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40A -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 Google Patents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40A
KR20210114240A KR1020200029675A KR20200029675A KR20210114240A KR 20210114240 A KR20210114240 A KR 20210114240A KR 1020200029675 A KR1020200029675 A KR 1020200029675A KR 20200029675 A KR20200029675 A KR 20200029675A KR 20210114240 A KR20210114240 A KR 20210114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ner cup
unit
tumbler
heat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440B1 (ko
Inventor
김경민
이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운
Priority to KR102020002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4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를 수용하는 내부컵; 내부컵을 보호하는 프레임; 내부컵의 음료가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내부컵의 외측면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전도장치;,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보강하는 써멀부스터 및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므로 텀블러의 열효율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Temperature Adjustable Tumbler}
본 발명은 텀블러에 저장되는 음료에 대하여 냉온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는 음료를 음용하는데 사용되는 컵의 한 형태를 지칭하는데, 근래에 커피 등의 음료의 보급 및 확산에 따라 그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문제를 고려하여 1회용품의 사용을 자제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더욱 더 텀블러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텀블러는 보통 플라스틱, 유리-세라믹,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제작이 되며, 뜨겁거나 찬 음료를 일정 시간 보관하는 경우 외부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기나 냉기가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뜨거운 음료나 차가운 음료를 적정한 온도에서 음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로 보온 또는 보냉을 실시하고 있으나, 장시간 음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의 설정온도에 맞게 음료를 데우거나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열효율이 개선된 텀블러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69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온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텀블러는,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열전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컵; 상측단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체결되어 상기 내부컵을 내측에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컵을 보호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의 외측면을 통해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내부컵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열전도장치;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온도를 갖추도록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컵에 대하여 상기 열전도장치와 구분되는 별도의 열전도경로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부 또는 외측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보강시켜주는 써멀부스터(thermal booster);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써멀부스터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부 또는 외측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내부컵으로 열을 전도하거나 상기 내부컵으로부터 열을 전도받는 접면(接面)부; 상기 접면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공기중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공기중으로 열을 방출하는 열교환부; 및 일측단이 상기 접면부와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접면부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의 열전달을 매개하는 써멀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상기 내부컵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컵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내부컵과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제1 열전도부; 및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제1 열전도부로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제1 열전도부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펠티어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일측면이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펠티어소자부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열전도핀이 다수 마련된 제2 열전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상기 제2열전도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열전도부가 냉각되거나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공기를 불어주는 에어블로우(air blow)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써멀부스터의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제2 열전도부와 상기 에어블로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블로우부에 의해 상기 제2 열전도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승온되어 상기 제2 열전도부에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2 열전도부를 냉각시켜주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부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하기 위한 열교환핀이 다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컵과 상기 제1 열전도부 사이에 상기 내부컵과 상기 제1 열전도부 사이의 열전도를 매개하는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 또는 써멀패드(Thermal pad)가 개재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컵의 외주면에는 상기 써멀그리스가 수용될 수 있는 그리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컵을 지지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측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제2 열전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열전도부가 상기 내부컵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측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지지하여 주며, 상기 상단프레임에 결합된 서포트홀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홀더와 상기 상단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내부컵 또는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외부로부터 단열시켜주기 위하여 밀폐된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홀더의 하측에는, 상기 펠티어소자부의 일측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열전도부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안착되는 상기 펠티어소자부를 홀딩시켜주는 펠티어홀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에어블로우부가 내재되며, 상기 에어블로우부에 의해 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프레임에 제1통풍구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료에 대한 설정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내부컵에 수용된 상기 음료의 현재온도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온도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온도로 상기 음료의 온도가 맞추어지도록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텀블러 내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주며, 텀블러 내에 음료의 하측과 상측 사이의 온도차이 발생을 억제시켜줄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내부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열전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써멀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써멀부스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내부컵과 써멀부스터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이하 간단히 '텀블러'라 칭하기로 한다)(10)는 내부컵(100), 프레임(200), 열전도장치(400, 도 5 참조), 써멀부스터(500, 도 7 참조) 및 제어장치(300,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으로 참조하되 각 부분별로 따로 나타낸 도 4 내지 7을 도면을 추가적으로 더 참조하면서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텀블러(10)의 내부컵(100)은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10)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컵(100)에 수용되는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내부컵(100)은 열전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부컵(100)은 내부식성이 있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텀블러의 내부컵(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外周面)(105)이 곡면의 형태로 된 것도 가능하며, 후술할 열전도장치의 제1 열전도부(410)가 내부컵(100)의 외측면에 접한다.
