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082A - 아이쇄클 - Google Patents

아이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082A
KR20210114082A KR1020200028914A KR20200028914A KR20210114082A KR 20210114082 A KR20210114082 A KR 20210114082A KR 1020200028914 A KR1020200028914 A KR 1020200028914A KR 20200028914 A KR20200028914 A KR 20200028914A KR 20210114082 A KR20210114082 A KR 20210114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connecting rod
surface treatment
ey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수
김영성
신동선
오기대
윤정용
정종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2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082A/ko
Publication of KR2021011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쇄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쇄클은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본체과, 일측이 쇄클본체에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 방향인 타측이 전선에 고정된 현수 애자에 연결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연결로드는 연결봉과, 연결봉의 일측에 형성되고 쇄클본체에 걸리게 마련되며 원형의 볼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쇄클본체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걸림부가 접속되게 구비되되 걸림부에 접하는 접속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고, 연결로드가 전선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기 위해, 접속면과 걸림부의 외면 사이의 마찰력은, 외력이 제거되면 전선에 발생한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연결로드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마찰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쇄클{EYE SHAKLE}
본 발명은 아이쇄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비틀림을 해소하여 전선의 피로응력을 최소화하는 아이쇄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 현상에 따라 태풍 등의 강풍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고, 이로 인해 전력설비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산악지대 및 해안가에서는 지형에 따른 돌풍으로 인해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다. 주로 강풍에 의해 전선이 점점 증폭되어 흔들려서 수목에 접촉하거나 피로현상에 의해 전선이 단선되는 사고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력 설비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각종 전주에 가설되는 전선은 강풍에 의해 전선이 흔들리더라도 흔들림이 증폭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사고 발생 확률을 낮추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01394호((2000.08.21. 등록, 발명의 명칭: 아이 쇄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강풍 등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의 작용 시에 연결로드가 회전함으로써, 전선에 발생된 비틀림을 해소하여 전선의 피로응력을 최소화하는 아이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풍 등의 외력의 작용이 종료된 후에 연결로드와 전선이 원상태로 회복되어 전선의 피로파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점퍼선의 회전에 의한 상간 접촉 단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아이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쇄클은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본체과, 일측이 상기 쇄클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의 반대 방향인 타측이 전선에 고정된 현수 애자에 연결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쇄클본체에 걸리게 마련되며 원형의 볼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쇄클본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접속되게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에 접하는 접속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쇄클본체는 상기 접속면에 형성된 제1 표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걸림부의 외면에 형성된 제2 표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연결로드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쇄클본체는 상기 접속면에 형성된 제1 표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걸림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접촉되게 구비된 제2 표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는 저마찰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선에 소정 강도 미만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전선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전선에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회전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선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전선의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전선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기 위해, 상기 접속면과 상기 걸림부의 외면 사이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전선에 발생한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로드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 등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의 작용 시 연결로드가 회전함으로써, 전선에 발생된 비틀림을 해소하여 전선의 피로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 등의 외력의 작용이 종료된 후에 연결로드와 전선이 원상태로 회복되므로 전선의 피로파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퍼선의 회전에 의한 상간 접촉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전주의 설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배전전주에서 점퍼선이 단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아이쇄클과 금구 연결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아애쇄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쇄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쇄클의 단면도.
도 7은 기존 아이쇄클의 실증실험을 위한 실험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가력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7의 실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 내지 도 13은 반복횟수에 따라 전선에 가해지는 비틀림 정도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아이쇄클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배전전주(1) 설치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점퍼선(4)이 단선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배전전주(1)는 전선(3)을 지지하기 위해 현수 애자(5)가 설치되고, 현수 애자(5)를 전주(1)에 설치된 완철(2)에 연결하기 위해 아이쇄클 (10, Eye shakle)이 사용된다. 전주(1)를 기준으로 점퍼선(4)에 의해 전선(3)들이 연결되며 전선(3)이 회전되면 전선(3)에 연결된 점퍼선(4)도 함께 회전된다. 점퍼선(4)은 각 상 마다 1 개선이 설치되어 보통 전주(1)를 기준으로 3개소가 설치된다. 강풍에 의해 전선(3)이 회전되어 원상태로 돌아오지 못하면 이에 연결된 점퍼선(4)끼리 접촉되어 단선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도 2 참조).
