, 제1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1 내측후크부와 제1 외측후크부를 포함하는 제1 후크부, 및 제1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제1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지퍼스트립, 및 제1 밴드부와 나란히 형성되며 플라스틱 백의 타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2 밴드부와, 제2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제1 베이스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2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2 내측후크부와 제2 외측후크부를 포함하여, 제1 후크부와 후크 결합하는 제2 후크부, 및 제2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제2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제1 지퍼스트립과 결합되어 플라스틱 백을 밀폐하는 제2 지퍼스트립을 포함하되,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각각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일 측에 치우치게 형성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는, 각각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기둥과, 기둥 끝단부에서 각각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향하여 굴절된 후크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와 제1 내측후크부는 제2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며, 제2 지지부와 제2 내측후크부는 제1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고, 제1 내측후크부와 제2 내측후크부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Anti-unrelease zipper and anti-unrelease zipper ba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이 견고하여 플라스틱 백이 부정하게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료품 등을 포장 또는 보관할 때 사용되는 플라스틱 백은 비닐로 제작되어 암수 결합부로 이루어진 지퍼(zipper) 구조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백은 입구 측 내측벽에 너비 방향으로 지퍼스트립(zipper strip)이 설치되어 내부에 내용물을 넣고 외부에서 지퍼스트립에 압력을 가하면 내부가 밀폐되는데, 플라스틱 백의 일 측과 타 측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지퍼스트립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면세 물품(duty free goods) 등을 포장하거나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서 이동식 기억장치(USB; Universal Serial Bus), 핸드폰, 카메라 등의 물품을 보관할 때에도 플라스틱 백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라스틱 백은 일 측과 타 측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지퍼스트립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므로, 보안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면세 물품 또는 보안 물품이 넣어진 플라스틱 백이 부정하게 개방되어 보관 물품 중 일부가 빼내어지거나 새로운 물품이 추가되는 등 조작되더라도 이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플라스틱 백에 넣어진 보관 물품에 대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이에, 결합이 견고하여 플라스틱 백이 부정하게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지퍼, 및 부정 개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구조의 지퍼백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080호 (2019. 12. 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결합이 견고하여 플라스틱 백이 부정하게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정 개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는, 플라스틱 백의 일 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1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밴드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1 내측후크부와 제1 외측후크부를 포함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지퍼스트립, 및 상기 제1 밴드부와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타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2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2 내측후크부와 제2 외측후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후크부와 후크 결합하는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지퍼스트립과 결합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을 밀폐하는 제2 지퍼스트립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일 측에 치우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기둥과, 상기 기둥 끝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하여 굴절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2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1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고, 상기 제1 내측후크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밴드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상기 기둥은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후크부와 상기 제2 외측후크부는 각각, 상기 기둥이 상기 후크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후크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각각, 상기 기둥이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반대측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점대칭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은, 플라스틱 백과, 상기 플라스틱 백의 일 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1 밴드부, 상기 제1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밴드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1 내측후크부와 제1 외측후크부를 포함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지퍼스트립, 및 상기 제1 밴드부와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타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2 밴드부, 상기 제2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2 내측후크부와 제2 외측후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후크부와 후크 결합하는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지퍼스트립과 결합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을 밀폐하는 제2 지퍼스트립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일 측에 치우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기둥과, 상기 기둥 끝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하여 굴절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2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1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고, 상기 제1 내측후크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밴드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점대칭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백의 입구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까지의 거리는 1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는 각각, 일 측 끝단이 상기 플라스틱 백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백은 타 측벽 입구단이 일 측벽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밴드부는 끝단이 상기 플라스틱 백의 일 측벽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2 밴드부는 끝단이 상기 플라스틱 백의 타 측벽 입구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백은 적어도 일 측에 노치(notc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은, 상기 노치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퍼스트립과 제2 지퍼스트립의 결합이 견고하여 플라스틱 백이 부정하게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백에 형성된 노치를 기준으로 플라스틱 백을 비틀어 찢거나 가위, 칼 등의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백을 잘라야만 개봉이 가능하므로, 플라스틱 백의 부정 개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가 부착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정 개봉 방지 지퍼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부정 개봉 방지 지퍼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의 실제 종 방향 단면 사진이다.