따라서, 제1 열전도부(410)를 통해 전도되어 오는 열을 내부컵(100)이 전달받아서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하거나 반대로 내부컵(100)으로부터 제1 열전도부(410) 측으로 열전도가 이루어지면서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가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컵의 응용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텀블러의 내부컵(100`)의 응용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105`)에 열전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가 채워질 그리스홈(109)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여기서, 그리스홈(109)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는 물론이고, 가로방향이나 임의 패턴 형태로 형성된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열전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5에서 더 참조되는 바와 같은 열전도장치(400)는 프레임(2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며 내부컵(100)으로 열을 전달하거나 수거하여 내부컵(100)의 내측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열전도장치(400)는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내부컵(100)의 외측면 즉, 밑면 또는 외주면(105)을 통해 음료 측으로 열을 제공하거나 음료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내부컵(10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열전도장치(400)는 제1 열전도부(410), 펠티어소자부(440)를 포함하며, 제2 열전도부(420), 에어블로우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전도부(410)는 내부컵(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컵(100)의 외측면 즉, 밑면 또는 외주면(105)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내부컵(100)과 열전도가 이루어진다. 즉, 음료를 가열하기 위하여 제1 열전도부(410)는 펠티어소자부(44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서 내부컵(100)으로 열전도방식으로 열을 전달하여 내부컵(100)의 음료가 가열되도록 한다.
또한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제1 열전도부(410)는 내부컵(10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서 펠티어소자부(4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컵(100)과 제1 열전도부(410) 사이에 내부컵(100)과 제1 열전도부(410) 사이의 열전도를 매개하는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490) 또는 써멀패드가 개재된 것도 바람직하다.
내부컵(100)과 제1열전도부(410) 사이에 써멀그리스가 개재된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105)이 단순한 곡면형태인 것도 가능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외주면(105`)에는 써멀그리스가 수용될 수 있는 그리스홈(109)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제1 열전도부(410)가 내부컵(100)의 밑면은 물론이고 외주면을 통해서 내부컵(100)과 열교환 또는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내부컵(100) 내의 음료가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내부컵(100) 내에서 음료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 사이의 온도편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펠티어소자부(440)와 제1 열전도부(410), 내부컵(100) 사이에는 표면 밀착되어 있어 열전도에 의한 열교환 또는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열전달과정에서 열전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공기층의 생성이 억제되어야 한다.
즉, 펠티어소자부(440)와 제1 열전도부(410), 내부컵(100) 사이에 열전도 효율을 감소시키는 공기층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열전도부(410)와 내부컵(100) 사이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써멀그리스(490)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유로 펠티어소자부(440)와 제1열전도부(410) 사이 그리고 펠티어소자부(440)와 제2 열전도부(420) 사이에도 써멀그리스가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펠티어소자부(440)는 제1 열전도부(410)의 외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제1 열전도부(410)로 열을 제공하거나 제1 열전도부(410)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즉, 펠티어소자부(440)는 후술할 제어장치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하는 부분이 가열되거나 냉각된다.
음료를 설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가 접하는 부분이 발열되는 경우에는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가 접하는 부분은 냉각된다. 반대로 음료를 설정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가 접하는 부분이 냉각되면 반대로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가 접하는 부분은 발열된다.
펠티어소자가 발열되거나 흡열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열전도부(420)는, 일측면이 제1 열전도부(410)의 외면에 접하는 펠티어소자부(440)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열전도부(420)는 펠티어소자부(440)를 냉각시켜줄 수 있다. 제2열전도부(420)에는 열전도핀(422)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열전도핀(422)가 마련되면 공기와 접하는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공기에 의한 냉각효율이 증대된다.
에어블로우부(430)는 제2 열전도부(42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에어블로우부(430)는 제2 열전도부(420)가 냉각되거나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공기를 불어준다.