도 3은 종래 아이쇄클(10)과 금구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4에는 종래 아이쇄클(10)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철(2)은 완철밴드에 의해 전주(1)에 취부되고, 완철(2)에 아이쇄클(10)이 연결되며, 아이쇄클(10)에 현수 애자(5)가 연결되고, 현수 애자(5)에는 전선(3)이 고정되는 클램프(6)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선(3)을 취부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쇄클(10) 중 전선(3)에 연결된 부분은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는 시공상의 편의 및 전선(3)의 비틀림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아이쇄클(10)은 쇄클본체(11)와 이에 결합되는 아이볼트(12)를 포함한다. 아이볼트(12)의 헤드부(13)는 쇄클본체(11)에 형성된 홀을 통해 관통되고 쇄클본체(11)에 걸리게 구비된다. 아이볼트(12)에는 현수 애자(5)가 연결되는 애자연결부(14)가 구비되고, 쇄클본체(11)에는 완철(2)에 결합하기 위한 완철핀(15)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 아이쇄클(10)은 강풍 시 전선(3)의 상하진동에 의해 아이볼트(12)가 회전하고, 강풍이 멈춘 후에도 아이볼트(12)가 돌아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아이볼트(12)와 쇄클본체(11)가 맞닿는 부분에 마찰력에 의해 저항이 많이 걸리므로 강풍이 멈춘 후에도 원상태로 회복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선(3)이 원상태로 회복되지 못하면 이 상태에서 강풍에 의해 다시 회전하게 되므로 과도하게 회전되어 타 전선(3)에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아이볼트(12)와 쇄클본체(11)가 맞닿는 부분에 저항이 크므로 전선(3)에 강풍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아이볼트(12)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경우 전선(3)에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면서 전선(3)이 피로에 노출되어 단선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이쇄클(100)에 비틀림을 해소하고 전선의 피로응력에 의한 파괴(절단)을 방지하기 위한 댐핑기능을 갖도록 개선하였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쇄클(100)은 쇄클본체(110)와 연결로드(130)를 포함한다.
쇄클본체(110)는 완철(2)에 결합된다. 완철(2)은 완철밴드에 의해 전주(1)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로드(130)는 일측이 쇄클본체(110)에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 방향인 타측이 전선(3)에 고정된 현수 애자(5)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로드(130)는 연결봉(131)과 걸림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로드(130)는 애자결합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봉(131)은 연결로드(130)의 몸체를 이루는 것이고, 걸림부(132)는 연결봉(1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쇄클본체(110)를 관통하여 걸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32)는 원형의 볼 형상으로 형성된다. 애자결합부(134)는 연결봉(13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고 현수 애자(5)가 고정될 수 있다. 현수 애자(5)에는 클램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고 클램프에는 전선(3)이 고정될 수 있다.
쇄클본체(110)는 몸체부(111)와 접속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쇄클본체(110)는 완철고정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U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개방된 타측에 완철고정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완철고정부(115)는 완철(2)을 고정하는 완철핀(150)이 관통되는 고정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12)는 몸체부(111)의 일측에 형성되고 걸림부(132)가 접속되게 구비되되 걸림부(132)에 접하는 접속면이 구면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속부(112)는 걸림부(132)가 걸리는 부분이고, 접속부(112)의 내면인 접속면에 걸림부(132)의 외면이 접촉하게 된다. 걸림부(132)는 원형의 볼(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속부(112)의 접속면은 걸림부(132)에 대응되게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32)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속부(112)는 이에 대응되게 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속부(112)나 걸림부(132) 중 적어도 하나에 구 또는 구면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접속부(112)와 걸림부(132)에 낮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일례로 강풍)의 작용 시 연결로드(130)가 회전함으로써, 전선(3)에 발생된 비틀림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전선(3)의 피로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로드(130)가 전선(3)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기 위해, 접속면과 걸림부(132)의 외면 사이의 마찰력은, 외력이 제거되면 전선(3)에 발생한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연결로드(130)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마찰력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접속부(112)의 접속면과 걸림부(132)의 외면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강풍이 멈추면 전선(3)에 발생한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 즉, 기존에 회전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결로드(130)가 회전할 수 있는 정도로 마련됨으로써, 전선(3)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풍 등의 외력의 작용이 종료된 후에 연결로드(130)와 전선(3)이 원상태로 회복되므로 전선(3)의 피로파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3)이 원상태로 회복되는 경우 점퍼선(4)의 회전에 의해 상간 접촉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접속부(112)는 연결홀(113)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홀(113)은 연결로드(130)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113)은 