도 5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을 도시한 종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1), 및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가 부착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라스틱 백(2)을 밀폐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1)를 포함하여, 플라스틱 백(2)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예를 들어, 면세 물품(duty free goods) 등을 포장하거나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서 이동식 기억장치(USB; Universal Serial Bus), 핸드폰, 카메라 등의 물품을 보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부정 개봉 방지 지퍼(1)는 제1 지퍼스트립(도 2의 10 참조)과 제2 지퍼스트립(도 2의 20 참조)의 결합이 견고하여 플라스틱 백(2)이 부정하게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플라스틱 백(2)에 형성된 노치(2a)를 기준으로 플라스틱 백(2)을 비틀어 찢거나 가위, 칼 등의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백(2)을 잘라야만 개봉이 가능하므로, 플라스틱 백(2)의 부정 개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부정 개봉 방지 지퍼(1), 및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부정 개봉 방지 지퍼의 종 방향 단면도이고, 도 3은 부정 개봉 방지 지퍼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종 방향 단면도이며, 도 4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의 실제 종 방향 단면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1)는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을 포함한다.
제1 지퍼스트립(10)은 부정 개봉 방지 지퍼(1)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백(2)의 일 측 내측벽에 너비 방향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퍼스트립(10)은 제1 밴드부(11)와, 제1 연결부(12)와, 제1 베이스부(13)와, 제1 후크부(14), 및 제1 지지부(15)를 포함한다.
제1 밴드부(1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의 부재로, 플라스틱 백(2)의 일 측 내측벽에 부착되어 후술할 제1 베이스부(13)와 제1 후크부(14), 및 제1 지지부(15)를 지지한다. 제1 밴드부(11)는 플라스틱 백(2)의 일 측 내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 측 끝단,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이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백(2)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된다. 제1 밴드부(11)는 플라스틱 백(2)의 내측벽에 부착된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에 제1 연결부(12)가 형성된다.
제1 연결부(12)는 제1 밴드부(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1 밴드부(11)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일 측에 치우치게 형성된다. 제1 연결부(12)는 제1 밴드부(11)의 상단보다 하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1 밴드부(11)와 제1 베이스부(13) 사이를 연결한다. 즉, 제1 밴드부(11)의 하단으로부터 제1 연결부(12) 사이의 간격이 제1 밴드부(11)의 상단으로부터 제1 연결부(12)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 베이스부(13)는 제1 연결부(1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며, 제1 밴드부(11)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밴드부(11)와 제1 베이스부(13)는 플라스틱 백(2)의 내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중첩되고, 제1 연결부(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때, 제1 베이스부(13)는 제1 밴드부(11)보다 두께(도 2의 x 방향의 길이)가 두껍게 형성되며, 제1 연결부(12)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13)의 두께가 제1 연결부(1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짐에 따라, 제1 베이스부(13)와 제1 밴드부(11) 사이의 간격은 제1 연결부(1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3)에는 제1 후크부(14)와 제1 지지부(15)가 돌출된다.
제1 후크부(14)는 제2 지퍼스트립(20)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제1 베이스부(13)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1 내측후크부(14a)와 제1 외측후크부(1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측후크부(14a)라 함은, 제1 연결부(12)와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내측에 위치한 후크부를 의미하고, 제1 외측후크부(14b)라 함은, 제1 연결부(12)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위치한 후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내측후크부(14a)와 제1 외측후크부(14b)는 각각, 제1 베이스부(13)로부터 연장된 기둥(14a', 14b')과, 기둥(14a', 14b') 끝단부에서 후술할 제1 지지부(15)를 향하여 하측으로 굴절된 후크(14a", 14b")를 포함하며, 기둥(14a', 14b')은 제1 베이스부(13)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도 2의 y 방향의 길이)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5)는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제1 내측후크부(14a)로부터 이격되어 제1 베이스부(1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지부(15)는 제1 연결부(12)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베이스부(13)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5)는 제1 연결부(1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 베이스부(13)가 제1 지지부(15)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5)가 제1 연결부(12)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전술한 제1 내측후크부(14a)와 제1 외측후크부(14b)는 제1 지지부(15)의 일 측부,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5)의 상방에 나란히 배치되며, 후크(14a", 14b")가 제1 지지부(15)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지부(15)와 먼 제1 외측후크부(14b)는 기둥(14b')이 후크(14b") 방향으로 굴절되고, 제1 지지부(15)와 제1 외측후크부(14b) 사이에 위치한 제1 내측후크부(14a)는 기둥(14a')이 제1 베이스부(13)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되 후크(14a")의 반대측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에서 제1 지지부(15)까지의 거리는 1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퍼스트립(10)은 제2 지퍼스트립(20)과 결합된다.