에어블로우부(430)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열교환부(550)의 열교환핀(552)을 지나 제2열전도부(420)의 열전도핀(422)에 도달된 후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이동과정에서 열교환부(55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제2열전도부(420)의 온도를 낮추어 주거나 열교환부(55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제2열전도부(420)로 열을 전달하여 제2열전도부(420)의 온도를 상승시켜주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에어블로우부(430)에 의해 제2 열전도부(420)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후술할 열교환부(550)에 의해 승온되어 제 2열전도부에 열을 제공하거나 열교환부(550)에 의해 냉각되어 제2 열전도부를 냉각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에어블로우부(430)는 제2 열전도부(420)와 열교환부(550)사이에 공기를 매개로 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되는 블로우팬과, 블로우팬을 회전시켜주는 블로우모터를 포함한다.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하는 부분과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과 접하는 부분 사이의 온도 차이가 적을수록 열효율이 높게 된다. 따라서, 에어블로우부(430)는 후술할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2 열전도부(420)가 냉각되거나 승온될 수 있도록 작동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6에서 더 참조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상측단이 내부컵(100)의 상측 테두리와 체결되어 내부컵(100)을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내부컵(100)과 열전도장치, 써멀부스터 그리고 제어장치를 보호한다.
이러한 프레임(200)은 상단프레임(210)과, 상단프레임(210)의 하측에서 체결된 하단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상단프레임(210)은 내부컵(100)의 상측 테두리와 결합되어 내부컵(100)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단프레임(210)은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프레임(210)의 내측에는 제1 열전도부(410)가 내부컵(100)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열전도부(410)의 외측 주변에 배치되어 제1 열전도부(410)를 지지하여 주는 서포트홀더(23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포트홀더(230)가 배치되어 제1 열전도부(410)를 지지하여 주므로 제1 열전도부(410)는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홀더(23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열전도부(4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제1 열전도부(410)의 열손실을 억제시켜 주는 스페이서(232)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232)가 있으면 제1 열전도부(410)를 받쳐주면서 서포트홀더(230)와 제1 열전도부(410) 사이에 접하는 면적을 감축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열전도부(410)와 서포트홀더(230) 사이에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포트홀더(230)와 상단프레임(210) 사이에는, 내부컵(100) 또는 제1 열전도부(410)를 외부로부터 단열시켜주기 위하여 밀폐된 빈 공간(25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빈 공간(250)은 진공 상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빈 공간(250)이 마련되어 있으면, 내부컵(100) 또는 제1 열전도부(410)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이 억제되므로 단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서포트홀더(230)의 하측에는, 펠티어소자부(440)의 일측면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펠티어소자부(440)를 홀딩시켜주는 펠티어홀더(24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프레임(22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단프레임(210)의 하측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제2 열전도부(4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아울러, 하단프레임(220)의 내측에는 에어블로우부(430)가 내재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220) 내측에는 에어블로우부(430)를 고정적으로 안착시켜줄 수 있는 냉각홀더(223)이 마련되어 있다. 에어블로우부(430)는 냉각홀더(223)에 의해 하단프레임(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에어블로우부(430)에 의해 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하단프레임(220)에 제1 통풍구(221)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더하여 하단프레임(220)의 하측에 제2 통풍구(225)가 더 마련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단프레임(2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내부컵(100) 내의 음료를 외부로부터 밀폐된 형태로 격리시켜줄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된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써멀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써멀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더 참조하면, 써멀부스터(500)는 프레임(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열전도장치(400)와 구분되는 별도의 열전도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써멀부스터(500)의 일부분이 내부컵(100)의 외측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열전도장치(400)의 작동을 보강시켜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하는 부분과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과 접하는 부분 사이의 온도 차이가 적을수록 펠티어소자부(440)의 열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써멀부스터(500)는 제1 열전도부(410)와 제2 열전도부(420) 사이의 온도 차이가 더욱 작아지도록 제2 열전도부(420)로 열이 전달되거나 냉각되는 것을 보강함으로써 열전도장치(400)의 작동을 보강시켜준다는 것이다.
써멀부스터(500)는 내부컵(100)으로부터 열을 전도받아서 제2 열전도부(420) 측으로 열을 전달하거나 반대로 내부컵(100)으로 열을 전도하면서 써멀부스터(500)가 냉각되면 써멀부스터(500)의 냉기가 제2 열전도부(42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펠티어소자부(440)가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하는 부분과 펠티어소자부(440)가 제2 열전도부(420)과 접하는 부분 사이의 온도 차이를 감축시키는 보강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을 통해 펠티어소자부(440)의 열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써멀부스터(500)는 접면(接面)부(510), 써멀브릿지(Thermal bridge)부(530) 및 열교환부(550)을 포함한다.