걸림부(13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걸림부(132)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131)은 연결홀(113)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고, 연결봉(131)의 외경은 연결로드(1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홀(113)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쇄클본체(110)는 접속면에 형성된 제1 표면처리부(114)를 포함하고, 연결로드(130)는 걸림부(132)의 외면에 형성되고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접촉되게 구비된 제2 표면처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접속면과 걸림부(132)의 외면 사이의 낮은 마찰력은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끄럽게 되게 처리하여 접속부(112)와 걸림부(132)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로드(130)는, 전선(3)에 강풍 등의 외력이 작용하면 회전하여 전선(3)의 비틀림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회전된 후 강풍이 멈추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는 상기한 연결로드(130)가 회전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는 저마찰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는 금속 재질의 접속부(112)와 걸림부(132)의 표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는 테프론(Teflon, PTFE) 재질의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다른 예로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는 쇄클본체(110) 중 적어도 접속면과, 걸림부(132) 중 적어도 외면을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녹이 잘 생기지 않고 부식이 잘 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이므로, 외부 환경에서 녹발생을 방지하면서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선(3)에 소정 강도 미만의 외력이 작용하면 연결로드(130)가 전선(3)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도 6의 A 참조)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제1 작용). 그리고 전선(3)에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에 의해 연결로드(130)가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제2 작용, 도 6의 B 참조). 이 후 전선(3)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에 의해 연결로드(130)가 전선(3)의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제3 작용, 도 6의 C 참조).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1 작용과 제2 작용 및 제3 작용이 수행되고, 이러한 작용들에 의해 전선(3)의 비틀림이 해소되어 전선(3)의 피로응력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작용은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 사이의 적절한 마찰력과 전선(3)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풍이나 작은 회전력 등의 소정 강도 미만의 외력이 전선(3)에 작용하면 연결로드(130)가 회전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풍에 의해 전선(3)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작용은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 사이의 적절한 마찰력과, 접속면의 형상 및 걸림부(132)의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 사이의 마찰력 이상의 외력인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연결로드(130)는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3)의 비틀림이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작용은 제1 표면처리부(114)와 제2 표면처리부(133) 사이의 적절한 마찰력과 접속면의 형상 및 걸림부(132)의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로드(130)가 회전된 후 전선(3)의 비틀림력 즉, 전선(3)이 비틀린 후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오려는 힘에 의해 연결로드(130)는 미리 회전된 방향의 반대 방향(C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3)이 원상태로 회복되어 전선(3)의 피로응력에 의한 절단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와 같이 연결로드(130)가 회전된 후 다시 원상태가 되도록 회전되지 않으면, 강풍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다음 강풍에 의해 다시 회전되므로 전선(3)이 과도하게 돌아간 상태가 되어, 전선(3) 또는 점퍼선(4)이 다른 전선(3) 또는 점퍼선(4)이나 주변 시설물에 접촉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은 강풍 등의 외력이 제거되면 연결로드(130)와 전선(3)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구비되므로 전선(3)의 접촉 및 절단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바람에 의해 전선(3’)이 횡진할 때 전선(3’)의 양 단부에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증명한 실험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증실험을 위한 실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은 회전가력부(8’)의 상세도이고, 도 9는 실험장치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반복횟수에 따라 전선(3’)에 가해지는 비틀림 정도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증실험은 기존 아이쇄클(10)이 설치된 상태에서 풍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전선(3’) 횡진 시의 조건을 모사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험장치는 지지대(1’)의 양단에 완철 (2')을 설치하고 완철(2’)에 종래 아이쇄클(10, 도 4 참조)을 이용하여 전선(3’)을 설치하였다. 전선(3’)에 무게추(7’)를 달아 항상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아이쇄클(10)의 회전에 영향을 주는 인장력 조건을 실제 조건이 근사하도록 모사하였다. 지지대(1’)의 양단에 보조브라켓(9’)을 설치하고 점퍼선(4’)을 설치하여 현장을 모사하였다. 전선(3')과 아이쇄클(10) 사이에는 애자(5')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에 회전가력부(8’)를 설치하여 전선(3’)에 반복적인 비틀림을 주었다. 그리고 전선(3’)의 양 끝단에 토크센서를 설치하여 왕복횟수에 따른 비틀림 하중을 측정하였다.