제2 지퍼스트립(20)은 부정 개봉 방지 지퍼(1)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백(2)의 타 측 내측벽에 너비 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제1 지퍼스트립(10)과 결합되어 플라스틱 백(2)을 밀폐할 수 있다. 제2 지퍼스트립(20)은 제2 밴드부(21)와, 제2 연결부(22)와, 제2 베이스부(23)와, 제2 후크부(24), 및 제2 지지부(25)를 포함하한다.
제2 밴드부(2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의 부재로, 제1 밴드부(11)와 나란히 형성되며 플라스틱 백(2)의 타 측 내측벽에 부착되어 후술할 제2 베이스부(23)와 제2 후크부(24), 및 제2 지지부(25)를 지지한다. 제2 밴드부(21)는 플라스틱 백(2)의 타 측 내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 측 끝단,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이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플라스틱 백(2)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된다. 제2 밴드부(21)는 플라스틱 백(2)의 내측벽에 부착된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에 제2 연결부(22)가 형성된다.
제2 연결부(22)는 제2 밴드부(2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2 밴드부(21)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일 측에 치우치게 형성된다. 제2 연결부(22)는 제2 밴드부(21)의 하단보다 상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2 밴드부(21)와 제2 베이스부(23) 사이를 연결한다. 즉, 제2 밴드부(21)의 상단으로부터 제2 연결부(22) 사이의 간격이 제2 밴드부(21)의 하단으로부터 제2 연결부(22)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2 연결부(22)가 제1 연결부(12)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3)는 제2 연결부(2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며, 제1 베이스부(13) 및 제2 밴드부(21)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밴드부(21)와 제2 베이스부(23)는 플라스틱 백(2)의 내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중첩되고, 제2 연결부(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때, 제2 베이스부(23)는 제2 밴드부(21)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제2 연결부(22)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질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의 두께가 각각, 제1 밴드부(11)와 제2 밴드부(21)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 사이가 벌어지도록 힘을 가하더라도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가 변형되지 않아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가 각각 제1 밴드부(11)와 제2 밴드부(21)보다 얇게 형성되는 경우,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가 뒤틀리면서 변형되어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의 두께를 제1 밴드부(11)와 제2 밴드부(21)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부(23)의 두께가 제2 연결부(2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짐에 따라, 제2 베이스부(23)와 제2 밴드부(21) 사이의 간격은 제2 연결부(2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3)에는 제2 후크부(24)와 제2 지지부(25)가 돌출된다.
제2 후크부(24)는 제1 지퍼스트립(10)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제2 베이스부(23)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2 내측후크부(24a)와 제2 외측후크부(24b)를 포함하여 제1 후크부(14)와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측후크부(24a)라 함은, 제2 연결부(22)와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내측에 위치한 후크부를 의미하고, 제2 외측후크부(24b)라 함은, 제2 연결부(22)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위치한 후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내측후크부(24a)와 제2 외측후크부(24b)는 각각, 제2 베이스부(23)로부터 연장된 기둥(24a', 24b')과, 기둥(24a', 24b') 끝단부에서 후술할 제2 지지부(25)를 향하여 하측으로 굴절된 후크(24a", 24b")를 포함하며, 기둥(24a', 24b')은 제2 베이스부(23)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5)는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제2 내측후크부(24a)로부터 이격되어 제2 베이스부(2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부(25)는 제2 연결부(22)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베이스부(23)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25)는 제2 연결부(2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2 베이스부(23)가 제2 지지부(25)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5)가 제2 연결부(22)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전술한 제2 내측후크부(24a)와 제2 외측후크부(24b)는 제2 지지부(25)의 일 측부,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25)의 하방에 나란히 배치되며, 후크(24a", 24b")가 제2 지지부(25)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부(25)와 먼 제2 외측후크부(24b)는 기둥(24b')이 후크(24b") 방향으로 굴절되고, 제2 지지부(25)와 제2 외측후크부(24b) 사이에 위치한 제2 내측후크부(24a)는 기둥(24a')이 제2 베이스부(23)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되 후크(24a")의 반대측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15)와 제1 내측후크부(14a)의 후크(14a")가 제2 외측후크부(24b)의 기둥(24b')을 압착하여 고정하고, 제2 지지부(25)와 제2 내측후크부(24a)의 후크(24a")가 제1 외측후크부(14b)의 기둥(14b')을 압착하여 