접면부(510)는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컵(100)의 외측면 일부 부분에 접하고 있다. 그리고 접면부(510)는 내부컵(100)의 열을 전도받거나 전도해 준다.
이러한 접면부(51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내부컵(100)의 상측의 외주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면부(510)의 내측면(512)이 내부컵(1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내측면(512)의 곡률과 내부컵(100)의 곡률이 서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부(550)는 접면부(5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공기중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공기중으로 열을 방출한다.
써멀브릿지부(530)는 일측단이 접면부(510)와 연결되고 타측단이 열교환부(55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면부(510)와 열교환부 사이의 열전달을 매개한다.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열전도장치의 작동과 써멀부스터에 의한 보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컵(100) 내에 저장되는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제1 열전도부(410)가 펠티어소자부(440)에 의해 냉각되면 내부컵(100)의 하측 부분이 냉각된다. 이 때 내부컵(100)의 하측 부분부터 냉각이 되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측 부분까지 냉각이 된다.
여기서, 써멀부스터(500)의 접면부(510)는 내부컵(100)의 상측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내부컵(100)의 상측 부분으로 열을 전달해주면서 접면부(510)는 냉각된다.
접면부(510)가 냉각됨에 따라 써멀브릿지부(530)의 열이 접면부(510)로 전달되면서 써멀브릿지부(530)도 냉각된다. 그리고, 써멀브릿지부(530)가 냉각됨에 따라 열교환부(550)도 냉각된다.
이때 에어블로우부(430)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열교환부(550)를 거쳐 이동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가 제2 열전도부(420)에 도착하여 제2 열전도부(420)을 냉각시키게 된다. 여기서 열교환부(550)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열교환핀(552)이 열교환부(550)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컵(100)의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펠티어소자부(440)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제2 열전부(420)는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되는 제2 열전도부(420)가 냉각될수록 제1 열전도부(410)와의 온도격차가 감소되면서 펠티어소자부(440)의 작동 효율이 증가되어, 내부컵(100) 내에 저장된 음료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 편, 내부컵(100) 내에 저장되는 음료를 가열시키는 경우에는, 음료가 냉각되는 경우에 비하여 반대의 방향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간단히 언급하자면, 펠티어소자부(440)에 의해 제1 열전도부(410)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내부컵(100)의 온도가 상승된다. 내부컵(100)의 상측 부분의 온도가 상승되면, 써멀부스터(500)의 접면부(510)가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된다.
접면부(510)의 온도가 상승되면 써멀브릿지(530)의 온도가 상승되고 이어서 열교환부(550)의 온도가 상승된다. 이 때 에어블로우부(430)에 의해 공기가 열교환부(550)를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된다.
열교환부(550)를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는 제2 열전도부(420)에 도달되어 제2 열전도부(420)로 열을 전달한다. 이때 제2 열전도부(420)는 제1열전도부(410)가 승온됨에 따라 반대로 냉각이 되는 상태이므로, 열교환부(550)를 지나온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펠티어소자부(440)에서 제1 열전도부(410)와 접하는 부분과 제2 열전도부(420)와 접하는 부분 사이의 온도 차이가 감소되므로 펠티어소자부(440)의 열효율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음료를 가열시키는 경우에도 냉각되는 제2 열전도부(420)가 가열될수록 제1 열전도부(410)와의 온도격차가 감소되면서 펠티어소자부(440)의 작동 효율이 증가되어, 내부컵(100) 내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시키는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참고로, 써멀브릿지부(530)의 형태는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접면부(510)와 열교환부(550) 사이를 이어주는 봉의 형태를 갖출 수 있으나, 사각형태의 빔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아울러 다수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써멀브릿지부(530)는 접면부(51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고 할 수 있으며, 열교환부(550)가 제2 열전도부(420)와 에어블로우부(430) 사이의 공간에 이격되어 개재된 형태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가능하다.
