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640A - 애완견용 러닝 머신 - Google Patents

애완견용 러닝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640A
KR20210114640A KR1020200029978A KR20200029978A KR20210114640A KR 20210114640 A KR20210114640 A KR 20210114640A KR 1020200029978 A KR1020200029978 A KR 1020200029978A KR 20200029978 A KR20200029978 A KR 20200029978A KR 20210114640 A KR20210114640 A KR 20210114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driving unit
dog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덕
Original Assignee
임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덕 filed Critical 임상덕
Priority to KR102020002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640A/ko
Publication of KR2021011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inclination of the main axis of the movement path being adjustable, e.g. the inclination of an endless b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81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4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용 러닝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 모터와 풀리를 갖춘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동 설치되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는 복수개의 구동 샤프트와 종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종동 샤프트에 연동 설치되며 무한회전하는 매트가 표면으로 노출된 주행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거나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행부의 전,후 방향과 좌,후 방향의 높낮이가 기울어지며 경사지도록 선택적으로 승, 하강 하는 승, 하강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견용 러닝 머신{running machines for pet dogs}
본 발명은 애완견용 러닝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견이 산책길 풍경 등 실제 풍경과 비슷한 다양한 영상의 풍경을 보며 산책길을 걷거나 달리는 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애완견의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애완견이라 함은, 실내, 외에서 기르는 강아지 또는 성체의 개를 지칭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애완견’이라는 말을 할 때마다 우리는 개를 가지고 노는 장난감 정도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애완견을 우리의 평생 동반자라는 뜻의 반려견이라고 불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애완견에 대한 호칭의 표현까지 격상할 정도로 애완견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관심이 점차 지대하다 보니 생전에 애완견에 대한 건강에 관심을 갖고 또 사후에는 애완견에 대한 장례문화까지 바뀌게 되었다.
특히, 애완견의 건강 관리에 대해서 관심이 집중되어 애완견의 비만을 방지하기 위하여 애완견을 주기적으로 운동시키는 운동요법과 애완견의 사료를 개선하여 저칼로리, 저지방의 사료를 섭취토록 하는 식이요법 그리고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을 병행하는 방법으로 애완견이 건강하고 비만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운동요법의 일 예를 들면, 견주가 애완견을 데리고 산책을 하거나 달리기를 하며 애완견을 주기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시키는 것으로, 애완견 견주가 애완견과 함께 운동을 해야 하므로 견주의 실천적 의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안된 방안 중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2001-0060721호 애완견 러닝머신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038056호 애완견 달리기 기계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 기술들은 러닝 머신의 매트를 구동시키고 그 위에서 애완견이 달리기 운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한 선행 기술들은 애완견이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매트에서 달리기 운동을 해야 하므로 만약의 사고를 대비하여 견주가 애완견과 함께 러닝 머신의 매트에서 달리기를 하거나 또는 러닝 머신 옆에서 함께 제자리 달리기 운동을 하며 애완견의 달리기 운동을 유도해야만 했다.