고정하면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측후크부(14a)와 제2 내측후크부(24a)는 각각 기둥(14a', 24a')의 끝단이 제2 베이스부(23)와 제1 베이스부(13)에 밀착 지지되고, 제1 베이스부(13)와 제2 외측후크부(24b) 사이, 제2 베이스부(23)와 제1 외측후크부(14b) 사이,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내측후크부(24a) 사이, 제2 베이스부(23)와 제1 내측후크부(14a) 사이, 및 제1 내측후크부(14a)의 기둥(14a')과 제2 내측후크부(24a)의 기둥(24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특히,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내측후크부(14a)의 기둥(14a')과 제2 내측후크부(24a)의 기둥(24a')이 서로 이격되어 있고, 동시에 제1 지지부(15)와 제1 내측후크부(14a)의 후크(14a")가 제2 외측후크부(24b)의 기둥(24b')을 압착하여 고정하고, 제2 지지부(25)와 제2 내측후크부(24a)의 후크(24a")가 제1 외측후크부(14b)의 기둥(14b')을 압착하여 고정함에 따라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은 견고하게 고정되고 임의로 개방되지 않는다. 즉, 제1 지지부(15)와 제1 내측후크부(14a)가 서로 압착하고 제2 지지부(25)와 제2 내측후크부(24a)가 서로 압착하여,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이 양측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서는 파손되지 않고는 절대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내측후크부(14a)의 기둥(14a')과 제2 내측후크부(24a)의 기둥(24a')이 서로 이격되어 있어,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을 서로 비틀어서 분리하려고 시도하더라도 서로 지지점이 없어 분리되지 않는다.
제1 지지부(15)와 제1 내측후크부(14a)가 제2 외측후크부(24b)의 기둥(24b')을 압착하면서 제1 내측후크부(14a)의 기둥(14a') 끝단이 제2 베이스부(23)에 밀착 지지되고, 제2 지지부(25)와 제2 내측후크부(24a)가 제1 외측후크부(14b)의 기둥(14b')을 압착하면서 제2 내측후크부(24a)의 기둥(24a') 끝단이 제1 베이스부(13)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수직 방향 움직임과 수평 방향 움직임이 모두 제한되어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을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잡아 당기더라도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의 결합이 풀리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가 각각,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22)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차 두껍게 형성되어 제1 외측후크부(14b)와 제2 외측후크부(24b)를 지지하는 힘이 증대되므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 외측후크부(14b)와 제2 외측후크부(24b)가 각각, 제2 지지부(25)와 제2 내측후크부(24a)의 후크(24a") 사이, 및 제1 지지부(15)와 제1 내측후크부(14a)의 후크(14a") 사이에서 빠지지 않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에서 제2 지지부(25)까지의 거리는 1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밴드부(11)와 제2 밴드부(21)의 상단이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에서 제1 지지부(15)와 제2 지지부(25)까지의 거리가 각각 10mm 이내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제1 지지부(15)와 제2 지지부(25) 상부로 연장된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을 파지하기가 쉽지 않아 서로 결합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에 집중적으로 힘을 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3)와 제1 밴드부(11) 사이, 제2 베이스부(23)와 제2 밴드부(21) 사이는 각각, 이격되어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2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3)와 제1 밴드부(11) 사이, 및 제2 베이스부(23)와 제2 밴드부(21)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 사이가 벌어지도록 힘을 가하더라도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에 직접적으로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12), 제1 베이스부(13), 제1 후크부(14), 및 제1 지지부(15)는, 제2 연결부(22), 제2 베이스부(23), 제2 후크부(24), 및 제2 지지부(25)와 점대칭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대칭 도형이라 함은, 기준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처음 도형과 완전히 포개어지는 도형을 의미한다. 즉, 제1 연결부(12), 제1 베이스부(13), 제1 후크부(14), 및 제1 지지부(15)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제2 연결부(22), 제2 베이스부(23), 제2 후크부(24), 및 제2 지지부(25)와 완전히 포개어진다. 제1 연결부(12), 제1 베이스부(13), 제1 후크부(14), 및 제1 지지부(15)가 제2 연결부(22), 제2 베이스부(23), 제2 후크부(24), 및 제2 지지부(25)와 점대칭 도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일 측이 개구된 플라스틱 백(2)과, 그 내측에 부착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을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1)를 포함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백(2)은 일 측, 보다 구체적으로, 상 측이 개구된 봉투 형상의 부재로, 비닐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비닐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통용되는 의미의 합성수지로 된 필름을 총칭하는 의미로써, 비닐기를 갖는 비닐수지뿐만 아니라 비닐기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 시중에서 사용되는 비닐 봉투, 비닐 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비닐과 마찬가지로 투명하고 햇빛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폴리에틸렌필름 등 합성수지필름으로 만든 비닐 지퍼백용 비닐을 총칭할 수 있다. 플라스틱 백(2)은 개구된 상 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 구조를 이루며, 개구된 상 측에 부정 개봉 방지 지퍼(1)가 부착된다.
