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507A -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507A
KR20210115507A KR1020200031391A KR20200031391A KR20210115507A KR 20210115507 A KR20210115507 A KR 20210115507A KR 1020200031391 A KR1020200031391 A KR 1020200031391A KR 20200031391 A KR20200031391 A KR 20200031391A KR 20210115507 A KR20210115507 A KR 20210115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haft
fixed
frame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455B1 (ko
Inventor
양영모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주)마이벨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벨로 filed Critical (주)마이벨로
Priority to KR102020003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55B1/ko
Priority to EP20182806.8A priority patent/EP3878418A1/en
Publication of KR2021011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4Large wheels, e.g. higher than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3Quickly-removabl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에 전동 구동륜을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에 전동 구동륜을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매우 우수한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서, 신체장애자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 보조 기구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인력에 의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크게 구분된다.
수동휠체어는 접을 수 있고 가벼워 휴대성이 좋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이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구동륜을 손으로 밀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등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전동 휠체어는 이동성이 뛰어나고 조작이 편리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무거워 휴대하기에 어렵다.
한편, 종래의 수동 휠체어에 별도의 전동 모듈을 장착하여 전동 휠체어와 같이 전동으로 구동가능한 휠체어 구조가 KR 10-1715293(이하, '특허문헌 0001'이라 한다.) 및 KR10-2017-0090371A(이하, '특허문헌 0002'라 한다.)와 같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휠체어의 바퀴 외측에 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바퀴의 일측과 맞닿아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의 마찰회전자; 상기 마찰회전자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마찰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구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수동 휠체어에 간단하게 구동보조장치를 장착하여 기존 휠체어의 바퀴에 전동 구동 능력을 가지게 하며, 기존 전동휠체어의 경우 크기, 무게 등으로 차량 등에 적재가 어려웠으나 수동휠체어의 접이식 기능을 이용하여 운반 및 적재가 쉽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사용자가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식 휠체어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식 휠체어로 전환시키며, 특히 휠체어의 형태나 사이즈에 관계없이 착탈 및 전동식 전환이 가능해 적은 비용 부담만으로 전동식 휠체어의 보급을 가능하게 하는 착탈식 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에서 양측 바퀴를 지지하는 양측의 설치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며, 롤러를 바퀴에 밀착시켜 롤러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1 및 0002의 경우 수동휠체어에 장착하여 전동 휠체어와 같이 전동으로 이동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롤러와 휠체어의 바퀴가 슬립될 우려가 있고, 롤러와 휠체어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어 부상입을 우려가 있는 등 안전성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KR 10-1715293 B1 (2017.03. 06) KR10-2017-0090371A (2017.08.0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휠체어에 전동 구동륜을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매우 우수한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허브모터가 설치된 전동 구동륜이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로서, 상기 허브모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고정시키는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주변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허브모터의 복수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중앙에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허브모터의 축공에 삽입되는 일측 고정축과; 상기 고정플랜지의 중앙에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고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타측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을 관통한 상기 고정부의 타측 고정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링을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 중앙에 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축공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허브모터의 축부재가 수용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몸체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수용된 타측 고정축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타측에 하부가 편심결합되는 편심레버와; 상기 고정링과 상기 편심레버 사이의 상기 축부위에 상기 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편심레버에 의해 상기 고정링에 일측이 밀착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편심레버의 하부 외주면과 접하는 홈이 형성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축부재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타측에 하부가 편심결합되는 편심레버와; 상기 축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편심레버에 의해 상기 고정축에 일측이 밀착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편심레버의 하부 외주면과 접하는 홈이 형성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축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링과 상기 이동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축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축과 상기 이동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을 관통한 고정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링을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랜지의 타측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타측 고정축이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타측 고정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은 2개로 이루어지고, 2개의 상기 고정링 사이에 간극조절용 고정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타측 고정축이 수용되는 보강슬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홈에 일측이 삽입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공 중 상기 고정축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고정공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타측면 전측에 체결되는 전측보조스토퍼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타측면 후측에 체결되는 후측보조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보조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고정축 및 타측 고정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 고정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부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링을 휠체어의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통해 휠체어에 상기 전동 구동륜을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휠체어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6은 휠체어의 프레임에 전동 구동륜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고정레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프레임의 고정공으로부터 패킹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1은 2개의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는 간극조절용 고정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3은 2개의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는 간극조절용 고정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의 고정부가 관형태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의 고정부가 판형태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5는 제 3실시예에서의 고정링과 간극조절용 고정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5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부(10)와 고정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전동 구동륜(3)은 기존의 수동 휠체어 등 다양한 종류의 휠체어(도 5 및 도 6의 1)의 비전동 구동륜과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동 구동륜(3)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허브모터(31), 허브(32), 복수의 스포크(33), 림(미도시) 및 타이어(35)로 구성되고, 핸드림(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32)는 상기 허브모터(31)를 감싼 상태로 회전결합되고, 상기 허브모터(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허브(32)가 회전된다.