써멀브릿지부(530)는 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단프레임(210)에 마련된 홀에 끼워져서 상단프레임(210)의 지지를 받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써멀부스터(500)를 통한 열의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료를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써멀부스터(500)에서 접면부(510), 써멀브릿지부(530), 열교환부(550) 순으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음료를 가열시키는 경우에는 접면부(510), 써멀브릿지부(530), 열교환부(550) 순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교환부(55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면부(5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공기중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공기중으로 열을 방출한다. 열교환부(55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 열전도부(420)와 에어블로우부(430) 사이에 배치된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열교환부(550)가 공기가 열교환을 하는 형태로서 공랭식과 같은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에어블로우부(430)에 의해 제2 열전도부(420)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열교환부(550)에 의해 승온되어 제2 열전도부(420)에 열을 제공하거나 열교환부(550)에 의해 냉각되어 제2 열전도부(420)를 냉각시켜준다.
열교환부(550)에는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열교환핀(552)가 마련되어 있다. 즉, 열교환부(550)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하기 위한 열교환핀(552)이 다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열교환핀(552)은 열교환부(550)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켜준다. 따라서, 열교환부(550)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써멀부스터의 접면부(510)의 내측면(512)과 내부컵(100)의 외주면 사이에 써멀그리스 또는 써멀패드가 개재되어 있는 응용적인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내부컵과 써멀부스터의 응용 내지 변형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내부컵과 써멀부스터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에서, 내부컵(100``)과 써멀부스터(500) 가 앞서 설명한 바와 형태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역할 내지 기능은 대동소이하다.
내부컵(100``)은 상측단의 내측면이 외측을 향하여 젖혀진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컵(100``)에서 젖혀진 형태로 된 상측 테두리와 상단프레임(210)의 상측단이 체결되어 있으되, 내부컵(100``)을 상단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다. 프레임(200)은 외부로부터 내부컵(100``)을 보호한다.
써멀부스터(500)의 써멀브릿지부(530)와 열교환부(55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으며, 형태도 같다. 다만, 접면부(510)가 써멀브릿지부(530)의 일측단과 결합된 부분에서 형태상의 차이가 다소 있다.
써멀부스터(500)의 접면부(510)는 내부컵(100``)의 상측부(103)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컵(100``)과 열전도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써멀부스터(500)의 접면부(510)가 상단프레임(210)의 상단에 받쳐지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써멀부스터(500)가 상단프레임(210)의 지지를 받을 수도 있으며, 써멀부스터(500)가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써멀부스터(500) 또한 내부컵(100)의 상측부(103)를 통해 내부컵(100)과 열전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컵(100``)과 써멀부스터(500)의 응용적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더 참조되는 바와 같이, 텀블러(10)의 제어장치(300)는 프레임(200)의 내측에 장착되고,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온도를 갖추도록 열전도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도 있는 물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방수코팅, 밀봉 또는 밀폐되어 방수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장치(300)는 입력부(320), 제어부(31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한다.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내부컵(100) 내에 수용된 음료에 대한 설정온도를 입력받는다.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값이나 입력신호는 제어부(310)로 전달된다. 제어부(310)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에 따라 열전도장치(400)가 음료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작동을 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330)는 내부컵(100)에 수용된 음료의 현재온도 또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를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 또는 표시한다. 이러한 출력부(330)의 예로서 LCD 나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330)는 현재 내부컵(100)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섭씨 또는 화씨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부(320)의 온도증가버튼 또는 온도감소버튼을 터치하면, 설정된 온도에 소정의 온도단위씩 증가 또는 감소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온도가 70.0도인 경우 사용자가 온도증가버튼을 1회 터치하면 설정온도 증감값 단위인 0.5도 만큼 증가된 70.5도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설정온도가 10도 일 때 온도감소버튼을 1회 터치하면 9.5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2회 터치되면 9.0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로 음료의 온도가 맞추어지도록 열전도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10)는 입력부(320), 출력부(330), 펠티어소자부(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센서와도 연결되어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내부컵(100) 내의 음료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내부컵(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음료의 온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설정온도를 비교하고, 그에 따라 음료가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펠티어소자부(4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는 제1 열전도부가 내부컵의 밑면은 물론이고, 외주면을 통해서 내부컵과 열교환 또는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내부컵 내의 음료가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내부컵 내에서 음료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 사이의 온도편차가 발생하거나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텀블러 내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내부컵
200 : 프레임
210 : 상단프레임 220 : 하단프레임
230 : 서포트홀더 240 : 펠티어홀더
300 : 제어장치
310 : 제어부 320 : 입력부
330 : 출력부
400 : 열전도장치
410 : 제1 열전도부 420 : 제2 열전도부
430 : 에어블로우부 440 : 펠티어소자부
500 : 써멀부스터
510 : 접면부 530 : 써멀브릿지부
550 : 열교환부

Claims (12)

  1.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열전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컵;