부정 개봉 방지 지퍼(1)는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으로 구성되며, 제1 지퍼스트립(10)은 제1 밴드부(11), 제1 연결부(12), 제1 베이스부(13), 제1 후크부(14), 및 제1 지지부(15)를 포함하고, 제2 지퍼스트립(20)은 제2 밴드부(21), 제2 연결부(22), 제2 베이스부(23), 제2 후크부(24), 및 제2 지지부(25)를 포함한다. 제1 지퍼스트립(10)은 제1 밴드부(11)의 상단이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되 제1 후크부(14)가 플라스틱 백(2)의 개구된 상 측을 향하고 제1 지지부(15)가 플라스틱 백(2)의 내측을 향하도록 플라스틱 백(2)의 일 측 내측벽에 부착된다. 제2 지퍼스트립(20)은 제2 밴드부(21)의 상단이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되 제2 지지부(25)가 플라스틱 백(2)의 개구된 상 측을 향하고 제2 후크부(24)가 플라스틱 백(2)의 내측을 향하도록 플라스틱 백(2)의 타 측 내측벽에 부착된다.
한편, 플라스틱 백(2)은 적어도 일 측에 삼각형으로 만입된 홈 형태의 노치(2a)가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백(2)의 일 측에 노치(2a)가 형성됨으로써, 가위, 칼 등의 절단기구가 없더라도 노치(2a)를 기준으로 플라스틱 백(2)을 비틀면서 찢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백(2)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플라스틱 백(2)의 부정 개봉 여부도 식별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플라스틱 백(2)의 양 측에 각각 2개의 노치(2a)가 형성되고, 2개의 노치(2a)가 플라스틱 백(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노치(2a)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노치(2a)에는 절취선(2b)이 연결될 수 있다.
절취선(2b)은 플라스틱 백(2)이 일 방향으로 고르게 찢어질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플라스틱 백(2)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노치(2a)와 연결될 수 있다. 플라스틱 백(2)에 절취선(2b)이 형성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플라스틱 백(2)을 보다 용이하게 찢을 수 있고, 플라스틱 백(2)을 찢을 때 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부정 개봉 방지 지퍼(1), 및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1)는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의 결합이 견고하여 플라스틱 백(2)이 부정하게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플라스틱 백(2)에 형성된 노치(2a)를 기준으로 플라스틱 백(2)을 비틀어 찢거나 가위, 칼 등의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백(2)을 잘라야만 개봉이 가능하므로, 플라스틱 백(2)의 부정 개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제1 밴드부(11)와 제2 밴드부(21)의 상단이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에서 제1 지지부(15)와 제2 지지부(25)까지의 거리가 각각 10mm 이내로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부(15)와 제2 지지부(25) 상부로 연장된 플라스틱 백(2)의 입구단을 파지하기가 쉽지 않으며,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의 결합을 강제로 해제하고자 할 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양 쪽으로 벌리면서 당겨야 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양 쪽으로 벌리면서 당기더라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5)와 제1 내측후크부(14a)의 후크(14a")가 제2 외측후크부(24b)의 기둥(24b')을 압착하고, 제2 지지부(25)와 제2 내측후크부(24a)의 후크(24a")가 제1 외측후크부(14b)의 기둥(14b')을 압착하고 있으므로, 제1 내측후크부(14a)의 후크(14a")와 제2 외측후크부(24b)의 후크(24b")가 더욱 밀착되고 제2 내측후크부(24a)의 후크(24a")와 제1 외측후크부(14b)의 후크(14b")가 더욱 밀착되어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1 베이스부(13)와 제1 밴드부(11) 사이, 및 제2 베이스부(23)와 제2 밴드부(21) 사이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 사이가 벌어지도록 힘을 가하더라도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에 직접적으로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에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13)와 제2 베이스부(23)의 두께가 각각 제1 밴드부(11)와 제2 밴드부(21)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플라스틱 백(2)의 양 측부를 파지하고 양 쪽으로 벌리면서 힘을 가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제1 외측후크부(14b)와 제2 외측후크부(24b)가 각각, 제2 지지부(25)와 제2 내측후크부(24a) 사이, 및 제1 지지부(15)와 제1 내측후크부(14a) 사이에서 빠지지 않고 끼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부정 개봉 방지 지퍼(1)는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이 한 번 결합되면 결합이 다시 해제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내용물이 수용된 플라스틱 백(2)을 다시 개봉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백(2)을 잘라야 하므로, 부정 개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을 도시한 종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 입구단이 일 측벽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3)은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 입구단이 일 측벽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플라스틱 백(2)은 제2 지퍼스트립(20)이 부착되는 타 측벽의 입구단이 제1 지퍼스트립(10)이 부착되는 일 측벽의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밴드부(11)는 끝단이 플라스틱 백(2)의 일 측벽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플라스틱 백(2)의 일 측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되고, 제2 밴드부(21)는 끝단이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 입구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플라스틱 백(2)의 타 측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된다.