복수의 상기 스포크(33)는 상기 허브(32)와 림(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타이어(35)는 상기 림(미도시)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허브모터(31)의 하우징(311)의 측면 중앙에 축공(3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모터(31)의 축공(313) 주변의 상기 하우징(311)의 측면에는 복수의 나사공(314)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10)는 일예로, 도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플랜지(110), 일측 고정축(120) 및 타측 고정축(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중앙 주변의 상기 고정플랜지(110) 부위에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결부재(5)가 관통하는 체결공(111)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5)는 상기 체결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허브모터(31)의 하우징(311)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314)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은 일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휠체어(1)의 측면에 구비되는 판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타측면과 상기 프레임(2)의 일측면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판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중앙 주변의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타측면 부위에 요철부(112)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축(120)은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일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허브모터(31)의 축공(313)에 삽입된다.
상기 타측 고정축(130)은 일예로, 상기 일측 고정축(12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타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에 형성된 고정공(21)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전동구동륜(3)의 높낮이조절을 위해,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은 상기 프레임(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축(130)은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축(130)의 중앙에는 상기 타측 고정축(130)을 따라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나사공(13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링(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0)의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된 상기 타측 고정축(13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0)의 일측면은 판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타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0)의 일측면과 상기 프레임(2)의 타측면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판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타측면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고정링(20)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링(20)의 중앙 주변의 상기 고정링(20)의 일측면 부위에 요철부(201)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레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의 고정플랜지(110)와 상기 고정링(20)을 판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3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축(310), 편심레버(320) 및 이동몸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퀵 릴리즈 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310)은 상기 고정링(20)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타측 고정축(130)의 나사공(1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편심레버(320)의 하부는 상기 축(310)의 타측에 편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330)의 중앙 내측에 상기 고정링(20)과 상기 편심레버(320) 사이의 상기 축(310)부위가 수평관통된 상태로 상기 이동몸체(330)는 상기 고정링(20)과 상기 편심레버(320) 사이의 상기 축(310)부위에 상기 축(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330)의 일측은 상기 편심레버(320)에 의해 상기 고정링(20)의 타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330)의 일측과 상기 고정링(20)의 타측면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이동몸체(330)와 상기 고정링(20)의 상호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0)의 중앙 주변의 상기 고정링(20)의 타측면 부위에도 상기 요철부(201)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몸체(330)의 중앙 주변의 상기 이동몸체(330)의 일측면 부위에 요철부(332)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330)의 타측에는 상기 편심레버(320)의 하부 외주면과 접하는 홈(331)이 상기 이동몸체(33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휠체어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6은 휠체어의 프레임에 전동 구동륜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측면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0), 상기 고정링(20) 및 상기 고정레버(30)를 통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휠체어(1)의 프레임(2)에 상기 전동 구동륜(3)을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고정레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휠체어(1)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보호자 등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편심레버(320)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2)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상기 축(310)이 상기 축(3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편심레버(320)의 하부의 축(321)의 중심부와 상기 이동몸체(330)의 타측 사이의 좌우간격(D1)이 점차 넓어지면서 상기 이동몸체(330)가 상기 축(3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링(20)에 밀착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2)의 양측면에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상기 고정링(20)이 각각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편심레버(320)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2)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상기 