이때 전선(3’)의 좌측 단부에는 아이볼트(12)가 회전 가능한 아이쇄클(10a)이 결합되고 전선(3’)의 우측 단부에는 아이볼트(12)가 회전되지 않는 아이쇄클(10b)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선(3’)의 좌측 단부는 회전단으로 구현되고 전선(3’)의 우측 단부는 고정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험결과 전선(3’)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환경에서, 회전가력부(8’)에 의해 전선(3’)에 반복적인 비틀림이 가해졌을 때, 전선(3’)의 양 단부에서 같은 정도의 비틀림 하중이 작용함을 증명하였다. 여기서 전선(3’)에 비틀림 하중이 발생하는 것은 전선(3’)의 양단부 즉, 아이쇄클(10)의 아이볼트(12)는 회전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회전가력부(8’)에 의해 전선(3’)에 비틀림이 가해지는 반복횟수가 1회인 경우에 비틀림 하중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의 반복횟수가 85,000회인 경우의 비틀림 하중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반복횟수가 10,5000회인 경우의 비틀림 하중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반복횟수가 15,0000회인 경우의 비틀림 하중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초)이고 y축은 토크센서에 의해 측정된 비틀림 하중(torque, kgf·m)이다. 그리고 L 그래프는 전선(3’)의 좌측 단부(회전단)의 비틀림 하중을 나타내고 R 그래프는 전선(3’)의 우측 단부(고정단)의 비틀림 하중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에 비틀림을 가하는 반복횟수가 많아져도 전선(3’)의 좌측 회전단과 전선(3’)의 우측 고정단의 비틀림 하중이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험을 통해 전선(3’)에 강풍이 가해져도 전선(3’)의 좌측 회전단도 회전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에 의해 전선(3’)에 비틀림 하중이 부과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선(3’)의 양 단부는 실험횟수에 관계없이 약 1kgf·m의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측정되어, 양 단부의 아이쇄클(10)의 아이볼트(12)는 설치기간에 상관없이 회전되지 않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비틀림 하중은 장기간에 걸쳐 전선(3')에 피로응력을 발생시키므로 전선(3')의 단선에 의한 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 등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의 작용 시 연결로드가 회전함으로써, 전선에 발생된 비틀림을 해소하여 전선의 피로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풍 등의 외력의 작용이 종료된 후에 연결로드와 전선이 원상태로 회복되므로 전선의 피로파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퍼선의 회전에 의한 상간 접촉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전주 2: 완철
3: 전선 4: 점퍼선
5: 현수 애자 6: 클램프
100: 아이쇄클 110: 쇄클본체
111: 몸체부 112: 접속부
113: 연결홀 114: 제1 표면처리부
115: 완철고정부 116: 고정홀
130: 연결로드 131: 연결봉
132: 걸림부 133: 제2 표면처리부
134: 애자결합부 150: 완철핀

Claims (6)

  1. 완철에 결합되는 쇄클본체; 및
    일측이 상기 쇄클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의 반대 방향인 타측이 전선에 고정된 현수 애자에 연결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쇄클본체에 걸리게 마련되며 원형의 볼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쇄클본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접속되게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에 접하는 접속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쇄클본체는 상기 접속면에 형성된 제1 표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걸림부의 외면에 형성된 제2 표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연결로드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는 저마찰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에 소정 강도 미만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전선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전선에 소정 강도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회전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선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표면처리부와 상기 제2 표면처리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전선의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전선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회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되기 위해, 상기 접속면과 상기 걸림부의 외면 사이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전선에 발생한 비틀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로드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KR1020200028914A 2020-03-09 2020-03-09 아이쇄클 KR20210114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14A KR20210114082A (ko) 2020-03-09 2020-03-09 아이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14A KR20210114082A (ko) 2020-03-09 2020-03-09 아이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082A true KR20210114082A (ko) 2021-09-23

Family

ID=7792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914A KR20210114082A (ko) 2020-03-09 2020-03-09 아이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40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95274A (en) Combination of pole anchor with a gym set or the like
US5118070A (en) Stabilizer bar mount
KR20210114082A (ko) 아이쇄클
SA520412352B1 (ar) جهاز لتخفيف تركيبة أمان خاصة بالتسلق
US6945356B2 (en) Termination arrangement for a horizontal lifeline cable
US6008453A (en) Transmission line spacer-twister device
CA2407427C (en) Breakaway link or connector
US4226042A (en) Animal trap stake
US7290748B2 (en) Breakaway support for overhead lines
AU2017270804B2 (en) Strainer post connector
FR2550394A1 (fr) Moyens de suspension d'un cable electrique isole
RU2320043C1 (ru) Спиральный зажим с резьбовым креплением к штыревому изолятору
KR20120066694A (ko) 송배전선용 가공지지대 연결부 완충장치
GB2247899A (en) Connector for wires
CN217143998U (zh) 内走线的多轴机器人
US20150060634A1 (en) Impact-Absorbing Wire and Cable Fixture, Sytem, and Related Methods
JP2737827B2 (ja) ねじれ防止ダンパ
JP3242320U (ja) 架線敷設装置
JPH06203672A (ja) 送電線鉄塔のがいしアーム
KR102344192B1 (ko) 점퍼선의 회전 구속장치
NL1015618C1 (nl) Methode en inrichting voor een springtouw.
KR102433447B1 (ko) 가공배전선 간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설비
US6528721B1 (en) Aerial conductor suspension clamp
JPH0750841Y2 (ja) 電線クランプ脱落防止装置
JPS58349Y2 (ja) ジヤンパ線の接触損傷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