    상측단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체결되어 상기 내부컵을 내측에 수용하는 형태로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컵을 보호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의 외측면을 통해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내부컵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열전도장치;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컵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온도를 갖추도록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컵에 대하여 상기 열전도장치와 구분되는 별도의 열전도경로를 형성하며, 일부분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부 또는 외측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상기 열전도장치의 작동을 보강시켜주는 써멀부스터(thermal boos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써멀부스터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부컵의 상측부 또는 외측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내부컵으로 열을 전도하거나 상기 내부컵으로부터 열을 전도받는 접면(接面)부;
    상기 접면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공기중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공기중으로 열을 방출하는 열교환부; 및
    일측단이 상기 접면부와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접면부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의 열전달을 매개하는 써멀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상기 내부컵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컵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내부컵과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제1 열전도부; 및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상기 제1 열전도부로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제1 열전도부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펠티어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일측면이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펠티어소자부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열전도핀이 다수 마련된 제2 열전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장치는,
    상기 제2열전도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열전도부가 냉각되거나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공기를 불어주는 에어블로우(air blow)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써멀부스터의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제2 열전도부와 상기 에어블로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블로우부에 의해 상기 제2 열전도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승온되어 상기 제2 열전도부에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2 열전도부를 냉각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하기 위한 열교환핀이 다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컵과 상기 제1 열전도부 사이에 상기 내부컵과 상기 제1 열전도부 사이의 열전도를 매개하는 써멀그리스(Thermal Grease) 또는 써멀패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컵의 외주면에는 상기 써멀그리스가 수용될 수 있는 그리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컵의 상측 테두리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컵을 지지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측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제2 열전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열전도부가 상기 내부컵의 밑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전도부의 외측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지지하여 주며, 상기 상단프레임에 결합된 서포트홀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홀더와 상기 상단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내부컵 또는 상기 제1 열전도부를 외부로부터 단열시켜주기 위하여 밀폐된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KR1020200029675A 2020-03-10 2020-03-10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KR10237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75A KR102370440B1 (ko) 2020-03-10 2020-03-10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75A KR102370440B1 (ko) 2020-03-10 2020-03-10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40A true KR20210114240A (ko) 2021-09-23
KR102370440B1 KR102370440B1 (ko) 2022-03-07

Family

ID=7792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75A KR102370440B1 (ko) 2020-03-10 2020-03-10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4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4A (ja) * 1997-07-31 1999-02-26 Rhythm Watch Co Ltd 飲料容器のホルダー
JP2006056563A (ja) * 2004-08-20 2006-03-02 Shuichi Kawaguchi 飲料缶ホルダー
KR101816924B1 (ko) 2016-02-01 2018-01-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텀블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4A (ja) * 1997-07-31 1999-02-26 Rhythm Watch Co Ltd 飲料容器のホルダー
JP2006056563A (ja) * 2004-08-20 2006-03-02 Shuichi Kawaguchi 飲料缶ホルダー
KR101816924B1 (ko) 2016-02-01 2018-01-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텀블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440B1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784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JP4560550B2 (ja) 熱電冷却/加熱器具
US6308519B1 (e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US6401462B1 (e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US20100307168A1 (en) Thermo-electric cooler
JP2567721B2 (ja) 携帯用恒温庫
CN106315028A (zh) 用于饮料容器的接收设备
KR200476864Y1 (ko)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
KR101756376B1 (ko)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KR101816924B1 (ko) 스마트 텀블러 시스템
KR101950751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2370440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US10443908B2 (en) Beverage cooler or warming apparatus
KR101349723B1 (ko) 차량용 냉온장고 장치
KR20230120460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JP6594693B2 (ja) 保温装置及び食品搬送車
JP2002282136A (ja) 輸送用貯蔵庫
EP1666816B1 (en) Bottle cooling and warming device
KR101980268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JP2003072897A (ja) 冷温蔵タンク
KR101471034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
JP2020019509A (ja) 飲料供給装置
JP6429313B2 (ja) ヒータユニット
JP2000139631A (ja) ショーケース装置
KR200300360Y1 (ko) 주류용기의 보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