축(310)이 상기 축(3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편심레버(320)의 하부의 축(321)의 중심부와 상기 이동몸체(330)의 타측 사이의 좌우간격(D1)이 점차 좁혀지면서 상기 이동몸체(330)가 상기 축(3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몸체(330)와 상기 고정링(20)의 고정력이 해제 및 상기 프레임(2)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상기 고정링(20)의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330)의 원활한 좌우이동과 더불어 상기 축(310)의 풀림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레버(30)는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0)의 내측에 상기 축(31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40)는 상기 고정링(20)과 상기 이동몸체(330)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프레임의 고정공으로부터 패킹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타측 고정축(13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상기 타측 고정축(13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킹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0)는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및 고무 등의 다양한 종류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0)의 내측에 상기 타측 고정축(130)의 수용된 상태로 상기 패킹부재(40)는 상기 타측 고정축(1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0)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의 일측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0)의 타측이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의 일측에 용이하게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패킹부재(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부재(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패킹부재(40)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2개의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는 간극조절용 고정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3은 2개의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는 간극조절용 고정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판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내구성 향상 및 상기 프레임(2)과 상기 이동몸체(330) 사이의 좌우간극(D2)을 조절하기 위해,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0)은 2개로 이루어지고, 2개의 상기 고정링(20) 사이에 1개 이상의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부(1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상기 고정부(10)의 타측 고정축(13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을 관통한 어느 하나의 고정부(10)의 타측 고정축(130)의 좌우길이에 따라 상기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의 개수는 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고정부(10)의 타측 고정축(130)의 좌우길이가 길수록 2개의 상기 고정링(2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의 개수는 늘어나면서 상기 프레임(2)과 상기 이동몸체(330) 사이의 좌우간극(D2)은 넓어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고정부(10)의 타측 고정축(130)의 좌우길이가 짧을수록 2개의 상기 고정링(2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의 개수는 줄어들면서 상기 프레임(2)과 상기 이동몸체(330) 사이의 좌우간극(D2)은 줄어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5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이 관형태인 경우, 관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프레임(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는 상기 고정공(21) 중 어느 하나에 보강슬리브(60)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슬리브(60)의 내측에는 상기 타측 고정축(130)이 수평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슬리브(60)와 상기 타측 고정축(130)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어 상기 타측 고정축(130)가 변형될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강슬리브(60)를 통해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이 변형될 우려 또한 용이하게 방지하면서 상기 고정공(21)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의 고정부가 관형태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의 고정부가 판형태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는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 구동륜(3)의 허브모터(31)의 하우징(311)의 측면 중앙에는 축부재(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15)는 관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거나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태의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15)의 내측에는 나사공(3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15)의 일측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헤드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는 다른예로, 도 19 내지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몸체(140)와 고정축(1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140)의 중앙에 축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140)의 축공(141)의 일측에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공(141)과 연통되는 제 1, 2삽입홈(142, 1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50)은 상기 축공(141)을 통과한 상태로 삽입고정 또는 상기 축공(141)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삽입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50)의 일측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헤드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삽입홈(142)은 상기 고정축(150)의 헤드부(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축(150)의 회전방지를 위해 상기 제 1삽입홈(142)에 상기 고정축(150)의 헤드부(151)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삽입홈(142)은 상기 