그러나 상기한 단조로운 실내운동 방식으로는 애완견이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되어 운동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견주가 러닝 머신 옆에서 함께 달리기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애완견들이 혼자서 러닝 머신을 달리며 운동하는 것을 싫어하는 문제점, 즉, 러닝 머신의 가격 대비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1-0060721 A KR 10-2009-0038056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 설치되어 달리기 운동을 하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주가 함께 운동하지 않더라도 애완견 스스로 운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완견용 러닝 머신의 구조를 개선하여 애완견이 산책길 풍경 등 실제 풍경과 비슷한 다양한 영상의 풍경을 보며 산책길을 걷거나 달리는 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애완견의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견주가 없는 상태에서도 애완견이 혼자서도 실증을 느끼지 않고 다양한 영상을 보며 스스로 운동을 하도록 한 애완견용 러닝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구동 모터와 풀리를 갖춘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동 설치되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는 복수개의 구동 샤프트와 종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종동 샤프트에 연동 설치되며 무한회전하는 매트가 표면으로 노출된 주행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거나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행부의 전,후 방향과 좌,후 방향의 높낮이가 기울어지며 경사지도록 선택적으로 승, 하강 하는 승, 하강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승, 하강부는 상기 주행부의 하측에 맞대어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하판; 및 하측은 상기 하판의 상측 면에 장착되고 상측은 상기 상판의 하측 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 하강 하는 상,하 진퇴부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승, 하강부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벨로즈 커버에 의해 밀폐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주행부의 양측에는 보호 가드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가드의 내측 전, 후방에는 상기 주행부에서 운동하는 애완견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변형 예는, 상기 주행부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그램이 재생되는 스크린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의 프레임 적소에는 견주의 음성을 애완견에게 들려주며 견주의 모습을 스크린을 통하여 영상 재생하는 영상 촬영부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내에 설치되어 달리기 운동을 하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주가 함께 운동하지 않더라도 애완견 스스로 운동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애완견용 러닝 머신의 구조를 개선하여 애완견이 산책길 풍경 등 실제 풍경과 비슷한 다양한 영상의 풍경을 보며 산책길을 걷거나 달리는 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애완견의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셋째, 견주가 없는 상태에서도 애완견이 견주와의 화상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혼자서도 실증을 느끼지 않고 다양한 영상을 보며 스스로 운동을 하도록 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닝 머신의 내부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러닝 머신에서 전,후 동작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러닝 머신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러닝 머신에서 좌,우 동작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러닝 머신에서 상, 하 진퇴부의 배열 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러닝 머신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와 정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러닝 머신의 일반적인 구조는 사람이 사용하는 러닝 머신의 일반적인 구조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러닝 머신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와 주행부 그리고 제어부로 대별된다.
상기 구동부(10)는 구동 모터와 풀리로 구비된다.
상기 주행부(20)는 상기 구동부(10)와 연동 설치되며 구동부(10)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개의 구동 샤프트(21)와 종동 샤프트(22)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21)와 상기 종동 샤프트(22)에 연동 설치되며 무한회전하는 매트(23)로 구비된다.
또 상기 애완견용 러닝 머신의 적소에는 상기 구동부(10)의 구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거나 및 제어하는 제어부(3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술했던 바와 같이 일반적인 러닝 머신의 구조와 크게 다를 바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의 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동작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여기서 본 발명의 지배적인 특징부는, 상기 주행부(20)의 하측에는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행부(20)의 전,후 방향과 좌,후 방향의 높낮이가 기울어지며 경사지도록 선택적으로 승, 하강 하는 승, 하강부(40)가 더 구비된다는 점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만족하기 위한 상기 승, 하강부(40)는 상기 주행부의 하측에 맞대어 설치되는 상판(41)과, 상기 상판(41)과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하판(42) 그리고 하측은 상기 하판(42)의 상측 면에 장착되고 상측은 상기 상판(41)의 하측 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 하강 하는 다수 개의 상,하 진퇴부(43)로 구비된다.