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의 입구단이 일 측벽의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2 지지부(25) 상부로 연장된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 입구단만 파지 가능하고 제1 지지부(15) 상부로 연장된 플라스틱 백(2)의 일 측벽 입구단은 파지하기가 쉽지 않아 서로 결합된 제1 지퍼스트립(10)과 제2 지퍼스트립(20)에 집중적으로 힘을 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제1 후크부(14)와 제2 후크부(24)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지퍼스트립(20)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의 입구단이 제1 지퍼스트립(10)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백(2)의 일 측벽의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지퍼스트립(10)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백(2)의 일 측벽의 입구단이 제2 지퍼스트립(20)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의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지퍼스트립(10)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백(2)의 일 측벽의 입구단이 제2 지퍼스트립(20)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의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제2 밴드부(21)는 끝단이 플라스틱 백(2)의 타 측벽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플라스틱 백(2)의 타 측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되고, 제1 밴드부(11)는 끝단이 플라스틱 백(2)의 일 측벽 입구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플라스틱 백(2)의 일 측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부정 개봉 방지 지퍼 2: 플라스틱 백
2a: 노치 2b: 절취선
3: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0: 제1 지퍼스트립 11: 제1 밴드부
12: 제1 연결부 13: 제1 베이스부
14: 제1 후크부 14a: 제1 내측후크부
14b: 제1 외측후크부 14a', 14b': 기둥
14a", 14b": 후크 15: 제1 지지부
20: 제2 지퍼스트립 21: 제2 밴드부
22: 제2 연결부 23: 제2 베이스부
24: 제2 후크부 24a: 제2 내측후크부
24b: 제2 외측후크부 24a', 24b': 기둥
24a", 24b": 후크 25: 제2 지지부

Claims (18)

  1. 플라스틱 백의 일 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1 밴드부,
    상기 제1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밴드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1 내측후크부와 제1 외측후크부를 포함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지퍼스트립, 및
    상기 제1 밴드부와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타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2 밴드부,
    상기 제2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2 내측후크부와 제2 외측후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후크부와 후크 결합하는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지퍼스트립과 결합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을 밀폐하는 제2 지퍼스트립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일 측에 치우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기둥과, 상기 기둥 끝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하여 굴절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2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1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고,
    상기 제1 내측후크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밴드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후크부와 상기 제2 외측후크부는 각각, 상기 기둥이 상기 후크 방향으로 굴절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후크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각각, 상기 기둥이 상기 제1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반대측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점대칭 도형으로 형성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
  9. 플라스틱 백;
    상기 플라스틱 백의 일 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1 밴드부,
    상기 제1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밴드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1 내측후크부와 제1 외측후크부를 포함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지퍼스트립, 및
    상기 제1 밴드부와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타측 내측벽에 부착되는 제2 밴드부,
    상기 제2 밴드부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확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중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돌출된 제2 내측후크부와 제2 외측후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후크부와 후크 결합하는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내측후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지퍼스트립과 결합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을 밀폐하는 제2 지퍼스트립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일 측에 치우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제2 후크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된 기둥과, 상기 기둥 끝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하여 굴절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2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상기 제1 외측후크부의 기둥을 압착하고,