축부재(315)의 헤드부(31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몸체(140)의 회전방지를 위해 상기 제 2삽입홈(142)에 상기 축부재(315)의 헤드부(317)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50)의 내측에는 상기 허브모터(31)의 축부재(315)가 수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50)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2)에 형성된 고정공(21) 중 어느 하나의 고정공(21)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30)는 상기 고정부(10)의 고정몸체(140)를 상기 프레임(2)의 일측면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30)의 축(310)은 상기 고정축(150)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축부재(315)의 나사공(316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30)의 탄성부재(340)의 내측에 상기 축(31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40)는 상기 고정축(150)의 타측과 상기 이동몸체(33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버(30)의 편심레버(320)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2)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상기 축(310)이 상기 축(3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이동몸체(330)가 상기 축(3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몸체(140)가 상기 프레임(2)의 일측에 밀착고정 및 상기 탄성부재(340)가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버(30)의 편심레버(320)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2)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상기 축(310)이 상기 축(3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이동몸체(330)가 팽창되는 상기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축(3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몸체(140)의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도 25는 제 3실시예에서의 고정링과 간극조절용 고정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5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5 내지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을 관통한 상기 고정축(150)의 타측은 상기 고정링(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0)은 2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2개의 상기 고정링(20) 사이에는 1개 이상의 상기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50)의 타측은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30)의 편심레버(320)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2)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상기 축(310)이 상기 축(3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이동몸체(330)가 상기 축(3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몸체(140)가 상기 프레임(2)의 일측에 밀착고정 및 상기 탄성부재(340)가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링(2)과 상기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이 상기 프레임(2)의 타측방향으로 밀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버(30)의 편심레버(320)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2)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 상기 축(310)이 상기 축(3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이동몸체(330)가 팽창되는 상기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축(3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몸체(140), 고정링(2) 및 간극조절용 고정링(50)의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도 21 및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40)의 상부에 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44)은 일예로, 크게, 일측홈(144a)과 타측홈(14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홈(144a)은 상기 고정몸체(140)의 상부 중심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홈(144b)은 상기 일측홈(144a)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몸체(14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4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일예로, 크게, 일측판(710), 타측판(720) 및 연결축(7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710)은 상기 고정몸체(140)의 홈(144)의 일측홈(144a)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720)은 상기 프레임(2)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고정공(21) 중 상기 고정축(15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공(21)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710)과 타측판(720)은 상기 프레임(2)의 고정공(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730)은 상기 일측판(710)과 타측판(7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판(710)과 상기 타측판(720)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730)은 상기 고정몸체(140)의 홈(144)의 타측홈(144b)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몸체(140)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한 보조스토퍼(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스토퍼(80)는 일예로, 크게, 전측보조스토퍼(810)와 타측보조스토퍼(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조스토퍼(810)는 상기 프레임(2)의 전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몸체(14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전측에 체결부재(7)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조스토퍼(820)는 상기 프레임(2)의 후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몸체(14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후측에 상기 체결부재(7)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는 상기 전측보조스토퍼(810)와 상기 고정몸체(140)의 타측면 전측에 순차적으로 나사결합 및 상기 후측보조스토퍼(820)와 상기 고정몸체(140)의 타측면 후측에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3; 전동 구동륜, 10; 고정부,
20; 고정링, 30; 고정레버.