상기 상, 하 진퇴부(43)는 전원을 공급받아 피스톤이 돌출하거나 출몰하는 솔레노이드 구조로 될 수도 있고, 유, 공압에 의해 피스톤이 돌출되는 실린더와 피스톤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일정한 길이만큼 작동봉이 돌출되는 다양한 구조의 액츄에이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판(41)의 하측과 연결되는 상기 상, 하 진퇴부(43)의 로드 상단부는 부드러운 움직임과 후술하는 매트의 경사각을 보정해 줄 수 있는 프로팅 조인트(floating joint) 구조로 연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승, 하강부(40)는 상기 상판(41)과 상기 하판(42)을 연결하는 벨로즈 커버(50)에 의해 밀폐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주행부(20)의 양측에는 애완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 가드(60)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보호 가드(60)의 내측 전, 후방에는 상기 주행부(20)에서 운동하는 애완견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30)로 송신하여 상기 구동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제어하는 감지 센서(61)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보호 가드(60)에는 애완견이 좋아하는 풍경화나 동물 캐릭터와 같은 그림이 그려진 것이 효과적일 수 있고, 별도의 스피커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20)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그램이 재생되는 스크린(70)이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스크린(70)의 프레임 적소에는 견주의 음성을 애완견에게 들려주며 견주의 모습을 스크린(70)을 통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촬영부(71)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스크린(70)은 일반적인 텔레비젼이 설치될 수 있지만, 견주가 촬영한 애완견의 영상, 또는 애완견과 함께 산책하며 촬영한 영상을 재현할 수 있는 모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이 설치된 전체적인 상태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며, 본 발명에 따른 러닝 머신의 구동 장치는 동작하지 않는 도 3 및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러닝 머신을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30)를 동작하여 설정된 프로그램 중 택일 된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동작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러닝 머신을 동작하면 상기 스크린(7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이 영상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인 견주의 안내에 의해 애완견이 상기 매트(23)의 위에 올라서면 사용자가 제어부(30)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어부(30)가 동작되면 구동 모터와 풀리로 이루어진 상기 구동부(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21)와 종동 샤프트(22)를 매개로 설치된 상기 주행부(20), 즉, 상기 매트(23)가 무한궤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 역시 일반적인 러닝 머신의 동작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승, 하강부(40)가 선택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이다.
즉, 도 4와 같이 주행 방향의 전방에 배치된 상, 하 진퇴부(43)가 돌출하면 그 로드에 장착된 상판(41)의 전방이 상향하며 상기 주행부(20), 즉, 상기 매트(23)의 전방을 상향시키며 오르막길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애완견에게 언덕길을 산책하거나 달리기 하는 효과를 부여하게 되고, 반대로 후방에 배치된 상, 하 진퇴부(43)가 돌출하면 상판(41)의 후방이 상향하며 상기 주행부(20)는 앞으로 기울어지며 내리막길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주행 방향의 측방에 배치된 상, 하 진퇴부(43)가 돌출하면 그 로드에 장착된 상판(41)의 측방이 상향하며 상기 주행부(20), 즉, 상기 매트(23)의 측방을 상향시키며 비탈길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언덕길을 오르는 화면의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전방 측에 배치된 상, 하 진퇴부(43)가 동작되어 매트(23)의 일 측을 상향시켜 오르막길을 형성할 것이고,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화면의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후방 측에 배치된 상, 하 진퇴부(43)가 동작될 것이며, 커브진 비탈길의 화면이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측방에 배치된 상, 하 진퇴부(43)가 동작될 것이다.
한편, 상기의 동작들을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상, 하판(41)(42)에 장착된 상기 벨로우즈(50)는 압축, 신장된다.
물론, 상기한 모든 동작은 미리 프로그램화 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상, 하 진퇴부(43)는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 가드(60)의 전, 후방에 구비된 감지 센서(61)에 애완견이 감지되면 감지 센서(61)는 애완견이 정해진 궤도를 이탈했다는 것으로 인지한 후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3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수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10)의 구동 속도를 저속으로 감속하거나, 구동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동부(10)로 명령한다.
따라서, 애완견이 안전한 상태에서 스크린(70)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감상하며 지루하지 않은 상태에서 걷기운동 또는 달리기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예는, 견주가 집에 없고 애완견이 혼자 있을 경우에 견주의 핸드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애완견을 호출하여 애완견을 운동시킬 수도 있다.