    상기 제1 내측후크부와 상기 제2 내측후크부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밴드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후크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후크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점대칭 도형으로 형성된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백의 입구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까지의 거리는 10mm 이내로 형성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는 각각, 일 측 끝단이 상기 플라스틱 백의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백은 타 측벽 입구단이 일 측벽 입구단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밴드부는 끝단이 상기 플라스틱 백의 일 측벽 입구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2 밴드부는 끝단이 상기 플라스틱 백의 타 측벽 입구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의 내측벽에 전체적으로 부착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백은 적어도 일 측에 노치(notch)가 형성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스틱 백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KR1020200032727A 2020-03-17 2020-03-17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KR20210116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27A KR20210116063A (ko) 2020-03-17 2020-03-17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PCT/KR2021/002147 WO2021187762A1 (ko) 2020-03-17 2021-02-19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27A KR20210116063A (ko) 2020-03-17 2020-03-17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063A true KR20210116063A (ko) 2021-09-27

Family

ID=7777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27A KR20210116063A (ko) 2020-03-17 2020-03-17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6063A (ko)
WO (1) WO2021187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2122A1 (en) * 2020-01-30 2023-01-05 Zippian Co.,Ltd. Child safety zipper and child safety zipper bag includ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080B1 (ko) 2018-03-05 2019-12-20 주식회사 스탠드팩 세이프 가드 지퍼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1404B (en) * 1991-01-02 1995-04-05 Ami Ind Inc Method for applying closure strips
GB9213296D0 (en) * 1992-06-23 1992-08-05 Hanlex Ltd Strip closures
KR101098872B1 (ko) * 2009-10-21 2011-12-26 (주) 보성인더스트리 절개용 홈을 갖는 슬라이딩 파스너 및 이 파스너를 갖는 밀봉용 봉투
FR2963927B1 (fr) * 2010-08-17 2012-09-14 S2F Flexico Sachet d'emballage inviolable
US10384835B2 (en) * 2015-10-31 2019-08-20 Com-Pac International, Inc. Reclosable zipper having tamper evident fea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080B1 (ko) 2018-03-05 2019-12-20 주식회사 스탠드팩 세이프 가드 지퍼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2122A1 (en) * 2020-01-30 2023-01-05 Zippian Co.,Ltd. Child safety zipper and child safety zipper bag including same
US11884453B2 (en) * 2020-01-30 2024-01-30 Zippian Co., Ltd. Child safety zipper and child safety zipper bag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762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7156B (zh) Bag body with zipper tape, article storage method for bag body with zipper tape, method for manufacturing bag body with zipper tape,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bag body with zipper tape
JP4818269B2 (ja) 不正開封を表示する取出し口付き密封体
US6575625B2 (en) Reclosable bags having a removable member encapsulating a slider
US5794315A (en) Non-reopening fastener for plastic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11884453B2 (en) Child safety zipper and child safety zipper bag with the same
JPH0457749A (ja) 開封容易な合成樹脂製袋
JPH04505439A (ja) タンパー防止再閉止蓋
US20030203799A1 (en) Closure arrangement with tear guide for allowing access to zipper flanges in a package
JP2010506809A (ja) ケーブルタイを備えた容器クロージャ
US20050063616A1 (en) Tamper evident plastic bag incorporating a combination zipper and double resealable en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7063B1 (ko) 포장체
JP2009509648A (ja) 再閉可能パッケージ及び方法
TWM452144U (zh) 防拆封容器
KR20210116063A (ko) 부정 개봉 방지 지퍼 및 그를 포함하는 부정 개봉 방지 지퍼백
JP2011036642A (ja) 帯状嵌合部材、帯状嵌合具、および帯状嵌合具付包装袋
US4001957A (en) Label holder for mail bags and the like
US11465811B2 (en) Easy-to-open gunny sack sewn by single thread
CN106586170A (zh) 锁扣机构及免胶纸纸箱
CN206691558U (zh) 锁扣机构及免胶纸纸箱
US7717267B2 (en) Snap-lock twist-open card and blister package
KR200425505Y1 (ko)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CN205525411U (zh) 一种易开启安全环保包装盒
JP2019172290A (ja) 封緘キャップ及び封緘容器
JP4729640B1 (ja) 収納体及び収納体の開封明示用チャック
CN109229862B (zh) 瓶口防盗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