Claims (16)

  1. 허브모터가 설치된 전동 구동륜이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로서,
    상기 허브모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고정시키는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주변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허브모터의 복수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중앙에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허브모터의 축공에 삽입되는 일측 고정축과;
    상기 고정플랜지의 중앙에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고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타측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을 관통한 상기 고정부의 타측 고정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링을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 중앙에 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내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축공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허브모터의 축부재가 수용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몸체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수용된 타측 고정축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타측에 하부가 편심결합되는 편심레버와;
    상기 고정링과 상기 편심레버 사이의 상기 축부위에 상기 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편심레버에 의해 상기 고정링에 일측이 밀착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편심레버의 하부 외주면과 접하는 홈이 형성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축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축부재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타측에 하부가 편심결합되는 편심레버와;
    상기 축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편심레버에 의해 상기 고정축에 일측이 밀착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편심레버의 하부 외주면과 접하는 홈이 형성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축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링과 상기 이동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축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축과 상기 이동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을 관통한 고정축이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링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링을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의 타측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10.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11.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고정축이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타측 고정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13.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2개로 이루어지고,
    2개의 상기 고정링 사이에 간극조절용 고정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타측 고정축이 수용되는 보강슬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홈에 일측이 삽입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공 중 상기 고정축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고정공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타측면 전측에 체결되는 전측보조스토퍼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타측면 후측에 체결되는 후측보조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보조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0200031391A 2020-03-13 2020-03-13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38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91A KR102384455B1 (ko) 2020-03-13 2020-03-13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EP20182806.8A EP3878418A1 (en) 2020-03-13 2020-06-29 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91A KR102384455B1 (ko) 2020-03-13 2020-03-13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07A true KR20210115507A (ko) 2021-09-27
KR102384455B1 KR102384455B1 (ko) 2022-04-08

Family

ID=7126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391A KR102384455B1 (ko) 2020-03-13 2020-03-13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878418A1 (ko)
KR (1) KR102384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086B1 (ko) * 2021-11-05 2022-03-16 (주)마이벨로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38U (ja) * 1992-08-26 1994-04-12 敏雄 溝渕 車椅子装置
JP2011110404A (ja) * 2009-11-27 2011-06-09 Sadao Sakugi 電動式車いす
KR101715293B1 (ko) 2014-10-31 2017-03-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KR20170090371A (ko) 2017-06-23 2017-08-07 토도웍스 주식회사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7257A1 (de) * 1991-08-17 1993-02-18 Haas & Alber Haustechnik Und A Kleinfahrzeug, insbesondere rollstuhl mit faltbarem stuhlgestell
DE19746086B4 (de) * 1997-10-17 2005-09-08 Ortopedia Gmbh Laufradanordnung für einen Rollstuhl
DE102013109865A1 (de) * 2013-09-10 2015-03-12 Alber Gmbh Steckachse zur Montage eines Rades an einem Rollstuh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38U (ja) * 1992-08-26 1994-04-12 敏雄 溝渕 車椅子装置
JP2011110404A (ja) * 2009-11-27 2011-06-09 Sadao Sakugi 電動式車いす
KR101715293B1 (ko) 2014-10-31 2017-03-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KR20170090371A (ko) 2017-06-23 2017-08-07 토도웍스 주식회사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086B1 (ko) * 2021-11-05 2022-03-16 (주)마이벨로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455B1 (ko) 2022-04-08
EP3878418A1 (en)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4085T3 (es) Sistema de asistencia de movimiento para sillas de ruedas
US7314285B2 (en) Vehicle mirror system with reduced friction actuation and movement
KR101012719B1 (ko) 메카넘 전동 휠체어
KR20200121448A (ko)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384455B1 (ko)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BRPI0807673A2 (pt) Acessório para um assento de veículo
KR101715293B1 (ko)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CA2035743A1 (en) Wheelchair drive assembly
US8539640B1 (en) Caster wheel lift and brake assembly
KR102235508B1 (ko)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041882B1 (ko) 스마트 전동 겸용 휠체어
KR20190059814A (ko)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KR20180022401A (ko)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KR101676594B1 (ko) 전동 휠체어용 둔턱 주행장치
KR102375086B1 (ko)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US20220117807A1 (en) Manual wheelchair propulsion aid device using mechanical self-energizing action
KR20170101398A (ko) 분리형 구동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JP2011110404A (ja) 電動式車いす
KR101742904B1 (ko) 뛰어난 둔턱 주행성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 장치
KR20190008775A (ko) 휠체어용 무빙 키트
EP3641715B1 (en) Wheelchair having a flexible tension element as traction drive element and retrofit method thereof
KR200284154Y1 (ko) 휠체어
CN208693638U (zh) 万向轮的装配装置
KR100205616B1 (ko) 전동휠체어
KR102395852B1 (ko)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