즉, 견주가 핸드폰에 설치된 앱을 동작하며 대화를 하게 되면 견주의 영상은 스크린(70)을 통하여 영상되고 그 음성은 스크린의 프레임 또는 보호 가드(60)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애완견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애완견은 스크린(70)에서 영상되는 견주의 모습을 보고 또 견주의 음성을 들어가며 견주의 행동 지시에 따라 안정을 취한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고 또 견주는 스크린(70)에 장착된 영상 촬영부(71)를 통해 애완견을 바라보며 애완견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구동부 20 ; 주행부
21 ; 구동 샤프트 22 ; 종동 샤프트
23 ; 매트 30 ; 제어부
40 ; 승, 하강부 41 ; 상판
42 ; 하판 43 ; 상, 하 진퇴부
50 ; 벨로우즈 60 ; 보호 가드
61 ; 감지 센서 70 ; 스크린
71 ; 영상 촬영부

Claims (5)

  1. 구동 모터와 풀리를 갖춘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동 설치되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는 복수개의 구동 샤프트와 종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종동 샤프트에 연동 설치되며 무한회전하는 매트가 표면으로 노출된 주행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거나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행부의 전,후 방향과 좌,후 방향의 높낮이가 기울어지며 경사지도록 선택적으로 승, 하강 하는 승, 하강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 하강부는 상기 주행부의 하측에 맞대어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하판; 및
    하측은 상기 하판의 상측 면에 장착되고 상측은 상기 상판의 하측 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 하강 하는 상,하 진퇴부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견용 러닝 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 하강부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벨로즈 커버에 의해 밀폐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견용 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의 양측에는 보호 가드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가드의 내측 전, 후방에는 상기 주행부에서 운동하는 애완견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머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그램이 재생되는 스크린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의 프레임 적소에는 견주의 음성을 애완견에게 들려주며 견주의 모습을 스크린을 통하여 영상 재생하는 영상 촬영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애완견용 머신.

KR1020200029978A 2020-03-11 2020-03-11 애완견용 러닝 머신 KR20210114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78A KR20210114640A (ko) 2020-03-11 2020-03-11 애완견용 러닝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78A KR20210114640A (ko) 2020-03-11 2020-03-11 애완견용 러닝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40A true KR20210114640A (ko) 2021-09-24

Family

ID=7791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978A KR20210114640A (ko) 2020-03-11 2020-03-11 애완견용 러닝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46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323B1 (ko) * 2022-07-05 2022-10-07 (주)바이오데이즈 반려동물 건강 진단 장치(네오 펫 스테이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721A (ko) 1999-12-27 2001-07-07 이경렬 애완견 런닝머신
KR20090038056A (ko) 2007-10-15 2009-04-20 변영준 애완견 달리기 기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721A (ko) 1999-12-27 2001-07-07 이경렬 애완견 런닝머신
KR20090038056A (ko) 2007-10-15 2009-04-20 변영준 애완견 달리기 기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323B1 (ko) * 2022-07-05 2022-10-07 (주)바이오데이즈 반려동물 건강 진단 장치(네오 펫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0782B (zh) 於操作期間抵銷跑步機的平台之重量
KR101433044B1 (ko) 영상화면 연동 런닝머신
TWI574718B (zh) 橫向傾斜跑步機底板
CN111491701B (zh) 跑步机中的可听式带引导件
US6102832A (en)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US10569123B2 (en) Deck adjustment interface
US5385519A (en) Running machine
US5205800A (en) All terrain treadmill
EP0892658B1 (en) Motion apparatus
KR101571361B1 (ko) 시뮬레이션 런닝머신
JP2008220580A (ja) 没入歩行感覚呈示装置
KR20210114640A (ko) 애완견용 러닝 머신
KR20100108926A (ko) 시뮬레이션 기능을 갖는 런닝머신
US20070017456A1 (en) Training device
JPWO2018078670A1 (ja) Vrアミューズメント搭乗装置
JP2006129825A (ja) ペットランナー
KR101579382B1 (ko) 축구게임을 이용한 인체의 균형감각 증진장치
KR101796070B1 (ko) 스키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모션 플랫폼
CN100443134C (zh) 具有地形仿真功能的跑步机
EP1225959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a ski slope
CN111502352B (zh) 一种具有声音设备位置调节结构的智能仿真室内滑雪虚拟现实装置
CN1206008C (zh) 组合式脚踏车及跑步健身机
KR101260461B1 (ko) 스크린 스키장 및 그 이용 방법
KR200330599Y1 (ko) 자동제어 기능을 갖는 러닝머신
CN110347059B (zh) 一种与观众互动的模块化智能舞台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